KR101993084B1 - 채소 수확기 - Google Patents

채소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084B1
KR101993084B1 KR1020180016687A KR20180016687A KR101993084B1 KR 101993084 B1 KR101993084 B1 KR 101993084B1 KR 1020180016687 A KR1020180016687 A KR 1020180016687A KR 20180016687 A KR20180016687 A KR 20180016687A KR 101993084 B1 KR101993084 B1 KR 101993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driving shaft
coupled
veget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욱
Original Assignee
전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욱 filed Critical 전용욱
Priority to KR102018001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7/00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 A01D27/04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0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cutters at the fro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소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수확기는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뻗으며 좌우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는 지지대와, 좌측 말단부가 좌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가 우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손잡이대와, 좌측 말단부가 좌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와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가 우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으며, 전면이 개구된 커터 장착홈이 형성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지지대 중 하나와 결합하여 고정되고, 베어링부가 구비되는 축 지지부와, 상기 축 지지부의 베어링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뻗고, 상단부에는 전동드릴장치의 드릴 척에 고정하기 위한 생크가 형성된 원동축과, 상기 원동축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회전추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추에 결합된 편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로드와, 상기 커터 장착홈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 운동만 가능하도록 안내되고 전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터 장착홈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앞쪽으로 돌출된 커터날이 형성되며 한쪽 말단부가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단부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커터와, 상기 원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원동축이 전달하는 회전력의 방향을 바꿔주기 위한 기어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손잡이대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측 말단부가 좌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가 우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으며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원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한쪽 말단만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다수 개의 끈들이 좌우 방향으로 연달아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브러시 및 하면부와 측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부로서 상기 수납부의 하면부가 상기 바닥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의 측면부가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 및 상기 지지대의 뒤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부의 하면부와 측면부 및 후면부로 둘러싸인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이 개구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동축의 생크를 전동드릴의 드릴 척에 끼우고 전동드릴을 작동시키면 상기 커터가 좌우로 왕복 운동하면서 채소를 자르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러시의 끈들이 회전하여 상기 끈들이 상기 구동축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때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 위에 놓인 잘라진 채소를 후방으로 쓸어내어 상기 수납공간에 적재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소 수확기 {VEGETABLE HARVESTER}
본 발명은 채소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 임팩트 드릴을 동력원으로 하는 휴대용 핸드 채소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베이비 채소를 수확하는 방법은 컷터 칼을 이용하여 손으로 수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수확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인력이 많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해마다 인건비는 꾸준히 상승을 하고 있으나 농산물의 가격은 좀처럼 오르지 않는 기형적인 유통구조로 인하여 생산 원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인건비를 절감하는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종래의 베이비 채소를 수확하는 또다른 방법은 양철로 된 쓰레받기를 제작하고 앞부분을 칼날처럼 갈아내어 칼날 같은 부분을 이용하여 베이비 채소를 절단한 다음 쓰레받기에 담는 과정을 수작업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확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시로 칼날을 숫돌로 갈아줘야 하며,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수확량 차이가 많이 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97966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비 채소 및 돌나물을 자르고, 경량의 로프로 제작된 브러시로 채소를 상처나지 않게 뒤쪽의 수납부로 상처 없이 안전하게 채소를 담아 주며, 저비용 고효율 수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채소 수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수확기는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뻗으며 좌우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는 지지대와, 좌측 말단부가 좌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가 우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손잡이대와, 좌측 말단부가 좌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와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가 우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으며, 전면이 개구된 커터 장착홈이 형성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지지대 중 하나와 결합하여 고정되고, 베어링부가 구비되는 축 지지부와, 상기 축 지지부의 베어링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뻗고, 상단부에는 전동드릴장치의 드릴 척에 고정하기 위한 생크가 형성된 원동축과, 상기 원동축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회전추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추에 결합된 편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로드와, 상기 커터 장착홈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 운동만 가능하도록 안내되고 전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터 장착홈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앞쪽으로 돌출된 커터날이 형성되며 한쪽 말단부가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단부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커터와, 상기 원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원동축이 전달하는 회전력의 방향을 바꿔주기 위한 기어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손잡이대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측 말단부가 좌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가 우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으며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원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한쪽 말단만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다수 개의 끈들이 좌우 방향으로 연달아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브러시 및 하면부와 측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부로서 상기 수납부의 하면부가 상기 바닥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의 측면부가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 및 상기 지지대의 뒤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부의 하면부와 측면부 및 후면부로 둘러싸인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이 개구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동축의 생크를 전동드릴의 드릴 척에 끼우고 전동드릴을 작동시키면 상기 커터가 좌우로 왕복 운동하면서 채소를 자르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러시의 끈들이 회전하여 상기 끈들이 상기 구동축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때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 위에 놓인 잘라진 채소를 후방으로 쓸어내어 상기 수납공간에 적재시키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원동축의 둘레에 결합되는 구동 베벨기어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 베벨기어가 서로 맞물려 구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종동 베벨기어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종동 베벨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에 걸쳐져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터날은 톱니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원동축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과 상기 원동축의 생크 부분 바로 밑부분을 지지하는 것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축 중 상기 브러시를 그 사이에 두는 좌우 양 말단부 각각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판 형태를 가지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좌우 양 측면부 중 한쪽 측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납부를 옆으로 기울이면 상기 수납부의 내용물이 흘러 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끈은 섬유 로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채소 수확기에 의하면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베이비 채소 수확 방법에 의하면 5명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수확을 해야 300~400kg을 수확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수확기 두 대를 투입할 경우 1시간이면 400kg을 수확할 수 있어서 인건비를 절감하고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 특유의 브러시가 칼날이 채소를 잘 자를 수 있도록 앞쪽으로 당겨주며 절단과 동시에 뒤쪽의 수납부로 상처 없이 안전하게 채소를 담아줌으로써 수확 작업 시 채소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해준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채소 수확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채소 수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채소 수확기를 지지대(100), 손잡이대(200), 바닥프레임(300), 축 지지부(400), 원동축(500), 회전추(600), 커넥팅로드(610), 커터(700), 동력전달수단(800), 구동축(900), 브러시(1000) 및 수납부(1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00)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면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기다랗게 뻗는 한 쌍의 막대이며, 지지대(100)는 앞뒤 폭이 좌우 폭보다 상대적으로 널찍하여 납작한 형태를 가진다.
손잡이대(200)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길게 뻗는 원형 봉 형태의 부재로서, 손잡이대(200)의 좌측 말단은 좌측에 있는 지지대(200)의 상단부와 결합하고, 손잡이대(200)의 우측 말단은 우측에 있는 지지대(200)의 상단부와 결합하여 손잡이대(200)가 좌측에 있는 지지대(100)와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좌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상단부와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해준다.
손잡이대(200)의 좌우 중심의 둘레에는 손으로 쥐기 좋은 정도의 길이를 가진 손잡이(210)가 결합되며, 손잡이(210)는 손으로 잡고 끌 때 아프지 않도록 탄성 있는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프레임(300)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길게 뻗는 판 형태의 부재로서, 앞뒤 폭이 좌우 폭보다 상대적으로 널찍하여 납작한 형태를 가진다. 바닥프레임(300)의 좌측 말단은 좌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하단부와 결합하고, 바닥프레임(300)의 우측 말단은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바닥프레임(300)이 좌측에 있는 지지대(100)와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좌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하단부와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해준다. 바닥프레임(300)의 전면부에는 상하 방향의 중심을 따라 일정한 깊이만큼 후방으로 패여 좌우 수평 방향으로 길게 뻗은 커터 장착홈(310)이 형성된다.
축 지지부(400)는 "ㄱ"자 형태 또는 "ㄴ"자 형태가 되도록 직각으로 꺾인 부재로서, 축 지지부(400) 중 좌측 방향을 향하는 면이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우측면과 맞닿아서 고정 결합된다. 축 지지부(400)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뚫린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 내부에 원동축(5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가 설치된다.
축 지지부(400)는 모두 두 개가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지지대(100)와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축 지지부(400)들 중 아래쪽의 "ㄴ"자 형태로 꺾어진 축 지지부(400)는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하단부의 우측면에 결합되고, 축 지지부(400)들 중 위쪽의 "ㄱ"자 형태로 꺾어진 축 지지부(400)는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 전체 높이의 중간 높이 쯤에 위치하도록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우측면에 결합된다. 위아래 두 개의 축 지지부(400)는 축 지지부(400)에 설치된 베어링부의 중심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는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어서 두 개의 축 지지부(400)들 각각이 원동축(500)의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원동축(500)은 원형 봉 형태의 부재로서, 원동축(500)의 상단부에는 전동드릴장치의 드릴 척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생크(shank) (510)가 형성된다. 원동축(500)의 생크(510) 바로 아래쪽 부분은 두 개의 축 지지부(400)들 중 위쪽에 설치된 축 지지부(400)의 베어링부에 둘러싸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원동축(500)의 하단부는 두 개의 축 지지부(400)들 중 아래쪽에 설치된 축 지지부(400)의 베어링부에 둘러싸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원동축(500)의 상부를 둘러싸는 축 지지부(400)의 베어링부의 바로 위쪽 부분의 둘레에는 원동축(500)이 아래쪽으로 내려가서 이탈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플랜지부(520)가 원동축(50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원동축(500)의 하단에는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의 평형추와 같은 형태의 회전추(600)가 결합되어 원동축(50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회전추(600)에는 회전추(60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고 하방으로 돌출된 편심축이 구비되며, 편심축이 커넥팅로드(610)의 한쪽 말단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있어서 커넥팅로드(610)의 한쪽 말단이 편심축의 회전 운동 궤적을 따라 회전 운동을 한다.
커넥팅로드(610)의 다른 한쪽 말단은 커터(700)의 우측 말단부와 결합된 회전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터(700)는 전단부에 톱니가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은 상하 방향으로 납작한 판형 형태의 부재로서, 커터 장착홈(310)에 끼워져서 좌우로 왕복 슬라이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이때 커터(700)는 톱니가 커터 장착홈(31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커터 장착홈(310) 밖으로 빠져나와 바닥프레임(300)보다 앞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커터(700)의 좌측단부에는 좌우 일직선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뚫린 장공 형태의 가이드 구멍(710)이 형성되며, 가이드 구멍(71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다. 바닥프레임(300)에는 커터(700)의 가이드 구멍(71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된다. 가이드 돌기의 전후 폭은 가이드 구멍의 전후 폭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커터(700)가 커넥팅로드(61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때 커터(700)의 가이드 구멍(710)이 가이드 돌기에 의하여 좌우 일직선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되므로 커터(700) 전체가 좌우 일직선 방향을 따라서만 왕복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동력전달수단(800)은 기어부(810), 구동풀리(820), 종동풀리(830), 벨트(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어부(810)는 구동 베벨기어(811)와 피동 베벨기어(812)로 구성되는데, 구동 베벨기어(811)는 원동축(500) 중에서 아래쪽 축 지지부(400)보다 약간 위쪽으로 떨어진 부분의 둘레에 결합되어 원동축(50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피동 베벨기어(812)는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구동 베벨기어(811)와 직각을 이루도록 맞물린 것으로서,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우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풀리(820)는 피동 베벨기어(812)의 바로 왼쪽에 위치하도록 피동 베벨기어(812)와 일체로 결합되어 피동 베벨기어(812)와 회전축을 공유하여 피동 베벨기어(812)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며, 종동풀리(830)는 위쪽에 있는 축 지지부(400)보다 약간 아래쪽으로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며 구동축(900)의 우측 말단에 결합되어 종동풀리(830)가 회전되면 구동축(900)이 종동풀리(830)와 함께 회전된다. 벨트(840)가 구동풀리(820)와 종동풀리(830)에 팽팽하게 걸쳐져서 구동풀리(820)의 회전력이 벨트(840)에 의해 종동풀리(830)에 전달된다.
종동풀리(830)의 직경이 구동풀리(820)의 직경에 비해 훨씬 크기 때문에 원동축(500)의 빠른 회전이 종동풀리(830)에서는 느려지며, 이에 따라 구동축(900)의 회전 속도가 원동축(500)의 회전 속도에 비해 많이 늦추어지게 된다.
구동축(900)은 우측 말단이 종동풀리(830)와 결합되고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를 관통한 다음 좌측 말단이 좌측에 있는 지지대(100)와 결합되는데, 구동축(900)은 한 쌍의 지지대(1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좌우 수평 방향으로 길게 뻗는다.
브러시(1000)는 섬유 로프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끈들이 좌우 방향으로 가면서 구동축(900) 전체에 걸쳐 촘촘히 결합되고 구동축(90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도 촘촘히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각 끈의 한쪽 말단만 구동축(900)과 결합되어 밑으로 늘어뜨려져 있다가 구동축(900)을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끈(1010)이 곧게 펴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이 끈(1010)들이 곧게 펴지면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서 바라볼 때 끈(1010)들이 구동축(900)을 중심으로 뻗어서 전체적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태를 이룬다.
한 쌍의 가이드판(1011)은 구동축(900) 중 브러시(1000)를 그 사이에 두는 좌우 양 말단부 각각의 둘레에 결합되어 구동축(900)의 길이 방향인 좌우 수평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태의 부재로서, 오른쪽에 있는 가이드판(1011)은 브러시(1000)의 오른쪽 끝에 위치하는 끈(1010)들이 오른쪽으로 치우치거나 빠져나오지 않고 구동축(900)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똑바로 펴지도록 안내해주는 역할을 하고, 좌우 한 쌍의 가이드판(1011)은 브러시(1000)의 양쪽 끝에 위치하는 끈(1010)들이 양쪽 지지대(100) 사이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않고 구동축(500)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똑바로 펴지도록 안내해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수납부(1100)는 하면부(1110)와 좌측면부(1120) 및 후면부(1130)가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수납부(1100)의 우측면부와 상면부 및 전면부가 터져 있는 형태를 가진 바구니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수납부(1100)의 하면부와 좌측면부 및 후면부로 둘러싸인 공간을 수납공간이라 한다. 수납부(1100)의 우측면부가 터져 있도록 구성된 이유는 수납부(1100)를 우측으로 기울여서 수납공간에 담긴 채소들을 수납부(1100)의 터진 우측면을 통해 한꺼번에 쏟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납부(1100)의 하면부(1110) 전단은 바닥프레임(300)의 후면과 결합하고, 수납부(1100)의 좌측면부(1120) 전단은 좌측에 있는 지지대(100)의 후면과 결합하며, 수납부(1100)의 후면부(1130)의 상단은 전단이 우측에 있는 지지대(100)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봉(1140)의 후단과 결합하여 수납부(1100)의 후면부(1130)가 연결봉(1140)에 의해 붙잡혀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바닥프레임(300) 위에서 잘려진 채소가 브러시(1000)에 의해 수납부(1100)에 잘 담길 수 있도록 수납부(1100)가 바닥프레임(300) 및 지지대(100) 바로 뒤에 고정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채소 수확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먼저 회전수 2000~2500rpm의 핸드 임팩트 드릴을 드릴 척이 밑으로 가도록 한 다음 원동축(500)의 생크(510)를 드릴 척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가 한 손으로는 손잡이대(200)에 있는 손잡이(210)를 붙잡아서 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드릴을 붙잡은 상태에서 드릴을 작동시키면 원동축(500)이 회전하여 원동축(500)의 하단과 결합된 회전추(600)가 회전하고 커넥팅로드(610)의 한쪽 끝이 회전추(600)와 연결된 편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방 가장자리에 톱니가 형성된 커터(700)를 직소(jigsaw)와 같이 좌우 왕복 운동시킨다.
이와 같이 작동 중인 커터(700)를 베이비 채소 또는 돌나물의 아랫부분에 대면 커터(700)의 날 부분이 베이비 채소 또는 돌나물을 잘라내어 잘려진 베이비 채소 또는 돌나물이 바닥프레임(300) 위에 놓이게 된다.
바닥프레임(300) 위에 올려진 베이비 채소 또는 돌나물은 브러시(1000)의 끈(1010)들이 맨 앞에서부터 맨 뒤로 가면서 바닥프레임(300) 바로 위까지 내려왔다가 다시 위로 올라가도록 회전되게 하는 운동에 의해 뒤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쓸려서 수납부(1100)의 수납공간에 적재된다. 커팅 작업 시 브러시(1000)는 커터(700)의 날이 채소를 잘 자를 수 있도록 앞쪽으로 쓸어당기는 역할도 하며, 브러시(1000)의 끈(1010)들은 섬유 로프로 이루어진 유연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수확물이 입게 되는 손상이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채소 수확기를 들고 전진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농작물이 잘려져 수납부(1100)에 담긴다. 잘려진 농작물이 수납부(1100)에 가득 차면 수납부(1100)를 옆으로 기울여서 수납부(1100)의 터진 측면 구멍을 통해 쏟아서 저장고에 모아놓는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지지대 200: 손잡이대
210: 손잡이 300: 바닥프레임
310: 커터 장착홈 320: 가이드돌기
400: 축 지지부 410: 베어링부
500: 원동축 510: 생크
520: 플랜지부 600: 회전추
610: 커넥팅로드 700: 커터
710: 가이드구멍 800: 동력전달수단
810: 기어부 811: 구동 베벨기어
812: 피동 베벨기어 820: 구동풀리
830: 종동풀리 840: 벨트
900: 구동축 1000: 브러시
1011: 가이드판 1100: 수납부
1110: 하면부 1120: 측면부
1121: 개구부 1130: 후면부
1140: 연결봉

Claims (7)

  1.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뻗으며, 좌우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는 지지대;
    좌측 말단부가 좌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가 우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손잡이대;
    좌측 말단부가 좌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와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가 우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으며, 전면이 개구된 커터 장착홈이 형성된 바닥프레임;
    상기 지지대 중 하나와 결합하여 고정되고, 베어링부가 구비되는 축 지지부;
    상기 축 지지부의 베어링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뻗고, 상단부에는 전동드릴장치의 드릴 척에 고정하기 위한 생크가 형성된 원동축;
    상기 원동축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회전추;
    일단부가 상기 회전추에 결합된 편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커터 장착홈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 운동만 가능하도록 안내되고, 전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터 장착홈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앞쪽으로 돌출된 커터날이 형성되며, 한쪽 말단부가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단부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커터;
    상기 원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원동축이 전달하는 회전력의 방향을 바꿔주기 위한 기어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바닥프레임과 상기 손잡이대 사이에 위치하도록 좌측 말단부가 좌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가 우측에 있는 상기 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으며,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원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
    한쪽 말단만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다수 개의 끈들이 좌우 방향으로 연달아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브러시; 및
    하면부와 측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부로서, 상기 수납부의 하면부가 상기 바닥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의 측면부가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어 상기 바닥프레임 및 상기 지지대의 뒤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부의 하면부와 측면부 및 후면부로 둘러싸인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전면이 개구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동축의 생크를 전동드릴의 드릴 척에 끼우고 전동드릴을 작동시키면 상기 커터가 좌우로 왕복 운동하면서 채소를 자르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러시의 끈들이 회전하여 상기 끈들이 상기 구동축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때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 위에 놓인 잘라진 채소를 후방으로 쓸어내어 상기 수납공간에 적재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원동축의 둘레에 결합되는 구동 베벨기어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종동 베벨기어가 서로 맞물려 구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종동 베벨기어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종동 베벨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에 걸쳐져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수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은 톱니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수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원동축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과 상기 원동축의 생크 부분 바로 밑부분을 지지하는 것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수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중 상기 브러시를 그 사이에 두는 좌우 양 말단부 각각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판 형태를 가지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수확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좌우 양 측면부 중 한쪽 측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납부를 옆으로 기울이면 상기 수납부의 내용물이 흘러 내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수확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끈은 섬유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수확기.
KR1020180016687A 2018-02-12 2018-02-12 채소 수확기 KR101993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687A KR101993084B1 (ko) 2018-02-12 2018-02-12 채소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687A KR101993084B1 (ko) 2018-02-12 2018-02-12 채소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084B1 true KR101993084B1 (ko) 2019-06-25

Family

ID=6706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687A KR101993084B1 (ko) 2018-02-12 2018-02-12 채소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0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7632A1 (fr) * 1984-12-20 1986-07-16 AGRI-SERVICE Sprl Machine pour la récolte de tubercules
KR100642808B1 (ko) * 2005-07-22 2006-11-10 경기도(농업기술원) 채소수확기
KR20080097966A (ko) 2008-09-16 2008-11-06 신영식 수레형 야채 수확기
CN101411263A (zh) * 2007-10-15 2009-04-22 格里梅农业机械厂有限及两合公司 甜菜收获机
US20100011735A1 (en) * 2006-12-08 2010-01-21 Gilles-Alban Michaud Defoliation device for buried products
WO2017076953A1 (de) * 2015-11-06 2017-05-11 Exel Industries Längsentblatter und entsprechende rübenerntemasch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7632A1 (fr) * 1984-12-20 1986-07-16 AGRI-SERVICE Sprl Machine pour la récolte de tubercules
KR100642808B1 (ko) * 2005-07-22 2006-11-10 경기도(농업기술원) 채소수확기
US20100011735A1 (en) * 2006-12-08 2010-01-21 Gilles-Alban Michaud Defoliation device for buried products
CN101411263A (zh) * 2007-10-15 2009-04-22 格里梅农业机械厂有限及两合公司 甜菜收获机
KR20080097966A (ko) 2008-09-16 2008-11-06 신영식 수레형 야채 수확기
WO2017076953A1 (de) * 2015-11-06 2017-05-11 Exel Industries Längsentblatter und entsprechende rübenerntemas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240B1 (ko) 가지치기용 브러쉬 커터
CN109287271B (zh) 机电一体荔枝采收机
CN111819924A (zh) 一种作物收割除茬粉碎设备
CN209594280U (zh) 一种带有收集草功能的园林除草机
KR101993084B1 (ko) 채소 수확기
KR20160070407A (ko) 간접 진동식 수실류 수확기
US3163234A (en) Onion harvester
CN210157661U (zh) 一种扶持弹簧式麻类作物收割机
JPH0994028A (ja) 鋏付きチェンソー
US3436901A (en) Cutting machine for stalk corps
JP5470722B2 (ja) 根菜類収穫機
CN107018745B (zh) 一种半自动人工割禾器
CN108297233B (zh) 一种采收一体式毛竹联合采伐机
CN100508730C (zh) 微型割晒机
CN217241479U (zh) 一种适用于农作物割晒机
CN214352918U (zh) 一种蟹花切块机
KR200368245Y1 (ko) 마늘 줄기 절단기
US17729A (en) Improvement in corn-harvesters
CN2345332Y (zh) 山楂自动切片机
KR890001265B1 (ko) 동력을 이용한 인력 예취기
JP2004135635A (ja) 野菜収穫機
JPS591477Y2 (ja) 移動脱穀機装着用アタツチメント装置
KR200297810Y1 (ko) 전동식 전정기
KR20220036039A (ko) 시금치 수확장치
SU1071248A1 (ru) Ботвоуборочна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