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946B1 - Water Tank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all for flow guiding - Google Patents

Water Tank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all for flow gui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946B1
KR101992946B1 KR1020180115829A KR20180115829A KR101992946B1 KR 101992946 B1 KR101992946 B1 KR 101992946B1 KR 1020180115829 A KR1020180115829 A KR 1020180115829A KR 20180115829 A KR20180115829 A KR 20180115829A KR 101992946 B1 KR101992946 B1 KR 10199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flow
walls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영배
Original Assignee
우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배 filed Critical 우영배
Priority to KR102018011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9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9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93Devic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of the container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7Corrugated or zig-zag structures; Folded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baffle wall. A perforated baffle wall having a plurality of pores enabling water introduced into a corner portion generated when a side wall come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perforated baffle wall to pass therethrough is installed to prevent dead water in the corner portion formed when the side wall comes in contact with the perforated baffle wall. Moreover,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forated baffle wall is space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guide flow of water to enable external flow moved through the pores to be smashed into and mixed with internal flow moved along the perforated baffle wall. Therefor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water and chlorinate can be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reduction in disinfection performance even in a bulk water tank and reducing chlorinate disinfection time.

Description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Water Tank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all for flow guiding}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having corrugated steel plate wall for flow guiding,

본 발명은, 사각형 물탱크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이 정체되는 사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의 복잡성을 증대시켜 물과 염소의 소독성능이 더욱 향상된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flow wall which prevents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rectangular water tank from stagnating and increases the complexity of the flow and further improves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water and chlorine.

일반적으로 물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소독방법에는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 중에 잔류된 세균 등의 유해 미생물을 소독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물에 염소를 투입하여 저장된 물에 포함된 세균, 미생물 등을 살균, 소독하는 염소처리법이 통용되고 있다.Generally, the disinfecting method of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includes a method of disinfecting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remaining i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chlorinating the inflow water to sterilize bacteria and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stored water, A chlorine treatment method is disinfected.

이때, 물과 염소가 희석되는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물탱크 내부에 정류벽을 설치하여 물과 염소가 접촉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물탱크 내부에서 진행하는 물의 유동을 유도하고 있으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 내벽을 이루는 측벽(10)에 설치되는 정류벽(20)의 코너부위(C)에서 흐르는 물이 정체되는 사수가 발생하여 소독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여, 물탱크(1) 내부에서 정체되는 물에 세균, 미생물 등이 증식하여, 균일한 소독성능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lution of water and chlorine, a rectifying wall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to induce the flow of water proceeding inside the water tank so that the time of contact between water and chlorine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water flowing from the corner portion C of the rectifying wall 20 installed at the sidewall 10 forming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1 is stagnated and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is not stably maintained, (1) Bacteria, microorganisms and the like are proliferated in the stagnant water in the inside, and the disinfecting performance can not be maintained uniformly.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4445호(사수 방지형 저수조, 2013.01.15.)에서는 상기와 같이 사수가 발생하는 코너부위에 물이 정체되는 구역이 형성되지 않고 균일하게 흐르도록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코너 마감 경사판 또는 원호형판을 설치하여, 코너부위에서의 사수를 방지하도록 물을 유도하고 있으나, 종래와 같이 코너부위(C)에 반원형의 벤딩된 보강물을 결합하는 방식은 물이 유동하는 구간의 넓이가 넓어짐에 따라서, 벽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외부유동(Uout)과 중간부에 흐르는 내부유동(Uin)이 분리되어 층을 이루며 이동하는 유동이 발생되어 물의 소독성능이 저하된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물과 염소의 접촉시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4445 (water-saving type water tank, 2013.01.15.), Water flows in such a way that the water does not stagnate at the corners where the shooter occurs, In order to induce the water to prevent the bowing at the corner portion, a corner finishing swash plate or a circular arc plate for inducing the water is introduc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joining the semi-circular bending reinforcement to the corner portion (C) The outer flow Uout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wall surface and the inner flow Uin flowing through the middle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orm a layered moving flow and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the water is lowered So that the contact time between water and chlorine can not be stably maintain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4445호(사수 방지형 저수조, 2013.01.15.)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24445 (water-proof type water tank, Jan. 15, 20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코너부위에서의 사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벽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외부유동과 외부유동의 내측의 내부유동이 분리되어 염소의 소독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를 제공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shoot- ing at the corner portion and separating the external flow of water flowing along the wall surface and the internal flow of the inside of the external flow,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guiding wall is provid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탱크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입수구로부터 유입되어 후방측에 설치되는 출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이동경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에 있어서, 물탱크의 둘레를 형성하며, 내부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측벽과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측벽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벽에 접하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부에 전방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도록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의 타단이 상기 측벽의 내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에 외면을 따라 유도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는 수통로가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유공도류벽 및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제1유공도류벽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공도류벽의 일단이 접하는 측벽의 내면과 대향되는 방향의 측벽에 접촉되되, 상기 제1유공도류벽의 접하는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파형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유공도류벽과, 상기 측벽에 접하는 일단의 방향이 서로 반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공도류벽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공을 통하여 후방으로 통과되는 외부유동과 상기 수통로를 통하여 후방으로 통과되는 내부유동으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측벽과 유공도류벽이 접하여 형성되는 코너부위에서의 사수를 방지하며, 상기 입수구는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제1유공도류벽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과 인접하는 상기 측벽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출수구는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후방에 구비되는 제n유공도류벽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과 인접하는 상기 측벽의 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입수구는 상기 파형격벽과 마주보는 방향으로의 상기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구로부터 최초 유입되는 물이 마주보도록 구비된 상기 파형격벽에 부딪혀 상기 제1유공도류벽의 일단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flow wall in which a moving path of water, which is introduced from a water inlet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a water tank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water outlet provided on the rear side, The water tank includes a side wall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n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wall being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and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ront side in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tacting the side wall,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so as to pass rearwardly, a water passage is formed in which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water 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assed rearward,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 flow-through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hole flow-through wall is in contact with a side wall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inner surface of a side wall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hole flow-through wall is in contact, and is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first hole- Wherein the plurality of hole flow-through walls are formed such that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one end tangent to the side wall is reversed with respect to the other one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adjacent to each other, Is separated into an outer flow passing rearward through the hole and an inner flow passing rearward through the water passage so as to prevent a corner at a corner where the side wall and the hole flow wall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through-hole flow-through wall, which is provided at the foremost position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through- And the outlet port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th hole flow-through wall provided at the rear 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an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wall adjacent thereto, Is provided on the sidewall facing the corrugated bulkhead so as to be guided to one end of the first corrugated sidewall by colliding with the corrugated bulkhead provided so as to face the first incoming water from the inlet.

또한, 상기 물탱크는 외면이 물의 유동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면의 전면에 있어 다수의 유공이 형성된 유공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tank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wall having an outer surface fac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방면으로, 물탱크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입수구로부터 유입되어 후방측에 설치되는 출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이동경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에 있어서, 물탱크의 둘레를 형성하며, 내부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측벽과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측벽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벽에 접하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부에 전방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도록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의 타단이 상기 측벽의 내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에 외면을 따라 유도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는 수통로가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유공도류벽 및 상기 물탱크는 외면이 물의 유동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면의 전면에 있어 다수의 유공이 형성된 유공벽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유공도류벽과, 상기 측벽에 접하는 일단의 방향이 서로 반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공도류벽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공을 통하여 후방으로 통과되는 외부유동과 상기 수통로를 통하여 후방으로 통과되는 내부유동으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측벽과 유공도류벽이 접하여 형성되는 코너부위에서의 사수를 방지하며, 상기 유공벽은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유공도류벽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flow wall having a zigzag movement path of water discharged from a water inlet provided on a front side of a water tank and discharged through a water outlet provided on a rear side, Wherein the water tank has a sidewall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idewall, and water introduced from the front into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tacting the sidewall is directed rearward A water passage is formed i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llow the water led back along the outer side to pass backward, A plurality of pierced-hole flow-through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water tank is provided so that an outer surface thereof faces a flow direction of water, Wherein the plurality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are formed so that the direction of one end adjacent to the adjacent one of the adjacent hole flow-through walls and the side wall is reversed from each other, The water flowing in front of the flow wall is separated into an external flow passing rearward through the hole and an internal flow passing backward through the water passage so that the number of turns at a corner portion where the side wall and the hole flow- And one end of the through-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hole flow-through wall to reinforce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 flow-through wa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유공벽은 외면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출입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erced hole includes a door that is provided so tha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openable and closable, and is movable by an operator.

또한, 상기 유공도류벽은 높이방향으로의 단면이 파형을 이루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공도류벽의 일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공은 각각의 유공이 형성된 상기 유공도류벽의 외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타공되어, 상기 유공도류벽 후방으로 통과되는 유동의 복잡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t one end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having the holes formed therein To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 flow passing through the pore flow wall rearward.

삭제delete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는 측벽과 유공도류벽이 접하여 형성되는 코너부위에서의 사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유공을 통해 이동된 외부유동과 유공도류벽을 따라 이동된 내부유동이 부딪혀 섞이도록 물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물과 염소의 소독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대용량의 물탱크에서도 소독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며, 염소 소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ater tank having the corrugated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walls and the pore flow wall are prevented from sliding at the corners formed by the side wall and the pore flow wall,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water and chlorine can be further improved by inducing the flow of water to be mixed with the moved internal flow so that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is not deteriorated even in a large capacity water tank and the chlorine disinfection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물탱크에서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flow wall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optimal performance in a rectangular water tank.

도 1은 종래의 정류벽을 갖는 물탱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도류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AA'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격벽 및 유공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에 따른 물탱크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tank having a conventional rectifying wall;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perforated runne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orrugated bulkhead and a perforated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water tanks according to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1000)는 측벽(100), 유공도류벽(200), 파형격벽(300) 및 유공벽(400)을 포함하여 상기 물탱크(100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입수구(110)로부터 유입되어 후방측에 설치되는 출수구(1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이동경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water tank 1000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guid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wall 100, A water outlet 12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ter tank 1000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inlet 110 and to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water tank 1000 including the water hole 1000, the air hole 200, the corrugated partition wall 300,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zigzag can be formed.

상기 측벽(100)은 물탱크(1000)의 둘레를 형성하여 내벽을 이루는 구성으로써, 상기 물탱크(1000)가 구비되는 위치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기존의 물탱크의 내부에 형성되는 코너부위(C)에서의 사수를 방지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사각형 형상을 갖는 물탱크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사각형 형상을 갖는 물탱크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물탱크(1000)는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구성간의 유기적인 결합에 따른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에 과도하게 벗어남 없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ide wall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the water tank 1000. However,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water tank having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prevent the number of watering at the corner portion C formed inside the water tank.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water tank having a shap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water tank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ank Without undue departure.

또한, 상기 측벽(10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벽의 기초를 형성하고 내면에 스테인리스 패널을 보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벽(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유공도류벽(200), 파형격벽(300) 및 유공벽(400)은 접하는 면에 용접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물탱크 내부로의 누수를 차단하도록 시공된다.The sidewall 100 is preferably formed by pouring concrete to form a foundation of an inner wall and reinforcing a stainless steel panel on the inner surface. The sidewall 100 may include the sidewall 100, the sidewall 100, (300) and the perforated wall (400) are welded to each other by welding to prevent leakage of water into the water tank.

상기 유공도류벽(200)은 물탱크(100) 내부에 구비되어, 코너부위(C)에서의 사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유도하여 유동의 복잡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물탱크 내부에서의 물과 염소의 희석이 더욱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측벽(100)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벽(100)에 접하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부(210)에 전방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유공(230)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100)과 유공도류벽(200)이 접하여 형성되는 코너부위(C)에서의 사류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코너부위(C)로 유입되는 물을 후방으로 통과시킨다.The hole flow-through walls 200 are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100 to prevent watering at the corner portion C and to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 flow by introduc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front,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100, and the one end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100 A plurality of holes 230 are formed to allow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ront to pass rearward so that no foreign matters are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C where the side wall 100 and the hole flow-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rner portion (C) is passed backward.

또한, 상기 유공도류벽(200)은 길이방향으로의 타단이 상기 측벽(100)의 내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에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외면을 따라 유도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는 수통로(2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물탱크(10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측벽(100)의 내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외부유동(Uout)은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일단부(210)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외부유동(Uout)과 분리되는 내부유동(Uin)은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외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으로 유도되어 상기 수통로(240)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되고, 여기에서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후방에서 상기 유공(230)을 통하여 유동된 상기 외부유동(Uout)과 상기 수통로(240)를 통하여 유동된 내부유동(Uin)이 부딪히며 재 혼합됨으로써 유동의 복잡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ther end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flow- 20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assage 240 through which the water introduced backward is passed. At this time, the external flow Uout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tank 1000 and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00 is moved backward through the one end 210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200 The inner flow Ui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outer flow Uout is guid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flow wall 200 and passes through the water passage 240 to move backward, The outer flow Uout flowing through the hole 230 from the rear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200 and the inner flow Uin flowing through the water passage 240 are mixed and re-mixed, It can increase complexity.

더하여, 상기 유공도류벽(200)은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200)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유공도류벽(200)과 상기 측벽(100)에 접하는 일단의 방향이 서로 반전되도록 교번되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전후방향으로 교번 배치된 복수의 유공도류벽(200a~200n)을 지나며 상기 물의 내부유동(Uin) 및 외부유동(Uout)이 재차 반복되어 분리 및 재혼합됨으로써,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일반부(210)의 후방에 상기 입수구(110)로부터 유입된 물의 유동(U)의 외곽에서 상기 측벽(100)을 따라 이동하는 외부유동(Uout)을 상기 외부유동(Uout)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내부유동(Uin)과 혼합되는 혼합영역(a)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유동(Uout) 및 내부유동(Uin)의 분리 및 재혼합이 반복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물탱크(1000) 내부에서 물이 상기 측벽(100)을 따라 층류이동하지 않도록 유동의 복잡성을 증대시킨다. 이때 상기 유공도류벽(200)은 최초 유입된 물의 유동(U)의 진행방향으로의 양측 외곽에서의 한 쌍의 외부유동(Uout)이 모두 분리 및 재혼합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진행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교번되도록 배치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혼합영역(a1,a2, ..., an)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물탱크(1000)의 내부 저장크기 및 전후방향으로의 길이에 따라 추가로 구비하여 물이 진행되는 시간의 지연 및 유동의 복잡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through-hole flow-through walls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to-rear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through-hole flow-through walls 200 may include another adjacent through- The inner flow Uin and the outer flow Uout of the water are repeated again through the plurality of alternatingly arranged hole flow walls 200a to 200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Uout) that moves along the side wall (100) at the outer side of the flow (U) of the water flowing from the inlet (110) to the rear of the general part (210) of the hole flow- Is mixed with the inner flow Uin flowing inside the outer flow Uout so that the separation and remixing of the outer flow Uout and the inner flow Uin are repeat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1000, Along the side walls 100, thereby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flow does not move laminar. At this time, at least two of the pore flow walls 200 are separated and re-mixed so that a pair of outer flows Uout at both outer sides in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the initially introduced water U are separated and 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mixed regions a1, a2, ..., an are formed so as to be alternated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length of the water tank 1000, To further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 flow and the delay in the traveling time of the water.

또한, 상기 물탱크(1000)는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200a, 200b, ..., 200n)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제1유공도류벽(200a)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공도류벽(200a)의 일단이 접하는 측벽(100)의 내면과 대향되는 방향의 측벽(100)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파형격벽(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형격벽(300)은 상기 입수구(110)로부터 최초 유입되는 물을 상기 재1유공도류벽(200a)의 일단부(210)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물탱크(1000)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최전방에 구비된 상기 제1유공도류벽(200a)이 적층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측벽(100)을 따라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200)의 유공으로 곧바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water tank 10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hole flow-through walls 200a provided at the foremost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the hole flow walls 200a, 200b, ..., 200n, The wave partition wall 300 may further include a wave partition wall 300 provided to contact the side wall 1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100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pneumatic flow wall 200a contacts. The corrugated bulkhead 300 has a structure for guiding the water initially introduced from the inlet 110 to the one end 210 of the re-single-hole flow-through wall 200a,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is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flow of the first flow of the first perforated flow-through walls 200a along the sidewall 100 in the stacking direction is prevented from flowing directly to the perforations of the plurality of perforate flow- do.

즉, 상기 파형격벽(300)은 상기 입수구(110)로부터 유입된 물이 진행하는 속도를 저감시켜 염소와의 희석률을 증대시키며, 유동하는 물이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일단부(210)에 먼저 접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더욱 높은 압력을 갖는 유동이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일단부(210)에 유입되어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일단부(210)의 외면에 부딪혀 길이방향의 타측으로 유도되는 유동 중 상기 일단부(210)의 외면에 형성된 유공(230)들을 통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유공(230)들의 직경을 더욱 작게 만들 수 있으며, 상기 유공(230)의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상기 유공(230)을 통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유동의 복잡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후방에서 상기 외부유동(Uout)과 내부유동(Uin)이 혼합되는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corrugated bulkhead 300 reduces the rate at which water flows from the inlet 110 to increase the dilution rate with chlorine, and when the flowing water flows from one end 210 of the hole flow- A flow having a higher pressure is introduced into the one end 210 of the hole flow wall 200 and strikes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one end 210 of the hole flow wall 200, The diameter of the holes 230 can be made smaller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rearward through the holes 230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one end 210 of the flow introduc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le 230 The flow of fluid through the perforations 230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outer flow Uout and the inner flow Uin at the rear of the perforated flow wall 200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mixing efficiency.

이때,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일단부(210)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유공(230)은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일단부(210)에 후방으로 통과되는 유동이 더욱 큰 난류를 형성하도록 더욱 작은 직경 및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자세하게는 도면을 참고하여 후술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holes 230 formed at the one end portion 210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200 flow backward to one end portion 210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200, It is preferable to have a smaller diameter and shape so as to form it and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유공벽(400)은 외면의 전면에 있어 다수의 유공(430)이 형성되는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물탱크(1000)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의 유동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공벽(400)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유공(430)을 통하여 이동된 유동의 복잡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물탱크(1000)의 형상 및 목적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소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더욱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측벽(100)과 파형격벽(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양단이 각기 상기 측벽(100) 또는 파형격벽(300)에 접촉되도록 설치하여, 접촉면의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perforated wall 400 is formed as a corrugated stee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43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and is disposed to face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flowing in the water tank 1000, A plurality of water tanks 1000 may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and purpose of the water tank 1000, 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pressure,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ide wall 100 and the corrugated barrier rib 300, and both ends of the corrugated barrier rib 30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100 or the corrugated barrier rib 300, Can be combined.

더하여, 상기 유공벽(400)은 물탱크 내에서 유동의 진행방향을 가로막도록 구비되어 있어, 상기 물탱크(1000)의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출입문(440)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상기 출입문(440)은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으며 형성될 수 있고, 일정 크기 이상 타공된 구멍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공벽(400)을 마주보며 유동하는 물의 전면적이 접할 수 있도록 전면에 상기 유공(430)이 형성되고, 외면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되어야 하며, 유동하는 유동의 압력에 견고하도록 상기 유공벽(400)과 출입문(440)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출입문(440)을 밀고 닫을 수 있는 구조 또는 경첩, 고정수단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erforated wall 400 is provided so as to block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so that an access door 440 is formed so that an operator can move for cleaning the water tank 1000. The door 44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that are larger than a size that the operator can move, and may be a hole punctured over a predetermined size. Preferably, the hole 440 faces the hole 400 The hole (43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flowing water can be contacte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i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e hole (400) And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The coupling means may includ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hinge, a fixing means, and the like that can push and close the door 440,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탱크(1000)는 유공도류벽(200), 파형격벽(300) 및 유공벽(400)을 포함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의 압력, 흐름, 속도 등을 고려하여 물과 염소의 높은 희석률을 갖는 효과가 있으며, 이때 상기 희석률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탱크(1000)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에 간섭하는 각각의 구성들을 모두 고려하여야 하며, 상기 물탱크(1000)의 내부를 이루는 측벽(100)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구성들의 형상 및 배치가 변화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ank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re wall 200, the corrugated partition wall 300, and the pore wall 400, In order to maintain the dilution rate at a constant leve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ll the constituents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water in the water tank 1000, and the water tank 1000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respective structure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ide wall 100 constituting the inside of the side wall 100. [

본 발명의 물탱크(1000)는 상기 측벽(100)의 내부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내부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물탱크(1000)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110)는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200)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제1유공도류벽(200a)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과 인접하는 상기 측벽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공도류벽(200)의 일측에 형성된 유공(230)을 통하여 상기 입수구(110)로부터 유입된 물이 곧바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수구(120)는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200)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후방에 구비되는 제n유공도류벽(200n)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과 인접하는 상기 측벽(10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n유공도류벽(200n)의 유공(230)을 통해 유입된 외부유동(Uout)과 상기 제n유공도류벽(200n)의 수통로(240)을 통해 유입된 내부유동(Uin)이 혼합되는 혼합영역(an)을 지난 후 상기 출수구(120)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water tank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1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0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inle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And a second hole flow-through wall (20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wall adjacent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le flow-through wall (200a) provided at the foremost position in the front-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110 through the hole 230 formed at one side from being immediately passed. The outflow port 1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th hole flow-through wall 200n provided at the rear end in the fore-and-aft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200, And an inner flow (Uout) flowing through the through-flow passage (240) of the nth through-hole flow-through wall (200n)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let 120 after passing through the mixing region 'an' where the Uin is mixed.

이때, 상기 입수구(110) 및 출수구(120)는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200)이 적층되는 전후방향 또는 상기 전후방향과 수직되는 좌우방향으로의 벽면을 이루는 각각의 상기 측벽(100)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최초 유입된 물이 상기 제1유공도류벽(200a)에 곧바로 유입될 경우, 상기 제1유공도류벽(200a)의 후방으로 이동되는 외부유동(Uout)의 압력이 너무 커 상기 수통로(240)를 통하여 후방으로 유입되는 내부유동(Uin)과 원활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탱크(1000)는 상기 파형격벽(300)을 구비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파형격벽(300)이 구비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입수구(110)는 상기 유공도류벽(200)이 적측되는 방향과 수직되는 좌우방향으로의 측벽(100)상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구(110)를 통해 최초 유입된 물이 좌우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측벽(100)에 부딪혀 상기 제1유공도류벽(200a)으로 유입되는 유동의 압력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200 are stacked o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However, when the initially introduced water flows directly into the first hole flow-through wall 200a, the pressure of the external flow Uout moving backward of the first hole flow-through wall 200a is too large And may not be smoothly mixed with the inner flow Uin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water passage 240. Accordingly, the water tank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ter tank 1000 from having the corrugated partition 300. When the corrugated partition 300 is not provided, The water introduced first through the inlet 110 bumps against the side wall 100 fac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first perforation degree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flow flowing into the flow wall 200a.

이때, 상기 물탱크(1000)는 전후좌우방향의 각각의 상기 측벽(100)이 접하는 4개의 모퉁이 및 유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파형격벽(300)과 상기 측벽(100)이 접하는 일단부(310)의 외면에서 직각을 이루는 코너부위(C)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코너부위(C)에서의 사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너부위(C)의 모서리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의 단면이 U자형으로 휘어진 스테인리스 파형강판을 보강하여 상기 코너부위(C)에서의 사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ater tank 1000 includes four corners in which the respective side walls 100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e end 310 of the corrugated bulkhead 300, A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corner of the corner portion C is curved in a U shape to prevent the corner portion C from being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C. [ It is preferable to reinforce the stainless steel corrugated steel sheet so as to prevent the corner portion C from being used.

또한, 물탱크(1000)에 상기 파형격벽(300)이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200)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제1유공도류벽(200a)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공도류벽(200a)의 일단이 접하는 측벽(100)의 내면과 대향되는 방향의 측벽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입수구(110)는 상기 파형격벽(300)과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측벽(1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100)의 전후방향으로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상기 입수구(110)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파형격벽(300)에 부딪혀 유동압이 1차 저감된 후 상기 파형격벽(300)의 외면을 따라 유도되어 좌우방향으로의 상기 측벽(100)에 부닺혀 2차 저감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ater tank 1000, the corrugated bulkhead 3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perforated-running wall 200a provided at the frontmost of the plurality of perforated-wall walls 20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inlet port 110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wall of the sidewall 100 facing the waveguide wall 3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wall 100 contacting one end of the sidewall 100, 100). That is,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110 provided at the front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ide wall 100 collides with the corrugated partition wall 300 to reduce the flow pressure first, So that it is guided along the outer surface and stuck to the side wall 1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is secondarily reduce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공도류벽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격벽 및 유공벽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유공도류벽(100), 파형격벽(200) 및 유공벽(300)에 대하여 하기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FIG. 3 and FIG. 4 show a hole flow-through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orrugated bulkhead and a hol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The perforated wall 100, the corrugated bulkhead 200 and the perforated wall 300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유공도류벽(100), 파형격벽(200) 및 유공벽(300)은 높이방향으로의 단면이 파형을 갖는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상기 물탱크(100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고, 강판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아도 상기 물탱크(1000) 내압에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강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perforated wall 100, the corrugated partition wall 200 and the perforated wall 300 are made of stainless steel having a corrugated cross s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the press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00 is damaged And has a rigid rigidity that is not deform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water tank 1000 even if concrete is not installed in the steel plate.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유공도류벽(100)은 길이방향으로의 일단부(210)에 상기 유공(230)이 다수 형성되며, 높이방향으로 단면이 물결형상을 갖는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유공도류벽(100)의 전방으로 유입되는 유동의 외부유동(Uout)이 상기 일단부(210)의 복수의 유공(230)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유도되고,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유동의 외부유동(Uout)과 분리되어 상기 유공도류벽(100)의 외면의 타측부(22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으로 유도되는 내부유동(Uin)이 상기 유공도류벽(100)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에 형성되는 수통로(240)를 통하여 후방으로 유도된다. 3 and 4, the hole flow-through wall 100 is formed of a corrugated stee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e holes 230 formed at one end portion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having a wavy shape in cross s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t this time, an external flow Uout of the flow flowing in front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100 is guided rear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30 of the one end 210, An inner flow Ui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outer flow Uout and 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ther side 220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10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flow- And is guided rearwardly through a water passage 24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od.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유공(230)은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일단부(210)에 전후방향으로의 외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유공(230)은 각각의 유공(230)이 형성된 상기 유공도류벽(230)의 외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전후방향의 외면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공도류벽(230) 후방으로 통과되는 유동의 복잡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일단부(210)의 외면에 형성된 각각의 유공(230)은 형성되는 외면의 파형 형상에 따라 각기 형성되는 외면과 평행하는 평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타공되어, 후방으로 유도되는 유동이 높이방향으로 서로 부딪혀 난류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유공(230)이 형성된 유공도류벽(200)은 평판에 상기 유공(230)을 타공한 후 파형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공벽(400)에 형성되는 유공(430) 또한 상기 유공도류벽(200)에 형성되는 유공(230)과 동일한 형태 및 방법으로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4, the plurality of holes 230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one end 210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2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ore preferably, The holes 230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surfac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230 in which the holes 230 are formed, It can increase complexity. That is, each of the holes 23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ne end 210 is perfo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plane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rrugation shape of the outer surface to be formed, So as to form a turbulent flow. The hole flow-through walls 200 in which the holes 230 are formed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the holes 230 in a flat plate and then shaping the holes into a corrugated shape. At this time, the holes 430 formed in the holes 40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oles 230 formed in the holes.

또한, 상기 유공벽(400)은 외면상에 전면에 있어 상기 유공(430)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외면의 일부가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출입문(4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hole 40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form the hole 430, and further includes a door 440 form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having an operator movable .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에 따른 물탱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각각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물탱크(100)의 변형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water tank according to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of the water tank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공벽(400)은 복수개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되,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유공도류벽(200)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200)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공도류벽(200), 파형격벽(300) 및 유공벽(400)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파형형상에 의해 받는 내압에 견고하나, 상기 유공도류벽(200) 및 파형격벽(300)은 외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 압력에 따른 휨 하중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상기 유공도류벽(200) 및 파형격벽(300)으 휨 또는 용접면에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벽(100)에 결합되지 않고 이격된 각각의 타단부(220, 320)에 상기 유공벽(400)을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타단부(220, 320)에 작용되는 유동 압력에 따른 강성을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탱크(10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유공벽(400)은 외면에 모두 상기 출인문(440)을 형성하여, 상기 물탱크(1000)의 내부작업 시에 작업자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6, a plurality of the perforated walls 400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forated wall 200,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flow-through wall 200 of FIG. Since the corrugated current barrier walls 200, the corrugated barrier ribs 300 and the perforated walls 400 are formed of a corrugated steel sheet of stainless steel in which concrete is not poured therein, the corrugated current barrier walls 300, The baffle wall 200 and the corrugated bulkhead 300 can be subjected to a flexural loa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ugated wall 200 and the corrugated bulkhead 300, The perforated wall 400 is disposed at each of the other ends 220 and 320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100 so as to prevent breakage of the fluid,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rigidity according to the pressure. At this time, the outflow port (44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perforated walls (400) provided in the water tank (1000) so that the operator can move .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10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물탱크(1000)가 병렬로 적층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진행경로를 적층된 물탱크(1000)의 개수에 따라 연장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물탱크(1000)가 적층되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물탱크(1000)를 연결하는 연통관(500)이 형성되어 각각의 물탱크(10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관(500)은 어느 하나의 물탱크(1000a)의 물의 유동경로의 후방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의 물탱크(1000b)의 물의 유동경로의 전방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물탱크(1000b)의 물의 유동경로의 후방에 상기 출수구(120)가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1000)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상기 입수구(110)와 출수구(120)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7, the water tank 1000 includes at least two water tanks 1000 stacked in parallel, and the traveling path of the water flowing in the water tank 100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stacked water tanks 1000 And the communicating tubes 500 connecting the adjacent water tanks 10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acent water tanks 1000 are stacked can be formed and each water tank 1000 can be connecte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ng pipe 500 is provided behind the flow path of the water of one of the water tanks 1000a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flow path of the water of the other water tank 1000b, The outlet 120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water flow path of the water tank 1000b of the water tank 1000b so that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water tank 1000 can do.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 : 코너부위
Uout : 외부유동 Uin : 내부유동
1000 : 물탱크
100 : 측벽 110 : 입수구
120 : 출수구
200 : 유공도류벽 210 : 일단부
220 : 타단부 230 : 유공
240 : 수통로
300 : 파형격벽 310 : 일단부
320 : 타단부
400 : 유공벽 410 : 일단부
420 : 타단부 430 : 유공
500 : 연통관
C: Corner area
Uout: Outside flow Uin: Internal flow
1000: Water tank
100: side wall 110: inlet
120: Outlet
200: Pore Diaphragm Wall 210:
220: the other end 230:
240: Canteens
300: corrugated bulkhead 310:
320: the other end
400: perforated wall 410: one end
420: the other end portion 430:
500: communicator

Claims (10)

물탱크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입수구로부터 유입되어 후방측에 설치되는 출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이동경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에 있어서,
물탱크의 둘레를 형성하며, 내부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측벽;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측벽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벽에 접하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부에 전방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도록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의 타단이 상기 측벽의 내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에 외면을 따라 유도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는 수통로가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유공도류벽; 및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제1유공도류벽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유공도류벽의 일단이 접하는 측벽의 내면과 대향되는 방향의 측벽에 접촉되되, 상기 제1유공도류벽의 접하는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파형격벽;
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유공도류벽과, 상기 측벽에 접하는 일단의 방향이 서로 반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공도류벽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공을 통하여 후방으로 통과되는 외부유동과 상기 수통로를 통하여 후방으로 통과되는 내부유동으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측벽과 유공도류벽이 접하여 형성되는 코너부위에서의 사수를 방지하며,
상기 입수구는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전방에 구비되는 제1유공도류벽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과 인접하는 상기 측벽의 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출수구는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 중 전후방향으로의 최후방에 구비되는 제n유공도류벽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과 인접하는 상기 측벽의 후방측에 구비되되,
상기 입수구는 상기 파형격벽과 마주보는 방향으로의 상기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구로부터 최초 유입되는 물이 마주보도록 구비된 상기 파형격벽에 부딪혀 상기 제1유공도류벽의 일단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
1.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flow-through wall in which a moving path of water introduced from a water inlet provided on a front side of a water tank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water outlet provided on a rear side is zigzag,
A sidewall forming a periphery of the water tank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sid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and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ront is passed throug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A plurality of hole flow path wall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with water passages through which water 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assed rearward along the outer surface, And
Wherein the first hole flow-through wall is provided in front of a first hole flow-through wall provided at the foremost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hole flow-through walls and is in contact with a side wall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inner surface of a side wall to which one end of the first hole- A corrugated partition wall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 adjacent to the first pore flow wall;
Including,
Wherein the plurality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are formed such that a direction of one end of the adjacent hole flow-through walls and a direction of the one end of the hole adjacent to the side walls are reversed, water flowing in front of the hole flow- And an inner flow passing rearward through the water passage, thereby preventing the number of bends at a corner portion where the side wall and the hole flow-through wall are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inlet port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wall adjacent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le flow-through wall provided at the foremost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Wherein the first through third flow path walls are provided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th hole flow-through walls provided at the rear 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t the rear side of the side walls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inlet port is provided on the sidewall facing the corrugated bulkhead so as to be guided to one end of the first perforated flowpath by bumping against the corrugated bulkhead provided so that water initially entering from the inlet port faces the inlet port.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wa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외면이 물의 유동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면의 전면에 있어 다수의 유공이 형성된 유공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has a perforated wall having an outer surface facing the flow direction of wa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t a front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Further comprising: a corrugated steel plate hav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물탱크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입수구로부터 유입되어 후방측에 설치되는 출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이동경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에 있어서,
물탱크의 둘레를 형성하며, 내부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측벽;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측벽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벽에 접하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부에 전방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도록 복수의 유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의 타단이 상기 측벽의 내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고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에 외면을 따라 유도된 물이 후방으로 통과되는 수통로가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유공도류벽; 및
상기 물탱크는 외면이 물의 유동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면의 전면에 있어 다수의 유공이 형성된 유공벽;
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유공도류벽과, 상기 측벽에 접하는 일단의 방향이 서로 반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공도류벽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공을 통하여 후방으로 통과되는 외부유동과 상기 수통로를 통하여 후방으로 통과되는 내부유동으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측벽과 유공도류벽이 접하여 형성되는 코너부위에서의 사수를 방지하며,
상기 유공벽은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상기 유공도류벽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유공도류벽의 길이방향으로의 타측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
1. A water tank having a corrugated steel plate flow-through wall in which a moving path of water introduced from a water inlet provided on a front side of a water tank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water outlet provided on a rear side is zigzag,
A sidewall forming a periphery of the water tank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side;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and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front is passed throug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A plurality of hole flow path wall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with water passages through which water 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assed rearward along the outer surface, And
Wherein the water tank has a perforated wall having an outer surface facing the flow direction of wa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t a front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Including,
Wherein the plurality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are formed such that a direction of one end of the adjacent hole flow-through walls and a direction of the one end of the hole adjacent to the side walls are reversed, water flowing in front of the hole flow- And an inner flow passing rearward through the water passage, thereby preventing the number of bends at a corner portion where the side wall and the hole flow-through wall are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perforated wall is provided so th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forated runner wall to reinforce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erforated runner walls. Having a water tank.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벽은 외면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출입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perforated wall includes a door formed so that a part of an outer surface thereof is openable and closable and an operator is movable.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도류벽은 높이방향으로의 단면이 파형을 이루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공도류벽의 일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공은 각각의 유공이 형성된 상기 유공도류벽의 외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타공되어,
상기 유공도류벽 후방으로 통과되는 유동의 복잡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도류벽을 갖는 물탱크.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Wherein the hole flow-through walls are made of a steel sheet having a waveform in cross s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t one end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are perfo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flow-through walls having the holes,
And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flow passing behind the perforated runner wall.
삭제delete
KR1020180115829A 2018-09-28 2018-09-28 Water Tank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all for flow guiding KR1019929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829A KR101992946B1 (en) 2018-09-28 2018-09-28 Water Tank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all for flow gui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829A KR101992946B1 (en) 2018-09-28 2018-09-28 Water Tank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all for flow gui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946B1 true KR101992946B1 (en) 2019-06-25

Family

ID=6706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829A KR101992946B1 (en) 2018-09-28 2018-09-28 Water Tank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all for flow gui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94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209Y1 (en) * 2003-02-14 2003-05-16 한국수자원공사 Inner wall assembly in filtration plant for waterworks
KR200361788Y1 (en) * 2004-04-28 2004-09-1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The anoxic tank training wall for sewage disposal plants
KR101224445B1 (en) 2012-03-27 2013-01-23 주식회사 삼양테크 Dead water protecting type water tank
KR101388940B1 (en) * 2013-10-28 2014-04-24 (주)금강 Fluid storage tank having stirring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s for the same
KR101718898B1 (en) * 2016-10-21 2017-03-23 (주)금강 Water storage tank of rectangular type having increased durability due to training wall provided with manhole being coupled to side walls integral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209Y1 (en) * 2003-02-14 2003-05-16 한국수자원공사 Inner wall assembly in filtration plant for waterworks
KR200361788Y1 (en) * 2004-04-28 2004-09-1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The anoxic tank training wall for sewage disposal plants
KR101224445B1 (en) 2012-03-27 2013-01-23 주식회사 삼양테크 Dead water protecting type water tank
KR101388940B1 (en) * 2013-10-28 2014-04-24 (주)금강 Fluid storage tank having stirring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s for the same
KR101718898B1 (en) * 2016-10-21 2017-03-23 (주)금강 Water storage tank of rectangular type having increased durability due to training wall provided with manhole being coupled to side walls integral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9848A (en) Heat exchanger with plate structure
US10428507B2 (en) Flush toilet
JP5283689B2 (en) Membrane separator and membrane cassette
KR102105946B1 (en) Plate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ple passes in the plate heat exchanger
US20070006991A1 (en) Heat exchanger with internal baffle and an external bypass for the baffle
KR101992946B1 (en) Water Tank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all for flow guiding
JP2023117677A (en) Waste liquid selector valve
JP2020148065A (en) Discharge device
KR101718898B1 (en) Water storage tank of rectangular type having increased durability due to training wall provided with manhole being coupled to side walls integrally
EP4092177A1 (en) Dispensing assembly, dispensing device,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dispensing method
US11951418B2 (en) Removal device with flow control
JP7296105B2 (en) Air diffuser and air diffusion method
JP2007165653A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bubble
KR101998989B1 (en) Water storage tank
CN201552291U (en) Tension leveler water tank and tension leveler
KR102622087B1 (en) Pressure compensating irrigation drip emitters
KR200416275Y1 (en) silencer
KR101461776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joining togather with a pluality of UV reactors
JP4926806B2 (en) Arrangement structure of air-conditioning duct in construction machinery
JP6397260B2 (en) Join
CN216715386U (en) Mute micro-nano releaser and water outlet joint with same
JPH07127990A (en) Heat exchanger
JP2003148749A (en) Branch pipe box
JP2002030637A (en) Energy absorber
JP2006003008A (en) Cleaning body sepa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