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672B1 -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672B1
KR101992672B1 KR1020190024645A KR20190024645A KR101992672B1 KR 101992672 B1 KR101992672 B1 KR 101992672B1 KR 1020190024645 A KR1020190024645 A KR 1020190024645A KR 20190024645 A KR20190024645 A KR 20190024645A KR 101992672 B1 KR101992672 B1 KR 101992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line
image
landscape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진
Original Assignee
(주)선운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운이앤지 filed Critical (주)선운이앤지
Priority to KR102019002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통해 가공송전선로의 설치 예정 지역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 후 변환된 3D 영상에 가공송전선로를 구성하는 철탑, 송전선, 변전소 등의 모델링된 3D 객체 이미지를 삽입하여 해당 가공송전선로 설치 예정 지역에 대한 가공송전선로 설치 시의 경관영향을 사전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분석하는 동시에 이렇게 마련되는 자료를 경관영향평가용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 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은 가공송전선로의 예상 경과지를 드론 및 상기 드론에 장착되는 촬영장비를 통해 연속적으로 초고화질 사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장비를 통해 촬영된 초고화질 사진 파일이 컨택스트 캡쳐(Context Capture) 프로그램을 통해 3D이미지로 변환되는 단계와, 상기 3D이미지에 모델링된 철탑, 송전선, 변전소 및 기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3D 객체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Visual impact analyzing method for overhead transmitting line}
본 발명은 드론을 통해 가공송전선로의 설치 예정 지역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 후 변환된 3D 영상에 가공송전선로를 구성하는 철탑, 송전선, 변전소 등의 모델링된 3D 객체를 이미지를 삽입하여 해당 가공송전선로 설치 예정 지역에 대한 가공송전선로 설치 시의 경관영향을 사전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분석하는 동시에 이렇게 마련되는 자료를 경관영향평가용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가공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로 배전된다.
그리고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가공송전선로는 그 직경이 매우 크고 무겁기 때문에 강철재로 이루어지는 철탑(이하 “송전탑”이라 함)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웃하는 송전탑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면 가공송전선로의 하중이 지나치게 커져 해당 가공송전선로 및 송전탑 간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고, 이웃하는 송전탑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설치할 송전탑의 갯수가 늘어나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가공송전선로의 송전탑은 설치되는 주변 지형을 고려하는 동시에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정 거리마다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공송전선로, 송전탑 및 변전소 등 송전용 시설물들의 설치 과정에서 주변 지형지물들과 시각적인 조화가 간과되는 측면이 있었고, 이에 따라 설치된 송전용 시설물들이 주변 경관을 저해하는데 따른 여러 난점들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부연 설명하면, 종래 가공송전선로, 송전탑 및 변전소 등 송전용 시설물들은 그 설치에 따른 경제성만을 고려하였고, 이로 인해 해당 시설물들이 주변경관을 저해하는 동시에 그에 따른 해당 지역의 대규모 민원 발생 등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이미 설치된 송전용 시설물들을 다른 위치로 옮겨 설치할 경우 그에 따른 작업 기간의 장기화 및 인건비 상승 등 많은 문제점들을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국내를 기준으로, 한국전력공사의 송전탑 설치를 위해 시행되는 전력영향평가에서 경관영향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
전력영향평가는 가공송전선로의 입지선정 과정에 따른 대규모 민원 발생을 최소화하고 억제하기 위한 프로세서로써, 입지선정에 필요한 시공, 경제성, 경관영향, 환경영향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해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는 평가 방법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력영향평가 시 고려되는 상기 변수들 중 경관영향의 분석을 위해서 현지주민 조망점 선정 의견 수렴 즉, 주민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장소나 경관 및 주민들이 자주 모이거나 지나는 지점 등을 파악하고 현지조사를 통해 지형도와 다른 시각 환경, 주민들의 생각, 조사자의 경관분석을 종합하여 경관 분석도를 작성한다. 이때 활용되는 자료로 도 1과 같은 사진들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진들은 식생과 인공지물에 대한 표현력이 매우 떨어져, 송전선로의 시공, 변경으로 인해 식생 및 인공지물과 관련되어 경관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것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16576호(2013.10.15.공고.), “풍력발전소 적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0678395호(2007.02.02.공고.),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드론을 통해 가공송전선로의 설치 예정 지역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 후 변환된 3D 영상에 가공송전선로를 구성하는 철탑, 송전선, 변전소 등의 모델링된 3D 객체 이미지를 삽입하여 해당 가공송전선로 설치 예정 지역에 대한 가공송전선로 설치 시의 경관영향을 사전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분석하는 동시에 이렇게 마련되는 자료를 경관영향평가용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 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공송전선로의 설치 예정 지역에 대한 가공송전선로 설치 시의 경관영향평가 분석자료가 2단계에 걸친 드론 촬영 및 그에 기반하는 2단계에 걸친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 생성 그리고 각 단계의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에 대한 지역 주민들 및 그 밖의 다른 지역 사람들의 의견 수렴 과정이 수반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 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은 가공송전선로의 예상 경과지를 드론 및 상기 드론에 장착되는 촬영장비를 통해 연속적으로 초고화질 사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장비를 통해 촬영된 초고화질 사진 파일이 컨택스트 캡쳐(Context Capture) 프로그램을 통해 3D이미지로 변환되는 단계와, 상기 3D이미지에 모델링된 철탑, 송전선, 변전소 및 기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3D 객체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드론을 통해 가공송전선로의 설치 예정 지역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 후 변환된 3D 영상에 가공송전선로를 구성하는 철탑, 송전선, 변전소 등의 모델링된 3D 객체 이미지를 삽입하여 해당 가공송전선로 설치 예정 지역에 대한 가공송전선로 설치 시의 경관영향을 사전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분석하는 동시에 이렇게 마련되는 자료를 경관영향평가용 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의 DEM 방식의 경관영향평가는 송전선로와 지형지물에 대한 경관영향 평가 자료로 그 가치를 다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SM 방식의 결과물은 송전선로와 지형지물 간의 경관영향 평가를 매우 현실적으로 보고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는 관련된 지역 주민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돕고 빠른 의견 합의로 시공 일정의 단축에 따른 전체 공사비용 등의 감소로 이어져 경제성 확보에 효과적이다.
또한, 가공송전선로의 설치 예정 지역에 대한 가공송전선로 설치 시의 경관영향평가 분석자료가 2단계에 걸친 드론 촬영 및 그에 기반하는 2단계에 걸친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 생성 그리고 각 단계의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에 대한 지역 주민들 및 그 밖의 다른 지역 사람들의 의견 수렴 과정이 수반되어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경관영향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사진 자료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에서 드론의 촬영장비를 통해 획득된 사진 파일 및 이를 컨택스트 캡쳐(Context Capture) 프로그램을 통해 변환한 3D이미지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에서 컨택스트 캡쳐(Context Capture) 프로그램을 통해 변환된 3D이미지에 철탑, 송전선, 변전소 및 기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3D 객체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된 예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을 위한 경관 영향 분석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영향 분석장치의 사용 예를 예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은 단계(S110)에서, 가공송전선로의 예상 경과지를 드론 및 상기 드론에 장착되는 촬영장비를 통해 연속적으로 초고화질 사진 촬영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가공송전선로의 예상 경과지를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단위 영역별로 상기 드론 및 그 촬영장비를 통해 초고화질 사진 촬영한다.
단계(S120)에서, 상기 단계(S110)을 통해 촬영된 초고화질 사진 파일이 컨택스트 캡쳐(Context Capture) 프로그램을 통해 3D이미지로 변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에서 드론의 촬영장비를 통해 획득된 사진 파일 및 이를 컨택스트 캡쳐(Context Capture) 프로그램을 통해 변환한 3D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단계(S130)에서, 상기 단계(S120)을 통해 변환된 3D이미지에 모델링된 철탑, 송전선, 변전소 및 기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3D 객체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S130)은 해당 가공송전선로의 설치에 따른 경관영향을 사전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통상 여러 차례 진행될 것이며, 이를 통해서 해당 가공송전선로의 설치에 따른 경관영향을 사전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동시에 최종 이미지를 경관영향평가용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에서 컨택스트 캡쳐(Context Capture) 프로그램을 통해 변환된 3D이미지에 철탑, 송전선, 변전소 및 기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3D 객체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된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드론을 활용한 수치표면모델 기법인 DSM(Digital Surface Model) 기법을 도입하여 식생, 인공지물에 대한 상세한 표현으로 예상 가공송전선로에 대한 객관적인 경관영향평가를 도와 관련 지역민들과의 원활한 의견 도출의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기존의 DEM 방식의 경관영향평가는 송전선로와 지형지물에 대한 경관영향 평가 자료로 그 가치를 다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SM 방식의 결과물은 송전선로와 지형지물 간의 경관영향 평가를 매우 현실적으로 보고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관련된 지역 주민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돕고 빠른 의견 합의로 시공 일정의 단축에 따른 전체 공사비용 등의 감소로 이어져 경제성 확보에 효과적이다.
다음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을 위한 경관 영향 분석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영향 분석장치의 사용 예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장치는 지역 영상정보 수신부(100),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200),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 3D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400),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저장부(500), 입력부(600), 제어부(700), 디스플레이부(800), 통신부(900) 및 경관평가 영상자료 저장부(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역 영상정보 수신부(100)는 가공송전선로의 설치가 예정되어 있는 지역(이하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 이라 함)을 대상으로 드론(10)이 촬영장치(11)를 통해 촬영한 영상정보가 수신된다.
지역 영상정보 수신부(200)는 지역 영상정보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의 영상정보가 해당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의 고유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다.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는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200)의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각 영상정보를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3D 영상정보로 변환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가 상기 전용 프로그램으로써 컨택스트 캡쳐(Context Capture)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D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400)는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를 통해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200)의 영상정보 각각에 대해 3D 형상화가 이루어진 3D 영상정보들이 저장된다.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저장부(500)는 송전선, 송전탑, 변전소 및 기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이미지들이 저장된다.
입력부(600)는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의 가공송전선로 설치에 따른 경관영향 분석을 위해 3D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400) 및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저장부(500)의 데이터 검출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700)는 입력부(6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3D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400)의 3D 영상정보 및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저장부(500)의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3D 영상정보에 검출된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가 겹침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게 하는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800)는 제어부(700)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통신부(900)는 상기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지역 단말기(20)를 통해 생성되어 통신망(30)을 통해 전송되는 평가 데이터를 수신한다.
경관평가 영상자료 저장부(950)는 제어부(700)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지역 영상정보 수신부(100)에는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해 드론(10)이 1차 촬영을 한 1차 영상정보 및 상기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해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설치 위치가 정해진 후 정해진 위치를 중심으로 드론(10)이 2차 촬영을 한 2차 영상정보가 수신된다.
또한, 통신부(900)에는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해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설치 위치가 정해지기 전 상기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한 지역 단말기(20)의 1차 평가데이터 및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설치 위치가 정해진 후 상기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한 지역 단말기(20)의 2차 평가데이터가 수신된다. 여기서, 지역 단말기(20)는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 및 그 밖의 다른 지역의 사람들이 상기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 및 그 밖의 다른 지역에 설치되는 단말기를 말한다.
따라서 지역 단말기(20)는 상기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21) 및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22)을 포함하는 동시에 통신부(900)와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상기 1차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가 변환한 1차 3D 영상정보 및 입력부(6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저장부(500)로부터 검출된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통해 1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700)는 상기 2차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가 변환한 2차 3D 영상정보 및 입력부(6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저장부(500)로부터 검출된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통해 2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한 드론의 1차 촬영을 통해 1차 영상정보가 획득된 다음, 이러한 1차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1차 3D 영상정보의 생성 및 생성된 1차 3D 영상정보에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부가하여 1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1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가 지역 단말기(20)를 통해 해당 지역 주민들 및 그 밖의 다른 지역의 사람들에게 시각적으로 공개되어 그에 따른 1차 평가 데이터가 통신부(900)를 통해 수집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집되는 상기 1차 평가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해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설치 위치를 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해진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설치 지점과 연직선상에 위치하는 공중으로 드론이 비행하여 2차 촬영을 통해 2차 영상정보가 획득된 다음, 이러한 2차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2차 3D 영상정보의 생성 및 생성된 2차 3D 영상정보에 정해진 가공송전선로 요소들의 이미지 정보를 부가하여 2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2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가 지역 단말기(20)를 통해 해당 지역 주민들 및 그 밖의 다른 지역의 사람들에게 시각적으로 공개되어 그에 따른 2차 평가 데이터가 통신부(900)를 통해 수집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집되는 상기 2차 평가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한 경관영향평가 분석자료를 최종 작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한 가공송전선로 설치 시의 경관영향평가 분석자료가 2단계에 걸친 드론 촬영 및 그에 기반하는 2단계에 걸친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 생성 그리고 각 단계의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에 대한 지역 주민들 및 그 밖의 다른 지역 사람들의 의견 수렴 과정이 수반되면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210)에서, 지역 영상정보 수신부(100)에 드론(10)의 1차 영상정보가 수신된다.
단계(S220)에서,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에서 단계(S210)의 1차 영상정보에 따라 1차 3D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230)에서, 제어부(700)에서 단계(S220)의 1차 3D 영상정보 및 입력부(600)의 입력 신호에 따른 검출된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통해 1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240)에서, 단계(230)을 통해 생성된 1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에 대해 지역 단말기(20)에서 1차 평가 데이터가 전송되어 통신부(900)를 통해 수신된다.
단계(S250)에서, 단계(240)을 통해 수신되는 1차 평가 데이터를 참조하여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한 가공송전선로 요소들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
단계(S260)에서, 지역 영상정보 수신부(100)에 드론(10)의 2차 영상정보가 수신되며, 이때 2차 영상정보는 단계(S240)을 통해 정해진 설치 위치와 연직선상에 위치하는 공중으로 드론(10)이 비행하여 촬영한 영상이다.
단계(270)에서,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에서 단계(S260)의 2차 영상정보에 따라 2차 3D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280)에서, 제어부(700)에서 단계(S270)의 2차 3D 영상정보 및 입력부(600)의 입력 신호에 따른 검출된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통해 2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290)에서, 단계(280)을 통해 생성된 2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에 대해 지역 단말기(20)에서 2차 평가 데이터가 전송되어 통신부(900)를 통해 수신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신된는 2차 평가 데이터를 참조하여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한 경관영향평가 분석자료를 최종 작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드론 11 : 촬영장치
20 : 지역 단말기 21 : 디스플레이 수단
22: 입력 수단 30 : 통신망
100 : 지역 영상정보 수신부 200 :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
300 :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 400 : 3D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
500 :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저장부 600 : 입력부
700 : 제어부 800 : 디스플레이부
900 : 통신부 950 : 경관평가 영상자료 저장부

Claims (1)

  1. 가공송전선로의 설치가 예정되어 있는 지역(이하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을 대상으로 드론(10)이 촬영장치(11)를 통해 촬영한 영상정보가 지역 영상정보 수신부(100)에 1차 영상정보로써 수신되는 단계;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에서 상기 영상정보 수신부(100)의 1차 영상정보를 대상으로 컨택스트 캡쳐(Context Capture) 프로그램을 통해 1차 3D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어부(700)에서 입력부(6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3D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400)의 상기 1차 3D 영상정보 및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저장부(500)의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1차 3D 영상정보에 검출된 상기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겹침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게 하는 1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에 대해 지역 단말기(20)에서 1차 평가 데이터가 전송되어 통신부(900)를 통해 수신되는 단계;
    상기 1차 평가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는 요소들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드론(10)이 해당 설치 위치별 연직선상의 공중에서 촬영한 영상정보가 상기 영상정보 수신부(100)에 2차 영상정보로써 수신되는 단계;
    상기 지역 영상정보 3D 변환부(300)에서 상기 2차 영상정보에 따라 2차 3D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700)에서 상기 입력부(6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3D 지역 영상정보 저장부(400)의 상기 2차 3D 영상정보 및 상기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저장부(500)의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2차 3D 영상정보에 검출된 상기 가공송전선로 이미지 정보를 겹침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게 하는 2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경관영향평가 분석용 영상정보에 대해 상기 지역 단말기(20)에서 2차 평가 데이터가 전송되어 상기 통신부(900)를 통해 수신되는 단계;
    상기 가공송전선로 설치지역에 대한 경관영향평가 분석자료의 작성 데이터로써 상기 2차 평가 데이터가 사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
KR1020190024645A 2019-03-04 2019-03-04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 KR10199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45A KR101992672B1 (ko) 2019-03-04 2019-03-04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45A KR101992672B1 (ko) 2019-03-04 2019-03-04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672B1 true KR101992672B1 (ko) 2019-06-25

Family

ID=6706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645A KR101992672B1 (ko) 2019-03-04 2019-03-04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6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5528A (zh) * 2019-10-22 2020-02-07 江苏瑞中数据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仿真技术的三维重构变电站实现方法
KR20210036806A (ko) * 2019-09-26 2021-04-05 (주)선운이앤지 Gis를 활용한 송전선로 경과지 선정시스템
EP4024155A1 (en) 2020-12-30 2022-07-06 Fundación Tecnalia Research & Innov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of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4571A (ja) * 1999-11-25 2001-06-08 Kumagai Gumi Co Ltd 建設地選定方法
KR20020077290A (ko) * 2002-07-09 2002-10-11 주식회사 지피에스코리아 송전탑 경과지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678395B1 (ko) 2006-06-22 2007-02-02 대원지리정보(주)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6576B1 (ko) 2011-05-26 2013-10-15 대한민국 풍력발전소 적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860448B1 (ko) * 2017-03-03 2018-05-23 주식회사 맵인어스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경관 시뮬레이션 영상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4571A (ja) * 1999-11-25 2001-06-08 Kumagai Gumi Co Ltd 建設地選定方法
KR20020077290A (ko) * 2002-07-09 2002-10-11 주식회사 지피에스코리아 송전탑 경과지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678395B1 (ko) 2006-06-22 2007-02-02 대원지리정보(주)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6576B1 (ko) 2011-05-26 2013-10-15 대한민국 풍력발전소 적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860448B1 (ko) * 2017-03-03 2018-05-23 주식회사 맵인어스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경관 시뮬레이션 영상제공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806A (ko) * 2019-09-26 2021-04-05 (주)선운이앤지 Gis를 활용한 송전선로 경과지 선정시스템
KR102285667B1 (ko) * 2019-09-26 2021-08-04 (주)선운이앤지 Gis를 활용한 송전선로 경과지 선정시스템
CN110765528A (zh) * 2019-10-22 2020-02-07 江苏瑞中数据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仿真技术的三维重构变电站实现方法
EP4024155A1 (en) 2020-12-30 2022-07-06 Fundación Tecnalia Research & Innov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of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672B1 (ko) 드론 영상을 이용한 가공송전선로의 경관 영향 분석 방법
US118691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getation modeling using satellite imagery and/or aerial imagery
CN111914819B (zh) 一种多摄像头融合的人群密度预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1537515A (zh) 基于三维实景模型的铁塔螺栓缺陷展示方法和系统
CN110196892B (zh) 一种基于物联网的保护地综合监控平台及其方法
CN111915128B (zh) 一种对地震诱发的次生滑坡灾后评估与救援辅助系统
CN111222478A (zh) 一种工地安全防护检测方法和系统
JP7290510B2 (ja) 劣化状態検出装置及び劣化状態検出方法
CN105208325A (zh) 基于图像定点抓拍及比对分析的国土资源监控预警方法
CN110263627A (zh) 一种面向保护地监管的人类活动变化线索监测方法
CN114240868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巡检分析系统及方法
CN109146880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电力设备检测方法
CN112685812A (zh) 一种动态监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0021467A (ja) 航空交通管制電子システムを介した航空管制のための訓練及び/又は支援プラットフォーム、関連方法
CN110660125A (zh) 用于电力配网系统的三维建模装置
CN116202427A (zh) 基于无人机影像的输电线路测距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7557931B (zh) 一种基于三维场景的表计最优巡检点的规划方法
CN112749746A (zh) 一种缺陷样本迭代更新方法、系统及装置
CN115297303B (zh) 适用于电网输变电设备的图像数据采集处理方法及装置
CN115664006B (zh) 一种增量配电网智能管控一体化平台
JPH10269347A (ja) 地理画像上の影成分の除去方法及び地理画像処理装置、記録媒体
KR20200031853A (ko)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CN110658844B (zh) 一种特高压直流线路通道无人机监控方法及其系统
CN113569956A (zh) 一种基于ai算法的山火灾害勘查识别方法
CN110400373B (zh) 视频信息处理方法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