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330B1 - 중합체 발포 용기를 가지는 전지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중합체 발포 용기를 가지는 전지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330B1
KR101992330B1 KR1020177023158A KR20177023158A KR101992330B1 KR 101992330 B1 KR101992330 B1 KR 101992330B1 KR 1020177023158 A KR1020177023158 A KR 1020177023158A KR 20177023158 A KR20177023158 A KR 20177023158A KR 101992330 B1 KR101992330 B1 KR 10199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trapezoidal side
groove
battery cell
trapezo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606A (ko
Inventor
스캇 두들리
커티스 쇼뱅웨슬리
로버트 멀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7010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전지셀 어셈블리는 내부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을 포함하는 중합체 발포 용기, 및 제 1 외주 레지부, 제 2 외주 레지부, 및 제 3 외주 레지부와 함께 제 1 사각 형상 본체부를 가지는 제 1 전지셀을 포함한다.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제 3 측벽은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사이에 연장되고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 수직이며;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은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 내에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 1 그루브, 제 2 그루브, 및 제 3 그루브를 포함하며, 제 1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 및 제 2 외주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제 1 전지셀의 제 3 외주 레지부는 제 1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와 제 2 외주 레지부 사이에 연장되고 제 1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와 제 2 외주 레지부에 수직이며; 제 1 전지셀은 제 1 외주 레지부, 제 2 외주 레지부, 및 제 3 외주 레지부들이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의 제 1 그루브, 제 2 그루브, 및 제 3 그루브 각각에 위치하도록 내부 영역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중합체 발포 용기를 가지는 전지셀 어셈블리
본 출원은 2015.11.10 일자 미국 특허 출원 제14/936,792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미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지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7779호(2013.10.28.)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지셀 어셈블리들은 전지셀들을 연결하고 외부 열에너지로부터 전지셀들을 단열시키기 위해 별도의 중간 부재들을 사용해야 함으로, 전지셀 어셈블리들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열에너지가 전지셀들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전지셀들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향상된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들을 계속한 끝에 전지셀 어셈블리가 중합체 발포 용기를 포함함으로써, 전지셀 어셈블리의 조립이 용이하고, 향상된 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전지셀 어셈블리는 내부 영역(interior region)을 정의하는 제 1 측벽(first side wall), 제 2 측벽(second side wall), 및 제 3 측벽(third side wall)을 포함하는 중합체 발포 용기(polymeric foam container)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 3 측벽은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사이에 연장되고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 수직이다. 상기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은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 내에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 1 그루브(first groove), 제 2 그루브(second groove), 및 제 3 그루브(third groove)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셀 어셈블리는 제 1 외주 레지부(first peripheral ledge portion), 제 2 외주 레지부(second peripheral ledge portion), 및 제 3 외주 레지부(third peripheral ledge portion)와 함께 제 1 사각 형상 본체부(first rectangular-shaped body)을 가지는 제 1 전지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 및 제 2 외주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지셀의 제 3 외주 레지부는 제 1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와 제 2 외주 레지부 사이에 연장되고 제 1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와 제 2 외주 레지부에 수직이다. 상기 제 1 전지셀은 제 1 외주 레지부, 제 2 외주 레지부, 및 제 3 외주 레지부들이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의 제 1 그루브, 제 2 그루브, 및 제 3 그루브 각각에 위치하도록 내부 영역에 위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셀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셀 어셈블리의 또 다른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지셀 어셈블리를 직선 4-4에 따라 절단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지셀 어셈블리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전지셀 어셈블리의 또 다른 일부분에 대한 확대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지셀 어셈블리를 직선 7-7에 따라 절단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전지셀 어셈블리에서 하우징 커버가 제거된 전지셀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전지셀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전지셀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또 다른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3는 도 10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를 직선 14-14에 따라 절단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15은 도 1의 전지셀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또 다른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전지셀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18는 도 17의 전지셀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전지셀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0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지셀들과 상호연결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 10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지셀들과 상호연결 어셈블리, 및 다수의 전지셀들의 제 1 측면에 부착되어있는 도 15의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22는 도 10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지셀들과 상호연결 어셈블리, 및 다수의 전지셀들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에 부착되어있는 도 15의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 10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지셀들과 상호연결 어셈블리, 및 다수의 전지셀들의 제 1 측면, 제 2 측면, 및 제 3 측면에 부착되어있는 도 15의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24는 도 10의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지셀들과 상호연결 어셈블리, 및 다수의 전지셀들의 제 1 측면, 제 2 측면, 및 제 3 측면에 부착되어있는 도 15의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 및 다수의 전지셀들의 제 4 측면에 부착되어있는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어셈블리(10)가 제공된다. 전지셀 어셈블리(10)는 플라스틱 하우징(30: plastic housing), 하우징 커버(32: housing cover), 전지셀들(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중합체 발포 용기(70), 및 상호 연결 어셈블리(80: interconnect assembly)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어셈블리(10)의 이점은 어셈블리(10)가 중합체 발포 용기(70)에 형성된 그루브들 내에 전저셀들(40 내지 82)을 유지하면서 외부 열에너지로부터 전지셀들(40 내지 82)을 단열할 수 있도록 중합체 발포 용기(70)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지셀 어셈블리(10)는 전지셀들은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전지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프레임 부재 또는 지지 부재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 2, 및 9를 참조하면, 전지셀들(40 내지 82), 중합체 발포 용기(70), 및 상호 연결 어셈블리(80)를 플라스틱 하우징(30) 내에 유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하우징(30)이 제공된다. 플라스틱 하우징(30)은 내부 공간(110: inner space)을 정의하는 하부벽(100: bottom wall)과 측벽들(102, 104, 106, 108)을 포함한다. 측벽들(102, 106)은 하부벽(100)에 연결되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측벽들(104, 108)은 하부벽(100)에 연결되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측벽들(102, 106)에 수직이다. 측벽(102)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내부 공간(110)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탭들(120, 122, 124)을 포함한다. 탭들(120, 122, 124)은 중합체 발포 용기(70)가 내부 공간(110) 내에 위치할 때 중합체 발포 용기(7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104)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내부 공간(110)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탭들(130, 132, 134)을 포함한다. 탭들(130, 132, 134)은 중합체 발포 용기(70)가 내부 공간(110) 내에 위치할 때 중합체 발포 용기(7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106)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내부 공간(110)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탭들(140, 142, 144)을 포함한다. 탭들(140, 142, 144)은 중합체 발포 용기(70)가 내부 공간(110) 내에 위치할 때 중합체 발포 용기(7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108)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내부 공간(110)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탭들(150, 152, 154)을 포함한다. 탭들(150, 152, 154)은 중합체 발포 용기(70)가 내부 공간(110) 내에 위치할 때 중합체 발포 용기(7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17 내지 19를 참조하면, 전지셀들(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은 서로의 위에 적층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지셀들(40 내지 68)은 리튬 이온 파우치형 전지셀들이다. 전지셀들(40 내지 68)의 구조는 이하 자세히 설명된다.
전지셀(40)은 사각형상 본체부(170), 외주 리지부들(171, 172, 173, 174), 및 전극 단자들(176, 177)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171, 172, 173, 174)은 사각형상 본체부(17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171, 17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173, 17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171, 17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173)는 사각형상 본체부(170)의 제 1 단부(first end)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171, 17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174)는 사각형상 본체부(170)의 제 2 단부(second end)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171, 17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전극 단자들(176, 177)은 외부 리지부(17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전지셀(42)은 사각형상 본체부(180), 외주 리지부들(181, 182, 183, 18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181, 182, 183, 184)은 사각형상 본체부(18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181, 18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183, 18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181, 18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183)는 사각형상 본체부(18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181, 18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184)는 사각형상 본체부(18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181, 18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18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44)은 사각형상 본체부(190), 외주 리지부들(191, 192, 193, 19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191, 192, 193, 194)은 사각형상 본체부(19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191, 19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193, 19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191, 19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193)는 사각형상 본체부(19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191, 19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194)는 사각형상 본체부(19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191, 19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19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46)은 사각형상 본체부(200), 외주 리지부들(201, 202, 203, 20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01, 202, 203, 204)은 사각형상 본체부(20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01, 20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03, 20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01, 20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03)는 사각형상 본체부(20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01, 20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04)는 사각형상 본체부(20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01, 20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0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48)은 사각형상 본체부(210), 외주 리지부들(211, 212, 213, 21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11, 212, 213, 214)은 사각형상 본체부(21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11, 21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13, 21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11, 21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13)는 사각형상 본체부(21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11, 21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14)는 사각형상 본체부(21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11, 21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1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50)은 사각형상 본체부(220), 외주 리지부들(221, 222, 223, 22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21, 222, 223, 224)은 사각형상 본체부(22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21, 22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23, 22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21, 22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23)는 사각형상 본체부(22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21, 22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24)는 사각형상 본체부(22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21, 22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2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52)은 사각형상 본체부(230), 외주 리지부들(231, 232, 233, 23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31, 232, 233, 234)은 사각형상 본체부(23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31, 23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33, 23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31, 23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33)는 사각형상 본체부(23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31, 23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34)는 사각형상 본체부(23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31, 23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3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54)은 사각형상 본체부(240), 외주 리지부들(241, 242, 243, 24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41, 242, 243, 244)은 사각형상 본체부(24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41, 24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43, 24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41, 24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43)는 사각형상 본체부(24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41, 24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44)는 사각형상 본체부(24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41, 24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4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56)은 사각형상 본체부(250), 외주 리지부들(251, 252, 243, 24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51, 252, 253, 254)은 사각형상 본체부(25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51, 25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53, 25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51, 25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53)는 사각형상 본체부(25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51, 25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54)는 사각형상 본체부(25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51, 25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5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58)은 사각형상 본체부(260), 외주 리지부들(261, 262, 263, 26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61, 262, 263, 264)은 사각형상 본체부(26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61, 26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63, 26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61, 26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63)는 사각형상 본체부(26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61, 26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64)는 사각형상 본체부(26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61, 26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6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60)은 사각형상 본체부(270), 외주 리지부들(271, 272, 273, 27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71, 272, 273, 274)은 사각형상 본체부(27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71, 27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73, 27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71, 27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73)는 사각형상 본체부(27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71, 27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74)는 사각형상 본체부(27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71, 27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7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62)은 사각형상 본체부(280), 외주 리지부들(281, 282, 283, 28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81, 282, 283, 284)은 사각형상 본체부(28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81, 28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83, 28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81, 28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83)는 사각형상 본체부(28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81, 28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84)는 사각형상 본체부(28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81, 28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8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64)은 사각형상 본체부(290), 외주 리지부들(291, 292, 293, 29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291, 292, 293, 294)은 사각형상 본체부(29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291, 29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293, 29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291, 29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293)는 사각형상 본체부(29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91, 29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294)는 사각형상 본체부(29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291, 29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29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66)은 사각형상 본체부(300), 외주 리지부들(301, 302, 303, 30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301, 302, 303, 304)은 사각형상 본체부(30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301, 30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303, 30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301, 30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303)는 사각형상 본체부(30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301, 30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304)는 사각형상 본체부(30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301, 30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30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전지셀(68)은 사각형상 본체부(310), 외주 리지부들(311, 312, 313, 314), 및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을 포함한다. 외주 리지부들(311, 312, 313, 314)은 사각형상 본체부(31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외주 리지부들(311, 31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들(313, 314)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외부 리지부들(311, 312)에 수직이다. 외주 리지부(313)는 사각형상 본체부(310)의 제 1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311, 31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외주 리지부(314)는 사각형상 본체부(310)의 제 2 단부에 근접한 외주 리지부들(311, 312)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들은 외부 리지부(314)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도 4 및 10 내지 16을 참조하면, 중합체 발포 용기(70)는 전지셀 어셈블리(10) 외부로부터 열 에너지가 전지셀들(40 내지 68)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중합체 발포 용기(70)는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0: first unitary polymeric foam assembly: 도 10에 도시됨)와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2: 도 15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0)와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2)는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0)와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2) 내에 전지셀들(40 내지 68)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0)와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2)는 중합체 발포 용기(70)의 하부벽(410), 측벽(412), 상부벽(414: top wall), 및 측벽들(541, 542, 543)을 정의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합체 발포 용기(70)는 폴리에틸렌 발포(polyethylene foam)로 이루어진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합체 발포 용기(70)는 폴리우레탄 발포(polyurethane foam)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중합체 발포 용기(70)는 소망하는 열적 특성을 가지는 다른 중합체들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0)와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2)가 서로 연결될 때, 어셈블리들(400, 4002)이 내부 영역(404: 도 4에 도시됨)을 정의한다. 그리고, 측벽들(542, 543)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541)은 측벽들(542, 543)에 수직으로 측벽들(542, 543)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도한, 측벽(412)은 측벽(541)에 평행하고 측벽들(542, 543)에 수직으로 측벽들(542, 543)에 연장되어 있다.
도 10 내지 14 및 24를 참조하면,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0)는 하부벽(410), 측벽(412), 상부벽(414), 및 리빙 힌지들(416, 418). 하부벽(410), 측벽(412), 및 상부벽(414)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각형상 외부 외주를 포함한다. 하부벽(410)은 리빙 힌지(living hinge: 416)을 이용하여 측벽(412)에 회전가능하게(rotatably) 연결되어 있다. 측벽(412)은 리빙 힌지(418)을 이용하여 상부벽(4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리빙 힌지(416)는 리빙 힌지(418)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벽(410), 측벽(412), 및 상부벽(414)은 리빙 힌지를 이용하여 함께 연결되지 않은 별개의 독립된 구성들일 수 있다.
하부벽(410)은 전지셀들(40 내지 68)의 적층체를 하부벽(410)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하부벽(410)은 외부 사각형상면(430: outer rectangular-shaped surface), 내부 사각형상면(432: inner rectangular-shaped surface), 사다리꼴형상 측면들(441, 442, 443, 444: trapezoidal-shaped side surfaces)을 포함한다. 외부 사각형상면(430)은 내부 사각형상면(43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외부 사각형상면(430)은 내부 사각형상면(432)보다 크다. 사다리꼴형상 측면들(441, 442, 443, 444)은 외부 사각형상면(430)과 내부 사각형상면(432)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다. 그루부(446)는 하부벽(410)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41)에서 사다리꼴형상 측면(442)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루브(446)는 상호 연결 어셈블리(80: 도 20에 도시됨)의 일부를 그루브(446)에 수납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다.
측벽(412)은 외부 사각형상면(460), 내부 사각형상면(462), 사다리꼴형상 측면들(471, 472, 473, 474)을 포함한다. 외부 사각형상면(460)은 내부 사각형상면(46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외부 사각형상면(460)은 내부 사각형상면(462)보다 크다. 사다리꼴형상 측면들(471, 472, 473, 474)은 외부 사각형상면(460)과 내부 사각형상면(462)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다. 리빙 힌지(416)는 하부벽(410)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44)과 측벽(41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73) 사이에 위치한다.
상부벽(414)은 전지셀들(40 내지 68)의 적층체의 상부 부위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벽(414)은 외부 사각형상면(490), 내부 사각형상면(492), 및 사다리꼴형상 측면들(501, 502, 503, 504)을 포함한다. 외부 사각형상면(490)은 내부 사각형상면(49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외부 사각형상면(490)은 내부 사각형상면(492) 보다 크다. 사다리꼴형상 측면들(501, 502, 503, 504)은 외부 사각형상면(490)과 내부 사각형상면(492)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다. 리빙 힌지(418)는 측벽(41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74)과 상부벽(414)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03)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상부벽(414)은 상부벽(414)의 내부 사각 형상면(492)으로 연장되어있는 그루브(506)를 더 포함한다. 그루브(506)는 사다리꼴형상 측면(501)에서 사다리꼴형상 측면(502)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루브(506)는 상호 연결 어셈블리(80: 도 20에 도시됨)의 일부를 그루브(506)에 수납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다.
도 4, 5, 7, 15, 및 16을 참조하면,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2: second unitary polymeric foam assembly)는 측벽들(541, 542, 543) 및 리빙 힌지들(546, 548)을 포함한다. 측벽들(541, 542, 543)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각형상 외부 외주를 포함한다. 측벽(541)은 측벽들(542, 543) 사이에 위치하며 측벽들(542, 543)에 연결되어 있다. 측벽(542)은 리빙 힌지(546)와 함께 측벽(54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측벽(543)은 리빙 힌지(548)와 함께 측벽(54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리빙 힌지(546)는 리빙 힌지(548)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측벽들(541, 542, 543)은 리빙 힌지들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되지 않은 별개의 독립된 구성들일 수 있다.
측벽(541)은 외부 사각형상면(560), 내부 사각형상면(562), 및 사다리꼴형상 측면들(571, 572, 573, 574)을 포함한다. 외부 사각형상면(560)은 내부 사각형상면(56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외부 사각형상면(560)은 내부 사각형상면(562)보다 크다. 사다리꼴형상 측면들(571, 572, 573, 574)은 외부 사각형상면(560)과 내부 사각형상면(562)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다. 리빙 힌지(546)는 측벽(54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674)과 측벽(541)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73)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5 및 13을 참조하면, 측벽(541)은 측벽(541)의 내부 사각형상면(562)으로 연장되어 있는 그루브들(580, 582, 584, 586, 588, 590, 592, 594, 596, 598, 600, 602, 604, 606, 608)을 포함한다. 그루브들(580 내지 608)은 측벽(541)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73)에서 사다리꼴형상 측면(574)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루브들(580 내지 608) 각각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그루브들(580 내지 608) 각각은 인접하는 그루브들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루브들(580, 582, 584, 586, 588, 590, 592, 594, 596, 598, 600, 602, 604, 606, 608)은 그루브들(580, 582, 584, 586, 588, 590, 592, 594, 596, 598, 600, 602, 604, 606, 608) 각각에 전지셀들(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의 외주 리지부들(173, 183, 193, 203, 213, 223, 233, 243, 253, 263, 273, 283, 293, 303, 313) 각각이 수납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다.
도 7, 15, 및 16을 참조하면, 측벽(542)은 외부 사각형상면(660), 내부 사각형상면(662), 및 사다리꼴형상 측면들(671, 672, 673, 674)을 포함한다. 외부 사각형상면(660)은 내부 사각형상면(66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외부 사각형상면(660)은 내부 사각형상면(662)보다 크다. 사다리꼴형상 측면들(671, 672, 673, 674)은 외부 사각형상면(660)과 내부 사각형상면(662)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다.
도 7 및 15을 참조하면, 측벽(542)은 측벽(542)의 내부 사각형상면(662)으로 연장되어 있는 그루브들(680, 682, 684, 686, 688, 690, 692, 694, 696, 698, 700, 702, 704, 706, 708)을 포함한다. 그루브들(680 내지 708)은 사다리꼴형상 측면(674)에서 사다리꼴형상 측면(673)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루브들(680 내지 708) 각각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그루브들(680 내지 708) 각각은 인접하는 그루브들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루브들(680, 682, 684, 686, 688, 690, 692, 694, 696, 698, 700, 702, 704, 706, 708)은 그루브들(680, 682, 684, 686, 688, 690, 692, 694, 696, 698, 700, 702, 704, 706, 708) 각각에 전지셀들(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의 외주 리지부들(171, 181, 191, 201, 211, 221, 231, 241, 251, 261, 271, 281, 291, 301, 311) 각각이 수납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측벽(542)은 측벽(542)의 내부 사각 형상면(662)으로 연장되어있는 그루브(710)를 더 포함한다. 그루브(710)는 사다리꼴형상 측면(671)에서 사다리꼴형상 측면(672)으로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그루브들(680 내지 710)에 수직이다. 그루브(710)는 상호 연결 어셈블리(80: 도 20에 도시됨)의 일부를 그루브(710)에 수납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다.
도 7, 15, 및 16을 참조하면, 측벽(543)은 외부 사각형상면(760), 내부 사각형상면(762), 및 사다리꼴형상 측면들(771, 772, 773, 774)을 포함한다. 외부 사각형상면(760)은 측벽(543)의 내부 사각형상면(76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외부 사각형상면(760)은 내부 사각형상면(762)보다 크다. 측벽(543)의 사다리꼴형상 측면들(771, 772, 773, 774)은 외부 사각형상면(760)과 내부 사각형상면(762)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다.
도 7 및 15를 참조하면, 측벽(543)은 측벽(543)의 내부 사각형상면(762)으로 연장되어 있는 그루브들(780, 782, 784, 786, 788, 790, 792, 794, 796, 798, 800, 802, 804, 806, 808)을 포함한다. 그루브들(780 내지 808)은 사다리꼴형상 측면(773)에서 측벽(543)의 사다리꼴형상 측면(774)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루브들(780 내지 808) 각각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그루브들(780 내지 808) 각각은 인접하는 그루브들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루브들(780, 782, 784, 786, 788, 790, 792, 794, 796, 798, 800, 802, 804, 806, 808)은 전지셀들(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각각의 외주 리지부들(172, 182, 192, 202, 212, 222, 232, 242, 252, 262, 272, 282, 292, 302, 312)이 수납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다. 리빙 힌지(548)는 측벽(541)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74)과 측벽(543)의 사다리꼴형상 측면(773)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측벽(543)은 측벽(543)의 내부 사각 형상면(762)으로 연장되어있는 그루브(810)를 더 포함한다. 그루브(810)는 사다리꼴형상 측면(771)에서 측벽(543)의 사다리꼴형상 측면(772)으로 연장되며 그루브들(780 내지 808)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그루브(810)는 상호 연결 어셈블리(80: 도 20에 도시됨)의 일부를 그루브(810)에 수납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다.
도 4, 6, 및 8을 참조하면, 상호 연결 어셈블리(80)는 전지셀들(40 내지 68)을 함께 전지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호 연결 어셈블리(80)는 본체부(900)와 본체부(90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들(902, 904: extension portions)를 포함한다. 본체부(900)는 전지셀들(40 내지 68)로부터 전극단자들을 수납하기 위해 본체부(900)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개구들(910, 912, 914, 916, 918, 920, 922, 924, 926, 928, 930, 932, 934, 936, 938)을 포함한다. 전지셀들(40 내지 68)의 전극단자들은 상호 연결 어셈블리(80)의 도전성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지셀들(40 내지 68)의 전체 출력 전압은 실질적으로 12 Vdc이다.
도 20 내지 24를 참조하면, 전지셀 어셈블리(10)를 조립하는 과정은 하기에 기술된다.
우선, 도 4 및 20을 참조하면, 다수의 전지셀들(40 내지 68)은 적층되어 있고 상호 연결 어셈블리(80)을 이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다.
다음, 다수의 전지셀들(40 내지 68)과 상호 연결 어셈블리(80)는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0)의 하부벽(410)에 위치한다.
다음, 도 5 및 21을 참조하면,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2)의 측벽(541)은 그루브들(580, 582, 584, 586, 588, 590, 592, 594, 596, 598, 600, 602, 604, 606, 608)이 그루브들(580, 582, 584, 586, 588, 590, 592, 594, 596, 598, 600, 602, 604, 606, 608) 내에 전지셀들(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각각의 외주 리지부들(173, 183, 193, 203, 213, 223, 233, 243, 253, 263, 273, 283, 293, 303, 313)을 각각 수납할 수 있도록 전지셀들(40 내지 68)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도 13 및 15를 참조하면, 측벽(401)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71)은 하부벽(410)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43)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다음, 도 7 및 22를 참조하면,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2)의 측벽(543)은 그루브들(780, 782, 784, 786, 788, 790, 792, 794, 796, 798, 800, 802, 804, 806, 808)이 그루브들(780, 782, 784, 786, 788, 790, 792, 794, 796, 798, 800, 802, 804, 806, 808) 내에 전지셀들(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각각의 외주 리지부들(172, 182, 192, 202, 212, 222, 232, 242, 252, 262, 272, 282, 292, 302, 312)을 각각 수납할 수 있도록 전지셀들(40 내지 68)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도 13 및 15를 참조하면, 측벽(401)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71)은 하부벽(410)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43)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또한, 측벽(543)의 사다리꼴형상 측면(771)은 하부벽(410)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42)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다음, 도 7 및 23를 참조하면,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2)의 측벽(542)은 그루브들(680, 682, 684, 686, 688, 690, 692, 694, 696, 698, 700, 702, 704, 706, 708)이 그루브들(680, 682, 684, 686, 688, 690, 692, 694, 696, 698, 700, 702, 704, 706, 708) 내에 전지셀들(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각각의 외주 리지부들(171, 181, 191, 201, 211, 221, 231, 241, 251, 261, 271, 281, 291, 301, 311)을 각각 수납할 수 있도록 전지셀들(40 내지 68)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도 13 및 15를 참조하면, 측벽(54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674)은 측벽(541)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73)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또한, 측벽(54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671)은 하부벽(410)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41)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다음, 도 4 및 24를 참조하면,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0)의 측벽(412)은 하부벽(410)과 측벽들(542, 543)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특히, 도 13 및 15를 참조하면, 측벽(41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73)은 하부벽(410)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44)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측벽(41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72)은 측벽(543)의 사다리꼴형상 측면(774)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측벽(54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673)은 하부벽(410)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43)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다음, 도 2, 13, 및 15를 참조하면,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400)의 상부벽(414)은 측벽들(412, 541, 542, 543)에 위치한다. 특히, 도 13 및 15를 참조하면, 상부벽(414)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03)은 측벽(41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474)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또한, 상부벽(414)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02)은 측벽(543)의 사다리꼴형상 측면(772)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상부벽(414)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01)은 측벽(542)의 사다리꼴형상 측면(672)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상부벽(414)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04)은 측벽(541)의 사다리꼴형상 측면(572)에 직접 대향하여 위치한다.
다음, 도 3 및 7을 참조하면, 중합체 발포 용기(70), 전지셀들(40 내지 68), 및 상호 연결 어셈블리(80)는 플라스틱 하우징(30)의 내부 공간(110)에 위치한다.
다음, 도 1 및 6을 참조하면, 하우징 커버(32)는 플라스틱 하우징(30)에 연결된다.
여기서 기술된 전지셀 어셈블리는 다른 전지셀 어셈블리와 비교했을 때,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전지셀 어셈블리의 이점은 중합체 발포 용기를 이용하여 중합체 발포 용기에 형성된 그루브들 내에 전지셀들을 고정하면서 외부 열에너지로부터 전지셀들을 단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한된 수의 실시예만 관계되어 자세하게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변형, 개조, 치환 또는 동등한 배열을 합체하여 개량될 수 있고, 그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는 경우,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전술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어셈블리는 중합체 발포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전지셀 어셈블리의 조립이 용이하고, 향상된 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전지셀 어셈블리로서,
    내부 영역(interior region)을 정의하는 제 1 측벽(first side wall), 제 2 측벽(second side wall), 및 제 3 측벽(third side wall)을 포함하는 중합체 발포 용기(polymeric foam container), 및
    제 1 외주 레지부(first peripheral ledge portion), 제 2 외주 레지부(second peripheral ledge portion), 및 제 3 외주 레지부(third peripheral ledge portion)와 함께 제 1 사각 형상 본체부(first rectangular-shaped body)을 가지는 제 1 전지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3 측벽은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사이에 연장되고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 수직이며; 상기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은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 내에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 1 그루브(first groove), 제 2 그루브(second groove), 및 제 3 그루브(third groove)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 및 제 2 외주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지셀의 제 3 외주 레지부는 제 1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와 제 2 외주 레지부 사이에 연장되고 제 1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와 제 2 외주 레지부에 수직이며; 상기 제 1 전지셀은 제 1 외주 레지부, 제 2 외주 레지부, 및 제 3 외주 레지부들이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의 제 1 그루브, 제 2 그루브, 및 제 3 그루브 각각에 위치하도록 내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중합체 발포 용기는 상부벽(top wall), 하부벽(bottom wall), 및 제 4 측벽(fourth side wal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측벽은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사이에 연장되며 제 1 측벽과 제 3 측벽에 수직이며,
    상기 중합체 발포 용기는 하부벽, 제 4 측벽, 및 상부벽을 정의하는 제 1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first unitary polymeric foam assembly)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벽은 제 1 리빙 힌지(first living hinge)을 이용하여 제 4 측벽에 회전가능하게(rotatably)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4 측벽은 제 2 리빙 힌지(second living hinge)을 이용하여 상부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리빙 힌지는 제 2 리빙 힌지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하부벽은 외부 사각형상면(outer rectangular-shaped surface), 내부 사각형상면(inner rectangular-shaped surface),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first trapezoidal-shaped side surface),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second trapezoidal-shaped surface),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third trapezoidal-shaped surface),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fourth trapezoidal-shaped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하부벽의 내부 사각형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하부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하부벽의 내부 사각형상면보다 크며; 상기 하부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은 하부벽의 외부 사각형상면과 내부 사각형상면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벽은 하부벽의 내부 사각 형상면으로 연장되어있는 제 4 그루브(fourth groov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그루브는 하부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에서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4 그루브는 상호 연결 어셈블리(interconnect assembly)의 일부를 제 4 그루브에 수납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은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 내에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 4 그루브, 제 5 그루브, 및 제 6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그루브, 제 5 그루브, 및 제 6 그루브는 제 1 그루브, 제 2 그루브, 및 제 3 그루브에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지셀 어셈블리는 제 1 외주 레지부, 제 2 외주 레지부, 및 제 3 외주 레지부와 함께 제 1 사각 형상 본체부을 포함하는 제 2 전지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 및 제 2 외주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전지셀의 제 3 외주 레지부는 제 2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와 제 2 외주 레지부 사이에 연장되고 제 2 전지셀의 제 1 외주 레지부와 제 2 외주 레지부에 수직이며; 그리고, 상기 제 2 전지셀은 제 1 외주 레지부, 제 2 외주 레지부, 및 제 3 외주 레지부들이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의 제 4 그루브, 제 5 그루브, 및 제 6 그루브 각각에 위치하도록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따른 전지셀 어셈블리는 내부 공간(inner space)을 정의하는 플라스특 하우징(plastic housing)과 하우징 커버(housing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발포 용기와 제 1 전지셀은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개구를 덮기 위해 개구 상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측벽은 외부 사각형상면, 내부 사각형상면,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제 4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하부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제 4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보다 크며; 상기 제 4 측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은 제 4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과 내부 사각형상면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빙 힌지는 하부벽의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과 제 4 측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은 외부 사각형상면, 내부 사각형상면,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상부벽의 내부 사각형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상부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상부벽의 내부 사각형상면보다 크고; 상기 상부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은 상부벽의 외부 사각형상면과 내부 사각형상면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빙 힌지는 상부벽의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과 상부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은 상부벽의 내부 사각 형상면으로 연장되어있는 제 4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그루브는 상부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에서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4 그루브는 상호 연결 어셈블리의 일부를 제 4 그루브에 수납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발포 용기는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을 정의하는 제 2 단일 중합체 발포 어셈블리(second unitary polymeric foam assembly)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은 제 2 측벽과 제 3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측벽은 제 3 리빙 힌지(third living hinge)을 이용하여 제 1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3 측벽은 제 4 리빙 힌지(fourth living hinge)를 이용하여 제 1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리빙 힌지는 제 4 리빙 힌지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외부 사각형상면, 내부 사각형상면,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제 1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 1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제 1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보다 크고; 상기 제 1 측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은 제 1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과 내부 사각형상면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루브는 제 1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그루부는 제 1 측벽의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에서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벽은 외부 사각형상면, 내부 사각형상면,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제 2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 2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제 2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보다 크고; 상기 제 2 측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은 제 2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과 내부 사각형상면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리빙 힌지는 제 2 측벽의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과 제 1 측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루브는 제 1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그루브는 제 2 측벽의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에서 제 3 사다리꼴형성상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벽은 제 2 측벽의 내부 사각 형상면으로 연장되어있는 제 4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그루브는 제 2 측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에서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으로 연장되며 제 2 그루브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상기 제 4 그루브는 상호 연결 어셈블리의 일부를 제 4 그루브에 수납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측벽은 외부 사각형상면, 내부 사각형상면,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제 3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 3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은 제 3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보다 크고; 상기 제 3 측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 및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은 제 3 측벽의 외부 사각형상면과 내부 사각형상면 사이에 연결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그루브는 제 3 측벽의 내부 사각형상면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3 그루브는 제 3 측벽의 제 3 사다리꼴형상 측면에서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측벽은 제 3 측벽의 내부 사각 형상면으로 연장되어있는 제 4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그루브는 제 3 측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에서 제 2 사다리꼴형상 측면으로 연장되며 제 3 그루브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상기 제 4 그루브는 상호 연결 어셈블리의 일부를 제 4 그루브에 수납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조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리빙 힌지는 제 1 측벽의 제 4 사다리꼴형상 측면과 제 3 측벽의 제 1 사다리꼴형상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KR1020177023158A 2015-11-10 2016-11-08 중합체 발포 용기를 가지는 전지셀 어셈블리 KR101992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36,792 US10186695B2 (en) 2015-11-10 2015-11-10 Battery cell assembly
US14/936,792 2015-11-10
PCT/KR2016/012795 WO2017082612A1 (ko) 2015-11-10 2016-11-08 전지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606A KR20170104606A (ko) 2017-09-15
KR101992330B1 true KR101992330B1 (ko) 2019-09-30

Family

ID=5866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158A KR101992330B1 (ko) 2015-11-10 2016-11-08 중합체 발포 용기를 가지는 전지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86695B2 (ko)
EP (1) EP3252846B1 (ko)
JP (1) JP6480600B2 (ko)
KR (1) KR101992330B1 (ko)
CN (1) CN107408648B (ko)
PL (1) PL3252846T3 (ko)
WO (1) WO2017082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1725B (zh) * 2017-05-27 2023-10-10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隔热层可移动式电动汽车动力电池箱
DE102018200116A1 (de) 2018-01-05 2019-07-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chanische Batterie-Schutzvorrichtung
KR102392571B1 (ko) * 2019-01-25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을 제조하기 위한 볼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982A (en) 1993-07-19 1997-05-06 Kanegafuchi Chemical Industry Co., Ltd. Heat insulating pad material, particularly for use in battery shield and manufacture of the same
JP2008235170A (ja) 2007-03-23 2008-10-02 Nec Tokin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パック
CN202145470U (zh) 2011-06-28 2012-02-15 三河三友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蓄电池的保护套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93B1 (ko) * 2005-01-21 2009-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US7531270B2 (en) 2006-10-13 2009-05-12 Enerdel, Inc. Battery pack with integral cooling and bussing devices
DE102008059971A1 (de) 2008-12-02 2010-06-10 Daimler Ag Batterie, insbesondere Fahrzeugbatteri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8268472B2 (en) 2009-09-30 2012-09-18 Bright Automotive, Inc. Battery cool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DE102011016799A1 (de) 2010-09-23 2012-03-29 Akasol Engineering Gmbh Gehäuse für ein Batteriemodul
DE102010047453A1 (de) 2010-10-04 2012-04-05 Li-Tec Battery Gmbh Gehäuse zur Aufnahme einer flachen elektrochemischen Zelle
AT513127B1 (de) 2012-08-21 2014-02-15 Avl List Gmbh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KR20140147412A (ko)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피 팽창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외장재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JP2015015217A (ja) 2013-07-08 2015-01-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KR101538634B1 (ko) 2013-11-06 2015-07-29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982A (en) 1993-07-19 1997-05-06 Kanegafuchi Chemical Industry Co., Ltd. Heat insulating pad material, particularly for use in battery shield and manufacture of the same
JP2008235170A (ja) 2007-03-23 2008-10-02 Nec Tokin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パック
CN202145470U (zh) 2011-06-28 2012-02-15 三河三友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蓄电池的保护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2846B1 (en) 2019-01-30
CN107408648B (zh) 2020-03-13
JP6480600B2 (ja) 2019-03-13
CN107408648A (zh) 2017-11-28
JP2018514907A (ja) 2018-06-07
US10186695B2 (en) 2019-01-22
EP3252846A1 (en) 2017-12-06
US20170133640A1 (en) 2017-05-11
KR20170104606A (ko) 2017-09-15
PL3252846T3 (pl) 2019-06-28
WO2017082612A1 (ko) 2017-05-18
EP3252846A4 (en)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361B1 (ko) 배터리 팩
US9172068B2 (en) Battery pack
US9023504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spacer of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992330B1 (ko) 중합체 발포 용기를 가지는 전지셀 어셈블리
KR102344362B1 (ko) 배터리 모듈
US10381614B2 (en) Battery module
US9601727B2 (en) Battery pack
KR101127602B1 (ko) 배터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2208999B1 (ko) 이차 전지
US20130136960A1 (en) Rechargeable battery
US20160028131A1 (en) Battery module
KR102460566B1 (ko) 이차 전지 모듈
JP6363417B2 (ja) 蓄電装置
US8835043B2 (en) Battery pack
EP2843724B1 (en) A housing for battery pack with a drainage structure
US20160226034A1 (en) Energy storage device
US10170768B2 (en) Grid assembly for a plate-shaped battery electrode of an electrochemical accumulator battery
EP3555935A1 (en) A battery module casing,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US20060216595A1 (en) Battery assembly having improved lug profile
KR101678534B1 (ko)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711990B1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KR102113750B1 (ko) 다수의 에너지 저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모듈
US9564614B2 (en) Secondary battery
KR101839653B1 (ko)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US20150194658A1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