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985B1 -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985B1
KR101990985B1 KR1020170183749A KR20170183749A KR101990985B1 KR 101990985 B1 KR101990985 B1 KR 101990985B1 KR 1020170183749 A KR1020170183749 A KR 1020170183749A KR 20170183749 A KR20170183749 A KR 20170183749A KR 101990985 B1 KR101990985 B1 KR 101990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inting
metal sheet
sheet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케이엠피 주식회사
이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피 주식회사, 이동욱 filed Critical 케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28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embossing, e.g. for making matrices for stereotypes
    • B41J3/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embossing, e.g. for making matrices for stereotypes of plates, e.g. metal plates, plastic cards
    • B41J3/38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embossing, e.g. for making matrices for stereotypes of plates, e.g. metal plates, plastic cards with automatic plate transport systems, e.g. for credit cards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시트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인쇄할 수 있는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속시트 인쇄장치는 인쇄를 위한 금속시트가 적재되는 피딩시트적재부와 피딩시트적재부로부터 금속시트를 낱장으로 배출시키는 흡착피딩부와 흡착피딩부에서 전달되는 낱장의 금속시트를 순차적으로 운반하는 시트피딩부를 포함하는 시트피딩유닛과, 금속시트 상에 해당 디자인이 포함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종횡으로 이격시켜 인쇄하는 다수의 인쇄유닛과, 단위인쇄부가 인쇄된 금속시트의 표면에 코팅액을 인쇄하는 바니쉬유닛과, 금속시트 상에 인쇄된 단위인쇄부를 경화시키거나 단위인쇄부와 함께 금속시트에 인쇄된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건조유닛 및 단위인쇄부와 코팅액이 경화된 금속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시트스태킹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METAL SHEET PRINTING DEVICE AND METAL SHEET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시트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인쇄할 수 있는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퍼마켓 또는 편의점 등에 진열된 음료 깡통 또는 가공음식용 깡통과 같은 금속캔의 표면에는 내용물의 양 또는 자사의 마크 로드 등 다양한 디자인이 인쇄되어 소비자에게 어필하거나 타사와 차별화를 갖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금속캔의 외면에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원통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표면에 직접 디자인을 인쇄하는 방법으로써, 전사인쇄가 주로 채택되어 적용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인쇄 방식에서는 원통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표면에 직접 디자인이 인쇄되므로, 전체적인 인쇄 공정이 복잡해지고, 인쇄된 디자인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1199호(발명의 명칭 : 원통형 작업물 표면 인쇄장치, 2007. 10. 29.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시트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인쇄할 수 있고, 특히, 단위인쇄부는 재단 공정과 프레스 공정을 거침으로써, 원통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할 수 있는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는 인쇄를 위한 금속시트가 적재되는 피딩시트적재부와, 상기 피딩시트적재부로부터 상기 금속시트를 낱장으로 배출시키는 흡착피딩부와, 상기 흡착피딩부에서 전달되는 낱장의 금속시트를 순차적으로 운반하는 시트피딩부를 포함하는 시트피딩유닛; 상기 금속시트 상에 해당 디자인이 포함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종횡으로 이격시켜 인쇄하는 다수의 인쇄유닛; 상기 단위인쇄부가 인쇄된 상기 금속시트의 표면에 코팅액을 인쇄하는 바니쉬유닛; 상기 금속시트 상에 인쇄된 상기 단위인쇄부를 경화시키거나, 상기 단위인쇄부와 함께 상기 금속시트에 인쇄된 상기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건조유닛; 및 상기 단위인쇄부와 상기 코팅액이 경화된 상기 금속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시트스태킹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니쉬유닛은, 상기 단위인쇄부가 인쇄된 금속시트를 지지 이송시키는 지지드럼부; 표면에 도포된 코팅액을 상기 금속시트에 인쇄하는 코팅드럼부; 상기 코팅액이 저장되는 코팅액저장부; 및 상기 코팅액저장부의 코팅액을 상기 코팅드럼부에 도포하는 코팅액도포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속시트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단위인쇄부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철부;가 포함되고, 상기 코팅드럼부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액이 도포되는 코팅부; 및 상기 금속시트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코팅부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조각홈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액에 의해 상기 금속시트에 인쇄된 코팅면의 가장자리는 상기 금속시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코팅유격만큼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피딩부는, 상기 흡착피딩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피딩바디부; 상기 피딩바디부에 구비되어 낱장의 상기 금속시트를 흡착 이송시키는 제1피딩석션부; 상기 제1피딩석션부에 의해 전달되는 낱장의 상기 금속시트를 간헐적으로 흡착 이송시키는 제2피딩석션부; 및 상기 제1피딩석션부에 의해 전달되는 낱장의 상기 금속시트를 간헐적으로 흡착 파지하는 정렬석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피딩석션부와 상기 제2피딩석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한 쌍의 피딩롤러부; 상기 피딩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 상기 피딩롤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딩바디부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 쌍의 상기 피딩롤러부를 감싸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피딩벨트부; 한 쌍의 피딩롤러부 사이에 구비되는 진공바디부; 및 상기 진공바디부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벨트부에는, 다수의 피딩홀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진공바디부에는 상기 피딩홀부와 연통되는 진공공간부와, 상기 진공공간부에서 상기 피딩벨트부를 지지하는 유체분산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유닛에는, 상기 금속시트를 전달하는 트랜스퍼드럼부;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퍼드럼부의 출구 측과 상기 트랜스퍼드럼부의 입구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금속시트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가이드블로어;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유닛은, 적어도 상기 단위인쇄부에 대응하여 자외선 경화성의 백색잉크를 인쇄하는 제1인쇄유닛; 및 상기 제1인쇄유닛을 거친 상기 금속시트에 상기 단위인쇄부와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밴셔널잉크를 각각 인쇄하는 다수의 제2인쇄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제1인쇄유닛에서 인쇄된 상기 백색잉크를 경화시키는 제1건조유닛; 및 상기 컨밴셔널잉크를 경화시키거나, 상기 컨밴셔널잉크와 함께 상기 금속시트에 전사된 상기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제2건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건조유닛은,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발생부; 상기 금속시트에서 적어도 상기 백색잉크가 인쇄된 영역에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 및 상기 금속시트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흡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건조유닛은, 상기 금속시트 상에 적외선 또는 열을 발산하는 건조오븐; 상기 금속시트를 상기 건조오븐의 입구 측에서 상기 건조오븐에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건조공급유닛과, 상기 금속시트를 상기 건조오븐의 출구 측에서 상기 건조오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건조배출유닛이 포함된 건조이송유닛; 상기 금속시트가 상기 건조오븐을 통과하도록 상기 건조공급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금속시트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운반하는 시트전달유닛; 및 상기 시트전달유닛에 지지되는 상기 금속시트를 정렬시키는 트리밍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리밍유닛은, 상기 시트전달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일렬로 정렬하는 트리밍푸셔부; 상기 트리밍푸셔부를 지지하는 트리밍피스톤부; 및 인가되는 전원 또는 전달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트리밍피스톤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트리밍실린더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리밍유닛은, 상기 시트전달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일렬로 정렬하는 트리밍가이드부; 상기 트리밍가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상기 트리밍가이드부로 유도하는 안내경사부; 및 상기 트리밍가이드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로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는 상기 인쇄유닛 또는 상기 바니쉬유닛 또는 상기 건조유닛을 통과한 상기 금속시트에서 상기 단위인쇄부에서의 인쇄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시트에 상기 단위인쇄부를 인쇄하는 방법이고, 상기 피딩시트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금속시트를 상기 인쇄유닛에 낱장으로 공급하는 시트피딩단계; 상기 시트피딩단계를 거쳐 공급되는 상기 금속시트 상에 해당 디자인이 포함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종횡으로 이격시켜 인쇄하는 인쇄단계; 상기 단위인쇄부가 인쇄된 상기 금속시트의 표면에 코팅액을 인쇄하는 바니쉬단계; 상기 금속시트 상에 인쇄된 상기 단위인쇄부를 경화시키거나, 상기 단위인쇄부와 함께 상기 금속시트에 인쇄된 상기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건조단계; 및 상기 단위인쇄부와 상기 코팅액이 경화된 상기 금속시트를 상기 시트스태킹유닛에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시트스태킹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단계는, 적어도 상기 단위인쇄부에 대응하여 상기 금속시트에 자외선 경화성의 백색잉크를 인쇄하는 백색도장단계; 및 상기 백색도장단계를 거친 상기 금속시트에 상기 단위인쇄부와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밴셔널잉크를 각각 인쇄하는 다수의 색상도장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백색도장단계에서 인쇄된 상기 백색잉크를 경화시키는 제1건조단계; 및 상기 컨밴셔널잉크를 경화시키거나, 상기 컨밴셔널잉크와 함께 상기 금속시트에 전사된 상기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제2건조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백색도장단계와, 상기 색상도장단계와, 상기 바니쉬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금속시트에 전체 도막량 중 일부를 인쇄하는 선도장단계; 및 상기 선처리도장단계를 거친 상기 금속시트에 전체 도막량 중 나머지를 인쇄하는 후도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방법은 상기 인쇄단계 또는 상기 바니쉬단계 또는 상기 건조단계를 통과한 상기 금속시트에서 상기 단위인쇄부의 인쇄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방법은 상기 단위인쇄부에 의해 완성되는 금속캔의 측면과 바닥면 및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플레이트 형태의 인쇄판을 제조하는 제판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에 따르면, 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시트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인쇄할 수 있고, 특히, 단위인쇄부는 재단 공정과 프레스 공정을 거침으로써, 원통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시트와 바니쉬유닛을 한정함으로써, 코팅드럼부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액이 금속시트에 인쇄되는 과정에서 코팅액의 튀김을 방지하고, 금속시트의 가장자리에 코팅액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유격을 형성함으로써, 코팅드럼부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액이 금속시트의 요철부를 거쳐 금속시트의 비인쇄면 측으로 스며들거나 금속시트의 인쇄면에 코팅액이 튀겨 금속시트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팅유격 및 더미부를 한정함으로써, 코팅액이 금속시트의 가장자리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피딩부를 한정함으로써, 금속시트의 낱장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낱장의 금속시트를 정위치에서 인쇄유닛에 공급할 수 있으며, 낱장의 금속시트가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딩석션부를 한정함으로써, 낱장의 금속시트가 이송되면서 금속시트의 틀어짐이나 금속시트의 유동을 방지하고, 금속시트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블로어를 구비함으로써, 트랜스퍼드럼부를 통해 전달되는 금속시트를 안정되게 안내하고, 금속시트의 탄성에 의해 금속시트가 튕기는 것을 방지하며, 트랜스퍼드럼부의 가이드로 인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색잉크와 컨밴셔널잉크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인쇄 공정을 명확하게 하고,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며, 인쇄 속도를 향상시켜 단위 시간당 금속시트의 인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공정에서 전체 도막량을 분할하여 인쇄함으로써, 인쇄면에서 핀홀이 발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쇄면을 고르게 하며, 인쇄면의 불량을 방지하면서 도막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색잉크에 대해 자외선 경화를 실시하고, 컨밴셔널잉크 및 코팅액에 대해 적외선 경화 또는 열 경화를 실시함으로써, 잉크의 경화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인쇄 속도를 향상시키고,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리밍유닛을 한정함으로써, 시트전달유닛에 지지된 금속시트를 정렬시키고, 건조유닛에서 금속시트에 인쇄된 단위인쇄부 및 코팅액을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으며, 금속시트가 건조오븐을 통과할 때 금속시트가 건조오븐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시트의 인쇄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인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인쇄 오류나 인쇄 상태를 점검하고, 불량으로 인쇄된 금속시트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의 제판 형태를 한정함으로써, 금속판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재단하여 프레스 가공할 때, 단위인쇄부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최초 디자인 형상에 대응하는 인쇄면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시트피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제1피딩석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인쇄유닛 중 제1인쇄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분할인쇄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인쇄유닛 중 바니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코팅드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금속시트에 코팅액이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건조유닛 중 제2건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제2건조유닛에 적용되는 건조이송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서 제2건조유닛에 적용되는 트리밍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는 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시트(10)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12)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인쇄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는 통 형상의 금속캔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시트(10)의 표면에 도료나 잉크를 도포하는 금속인쇄 과정과 관련된다.
특히, 단위인쇄부(12)는 재단 공정과 프레스 공정을 거침으로써, 원통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 인쇄장치는 시트피딩유닛(100)과, 인쇄유닛(200)과, 바니쉬유닛(230)과, 건조유닛(400)과, 시트스태킹유닛(500)을 포함하고, 검사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피딩유닛(100)은 적재된 금속시트(10)를 인쇄유닛(200)에 낱장으로 공급한다. 시트피딩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를 위한 금속시트(10)가 적재되는 피딩시트적재부(110)와, 피딩시트적재부(110)로부터 금속시트(10)를 낱장으로 배출시키는 흡착피딩부(120)와, 흡착피딩부(120)에서 전달되는 낱장의 금속시트(10)를 순차적으로 운반하는 시트피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딩시트적재부(110)에는 금속시트(10)의 인쇄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금속시트(10)가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다.
흡착피딩부(120)는 금속시트(10)를 낱장으로 흡착하여 피딩시트적재부(110)로부터 들어올리는 제1흡착부(미도시)와, 낱장의 금속시트(10)가 시트피딩부(130)로 이동되도록 제1흡착부(미도시)에 흡착된 낱장의 금속시트(10)를 흡착 지지한 상태에서 금속시트(10)를 수평 이동시키는 제2흡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낱장의 금속시트(10)가 제2흡착부(미도시)에 흡착 지지되면, 제1흡착부(미도시)의 흡착력이 해제되어 낱장의 금속시트(10)가 원활하게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속해서 수평 이동되는 두 금속시트 중 먼저 이동한 금속시트의 하부에 후속하는 금속시트가 투입되어 일부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시트피딩부(130)를 이동할 수 있다.
시트피딩부(130)는 흡착피딩부(12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피딩바디부(131)와, 피딩바디부(131)에 구비되어 낱장의 금속시트(10)를 흡착 이송시키는 제1피딩석션부(134)와, 제1피딩석션부(134)로부터 인쇄유닛(200) 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피딩바디부(131)에 구비되어 제1피딩석션부(134)에 의해 전달되는 낱장의 금속시트(10)를 간헐적으로 흡착 이송시키는 제2피딩석션부(135)와, 제1피딩석션부(134)에 의해 전달되는 낱장의 금속시트(10)를 간헐적으로 흡착 파지하는 정렬석션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피딩석션부(134)는 낱장의 금속시트(10)를 한 장씩 순차적으로 제2피딩석션부(135)에 전달한다. 또한, 제2피딩석션부(135)는 낱장의 금속시트(10)가 정확한 타이밍에 인쇄유닛(200)에 투입되도록 해준다. 또한, 정렬석션부(136)는 낱장의 금속시트(10)가 인쇄유닛(200)에 투입될 때 금속시트(10)의 전방 가장자리가 공급드럼부(138)의 길이 방향과 평행을 이루어 정렬되도록 흡착 파지할 수 있다.
정렬석션부(136)의 흡착이 해제되면 제2피딩석션부(135)가 동작되도록 하여 금속시트(10)의 정렬 상태를 유지시키고, 인쇄유닛(200)에 정확한 타이밍으로 금속시트(10)를 투입시킬 수 있다.
제1피딩석션부(1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바디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피딩롤러부(141)와, 금속시트(10)의 이송에 대응하여 피딩롤러부(141)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142)와, 피딩롤러부(141)의 회전에 대응하여 피딩바디부(131)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 쌍의 피딩롤러부(141)를 감싸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피딩벨트부(143)와, 피딩벨트부(143)를 지지하도록 한 쌍의 피딩롤러부(141) 사이에 구비되는 진공바디부(144)와, 진공바디부(144)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딩벨트부(143)에는 다수의 피딩홀부(1431)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또한, 진공바디부(144)에는 피딩홀부(1431)와 연통되는 진공공간부(1441)와, 진공공간부(1441)에서 피딩벨트부(143)를 지지하는 유체분산부(1442)가 포함될 수 있다. 유체분산부(1442)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피딩홀부(1431)와 진공공간부(1441)가 연통되도록 한다.
그러면, 진공발생부(145)에 의해 진공공간부(1441)에 음압이 발생되면, 피딩홀부(1431)에는 흡착력이 부여되므로, 피딩벨트부(143)가 이동하면, 피딩벨트부(143)에는 금속시트(10)가 흡착 지지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금속시트(10)의 이동 과정에서 뒤틀림이나 출렁임을 방지할 수 있다.
피딩벨트부(143)의 재질은 유체분산부(1442)의 재질보다 연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금속시트(10)를 안정되게 흡착 지지할 수 있고, 흡착력에 의해 피딩벨트부(143)가 진공공간부(1441)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피딩석션부(135)는 제1피딩석션부(134)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트피딩부(130)는 흡착피딩부(120)와 제1피딩석션부(134) 사이에서 피딩바디부(131)의 상측에 구비되어 피딩바디부(131)를 향해 금속시트(10)를 탄성 지지하는 튕김방지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금속시트(10)의 이송 과정에서 튕김방지부(132)는 금속시트(10)의 끝단부까지 탄성 지지하므로, 금속시트(10)가 흡착피딩부(120)에서 분리되더라도 금속시트(10)가 튕기거나 출렁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피딩부(130)는 튕김방지부(132)와 제1피딩석션부(134) 사이에서 피딩바디부(131)의 상측에 구비되고, 중첩되어 이송되는 금속시트(10)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낱장분리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낱장분리부(133)는 일부가 중첩된 두 금속시트 중 상부의 금속시트를 하부의 금속시트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낱장분리부(133)는 제2피딩석션부(135)에 의해 인쇄유닛(200)에 공급되는 상부의 금속시트를 제1피딩석션부(134)에서 분리시키고, 하부의 금속시트가 안정되게 제1피딩석션부(134)에 흡착되도록 할 수 있다.
시트피딩부(130)는 제2피딩석션부(135) 또는 정렬석션부(136)에 대응하여 금속시트(10)를 인쇄유닛(200) 쪽으로 안내하는 시트가이드부(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가이드부(137)는 제2피딩석션부(135)에서의 흡착력이 해제되는 경우, 금속시트(10)가 상측으로 튕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피딩부(130)는 제2피딩석션부(135)에 의해 공급되는 금속시트(10)를 인쇄유닛(200)에 공급하는 공급드럼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드럼부(138)는 회전에 의해 금속시트(10)를 인쇄유닛(200)에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인쇄유닛(200)은 금속시트(10) 상에서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된다. 인쇄유닛(200)은 금속시트(10) 상에 해당 디자인이 포함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12)를 종횡으로 이격시켜 인쇄한다. 인쇄유닛(200)은 오프셋(off-set)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인쇄유닛(200)은 적어도 단위인쇄부(12)에 대응하여 자외선 경화성의 백색잉크를 인쇄하는 제1인쇄유닛(210)과, 제1인쇄유닛(210)을 거친 금속시트에 단위인쇄부(12)와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밴셔널잉크를 각각 인쇄하는 다수의 제2인쇄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인쇄유닛(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드럼부(138)를 통해 공급되는 낱장의 금속시트(10)를 지지 이송시키는 임프레션드럼부(212)와, 적어도 단위인쇄부(12)에 대응하여 표면에 도포된 잉크를 금속시트(10)에 인쇄하는 블랭킷드럼부(213)와, 제판된 인쇄판(미도시)이 결합되고 인쇄판(미도시)의 화선부에 도포된 잉크를 블랭킷드럼부(213)에 전달하는 판드럼부(214)와, 인쇄판(미도시)의 화선부에 해당 잉크를 도포하는 잉킹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16은 화선부를 제외한 인쇄판(미도시)의 비화선부에 물을 공급해주는 축임모듈이다.
제1인쇄유닛(210)은 금속시트(10)의 전달을 위한 트랜스퍼드럼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인쇄유닛(210)에서 금속시트(10)의 공급 측에는 공급되는 금속시트(10)를 임프레션드럼부(212)와 블랭킷드럼부(213) 사이로 전달하는 트랜스퍼드럼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트랜스퍼드럼부(211)는 금속시트(10)의 배출 측에도 구비될 수 있고, 제1인쇄유닛(210)에서 배출되는 금속시트(10)를 제2인쇄유닛(220)에 전달할 수 있다.
트랜스퍼드럼부(211)는 제1드럼부(211-1)와, 제1드럼부(211-1)에 인접한 제2드럼부(211-2)와, 제2드럼부(211-2)에 인접한 제3드럼부(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드럼부(211-1)와 제2드럼부(211-2)와 제3드럼부(211-3)는 금속시트(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이때, 트랜스퍼드럼부(211)의 출구 측과 트랜스퍼드럼부(211)의 입구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금속시트(10)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가이드블로어(218)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블로어(218)는 금속시트(10)가 트랜스퍼드럼부(211)에 의해 가이드될 때, 트랜스퍼드럼부(211)에 의해 금속시트(10)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블로어(218)는 금속시트(10)의 선단부를 트랜스퍼드럼부(211)로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블로어(218)는 트랜스퍼드럼부(211)에서 배출되는 금속시트(10)의 끝단부가 튕기거나 출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인쇄유닛(220)은 제1인쇄유닛(21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니쉬유닛(230)은 단위인쇄부(12)가 인쇄된 금속시트(10)의 표면에 코팅액을 인쇄한다. 바니쉬유닛(230)은 오프셋(off-set)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바니쉬유닛(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인쇄부(12)가 인쇄된 금속시트(10)를 지지 이송시키는 지지드럼부(232)와, 표면에 도포된 코팅액을 금속시트(10)에 인쇄하는 코팅드럼부(233)와, 코팅액이 저장되는 코팅액저장부(234)와, 코팅액저장부(234)의 코팅액을 코팅드럼부(233)에 도포하는 코팅액도포모듈(2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드럼부(232)의 일측에는 지지드럼부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부(23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인쇄부(12)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철부(11)가 포함된다. 또한, 코팅드럼부(233)의 표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액이 도포되는 코팅부(2331)와,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여 코팅부(2331)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조각홈부(2332)가 포함된다. 조각홈부(2332)는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여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홈의 형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각홈부(2332)에 의해 더미부(23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팅부(2331)의 표면은 더미부(2333)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일치되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액에 의해 금속시트(10)에 인쇄된 코팅면(13)의 가장자리는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로부터 코팅유격(G)만큼 이격됨으로써, 코팅액의 튀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각홈부의 폭(g)은 코팅유격(G)과 같거나 작게 형성됨으로써, 코팅액이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11)의 면적은 더미부(2333)의 면적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요철부(11)에 더미부(2333)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더미부(2333)에 코팅액이 묻더라도 더미부(2333)의 코팅액이 금속시트(10)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각홈부(2332)는 요철부(11)의 형상으로 코팅부(2331)에 함몰 형성될 수 있고, 더미부(2333)는 코팅드럼부(233)에서 함몰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드럼부(232)에도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여 조각홈부(2332)가 구비될 수 있다.
바니쉬유닛(230)은 공급되는 금속시트(10)를 코팅드럼부(233) 측에 간헐적으로 전달하는 순차이송부(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차이송부(231)는 금속시트(10)가 정확한 타이밍에 지지드럼부(232)와 코팅드럼부(233) 사이에 전달되도록 한다.
바니쉬유닛(230)은 금속시트(1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가이드부(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니쉬유닛(230)은 코팅액이 도포된 금속시트(10)를 배출시키는 시트컨베이어부(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트컨베이어부(237)는 이송가이드부(236) 상에서 금속시트(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인쇄유닛(210)과 제2인쇄유닛(220)과 바니쉬유닛(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시트(10)에 전체 도막량 중 일부를 인쇄하는 선처리도장부(201)와, 선처리도장부(201)를 거친 금속시트(10)에 전체 도막량 중 나머지를 인쇄하는 후처리도장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 도막량을 분할하여 인쇄하므로, 금속시트(10)의 인쇄면에서 핀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시트의 인쇄면을 고르게 평탄화할 수 있다.
건조유닛(400)은 금속시트(10) 상에 인쇄된 단위인쇄부(12)를 경화시키거나, 단위인쇄부(12)와 함께 금속시트(10)에 인쇄된 코팅액을 경화시킨다.
건조유닛(400)은 제1인쇄유닛(210)에서 인쇄된 백색잉크를 경화시키는 제1건조유닛(410)과, 컨밴셔널잉크와 함께 금속시트(10)에 전사된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제2건조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유닛(400)은 제2인쇄유닛(220)에서 인쇄된 컨밴셔널잉크를 경화시키는 더미건조유닛(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건조유닛(430)은 인쇄유닛(200)과 바니쉬유닛(230) 사이의 대기열을 이용할 수 있다. 더미건조유닛(430)에 의해 컨밴셔널잉크가 경화됨으로써, 바니쉬유닛(230)에서 코팅액과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건조유닛(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발생부(411)와, 금속시트(10)에서 적어도 백색잉크가 인쇄된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412)와, 금속시트(10)로부터 반사되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흡수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에 의한 경화는 적외선에 의한 경화 또는 열에 의한 경화보다 경화속도가 빠르므로, 제1인쇄유닛(210)과 제1건조유닛(410)을 컴팩트하게 하고, 후속하는 제2인쇄유닛(220)에서 컨밴셔널잉크와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건조유닛(4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시트(10) 상에 적외선 또는 열을 발산하는 건조오븐(421)과, 금속시트(10)를 건조오븐(421)의 입구 측에서 건조오븐(421)에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건조공급유닛(440-1)과 금속시트(10)를 건조오븐(421)의 출구 측에서 건조오븐(421)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건조배출유닛(440-2)이 포함된 건조이송유닛(440)과, 금속시트(10)가 건조오븐(421)을 통과하도록 건조공급유닛(440-1)으로부터 전달되는 금속시트(10)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운반하는 시트전달유닛(450)과, 시트전달유닛(450)에 지지되는 금속시트(10)를 정렬시키는 트리밍유닛(4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건조유닛(420)은 건조오븐(421)을 거친 금속시트(10)를 냉각시키는 냉각로(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건조배출유닛(440-2)은 냉각로(422)의 출구 측에 배치되고, 시트전달유닛(450)에 지지된 금속시트(10)는 건조오븐(421)과 냉각로(4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건조공급유닛(440-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니쉬유닛(230)으로부터 전달되는 금속시트(10)를 운반하는 전달컨베이어부(441)와, 금속시트(10)를 흡착하여 한 장씩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전달석션부(442)와, 전달석션부(442)에서 전달되는 금속시트(10)를 흡착하여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는 정위치석션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공급유닛(440-1)은 정위치석션부(444)를 통해 이동되는 금속시트(10)를 지지하는 지지컨베이어부(4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공급유닛(440-1)은 정위치석션부(444)를 통해 이동되는 금속시트(10)의 이동 한계를 나타내는 스토퍼부(4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석션부(442)는 낱장의 금속시트(10)를 한 장씩 순차적으로 정위치석션부(444)에 전달한다. 또한, 정위치석션부(444)는 낱장의 금속시트(10)가 정확한 타이밍에 시트전달유닛(450)에 투입되도록 해준다. 전달석션부(442)와 정위치석션부(444)는 각각 제1피딩석션부(134)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건조배출유닛(440-2)은 건조공급유닛(440-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건조배출유닛(440-2)은 시트전달유닛(450)으로부터 금속시트(10)를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정위치석션부(444)는 시트전달유닛(450)에 지지된 금속시트(10)를 흡착하여 간헐적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전달석션부(442)는 정위치석션부(444)로부터 전달되는 금속시트(10)를 흡착하여 한 장식 순차적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전달컨베이어부(441)와 지지컨베이어부(443)는 각각 배출되는 금속시트(10)를 지지할 수 있다.
시트전달유닛(4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전달롤러부(451)와, 금속시트(10)의 이송에 대응하여 전달롤러부(451)를 회전시키는 전달구동부(미도시)와, 전달롤러부(451)의 회전에 대응하여 건조오븐(421)과 냉각로(422)를 통과하도록 한 쌍의 피딩롤러부(141)를 감싸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전달벨트부(452)와, 금속시트(10)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전달벨트부(452)에 이격 배치되는 전달포크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롤러부(451)에는 전달포크부(453)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전달포크부(453)가 지지되는 전달걸림부(45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달포크부(453)는 전달벨트부(452)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달걸림부(4511)에 걸림 결합되는 전달연결부(4531)와, 금속시트(10)가 안착되도록 전달연결부(4531)에서 연장되는 지지포크부(4533)와, 전달연결부(4531)에 구비되어 지지포크부(4533)에 안착된 금속시트(10)를 지지하는 시트안착부(45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포크부(4533)는 건조오븐(421)과 냉각로(422)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건조공급유닛(440-1)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가 되므로, 금속시트(10)의 이송 과정에서 금속시트(10)가 지지포크부(4533)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배출유닛(440-2) 측에서 전달포크부(453)가 전달롤러부(451)를 따라 이동될 때, 금속시트(10)는 시트안착부(45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포크부(4533)에서 이격되어 기울어지므로, 건조배출유닛(440-2)에서는 지지포크부(4533)의 간섭없이 금속시트(10)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금속시트(10)의 상단부는 전방에 배치된 지지포크부(4533)에 지지될 수 있다.
트리밍유닛(460)은 금속시트(10)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시트전달유닛(45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시트전달유닛(45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트리밍유닛(460)은 가압형과 고정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압형의 트리밍유닛(460)은 간헐적으로 금속시트(10)의 일측 가장자리를 가압한다.
가압형의 트리밍유닛(460)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전달유닛(450)을 기준으로 금속시트(10)의 일측 가장자리를 일렬로 정렬하는 트리밍푸셔부(461)와, 트리밍푸셔부(461)를 지지하는 트리밍피스톤부(462)와, 인가되는 전원 또는 전달되는 유체에 의해 트리임피스톤부(462)를 간헐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트리밍실린더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리밍푸셔부(461)에는 푸셔경사부(4611)가 구비되어 이동 중인 금속시트(10)를 트리밍푸셔부(461)로 안내하므로, 이동 중인 금속시트(10)가 트리밍푸셔부(46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형의 트리밍유닛(460)은 트리밍실린더부(463)가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부(464)와, 트리밍푸셔부(461)의 승강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승강가이드부(464)에 대하여 트리밍실린더부(463)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465)를 더 포함함으로써,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에서 트리밍푸셔부(461)의 가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압형의 트리밍유닛(460)은 시트전달유닛(45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로드부(466)와, 위치고정부(465) 또는 트리밍실린더부(463)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로드부(466)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부(467)와, 슬라이더부(467)의 슬라이드 위치를 조절하여 슬라이더부(467)에 대하여 슬라이딩로드부(466)를 고정시키는 푸셔조절레버부(468)를 포함함으로써,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에서 트리밍푸셔부(461)의 가압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형의 트리밍유닛(460)은 금속시트(10)의 기설정된 이동 경로에 대응하여 금속시트(10)를 기설정된 이동 경로로 유도한다.
고정형의 트리밍유닛(460)은 시트전달유닛(450)을 기준으로 금속시트(10)의 일측 가장자리를 일렬로 정렬하는 트리밍가이드부(471)와, 트리밍가이드부(471)에 구비되어 금속시트(10)의 일측 가장자리를 트리밍가이드부(471)로 유도하는 안내경사부(4711)와, 트리밍가이드부(471)를 지지하는 가이드로드부(4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형의 트리밍유닛(460)은 시트전달유닛(45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로드부(472)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지지부(473)와, 가이드로드부(472)의 슬라이드 위치를 조절하여 로드지지부(473)에 대하여 가이드로드부(472)를 고정시키는 로드조절레버부(474)를 포함함으로써, 트리밍가이드부(471)의 안내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시트스태킹유닛(500)은 단위인쇄부(12)와 코팅액이 경화된 금속시트(10)를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트스태킹유닛(500)의 입구 측 또는 금속시트(10)의 적재 부분에는 에어블로어(미도시)가 구비되어 적층되는 금속시트(10)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금속시트(10) 사이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검사유닛(300)은 인쇄유닛(200) 또는 바니쉬유닛(230) 또는 건조유닛(400)을 통과한 금속시트(10)에서 단위인쇄부(12)에서의 인쇄 상태 또는 코팅 상태를 검사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의 인쇄장치는 표면처리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면처리유닛(미도시)은 인쇄 전에 금속시트(10)의 표면을 세정하여 금속시트(10)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표면처리유닛(미도시)은 인쇄 전에 금속시트(10)의 표면을 사전에 가공하여 인쇄용 잉크 또는 코팅액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처리유닛(미도시)은 인쇄 후에 금속시트(10)의 표면을 세정하여 해당 디자인이 인쇄된 금속시트(10)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의 인쇄장치는 제판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판유닛(미도시)은 금속시트(10)에 인쇄된 단위인쇄부(12)에 의해 완성되는 금속캔의 측면과 바닥면 및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인쇄판(미도시)에 인쇄를 위한 화선부를 제조한다. 인쇄판(미도시)은 판드럼부(214)에 결합된다. 제판유닛(미도시)은 입체 형상인 금속캔의 측면에 해당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디자인을 도넛 형태의 제1디자인으로 변형시키고, 금속캔의 바닥면에 해당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제2디자인을 도넛 형태의 제1디자인의 중심에 배치한다. 이때, 제1디자인과 제2디자인이 결합된 예비디자인은 프레스 가공 이후에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예비디자인에 대응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금속시트에 단위격자를 형성하여 프레스 가공하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단위격자가 왜곡되어 변형된다. 이때, 변형된 단위격자에 대해 역함수를 적용하여 예비디자인을 왜곡시킨다. 그리고 왜곡된 예비디자인을 바탕으로 인쇄판(미도시)의 화선부를 제조함으로써, 금속시트(10)에 인쇄된 단위인쇄부(12)는 단위격자의 왜곡에 대한 역함수로 변형되고, 단위인쇄부(12)를 재단하여 프레스 가공하는 경우, 단위인쇄부(12)가 단위격자의 왜곡에 대응하여 변형되므로, 완성된 금속캔의 표면에는 정상적인 디자인이 표현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의 인쇄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의 인쇄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의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금속시트(10)에 단위인쇄부(12)를 종횡으로 이격되게 인쇄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시트의 인쇄방법은 시트피딩단계(S1)와, 인쇄단계와, 바니쉬단계(S7)와, 건조단계와, 시트스태킹단계(S9)를 포함하고, 검사단계(S6)와, 제판단계(S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피딩단계(S1)는 시트피딩유닛(100)에 적재된 금속시트(10)를 인쇄유닛(200)에 낱장으로 공급한다. 시트피딩단계(S1)는 시트피딩유닛(100)의 흡착피딩부(120)와 시트피딩부(13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인쇄단계는 시트피딩단계(S1)를 거쳐 공급되는 금속시트(10) 상에 해당 디자인이 포함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12)를 종횡으로 이격시켜 인쇄한다. 인쇄단계는 인쇄유닛(20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인쇄단계는 적어도 단위인쇄부(12)에 대응하여 금속시트(10)에 자외선 경화성의 백색잉크를 인쇄하는 백색도장단계(S2)와, 백색도장단계(S2)를 거친 금속시트(10)에 단위인쇄부(12)와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밴셔널잉크를 각각 인쇄하는 다수의 색상도장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백색도장단계(S2)와 색상도장단계(S4)는 각각 제1인쇄유닛(210)과 제2인쇄유닛(22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바니쉬단계(S7)는 단위인쇄부(12)가 인쇄된 금속시트(10)의 표면에 코팅액을 인쇄한다. 바니쉬단계(S7)는 바니쉬유닛(23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백색도장단계(S2)와, 색상도장단계(S4)와, 바니쉬단계(S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시트(10)에 전체 도막량 중 일부를 인쇄하는 선도장단계(미도시)와, 선도장단계(미도시)를 거친 금속시트(10)에 전체 도막량 중 나머지를 인쇄하는 후도장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선도장단계(미도시)와 후도장단계(미도시)는 각각 선처리도장부(201)와 후처리도장부(202)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건조단계는 금속시트(10) 상에 인쇄된 단위인쇄부(12)를 경화시키거나, 단위인쇄부(12)와 함께 금속시트(10)에 인쇄된 코팅액을 경화시킨다. 건조단계는 건조유닛(40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건조단계는 인쇄단계에 대응하여 백색도장단계(S2)에서 인쇄된 백색잉크를 경화시키는 제1건조단계(S3)와, 컨밴셔널잉크를 경화시키거나 컨밴셔널잉크와 함께 금속시트(10)에 인쇄된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제2건조단계(S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건조단계(S3)와 제2건조단계(S8)는 각각 제1건조유닛(410)과 제2건조유닛(42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건조단계는 색상도장단계(S4)를 거쳐 인쇄된 컨밴셔널잉크를 경화시키는 더미건조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건조단계(S8)에서는 컨밴셔널잉크와 함께 금속시트(10)에 전사된 코팅액을 경화시키게 된다. 더미건조단계(S5)는 더미건조유닛(43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시트스태킹단계(S9)는 단위인쇄부(12)와 코팅액이 경화된 금속시트(10)를 시트스태킹유닛(500)에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시트스태킹단계(S9)는 시트스태킹유닛의 세부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검사단계(S6)는 인쇄단계 또는 바니쉬단계(S7) 또는 건조단계를 통과한 금속시트(10)에서 단위인쇄부(12)에서의 인쇄 상태 또는 코팅 상태를 검사한다. 검사단계(S6)는 검사유닛(300)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제판단계(S10)는 금속시트(10)에 인쇄된 단위인쇄부(12)에 의해 완성되는 금속캔의 측면과 바닥면 및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인쇄판(미도시)에 인쇄를 위한 화선부를 제조한다. 제판단계(S10)는 단위금속시트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원통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금속캔이 만들어질 때, 단위금속시트에 표시된 단위격자의 왜곡에 대한 역함수를 인쇄판(미도시)의 화선부에 적용하여 예비디자인을 왜곡시킴으로써, 완성된 금속캔의 표면에는 정상적인 디자인이 표현되도록 한다. 제판단계(S10)는 제판유닛(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면처리단계(미도시)를 통해 인쇄 전에 금속시트(10)의 표면을 세정하여 금속시트(10)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표면처리단계(미도시)를 통해 인쇄 전에 금속시트(10)의 표면을 사전에 가공하여 인쇄용 잉크 또는 코팅액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처리단계(미도시)를 통해 인쇄 후에 금속시트(10)의 표면을 세정하여 해당 디자인이 인쇄된 금속시트(10)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에 따르면, 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시트(10)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12)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인쇄할 수 있고, 특히, 단위인쇄부(12)는 재단 공정과 프레스 공정을 거침으로써, 원통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금속캔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금속시트(10)와 바니쉬유닛(230)을 한정함으로써, 코팅드럼부(233)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액이 금속시트(10)에 인쇄되는 과정에서 코팅액의 튀김을 방지하고,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에 코팅액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팅유격(G)을 형성함으로써, 코팅드럼부(233)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액이 금속시트(10)의 요철부(11)를 거쳐 금속시트(10)의 비인쇄면 측으로 스며들거나 금속시트(10)의 인쇄면에 코팅액이 튀겨 금속시트(10)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팅유격(G) 및 더미부(2333)를 한정함으로써, 코팅액이 금속시트(10)의 가장자리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피딩부(130)를 한정함으로써, 금속시트(10)의 낱장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낱장의 금속시트(10)를 정위치에서 인쇄유닛(2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낱장의 금속시트(10)가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딩석션부(134, 135)를 한정함으로써, 낱장의 금속시트(10)가 이송되면서 금속시트(10)의 틀어짐이나 금속시트(10)의 유동을 방지하고, 금속시트(10)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블로어(218)를 구비함으로써, 트랜스퍼드럼부(211)를 통해 전달되는 금속시트(10)를 안정되게 안내하고, 금속시트(10)의 탄성에 의해 금속시트(10)가 튕기는 것을 방지하며, 트랜스퍼드럼부(211)의 가이드로 인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색잉크와 컨밴셔널잉크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인쇄 공정을 명확하게 하고,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며, 인쇄 속도를 향상시켜 단위 시간당 금속시트(10)의 인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 공정에서 전체 도막량을 분할하여 인쇄함으로써, 금속시트(10)의 인쇄면에서 핀홀이 발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쇄면을 고르게 하며, 인쇄면의 불량을 방지하면서 도막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백색잉크에 대해 자외선 경화를 실시하고, 컨밴셔널잉크 및 코팅액에 대해 적외선 경화 또는 열 경화를 실시함으로써, 잉크의 경화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인쇄 속도를 향상시키고,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리밍유닛(460)을 한정함으로써, 시트전달유닛(450)에 지지된 금속시트(10)를 정렬시키고, 건조유닛(400)에서 금속시트(10)에 인쇄된 단위인쇄부(12) 및 코팅액을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으며, 금속시트(10)가 건조오븐(421)을 통과할 때 금속시트(10)가 건조오븐(42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시트(10)의 인쇄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유닛(300)을 구비함으로써, 인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인쇄 오류나 인쇄 상태를 점검하고, 불량으로 인쇄된 금속시트(10)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인쇄의 제판 형태를 한정함으로써, 금속시트(10)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12)를 재단하여 프레스 가공할 때, 단위인쇄부(12)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최초 디자인 형상에 대응하는 인쇄면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시트피딩유닛 110: 피딩시트적재부 120: 흡착피딩부
130: 시트피딩부 131: 피딩바디부 132: 튕김방지부
133: 낱장분리부 134: 제1피딩석션부 135: 제2피딩석션부
136: 정렬석션부 137: 시트가이드부 138: 공급드럼부
141: 피딩롤러부 142: 롤러구동부 143: 피딩벨트부
1431: 피딩홀부 144: 진공바디부 1441: 진공공간부
1442: 유체분산부 145: 진공발생부 200: 인쇄유닛
201: 선처리도장부 202: 후처리도장부 210: 제1인쇄유닛
211: 트랜스퍼드럼부 211-1: 제1드럼부 211-2: 제2드럼부
211-3: 제3드럼부 212: 임프레션드럼부 213: 블랭킷드럼부
214: 판드럼부 215: 잉킹모듈 216: 축임모듈
218: 가이드블로어 220: 제2인쇄유닛 230: 바니쉬유닛
231: 순차이송부 232: 지지드럼부 2321: 이물질제거부
233: 코팅드럼부 2331: 코팅부 2332: 조각홈부
2333: 더미부 234: 코팅액저장부 235: 코팅액도포모듈
236: 이송가이드부 237: 시트컨베이어부 300: 검사유닛
400: 건조유닛 410: 제1건조유닛 411: 자외선발생부
412: 자외선조사부 413: 자외선흡수부 420: 제2건조유닛
430: 더미건조유닛 440: 건조이송유닛 440-1: 건조공급유닛
440-2: 건조배출유닛 441: 전달컨베이어부 442: 전달석션부
443: 지지컨베이어부 444: 정위치석션부 445: 스토퍼부
450: 시트전달유닛 451: 전달롤러부 4511: 전달걸림부
452: 전달밸트부 453: 전달포크부 4531: 전달연결부
4532: 시트안착부 4533: 지지포크부 460: 트리밍유닛
461: 트리밍푸셔부 4611: 푸셔경사부 462: 트리밍피스톤부
463: 트리밍실린더부 464: 승강가이드부 465: 위치고정부
466: 슬라이딩로드부 467: 슬라이더부 468: 푸셔조절레버부
471: 트리밍가이드부 4711: 안내경사부 472: 가이드로드부
473: 로드지지부 474: 로드조절레버부 500: 시트스태킹유닛
10: 금속시트 11: 요철부 12: 단위인쇄부
13: 코팅면 G: 코팅유격 g: 조각홈부의 폭
S1: 시트피딩단계 S2: 백색도장단계 S3: 제1건조단계
S4: 색상도장단계 S5: 더미건조단계 S6: 바니쉬단계
S7: 제2건조단계 S8: 검사단계 S9: 시트트래킹단계
S10: 제판단계

Claims (17)

  1. 인쇄를 위한 금속시트가 적재되는 피딩시트적재부와, 상기 피딩시트적재부로부터 상기 금속시트를 낱장으로 배출시키는 흡착피딩부와, 상기 흡착피딩부에서 전달되는 낱장의 금속시트를 순차적으로 운반하는 시트피딩부를 포함하는 시트피딩유닛;
    상기 금속시트 상에 해당 디자인이 포함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종횡으로 이격시켜 인쇄하는 다수의 인쇄유닛;
    상기 단위인쇄부가 인쇄된 상기 금속시트의 표면에 코팅액을 인쇄하는 바니쉬유닛;
    상기 금속시트 상에 인쇄된 상기 단위인쇄부를 경화시키거나, 상기 단위인쇄부와 함께 상기 금속시트에 인쇄된 상기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건조유닛; 및
    상기 단위인쇄부와 상기 코팅액이 경화된 상기 금속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시트스태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니쉬유닛은,
    상기 단위인쇄부가 인쇄된 금속시트를 지지 이송시키는 지지드럼부;
    표면에 도포된 코팅액을 상기 금속시트에 인쇄하는 코팅드럼부;
    상기 코팅액이 저장되는 코팅액저장부; 및
    상기 코팅액저장부의 코팅액을 상기 코팅드럼부에 도포하는 코팅액도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시트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단위인쇄부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요철부;가 포함되고,
    상기 코팅드럼부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액이 도포되는 코팅부; 및
    상기 금속시트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코팅부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조각홈부;가 포함되며,
    상기 조각홈부는 금속시트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여 금속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홈의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조각홈부에 의해 더미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팅액에 의해 상기 금속시트에 인쇄되는 코팅면의 가장자리는 상기 금속시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코팅유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조각홈부의 폭은 코팅유격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의 면적은 상기 더미부의 면적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상기 요철부에 상기 더미부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피딩부는,
    상기 흡착피딩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피딩바디부;
    상기 피딩바디부에 구비되어 낱장의 상기 금속시트를 흡착 이송시키는 제1피딩석션부;
    상기 제1피딩석션부에 의해 전달되는 낱장의 상기 금속시트를 간헐적으로 흡착 이송시키는 제2피딩석션부; 및
    상기 제1피딩석션부에 의해 전달되는 낱장의 상기 금속시트를 간헐적으로 흡착 파지하는 정렬석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딩석션부와 상기 제2피딩석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한 쌍의 피딩롤러부;
    상기 피딩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
    상기 피딩롤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딩바디부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한 쌍의 상기 피딩롤러부를 감싸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피딩벨트부;
    한 쌍의 피딩롤러부 사이에 구비되는 진공바디부; 및
    상기 진공바디부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벨트부에는, 다수의 피딩홀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진공바디부에는 상기 피딩홀부와 연통되는 진공공간부와, 상기 진공공간부에서 상기 피딩벨트부를 지지하는 유체분산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에는,
    상기 금속시트를 전달하는 트랜스퍼드럼부;가 구비되고,
    상기 트랜스퍼드럼부의 출구 측과 상기 트랜스퍼드럼부의 입구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금속시트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가이드블로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적어도 상기 단위인쇄부에 대응하여 자외선 경화성의 백색잉크를 인쇄하는 제1인쇄유닛; 및
    상기 제1인쇄유닛을 거친 상기 금속시트에 상기 단위인쇄부와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밴셔널잉크를 각각 인쇄하는 다수의 제2인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제1인쇄유닛에서 인쇄된 상기 백색잉크를 경화시키는 제1건조유닛; 및
    상기 컨밴셔널잉크를 경화시키거나, 상기 컨밴셔널잉크와 함께 상기 금속시트에 전사된 상기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제2건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건조유닛은,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발생부;
    상기 금속시트에서 적어도 상기 백색잉크가 인쇄된 영역에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 및
    상기 금속시트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유닛은,
    상기 금속시트 상에 적외선 또는 열을 발산하는 건조오븐;
    상기 금속시트를 상기 건조오븐의 입구 측에서 상기 건조오븐에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건조공급유닛과, 상기 금속시트를 상기 건조오븐의 출구 측에서 상기 건조오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건조배출유닛이 포함된 건조이송유닛;
    상기 금속시트가 상기 건조오븐을 통과하도록 상기 건조공급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금속시트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운반하는 시트전달유닛; 및
    상기 시트전달유닛에 지지되는 상기 금속시트를 정렬시키는 트리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유닛은,
    상기 시트전달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일렬로 정렬하는 트리밍푸셔부;
    상기 트리밍푸셔부를 지지하는 트리밍피스톤부; 및
    인가되는 전원 또는 전달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트리밍피스톤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트리밍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유닛은,
    상기 시트전달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일렬로 정렬하는 트리밍가이드부;
    상기 트리밍가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상기 트리밍가이드부로 유도하는 안내경사부; 및
    상기 트리밍가이드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12.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 또는 상기 바니쉬유닛 또는 상기 건조유닛을 통과한 상기 금속시트에서 상기 단위인쇄부에서의 인쇄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장치.
  13.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시트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시트에 상기 단위인쇄부를 인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피딩시트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금속시트를 상기 인쇄유닛에 낱장으로 공급하는 시트피딩단계;
    상기 시트피딩단계를 거쳐 공급되는 상기 금속시트 상에 해당 디자인이 포함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위인쇄부를 종횡으로 이격시켜 인쇄하는 인쇄단계;
    상기 단위인쇄부가 인쇄된 상기 금속시트의 표면에 코팅액을 인쇄하는 바니쉬단계;
    상기 금속시트 상에 인쇄된 상기 단위인쇄부를 경화시키거나, 상기 단위인쇄부와 함께 상기 금속시트에 인쇄된 상기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건조단계; 및
    상기 단위인쇄부와 상기 코팅액이 경화된 상기 금속시트를 상기 시트스태킹유닛에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시트스태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단계는,
    적어도 상기 단위인쇄부에 대응하여 상기 금속시트에 자외선 경화성의 백색잉크를 인쇄하는 백색도장단계; 및
    상기 백색도장단계를 거친 상기 금속시트에 상기 단위인쇄부와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다수의 컨밴셔널잉크를 각각 인쇄하는 다수의 색상도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백색도장단계에서 인쇄된 상기 백색잉크를 경화시키는 제1건조단계; 및
    상기 컨밴셔널잉크를 경화시키거나, 상기 컨밴셔널잉크와 함께 상기 금속시트에 전사된 상기 코팅액을 경화시키는 제2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도장단계와, 상기 색상도장단계와, 상기 바니쉬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금속시트에 전체 도막량 중 일부를 인쇄하는 선도장단계; 및
    상기 선도장단계를 거친 상기 금속시트에 전체 도막량 중 나머지를 인쇄하는 후도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단계 또는 상기 바니쉬단계 또는 상기 건조단계를 통과한 상기 금속시트에서 상기 단위인쇄부의 인쇄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인쇄부에 의해 완성되는 금속캔의 측면과 바닥면 및 해당 디자인의 색상에 대응하여 플레이트 형태의 인쇄판을 제조하는 제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인쇄방법.
KR1020170183749A 2017-12-29 2017-12-29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 KR10199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49A KR101990985B1 (ko) 2017-12-29 2017-12-29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749A KR101990985B1 (ko) 2017-12-29 2017-12-29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985B1 true KR101990985B1 (ko) 2019-06-20

Family

ID=6710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749A KR101990985B1 (ko) 2017-12-29 2017-12-29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138A3 (ko) * 2021-07-12 2023-03-09 주식회사 포스코 인쇄 품질이 우수한 금속소재 프린트 설비와 프린트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프린트된 금속소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059A (ja) * 1982-12-27 1984-07-31 エム・ア−・エヌ−ロ−ラント・ドルツクマシ−ネ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枚葉紙を印刷しかつ最終的にこれにワニスがけするための印刷機
KR100771199B1 (ko) 2005-06-24 2007-10-29 주식회사 대영테크 원통형 작업물 표면 인쇄장치
KR20110056534A (ko) * 2008-08-29 2011-05-30 케이비에이-노타시스 에스에이 보안문서, 특히 지폐 같은 음각인쇄된 보안문서를 바니시 도장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는 바니시 도장기
KR20170132473A (ko) * 2016-05-24 2017-12-04 정원창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와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가 결합된 컬러 도장강판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컬러 도장강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059A (ja) * 1982-12-27 1984-07-31 エム・ア−・エヌ−ロ−ラント・ドルツクマシ−ネ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枚葉紙を印刷しかつ最終的にこれにワニスがけするための印刷機
KR100771199B1 (ko) 2005-06-24 2007-10-29 주식회사 대영테크 원통형 작업물 표면 인쇄장치
KR20110056534A (ko) * 2008-08-29 2011-05-30 케이비에이-노타시스 에스에이 보안문서, 특히 지폐 같은 음각인쇄된 보안문서를 바니시 도장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는 바니시 도장기
KR20170132473A (ko) * 2016-05-24 2017-12-04 정원창 실크 스크린 인쇄장치와 디지털 잉크젯 프린터가 결합된 컬러 도장강판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컬러 도장강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metalprint.koenig-bauer.com/en/ *
YouTube, [2 Piece Can Making Line], https://www.youtube.com/watch?v=OQGyPzYqVRc*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138A3 (ko) * 2021-07-12 2023-03-09 주식회사 포스코 인쇄 품질이 우수한 금속소재 프린트 설비와 프린트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프린트된 금속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70849B (zh) 用于装饰面板的方法和设备
JP4539271B2 (ja) 画像記録装置
EP3017957B1 (en) A large inkjet flatbed table
JP517786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TWI628069B (zh) 噴墨列印裝置及列印方法
US7954938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ink-jet printing
EP2551122A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8087773B2 (en) Ink jet printing depth of focus control apparatus
JP5385738B2 (ja) 塗布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0599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打滴検出方法
JP200711841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928587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パージ方法
JP200623170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1990985B1 (ko) 금속시트 인쇄장치와 금속시트 인쇄방법
JP2013512120A (ja) シート処理装置
KR101703951B1 (ko) 용지의 낱장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한 인쇄장치
CN108290422B (zh) 用于刚性多层基底的喷墨印刷装置、喷墨印刷方法及用途
CN1321007C (zh) 用于印刷物体的方法和装置
US8328327B2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CN116787911A (zh) 一种扩散膜印刷机
KR20200020333A (ko)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JP6542736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及び、その乾燥強度設定方法
JP6338283B2 (ja) 画像記録装置
JP7144870B2 (ja) 板状材印刷システム
JP2004314586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