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970B1 - 나사보관용 엠보밴드 - Google Patents

나사보관용 엠보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970B1
KR101990970B1 KR1020190017886A KR20190017886A KR101990970B1 KR 101990970 B1 KR101990970 B1 KR 101990970B1 KR 1020190017886 A KR1020190017886 A KR 1020190017886A KR 20190017886 A KR20190017886 A KR 20190017886A KR 101990970 B1 KR101990970 B1 KR 101990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and
emboss
insertion hole
sup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보테크
Priority to KR102019001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 B25B23/045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using disposable strips or discs carrying the screw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7/00Bolts, screws, or nuts formed in integral series but easily separable, particularly for use in automat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에 있어서, 펀칭장치에 의해 합성수지소재의 몸체(10)에 엠보가 형성되게 하되, 소정의 두께를 갖는 몸체(10)를 펀칭가공하여 나사(110)가 끼워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되고, 몸체(10)를 펀칭가공하여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되면서 몸체(10)가 펀칭에 의해 연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나사끼움공(30)이 좁아지도록 하여 끼워지는 나사(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지지벽(4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40)에는 엠보밴드(100)에 서로 다른 크기의 나사(110)가 용이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크류건에 의한 나사(110)체결시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가 용이하게 엠보밴드(100)에서 이탈하여 박힐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절개라인(60)이 형성되고, 몸체(10)의 양단에는 다수의 나사(1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건에 엠보밴드(100)를 걸어 나사(110)체결작업 후 다음 나사(110)체결을 위해 스크류건에 의해 엠보밴드(100)를 걸어 올려 다음 나사(110)체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20)이 형성되어 펀칭가공에 의해 나사보관용 엠보밴드(100)를 제조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엠보밴드(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함에 따라 다수의 나사(110)를 끼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펀칭가공에 의한 엠보밴드(100)의 제조시 펀칭되는 깊이, 나사보관의 견고성, 나사체결시 원활한 찢어짐 등을 고려하여 제조됨으로써 연속적인 나사체결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나사보관용 엠보밴드{EMBOSS BAND FOR SCREW STORAGE}
본 발명은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나사를 끼워 체결한 상태에서 스크류건에 의해 연속적인 나사체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사못을 합판이나 목재 등과 같은 구조물에 박아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나사못을 엠보밴드 상에 결속고정하고, 나사못이 결속된 엠보밴드를 스크류건에 장착된 스크류 매거진에 장전하여 나사못이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므로서 작업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증진케 하고 있다.
엠보밴드에 나사머리가 걸리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건에 의해 나사를 박아 고정함과 함께 나사머리가 엠보밴드를 뚫고 체결이 완료되어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나 종래에는 나사체결시 엠보밴드가 완전히 찢어지지 못하여 나사머리가 완전이 이탈되지 못해 나사와 함께 엠보밴드의 일부가 함께 체결되어 이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작업이 번거로운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엠보밴드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어서 엠보밴드의 길이가 짧게 제조될 수밖에 없어 일정개수 이상의 나사를 끼워 보관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7574호, '나사못 공급밴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밴드를 펀칭가공에 의해 나사보관용 엠보밴드로 제조하여 다수의 나사를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나사보관용 엠보밴드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펀칭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엠보밴드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나사체결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에 있어서, 펀칭장치에 의해 합성수지소재의 몸체(10)에 엠보가 형성되게 하되, 소정의 두께를 갖는 몸체(10)를 펀칭가공하여 나사(110)가 끼워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되고, 몸체(10)를 펀칭가공하여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되면서 몸체(10)가 펀칭에 의해 연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나사끼움공(30)이 좁아지도록 하여 끼워지는 나사(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지지벽(4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40)에는 엠보밴드(100)에 서로 다른 크기의 나사(110)가 용이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크류건에 의한 나사(110)체결시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가 용이하게 엠보밴드(100)에서 이탈하여 박힐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절개라인(60)이 형성되고, 몸체(10)의 양단에는 다수의 나사(1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건에 엠보밴드(100)를 걸어 나사(110)체결작업 후 다음 나사(110)체결을 위해 스크류건에 의해 엠보밴드(100)를 걸어 올려 다음 나사(110)체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펀칭가공에 의해 나사보관용 엠보밴드를 제조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엠보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함에 따라 다수의 나사를 끼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펀칭가공에 의한 엠보밴드의 제조시 펀칭되는 깊이, 나사보관의 견고성, 나사체결시 원활한 찢어짐 등을 고려하여 제조됨으로써 연속적인 나사체결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의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의 하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에 나사가 끼워진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사보관용 엠보밴드를 제조하는 장치를 찍은 사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정면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며, 도 4는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의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나사보관용 엠보밴드는 펀칭장치에 의해 합성수지소재의 몸체(10)에 엠보가 형성되게 하되, 소정의 두께를 갖는 몸체(10)를 펀칭가공하여 나사(110)가 끼워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되고, 몸체(10)를 펀칭가공하여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되면서 몸체(10)가 펀칭에 의해 연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나사끼움공(30)이 좁아지도록 하여 끼워지는 나사(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지지벽(4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40)에는 엠보밴드(100)에 서로 다른 크기의 나사(110)가 용이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크류건에 의한 나사(110)체결시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가 용이하게 엠보밴드(100)에서 이탈하여 박힐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절개라인(60)이 형성되고, 몸체(10)의 양단에는 다수의 나사(1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건에 엠보밴드(100)를 걸어 나사(110)체결작업 후 다음 나사(110)체결을 위해 스크류건에 의해 엠보밴드(100)를 걸어 올려 다음 나사(110)체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나사보관용 엠보밴드(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칭가공한 연속적인 제조과정에 의해 필요한 길이만큼 길게 엠보밴드(100)가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몸체(10)의 일부가 늘어나면서 지지벽(40)에 형성되고 그와 함께 나사(110)를 끼워 보관할 수 있는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는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져 펀칭가공시 소정의 길이로 늘어나 나사(110)가 끼워지는 나사끼움공(30)과 지지벽(40)에 형성되게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몸체(10)의 두께(H1)는 1~2mm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10)의 폭(W3)은 14~18mm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10)의 두께(H1)가 너무 얇으면 펀칭가공시 지지벽(40)이 찢어져 나사(110)를 끼워 보관하는 경우 나사(110)가 쉽게 이탈해버리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지지벽(40)은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가 나사(110)체결작업 전에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벽(40)이 너무 얇아 찢어지게 되면 나사(110)가 끼워진 엠보밴드(100)를 들고 나사(110)체결작업하기 전에 나사(110)가 엠보밴드(100)에서 빠져버려 작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몸체(10)의 두께(H1)가 너무 두꺼우면 재료비가 많이 소모되며 펀칭가공시 지지벽(40)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를 체결하는 경우 나사(110)가 엠보밴드(100)에서 쉽에 빠져나가지 못해 연속적인 나사(110)체결작업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엠보밴드(100)에 끼워 보관된 나사(110)를 체결하기 위해 스크류건으로 나사(110)를 체결하면 엠보밴드(100)의 지지벽(40)이 터지면서 나사(110)가 엠보밴드(100)에서 쉽게 빠져나가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 지지벽(40)에 너무 두꺼워지면 쉽게 터지지 않고 지지벽(40)에 늘어나 나사(110)가 쉽게 빠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연속적인 나사(110)체결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엠보밴드(100)에서 덜 빠진 나사(110)를 일일이 다시 빼낸 후 다음 나사(110)체결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두께(H1)를 1~2mm로 형성하여 펀칭가공에 의해 연성되어 형성되는 지지벽(40)의 깊이(H2)가 4~7mm가 되도록 하며, 나사끼움공(30)의 상부폭(W2)은 4~6mm가 되도록 한다.
지지벽(40)의 깊이(H2)는 끼워지는 나사(110)의 길이에 따라 조절가능하나 지지벽(40)의 깊이(H2)가 상기의 범위에 미치지 못하면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를 견고히 잡아주지 못해 나사(110)가 흔들리게 되고 결국 나사(110)체결전에 나사(110)가 나사끼움공(30)에서 쉽게 빠져버리게 된다.
지지벽(40)의 깊이(H2)가 상기의 범위를 넘어서 너무 길게 형성되면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가 체결작업전에 쉽게 빠지지 않아 보관이 용이할 수 있으나 나사(110)체결시 나사(110) 체결방향으로 용이하게 빠지지 못하게 되어 연속적인 나사(110)체결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사끼움공(30)의 상부폭(W2)이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동일한 몸체(10)의 두께(H1) 대비 연성되는 표면적이 작아져 지지벽(40)의 두께가 두꺼워져 나사(110)체결시 지지벽(40)이 찢어지지 못해 나사(110)가 쉽게 엠보밴드(100)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나사끼움공(30)의 상부폭(W2)이 상한치를 벗어나면 동일한 몸체(10)의 두께(H1) 대비 연성되는 표면적이 커져 지지벽(4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짐에 따라 나사(110)를 끼워 보관하는 중에 지지벽(40)이 찢어서 나사(110)가 쉽게 빠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벽(40)에는 나사(110)체결시 지지벽(40)이 찢어지면서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가 용이하게 엠보밴드(10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절개라인(6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상기 절개라인(60)은 지지벽(40)에 4개 형성될 수 있고 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벽(40)의 90°마다 하나씩 형성되며 지지벽(40)의 소정의 깊이까지 찢어져 형성된다.
나사끼움공(30)에 나사(110)를 끼워 보관시에 절개라인이 벌어지면서 나사(110)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나사(110)체결시에는 나사머리가 나사끼움공(30)을 통과하면서 지지벽(40)에 형성된 절개라인(60)이 찢어지면서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가 엠보밴드(100)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개라인(60)은 지지벽(40) 전체 깊이의 2/3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하였듯이 지지벽(40)의 깊이(H2)가 4~7mm로 형성될 경우 절개라인(60)의 깊이는 2.5~4.5mm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벽(40)에 형성된 절개라인(60)의 하부에는 나사끼움공(30)을 통해 끼워진 나사(1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압착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42)는 하부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지지벽(40)의 하부에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벽(40)과 별도로 내측으로 더 오므러지게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나사(110)를 방사상에서 조여주는 역할을 하여 나사(110)가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벽(40)은 12~18°경사각도(θ)를 가지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나사(110)체결작업시 길게 형성된 엠보밴드(100)에 다수의 나사(110)를 끼워 보관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때 끼워진 나사(110)가 끼워진 상태로 흔들리게 되면 스크류에 의한 나사(110)체결작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110)가 엠보밴드(100)의 나사끼움공(30)에 끼워져 나사(110)의 머리가 몸체(10)와 밀착되게 맞닿은 상태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110)의 중단부는 압착부(42)에 의해 방사상으로 밀착되게 됨으로써 나사(110)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착부(42)의 폭(W1)은 1.5~2.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착부(42)의 폭(W1)이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게 되면 나사(110)를 끼울 때 지지벽(40)의 하부가 찢어지게 되어 나사(110)보관이 용이하지 못함, 상한치를 벗어나게 되면 나사(110) 굵기보다 넓어져 나사(1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없어 나사(110)체결작업시 불편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몸체(10) 양단에는 스크류건에 의한 연속적인 나사(110)체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림홈(2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0)은 스크류건에 의한 나사(110)체결 후 다음 나사(110)를 체결하기 위해 걸림홈(20)을 걸어 엠보밴드(100)를 밀어올려 다음 나사(110)가 스크류건의 체결위치에 놓이도록 놓이도록 함으로서 일일이 수동으로 엠보밴드(100)를 밀어올려 스크류건에 맞출 필요 없이 자동으로 나사(110)체결위치에 맞게 엠보밴드(100)가 이동됨으로써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몸체(10)에 형성되는 걸림홈(20)은 나사(110)가 끼워보관되는 나사끼움공(30)의 간격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실시 예로서 걸림홈(20) 간의 간격(W4)은 6~8mm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0) 간의 간격(W3)을 너무 좁게 형성하면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나사끼움공(30)이 작아져 나사(110)를 끼울 수 없게 되고 나사끼움공(30) 간의 간섭이 발생하여 펀칭가공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걸림홈(20) 간의 간격(W3)이 너무 넓으면 동일 길이대비 엠보밴드(100)에 끼워 보관할 수 있는 나사(110)의 개수가 줄어들어 비효율적이며, 스크류건에 의한 엠보밴드(100)의 이동시 과하게 엠보밴드(100)가 이동되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10)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펀칭가공에 의해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되는 테두리에 지지벽(40)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라인(60)과 연결되는 확장홀(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홀(50)은 나사(110)의 끼움결합시 절개라인(60)이 외측으로 더 벌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굵기가 굵은 나사(110)의 끼움시 절개라인(60)을 포함하는 지지벽(40)이 나사(110)체결 전에 찢어지지 않도록 한다.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110)의 몸체(10)부분은 나사(110)의 종류에 따라 그 굵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얇은 굵기의 나사(110)에서부터 상대적으로 굵기가 굵은 나사(110)도 엠보밴드(100)의 나사끼움공(30)에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나사끼움공(30)의 폭이 탄력적으로 나사(110)의 굵기에 맞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몸체 (20)-- 걸림홈
(30)-- 나사끼움공 (40)-- 지지벽
(42)-- 압착부 (50)-- 확장홀
(60)-- 절개라인 (100)-- 엠보밴드
(110)-- 나사
(H1)-- 몸체의 두께 (H2)-- 지지벽의 깊이
(W1)-- 압착부의 폭 (W2)-- 나사끼움공의 상부폭
(W3)-- 몸체의 폭 (W4)-- 걸림홈 간의 거리

Claims (4)

  1. 나사보관용 엠보밴드에 있어서,
    펀칭장치에 의해 합성수지소재의 몸체(10)에 엠보가 형성되게 하되,
    두께는 1~2mm로 형성되고 폭(W3)은 14~18mm로 형성되는 몸체(10)를 펀칭가공하여 나사(110)가 끼워져 보관될 수 있도록 상부폭(W2)이 4~6mm로 형성되는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되고,
    몸체(10)를 펀칭가공하여 나사끼움공(30)이 형성되면서 몸체(10)가 펀칭에 의해 연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나사끼움공(30)이 좁아지도록 하여 끼워지는 나사(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지지벽(40)이 형성되며,
    몸체(10)가 펀칭가공에 의해 연성되어 형성되는 지지벽(40)은 깊이(H2)가 4~7mm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벽(40)은 12~18°경사각도(θ)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40)에는 엠보밴드(100)에 서로 다른 크기의 나사(110)가 용이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크류건에 의한 나사(110)체결시 나사끼움공(30)에 끼워진 나사(110)가 용이하게 엠보밴드(100)에서 이탈하여 박힐 수 있도록 지지벽(40) 전체 깊이의 2/3 깊이로 4개의 절개라인(60)이 형성되고,
    나사(110)의 끼움결합시 절개라인(60)이 외측으로 더 벌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굵기가 굵은 나사(110)의 끼움시 절개라인(60)을 포함하는 지지벽(40)이 나사(110)체결 전에 찢어지지 않도록 나사끼움공(3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절개라인(60)과 연결되는 확장홀(50)이 형성되며,
    지지벽(40)에 형성된 절개라인(60)의 하부에는 나사끼움공(30)을 통해 끼워진 나사(1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압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42)의 폭(W1)은 1.5~2.5mm로 형성되며,
    몸체(10)의 양단에는 다수의 나사(1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건에 엠보밴드(100)를 걸어 나사(110)체결작업 후 다음 나사(110)체결을 위해 스크류건에 의해 엠보밴드(100)를 걸어 올려 다음 나사(110)체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6~8mm의 간격으로 걸림홈(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보관용 엠보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17886A 2019-02-15 2019-02-15 나사보관용 엠보밴드 KR101990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86A KR101990970B1 (ko) 2019-02-15 2019-02-15 나사보관용 엠보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86A KR101990970B1 (ko) 2019-02-15 2019-02-15 나사보관용 엠보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970B1 true KR101990970B1 (ko) 2019-06-20

Family

ID=6710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886A KR101990970B1 (ko) 2019-02-15 2019-02-15 나사보관용 엠보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9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3069Y2 (ja) * 1993-10-13 1999-03-31 日本パワー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ねじ保持ベルト
KR200367574Y1 (ko) 2004-08-24 2004-11-15 이준호 나사못 공급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3069Y2 (ja) * 1993-10-13 1999-03-31 日本パワー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ねじ保持ベルト
KR200367574Y1 (ko) 2004-08-24 2004-11-15 이준호 나사못 공급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2580A (en) Electrical wiring box
US4631985A (en) Device for holding a screw or the like
US20100032180A1 (en) Add-a-depth ring and cover plate assembly
JPS63642B2 (ko)
US8669471B2 (en) Electrical accessori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2530326Y2 (ja) 家具等における部材の連結装置
TW201305451A (zh) 牆壁裝設器具
US5396994A (en) Cap storage and display device
KR101990970B1 (ko) 나사보관용 엠보밴드
US9581184B2 (en) Screw for coupling wooden members together
US6979780B1 (en) Non-gangable box with embossed sides
US7137766B2 (en) Screw and plastic part unit
KR101866530B1 (ko) 가구용 받침다리
US6662699B1 (en) Miter box
US20020074255A1 (en) Tool engaging cavity of tool box
US6740813B1 (en) Cover for ceiling-mounted electrical outlet
JP2002168222A (ja) ナット
US20040139826A1 (en) Engagement structure of C-shaped clamp and engaging ring of head ratchet tools
JPH0583424U (ja) プラスチック製の押し込みナット
KR0129201Y1 (ko) 가구조립용 체결구
JP2004153902A (ja) 配線用ボックス
JP5540456B1 (ja) ドラムのヘッド固定機構
JP6974880B1 (ja) 固定用キャップの連結構造
JPH1078018A (ja) 脱落防止用キャップ及びこれを含む脱落防止雌ねじ部材
JPH03335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