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695B1 -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695B1
KR101990695B1 KR1020170134171A KR20170134171A KR101990695B1 KR 101990695 B1 KR101990695 B1 KR 101990695B1 KR 1020170134171 A KR1020170134171 A KR 1020170134171A KR 20170134171 A KR20170134171 A KR 20170134171A KR 101990695 B1 KR101990695 B1 KR 101990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bristles
hol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356A (ko
Inventor
김연희
정석찬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6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34Means comprising a rachet mechanism or equivalent for advancing the piston stepwi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5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plac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에 대하여 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칫솔모가 일단에 식모되고, 그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칫솔대가 형성된 식모부; 소정 길이와 두께로 형성되는 손잡이대의 일단으로 상기 식모부의 칫솔대가 선택적으로 조립, 분해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서 상기 칫솔모의 식모위치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유도홀과, 치약이 상기 유도홀을 통해 상기 칫솔모까지 공급되도록 장착되는 장착실이 형성된 장착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실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실 내의 치약을 압축시킨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 조절구가 구비된 치약추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칫솔대 내부에 장착되는 치약의 인출을 손잡이대에서 안정되게 할 수 있고, 치약의 교체도 손잡이대에서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Toothpaste inserted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대 내에 치약이 장착된 상태로 휴대하며, 칫솔대의 간편한 조작으로 칫솔대 내에 장착된 치약이 칫솔모에서 토출 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칫솔대의 칫솔모에 치약을 묻혀 구강 내의 치아와 잇몸 및 혀에 문질러서 닦아내는 상태로 구강 및 치아의 청결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칫솔과 치약은 구강 내의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각각의 고유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제조되고, 판매되며 각각 다르게 취급 보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칫솔과 치약은 구강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품이므로 거주지가 아닌 출장지 또는 여행지에서도 칫솔질을 하기 위해서는 칫솔과 치약을 함께 소지하여 가지만, 소지품을 간소화하기 위해 짐을 선별하다 보면 칫솔대와 치약을 모두 빠뜨리는 경우가 있고, 칫솔대 또는 치약 어느 하나를 빠뜨리고 짐을 챙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칫솔대와 치약은 치아를 닦을 때에만 사용되는 물품이므로 두 가지를 휴대 보관하기를 귀찮게 여기는 것에 의해서 소지품 품목에서 칫솔대 또는 치약 중 어느 한 품목이 누락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칫솔대와 치약을 항상 소지하기 위해서는 두 물품이 하나의 물품으로 결합 되게한 구성이 요구되므로, 칫솔대에 치약이 공급되고, 칫솔대에 충진 된 치약이 칫솔모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추는 칫솔대가 제안된 바 있다.
제안된 칫솔대 내에 치약이 충진되는 구조를 갖추면 칫솔대를 휴대함으로 치약도 함께 휴대되는 것이어서 소지품목에서 치약과 칫솔대를 빠뜨릴 염려가 전혀 없는 것으로,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33618호로 제안된 치약 토출 칫솔(이하‘선출원'이라함)에서 칫솔대 내에 치약이 충진되고, 충진된 치약은 칫솔모에서 토출 되는 구성에서 확인된다.
상기 선출원은 식모부에 치약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칫솔대, 치약이 저장된 치약저장팩이 설치된 손잡이부,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펌핑부로 구성되어, 상기 펌핑부의 작동으로 치약저장팩에 저장된 치약이 토출구로 토출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부 내측에는 상기 칫솔대로 치약을 안내하는 튜브의 후방부가 결합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삽입구의 후단부에 테이퍼 진 돌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치약저장팩의 카트리지는 상기 돌출구의 외측으로 끼움되어 밀착 결합하는 결합구가 전방부에 형성되고, 후단부에 돌출테가 형성되며, 상기 펌핑부에는 상기 돌출테가 끼움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구성이다.
상기 선출원은, 일측에 칫솔모가 구비된 칫솔대의 타측으로 치약저장팩이 삽입되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손잡이 내에는 치약카트리지가 장착되며, 손잡이 끝단에 공기 펌프가 설치되는 구성에서 사용자는 공기펌프를 반복적으로 손으로 눌러 줄 때 형성되는 펌핑력이 손잡이 내에 장착된 치약카트리지를 압박하게 되는 동작으로 칫솔모측으로 치약이 토출되고, 이로써 사용자는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선출원의 치역토출 칫솔에서는 손가락을 카트리지 내부로 넣지 않더라도 손잡이부로부터 쉽게 치약저장팩을 분리할 수 있어 위생적일 뿐 아니라 치약저장팩에 치약을 쉽게 충전시킬 수 있고, 치약 사용량을 알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과도한 치약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선출원은 공기펌프를 누르는 동작으로 치약이 칫솔모에서 토출 되는 피스톤 구조인 관계로 치약카트리지 내의 치약이 소모되어 갈수록 펌핑력을 높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칫솔대에 노출된 튜브의 토출구는 공기와 접촉되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토출구에 남아있는 치약이 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토출구가 막혀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칫솔질하기 전에 칫솔모의 토출구에서 건조된 치약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던 것이다.
KR공개특허 10-2006-0133618(2006. 12. 27. 공개)
본 발명은 칫솔대 내에 장착된 치약카트리지를 가압하여 치약이 토출되도록 할 때 카트리지의 가압이동이 단계적으로 되며 설정된 단계에서는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칫솔대 내에 충진된 치약이 칫솔모위치에서 건조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치약카트리지를 칫솔대에서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칫솔모가 일단에 식모되고, 그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칫솔대가 형성된 식모부; 소정 길이와 두께로 형성되는 손잡이대의 일단으로 상기 식모부의 칫솔대가 선택적으로 조립, 분해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서 상기 칫솔모의 식모위치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유도홀과, 치약이 상기 유도홀을 통해 상기 칫솔모까지 공급되도록 장착되는 장착실이 형성된 장착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실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실 내의 치약을 압축시킨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 조절구가 구비된 치약추출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식모부는, 상기 칫솔모가 일단에 구비된 칫솔대의 타단에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기 위한 나선돌부가 구비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식모부는, 상기 칫솔모에 씌워지는 보호실이 형성되되, 상기 보호실 내부에는 상기 유도홀의 토출공에 결합되는 니들핀이 구비된 건조방지용 보호캡이 더 구비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치약추출부는, 상기 덮개에 형성되되, 상기 덮개의 중앙 위치를 상기 손잡이대 길이방향으로 천공시켜 형성된 슬라이드홀과, 상기 덮개의 양측변을 돌출시켜 상기 장착실의 입구에 밀폐 결합되는 폐쇄턱 및, 상기 덮개 중앙에 천공된 슬라이드홀의 일 측변에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된 제어면이 구비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치약추출부의 조절구는, 상기 슬라이드홀의 상면에 위치되어 추출량 선택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 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홀을 관통하는 제어축과, 상기 제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실내에 위치하는 압착대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조절구는, 상기 제어축이 속이 빈 탄성공으로 되고, 상기 제어축의 외면에는 상기 슬리이드홀의 제어면과 탄력접촉 및 마찰 작용이 이루어지는 접촉편이 돌출 형성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장착부의 장착실에는, 상기 장착실에 대응되는 크기로 되어, 팽창 수축되는 튜브로 되되, 치약이 상기 튜브 속으로 충진되어 형성되는 치약 카트리지가 장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조절구는, 상기 압착대의 중앙에 상기 치약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통공이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치약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입구에서부터 출구에 이르기까지 경사져 상기 치약 카트리지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약과 칫솔을 이체로 휴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칫솔모에 보호캡이 결합됨으로 치약의 건조를 막을 수 있어 칫솔모측으로의 치약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칫솔의 기능이 지속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대 내부에 장착되는 치약의 인출을 손잡이대에서 단계적으로 할 수 있고, 치약카트리지의 교체도 손잡이대의 덮개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칫솔대의 평면상대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칫솔대의 종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중 손잡이부에 대한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 조절구에 대한 발췌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치약추출부의 슬라이드홀에서 조절구의 제어편이 동작하는 상태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절구의 이동으로 치약카트리지가 압박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칫솔모에 치약건조방지용 캡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칫솔대의 평면상태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칫솔대의 종 단면상태를 나타내는것으로, 사용자의 구강내에서 활동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는 식모부(100)는 일단에 치아와 잇몸 및 혀를 닦아내는 칫솔모(110)가 식모되고, 그 타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손잡이부(200)와 연결되는 칫솔대(120)의 구성으로 식모부(1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칫솔질하기에 적당한 길이와 두께로 손잡이대(210)를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대(210)의 일단으로 상기 식모부(100)의 칫솔대(120)가 선택적으로 조립, 분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손잡이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 내부에는 칫솔모(110)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치약이 장착되는 장착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310)에는 장착된 치약을 칫솔모(110)의 식모위치까지 유도되도록 상기 칫솔대(120)의 내부에 유도홀(320)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장착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0)의 장착부(300)에는 상기 장착실(310)의 개구(312)를 개폐하는 덮개(340)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340)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실(310) 내의 치약을 압축시킨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 조절구(430)가 구비되어 치약추출부(40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의 구성에서 상기 식모부(100)의 칫솔대(120)의 일단에 형성되는 칫솔모(110)에는 칫솔모(110)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별도로의 캡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호캡(5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호캡(500) 내부에는 칫솔모(110)에 씌워지는 보호실(510)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실(510)에는 칫솔모(110)의 식모부분에 천공된 토출공(330)으로 결합되는 니들핀(520)이 구비된다.
이러한 칫솔대(12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200)와 조립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나선돌부(130)가 구비되게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의 손잡이대(210)에는 상기 칫솔대(120)의 나선돌부(130)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구(220)가 손잡이대(21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20)에는 칫솔대(11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홈(2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칫솔대(120)의 나선돌부(130)와 나사식으로 조립되도록 연결홈(230)의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 중 손잡이부에 대한 도 2의 A-A 선 단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중 조절구에 대한 발췌상태의 사시도인데, 본 발명의 손잡이부(200)는 칫솔질하기에 적당한 길이와 두께로 형성된 손잡이대(210)에 치아측으로 공급되는 치약이 충진되게 하는 장착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300)는, 상기 손잡이대(210)의 표면을 오목하게 파내어 장착실(310)을 형성하되, 치약이 충진된 치약카트리지(600)가 삽입되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실(310)을 형성함에 있어 장착실(310)로 삽입된 치약카트리지(6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장착실(310)의 개구(312)에 덮개(340)가 설치된다.
상기 개구(312)에 설치되는 덮개(340)는 상기 손잡이대(210)의 일측변의 외부에서 덮개(340)를 관통되게 삽입하는 힌지(350)에 의해 상기 개구(312)에서 개폐되며 이로 인해서 상기 장착실(310)이 은폐 또는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장착실(310)이 은폐 및 개방되는 것은 상기 덮개(340)가 장착실(310)의 개구(312)에서 개방 및 폐쇄되기 때문인 것으로, 폐쇄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덮개(340)의 양 측변 저면으로 장착실(310)의 벽면에 밀착되는 폐쇄턱(341)이 돌출된다.
상기 덮개(340)에는 치약의 공급 및 교체하기 위한 치약추출부(4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340)의 중앙에 폭이 좁고 상기 손잡이대(210)의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슬라이드홀(4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홀(410)의 일 측변에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제어면(420)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340)에 형성된 슬라이드홀(410)에는 상기 치약추출부(400)의 조절구(430)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구(430)는 상기 슬라이드홀(410)로 삽입되는 제어축(450)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축(450)의 상부에는 치약의 추출량을 손가락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노브(440)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축(450)의 하부에는 상기 장착실(310)내에 위치하여 치약카트리지(600)를 압착하여 치약이 추출되게 하는 압착대(460)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 중 치약추출부의 슬라이드홀에서 조절구의 제어편이 동작하는 상태의 확대인데, 상기 슬라이드홀(410)에 위치하는 상기 제어축(450)의 내부는 속이 빈 탄성공(454)으로 되고, 상기 제어축(450)의 외면에는 상기 슬리이드홀(410)의 제어면(420)과 탄력접촉 및 마찰 작용이 이루어지는 접촉편(452)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축(450)은 슬라이드홀(410)을 따라 이동되며, 슬라이드홀(410)의 굴곡진 제어면(420)에 접촉편(452)이 마찰될 때 산부분에서 압축되고 골 부분에서 탄성 복귀되며, 탄력적으로 걸리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조절구(430)의 압착대(460)는 중앙에 상기 치약카트리지(600)가 삽입되는 통공(462)이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462)은 상기 치약카트리지(600)가 삽입되는 입구(462a)에서부터 출구(462b)에 이르기까지 경사지며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압착대(460)의 통공(462)은 마치 호퍼(hopper)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 치약카트리지(600)의 외면과 경사접촉을 이루며, 치약카트리지(600)의 외면이 통공(462)의 경사면으로 인해 압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압착대(460)의 저면에는 반 구형상의 가이드돌기(470)가 돌출되게 하여 장착실(310)의 바닥면에 점 접촉되어 압착대(460)의 이동시 마찰계수가 최소화되게 한다.
상기 압착대(460)에 의해 압착되는 치약카트리지(600)는 상기 장착실(310)에 대응되는 크기로 되어, 팽창수축이 자유로운 튜브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절구의 이동으로 치약카트리지가 압박되는 상태이고,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칫솔모(110)에 치약건조방지용 캡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를 나타낸다.
상기 칫솔대(120)의 나선돌부(130)를 상기 손잡이대(210)의 연결구(220)에 나선식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대(210)에 결합된 덮개(340)를 열어 젖혀서 장착실(310)이 개방되면, 상기 덮개(340)의 저면으로 설치된 압착대(460)의 통공(462)으로 치약카트리지(600)를 결합시킨 후 덮개(340)를 장착실(310)의 개구(312)에 결합에 결합되게 닫으면 치약카트리지(600)는 장착실(310)에 장착되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손잡이대(210)의 덮개(340)에 위치한 노브(440)를 칫솔모(110)측으로 밀면 노브(440)의 제어축(450)이 슬라이드홀(410)에서 이동되며 이때 제어축(450)의 접촉편(452)이 굴곡진 제어면(420)의 골에 걸리면서 산을 타고 탄력적으로 차례대로 넘어가는 제한적 이동상태를 이룬다.
이처럼 상기 제어축(450)의 제한적 이동 상태는 치약카트리지(600)의 외면을 단계적으로 압착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대(210)의 덮개(340)에 위치한 노브(440)를 이동시키면 노브(440)에 연결된 압착대(460)의 통공(462)이 치역카트리지(600)의 외면을 압착하면서 이동하므로 치약카트리지(600) 내부에 충진된 치약이 손잡이대(210)와 칫솔대(120)의 내부에 형성된 유도홀(320)을 통하여 칫솔모(110)의 토출공(330)으로 토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조절구(430)의 압착대(460)에서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통공(462)이상기 치약카트리지(600)가 삽입되는 입구(462a)에서부터 출구(462b)에 이르기까지 경사지며 점점 좁아지는 호퍼(hopper)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고 있어서 치약카트리지(600)의 외면과 경사접촉되는 상태로 이동되어 치약카트리지(600)의 외면이 압착되는 상태로 인해 토출된다.
상기 조절구(430)의 노브(440)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대(210)에서 이동시킬 때 압착대(450)의 저면이 장착실(310) 바닥면에서 접촉되는 것으로 인해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므로 이러한 마찰력은 압착대(450)의 저면으로 돌출시킨 가이드돌기(470)에 의한 점접촉으로 해소되어 원활하게 이동된다.
상기 조절구(430)의 노브(440)를 슬라이드홀(410) 끝단 즉 칫솔모(110)측으로 이동되면 치약카트리지(600) 내부의 치약이 모두 소진된 것이어서 새로운 치약카트리지(600)로 교체하고자 할 때, 덮개(340)를 열어 압착대(460)의 통공(462)에서 압착된 상태의 치약카트리지(600)를 제거하고, 새로운 치약카트리지(600)를 통공(462)으로 삽입하여 덮개(340)를 장착실(310)에 덮는 상태로 치약카트리지(600)의 교체는 완료된다.
상기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을 사용하고 난 뒤, 상기 보호캡(500)을 칫솔모(110)의 상부에 씌워주면 상기 보호캡(500)의 보호실(510) 내부에서 돌출된 니들핀(520)이 칫솔모(110)의 토출공(330)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인해 상기 유도홀(320)속의 치약에 공기가 접촉되는 상태는 차단되어 토출공(330)위치의 치약은 건조되지 않아 항 토출되는 상태로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식모부 110 : 칫솔모 120 : 칫솔대
200 : 손잡이부 210 : 손잡이 220 : 연결구
300 : 장착부 310 : 장착실 330 : 토출공
340 : 덮개 400 : 치약추출부 410 : 슬라이드홀
430 : 조절구 440 : 노브 450 : 제어축
452 : 접촉편 460 : 압착대 470 : 가이드돌기
500 : 보호캡 600 : 치약카트리지

Claims (8)

  1. 칫솔모가 일단에 식모되고, 그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칫솔대가 형성된 식모부;
    소정 길이와 두께로 형성되는 손잡이대의 일단으로 상기 식모부의 칫솔대가 선택적으로 조립, 분해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서 상기 칫솔모의 식모위치까지 관통되게 형성된 유도홀과, 치약이 상기 유도홀을 통해 상기 칫솔모까지 공급되도록 장착되는 장착실이 형성된 장착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실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장착되는 치약카트리지를 압축시키는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 조절구가 구비된 치약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약추출부는,
    상기 덮개에 형성되되, 상기 덮개의 중앙 위치를 상기 손잡이대 길이방향으로 천공시켜 형성된 슬라이드홀과, 상기 슬라이드홀의 일측변에 산과 골이 반복되게 형성되는 제어면 및 상기 덮개의 양측변을 돌출시켜 상기 장착실의 입구에 밀폐 결합되는 폐쇄턱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슬라이드홀의 상면에 위치되어 추출량 선택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 저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홀에서 단계적 이동되는 제어축과,상기 제어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실 내에 위치하는 압착대가 일체로 이루어진 조절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절구는,
    상기 제어축이 속이 빈 탄성공으로 되고, 상기 제어축의 외면에는 상기 슬라이드홀의 제어면과 탄력접촉 및 마찰 작용이 이루어지는 접촉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압착대의 중앙으로 형성되는 통공이 상기 치약카트리지가 삽입되게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좁아져 상기 치약카트리지의 외면이 압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부는,
    상기 칫솔모가 일단에 구비된 칫솔대의 타단으로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기 위한 나선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부는,
    상기 칫솔모에 씌워지는 보호실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실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유도홀의 토출공으로 결합되는 니들핀이 형성된 보호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장착실에는,
    상기 장착실에 대응되는 크기이며, 팽창수축되는 튜브로 되되,
    치약이 상기 튜브 속으로 치약이 충진되어 형성되는 치약카트리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34171A 2017-10-16 2017-10-16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KR10199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171A KR101990695B1 (ko) 2017-10-16 2017-10-16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171A KR101990695B1 (ko) 2017-10-16 2017-10-16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356A KR20190042356A (ko) 2019-04-24
KR101990695B1 true KR101990695B1 (ko) 2019-06-18

Family

ID=6628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171A KR101990695B1 (ko) 2017-10-16 2017-10-16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6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570A (en) 1976-11-08 1978-09-26 Ronald Parenti Toothbrush with cartridge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9734U (ko) * 1986-11-15 1988-05-26
KR930008732B1 (ko) * 1991-07-09 1993-09-13 정형근 치약 압출기능을 가진 치약을 내설한 휴대용 위생치솔
KR960000410U (ko) * 1994-06-14 1996-01-17 변경연 치약 압착기
KR100676760B1 (ko) 2005-06-21 2007-02-01 재 근 박 치약 토출 칫솔
KR20140033605A (ko) * 2012-09-07 2014-03-19 장효설 치약이 내장된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570A (en) 1976-11-08 1978-09-26 Ronald Parenti Toothbrush with cartridge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356A (ko)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608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7232310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JP4820364B2 (ja) 流体分注電動歯ブラシに対する構造配列
US7021851B1 (en) Toothbrush incorporating dentifrice dispenser
US9022680B1 (en) Refillable toothbrush and toothpaste cartridge
US4139312A (en) Disposable toothbrush
EP3037060B1 (en) Portable interdental brush
US3081783A (en) Sectional fountain type toothbrush
KR101990695B1 (ko)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US5462377A (en) Toothbrush
KR101710141B1 (ko) 치약 일체형 칫솔
CN208850775U (zh) 牙刷
US20210186195A1 (en) Toothbrush with a replaceable toothpaste cartridge
KR20070081129A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100875038B1 (ko) 치약내장 칫솔
KR200275826Y1 (ko) 칫솔
KR200456256Y1 (ko) 치약 일체형 칫솔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100967854B1 (ko) 치약내장 칫솔
CN208837199U (zh) 牙刷
KR20220109852A (ko) 휴대용 칫솔
KR200417715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170097399A (ko) 치약 일체형 휴대용 칫솔
KR101951667B1 (ko) 치약용기가 수용가능한 칫솔
KR900003790Y1 (ko) 치약을 내장한 교체식 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