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038B1 - 치약내장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내장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038B1
KR100875038B1 KR1020080062544A KR20080062544A KR100875038B1 KR 100875038 B1 KR100875038 B1 KR 100875038B1 KR 1020080062544 A KR1020080062544 A KR 1020080062544A KR 20080062544 A KR20080062544 A KR 20080062544A KR 100875038 B1 KR100875038 B1 KR 10087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handle
string
dentif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준
Original Assignee
정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준 filed Critical 정대준
Priority to KR1020080062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27Lead-screw mechanisms
    • A46B11/0031Means for influencing rotation of the knob, e.g. ratchet, click mechanisms, one way 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2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fill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내장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약 인출의 작동성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사용편이성을 보다 향상시킨 치약이 일체로 내장된 치약내장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2) 내부에 치약저장실(21)이 형성되고 외부의 회전노브(5)를 회전조작하여 치약에 압력을 가하여 강제로 인출하는 수단 및 칫솔모(11)로 치약을 공급하는 수단과, 칫솔모(11)가 형성된 본체(1)가 탈착결합되게 하여 치약의 보충(Refill) 또는 칫솔모(11)가 마손된 경우 등에 본체(1)를 손잡이(2)로부터 분리하여 치약을 보충하거나 본체(1)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등으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수행되고 치약 리필작업 역시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 제작상의 잇점과 더욱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고, 손잡이(2) 외면에 회전노브(5)가 결합된 간결한 외관으로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의 공급이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062544
칫솔, 치약내장형 칫솔, 휴대용 칫솔, 치약 일체형 칫솔, 일회용 칫솔, 치약이 내장된 칫솔, 일회용 및 휴대용 칫솔

Description

치약내장 칫솔{Toothbrush with dentifrice}
본 발명은 치약내장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약 인출의 작동성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사용편이성을 보다 향상시킨 치약이 일체로 내장된 치약내장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구성과 종류의 칫솔과 치약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칫솔과 치약은 상호간에 서로 필요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일체로 구성하기 곤란하여 개별로 제품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별도 제작,판매되는 치약과 칫솔은 가정내에서 사용하는 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이나 여행 등 야외활동의 경우에 있어서는 칫솔과 치약을 각각 별도로 보관,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고, 치약과 칫솔 모두를 구비하지 못하고 치약 또는 칫솔 중에 어느 하나만 갖고 있는 경우에는 칫솔질을 행할 수 없었으며, 숙박업소 등에서도 일회용 제품(칫솔 등)을 제공할 수 없도록 규제되어 사용자의 불편이 따르는 것이었다.
이러한 번거로운 문제와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약을 칫솔과 함께 구성한 다양한 치약내장형 칫솔들이 고안되어 있다.
기존의 치약내장형 칫솔은 치약을 손잡이 부분에 내장시켜 칫솔모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손잡이 부분에 치약 튜브를 구비하고 손잡이를 폴더형으로 접어서 치약을 짜내어 사용토록 하는 등의 여러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치약내장형 칫솔은 치약을 짜내어 칫솔모 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이 복잡하거나 작동방법이 용이치 않은 등의 단점이 있는 것임은 물론 복잡한 구성의 압축피스톤으로 치약을 압출하여 칫솔모로 공급하게 되어 치약의 공급량 조절이 용이치 않고 한번에 많은 량의 치약이 공급되는 등의 여러 문제를 일으킴은 물론 그 작동성도 불량한 등의 여러 문제를 갖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1989-12444호, 제1999-3597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08-266339호 등과 같이 별도의 치약카트리지를 교체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칫솔은 치약카트리지가 교체용으로 제공,사용됨으로써 치약카트리지를 반드시 별도 구비해야 하므로 치약을 반드시 별도 구비하여야 하는 기존의 문제점이 전혀 해결되지 못하였고 칫솔에 부합되는 치약카트리지를 별도로 구매,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가중될 수밖에 없어 실용성이 없는 것이었다.
또, 기존의 치약내장형 칫솔은 치약이 공급되는 칫솔모측의 출구가 항시 개방된 상태로 있게 되어 치약을 한번 인출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매일 수회에 걸쳐 사용하게 되는 칫솔의 특성상 내부 치약이 개방된 칫솔모의 출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접촉하게 되더라도 단시간에 굳게 되는 문제는 거의 발생치 않는 것이나, 생산 및 판매과정에서 장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인하여 내부의 치약이 굳어버리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기존 치약내장형 칫솔은 치약저장실에 압력을 가하여 치약을 출구로부터 인출한 이후에도 치약저장실에 가해진 압력이 잔류하여 원하는 만큼의 충분한 치약을 인출한 후에도 치약저장실에 잔류한 잔여압이 치약의 일부를 출구로 계속 밀어내어 칫솔질이 행해진 이후에도 치약이 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로 인해 칫솔이 오염되거나 불필요한 치약의 배출로 치약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가압버턴을 누르면 치약공급을 위한 가압이 작동하여 손잡이 내측에 형성된 치약저장실로부터 일정량의 치약이 칫솔모로 공급되게 하고, 치약이 공급되는 칫솔모에는 보호스티커를 부착하여 보관, 판매과정에서 치약이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치약이 내장된 칫솔로서 보다 안정된 작동성과 향상된 사용편이성을 제공하는 한편 치약을 공급하는 치약공급수단을 간단히 분리결합할 수 있게 하여 하나의 치약공급수단으로 치약이 내장된 수개의 칫솔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치약 내장 칫솔을 발명한 바 있다.(발명특허출원 제10-2007-0074534호)
또한, 가압버턴을 누르면 치약공급을 위한 압력이 치약저장실에 작용하여 일정량의 치약이 칫솔모 측으로 공급되게 하고, 치약이 적량으로 공급된 이후에는 치약 수납실의 잔여압을 제거하여 치약배출후에 잔류한 치약 수납실의 잔여압이 치약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치약 배출로 인한 칫솔의 오염과 치약의 허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 역시 선발명한 바 있다.(발명특허출원 제10-2007-0055412호 및 제10-2007-0116600호)
본 발명은 손잡이 내부의 치약저장실에 치약이 저장되어 치약공급수단으로 치약저장실 내부의 치약을 칫솔모로 공급하여 치약을 칫솔과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칫솔의 휴대만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치약내장 칫솔에 있어서,
손잡이 내부 치약저장실내의 치약을 칫솔모로 간편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치약저장실이 형성된 손잡이에는 칫솔모가 형성된 본체가 탈착결합되게 하여 치약의 보충(Refill) 또는 칫솔모가 마손된 경우 등에 본체를 손잡이로부터 분리하여 치약을 보충하거나 본체를 교체할 수 있게 하며,
치약저장실이 형성된 손잡이와 치약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수단이 간결한 외관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우수한 디자인의 제품 공급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 내부 치약저장실에 치약이 저장되어 치약을 칫솔과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칫솔의 휴대만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치약내장 칫솔에 있어서, 손잡이 내부에 치약저장실을 형성시키고 외부의 회전노브를 회전조작하여 치약에압력을 가하여 강제로 인출하는 수단 및 칫솔모로 치약을 공급하는 수단과,
치약저장실이 형성된 손잡이에는 칫솔모가 형성된 본체가 탈착결합되게 하여 치약의 보충(Refill) 또는 칫솔모가 마손된 경우 등에 본체를 손잡이로부터 분리하여 치약을 보충하거나 본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치약이 칫솔과 함께 일체로 휴대되어 치약을 별도 휴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치약 인출을 위한 피스톤의 가압작동이 손잡이에 형성된 회전노브의 가압작동으로 간편하게 수행되고 치약 리필작업 역시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되어 제작상의 이점과 더욱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고,
손잡이 외면에 회전노브가 결합된 간결한 외관으로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의 공급이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 내부 치약저장실에 치약이 저장되어 치약을 칫솔과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칫솔의 휴대만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치약내장 칫솔에 있어서, 손잡이 내부에 치약저장실을 형성시키고 외부의 회전노브를 회전조작하여 치약을 가압시켜 칫솔모로 치약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치약저장실이 형성된 손잡이에는 칫솔모가 형성된 본체가 탈착결합되게 하여 치약의 보충(Refill) 또는 칫솔모가 마손된 경우 등에 본체를 손잡이로부터 분리하여 치약을 보충하거나 본체를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칫솔모가 형성된 본체에는 손잡이에 형성된 치약저장실과 치솔모의 인출공을 연결하는 공급로를 형성한다.
치약저장실은 치약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손잡이 내부에 형성하여 구성하고, 치약저장실에는 저장된 치약을 칫솔모측으로 가압하여 본체의 공급로를 따라 칫솔모의 인출공으로 공급할 수 있는 피스톤을 내장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은 손잡이 외측에 형성된 회전노브와 당김줄로 연결하여 회전노브의 회전조작으로 피스톤을 이동시켜 치약을 칫솔모측으로 강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회전노브는 치약저장실의 피스톤과 당김줄로 연결하여 회전노브를 회전조작하면 피스톤과 연결된 당김줄이 릴에 감겨지면서 피스톤을 강제 이동시켜 치약저장실내의 치약을 칫솔모측으로 가압하여 치약을 인출시키도록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칫솔은 내부에 치약이 저장되는 치약저장실(21)이 형성된 손잡이(2)와 손잡이(2)로부터 탈착되는 본체(1)로 구성한다.
본체(1)는 칫솔모(11)의 인출공(12)으로 공급로(13)가 형성되어 손잡이(2)의 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손잡이(2) 내부 치약저장실(21)의 치약을 칫솔모(11)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본체(1)와 손잡이(2)는 도시한 예와 같이 서로 나사결합되는 암,수나사의 분리결합수단(3)이나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탄력적으로 암수결합되는 체결돌기로 형성된 분리결합수단(3a)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한다.
보다 엄밀하게 설명하면, 본체(1)는 손잡이(2)에 결합되어 치약의 인출작동을 수행하는 줄가이드(4)의 릴(6)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손잡이(2)는 내부에 치약이 수납될 수 있는 치약저장실(21)을 형성하고 치약저장실(21) 내부는 치약을 본체(1)의 칫솔모(11)측으로 강제 공급하기 위한 피스톤(22)을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피스톤(22)은 치약저장실(21)의 내벽과 밀폐력을 가지고 밀착결합되도록 하여 가압작동시에 치약이 피스톤(22)과 치약저장실(21)의 내벽 사이로 누출되지 않도록 결합하며 후술하는 회전노브(5)의 당김줄(7)에 의해 강제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손잡이 끝단에는 치약저장실(21)의 피스톤(22) 후방 공간이 외기와 연통될 수 있도록 공기홀(23)을 형성하여 치약보충시에 피스톤(22)이 후방으로 이동될 때 피스톤(22)과 치약저장실(21)의 후방 공간이 밀폐되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손잡이(2)에는 치약저장실(21)의 피스톤(22)을 이동시켜 치약을 칫솔모(11) 측으로 공급하는 치약공급수단을 장착한다.
이하에 치약공급수단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가 분리결합되는 손잡이(2)의 치약저장실(21)에는 피스톤(22)에 연결된 당김줄(7)로 피스톤(22)을 본체(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줄가이드(4)를 장착한다.
줄가이드(4)는 손잡이(2)와는 치약저장실(21)과 연통되게 결합하고, 타측 본체(1)와는 공급로(13)와 연통되게 결합한다.
따라서 본체(1)는 손잡이(2)에 결합된 줄가이드(4)를 통해 손잡이(2)와 분리 가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줄가이드(4)는 도 5 내지 도 6, 6a에서와 같이 손잡이(2)의 치약저장실(21)에 나사결합 등으로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한다.
줄가이드(4)에는 선측(본체(1) 방향)에 피스톤(22)에 연결된 당김줄(7)이 회전노브(5)에 의해 감겨지는 릴(6)을 결합하고, 릴(6)에는 선측에 본체(1)가 분리결합되고 공급로(13)와 연통되는 출구(62)를 형성한다.
상기 출구(6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 등의 분리결합수단(3)(3a)으로 본체(1)가 분리결합된다.
줄가이드(4) 중앙에는 피스톤(22)에 연결된 당김줄(7)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안내공(41)을 형성하고 제1안내공(41) 후방에는 제1안내공(41)으로 삽입된 당김줄(7)이 다시 일측으로 편심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홀(42)을 연통되게 형성하고,
가이드홀(42)에는 릴(6)의 줄감김부(61)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제2안내공(43)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피스톤(22)에 결합된 당김줄(7)을 제2안내공(41)을 통해 가이드홀(42)과 제2안내공(43)을 따라 릴(6) 외측에 형성된 줄감김부(61)로 안내하여 회전노브(5)에 의해 감겨지도록 한다.
상기 줄가이드(4)의 제1안내공(41)에는 당김줄(7)이 삽입되어 당김줄(7)에 묻은 치약을 제거하고 치약의 효과적인 보존을 위해 치약저정실(21)내의 치약이 외기와 단절될 수 있도록 필터(45)를 결합한다.
상기 필터(45)는 삽입된 당김줄(7)의 이동이 원활하게 하면서도 묻은 치약제거와 패킹(Packing)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스펀지, 실리콘 등과 같이 신축력과 밀폐력이 뛰어난 소재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가이드(4)의 제1안내공(41) 양측에는 릴(6)의 출구(62)와 손잡이(2)의 치약저장실(21)을 연통시키는 배출구(44,44')를 관통형성한다.
그리고 피스톤(22)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1안내공(41)을 통해 가이드홀(42)과 제2안내공(43)을 따라 릴(6)의 줄감김부(61) 외측으로 안내된 당김줄(7)은 회전노브(5)의 결속공(51)에 매듭 등으로 결속공(51)에 고정시켜서 회전노브(5)의 회전작동시에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결속공(51)에는 외부에서 당김줄(7)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개(52)를 결합한다.
즉, 상기 릴(6)의 줄감김부(61) 외측으로 안내된 당김줄(7)의 끝단은 회전노브(5)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22)에 연결된 당김줄(7)을 릴(6)의 줄감김부(61)로 감아주는 회전노브(5)는 줄가이드(4)와 릴(6)의 외측에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한다.
회전노브(5)는 상기와 같이 줄가이드(4)와 릴(6)의 외측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되, 줄가이드(4)와 손잡이(2)의 걸림턱을 형성하고 여기 걸려서 분리,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회전되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줄가이드(4)에는 도 6과 같이 스프링(46)에 탄력지지된 고정핀(47)을 외측으로 노출되게 탄력결합하여 회전노브(5)의 걸림홈(53,53')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함으로써 회전노브(5)가 고정핀(47)에 의해 간헐적으로 걸리면서 회 전작동되게 하고, 임의로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상기 회전노브(5)의 걸림홈(53,53')은 도시한 예에서 18개를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걸림홈(53,53')의 개수는 회전노브(5)의 회전운동을 피스톤(2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길이에 따라 적정의 개수로 실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22)에 연결된 당김줄(7)은 줄가이드(4)의 정중앙 제1안내공(41)을 따라 일방으로 편심된 가이드홀(42)을 통해 중앙 제1안내공(41)으로부터 편심되게 원주방향에 형성된 제2안내공(43)을 따라 릴(6)의 줄감김부(61) 외측에 안내되어 그 끝단이 고정연결된 회전노브(5)의 회전작동으로 릴(6)이 줄감김부(61)에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릴(6)의 줄감김부(61)에 감겨지는 당김줄(61)은 치약정실(21)의 피스톤(22)을 본체(1) 방향으로 이동시켜 치약을 강제로 가압함으로써 줄가이드(4)의 배출구(44,44') 및 릴(6)의 출구(62)와 연통된 본체(1)의 공급로(13)를 통해 칫솔모(11)의 인출공(12)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당김줄(7)은 낚싯줄 등과 같이 인성이 우수한 (직경 1mm 내외의) 재질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치약의 보충시에는 본체(1)를 분리결합수단(3)(3a)을 이용하여 손잡이(2)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손잡이(2)의 릴(6)에 형성된 출구(62)를 통해 치약을 치약저장실(21)내로 주입한다.
이때, 출구를 통해 주입되는 치약은 줄가이드(4)의 배출공(44,44')을 통해 치약저장실(21)로 주입되는 압에 의해 피스톤(22)을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보충되는 것으로, 상기 과정에서 치약의 주입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는 피스톤(22)은 당김줄(7)이 치약 인출시와는 역으로 제2안내공(43)과 가이드홀(42) 및 중앙 제1안내공(41)을 통해 릴(6)의 줄감김부(61)로부터 풀려나가게 되고 회전노브(5)는 내측의 걸림홈(53,53')이 스프링(46)에 탄력지지된 고정핀(47)을 극복하면서 치약 인출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과정에서 치약 보충시의 치약 주입압력에도 불구하고 치약저장실(21)내의 피스톤(22)이 원활하게 후퇴되지 않아 치약보충이 용이치 않을 경우에는 치약 인출시와는 반대로 회전노브(5)를 역방향으로 서서히 회전시켜 릴(6)의 줄감김부(61)에 감겨진 당김줄(7)을 조금씩 풀어주면 피스톤(22)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치약 보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 7a와 같이 손잡이(2)로부터 본체(1)를 분리하고 여기에 마개(8) 또는 스티커(81)를 부착하여 유통기간중 치약이 건조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하여 공급한다.
즉, 본체(1)를 손잡이(2)로부터 분리하고, 손잡이(2)의 치약저장실(21)에 치약을 수납한 상태로 제품화하여 공급, 유통시킬 경우에는 유통 과정 등에서 치약저장실(21)내의 치약이 외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보존될 수 있도록 손잡이(2)의 릴(6)에 형성된 출구(62)측에 나사결합되어 탈착되는 마개(8)를 결합하거나 스티커(81)를 부착한다.
또, 도 8과 같이 본체(1)에는 돌기(14)를 형성하여 본체(1)를 손잡이(2)로 부터 분리할 경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노브(5)는 손잡이(2)와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손잡이(2)와 일체감있게 결합되어 칫솔을 구성함으로써 치약인출을 위한 수단이 칫솔 외부에 복잡한 구성 등으로 표출되지 않는 간결한(Simple) 외형으로 다양한 외관미를 갖는 디자인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도 6, 6a는 본 발명의 일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7, 7a는 본 발명의 일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중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본체 11: 칫솔모
12: 인출공 13:공급로
2:손잡이 21:치약저장실
22:피스톤 23:공기홀
3,3a:분리결합수단
4:줄가이드 41:제1안내공
42:가이드홀 43:제2안내공
44,44':배출구 45:필터
46:스프링 47: 고정핀
5:회전노브 51:결속공
52:마개 53,53':걸림홈
6:릴 61:줄감김부
7:당김줄

Claims (6)

  1. 치약저장실이 형성된 손잡이와 분리결합되며 치약저장실로부터 칫솔모로 치약이 공급되는 본체와 치약저장실의 피스톤을 당겨서 치약을 본체의 공급로를 통해 칫솔모로 공급하는 당김줄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당김줄을 회전작동으로 감아서 피스톤을 칫솔모 측으로 당기는 회전노브로 이루어진 치약내장 칫솔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치약저장실에 형성된 피스톤에 연결된 당김줄은 손잡이와 결합된 줄가이드의 제1안내공과 가이드홀 및 제2안내공을 통해 줄가이드에 결합된 릴의 줄감김부 외측으로 안내되게 하고,
    상기 줄가이드와 릴 외측에는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노브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노브에는 피스톤에 연결된 당김줄을 연결하여 회전노브의 회전작동으로 줄감김부의 외측에 감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내장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브 내측에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회전노브의 회전시에 줄가이드에 탄력결합된 고정핀에 탄력적으로 걸려서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내장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저장실과 연통되는 제1안내공에는 당김줄에 묻은 치약을 제거하고 치약저장실내의 치약이 외기와 단절될 수 있도록 필터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내장 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분리된 손잡이에는 치약저장실의 치약 보존을 위해 손잡이의 릴에 형성된 출구측에 마개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내장 칫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분리된 손잡이에는 치약저장실의 치약 보존을 위해 손잡이의 릴에 형성된 출구측에 스티커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내장 칫솔.
  6. 삭제
KR1020080062544A 2008-06-30 2008-06-30 치약내장 칫솔 KR100875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544A KR100875038B1 (ko) 2008-06-30 2008-06-30 치약내장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544A KR100875038B1 (ko) 2008-06-30 2008-06-30 치약내장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038B1 true KR100875038B1 (ko) 2008-12-19

Family

ID=4037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544A KR100875038B1 (ko) 2008-06-30 2008-06-30 치약내장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0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37B1 (ko) * 2013-06-21 2013-09-23 장원봉 고형물 저장용기
CN113647741A (zh) * 2021-07-21 2021-11-16 安徽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牙齿矫正器用清洁牙刷
CN113647741B (zh) * 2021-07-21 2024-05-31 安徽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牙齿矫正器用清洁牙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379Y1 (ko) * 2003-12-19 2004-04-28 신종현 치약 내장형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379Y1 (ko) * 2003-12-19 2004-04-28 신종현 치약 내장형 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37B1 (ko) * 2013-06-21 2013-09-23 장원봉 고형물 저장용기
CN113647741A (zh) * 2021-07-21 2021-11-16 安徽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牙齿矫正器用清洁牙刷
CN113647741B (zh) * 2021-07-21 2024-05-31 安徽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牙齿矫正器用清洁牙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608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7232310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20040240928A1 (en) Travel toothbrush assembly
TW201433280A (zh) 口腔保健系統、套組及方法(三)
KR100894894B1 (ko) 치약내장 칫솔
US8985394B1 (en) Pen removably retaining single use capsule containing tooth whitening compounds, dental bonding compounds and adhesives and removably retaining disposable tooth whitening applicators, disposable dental bonding compound applicators and disposable adhesive applicators
KR100875038B1 (ko) 치약내장 칫솔
US5462377A (en) Toothbrush
KR20060133618A (ko) 치약 토출 칫솔
KR100967854B1 (ko) 치약내장 칫솔
KR200442442Y1 (ko) 치약을 내장한 칫솔
KR200172546Y1 (ko) 칫솔
KR20070081129A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EP3073856B1 (en) Toothbrush
US20050284499A1 (en) Disposable toothbrush having integral toothpaste reservoir
JP2006305282A (ja) 歯ブラシ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101466925B1 (ko) 마스카라용 브러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용기
KR101216314B1 (ko) 일회용 칫솔
US20170049220A1 (en) Dispensing Toothbrush
KR20190042356A (ko) 치약이 추출되는 칫솔
CN207693167U (zh) 一种迷你牙刷
KR200229426Y1 (ko) 칫솔
US9930958B2 (en) Toothbrush
KR20080113778A (ko) 자동치약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