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119B1 -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119B1
KR101990119B1 KR1020180106943A KR20180106943A KR101990119B1 KR 101990119 B1 KR101990119 B1 KR 101990119B1 KR 1020180106943 A KR1020180106943 A KR 1020180106943A KR 20180106943 A KR20180106943 A KR 20180106943A KR 101990119 B1 KR101990119 B1 KR 10199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rating
pvc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환
Original Assignee
(주)금광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광이앤티 filed Critical (주)금광이앤티
Priority to KR1020180106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VC로 제조되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안전 덮개는 PVC 수지 100 중량부에 친환경 가소제 20 내지 60 중량부와, 충격 보강제 5 내지 20 중량부와, 안정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타공된 그레이팅 커버 본체와; 및 상기 커버 본체의 일부에 일체로 결합된 축광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새로운 그레이팅 커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 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우레탄의 접착 부재와 같은 복합 그레이팅 커버 부재와 달리, 1회의 성형 공정을 통해서 제조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PVC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Safety cover for grating with luminous pa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VC로 제조되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틸 그레이팅은 주로 학교 운동장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 단면의 좁고 긴 배수로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 테투리 내부에 격자형 창살이 형성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스틸 그레이팅을 배수로에 설치하면, 우수나 하수는 쉽게 배출되고, 사람의 발이나 물건은 빠지지 않게 된다. 하지만, 스틸 그레이팅의 내부 창살의 간격이 커서 여성용 힐이나 유모차 바퀴와 같은 작은 물건들이 스틸 그레이팅의 창살 사이에 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은 구멍을 가지는 판재로 스틸 그레이팅을 덮어서 배수성은 유지하면서 작은 물건들 빠지지 않도록 하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스틸 그레이팅 안전 덮개는 강성을 가지는 하부 타공판,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타공판과, 탄성을 가지는 상부 타공판,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타공판이 서로 접합된 다층 타공판이 사용되고 있다.
신해에게 허여되고, 발명의 명칭이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이의 제조 방법'인 대한민국 특허 제10-1013089호에서 다층 다공판의 성능과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고가의 성형재인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상부와 하부를 별도로 성형하여 접착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제조 및 납품 단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정시간 야외에서 노출될 경우, 상부 타공판과 하부 타공판의 박리가 발생하게 되어,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여 재정적인 부담을 야기한다.
한편, 스틸 그레이팅은 학교 운동장 주변에 주로 설치되는데, 스틸 그레이팅은 배수로의 상단 양쪽에 고정되지 않고 일측에 배수로 빠져 있거나, 스틸 그레이팅과 스틸 그레이팅 사이가 벌어져 실족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학교 운동장이나 공원 또는 공장 배수로와 같이 야간에 조명이 없는 경우에는 실족의 위험이 더욱 커지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종래 스틸 그레이팅 안전 덮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고 스틸 그레이팅의 구멍을 물리적으로 줄여주는 것에 그치고 있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층으로 이루어진 스틸 그레이팅 안전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야간의 실족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스틸 그레이팅 안전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틸 그레이팅 안전 덮개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그레이팅 안전 덮개는
PVC 수지 100 중량부에 친환경 가소제 20 내지 60 중량부와, 충격 보강제 5 내지 20 중량부와, 안정제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와; 및
상기 안전 덮개 본체에 일체로 결합된 축광 부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는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져 내수성 및 내유성이 우수하여 빗물이나 오염물이 배출되는 배수로의 스틸 그레이팅 커버재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VC수지는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를 금형에서 성형하고,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성형 중합도가 1,000~1,300인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도가 낮은 제품들은 스킬 그레이팅 안전 덮개에 필요한 강성을 제공하기 어렵고, 중합도가 높은 제품들은 금형 내에서 충분한 성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PVC수지는 엘지화학이나 한화케미칼에서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를 이루는 PVC 수지 조성물은 친환경 가소제를 포함하고 있어, 다중 이용시설에 설치되는 스틸 그레이팅의 커버재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가소제는 환경 호르몬인 오르소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유해 중금속, 비스페놀-A, 및 브롬계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는 가소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애경유화의 NEO계 가소제, 일예로 NEO-A, NEO-B, NEO-C, NEO-D, NEO-E, NEO-T, NEO-T3, NEO-S, 엘지화학의 LGflex계 가소제, 예를 들어, LGflex GL-100, LGflex GL-300, LGflex EBN, LGflex BET, LGflex poly 200, 한화케미칼의 Eflex계 가소제, 예를 들어, Eflex 390와 같은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가소제는 PVC를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의 안전 덮개 본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6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5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50 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가소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을 경우, 성형과정에서 안전 덮개 본체의 가공성이 저하되어, 안전 덮개 본체의 복잡한 형상이 구현되기 어렵고, 상기 친환경 가소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을 경우, PVC의 물성, 예를 들어,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재는 안전 덮개에 가해지는 충격, 예를 들어,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되며,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MBS계 충격 보강데, 또는 CPE계 충격 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재는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 보강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보다 적을 경우, PVC 안전 덮개의 본체가 타공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사용 중 외부 충격에 의해서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제는 옥외 노출, 특히 자외선 노출에 의해 충격 방지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연한을 늘릴 수 있도록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틸아크릴레이트 코어와 메틸아크릴레이트 쉘로 이루어진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충격 보강재는 LG화학의 IM계 충격 보강재, 예를 들어, IM809, IM810, IM81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PVC가 가공 과정에서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열 안정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독성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무독성 안정제로는 성형시 작업성을 높이고, 수지의 유동성을 높이며, 표면 광택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유수에 의해서 배수로에 중금속이 배출되지 않도록 Octyltin 안정제 또는 Ca-Zn계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9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8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KD CHEM 사의 LTX-900PF, LTX-930PF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VC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난연제, 자외선 안정제, 활제, 대전 방지제, 충진제, 가교제, 착색제, 핵제와 같은 첨가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전체로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2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첨가제는 1~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는 PVC 조성물을 마스터 배치 형태로 제조한 후,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 성형 금형에 충진 및 용융시키고, 경화 및 탈형 과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축광 부재는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축광 안료는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일광을 축적하고 일몰 후 일정 시간 동안, 예를 들어, 2~3시간동안 축광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것는 안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실시에 있어서, 상기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부재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를 구성하는 축광 PVC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축광 안료가 포함된 PVC 수지와 그레이팅 커버 본체를 이루는 PVC 수지의 상용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 PVC 수지 조성물은 PVC 수지 100 중량부에 친환경 가소제 20 내지 60 중량부와, 충격 보강제 5 내지 20 중량부와, 안정제 1~10중량부와 축광 안료 0.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축광 PVC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부재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의 표면 또는 표면에 형성된 무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부재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에 삽착 또는 접착되는 상기 축광 PVC 조성물로 이루어진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레이팅 커버에 형성된 배수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축광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 전체가 축광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레이팅 안전 덮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 PVC 수지 조성물은 PVC 수지 100 중량부에 친환경 가소제 20 내지 60 중량부와, 충격 보강제 5 내지 20 중량부와, 안정제 1~10중량부와 축광 안료 0.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축광 PVC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PVC 수지 100 중량부에 친환경 가소제 20 내지 60 중량부와, 충격 보강제 5 내지 20 중량부와, 안정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PVC 마스터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PVC 수지 100 중량부에 친환경 가소제 20 내지 60 중량부와, 충격 보강제 5 내지 20 중량부와, 안정제 1~10중량부, 및 축광 안료 0.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축광 PVC 마스터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축광 PVC 마스터 배지를 타공된 그레이팅 커버 본체 금형의 일부 영역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타공된 그레이팅 커버 본체이 나머지에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을 가열 압착하여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축광부를 가지는 PVC 그레이팅 안전 덮개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새로운 그레이팅 안전덮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안전 덮개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우레탄이 접착된 복합 그레이팅 안전 덮개와 달리, 1회의 성형 공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PVC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다층 부재의 박리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안전 덮개는 축광 후 발광이 가능하여 야간 시인성이 우수하고, 야간에 그레이팅이 설치된 배수로가 있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축광 기능이 표면에만 한정되어 있어, 축광재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가격 상승이나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PVC(중합도 1,000)를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PVC 100 중량부에 대해서 친환경 가소제(Eflex 390) 35 중량부와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IM 809) 10 중량부와 열 안정제(KD CHEM 사의 LTX-900PF) 5 중량부와 산화 방지제 1중량부, 난연제 1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2 중량부, 활제 0.5 중량부를 혼련 및 압출하여 마스터 배지를 제조하였다.
이와 별개로, PVC(중합도 1,000)를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PVC 100 중량부에 대해서 친환경 가소제(Eflex 390) 35 중량부와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IM 809) 10 중량부와 열 안정제(KD CHEM 사의 LTX-900PF) 5 중량부와 산화 방지제 1중량부, 난연제 1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2 중량부, 활제 0.5 중량부, 및 축광 안료 5 중량부를 혼련 및 압출하여 축광 마스터 배지를 제조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축광 PVC 마스터 배지(11)를 크레이팅 안전 덮개 상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하부 바닥면으로 가지는 크레이팅 커버 금형(10) 바닥면을 커버할 수 있는 양으로 충진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12)를 크레이팅 커버 상면에 상응하는 크레이팅 안전 덮개 금형(10)을 충진하였다. 상부 금형(20)를 하강하여 가열 및 압착하였다. 압착한 상태에서 냉각하고, 탈형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천공구(31)를 가지며, 표면에 축광무늬(32)가 형성된 크레이팅 안전 덮개(30)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실시에 있어서, PVC의 분자량을 1,100으로 보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실시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이 실시에 있어서, PVC의 분자량을 1,300으로 보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실시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실시예 4
가소제의 양을 25중량부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실시예 5
가소제의 양을 45 중량부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실시예 6
충격 보강제의 양을 10 중량부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비교 실시예 1
PVC를 중합도 800의 PVC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비교 실시예 2
PVC를 중합도 1,700 의 PVC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비교 실시예 3
가소제의 함량을 1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비교 실시예 4
가소제의 함량을 7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비교예 5
충격 보강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비교예 6
축광 PVC 마스터 배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제조된 PVC 마스터 배지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제조된 크레이팅 커버에 광을 조사하여 축광하고 발광시간을 체크하였다.
항목 충격
Charpy 방식[ISO179] (kgf_cm/cm2)
인장
D638(㎏/㎠)
성형성 축광성
실시예 1 31 470
실시예 2 30 485
실시예 3 30 490
실시예 4 31 475
실시예 5 32 460
실시예 6 31 465
비교예 1 24 450
비교예 2 21 480
비교예 3 25 450 X
비교예 4 24 420
비교예 5 12 460
비교예 6 30 460 X
◎:우수, ○:보통, △:약간 나쁨, X : 나쁨
성형성은 표면에 형성된 배수구의 에지 부위 육안 관측
축광성은 일몰 후 1시간에서 휘도 6 이상 충족할 경우 양호로 판정함.
실시예 7
PVC(중합도 1,000)를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PVC 100 중량부에 대해서 친환경 가소제(Eflex 390) 35 중량부와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IM 809) 10 중량부와 열 안정제(KD CHEM 사의 LTX-900PF) 5 중량부와 산화 방지제 1중량부, 난연제 1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2 중량부, 활제 0.5 중량부를 혼련 및 압출하여 마스터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마스터 배지를 사출기 호퍼에 넣고, 그레이팅 안전 덮개 본체의 해당하는 금형을 수직하고 고정하고, 사출한 후, 냉각하여 본체를 탈형하였다.
PVC(중합도 1,000)를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PVC 100 중량부에 대해서 친환경 가소제(Eflex 390) 35 중량부와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IM 809) 10 중량부와 열 안정제(KD CHEM 사의 LTX-900PF) 5 중량부와 산화 방지제 1중량부, 난연제 1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2 중량부, 활제 0.5 중량부, 및 축광 안료 5 중량부를 혼련 및 압출하여 축광 마스터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축광 마스터 배지를 사출기 호퍼에 넣고, 그레이팅 안전 덮개의 상면에 결합되는 축광부 금형을 이용하여 축광부 부품을 사출하였다.
사출된 축광부 부품을 사출된 본체의 커버에 접착하여 상면에 축광성을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커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PVC(중합도 1,000)를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PVC 100 중량부에 대해서 친환경 가소제(Eflex 390) 35 중량부와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IM 809) 10 중량부와 열 안정제(KD CHEM 사의 LTX-900PF) 5 중량부와 산화 방지제 1중량부, 난연제 1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2 중량부, 활제 0.5 중량부, 및 축광 안료 5 중량부를 혼련 및 압출하여 축광 마스터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축광 마스터 배지를 사출기 호퍼에 넣고, 그레이팅 안전 덮개 전체 모양에 해당하는 금형에 걸어서 사출하여, 전체가 축광 부재로 이루어진 그레이팅 안전커버를 제조하였다.
10: 금형
11: 축광 PVC 마스터 배지
12: PVC 마스터 배지
20: 금형 덮개

Claims (7)

  1. PVC 수지 100 중량부에 친환경 가소제 20 내지 60 중량부와, 충격 보강제 5 내지 20 중량부와, 안정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타공된 그레이팅 커버 본체와; 및
    PVC 수지 100 중량부에 친환경 가소제 20 내지 60 중량부와 충격 보강제 5 내지 20 중량부와, 안정제 1~10중량부 및 축광안료 0.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축광 PVC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본체의 일부에 일체로 결합된 PVC 축광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C수지는 성형 중합도가 1,000~1,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제는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광 부재는 그레이팅 커버의 표면에 형성된 무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C 수지 조성물이 축광 안료 0.1~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7. 삭제
KR1020180106943A 2018-09-07 2018-09-07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43A KR101990119B1 (ko) 2018-09-07 2018-09-07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43A KR101990119B1 (ko) 2018-09-07 2018-09-07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133A Division KR101898617B1 (ko) 2018-07-03 2018-07-03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119B1 true KR101990119B1 (ko) 2019-06-20

Family

ID=6710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943A KR101990119B1 (ko) 2018-09-07 2018-09-07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3408A (zh) * 2019-07-24 2019-09-27 陈恒生 一种环保塑料颗粒及薄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303B1 (ko) * 1996-04-24 2003-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내충격성및인장강도를갖는염화비닐수지조성물
KR20120104861A (ko) * 2011-03-14 2012-09-24 장정식 축광 안료를 포함한 그레이팅
JP2018502981A (ja) * 2015-02-04 2018-02-01 ハンワ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親環境可塑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303B1 (ko) * 1996-04-24 2003-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내충격성및인장강도를갖는염화비닐수지조성물
KR20120104861A (ko) * 2011-03-14 2012-09-24 장정식 축광 안료를 포함한 그레이팅
JP2018502981A (ja) * 2015-02-04 2018-02-01 ハンワ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親環境可塑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3408A (zh) * 2019-07-24 2019-09-27 陈恒生 一种环保塑料颗粒及薄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15295B (zh) 用于制造鞋底的方法、鞋底、鞋以及预制的tpu物品
KR101990119B1 (ko)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4555B1 (ko)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3203968A1 (en) Shoe sole structure
TW200626666A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e and method thereof
WO2011015604A3 (de) Photolumineszierendes granula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1898617B1 (ko) 축광부를 가지는 그레이팅 안전 덮개 및 그 제조 방법
TW200833778A (en)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US4862606A (en) Toe guard for footwear,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footwear so made
JP2006192723A (ja) 再生可能な射出成形靴及びその靴の製造方法
CN102417621A (zh) 鞋用耐磨大底橡胶材料
KR20160045237A (ko)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JP4865612B2 (ja) 弾性タイル
KR101617406B1 (ko) 도로용 표지병
CN106867235A (zh) 透明复合材料组合物及使用其制备透明复合材料的方法
TWI777216B (zh) 聚丙烯織品環保噴繪廣告布
KR20150063034A (ko) 보호층을 갖춘 안전화
CN103096748A (zh) 用于保护鞋帮的接缝的系统
DE102012024294A1 (de) Bauteil mit Faserverbundwerkstoff
CN101731790B (zh) 一种不发泡pu鞋底及其制备方法和不发泡pu鞋
JP3839011B2 (ja) 真空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フィルム及び真空成形方法
KR102038157B1 (ko) 쿠션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1463A (ko)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 기능을 가지는 미드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8985B1 (ko) 무스킨 선바이저
KR20100082224A (ko) 인조대리석용 투명칩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