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786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786B1
KR101987786B1 KR1020120080599A KR20120080599A KR101987786B1 KR 101987786 B1 KR101987786 B1 KR 101987786B1 KR 1020120080599 A KR1020120080599 A KR 1020120080599A KR 20120080599 A KR20120080599 A KR 20120080599A KR 101987786 B1 KR101987786 B1 KR 10198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receiving member
water
housing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8528A (ko
Inventor
이응삼
노진환
박시준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610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19065A2/en
Publication of KR20130018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되어 정수를 출수토록 제공된 취출코크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필터가 내장된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의 전면에서,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되고, 정수필터에 연계되어 정수필터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출수토록 제공된 취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되어 정수를 출수토록 제공된 취출코크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에는 정수된 물을 냉수와 온수로 나누어 공급할 수 있는 코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코크 밸브는 사용자가 취수 레버를 당기거나 밀어 냉수 및 온수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할 수 있다.
그러나, 온수의 경우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으면 사용상의 부주의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코크 밸브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실용등록 제0303626호에 기재된 냉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경우, 취수 레버의 전방에 위치한 누름 버튼을 가압한 상태에서만 취수 레버가 작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누름 버튼을 가압하여 취수 버튼이 작동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용기로 취수 레버를 가압해야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할 수 있다.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한 후 취수 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누름 버튼을 다시 한 번 눌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취수 레버를 가압하더라도 토출구가 개방되지 않아 취수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크 밸브는 누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만 취수 레버가 작동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누름 버튼의 작동 없이 취수 레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코크 밸브가 파손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온수의 유출부에 컵 등을 미리 준비하지 못할 경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누름 버튼의 작동에 강한 누름력을 필요로 하여 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취출코크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되어 수용부재에 연계된 경우에 정수를 출수토록 하여, 취출코크가 출수부재인 동시에 안전밸브 역할을 하도록 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하우징을 전체적으로 분해하지 않고도 정수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용부재가 수용부재받침대에 안착됨을 감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용부재의 포트개구가 취출코크의 직하에 위치됨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필터가 내장된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의 전면에서,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되고, 정수필터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출수토록 제공된 취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부는 정수필터가 내장된 장치하우징; 및 상부에 취출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수용부재받침대가 구비되어, 장치하우징의 전면을 덮도록 제공된 전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재가 하우징부에 안착되고 취출부가 수용부재에 연계되면 취출부로부터 수용부재로 정수를 출수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출부로부터 수용부재로 정수가 출수되면 수용부재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출부는 취출개구가 수용부재받침대를 향하도록 전면부의 전면에 위치되고, 상단이 정수필터와 연계되어 정수를 출수토록 제공된 취출코크; 일단이 취출코크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전면부의 후면에 구비된 고정축에 고정되어, 고정축을 기준으로 취출코크의 작동상태에 따라 취출코크의 상하 위치를 잡아주도록 제공된 탄성부재; 및 전면부의 후면에 고정되어, 취출코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는 브이(V)자 형상을 가지며, 브이자 형의 중심부분이 코일스프링타입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출부는 가이드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취출코크의 움직임을 감지토록 제공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지센서는 하우징부에 내장된 제어부에 연계되고, 제어부는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취출코크의 위치가 출수위치에 도달했을 때 취출개구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출수위치에서 취출개구가 취출부의 하부에 위치된 수용부재의 포트개구에 연계된 경우에, 수용부재에 내장된 히팅부재로 하여금 수용부재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하도록 작동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출코크의 상단에는 취출코크의 출수위치에서 가이드부재에 걸리도록 제공된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취출코크의 하단에는 취출코크의 이동을 조정토록 제공된 코크손잡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하우징에는 정수필터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정수필터에 인접한 장치하우징의 일부분을 개방토록 제공된 사이드커버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하우징에는 사이드커버와 접하는 부분에, 사이드커버와 연계되어 사이드커버의 이탈을 방지토록 제공된 잠금부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에 취출부와 연계되도록 구비된 포트개구가 구비되어, 취출부의 개방상태에서 취출부에서 출수된 정수를 수용토록 제공되고, 하단에 히팅부재가 내장되어, 히팅부재의 작동시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토록 제공된 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재받침대에는 수용부재가 수용부재받침대에 안착됨을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위치감지수단은 수용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제1자석을 감지하는 제1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위치감지수단은 수용부재의 포트개구가 취출부에 포함되는 취출코크의 직하에 위치되도록 수용부재가 수용부재받침대에 안착됨을 감지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출부에 포함되는 취출코크에는 수용부재의 포트개구가 취출코크의 직하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2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위치감지수단은 수용부재의 상부에 구비된 제2자석을 감지하는 제2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위치감지수단은 수용부재가 수용부재받침대에 안착됨이 제1위치감지수단에 의해서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별도의 안전밸브를 구비하지 않고도, 슬라이딩방식으로 작동되는 취출코크와 취출코크에 연계된 탄성부재, 그리고 취출코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취출코크의 개폐를 제어하는 작동구조를 가져, 취출코크가 수용부재의 포트개구와 밀접하게 결합된 경우에만 정수가 수용부재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취출코크가 출수위치에서 수용부재에 연계되었을 경우에만 수용부재의 히팅부재가 작동되도록 하여, 취출코크가 안전밸브로서 역할을 하게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별도의 안전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하우징 일측면에 사이드커버를 구비하여, 정수필터의 교체시 장치하우징 전부를 분해하지 않고도 사이드커버만 장치하우징에서 분리하여 정수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장치하우징에 구비된 잠금부재를 통해 사이드커버를 락킹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사이드커버가 전면부와 장치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용부재받침대에 구비된 제1위치감지수단이나 취출코크에 구비되는 제2위치감지수단에 의해서 수용부재가 수용부재받침대에 안착됨을 감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용부재의 포트개구가 취출코크의 직하에 위치됨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코크가 수용부재에 연계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코크가 수용부재에 연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장치하우징에 사이드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커버와 잠금부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와 제1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된 부분과 제2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정수필터(110a)가 내장된 하우징부(110), 수용부재(120)와, 하우징부(110)의 전면에 구비된 취출부(1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10)는 전면부(111)와, 전면부(111)와 결합되어 내부 부품을 보호토록 제공된 장치하우징(115)을 포함한다. 전면부(111)에는 제어부(150)와 연계되는 조작버튼(111a)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하우징(115)에는 상기 전면부(111)와 연계되어 장치하우징(115)의 일측면을 덮도록 제공된 사이드커버(116)가 구비된다. 사이드커버(116)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1)는 장치하우징(115)의 전면을 덮도록 제공된 부재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면부(11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벽형태로 이루어지는 등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전면부(111)의 상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가 취출되는 취출부(130)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수용부재(120)가 안착되는 수용부재받침대(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수용부재(120)는 취출부(130)의 하부에서 수용부재받침대(112)에 놓여져, 취출부(130)의 작동시 취출부(130)에서 취출된 정수를 수용토록 제공된 부재이다.
수용부재(120)의 상부에는 취출코크(131)의 취출개구(131b)가 삽입되는 포트개구(121)가 구비된다. 여기서, 포트개구(121)는 취출개구(131b)가 삽입가능한 크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재(120)의 하부에는 히팅부재(123)가 내장된다. 히팅부재(123)는 상기 수용부재받침대(112)에 구비된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가열되도록 작동된다.
여기서, 수용부재(120)와 수용부재받침대(112)의 구조는 공지된 소형가전인 전기주전자와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용부재(120)와 수용부재받침대(112)의 구조 및 전원인가 방식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히팅부재(123)는 제어부(150)에 연계되어, 제어부(150)의 작동에 따라 가열되도록 또는 가열되지 않도록 작동된다. 히팅부재(123)의 작동시, 수용부재(120) 내부에 수용된 정수는 가열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히팅부재(123)는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되어, 취출코크(131)의 취출개구(131b)가 포트개구(121)로 삽입된 경우에 작동되고, 취출개구(131b)가 포트개구(12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취출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111)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의 (a)는 취출코크(131)가 비출수위치(h1)에 있을 때, 즉 취출코크(131)가 수용부재(120)에 연계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b)는 취출코크(131)가 출수위치(h2)에 있을 때, 취출코크(131)가 수용부재(120)에 연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부(130)는 하우징부(110)의 전면에서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취출부(130)는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나 경사지게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등 어떠한 방향으로도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부(130)는 정수필터(110a)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출수토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부(130)는 취출코크(131), 가이드부재(133), 감지센서(135) 및 탄성부재(137)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코크(131)는 정수필터(110a)로부터 제공받은 정수를 외부로 출수토록 제공된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출코크(131)는 가이드부재(133)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나 경사지게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등 어떠한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코크(131)는 상단이 전면부(111) 내부에 위치되고, 취출코크(131)의 하단에 형성된 취출개구(131b)가 수용부재받침대(112)를 향하여 전면부(111)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전면부(111)에 설치된다.
이때, 취출코크(131)의 상단은 정수필터(110a)와 연계된다. 즉, 취출코크(131)는 튜브(미도시)를 통해 정수필터(110a)에 직접 연결되거나, 장치하우징(115)에 내장된 탱크(미도시)에 튜브(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정수필터(110a)에 연계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33)는 전면부(111)의 후면에 설치되어, 취출코크(13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것으로서, 가이드부재(133)의 일측에는 취출코크(13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35)가 부착된다. 감지센서(135)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코크(131)의 하단에는 코크손잡이(132)가 취출코크(13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코크손잡이(132)는 취출코크(131)의 상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이다.
한편,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코크(131)는 상단에 걸림돌기(131a)가 구비된다. 걸림돌기(131a)는 가이드부재(133)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133a)에 걸려 취출코크(131)의 위치를 제한토록 제공된 것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31a)는 출수위치(h2)에서 걸림홈(133a)에 걸려, 취출코크(131)가 출수위치(h2)에서 더 아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출코크(131)의 상단에는 탄성부재(137)가 고정되는 고정돌기(136)가 구비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37)는 일단이 고정돌기(136)에 고정되고 타단이 전면부(111)의 후면에 구비된 고정축(138)에 고정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37)는 브이(V)자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탄성부재(137)의 브이자 형의 중심부분은 코일스프링타입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137)는 탄성부재(137)의 코일스프링에 걸리는 탄성력을 통해, 고정축(138)을 기준으로 취출코크(131)가 비출수위치(h1)에 있을 때 또는 출수위치(h2)에 있을 때 취출코크(131)를 잡아주도록 제공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지센서(135)는 가이드부재(133)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이드부재(133)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취출코크(131)의 위치변화를 감지토록 제공된 센서이다. 감지센서(135)는 제어부(150)에 연계된다.
감지센서(135)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코크(131)의 하단이 수용부재(120)의 포트개구(121)와 이격되어 위치된 경우에 취출코크(131)가 비출수위치(h1)에 있음을 감지한다.
감지센서(135)가 취출코크(131)가 비출수위치(h1)에 있음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50)는 취출코크(131)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지 않도록 작동된다. 더불어, 제어부(150)는 취출코크(131)가 비출수위치(h1)에 있는 경우에는 버튼부(111a)에서 수용부재(120)의 히팅버튼이 선택된 경우에도, 히팅부재(123)도 히팅작동되지 않도록 작동된다.
반면, 감지센서(135)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코크(131)의 하단이 포트개구(121)로 삽입되어 취출코크(131)가 수용부재(120)와 연계되도록 위치된 경우에 취출코크(131)가 출수위치(h2)에 있음을 감지한다.
감지센서(135)가 출수위치(h2)에 있음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50)는 취출코크(131)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도록 작동된다. 더불어, 제어부(150)는 취출코크(131)와 수용부재(120)가 연계되고, 수용부재(120)에 히팅을 요하는 경우에, 히팅부재(123)가 가열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135)가 취출코크(13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면, 감지센서(135)의 종류, 크기 및/또는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취출코크(131)의 취출개구(131b)가 수용부재(120)의 포트개구(121)와 결합되는 출수위치(h2)에 위치되면, 취출코크(131)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수용부재(120)와 취출코크(131)의 결합시 히팅부재(123)가 가열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5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코크(131)가 수용부재(12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취출코크(131)가 비출수위치(h1)에 있을 때, 취출코크(131)를 통해 외부로 정수가 출수되는 것을 정지토록 작동된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취출코크(131)와 수용부재(120)와의 결합해제시 히팅부재(123)의 가열작동이 정지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감지센서(135)를 통해 취출코크(13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정수의 출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코크(131)는 출수부재로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안전밸브 역할도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커버(116) 및 잠금부재(117)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커버(116)는 장치하우징(115)의 일면을 덮는 부재로서, 장치하우징(115)에 내장된 정수필터(110a)의 교체시, 장치하우징(115) 전부를 분해하지 않고도 정수필터(110a)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장치하우징(115)의 일면을 개폐토록 제공된 것이다.
사이드커버(116)에는 사이드커버(116)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 개폐손잡이홈(116a)이 구비된다. 아울러, 사이드커버(116)에는 장치하우징(115)과 접하는 일면에 안착홈(116b)이 구비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하우징(115)의 후면에는 사이드커버(116)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재(117)가 구비된다. 여기서, 잠금부재(117)는 사이드커버(116)에 형성된 안착홈(116b)에 안착되어, 사이드커버(116)가 장치하우징(11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117)는 장치하우징(115)의 후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8)과, 상기 가이드레일(118)을 따라 미닫이방식으로 작동되는 잠금작동바(119)를 구비한다.
여기서, 잠금작동바(119)의 바닥면에는 사이드커버(116)의 안착홈(116b)에 걸리도록 제공된 스토퍼(119a)가 구비된다. 스토퍼(119a)가 안착홈(116b)에 걸릴 때, 잠금작동바(119)는 사이드커버(116)가 장치하우징(11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117)는 잠금작동바(119)를 가이드레일(118)을 따라 스토퍼(119a)가 안착홈(116b)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밀어내는 방식으로 사이드커버(116)를 장치하우징(115)에서 분리할 수 있어, 정수필터(110a)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받침대(112)에는 제1위치감지수단(1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위치감지수단(160)에 의해서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위치감지수단(160)은 제1리드스위치(16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리드스위치(161)는 수용부재(120)의 하부에 구비된 제1자석(125)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수용부재(120)의 제1자석(125)이 제1리드스위치(161) 위에 위치하도록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되면, 제1리드스위치(161)가 제1자석(125)을 감지하여, 예컨대 제1자석(125)에서 나오는 자력을 제1리드스위치(161)가 감지하여,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됨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위치감지수단(16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됨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예컨대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위치감지수단(160)은 수용부재(120)의 포트개구(121)가 취출부(130)의 취출코크(131)의 직하에 위치되도록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됨을 감지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감지수단(160)는 취출부(130)의 취출코크(131)에 대응되는 수용부재받침대(112)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위치감지수단(160)에 의해서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됨이 감지되면, 수용부재(120)의 포트개구(121)가 취출부(130)의 취출코크(131)의 직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코크손잡이(132)에 의해서 취출코크(131)를 아래로 내리기만 하면, 취출코크(131)의 취출개구(131b)가 수용부재(120)의 포트개구(12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위치감지수단(160)은 알림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수단에 의해서,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됨이 제1위치감지수단(160)에 의해서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코크손잡이(132)로 취출코크(131)의 취출개구(131b)가 수용부(120)의 포트개구(12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135)가 취출코크(131)가 출수위치(h1)에 있음을 감지하면, 제어부(150)가 취출코크(131)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취출코크(131)와 수용부재(120)가 연계되고, 수용부재(120)에 히팅을 요하는 경우에, 히팅부재(123)가 가열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수단은, 예컨대 하우징부(110)의 전면부(111)에 구비되는 LED 등이나 부저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알림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됨이 제1위치감지수단(160)에 의해서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부(130)의 취출코크(131)에는 제2위치감지수단(1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위치감지수단(170)에 의해서 수용부재(120)의 포트개구(121)가 취출코크(131)의 직하에 위치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위치감지수단(170)은 제2리드스위치(17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리드스위치(171)는 수용부재(120)의 상부에 구비된 제2자석(127)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수용부재(120)가 수용부재받침대(112)에 안착되어 수용부재(120)의 포트개구(121)가 취출코크(131)의 직하에 위치되면, 제2리드스위치(171)가 제2자석(127)을 감지하여, 예컨대 제2자석(127)에서 나오는 자력을 제2리드스위치(171)가 감지하여, 수용부재(120)의 포트개구(121)가 취출코크(131)의 직하에 위치됨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위치감지수단(17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재(120)의 포트개구(121)가 취출코크(131)의 칙하에 위치됨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정수기 110: 하우징부
111: 전면부 112: 수용부재받침대
115: 장치하우징 116: 사이드커버
117: 잠금부재 120: 수용부재
125: 제1자석 127: 제2자석
130: 취출부 131: 취출코크
133: 가이드부재 135: 감지센서
137: 탄성부재 150: 제어부
160: 제1위치감지수단 161: 제1리드스위치
170: 제2위치감지수단 171 : 제2리드스위치

Claims (19)

  1. 정수필터가 내장된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에서,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되고, 정수필터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출수토록 제공된 취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정수필터가 내장된 장치하우징 및, 상부에 상기 취출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수용부재받침대가 구비되어, 상기 장치하우징의 전면을 덮도록 제공된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부는 취출개구가 상기 수용부재받침대를 향하도록 상기 전면부의 전면에 위치되고, 상단이 상기 정수필터와 연계되어 정수를 출수토록 제공된 취출코크, 일단이 상기 취출코크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구비된 고정축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상기 취출코크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취출코크의 상하 위치를 잡아주도록 제공된 탄성부재 및,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취출코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부재가 상기 하우징부에 안착되고 상기 취출부가 상기 수용부재에 연계되면 상기 취출부로부터 수용부재로 정수를 출수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로부터 상기 수용부재로 정수가 출수되면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브이(V)자 형상을 가지며, 브이자 형의 중심부분이 코일스프링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취출코크의 움직임을 감지토록 제공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된 제어부에 연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취출코크의 위치가 출수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취출개구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위치에서 상기 취출개구가 상기 취출부의 하부에 위치된 수용부재의 포트개구에 연계된 경우에, 상기 수용부재에 내장된 히팅부재로 하여금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하도록 작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코크의 상단에는 상기 취출코크의 출수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걸리도록 제공된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취출코크의 하단에는 상기 취출코크의 이동을 조정토록 제공된 코크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에는 상기 정수필터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필터에 인접한 상기 장치하우징의 일부분을 개방토록 제공된 사이드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에는 상기 사이드커버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사이드커버와 연계되어 상기 사이드커버의 이탈을 방지토록 제공된 잠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에 상기 취출부와 연계되도록 구비된 포트개구가 구비되어, 상기 취출부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취출부에서 출수된 정수를 수용토록 제공되고,
    하단에 히팅부재가 내장되어, 상기 히팅부재의 작동시 내부에 수용된 정수를 가열토록 제공된 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받침대에는 수용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받침대에 안착됨을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은 상기 수용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제1자석을 감지하는 제1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은 상기 수용부재의 포트개구가 상기 취출부에 포함되는 취출코크의 직하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받침대에 안착됨을 감지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에 포함되는 취출코크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포트개구가 상기 취출코크의 직하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제2위치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감지수단은 상기 수용부재의 상부에 구비된 제2자석을 감지하는 제2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은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받침대에 안착됨이 상기 제1위치감지수단에 의해서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20080599A 2011-08-01 2012-07-24 정수기 KR101987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109 WO2013019065A2 (en) 2011-08-01 2012-08-01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6564 2011-08-01
KR1020110076564 2011-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528A KR20130018528A (ko) 2013-02-25
KR101987786B1 true KR101987786B1 (ko) 2019-06-12

Family

ID=4789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599A KR101987786B1 (ko) 2011-08-01 2012-07-24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609B1 (ko) * 2013-03-08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1992240B1 (ko) * 2017-11-21 2019-06-25 오비오주식회사 무빙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359395B1 (ko) * 2019-12-27 2022-02-09 주식회사 세스코 액체 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정수기
KR20230080775A (ko) *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KR20230168156A (ko) 2022-06-03 2023-12-12 코웨이 주식회사 센싱모듈,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정수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737U (ko) * 1997-07-29 1999-02-25 배순훈 위치가변형 콕크높이조절구조
KR20110000880U (ko) * 2009-07-20 2011-0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101122669B1 (ko) * 2009-12-09 2012-03-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528A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786B1 (ko) 정수기
CN110040861B (zh) 净水器
KR100702675B1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KR102410438B1 (ko) 물티슈 가열 장치
KR101828430B1 (ko)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EP2396595B1 (en) Steaming device with a rinsing feature
JP6005240B1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130001194U (ko) 정수기 출수장치 커버
JP2017074989A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164359B1 (ko) 냉온수 일체형 코크 조립체
KR200439266Y1 (ko) 냉온 정수기의 연속 취수용 코크 밸브
KR20090062972A (ko)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JP5516553B2 (ja) 飲料抽出機
KR101692527B1 (ko) 코크 안전장치
KR20080102101A (ko)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101907820B1 (ko) 정수기
KR101948704B1 (ko) 정수기
JP5329258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5505367A (ja) 熱安全弁のある抜き出し装置を備える容器のある調理機器
KR101971283B1 (ko) 정수기
KR101232491B1 (ko) 정수기
US20230240470A1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101886632B1 (ko) 온수 코크
JP7303427B2 (ja) 電気機器の蒸気検知機構
KR102223924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