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751B1 -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 Google Patents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751B1
KR101987751B1 KR1020180140819A KR20180140819A KR101987751B1 KR 101987751 B1 KR101987751 B1 KR 101987751B1 KR 1020180140819 A KR1020180140819 A KR 1020180140819A KR 20180140819 A KR20180140819 A KR 20180140819A KR 101987751 B1 KR101987751 B1 KR 10198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r
opening
fram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사관
Original Assignee
김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관 filed Critical 김사관
Priority to KR102018014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의 좌,우 벽체상에 각각 직립 설치되는 벽체도어바와, 출입구의 중앙에 직립 설치되는 중간기둥바와, 일측 벽체도어바 및 중간기둥바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문과, 중간기둥바로부터 타측 벽체도어바에 이르는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개폐문과, 상기 고정문 및 개폐문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수행하는 기계박스로 구성된 슬라이딩 자동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기계박스의 실내측 패널상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MDF 합판 등의 단열패널로 하여 해당 패널의 내측에 조립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간기둥바는 고정문과 개폐문세로바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는 표면상에 높이 방향으로 단열바가 설치된 조립식 사각 기둥 프레임으로 제작하며, 상기 개폐문의 폐쇄시 밀착되는 개폐문세로바와 해당 벽체도어바에는 서로 마주보면서 기어식으로 맞물리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밀폐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고정문과 개폐문을 이루는 도어유리판의 가장자리측 마감팩킹재 중 실외측 마감팩킹재를 해당 위치의 프레임상에 스냅식으로 조립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며, 상기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보조하는 바닥측 레일트랙은 고정문가로바와 스냅식으로 조립 가능한 판형 프레임으로 제작함으로서, 우수한 단열성능을 보장하면서도 그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Sliding type auto-door with improved insulative and constructive fuction}
본 발명은 출입구의 좌,우측 벽체상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벽체도어바와, 상기 좌,우측 벽체도어바의 사이에 해당하는 출입구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간기둥바와, 상기 일측 벽체도어바와 중간기둥바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문과, 상기 중간기둥바로부터 타측 벽체도어바에 이르는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한편, 고정문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개폐 작동되는 개폐문과, 상기 고정문과 개폐문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수행하는 기계박스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자동문은 출입구를 통하여 사람이 지나가고자 하는 시점에 일측의 개폐문을 모터의 동력으로 자동 개폐시킴으로서 출입의 편리함을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기존에는 백화점이나 호텔 또는 공항의 대합실 등과 같은 특수한 대형 건물에 주로 설치되어 오다가, 해당 기술이 점차적으로 보편화 및 상용화 됨에 따라 최근에는 중,소형 상점이나 음식점과 같은 상가 건물이나 아파트와 같은 주거지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자동문은 출입구의 좌,우측 벽체 사이에 고정문과 개폐문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고정문과 개폐문의 상단측에는 고정문의 일측단으로부터 고정문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따라 개폐문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기계박스를 설치한 것이 대부분이며, 상기 고정문과 개폐문은 강화유리로 제작된 도어유리판이 주로 사용되고, 상기 도어유리판의 가장자리측에는 문틀(도어프레임)을 제공하는 상,하측 가로바와 좌,우측 세로바가 실리콘 등의 마감재에 의하여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자동문의 실질적인 개폐작동을 수행하는 개폐문의 상부측 가로바에는 롤러브라켓에 의하여 최소 2개 이상의 가이드롤러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기계박스의 내부에는 가이드롤러의 회전작동을 수행하는 모터와 가이드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내장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개폐문의 하측에 해당하는 출입구의 바닥면에도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는 레일구조물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출입자가 자동문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는지의 여부를 카메라 또는 모션센서 등으로 감지하거나, 출입자가 기등록된 출입카드나 비밀번호 또는 생체정보 등의 인증데이터를 입력시키거나, 출입자가 자동문에 제공된 개방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기계박스의 모터가 작동되어 개폐문이 자동으로 열리고, 개폐문이 열린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모터에 의하여 개폐문이 다시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기존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를 이용하여 기계박스와 고정문 및 개폐문을 사전에 미리 제작한 다음, 이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출입구에 자동문을 설치하는 방식이 주로 적용되었으나, 본 출원인이 2016년 특허출원 제 87682호로 선출원하여 특허등록(제 10-1676433호)된 슬라이딩 자동문의 경우는, 기계박스용 패널 부품 및 고정문과 개폐문을 이루는 가로바와 세로바를 스크류 등으로 현장에서 즉시 조립이 가능한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함으로서, 자동문의 설치작업을 현장 여건에 맞추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제작된 기존의 자동문이나 선출원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자동문에 있어서도, 해당 소재가 모두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이기 때문에, 실외측의 온도가 자동문의 기계박스 및 프레임 구조물을 타고 실내측으로 쉽게 전도될 뿐만 아니라, 자동문의 폐쇄시 개폐문의 일측 세로바가 출입구의 벽체와 밀착되는 부위를 통해서도 다량의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자동문의 단열성이 매우 취약하게 되는 단점이 유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할 목적으로, 기계박스의 실내측 패널에 단열재를 적용시키는 한편, 자동문의 폐쇄시 벽체와 밀착되는 개폐문의 일측 세로바에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밀폐부재를 설치한 단열자동문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55443호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고, 고정문과 개폐문의 문틀을 제공하는 가로바와 세로바를 실내측프레임과 실외측프레임으로 분할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 사이에 폴리아미드 계열의 단열프레임을 개재시킨 단열자동문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92074호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열자동문은 기계박스의 실내측 패널상에 다수 개의 판재와 프레임을 덧대어 칸막이 형태의 수납구조물을 내측면에 설치한 다음, 해당 수납구조물의 내부로 단열재를 충진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으로서, 기계박스의 제작시 수납구조물의 추가 설치 및 단열재의 충진 작업으로 말미암아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수납구조물의 내부공간에 걸쳐 단열재를 정확하고 균일하게 충진시키는 작업 자체가 까다롭기 때문에, 기계박스의 실내측 패널 전면(全面)에 걸쳐 일정한 수준의 단열성능을 확보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계박스의 실내측 패널 상단측과 하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통한 열전도를 방지할 목적으로 단열재와 인접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단부측에 PVC 재질의 단열프레임을 배치하고, 각각의 단열프레임이 수납구조물을 거쳐 단열재와 연결되도록 하는 매우 복잡한 단열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기계박스의 제작과정을 한층 더 까다롭게 하는 요인이 되었고, 자동문의 설치가 요구되는 출입구의 현장 여건에 맞춘 합리적인 조립식 시공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사전 제작이 완료된 기계박스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는 기존의 불합리한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자동문의 폐쇄시 벽체측과 밀착되는 개폐문의 세로바에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밀폐부재를 설치하여 해당 부위를 통한 열손실을 어느 정도 줄일 수는 있었으나, 반원 단면의 탄성밀폐부재를 개폐문의 세로바측에만 설치하였기 때문에, 자동문의 폐쇄작동시 개폐문이 벽체측으로 이동되어 개폐문의 세로바가 벽체와 밀착될 경우, 상기 탄성밀폐부재 및 벽체와의 밀착 접촉면이 단순한 평면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해당 부위를 통한 열손실을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출입구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자동문을 지지하는 중간기둥바의 경우는, 그 좌측이나 우측에 고정문이 연결되는 한편, 그 전방측이나 후방측에 개폐문의 단부측이 위치하므로, 실내측프레임과 실외측프레임의 사이에 단열프레임을 개재시킨 종래의 방식으로는 고정문의 연결 표면과 개폐문의 대응 표면을 아우르는 단열구조를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동문의 견고한 지지에 필요한 프레임의 조립강도 역시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종래의 자동문은 고정문과 개폐문을 이루는 도어유리판과 문틀프레임이 되는 가로바 및 세로바의 사이에 실리콘을 주입시키는 방식의 마감처리가 주로 행하여졌는 바, 자동문의 시공능력을 평가하는 측면과 직결되는 심미감 높은 마감작업을 위해서는 고도로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하므로 인건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됨은 물론이고, 해당 기술자의 숙련도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과 같은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마감처리의 수준이 수시로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한 품질의 자동문 제품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계박스의 가이드롤러와 함께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보조하는 바닥측 레일구조물은 출입구의 바닥면을 통하여 일정 깊이만큼 매입(埋入)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해당 레일구조물의 설치작업이 비교적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출입구의 바닥면 내측을 거쳐 케이블라인 등이 매설된 경우와 같이 출입구의 바닥면을 파낼 수 없는 조건에서는 바닥측 레일구조물의 적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폐문의 안전하고 원활한 작동 및 개폐문 바닥측에 대한 단열성능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920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764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554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박스의 실내측 커버패널상에 MDF 합판 등의 단열패널을 맞대어 조립 설치하되, 커버패널과 단열패널간의 조립구조 자체가 기계박스용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에 대한 커버패널의 조립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단열패널과 인접한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의 단부측에는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을 형성시키며, 상기 중간기둥바는 고정문이 연결되는 표면과 개폐문의 세로바와 마주보는 표면상에 높이 방향으로 단열바가 설치된 고강도의 조립식 사각 기둥 프레임으로 제작하고, 출입구의 좌,우측 벽체상에 벽체도어바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설치하는 한편, 자동문의 폐쇄시 밀착되는 개폐문의 세로바와 해당 벽체도어바에는 서로 마주보면서 기어식으로 맞물리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밀폐부재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고정문과 개폐문을 이루는 도어유리판의 마감재로서 도어유리판의 가장자리측과 밀착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 프레임을 마감팩킹재로 사용하고, 상기 마감팩킹재 중 실외측 마감팩킹재를 해당 위치의 도어용 프레임상에 스냅식으로 조립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며, 상기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보조하는 바닥측 레일구조물은 고정문의 하부측 가로바와 스냅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및 조립 설치된 상태로 출입구의 바닥면상에 놓여지는 판형(板形)의 레일트랙으로 제작함으로서, 우수한 단열성능을 보장하면서도 그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자동문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출입구의 좌,우측 벽체상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벽체도어바와, 상기 좌,우측 벽체도어바의 사이에 해당하는 출입구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간기둥바와, 상기 일측 벽체도어바와 중간기둥바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문과, 상기 중간기둥바로부터 타측 벽체도어바에 이르는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한편, 고정문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개폐 작동되는 개폐문과, 상기 고정문과 개폐문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수행하는 기계박스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문의 하단측에는 고정문가로바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문의 상,하측단과 좌,우측단에는 문틀로서의 개폐문가로바와 개폐문세로바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문가로바와 개폐문가로바와 개폐문세로바는 실내측프레임과 실외측프레임이 단열프레임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된 것이고, 상기 기계박스는 실외측 도어패널과 실내측 커버패널이 상부패널로 연결 설치된 것이며, 상기 커버패널의 하단측에는 도어패널과의 사이에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에 필요한 여유간격을 두고 하부패널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부패널이 고정문의 상단측과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기계박스의 커버패널 내측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단열패널이 밀착 설치되고, 상기 커버패널의 상단측에는 단열패널의 끼움 간격을 제공하도록 "ㄱ"자형 단면의 스냅장착대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커버패널의 하단측에는 단열패널을 떠받치는 걸고리형 단면의 조립프레임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패널의 스냅장착대 끝단부는 스냅식 걸림단부를 제공하도록 "u"자 형태로 굴곡 형성되고, 상기 기계박스의 상부패널 일측단에는 커버패널의 스냅장착대와 끼움식으로 맞물려 밀착되는 "h"자형 단면의 조립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기계박스의 하부패널 일측단에는 커버패널의 걸고리형 조립프레임 내측을 통하여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패널의 타측단 및 이와 마주보는 도어패널의 하단 내측에는 상부측 개폐문가로바와 접촉되도록 모헤어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립프레임과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상부패널의 단부측 및 상기 걸림돌기와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패널의 단부측에는 해당 패널의 길이 방향에 걸쳐 사각 파이프 형태의 팩킹홀더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팩킹홀더부 내측에는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기둥바는 고정문과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표면과, 개폐문세로바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는 표면상에 높이 방향으로 단열바가 각각 설치된 조립식 사각 기둥 프레임이 되고, 상기 개폐문세로바에 의하여 가려지는 중간기둥바의 표면에는 개폐문세로바와 접촉되는 모헤어가 단열바의 좌,우 양측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간기둥바는 "Γ"자형 앵글프레임이 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단열바와 함께 사각 기둥의 한 면을 이루도록 외곽프레임의 자유단부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과 보조프레임과 단열바를 제외한 사각 기둥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는 모서리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바는 사각 막대 형상의 몸체 양측단 중앙부를 따라 사다리꼴 단면의 조립단부가 돌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외곽프레임의 자유단부측과 각각의 보조프레임 일측단에는 프레임간의 끼움 연결식 조립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프레임 타측단부와 모서리프레임의 자유단부측에는 단열바의 조립단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집게발 형태의 끼움조립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개폐문의 폐쇄작동시 서로 밀착되는 일측 개폐문세로바의 표면과 해당 벽체도어바의 표면에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밀폐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단열밀폐부재는 사다리꼴 단면의 메인밀폐부재와 상기 메인밀폐부재가 1/2로 절단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보조밀폐부재가 메인밀폐부재의 치수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각각의 단열밀폐부재는 개폐문의 폐쇄작동시 기어식으로 맞물리는 밀폐구조를 제공하도록 개폐문세로바와 벽체도어바의 높이 방향에 걸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밀폐부재와 보조밀폐부재의 내부는 중공부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면에는 개폐문세로바와 벽체도어바의 헤드장착홈을 따라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조립헤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좌,우측 벽체도어바는 실외측 메인도어바와 실내측 보조도어바가 단열프레임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된 것이고, 상기 개폐문의 폐쇄작동시 개폐문세로바와 밀착되는 벽체도어바의 메인도어바에는 단열밀폐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소정 깊이의 개폐홈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홈부의 중앙부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팩킹홀더부가 메인도어바의 높이 방향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팩킹홀더부의 내측에는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고정문과 개폐문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도어유리판의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실내측과 실외측에 걸쳐 마감팩킹재가 설치된 것이고, 상기 마감팩킹재는 도어유리판과 밀착되는 최소 2개 이상의 팩킹리브를 가지는 "用"자 단면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 프레임 상단에 반원 단면의 팩킹헤드가 돌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고정문과 연결되는 기계박스의 바닥면과 벽체도어바 및 중간기둥바의 표면에는 마감팩킹재가 팩킹브라켓을 개재시킨 상태로 끼움 조립되는 팩킹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문가로바와 개폐문가로바와 개폐문세로바의 실내측프레임에는 마감팩킹재의 팩킹헤드가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팩킹지지대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고정문가로바와 개폐문가로바와 개폐문세로바의 실외측프레임에도 마감팩킹재가 팩킹브라켓을 개재시킨 상태로 끼움 조립되는 팩킹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마감팩킹재의 팩킹브라켓에는 한 쌍의 조립단부가 다리 형태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조립단부 끝단에는 후크형 장착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실외측 마감팩킹재의 팩킹브라켓에는 해당 팩킹조립홈과의 스냅식 조립작업을 위한 스냅걸림단부와 지지단부가 다리 형태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냅걸림단부는 "Γ"자형 단면의 프레임 끝단에 후크형 장착돌기가 제공된 형태로 하여 도어유리판측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단부는 일자(I)형 단면의 프레임 끝단에 "「 "자형 받침돌기가 제공된 형태로 하여 스냅걸림단부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팩킹조립홈은 실내측 마감팩킹재의 팩킹브라켓에 제공된 한 쌍의 조립단부와, 실외측 마감팩킹재의 팩킹브라켓에 제공된 스냅걸림단부 및 지지단부와 맞물리는 "]"자형 단면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팩킹조립홈의 양측 자유단부에도 후크형 장착돌기가 해당 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자동문은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레일트랙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트랙은 출입구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단턱프레임과 걸고리프레임이 각각 형성된 것이며, 상기 걸고리프레임은 내부에 스냅장착홈이 제공된 걸고리형 단면의 프레임이 되고, 상기 고정문가로바의 하단에는 막대판 형태의 거치대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거치대의 끝단부에 레일트랙의 걸고리프레임과 스냅식으로 끼움 조립되는 스냅돌기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레일트랙의 베이스판 중앙측 상부면에는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는 최소 2개 이상의 가이드롤러가 롤러지지대와 함께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부측 개폐문가로바의 실내측프레임과 실외측프레임의 사이에는 가이드롤러의 삽입을 위한 개구부가 제공되며, 상기 단턱프레임은 전방면이 소정의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하여 하부측 개폐문가로바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단턱프레임의 후방면에는 하부측 개폐문가로바와 접촉되는 모헤어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측 개폐문가로바의 바닥면에도 가이드롤러를 사이에 두고 레일트랙의 베이스판과 접촉되는 한 쌍의 모헤어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박스의 실내측 커버패널상에 MDF 합판 등의 단열패널을 맞대어 조립 설치하되, 커버패널과 단열패널간의 조립구조 자체가 기계박스용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에 대한 커버패널의 조립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단열패널과 인접한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의 단부측에는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을 형성시킴으로서, 기계박스의 단열구조를 보다 더 간단하게 구성하여 기계박스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줄이면서도 실내측 커버패널의 전면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밀착되는 단열패널 및 상,하부패널의 단열팩킹에 의하여 보다 더 우수한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자동문의 시공이 요구되는 출입구 현장에서 그 현장 상황에 맞추어 기계박스를 손쉽고 합리적으로 즉시 조립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간기둥바의 경우는 마감팩킹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고정문과 연결되는 표면 및 모헤어를 개재시킨 상태로 개폐문세로바와 마주보는 표면상에 높이 방향으로 막대형 단열바를 설치하되, "Γ"자형 앵글프레임이 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단열바와 함께 해당 표면을 커버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과 보조프레임 및 단열바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는 모서리프레임간의 견고한 맞물림 조립을 통한 사각 기둥 프레임이 되도록 함으로서, 고정문의 연결 표면과 개폐문의 대응 표면을 아우르는 합리적인 단열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자동문의 견고한 지지에 필요한 프레임 강도 역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자동문의 폐쇄시 밀착되는 개폐문세로바와 해당 벽체도어바의 높이 방향에 걸쳐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밀폐부재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단열밀폐부재가 사다리꼴 단면의 중공형 메인밀폐부재 및 그 1/2에 해당하는 단면의 중공형 보조밀폐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자동문의 폐쇄시 각각의 단열밀폐부재가 서로 마주보면서 기어식으로 맞물리도록 설치함에 따라, 상기 개폐문세로바와 벽체도어바의 접촉면이 단열성능은 물론 방음성능까지 매우 우수한 지그재그식 밀착면을 이루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단열밀폐부재가 180도 회전 대칭형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한 가지 종류의 단열밀폐부재로 개폐문세로바와 벽체도어바의 구분없이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자동문의 시공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고정문과 개폐문을 이루는 도어유리판의 마감재로서 도어유리판의 가장자리측과 가압 밀착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 프레임을 마감팩킹재로 사용하고, 상기 마감팩킹재를 팩킹브라켓과 함께 해당 위치의 도어용 프레임측으로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되, 실외측 마감팩킹재의 팩킹브라켓은 해당 위치의 도어용 프레임상에 스냅식으로 끼움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고정문과 개폐문의 마감처리 작업을 누구나 손쉽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심미감이 높은 마감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숙련된 기술자의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자동문의 시공 품질을 항상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개폐문의 슬라이딩 작동을 보조하는 바닥측 레일구조물은, 하부측 고정문가로바와 스냅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및 조립 설치된 상태로 출입구의 바닥면상에 놓여지는 판형의 레일트랙이 되도록 하고, 상기 레일트랙과 하부측 개폐문가로바의 사이에도 3중 구조의 모헤어 설치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출입구의 바닥면을 파내지 않는 조건으로 개폐문의 하부측에 레일구조물을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개폐문의 안전하고 원활한 작동 및 개폐문 하단측의 단열성능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위의 구성과 장점을 한데 집약시켜 우수한 단열성능을 보장하면서도 그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자동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은 기계박스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3에서 기계박스의 패널조립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상태도.
도 6은 중간기둥바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중간기둥바의 분해상태도.
도 8 및 도 9는 개폐문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10의 (가) 및 (나)는 실외측 마감팩킹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바닥측 레일트랙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12는 레일트랙의 조립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자동문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의 좌,우측 벽체상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벽체도어바(7)와, 상기 좌,우측 벽체도어바(7)의 사이에 해당하는 출입구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간기둥바(6)와, 상기 일측(도 2에서 좌측) 벽체도어바(7)와 중간기둥바(6)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문(2)과, 상기 중간기둥바(6)로부터 타측(도 2에서 우측) 벽체도어바(7)에 이르는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한편, 고정문(2)의 후방면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개폐 작동되는 개폐문(3)과, 상기 고정문(2)과 개폐문(3)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수행하는 기계박스(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일측 벽체도어바(7)와 중간기둥바(6) 및 기계박스(1)의 바닥면측이 고정문(2)의 문틀 기능을 병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문(2)의 하단측에는 문틀로서의 고정문가로바(22)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문(3)의 상,하측단과 좌,우측단에는 문틀로서의 개폐문가로바(32)와 개폐문세로바(37)가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는 바, 앞선 종래기술의 내용에서 언급되어진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92074호)의 기술적 사항과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문가로바(22)와 개폐문가로바(32)와 개폐문세로바(37)는 실내측프레임(23)(33)과 실외측프레임(24)(34)이 단열프레임(25)(35)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된 것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좌,우측 벽체도어바(7)의 경우도 실외측 메인도어바(71)와 실내측 보조도어바(72)가 단열프레임(73)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문(2)과 연결되는 벽체도어바(7)에는 출입구의 벽체와 접촉되는 표면상에 자동문(10)의 측방향에 걸쳐 폴딩도어(Folding door)나 픽스창 등을 추가적인 부속품 없이 직접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해당 벽체도어바(7)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스켓홈(75)이 제공되어 있으며,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의 아래에 해당하는 출입구의 바닥측에는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보조하는 레일구조물로서의 레일트랙(Rail track)이 설치되어 있다.
앞선 종래기술의 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고정문(2)과 개폐문(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유리판(21)(31)을 베이스로 하여 제작되는 것이며, 각각의 도어유리판(21)(31) 가장자리측에는 고정문(2)과 개폐문(3)의 문틀을 제공하는 프레임 부분을 따라 실내측과 실외측에 걸쳐 마감팩킹재(4)가 설치되는 바, 고정문(2)용 마감팩킹재(4)는 하부측 고정문가로바(22) 및 해당 가로바와 함께 고정문(2)의 문틀 기능을 수행하는 벽체도어바(7)와 중간기둥바(6)와 기계박스(1)의 바닥면측에 걸쳐 조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문(3)용 마감팩킹재(4)는 개폐문가로바(32)와 개폐문세로바(37)의 실내측프레임(33)과 실외측프레임(34)에 걸쳐 각각 조립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요부에 해당하는 상기 기계박스(1)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5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 도어패널(11)과 실내측 커버패널(13)이 상부패널(12)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커버패널(13)의 하단측에는 도어패널(11)과의 사이에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에 필요한 여유간격을 두고 하부패널(14)이 연결 설치된 것이며, 상기 커버패널(13)의 하단면과 하부패널(14)의 바닥면이 마감팩킹재(4)를 개재시킨 상태로 고정문(2)용 도어유리판(21)의 상단측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도어패널(11)의 하단 내측면과 하부패널(14)의 자유단부(도면상 우측단부)에는 상부측 개폐문가로바(32)와 접촉되어 단열기능을 수행하는 모헤어(Mohair)(4a)가 길이 방향에 걸쳐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패널(11)은 기계박스(1)에 내장된 모터(미도시)와 가이드레일(17) 및 개폐문(3) 상단의 가이드롤러(18)와 이를 모터와 연계시키는 전동수단이 포함된 개폐문(3) 구동기구의 점검이나 수리 또는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패널(11)의 상단측에는 지지단부(11b)와 삽입단부(11c)가 90도 각도를 두고 돌출 형성된 상단힌지축(11a)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상부패널(12)의 일측단(도면상 우측단)에는 도어패널(11)의 상단힌지축(11a)이 삽입되는 "C"자형 단면의 힌지수납부(12a)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수납부(12a)의 내측 중앙에는 도어패널(11)의 개방시 상단힌지축(11a)의 삽입단부(11c)를 밀어 넣을 수 있는 삽입홈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계박스(1)에 내장된 개폐문(3) 구동기구의 점검이나 수리 또는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도어패널(11)을 임시로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상단힌지축(11a)을 중심으로 하여 도어패널(11)을 상부 방향으로 90도 각도만큼 각운동시킨 상태에서 도어패널(11)을 실내측 방향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상단힌지축(11a)의 삽입단부(11c)가 힌지수납부(12a)의 삽입홈부(12b) 내측으로 들어가 걸리게 되므로, 도어패널(11)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이는 앞선 종래기술에서 언급되어진 본 출원인의 선출원(10-2016- 0087682호)에 이미 기재되어 있는 사항이므로 보다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계박스(1)의 주된 기술적 개선사항은, 상기 커버패널(13)의 내측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단열패널(19)을 조립식으로 밀착 설치하는 한편, 상기 단열패널(19)의 장착을 위하여 커버패널(13)에 적용된 조립구조가 상부패널(12) 및 하부패널(14)에 대한 커버패널(13)의 조립구조를 동시에 제공토록 한 것이며, 상기 단열패널(19)은 10~15mm의 두께를 가지는 MDF 합판(원목을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깎아 해섬 처리로 섬유질만을 뽑아낸 뒤 접착제와 섞어 가압시킨 제품)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외에도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나 합성수지 재질의 발포패널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 종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열패널(19)의 장착기능 및 상,하부패널(12)(14)과의 조립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패널(13)의 상단측에는 단열패널(19)의 끼움 간격을 제공하도록 "ㄱ"자형 단면의 스냅장착대(13b)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냅장착대(13b)의 끝단부(도면상 하단부)는 스냅식 걸림단부를 제공하도록 외측 방향을 향하여 "u"자 형태로 굴곡 형성되어 있고, 상부패널(12)과의 조립작업을 보다 더 정확하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스냅장착대(13b)의 상단측에는 "「 "자형 단면의 조립돌기(13a)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패널(13)의 하단측에는 단열패널(19)을 떠받치는 걸고리형 단면의 조립프레임(13c)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패널(13)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각각 제공되는 조립구조와 대응되도록, 상부패널(12)의 일측단(도면상 좌측단)에는 커버패널(13)의 스냅장착대(13b)와 끼움식으로 맞물려 밀착되는 "h"자형 단면의 조립프레임(12e)과 커버패널(13)의 조립돌기(13a) 내측으로 삽입되는 끼움돌기(12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패널(14)의 일측단(도면상 좌측단)에는 커버패널(13)의 걸고리형 조립프레임(13c) 내측을 통하여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ㄴ"자형 단면의 걸림돌기(14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패널(19)의 상단측 부분을 커버패널(13)의 스냅장착대(13b) 내측을 통하여 끼움식으로 삽입시키는 한편, 단열패널(19)의 하단면이 커버패널(13)의 조립프레임(13c)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커버패널(13)의 내측면상에 단열패널(19)을 일차적으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킨 후, 커버패널(13)의 상단측 스냅장착대(13b)를 상부패널(12)의 조립프레임(12e)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상부패널(12)의 끼움돌기(12d)를 커버패널(13)의 조립돌기(13a) 내측으로 삽입시키고, 상기 하부패널(14)의 걸림돌기(14b)가 커버패널(13)의 조립프레임(13c) 내측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면, 단열패널(19)의 이탈없이 커버패널(13)과 상,하부패널(12) (14)을 손쉽고 신속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조립프레임(12e)과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상부패널(12)의 단부측 및 상기 걸림돌기(14b)와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패널(14)의 단부측에는 해당 패널의 길이 방향에 걸쳐 사각 파이프 형태의 팩킹홀더부(12c)(14c)를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각각의 팩킹홀더부(12c)(14c) 내측에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1a)을 형성시킴으로서, 커버패널(13)과 상,하부패널(12)(14)의 조립부위를 통한 열손실, 다시 말해서 단열패널(19)의 상단측과 하단측을 경유하는 열전도를 추가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아존에 의한 단열팩킹(1a)을 상부패널(12)과 하부패널(14) 자체에 제공함으로서, 기계박스(1)의 단열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기계박스(1)의 현장 조립 작업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아존은 폴리아미드 계열과 함께 단열프레임의 제작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팩킹홀더부(12c)(14c)에는 아존의 주입을 위한 개구부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개구부의 양측단과 팩킹홀더부(12c)(14c)의 내측에는 주입된 아존이 팩킹홀더부(12c)(14c)와 견고하게 맞물려 경화되도록 발톱 형태의 돌출부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팩킹홀더부(12c)(14c)로 주입된 아존이 최종 경화되어 충분한 지지강도가 발현되도록 한 이후에는, 개구부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팩킹홀더부(12c) (14c)의 표면 일부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내어 해당 표면을 통한 열전도를 보다 더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부패널(14)의 타측단(도면상 우측단)에는 모헤어장착홈(4b)이 제공된 모헤어프레임(14a)이 소정의 높이만큼 상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헤어프레임(14a)과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도어패널(11)의 하단 내측에도 소정의 높이만큼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절곡부(11d)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단절곡부(11d)에도 모헤어장착홈(4b)이 제공됨으로서, 도어패널(11)과 하부패널(14)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폐문가로바(32)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모헤어(4a)를 연결시켜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레일(17)은 레일바디(16)의 하단 일측(도면상 우측)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레일바디(16)는 조립받침판(19a)과 함께 기계박스(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패널(19)은 조립받침판(19a)과 커버패널(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립받침대(19a)의 하단측과 하부패널(14)의 모헤어프레임(14a) 사이에는 보조받침대(19b)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패널(13)의 하단면과 하부패널(14)의 바닥측에는 고정문(2)의 도어유리판(21)이 연결되는 부위를 따라 마감팩킹재(4)를 조립시킬 수 있도록 "]"자형 단면의 팩킹조립홈(4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패널(13)과 상부패널(12)의 상단측에도 남마용 가스켓홈(1b)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문(2)의 도어유리판(21)과 연결되는 부위를 제외한 하부패널(14)의 나머지 바닥면이 단열팩킹(1a)과 함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당 부위를 따라 개구부커버(15)가 설치되는 바, 상기 개구부커버(15)의 양측 상부면에는 커버패널(13)과 하부패널(14)의 팩킹조립홈(44)으로 각각 끼워지는 걸림단부(15b)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커버(15)의 일측단(도면상 우측단)에도 모헤어장착홈(4b)이 제공된 모헤어프레임(15a)이 도어패널(11)의 하단절곡부(11d)와 마주보도록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측 개폐문가로바(32)의 실내측프레임(33)과 실외측프레임(34)의 사이에는 가이드롤러(18)의 롤러브라켓(18a)과 조립되는 연결프레임(36)이 해당 가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바, 상기 연결프레임(36)의 장착작업을 보다 정확하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프레임(36)의 양측단에는 조립날개부(36a)가 단지게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개폐문가로바(32)의 실내측프레임(33)과 실외측프레임(34) 상단에는 조립날개부(36a)의 끼움간격을 제공하도록 "ㄱ"자형 단면의 단부프레임(38)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요부를 이루는 상기 중간기둥바(6)는 도 2 및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문(2)용 도어유리판(21)과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표면과, 개폐문세로바(37)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는 표면상에 높이 방향으로 막대 형상의 단열바(64)가 각각 설치된 조립식 사각 기둥 프레임이 되고, 상기 각각의 단열바(64)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하여 내부에 중공부를 제공함으로서 충분한 지지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그 단열성능은 높일 수 있게 제작되었으며, 상기 개폐문세로바(37)에 의하여 가려지는 중간기둥바(6)의 표면에는 개폐문세로바(37)와 접촉되어 중간기둥바(6)의 단열성능을 보완하는 모헤어(4a)가 단열바(64)의 좌,우 양측에서 중간기둥바(6)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기둥바(6)는 도 7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Γ"자형 앵글프레임이 되는 외곽프레임(61)과, 상기 각각의 단열바(64)와 함께 사각 기둥의 한 면을 이루도록 외곽프레임(61)의 자유단부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보조프레임(63)과, 상기 외곽프레임(61)과 보조프레임(63)과 단열바(64)를 제외한 사각 기둥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는 모서리프레임(62)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바(64)는 사각 막대 형상의 몸체 양측단 중앙부를 따라 사다리꼴 단면의 조립단부(64a)가 돌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외곽프레임(61)의 자유단부측과 각각의 보조프레임(63) 일측단에는 프레임간의 끼움 연결식 조립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프레임(63) 타측단부와 모서리프레임(62)의 자유단부측에는 단열바(64)의 조립단부(64a)와 맞물려 결합되는 집게발 형태의 끼움조립부(6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61)과 보조프레임(63)을 끼움 연결식으로 조립시킬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61)의 자유단부측에는 보조프레임(63)의 걸림단부(65)와 받침브라켓(66)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63)은 외곽프레임(61)의 받침브라켓(66)과 밀착되는 막대형 단면의 조립프레임(67)을 가지는 한편, 해당 조립프레임(67)의 선단측에 외곽프레임(61)의 걸림단부(65)와 맞물리는 걸림돌기(67a)가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프레임(67)의 후단부측에 집게발 형태의 끼움조립부(68)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프레임(67)과 끼움조립부(68)의 연결부위가 받침브라켓(66) 선단측과의 추가적인 밀착면(63a)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모서리프레임(62)은 외곽프레임(61)과 보조프레임(63)과 단열바(64)를 제외한 사각 기둥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프레임(69)의 양측단에 단열바(64)의 끼움조립부(68)가 각각 제공된 것이고, 상기 외곽프레임(61)과 모서리프레임(62)의 자유단부 외측면에 고정문(2)용 도어유리판(21)의 마감팩킹재(4)가 장착되는 팩킹조립홈(44)과 모헤어(4a)의 장착을 위한 모헤어장착홈(4b)이 해당 위치에 맞추어 제공되는 것이며, 도면부호 66a로 나타낸 것은 고정문(2)용 도어유리판(21)이 연결되는 부위의 조립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적용된 보강살에 해당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중간기둥바(6)의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중간기둥바(6)의 조립구조가 도 7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아니하며, 고정문(2)의 연결 표면과 개폐문(3)의 대응 표면을 아우르는 합리적인 단열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자동문(10)의 견고한 지지에 요구되는 충분한 프레임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조립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고, 중간기둥바(6)를 대신하여 해당 위치에 개폐문세로바(37)와 동일한 구조의 문틀프레임을 고정문(2)용 도어유리판(21)과 연결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며, 이 경우 중간기둥바(6)의 모헤어(4a)는 고정문(2)용 세로바의 실외측프레임에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문(3)의 폐쇄작동시 서로 밀착되는 일측(도면상 우측) 개폐문세로바(37)의 표면과 해당 벽체도어바(7)의 표면에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밀폐부재(8)를 각각 연결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단열밀폐부재(8)가 개폐문(3)의 폐쇄작동시 기어식으로 맞물리는 밀폐구조를 제공하도록 개폐문세로바(37)와 벽체도어바(7)의 높이 방향에 걸쳐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열밀폐부재(8)는 사다리꼴 단면의 메인밀폐부재(81)와 상기 메인밀폐부재(81)가 1/2로 절단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보조밀폐부재(82)가 메인밀폐부재(81)의 치수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베이스판(85)으로부터 돌출 형성됨에 따라, 개폐문세로바(37)와 벽체도어바(7)에 각각 설치되는 단열밀폐부재(8)가 180도 회전 대칭 구조를 이루게 되며, 각각의 단열밀폐부재(8)가 서로간에 보다 더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메인밀폐부재(81)와 보조밀폐부재(82)의 내부는 중공부(87)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판(85)의 타측면에는 개폐문세로바(37)와 벽체도어바(7)의 헤드장착홈(84)을 따라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조립헤드(8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문(3)의 폐쇄작동시 개폐문세로바(37)와 밀착되는 벽체도어바(7)의 메인도어바(71)에는 단열밀폐부재(8)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소정 깊이의 개폐홈부(76)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홈부(76)의 중앙측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팩킹홀더부(77)가 메인도어바(71)의 높이 방향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팩킹홀더부(77)의 내측에는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74)이 형성되어 있는 바,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74)과 관련된 기술적 사항은 앞선 기계박스(1)의 설명 내용에서 언급되어진 것과 동일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좌,우측 벽체도어바(7)는 스크류피스(나사못)(90)를 이용하여 출입구의 벽체상에 고정시키되, 고정문(2)과 연결되는 벽체도어바(7)의 경우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문(2)이 연결되는 위치에 단열프레임(73)을 배치하고, 이 단열프레임(73)을 관통하여 스크류피스(90)가 벽체측으로 체결되게 함으로서, 해당 피스라인이 고정문(2)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개폐문(3)과 대응되는 벽체도어바(7)의 경우는 도 2와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개폐홈부(76)의 단열팩킹(74)을 관통하여 스크류피스(90)가 벽체측으로 체결되게 함으로서, 해당 피스라인이 단열밀폐부재(8)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깔끔한 마감처리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단열밀폐부재(8)의 양측단에는 단열밀폐부재(8)간의 기어식 맞물림 작동이 한층 더 치밀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마감단부가 제공되는 바, 상기 마감단부는 보조밀폐부재(82)의 선단면 외측단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밀폐단부(86)와, 상기 밀폐단부(86)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베이스판(85)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경사절단면이 되며, 상기 단열밀폐부재(8)는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는 상기 고정문(2)과 개폐문(3)의 도어유리판(21)(31)에 적용되는 마감팩킹재(4)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과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팩킹재(4)는 도어유리판(21)(31)과 밀착되는 최소 2개 이상의 팩킹리브(Packing rib)(42)를 가지는 "用"자 단면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 프레임과, 상기 탄성체프레임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반원 단면의 팩킹헤드(41)로 구성되고, 상기 마감팩킹재(4)가 팩킹브라켓(43)을 개재시킨 상태로 도어용 프레임과 조립 설치되거나 또는 도어용 프레임 자체에 제공된 팩킹지지대(48)에 팩킹헤드(41)가 조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팩킹브라켓(43)과 팩킹지지대(48)는 마감팩킹재(4)의 팩킹리브(42)가 도어유리판(21)(31)측을 향하도록 하는 세팅용 프레임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문(2)용 도어유리판(21)과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기계박스(1)의 바닥면, 즉 커버패널(13)의 하단면 및 하부패널(14)의 바닥면과, 벽체도어바(7) 및 중간기둥바(6)의 표면에는 팩킹브라켓(43)의 조립을 위한 팩킹조립홈(44)이 실내측과 실외측에 해당하는 도어유리판(21)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제공되어 있고, 상기 고정문가로바(22)와 개폐문가로바(32)와 개폐문세로바(37)의 실내측프레임(23)(33)에는 마감팩킹재(4)의 팩킹헤드(41) 자체가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팩킹지지대(48)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문가로바(22)와 개폐문가로바(32)와 개폐문세로바(37)의 실외측프레임(24)(34)에는 팩킹브라켓(43)의 조립을 위한 팩킹조립홈(44)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팩킹조립홈(44)은 앞선 설명에서와 같이 "]"자형 단면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팩킹지지대(48)는 도 10과 도 11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팩킹헤드(41)의 끼움 조립을 위한 조립단부가 상단측에 제공된 "F"자형 단면의 프레임이 되며, 실내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에는 한 쌍의 조립단부(45)가 다리 형태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조립단부(45) 끝단에는 팩킹조립홈(44)의 내측으로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후크형 장착돌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팩킹조립홈(44) 입구측에도 후크형 장착돌기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감팩킹재(4)의 주된 기술적 개선사항은 도 10의 (가) 및 (나)에서와 같이, 실외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을 해당 위치의 팩킹조립홈(44)을 통하여 스냅식으로 끼움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실외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에는 해당 팩킹조립홈(44)과의 스냅식 조립작업을 위한 스냅걸림단부(47)와 지지단부(46)가 다리 형태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냅걸림단부(47)는 "Γ"자 단면의 프레임 끝단에 후크형 장착돌기가 제공된 형태로 하여 도어유리판(21)(31)측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단부(46)는 일자(I)형 단면의 프레임 끝단에 "「 "자형 받침돌기가 제공된 형태로 하여 스냅걸림단부(47)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의 (가)에서와 같이 실외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에 제공된 지지단부(46)의 "「 "자형 받침돌기가 해당 팩킹조립홈(44)의 입구 일측단(도면상 우측단)과 맞물리도록 팩킹브라켓(43)을 마감팩킹재(4)와 함께 일차적으로 비스듬히 거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마감팩킹재(4)의 팩킹리브(42)가 도어유리판(21)(31)의 가장자리와 밀착되도록 팩킹브라켓(43)을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넣게 되면, 팩킹브라켓(43)의 스냅걸림단부(47) 끝단에 제공된 후크형 장착돌기가 스냅걸림단부(47)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팩킹조립홈(44)의 입구 타측단(도면상 좌측단) 내부로 밀려 들어감에 따라, 도 10의 (나)에서와 같이 실외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이 해당 위치의 팩킹조립홈(44)상에 스냅식으로 견고하게 끼움 조립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하부에서 추가로 지지하는 레일구조물을 평판(平板) 형태의 레일트랙(5)으로 설치하되, 상기 레일트랙(5)이 하부측 고정문가로바(22)와 스냅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문가로바(22)의 하단에는 막대판 형태의 거치대(57)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57)의 끝단부에는 스냅돌기(57a)가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트랙(5)의 후단부(도면상 좌측단)에는 거치대(57)의 스냅돌기(57a)와 스냅식으로 끼움 조립되는 걸고리프레임(55)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에서와 같이 고정문가로바(22)의 거치대(57) 선단에 제공된 스냅돌기(57a)가 레일트랙(5) 후단부의 걸고리프레임(55)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다음,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레일트랙(5)을 하부 방향으로 각운동시켜 레일트랙(5)이 출입구의 바닥면상에 놓이도록 하면,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보조하는 하부측 레일구조물의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되는 것이며, 해당 작업을 보다 더 견고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걸고리프레임(55)의 내측면에 거치대(57)의 스냅돌기(57a)와 맞물리는 스냅장착홈(55a)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일트랙(5)의 최종적인 고정작업은 베이스판(54)을 관통하여 출입구의 바닥면으로 체결되는 스크류피스(90) 등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 상기 거치대(57) 부분도 스크류피스(90) 등을 이용하여 출입구의 바닥면상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레일트랙(5)을 이루는 베이스판(54)의 중앙측 상부면에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보다 더 정확하고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5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롤러(51)의 경우도 개폐문(3)의 상단측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8)와 마찬가지로, 베이스판(54)의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최소 2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하되, 베이스판(54)의 상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롤러지지대(52)의 상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롤러(51)를 롤러지지대(52)와 함께 베이스판(54)의 상부면에 장착시켜 놓을 수 있도록 롤러지지대(52)의 하단에는 장착판(53)이 제공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롤러(51)가 설치되는 위치는 고정문가로바(22)와 대응되는 베이스판(54) 부분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개폐문(3)의 개방시 제공되는 출입통로의 바닥면에 가이드롤러(51)가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출입자의 보행에 지장이 없도록 함은 물론, 가이드롤러(51)의 불필요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의 바닥면을 통하여 가이드롤러(51)가 롤러지지대(52)와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실내측프레임(33)과 실외측프레임(34)의 사이에는 개구부(39)가 제공되어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레일트랙(5)의 베이스판(54) 선단측(도면상 우측단)에는 전방면이 소정의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는 형태의 단턱프레임(56)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단턱프레임(56)은 출입자의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개폐문(3)의 하단측과 레일트랙(5)의 사이에 충분한 단열성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턱프레임(56)의 후방측(도면상 좌측) 수직면이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편, 해당 수직면에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와 접촉되는 모헤어(4a)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의 바닥면에도 레일트랙(5)의 베이스판(54)과 접촉되는 모헤어(4a)가 실내측프레임(33)과 실외측프레임(34)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프레임(56)의 내부공간은 단열성과 경량화를 위하여 중공부(56a)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박스(1)의 실내측 커버패널(13)상에 MDF 합판 등의 단열패널(19)을 맞대어 조립 설치하되, 커버패널(13)과 단열패널(19)간의 조립구조 자체가 기계박스(1)용 상부패널(12) 및 하부패널(14)에 대한 커버패널(13)의 조립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단열패널(19)과 인접한 상부패널(12) 및 하부패널(14)의 단부측에는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1a)을 형성시킴으로서, 기계박스(1)의 단열구조를 보다 더 간단하게 구성하여 기계박스(1)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으로 줄이면서도 실내측 커버패널(13)의 전면(全面)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밀착되는 단열패널(19) 및 상,하부패널(12) (14)의 단열팩킹(1a)에 의하여 보다 더 우수한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자동문(10)의 시공이 요구되는 출입구 현장에서 그 현장 상황에 맞추어 기계박스(1)를 손쉽고 합리적으로 즉시 조립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기둥바(6)의 경우는 마감팩킹재(4)를 개재시킨 상태로 고정문(2)과 연결되는 표면 및 모헤어(4a)를 개재시킨 상태로 개폐문세로바(37)와 마주보는 표면상에 높이 방향으로 막대형 단열바(64)를 설치하되, "Γ"자형 앵글프레임이 되는 외곽프레임(61)과, 상기 각각의 단열바(64)와 함께 해당 표면을 커버하는 보조프레임(63)과, 상기 외곽프레임(61)과 보조프레임(63) 및 단열바(6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는 모서리프레임(62)간의 견고한 맞물림 조립을 통한 사각 기둥 프레임이 되도록 함으로서, 고정문(2)의 연결 표면과 개폐문(3)의 대응 표면을 아우르는 합리적인 단열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자동문(10)의 견고한 지지에 필요한 프레임 강도 역시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자동문(10)의 폐쇄시 밀착되는 개폐문세로바(37)와 해당 벽체도어바(7)의 높이 방향에 걸쳐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밀폐부재(8)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단열밀폐부재(8)가 사다리꼴 단면의 중공형 메인밀폐부재(81) 및 그 1/2에 해당하는 단면의 중공형 보조밀폐부재(82)를 포함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자동문(10)의 폐쇄시 각각의 단열밀폐부재(8)가 서로 마주보면서 기어식으로 맞물리도록 설치함에 따라, 상기 개폐문세로바(37)와 벽체도어바(7)의 접촉면이 단열성능은 물론 방음성능까지 매우 우수한 지그재그식 밀착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단열밀폐부재(8)가 180도 회전 대칭형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한 가지 종류의 단열밀폐부재(8)로 개폐문세로바(37)와 벽체도어바(7)의 구분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자동문(10)의 시공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고정문(2)과 개폐문(3)을 이루는 도어유리판(21)(31)의 마감재로서 도어유리판(21)(31)의 가장자리측과 가압 밀착되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 프레임을 마감팩킹재(4)로 사용하고, 상기 마감팩킹재(4)를 팩킹브라켓(43)과 함께 해당 위치의 도어용 프레임측으로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되, 실외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은 해당 위치의 도어용 프레임상에 스냅식으로 끼움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고정문(2)과 개폐문(3)의 마감처리 작업을 누구나 손쉽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심미감이 높은 마감처리가 가능토록 하며, 이를 통하여 숙련된 기술자의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자동문(10)의 시공 품질을 항상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보조하는 바닥측 레일구조물은, 하부측 고정문가로바(22)와 스냅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및 조립 설치된 상태로 출입구의 바닥면상에 놓여지는 판형의 레일트랙(5)이 되도록 하고, 상기 레일트랙(5)과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의 사이에도 3중 구조의 모헤어(4a) 설치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출입구의 바닥면을 파내지 않는 조건으로 개폐문(3)의 하부측에 레일구조물을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개폐문(3)의 안전하고 원활한 작동 및 개폐문(3) 하단측의 단열성능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위의 구성과 장점을 한데 집약시켜 우수한 단열성능을 보장하면서도 그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10)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 기계박스 1a,74 : 단열팩킹 1b,75 : 가스켓홈
2 : 고정문 3 : 개폐문 4 : 마감팩킹재
4a : 모헤어 4b : 모헤어장착홈 5 : 레일트랙
6 : 중간기둥바 7 : 벽체도어바 8 : 단열밀폐부재
10 : 자동문 11 : 도어패널 11a : 상단힌지축
11b,46 : 지지단부 11c : 삽입단부 11d : 하단절곡부
12 : 상부패널 12a : 힌지수납부 12b : 삽입홈부
12c,14c,77 : 팩킹홀더부 12d : 끼움돌기 12e,13c,67 : 조립프레임
13 : 커버패널 13a : 조립돌기 13b : 스냅장착대
14 : 하부패널 14a,15a : 모헤어프레임 14b,67a : 걸림돌기
15 : 개구부커버 15b,65 : 걸림단부 16 : 레일바디
17 : 가이드레일 18,51 : 가이드롤러 18a : 롤러브라켓
19 : 단열패널 19a : 조립받침판 19b : 보조받침대
21,31 : 도어유리판 22 : 고정문가로바 23,33 : 실내측프레임
24,34 : 실외측프레임 25,35,73 : 단열프레임 32 : 개폐문가로바
36 : 연결프레임 36a : 조립날개부 37 : 개폐문세로바
38 : 단부프레임 39 : 개구부 41 : 팩킹헤드
42 : 팩킹리브 43 : 팩킹브라켓 44 : 팩킹조립홈
45,64a : 조립단부 47 : 스냅걸림단부 48 : 팩킹지지대
52 : 롤러지지대 53 : 장착판 54,85 : 베이스판
55 : 걸고리프레임 55a : 스냅장착홈 56 : 단턱프레임
56a,87 : 중공부 57 : 거치대 57a : 스냅돌기
61 : 외곽프레임 62 : 모서리프레임 63 : 보조프레임
63a : 밀착면 64 : 단열바 66 : 받침브라켓
66a : 보강살 68 : 끼움조립부 69 : 커버프레임
71 : 메인도어바 72 : 보조도어바 76 : 개폐홈부
81 : 메인밀폐부재 82 : 보조밀폐부재 83 : 조립헤드
84 : 헤드장착홈 86 : 밀폐단부 90 : 스크류피스

Claims (8)

  1. 출입구의 좌,우측 벽체상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벽체도어바(7)와, 상기 좌,우측 벽체도어바(7)의 사이에 해당하는 출입구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간기둥바(6)와, 상기 일측 벽체도어바(7)와 중간기둥바(6)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문(2)과, 상기 중간기둥바(6)로부터 타측 벽체도어바(7)에 이르는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한편, 고정문(2)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개폐 작동되는 개폐문(3)과, 상기 고정문(2)과 개폐문(3)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수행하는 기계박스(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문(2)의 하단측에는 고정문가로바(22)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문(3)의 상,하측단과 좌,우측단에는 문틀로서의 개폐문가로바(32)와 개폐문세로바(37)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문가로바(22)와 개폐문가로바(32)와 개폐문세로바(37)는 실내측프레임(23)(33)과 실외측프레임(24)(34)이 단열프레임(25)(35)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된 것이고, 상기 기계박스(1)는 실외측 도어패널(11)과 실내측 커버패널(13)이 상부패널(12)로 연결 설치된 것이며, 상기 커버패널(13)의 하단측에는 도어패널(11)과의 사이에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에 필요한 여유간격을 두고 하부패널(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부패널(14)이 고정문(2)의 상단측과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자동문(10)에 있어서,
    상기 기계박스(1)의 커버패널(13) 내측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단열패널(19)이 밀착 설치되고, 상기 커버패널(13)의 상단측에는 단열패널(19)의 끼움 간격을 제공하도록 "ㄱ"자형 단면의 스냅장착대(13b)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커버패널(13)의 하단측에는 단열패널(19)을 떠받치는 걸고리형 단면의 조립프레임(13c)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패널(13)의 스냅장착대(13b) 끝단부는 스냅식 걸림단부를 제공하도록 "u"자 형태로 굴곡 형성되고, 상기 기계박스(1)의 상부패널(12) 일측단에는 커버패널(13)의 스냅장착대(13b)와 끼움식으로 맞물려 밀착되는 "h"자형 단면의 조립프레임(12e)이 형성되며,
    상기 기계박스(1)의 하부패널(14) 일측단에는 커버패널(13)의 걸고리형 조립프레임(13c) 내측을 통하여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14b)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패널(14)의 타측단 및 이와 마주보는 도어패널(11)의 하단 내측에는 상부측 개폐문가로바(32)와 접촉되도록 모헤어(4a)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개폐문(3)의 폐쇄작동시 서로 밀착되는 일측 개폐문세로바(37)의 표면과 해당 벽체도어바(7)의 표면에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밀폐부재(8)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단열밀폐부재(8)는 사다리꼴 단면의 메인밀폐부재(81)와 상기 메인밀폐부재(81)가 1/2로 절단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보조밀폐부재(82)가 메인밀폐부재(81)의 치수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베이스판(85)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각각의 단열밀폐부재(8)는 개폐문(3)의 폐쇄작동시 기어식으로 맞물리는 밀폐구조를 제공하도록 개폐문세로바(37)와 벽체도어바(7)의 높이 방향에 걸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밀폐부재(81)와 보조밀폐부재(82)의 내부는 중공부(87)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판(85)의 타측면에는 개폐문세로바(37)와 벽체도어바(7)의 헤드장착홈(84)을 따라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조립헤드(8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프레임(12e)과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상부패널(12)의 단부측 및 상기 걸림돌기(14b)와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패널(14)의 단부측에는 해당 패널의 길이 방향에 걸쳐 사각 파이프 형태의 팩킹홀더부(12c) (14c)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팩킹홀더부(12c)(14c) 내측에는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둥바(6)는 고정문(2)과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표면과, 개폐문세로바(37)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는 표면상에 높이 방향으로 단열바(64)가 각각 설치된 조립식 사각 기둥 프레임이 되고, 상기 개폐문세로바(37)에 의하여 가려지는 중간기둥바(6)의 표면에는 개폐문세로바(37)와 접촉되는 모헤어(4a)가 단열바(64)의 좌,우 양측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둥바(6)는 "Γ"자형 앵글프레임이 되는 외곽프레임(61)과, 상기 각각의 단열바(64)와 함께 사각 기둥의 한 면을 이루도록 외곽프레임(61)의 자유단부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보조프레임(63)과, 상기 외곽프레임(61)과 보조프레임(63)과 단열바(64)를 제외한 사각 기둥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는 모서리프레임(62)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바(64)는 사각 막대 형상의 몸체 양측단 중앙부를 따라 사다리꼴 단면의 조립단부(64a)가 돌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외곽프레임(61)의 자유단부측과 각각의 보조프레임(63) 일측단에는 프레임간의 끼움 연결식 조립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프레임(63) 타측단부와 모서리프레임(62)의 자유단부측에는 단열바(64)의 조립단부(64a)와 맞물려 결합되는 집게발 형태의 끼움조립부(68)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벽체도어바(7)는 실외측 메인도어바(71)와 실내측 보조도어바(72)가 단열프레임(73)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된 것이고, 상기 개폐문(3)의 폐쇄작동시 개폐문세로바(37)와 밀착되는 벽체도어바(7)의 메인도어바(71)에는 단열밀폐부재(8)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소정 깊이의 개폐홈부(76)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홈부(76)의 중앙부에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팩킹홀더부(77)가 메인도어바(71)의 높이 방향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팩킹홀더부(77)의 내측에는 아존의 주입에 의한 단열팩킹(7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문(2)과 개폐문(3)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도어유리판(21)(31)의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실내측과 실외측에 걸쳐 마감팩킹재(4)가 설치된 것이고, 상기 마감팩킹재(4)는 도어유리판(21)(31)과 밀착되는 최소 2개 이상의 팩킹리브(42)를 가지는 "用"자 단면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성체 프레임 상단에 반원 단면의 팩킹헤드(41)가 돌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고정문(2)과 연결되는 기계박스(1)의 바닥면과 벽체도어바(7) 및 중간기둥바(6)의 표면에는 마감팩킹재(4)가 팩킹브라켓(43)을 개재시킨 상태로 끼움 조립되는 팩킹조립홈(4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문가로바(22)와 개폐문가로바(32)와 개폐문세로바(37)의 실내측프레임(23)(33)에는 마감팩킹재(4)의 팩킹헤드(41)가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팩킹지지대(48)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고정문가로바(22)와 개폐문가로바(32)와 개폐문세로바(37)의 실외측프레임(24)(34)에도 마감팩킹재(4)가 팩킹브라켓(43)을 개재시킨 상태로 끼움 조립되는 팩킹조립홈(44)이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에는 한 쌍의 조립단부(45)가 다리 형태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조립단부(45) 끝단에는 후크형 장착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실외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에는 해당 팩킹조립홈(44)과의 스냅식 조립작업을 위한 스냅걸림단부(47)와 지지단부(46)가 다리 형태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냅걸림단부(47)는 "Γ"자형 단면의 프레임 끝단에 후크형 장착돌기가 제공된 형태로 하여 도어유리판(21)(31)측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단부(46)는 일자(I)형 단면의 프레임 끝단에 "「 "자형 받침돌기가 제공된 형태로 하여 스냅걸림단부(47)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상기 각각의 팩킹조립홈(44)은 실내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에 제공된 한 쌍의 조립단부(45)와, 실외측 마감팩킹재(4)의 팩킹브라켓(43)에 제공된 스냅걸림단부(47) 및 지지단부(46)와 맞물리는 "]"자형 단면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팩킹조립홈(44)의 양측 자유단부에도 후크형 장착돌기가 해당 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문(10)은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레일트랙(5)을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트랙(5)은 출입구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54)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단턱프레임(56)과 걸고리프레임(55)이 각각 형성된 것이며,
    상기 걸고리프레임(55)은 내부에 스냅장착홈(55a)이 제공된 걸고리형 단면의 프레임이 되고, 상기 고정문가로바(22)의 하단에는 막대판 형태의 거치대(57)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거치대(57)의 끝단부에 레일트랙(5)의 걸고리프레임(55)과 스냅식으로 끼움 조립되는 스냅돌기(57a)가 상향 돌출되며,
    상기 레일트랙(5)의 베이스판(54) 중앙측 상부면에는 개폐문(3)의 슬라이딩 작동을 안내하는 최소 2개 이상의 가이드롤러(51)가 롤러지지대(52)와 함께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의 실내측프레임(33)과 실외측프레임(34)의 사이에는 가이드롤러(51)의 삽입을 위한 개구부(39)가 제공되며,
    상기 단턱프레임(56)은 전방면이 소정의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하여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단턱프레임(56)의 후방면에는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와 접촉되는 모헤어(4a)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측 개폐문가로바(32)의 바닥면에도 가이드롤러(51)를 사이에 두고 레일트랙(5)의 베이스판(54)과 접촉되는 한 쌍의 모헤어(4a)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KR1020180140819A 2018-11-15 2018-11-15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KR10198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19A KR101987751B1 (ko) 2018-11-15 2018-11-15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19A KR101987751B1 (ko) 2018-11-15 2018-11-15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751B1 true KR101987751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819A KR101987751B1 (ko) 2018-11-15 2018-11-15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522B1 (ko) * 2020-09-28 2021-01-19 이상호 미닫이형 자동문
KR102559397B1 (ko) * 2022-11-11 2023-07-25 주식회사 대진단열 독립 슬라이딩 방식 다단 행거도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655A (ja) * 2002-02-05 2003-10-24 Infinix:Kk 遮煙ドア−装置
KR20070019015A (ko) * 2007-01-25 2007-02-14 (주)태성자동문 자동문 안내레일 및 이를 위한 지지부재와 고정장치
KR20090042065A (ko) * 2007-10-25 2009-04-29 (주)동진에스앤씨 창문의 기밀 구조
KR101094066B1 (ko) * 2011-07-25 2011-12-15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KR20150092074A (ko) 2013-12-31 2015-08-12 김순석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의 조립구조
KR101676433B1 (ko) 2016-07-11 2016-11-15 김사관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슬라이딩 자동문
KR101755443B1 (ko) 2015-06-29 2017-07-10 (주)창명건업 단열 자동문
KR20170080063A (ko) * 2015-12-31 2017-07-10 변상득 슬라이딩 도어의 프레임 부재
KR101885531B1 (ko) * 2017-03-14 2018-08-06 김순석 냉기차단용 압출물이 구비된 자동문 상부구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655A (ja) * 2002-02-05 2003-10-24 Infinix:Kk 遮煙ドア−装置
KR20070019015A (ko) * 2007-01-25 2007-02-14 (주)태성자동문 자동문 안내레일 및 이를 위한 지지부재와 고정장치
KR20090042065A (ko) * 2007-10-25 2009-04-29 (주)동진에스앤씨 창문의 기밀 구조
KR101094066B1 (ko) * 2011-07-25 2011-12-15 김순석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KR20150092074A (ko) 2013-12-31 2015-08-12 김순석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의 조립구조
KR101755443B1 (ko) 2015-06-29 2017-07-10 (주)창명건업 단열 자동문
KR20170080063A (ko) * 2015-12-31 2017-07-10 변상득 슬라이딩 도어의 프레임 부재
KR101676433B1 (ko) 2016-07-11 2016-11-15 김사관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슬라이딩 자동문
KR101885531B1 (ko) * 2017-03-14 2018-08-06 김순석 냉기차단용 압출물이 구비된 자동문 상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522B1 (ko) * 2020-09-28 2021-01-19 이상호 미닫이형 자동문
KR102559397B1 (ko) * 2022-11-11 2023-07-25 주식회사 대진단열 독립 슬라이딩 방식 다단 행거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365B2 (en) Versatile hybrid window system
US6055782A (en) Extruded plastic window frame with peripheral channel for receiving exterior siding
US8074606B1 (en) Plastic pet door assembly
US20110308169A1 (en) Sash for sliding door or window
US8376019B2 (en) Window assembly with movable interior sash
KR101218261B1 (ko) 레일 탈부착식 창호프레임
KR101987751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자동문
US20080072506A1 (en) Vinyl door jamb and casing unit
RU2639626C2 (ru) Рама
US7784430B1 (en) Plastic pet door assembly
EP3325745B1 (en) A sliding door arrangement
US20110041453A1 (en) Method of framing a wall penetration
US7765741B2 (en) Movable light latch
US3310920A (en) Door panel assembly
US11391083B1 (en) Composite fenestration assembly
US5987826A (en) Window assembly
US3731430A (en) Window unit
JP6259220B2 (ja) 建物の開口部の改装構造と改装工法
US11946313B2 (en) Fenestration unit including slidable glass panels
KR101855998B1 (ko) 창문과 창틀에 단열구조를 구비한 시스템 창호
KR101344701B1 (ko) 볼트리스 패널용 창호프레임
US4932453A (en) Prefabricated window system with an overhanging still
US3400492A (en) Door frame assembly
JP2005201036A (ja) 周囲枠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GB2312231A (en) Sliding door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