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549B1 - 구멍탄용 보일러 - Google Patents
구멍탄용 보일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7549B1 KR101987549B1 KR1020170149274A KR20170149274A KR101987549B1 KR 101987549 B1 KR101987549 B1 KR 101987549B1 KR 1020170149274 A KR1020170149274 A KR 1020170149274A KR 20170149274 A KR20170149274 A KR 20170149274A KR 101987549 B1 KR101987549 B1 KR 1019875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rnace
- boiler
- damper
- ai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23L1/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by discharging the air below the fi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3/00—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L13/06—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slidable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5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멍탄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멍탄용 보일러의 화덕과 보일러 본체 배기측 측벽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격판의 단면적을 넓히고, 이로 인해 보일러 본체의 중심부와 바깥영역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의 생성을 최대한 방지하는 구멍탄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구멍탄이 연소될 수 있는 화덕과, 상기 화덕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열교환 코일과, 상기 화덕과 연통되어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로 구성되는 보일러 본체 및 상기 보일러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화덕으로 공급되는 공기 및 화덕을 통하여 낙하되는 재를 받으며 전면부에 공기조절부가 구비되는 재받이를 포함하는 구멍탄용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는, 상기 화덕의 개수에 대응되고, 전방부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덕의 하부로 공기를 응집시켜주는 응집부와, 상기 개구부 전방에 댐퍼가 구비되되, 상기 댐퍼는 개구부와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화덕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구멍탄이 연소될 수 있는 화덕과, 상기 화덕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열교환 코일과, 상기 화덕과 연통되어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로 구성되는 보일러 본체 및 상기 보일러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화덕으로 공급되는 공기 및 화덕을 통하여 낙하되는 재를 받으며 전면부에 공기조절부가 구비되는 재받이를 포함하는 구멍탄용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는, 상기 화덕의 개수에 대응되고, 전방부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덕의 하부로 공기를 응집시켜주는 응집부와, 상기 개구부 전방에 댐퍼가 구비되되, 상기 댐퍼는 개구부와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화덕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멍탄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멍탄용 보일러의 화덕과 보일러 본체 배기측 측벽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격판의 단면적을 넓히고, 이로 인해 보일러 본체의 중심부와 바깥영역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의 생성을 최대한 방지하는 구멍탄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연탄용 보일러는 1구, 2구, 3구 또는 4구의 화덕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연탄보일러의 형태이며, 상기한 무연탄용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은 보일러본체 내에 설치된 화덕 외면에 코일형태로 구성된 수관이 위치되게 한 다음 수관 내를 순환수가 순환되게 함으로서 연탄의 연소열을 전달 받은 화덕이 가열되면서 외측의 수관을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관 내부를 순환하는 순환수가 가열된 상태에서 난방호스를 순환하면서 열교환방식으로 난방을 하게 되고 냉각된 순환수는 다시 보일러로 회수되어 재가열되게 한 다음 난방호스를 통하여 순환되게 하여 필요한 장소를 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무연탄용 보일러는 상향식 연소장치로 이루어져 있고 보일러 몸체에 직접 배출구를 설치하여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있지만, 유연탄용 보일러는 하향식 연소장치로 이루어져 있고 보일러 몸체에 직접 배출구를 설치하여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유, 무연탄 연탄보일러에서는 보일러의 하부에 난방수환수구를 설치하고 보일러의 상부에 난방수출구를 설치하는 구조로 난방수를 순환시키는데, 열교환 코일에서 데워진 뜨거운 난방수가 실내에서 열교환되어 난방환수구로 유입될때는 난방수의 온도가 차가워지며 차가워진 난방수가 열교환코일 및 상부 수실을 통과하면 고온의 연소열과 접하는 부위에서 결로가 발생하여 열교환코일 및 상부 수실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연탄의 경우 무연탄에 비해 발열량은 높으나 비교적 연소시간이 짧기 때문에 단순히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연탄보일러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져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유연탄의 연소시간을 최대화하여 상기한 유연탄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유연탄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여야 되어야 한다.
상기 특허문헌에는 난방수출구와 난방수환수구 사이에 결로방지관을 통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함으로써 환수되는 난방수가 열교환코일로 인입되기 전에, 출수되는 고온의 난방수 일부가 환수되는 난방수에 미리 혼합되도록 하여 난방수환수구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올려줌으로써 난방수환수구 주변에서 발생하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덕(20)과 내부케이스(11)의 배기측 측벽과의 사이에 상부와 좌우측부가 밀폐되고 하부는 개구되게 격판(60)이 설치되며, 이러한 격판(60)은 화덕(20)내 연탄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연소열이 배기연도(68)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연소열이 격판(60)을 통해 배기연도(68)의 상부로 전달될 시 연소열의 온도는 하강하게 되며, 배기연도 상단부(10)의 결로가 발생되고, 이러한 결로를 장기간 방치할 경우 보일러의 본체가 소손되므로 보일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로가 장기간 쌓이다 보면 배출구(50)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멍탄용 보일러의 화덕과 보일러 본체 배기측 측벽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격판의 재질 및 단면적을 넓혀 보일러 본체의 중심부와 바깥영역의 온도차를 최소화하고, 그로 인해 결로의 생성도 최소화하는 구멍탄용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받이에 결합되는 공기조절부 통기공의 개도와, 댐퍼와 개구부의 간격 조절을 통해 화덕에 공급되는 공기를 2중으로 제어함으로서 구멍탄의 연소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구멍탄용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구멍탄이 연소될 수 있는 화덕과, 상기 화덕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열교환 코일과, 상기 화덕과 연통되어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로 구성되는 보일러 본체 및 상기 보일러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화덕으로 공급되는 공기 및 화덕을 통하여 낙하되는 재를 받으며 전면부에 공기조절부가 구비되는 재받이를 포함하는 구멍탄용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는, 상기 화덕의 개수에 대응되고, 전방부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덕의 하부로 공기를 응집시켜주는 응집부와, 상기 개구부 전방에 댐퍼가 구비되되, 상기 댐퍼는 개구부와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화덕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댐퍼의 회전에 따라 개구부와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부는, 상기 재받이와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열교환 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격벽이 구비되되, 상기 격벽은 409계열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그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후면에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멍탄용 보일러에 의하면, 구멍탄용 보일러의 화덕과 보일러 본체 배기측 측벽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격판의 단면적을 넓히고, 이로 인해 보일러 본체의 중심부와 바깥영역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의 생성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보일러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멍탄(유연탄 또는 무연탄)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멍탄의 연소 시간을 공기조절부에 형성되는 통기공의 개도, 댐퍼와 개구부의 간격 조절 즉, 2중으로 화덕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서 구멍탄의 연소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구멍탄용 보일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구비되는 격벽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구멍탄용 보일러의 구성 중 하부 재받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구멍탄용 보일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구비되는 격벽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구멍탄용 보일러의 구성 중 하부 재받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멍탄용 보일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구멍탄용 보일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구비되는 격벽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구멍탄용 보일러의 구성 중 하부 재받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구멍탄용 보일러는 내부에 구멍탄이 연소될 수 있는 화덕(130)과, 상기 화덕(130)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열교환 코일(140)과, 상기 화덕(130)과 연통되어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50)로 구성되는 보일러 본체(100) 및 상기 보일러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화덕으로 공급되는 공기 및 화덕을 통하여 낙하되는 재를 받으며, 전면부에 공기조절부(210)가 구비되는 재받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열교환 코일(140)의 내측에는 공급된 물이 흐르면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보일러 본체(100)의 상부에는 송수구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화덕(130)을 통해 데워진 온수가 배출되어 난방 또는 온수 사용처로 공급되도록 하는 환수구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배출구(150)와 열교환 코일(140) 사이에 개재되는 격벽(120)이 구비된다. 상기 격벽(120)은 보일러 본체(100)의 저면과의 사이에 회류부를 형성하며, 배출구(150)가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 본체(100)의 내측벽과 격벽(120) 사이에 배기연도(17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격벽(120)은 보일러 본체(100)의 내측 상부면에 접합 고정되며, 하부는 개구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격벽(120)은 화덕(130) 내의 구멍탄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연소열이 격벽(120)을 타고 배기연도(170)로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소열이 격벽(120)을 통해 배기연도(170)의 상부로 전달되어 배기연도(170)의 상층 공기의 밀도를 낮춤으로써 배기가스의 통기력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정리하면, 배기연도(170)의 상층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면 배기연도(170) 내에서는 상승기류가 형성되고, 화덕(130) 주변 하부의 공기는 격벽의 하부의 개구부를 통해 배기연도(170)로 이동되며, 화덕(130) 상부의 가열된 공기는 화덕(130) 주변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결국 화덕(130) 내 연탄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가스가 배기연도(170)를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격벽(120)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설치되어 화덕(130)내의 구멍탄 연소에 의하여 발생되는 연소열이 배기연도(170)로 잘 전달되도록 하여야 된다. 따라서 비교적 열전도율도 높으면서 열변형도 없는 재질인 409계열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409계열의 스테인리스는 니켈이 전혀 함유되지 않은 철과 크롬합금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리스로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열변형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성인 격벽은 409계열의 스테인리스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격벽의 재질 및 단면적을 넓어짐에 따라 화덕에서 유연탄을 연소시키게 되면, 비교적 발열량이 높기 때문에 격벽의 온도는 빠른 시간 안에 높아지고 동시에 격벽에서 보유할 수 있는 열의 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유연탄을 연료로 사용하게 되면 배기연도(170)의 상부에 결로 발생도 거의 없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격벽(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엠보싱(121)이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보강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격벽(120)이 열변형에 강한 409계열의 스테인리스로 구성한다 하더라도 격벽(120)을 기준으로 양측은 온도 변화가 크지 않아야 배기연도(170)의 상단부에 결로가 생기지 않게 된다. 특히, 배기연도(170)의 하부에서 상승되는 공기는 온도가 높으나, 배기연도(170)의 상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되는 배기의 온도가 하강하더라도 그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격벽(120)이 보유하고 있는 열이 빨리 식지 않아야 되며, 격벽(120)을 기준으로 양측부의 온도차가 작어야 된다. 따라서 격벽(120)이 보유한 열을 오래, 장시간 가지고 있도록 하기 위해 격벽(120)에 엠보싱(121)을 형성하거나, 그 후면에 보강부재(122)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격벽(120)을 사이에 두고 보일러 본체(100)의 중심부와 바깥영역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결로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재받이(200)는 상기 화덕(130)의 개수에 대응되고, 전방부는 개구부(161)가 형성되며, 상기 화덕(130)의 하부로 공기를 응집시켜주는 응집부(160)와, 상기 개구부(161) 전방에 댐퍼(110)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161)는 공기조절부(210)에 형성되는 통기공(211)과 서로 동일선상에 형성되며, 댐퍼(110)는 통기공(21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화덕(130)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통기공(211)으로 유입된 공기가 화덕(130)에 집중적으로 공급되면 구멍탄의 연소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구부(161)와 댐퍼(110)는 서로 간격이 조절되어야 화덕(13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도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댐퍼(110)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댐퍼(110)의 회전에 따라 개구부(161)와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11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댐퍼(110)의 경우 나사산 없이 가이드부재(111)를 통해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댐퍼의 인출입을 통해 미세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댐퍼(110)의 외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가이드부재(11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댐퍼(110)의 회전에 의해 화덕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한 양까지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화덕으로 유입되는 공기 외에 화덕에서 발생되는 열도 외부로 쉽게 발열되지 않기 때문에 보일러 외측으로 방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일러 내측에 열을 잔류시키는 잔류시간도 증가되어 구멍탄의 연소시간을 최대한 늘릴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조절부(210)에 형성되는 통기공(211)의 개도와, 댐퍼(110)와 개구부(161)의 간격 조절 즉, 화덕(130)에 공급되는 공기를 2중으로 제어함으로서 구멍탄의 연소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구멍탄의 불필요한 연소를 막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과 같이 무연탄 외에 휘발분이 있어 단시간에 연소하며, 발열량이 높은 유연탄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연탄이 많이 생산되는 지역이나 국가 등에서는 유연탄을 가공하여 본 발명 보일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경제적인 면이나 자원 활용 면에서 그리고 생활의 편리성 등을 위하여 유연탄을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재받이(200)의 상부에는 화덕 지지판(220)이 안착되며, 양측에 절곡형성되는 지지편(221)에 의하여 화덕 지지판(220)이 지탱된다. 즉, 상기 화덕 지지판(220)은 화덕(130)의 개수만큼 통공이 형성되며, 화덕(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을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직립설치 된다. 이때 상기한 지지편(221) 외에 응집부(160)도 화덕 지지판(220)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절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받이(200)와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한 재받이(200)의 경우 전방부가 개방된 상태로 보일러 본체(100)의 하부에 접합 고정되고, 공기조절부(210)는 상기 개방부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삽입되어 결합된 후 쉬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자성체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기조절부(210)를 단순히 재받이(200)에 끼워서 즉 삽입시켜 결합하는 것은, 본 발명의 구멍탄용 보일러가 스테인리스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정기간 사용 후 결로 및 그을음 등을 제거하기 위해 내부를 세척하여야 되며, 이 때 물청소를 통하여 보일러 본체 내부를 청소하게 된다. 청소는 상부에서 물을 부어 재받이를 통해 배출되며, 이때 쉽게 재받이(200)에서 공기조절부(210)를 분리한 뒤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구멍탄용 보일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보일러 본체 110 : 댐퍼
111 : 가이드부재 120 : 격벽
121 : 엠보싱 122 : 보강부재
130 : 화덕 140 : 열교환 코일
150 : 배출구 160 : 응집부
161 : 개구부 170 : 배기연도
200 : 재받이 210 : 공기조절부
211 : 통기공 220 : 화덕 지지판
221 : 지지편
111 : 가이드부재 120 : 격벽
121 : 엠보싱 122 : 보강부재
130 : 화덕 140 : 열교환 코일
150 : 배출구 160 : 응집부
161 : 개구부 170 : 배기연도
200 : 재받이 210 : 공기조절부
211 : 통기공 220 : 화덕 지지판
221 : 지지편
Claims (5)
- 내부에 구멍탄이 연소될 수 있는 화덕(130)과, 상기 화덕(130)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열교환 코일(140)과, 상기 화덕(130)과 연통되어 발생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50)로 구성되는 보일러 본체(100) 및 상기 보일러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화덕으로 공급되는 공기 및 화덕을 통하여 낙하되는 재를 받으며 전면부에 공기조절부(210)가 구비되는 재받이(200)를 포함하는 구멍탄용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200)는,
상기 화덕(130)의 개수에 대응되고, 전방부는 개구부(161)가 형성되며, 상기 화덕(130)의 하부로 공기를 응집시켜주는 응집부(160)와, 상기 개구부(161) 전방에 댐퍼(110)가 구비되되,
상기 댐퍼(110)는 개구부(161)와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화덕(13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댐퍼(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댐퍼(110)의 회전에 따라 개구부(161)와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탄용 보일러.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부(210)는,
상기 재받이(200)와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탄용 보일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50)와 열교환 코일(140) 사이에 개재되는 격벽(120)이 구비되되, 상기 격벽은 409계열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탄용 보일러.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20)은,
그 표면에 엠보싱(121)이 형성되거나, 후면에 보강부재(1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탄용 보일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9274A KR101987549B1 (ko) | 2017-11-10 | 2017-11-10 | 구멍탄용 보일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9274A KR101987549B1 (ko) | 2017-11-10 | 2017-11-10 | 구멍탄용 보일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3423A KR20190053423A (ko) | 2019-05-20 |
KR101987549B1 true KR101987549B1 (ko) | 2019-06-10 |
Family
ID=6667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9274A KR101987549B1 (ko) | 2017-11-10 | 2017-11-10 | 구멍탄용 보일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754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21286A (zh) * | 2020-01-03 | 2020-05-08 | 高红 | 一种具有煤渣清理功能的烧煤锅炉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9006A (ja) | 2002-03-25 | 2003-10-02 | Mitsubishi Heavy Ind Ltd | 微粉固体燃料燃焼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1250Y1 (ko) * | 1985-07-04 | 1988-04-02 | 이원실 | 온수 및 증기보일러의 하부구조 |
KR20120087461A (ko) * | 2011-01-28 | 2012-08-07 | 위선정 | 보일러 |
KR20120100604A (ko) | 2011-03-04 | 2012-09-12 | 이주헌 | 연탄보일러의 결로방지장치 |
KR101650239B1 (ko) * | 2014-08-20 | 2016-08-22 | 김철섭 | 화목난로 |
-
2017
- 2017-11-10 KR KR1020170149274A patent/KR1019875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9006A (ja) | 2002-03-25 | 2003-10-02 | Mitsubishi Heavy Ind Ltd | 微粉固体燃料燃焼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21286A (zh) * | 2020-01-03 | 2020-05-08 | 高红 | 一种具有煤渣清理功能的烧煤锅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3423A (ko) | 2019-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92933A (en) | Furnace | |
KR101987549B1 (ko) | 구멍탄용 보일러 | |
KR101617440B1 (ko) | 고체연료 보일러용 연소장치 | |
KR200441449Y1 (ko) | 석탄가스 보일러 | |
US4438755A (en) | Wood burning stove having water heater | |
KR20090070462A (ko) | 열 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 |
KR20120125415A (ko) | 농업용 연탄보일러 | |
TW201533402A (zh) | 具有頂燒式燃燒組件的熱水器 | |
JP2010223539A (ja) | 薪ストーブ装置及び薪ストーブ暖房システム | |
KR101773712B1 (ko) | 가스 재순환 무연통 난로 | |
KR101727692B1 (ko) | 펠릿 난로 | |
CN110546440B (zh) | 兼具热量比例控制功能及防倒流功能的储水式锅炉 | |
CN216953542U (zh) | 冷凝式燃气换热装置 | |
CN109695960A (zh) | 一种多次配风水冷风管的生物质热水炉 | |
CN216953543U (zh) | 冷凝式燃气换热设备 | |
JP5858555B1 (ja) | 薪ストーブ及び温水供給装置 | |
US5377661A (en) | Wood burning stove for heating water | |
RU226406U1 (ru) | Отопительная конвекционная печь | |
CN218328264U (zh) | 一种带承压热水柴火集成灶 | |
RU201371U1 (ru) | Печь банная | |
CN112815526B (zh) | 热风炉 | |
CN211502892U (zh) | 一种带加热水箱的双灶燃烧的燃炉 | |
CN210512172U (zh) | 两用全凝式醇基采暖热水炉 | |
KR20120100604A (ko) | 연탄보일러의 결로방지장치 | |
KR20020088115A (ko) | 보일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