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325B1 -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 Google Patents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325B1
KR101987325B1 KR1020170125695A KR20170125695A KR101987325B1 KR 101987325 B1 KR101987325 B1 KR 101987325B1 KR 1020170125695 A KR1020170125695 A KR 1020170125695A KR 20170125695 A KR20170125695 A KR 20170125695A KR 101987325 B1 KR101987325 B1 KR 101987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inverter
aluminum heat
heat sink
carbon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603A (ko
Inventor
박기주
박건우
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70125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3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소재를 알루미늄 방열판에 부착 또는 코팅하여 케이스의 상단의 지붕으로 구성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에 탑재되고 각종 전기 유닛을 내장하여 외부의 태양광으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외함과, 상기 인버터 외함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표면에 열발산재가 형성되고 요철 구조를 갖는 방열판과, 상기 인버터 외함의 일측면에 상기 방열판과 연결되어 서지전류 또는 낙뢰전류를 대지방류하는 카본나노접지판과, 상기 인버터 외함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통기구와, 상기 인버터 외함 내부에 내장되는 각종 전기 유닛을 지지함과 더불어 좌우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방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Inverter for solar power generation with heat dissipation and earthquake proof function, distribution board, panel board, sunlight connection band}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열 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지진 또는 기계적 진동으로 인한 충격에 내부 부품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장치라 함은, 태양광 인버터, 분·배전반, 저압반, 고압반, 변압반, 모터 제어반, ESS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로 차단기나 마그네틱과 같은 전력소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하거나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의 여러 전력장치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장치인 배전반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서, 일반적으로 박스 형태를 가지고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설치된다.
일반적인 배전반은 케이스 내에 주배선 차단기와 보조배선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 등의 각종 유니트가 설치되고 그 유니트 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배전반에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개의 부스바(bus-bar)가 설치되며, 부스바는 일측이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 부스바와, 모선 부스바에 연결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차단기에 공급하는 자선 부스바로 구성된다.
또한, 배전반은 하나의 폐쇄형 함체 내에 특고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압변압기와 계기용 변류기와 고압 인입 선로를 스위치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와 한류형 고압퓨즈 등을 포함하고 있어, 수용가 측의 전력사용량에 따라 고압 변압기 등에서 열이 발생하여 함체 내부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배전반에서 그 함체 내부온도의 과도한 상승은 각종 부품 및 기기들의 동작효율과 정확도가 떨어지고 나아가서는 화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 내부온도감시회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배전반 내부온도의 급작스런 상승이 나타나거나 설정의 온도에 도달하였음이 파악되면 즉시 냉각팬을 가동시켜 함체 내부온도를 강제 강하시키게 된다.
그러나, 강제 통풍을 통한 배전반의 방열동작은 외부로부터의 미세 먼지 유입을 초래하고 또한 내부의 미립먼지를 분산시켜 재배치 고착시키게 되므로 이것에 의해 배전반내의 각종 설비나 기기의 단자 또는 부스바 등의 저항온도계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배전반 함체의 상판부와 하판부에 각각 내부기기의 냉각을 위한 방열구와 통풍구를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전반 함체의 상판부와 하판부에 내부기기의 냉각을 위한 방열구와 통풍구만으로는 배전반 함체 방열에 한계가 있어 더욱 효과적인 방열을 위한 기술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를 포함한 수배전반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특고압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설비와, 변전소로부터 수전된 고압, 특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기 위한 변전설비, 강압된 전기를 빌딩 내의 각 부의 전기기기나 조명 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전설비 및 상기 수전설비, 변전설비 및 배전설비를 수용하는 외함을 포함하고 있고,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수배전반은, 기계적 진동 또는 지진에 의한 진동이 수배전반으로 그대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수배전반이 지면에 설치되는 이유로, 기계적 진동 내지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 등이 발생하면 수배전반의 내부의 전력기기 및 이러한 전력기기를 상호 연결하는 배선 그리고 보호계전기 등의 전기부품이 손상 또는 파손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발생된 장애에 의해 전력공급의 중단 및 화재가 야기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579912호(2015. 12. 17.)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2265호(2014. 02. 03.)
(특허문헌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5298호(2000. 06. 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소나노소재를 알루미늄 방열판에 부착 또는 코팅하여 케이스의 상단의 지붕으로 구성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함에 실장되는 전기 부품의 하부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방진부를 구성함으로써 지진 또는 기계적 진동과 같은 충격 발생시 내부 전기부품의 유동으로 인한 손상과 더불어 정전과 화재와 같은 2차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방전용 인버터는 내부 공간에 탑재되고 각종 전기 유닛을 내장하여 외부의 태양광으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외함과, 상기 인버터 외함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표면에 열발산재가 형성되고 요철 구조를 갖는 방열판과, 상기 인버터 외함의 일측면에 상기 방열판과 연결되어 서지전류 또는 낙뢰전류를 대지방류하는 카본나노접지판과, 상기 인버터 외함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통기구와, 상기 인버터 외함 내부에 내장되는 각종 전기 유닛을 지지함과 더불어 좌우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방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탄소나노소재를 알루미늄 방열판에 부착 또는 코팅하여 케이스의 상단의 지붕으로 구성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외함에 실장되는 전기 부품의 하부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방진부를 구성함으로써 지진 또는 기계적 진동과 같은 충격 발생시 내부 전기부품의 유동으로 인한 손상과 더불어 정전과 화재와 같은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의 외관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형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알루미늄 방열판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형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인버터의 외관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알루미늄 방열판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인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탑재되고 각종 전기 유닛을 내장하여 외부의 태양광으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외함(110)과, 상기 인버터 외함(110)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표면에 탄소나노소재(121)가 형성된 알루미늄 방열판(120)과, 상기 인버터 외함(110)의 일측면에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과 연결되어 서지전류 또는 낙뢰전류를 대지방류하는 카본나노접지판(130)과, 상기 인버터 외함(110) 내부에 내장되는 각종 전기 유닛을 지지함과 더불어 좌우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방진부(150)와, 상기 인버터 외함(110)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통기구(111)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은 삼각 형태의 요철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인버터 외함(110)의 내부에는 태양광 인버터의 인버터 관련 회로와 함께 각종 입출력 전원 케이블이나 배관들이 수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인버터 외함(120)의 내부에 수납되는 인버터 회로나 입출력 전원 케이블들은 종래부터 채용되던 것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인버터 외함(110)에 수납될 물품의 종류는 당업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각각의 물품의 종류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결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인버터 외함(110)은 일반적으로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장소에 설치될 뿐만아니라, 인버터 회로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적절히 냉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 외함(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해 열전달 능력이 우수한 알루미늄 방열판을 사용함과 더불어 알루미늄 방열판(120)의 표면에 탄소나노소재(121)를 형성하여 열방출 효과를 더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인버터 외함(110)의 상단에 구성되는 알루미늄 방열판(120)을 삼각 형태로 제작하여 틈과 틈 사이로 공기의 통로가 형성되면서 경사면을 따라 환기구(140) 방향으로 열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인버터 외함(120)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은 발열체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버터 외함(110)의 상부에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복수개의 삼각 형태로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은 상부면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삼각 형태의 요철은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하여 폭이 넓은 쪽에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폭이 좁아진 쪽으로 유입되면서 자연 통풍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방열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은 플레이트 형태의 방열판 일면에 탄소나노소재(121)를 부착하거나 코팅한 상태에서 압출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는 삼각 형태의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루미늄 방열판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티타늄, 및 강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박판을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성, 성형성, 제조원가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재의 박판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은 방열판 전체 무게를 경량화하면서 고강성을 가지고, 방열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재 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요철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버터 외함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배전반 등 전력제어반은 대용량의 전력을 사용하는 건축물 또는 공장 등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용도에 따라 수전반, 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ESS 등의 외함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에 탄소나노소재(121)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열발산분말을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은 탄화규소(SiC) 분말, 질화알루미늄(AlN) 분말, 질리코늄, B4C, 도자기 또는 카본(Carbon) 분말로 이루어지고, 크기(입도)는 1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규소(SiC)는 탄소와 규소의 화합물로, 코크스와 규사를 전기로에 넣고 섭씨 1,800~1,900도로 가열하여 만든다. 순수한 것은 무색투명한 결정이나 보통은 검은 갈색의 가루이다. 탄화규소는 내용해성·내용융성·내산화성 외에 열방출 효율이 크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 탄화규소는 고온 벽돌과 다른 내화성 물질 제조에 중요하다.
상기 질화알루미늄(AlN)은 열방출 효율이 우수하고, 높은 전기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알루미나(Alumina)에 비해 한 단계 진보된 물질로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 카본(Carbon)도 상기 탄화규소와 같이 열방출 효율이 높다.
상기 열발산분말은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보다 열전도성이 동등하거나 좋으며, 공기 중으로 열을 방출하는 효과 또한 우수한 재질이다.
상기 열발산분말은 크기(입도)가 10~300㎛으로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의 표면에 삽입되어 코팅층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열발산분말은 접착제나 다른 매개체에 의하여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고 용융에 의하여 직접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열발산분말이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으로 방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전도성이 우수한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에서는 발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열발산분말로 용이하게 열을 전달하고, 열을 전달받은 상기 열발산분말에서는 공기 중으로 용이하게 열을 발산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발산분말과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 사이에 접착제나 다른 매개물질의 간섭이 없이 직접 용융에 의하여 부착되므로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120)의 열이 상기 열발산분말에 의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발산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카본나노접지판(130)을 상기 인버터 외함(110)의 일측면에 구성함으로써 제습 능력과 습도 유지력을 보유하여 인버터 외함(110)의 전해질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상 전류 분산 효과로 서지전류 또는 낙뢰 전류의 대지 방류 효과를 확대할 수가 있다.
상기 방진부(150)는 실린더(cylinder), 상기 실런더 내에 장착되어 있는 자기 코어(magnetic core)부, 상기 자기 코어부의 중공 내에서 왕복 운동하고 인버터 외함(110)과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piston), 상기 실린더 내의 밀폐 공간 및 자기 코어부의 중공 내에 수용되는 페라이트(ferrite) 입자의 현탄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진부(150)에서는, 수신된 전류의 세기에 대응하여 전자기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서 방진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페라이트(ferrite)입자가 서로 결합하며, 페라이트 입자들 간의 결합은 피스톤의 운동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피스톤의 운동이 억제되고, 수배전반의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라이트 입자들 간의 결합은 피스톤의 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150)는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기 위한 제 1 방진부(151)와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기 위한 제 2 방진부(152)가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분리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방진부(151)는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방진부(152))는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데, 상기 제 1 방진부(151)와 제 2 방진부(152)는 서로 적층되거나 동일 평면상에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인버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2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방열판(120)의 위에 아치형 지붕(140)을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인버터 외함(110)의 상부를 아치형의 지붕(140) 구조로 구성하여 중력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양측 방향으로 분산하고, 양측 방향으로 분산된 힘은 다시 아치 구조물 사이를 밀어주는 접합력과 지지대를 향하는 지지력이 작용하여 안정성 강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장치용의 모듈화된 다이오드 방열판 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인버터 외함 111 : 통기구
120 : 알루미늄 방열판 121 : 탄소나노소재
130 : 카본나노접지판 140 : 아치형 지붕
150 : 방진부

Claims (12)

  1. 내부 공간에 탑재되고 각종 전기 유닛을 내장하여 외부의 태양광으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외함과,
    상기 인버터 외함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표면에 탄소나노소재가 형성되고 삼각 형태의 요철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방열판과,
    상기 인버터 외함의 일측면에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과 연결되어 서지전류 또는 낙뢰전류를 대지방류하는 카본나노접지판과,
    상기 인버터 외함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통기구와,
    상기 인버터 외함 내부에 내장되는 각종 전기 유닛을 지지함과 더불어 좌우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방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의 상부면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삼각 형태의 요철은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위에 구성된 아치형 지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는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기 위한 제 1 방진부와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기 위한 제 2 방진부가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8. 삭제
  9. 내부 공간에 탑재되고 각종 전기 유닛을 내장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표면에 탄소나노소재가 형성되고 삼각 형태의 요철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방열판과,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과 연결되어 서지전류 또는 낙뢰전류를 대지방류하는 카본나노접지판과,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통기구와,
    상기 외함 내부에 내장되는 각종 전기 유닛을 지지함과 더불어 좌우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방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의 상부면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삼각 형태의 요철은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10. 삭제
  11. 내부 공간에 탑재되고 각종 전기 유닛을 내장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표면에 탄소나노소재가 형성되고 삼각 형태의 요철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방열판과,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과 연결되어 서지전류 또는 낙뢰전류를 대지방류하는 카본나노접지판과,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통기구와,
    상기 외함 내부에 내장되는 각종 전기 유닛을 지지함과 더불어 좌우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방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의 상부면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삼각 형태의 요철은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분전반.
  12. 내부 공간에 탑재되고 각종 전기 유닛을 내장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표면에 탄소나노소재가 형성되고 삼각 형태의 요철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 방열판과,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과 연결되어 서지전류 또는 낙뢰전류를 대지방류하는 카본나노접지판과,
    상기 외함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통기구와,
    상기 외함 내부에 내장되는 각종 전기 유닛을 지지함과 더불어 좌우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방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알루미늄 방열판의 상부면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삼각 형태의 요철은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KR1020170125695A 2017-09-28 2017-09-28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KR10198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695A KR101987325B1 (ko) 2017-09-28 2017-09-28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695A KR101987325B1 (ko) 2017-09-28 2017-09-28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603A KR20190036603A (ko) 2019-04-05
KR101987325B1 true KR101987325B1 (ko) 2019-06-11

Family

ID=6610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695A KR101987325B1 (ko) 2017-09-28 2017-09-28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061A (ko) 2020-03-18 2021-09-28 엘에스일렉트릭(주) 분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460A (ko) 2019-11-02 2021-05-12 추창욱 다기능태양광배전반
KR102231865B1 (ko) * 2020-09-08 2021-03-25 대평엔지니어링(주) 방열과 내진기능을 겸비하는 태양광발전용 접속반
US20230402956A1 (en) * 2022-06-13 2023-12-14 Icarus Rt, Inc. Hybrid photovoltaic-thermal and co-generation system
CN116734649B (zh) * 2023-08-08 2023-10-27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基于红外光学调控的自适应热管理装置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536B2 (ja) * 1992-06-08 2000-01-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不等ピッチスプリングの配向検知装置
JP2010077013A (ja) * 2008-08-29 2010-04-08 Kyocera Corp 炭素−金属複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路部材または放熱部材
KR101740949B1 (ko) * 2016-12-19 2017-06-15 주식회사 삼광산전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536U (ja) * 1994-01-28 1994-08-09 東洋ラジエーター株式会社 制御盤等の盤取付け用冷却装置
JP2000035298A (ja) 1998-07-16 2000-02-02 Kyoyu:Kk 防刃盾
KR100300139B1 (ko) * 1999-04-19 2001-11-07 이기표, 박기주 수변전장치
JP5442099B2 (ja) 2012-06-05 2014-03-12 巴工業株式会社 遠心分離装置
KR20150129577A (ko) * 2014-05-12 2015-11-20 전영국 Pla 탄소나노소재의 방열판이 장착된 배전반
KR101579912B1 (ko) 2015-05-28 2015-12-28 주식회사 가남 그라파이트-알루미늄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536B2 (ja) * 1992-06-08 2000-01-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不等ピッチスプリングの配向検知装置
JP2010077013A (ja) * 2008-08-29 2010-04-08 Kyocera Corp 炭素−金属複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路部材または放熱部材
KR101740949B1 (ko) * 2016-12-19 2017-06-15 주식회사 삼광산전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061A (ko) 2020-03-18 2021-09-28 엘에스일렉트릭(주)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603A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325B1 (ko) 방열 및 내진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US10820453B2 (en) Power cabinet,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and container
JP5977499B2 (ja) バスバーからの熱伝達が高められた電気デバイス、バスバーからの熱伝達が高められた回路遮断器アセンブリ、及び、その回路遮断器アセンブリを組み上げるための方法
JP5615398B2 (ja) 電力変換装置
US10103521B2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plate comprising a protected distribution bar
JP6100415B2 (ja) 配電盤
MX2013006988A (es) Disipador de calor para una junta de union de electrducto termicamente eficaz.
CN211265384U (zh) 一种微机智能保护塑壳断路器
KR101987324B1 (ko) 방열 및 접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 ess
CN216214772U (zh) 一种高适应性激光功能模块结构
JP5889256B2 (ja) 配電盤
JP2007221858A (ja) 電気装置
CN202918632U (zh) 一种多功率器件的双面散热结构及其电子装置
CN210467469U (zh) 一种具有防护效果的组合变压器
CN212381553U (zh) 电源装置
US20180199453A1 (en) Electronics enclosure
US20210410323A1 (en) Assembly with a heat sink core element forming a supporting structure
CN211128745U (zh) 电机控制器
CN220107518U (zh) 一种便于安装的拼接式母线槽
CN202873253U (zh) 一种抗污染件装置
CN112701880A (zh) 一种功率电源的电容器模块绝缘散热方式
CN219577357U (zh) 散热器的绝缘安装结构
CN209896481U (zh) 电气柜及电气控制装置
CN216353970U (zh) 基于碳化硅mos的高速固态继电器
CN212812455U (zh) 一种用于粉尘场所的电气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