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072B1 -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072B1
KR101987072B1 KR1020190004534A KR20190004534A KR101987072B1 KR 101987072 B1 KR101987072 B1 KR 101987072B1 KR 1020190004534 A KR1020190004534 A KR 1020190004534A KR 20190004534 A KR20190004534 A KR 20190004534A KR 101987072 B1 KR101987072 B1 KR 101987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monitor
video signal
boar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치영
Original Assignee
박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치영 filed Critical 박치영
Priority to KR102019000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4Keyboard-Video-Mouse [KVM]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은, 제1 AD(Analog to Digital) 보드를 구비하는 제1 모니터, 제1 모니터와 이웃하고, 제2 AD 보드를 구비하는 제2 모니터, 및 제1 모니터에 장착되고,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와 각각 연결되며, 제1 AD 보드 및 제2 AD 보드와 각각 연결되고,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 표시 제어하여 제1 모니터 및 제2 모니터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하는 KVM 스위칭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MONITOR AND DUAL MONITOR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니터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물리적 망분리 PC(Personal Computer)는 메인 보드와 KVM(Keyboard, Video, Mouse) 보드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컴퓨터 CPU의 라이프 싸이클은 1년 ~ 1년 6개월 정도로 그 교체 주기가 빠르며, 새로운 CPU가 출시될 때마다 메인보드 칩셋이 변경되고, 그에 따라 KVM 보드도 신규 개발을 진행하여야 한다.
또한, 새로운 메인보드 칩셋의 출시마다 새로운 그래픽 버전이 출시되며, 새로 출시된 그래픽 드라이버에 맞춰 KVM 보드를 개발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최신 그래픽 버전은 출시되기 전 기술적 정보 공유가 되지 않기 때문에, KVM 보드의 개발 및 개발된 KVM 보드가 안정화 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게 된다. 그리고, 신규 그래픽 칩셋과 KVM 보드 간의 통신 및 호환 문제로 많은 버그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41174호(2018.05.04)
개시되는 실시예는 KVM 스위칭 장치의 메인 보드 칩셋 또는 그래픽 칩셋의 신규 개발에 따른 호환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한 듀얼 모니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은, 제1 AD(Analog to Digital) 보드를 구비하는 제1 모니터; 상기 제1 모니터와 이웃하고, 제2 AD 보드를 구비하는 제2 모니터; 및 상기 제1 모니터에 장착되고,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AD 보드 및 상기 제2 AD 보드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컴퓨터 및 상기 제2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 표시 제어하여 상기 제1 모니터 및 상기 제2 모니터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하는 KVM 스위칭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AD 보드는, 상기 KVM 스위칭 장치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AD 보드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KVM 스위칭 장치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AD 보드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AD 보드는, 디지털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디지털 접속 단자;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접속 단자;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활성화 모드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및/또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제1 신호 처리부 및/또는 상기 제2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되지 않도록 동작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1 AD 보드는, 디지털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디지털 접속 단자;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접속 단자;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상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와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신호 처리부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KVM 스위칭 장치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에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켜 상기 제1 AD 보드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 전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KVM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제1 모니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컴퓨터로부터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제1 입력 단자부; 상기 제2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컴퓨터로부터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제2 입력 단자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와 연결되는 제3 입력 단자부; 상기 제1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장치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1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2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장치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1 AD 보드와 연결되는 제1 AD 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AD 보드와 연결되는 제2 AD 보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니터는, 상기 제1 모니터의 후면에 상기 KVM 스위칭 장치 및 상기 제1 AD 보드를 커버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입력 단자부, 상기 제2 입력 단자부, 상기 제3 입력 단자부, 상기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 및 상기 제2 AD 보드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KVM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제1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제1 입력 단자부; 상기 제2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제2 입력 단자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각각 연결되고, 키보드 및 마우스에서 발생한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3 입력 단자부; 상기 제1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1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2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제1 AD 보드 연결부; 상기 제2 AD 보드와 연결되는 제2 AD 보드 연결부; 상기 제1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상기 제1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AD 보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AD 보드로 전달하여 상기 제1 모니터의 화면에 출력하는 제1 영상 신호 출력부; 상기 제1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상기 제1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AD 보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2 AD 보드로 전달하여 상기 제2 모니터의 화면에 출력하는 제2 영상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제1 컴퓨터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대한 모니터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니터는, 상기 제1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상기 제1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KVM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하고, PBP(Picture By Picture)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하여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된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가 화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니터는, 상기 제1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상기 제1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KVM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하고, PIP(Picture In Picture)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하여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된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가 팝업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의 화면을 상기 제1 컴퓨터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영상 신호 간 화면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니터의 화면을 상기 제1 컴퓨터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영상 신호 간 화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는, 모니터로서, 상기 모니터에 마련되는 제1 AD (Analog to Digital) 보드; 및 상기 모니터에 장착되고,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KVM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KVM 스위칭 장치는,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AD 보드와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와 이웃하는 다른 모니터의 제2 AD 보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컴퓨터 및 상기 제2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 표시 제어하여 상기 제1 모니터 및 상기 제2 모니터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KVM 스위칭 장치가 제1 모니터에 장착되고,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 출력 단자 및 아날로그 신호 출력 단자로부터 직접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 받음으로써, 그래픽 칩셋과 통신하며 발생하는 각종 버그에서 자유로워지게 된다. 또한,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의 메인 보드 칩셋이 변경되더라도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의 메인 보드 칩셋은 표준화된 출력 단자(HDMI 단자, RGB 단자)로 신호를 출력하고, KVM 스위칭 장치는 표준화된 신호가 입력되므로 변경된 메인 보드 칩셋과의 호환성을 위해 KVM 보드를 새로 개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KVM 스위칭 장치를 모니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KVM 스위칭 장치의 AD 보드 연결 여부에 따라 해당 모니터의 동작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해당 모니터를 일반적인 모니터로 사용할 수도 있고, KVM 기능을 구비한 모니터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에서 제1 모니터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니터에 KVM 스위칭 장치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니터의 제1 AD 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VM 스위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에서 모니터 표시 제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에서 모니터 표시 제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에서 모니터 표시 제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에서 제1 모니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듀얼 모니터 시스템(100)은 제1 모니터(102), 제2 모니터(104), 제1 컴퓨터(106), 제2 컴퓨터(108), 입력 장치(110), 및 KVM 스위칭 장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니터(102)는 KVM 스위칭 장치(112)를 통해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와 연결된다.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모니터(10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모니터(102)는 제1 AD(Analog to Digital) 보드(10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니터(102)는 제1 모니터(102)에 장착되는 KVM 스위칭 장치(112)를 통해 제2 모니터(104)의 모니터 표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모니터(104)는 제1 모니터(102)와는 독립된 모니터이다. 제2 모니터(104)는 소정 공간에서 제1 모니터(102)와 이웃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 모니터(104)는 제1 모니터(102)에 장착된 KVM 스위칭 장치(112)를 통해 제1 모니터(1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모니터(104)는 제2 AD 보드(10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니터(104)는 제1 모니터(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컴퓨터(106)는 제1 모니터(102)에 장착된 KVM 스위칭 장치(112)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컴퓨터(106)는 내부망 컴퓨터일 수 있다.
제2 컴퓨터(108)는 제1 모니터(102)에 장착된 KVM 스위칭 장치(112)와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컴퓨터(108)는 외부망 컴퓨터일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일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키보드(110-1) 및 마우스(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제1 모니터(102)에 장착된 KVM 스위칭 장치(112)와 연결될 수 있다.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모니터(10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모니터(10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보드(Board)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컴퓨터(106)와 제2 컴퓨터(108)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 중 하나 이상의 출력 영상을 제1 모니터(102) 및 제2 모니터(104)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할 수 있다.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입력 단자부(112a), 제2 입력 단자부(112b), 제3 입력 단자부(112c), 제1 AD 보드 연결부(112d), 제2 AD 보드 연결부(112e),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f), 및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 단자부(112a)는 제1 컴퓨터(106)와 연결된 케이블들이 접속될 수 있다. 제1 입력 단자부(112a)는 제1 디지털 입력 단자(112a-1) 및 제1 아날로그 입력 단자(112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지털 입력 단자(112a-1)에는 제1 컴퓨터(106)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예를 들어, HDMI 신호 등)가 입력될 수 있다. 제1 디지털 입력 단자(112a-1)는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신호 출력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아날로그 입력 단자(112a-2)에는 제1 컴퓨터(106)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예를 들어, RGB 신호 등)가 입력될 수 있다. 제1 아날로그 입력 단자(112a-2)는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신호 출력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입력 단자부(112b)는 제2 컴퓨터(108)와 연결된 케이블들이 접속될 수 있다. 제2 입력 단자부(112b)는 제2 디지털 입력 단자(112b-1) 및 제2 아날로그 입력 단자(112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지털 입력 단자(112b-1)에는 제2 컴퓨터(10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예를 들어, HDMI 신호 등)가 입력될 수 있다. 제2 디지털 입력 단자(112b-1)는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신호 출력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아날로그 입력 단자(112b-2)에는 제2 컴퓨터(108)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예를 들어, RGB 신호 등)가 입력될 수 있다. 제2 아날로그 입력 단자(112b-2)는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신호 출력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 입력 단자부(112c)는 입력 장치(110)와 연결된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다. 제3 입력 단자부(112c)는 제3 데이터 입력 단자(112c-1) 및 제4 데이터 입력 단자(112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데이터 입력 단자(112c-1)는 키보드(110-1)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키보드(110-1)에서 발생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4 데이터 입력 단자(112c-2)는 마우스(110-2)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마우스(110-2)에서 발생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3 입력 단자부(112c)가 입력 장치(11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장치(110)가 무선 장치인 경우, 무선 USB 동글(Dongle) 등을 통해 무선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AD 보드 연결부(112d)는 제1 모니터(102)에 포함된 제1 AD 보드(102a)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AD 보드 연결부(112d)는 케이블을 통해 제1 AD 보드(102a)의 커넥터(135)와 접속될 수 있다. 제1 AD 보드 연결부(112d)가 제1 AD 보드(102a)의 커넥터(135)와 접속되는 경우, 제1 AD 보드(102a)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즉, 제1 AD 보드(102a)에는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 및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가 포함되는데, 제1 AD 보드 연결부(112d)가 제1 AD 보드(102a)의 커넥터(135)와 접속되는 경우, 제1 AD 보드(102a)는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며, 그로 인해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 및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에 컴퓨터와 연결된 케이블을 연결하여도 제1 AD 보드(102a)가 반응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는,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 및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AD 보드 연결부(112e)는 제2 모니터(104)에 포함된 제2 AD 보드(104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AD 보드 연결부(112e)는 디지털 신호 연결 단자(112e-1) 및 아날로그 신호 연결 단자(112e-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연결 단자(112e-1)는 제2 AD 보드(104a)의 제2 디지털 접속 단자(104a-1)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연결 단자(112e-2)는 제2 AD 보드(104a)의 제2 아날로그 접속 단자(104a-2)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f)는 제1 컴퓨터(106)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f)는 입력 장치(110)의 데이터 신호를 제1 컴퓨터(106)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g)는 제2 컴퓨터(108)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g)는 입력 장치(110)의 데이터 신호를 제2 컴퓨터(108)로 송신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KVM 스위칭 장치(112)가 제1 모니터(102)에 장착되고,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신호 출력 단자 및 아날로그 신호 출력 단자로부터 직접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 받음으로써, 그래픽 칩셋과 통신하며 발생하는 각종 버그에서 자유로워지게 된다. 또한,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의 메인 보드 칩셋이 변경되더라도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의 메인 보드 칩셋은 표준화된 출력 단자(HDMI 단자, RGB 단자)로 신호를 출력하고, KVM 스위칭 장치(112)는 표준화된 신호가 입력되므로 변경된 메인 보드 칩셋과의 호환성을 위해 KVM 보드를 새로 개발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AD 보드(102a)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KVM 스위칭 장치(112)의 보드에 제1 AD 보드(102a)의 기능이 포함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니터에 KVM 스위칭 장치가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 제1 백커버(102b-1)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백커버(102b-1)는 제1 AD 보드(102a)의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 및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도 4는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서 백커버(102b)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는 KVM 스위칭 장치(112)를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 부재(102c)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 KVM 스위칭 장치(112)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KVM 스위칭 장치(112)는 결합 부재(102c)를 통해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02c)는 암수 끼임 결합을 위한 부재일 수도 있고, 접착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KVM 스위칭 장치(112)가 제1 모니터(10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결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AD 보드 연결부(112d)가 케이블을 통해 제1 AD 보드(102a)의 커넥터(135)에 접속될 수 있다.
도 6은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 KVM 스위칭 장치(112)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2 백커버(102b-2)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백커버(102b-2)는 KVM 스위칭 장치(112)의 제1 입력 단자부(112a), 제2 입력 단자부(112b), 제3 입력 단자부(112c), 제2 AD 보드 연결부(112e),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f), 및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g)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백커버(102b-2)는 제1 AD 보드(102a)의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 및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KVM 스위칭 장치(112)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백커버(102b-1)를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KVM 스위칭 장치(112)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2 백커버(102b-2)를 제1 모니터(102)의 후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KVM 스위칭 장치(112)의 장착 여부에 관계없이 제2 백커버(102b-2)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KVM 스위칭 장치(112)는 별도의 모듈로 형성되고, 모니터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KVM 스위칭 장치(112)는 모니터에 빌트 인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KVM 스위칭 장치(112)는 다양한 형태로 모니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니터의 제1 AD 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의 제1 AD 보드(102a)는 제1 스위치(121), 제2 스위치(123), 및 모드 전환 제어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21)는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와 제1 신호 처리부(131)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21)는 모드 전환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131)는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신호 처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23)는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와 제2 신호 처리부(133)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23)는 모드 전환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부(133)는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신호 처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드 전환 제어부(125)는 제1 AD 보드(102a)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드 전환 제어부(125)는 제1 AD 보드 연결부(112d)가 커넥터(135)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AD 보드(102a)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AD 보드 연결부(112d)가 커넥터(135)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모드 전환 제어부(125)는 제1 스위치(121) 및 제2 스위치(123)가 온(On) 되도록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와 제1 신호 처리부(131)가 연결되고,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와 제2 신호 처리부(133)가 각각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 및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에 소정의 컴퓨터와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는 제1 신호 처리부(131) 및 제2 신호 처리부(133)에서 각각 신호 처리되게 된다. 개시되는 명세서에서, 이러한 상태를 정상 모드라 지칭하기로 한다.
반면, 제1 AD 보드 연결부(112d)가 커넥터(135)에 접속되는 경우, 모드 전환 제어부(125)는 제1 스위치(121) 및 제2 스위치(123)가 오프(Off) 되도록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와 제1 신호 처리부(131)의 연결이 끊어지고,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와 제2 신호 처리부(133)의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 및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에 소정의 컴퓨터와 연결된 케이블이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제1 신호 처리부(131) 및 제2 신호 처리부(133)에서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개시되는 명세서에서, 이러한 상태를 비활성화 모드라 지칭하기로 한다.
즉, 모드 전환 제어부(125)는 제1 AD 보드 연결부(112d)가 커넥터(135)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AD 보드(102a)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와 정상 모드 간 전환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KVM 스위칭 장치(112)가 제1 모니터(102)에 장착되는 경우, 제1 AD 보드 연결부(112d)를 커넥터(135)에 접속시켜 제1 AD 보드(102a)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KVM 스위칭 장치(112)를 통해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 중 하나 이상의 출력 영상을 제1 모니터(102) 및 제2 모니터(104)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니터(102)에 KVM 스위칭 장치(112)가 장착되지 않거나 장착되어 있어도 KVM 스위칭 장치(1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AD 보드(102a)를 정상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제1 모니터(102)를 물리적 망 분리와 관계 없이 원래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모드 전환 제어부(125)가 제1 스위치(121) 및 제2 스위치(123)를 제어함으로써, 동작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스위치 없이 알고리즘으로 동작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1 AD 보드 연결부(112d)가 커넥터(135)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모드 전환 제어부(125)는 제1 AD 보드(102a)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로 설정하여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 및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로부터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를 제1 신호 처리부(131) 및 제2 신호 처리부(133)에서 각각 신호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제1 AD 보드 연결부(112d)가 커넥터(135)에 접속되는 경우, 모드 전환 제어부(125)는 제1 AD 보드(102a)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여 제1 디지털 접속 단자(102a-1) 및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102a-2)로부터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제1 신호 처리부(131) 및 제2 신호 처리부(133)에서 신호 처리되지 않도록(예를 들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를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VM 스위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입력 단자부(112a), 제2 입력 단자부(112b), 제3 입력 단자부(112c),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f),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g), 입력 장치 제어부(141), 영상 신호 제어부(143), 제1 영상 신호 출력부(145), 및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 단자부(112a)는 제1 컴퓨터(106)와 연결되고, 제1 컴퓨터(106)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예를 들어, HDMI 신호 등)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예를 들어, RGB 신호 등)를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다.
제2 입력 단자부(112b)는 제2 컴퓨터(108)와 연결되고, 제2 컴퓨터(10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다.
제3 입력 단자부(112c)는 입력 장치(110)와 연결되고, 입력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예를 들어, 키보드 신호 및 마우스 신호 등)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f)는 제1 컴퓨터(106)와 연결되고,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g)는 제2 컴퓨터(108)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f) 및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g)는 입력 장치 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제3 입력 단자부(112c)를 통해 입력된 입력 장치(110)의 데이터 신호를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장치 제어부(141)는 제3 입력 단자부(112c)를 통해 입력된 입력 장치(110)의 데이터 신호를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도록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f) 및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112g)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제어부(143)는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대한 모니터 표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영상 신호 제어부(143)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모니터(102) 및 제2 모니터(104)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모니터 표시 제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영상 신호 출력부(145)는 영상 신호 제어부(143)의 제어에 따라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제1 모니터(102)의 화면에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상 신호 출력부(145)는 제1 AD 보드 연결부(112d)를 통해 제1 AD 보드(102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47)는 영상 신호 제어부(143)의 제어에 따라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제2 모니터(104)의 화면에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47)는 제2 AD 보드 연결부(112e)를 통해 제2 AD 보드(104a)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컴퓨터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컴퓨터의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컴퓨터가 온 상태인 경우, 온 상태인 컴퓨터의 출력 영상 신호를 제1 모니터(102) 및 제2 모니터(104)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컴퓨터도 오프 상태인 경우, KVM 스위칭 장치(112)는 제1 컴퓨터(106) 및 제2 컴퓨터(108) 중 먼저 온 상태가 되는 컴퓨터의 출력 영상 신호를 제1 모니터(102) 및 제2 모니터(104)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에서 모니터 표시 제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영상 신호 제어부(143)는 제1 모니터(102)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출력(예를 들어, HDMI 출력)하고, 제2 모니터(104)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예를 들어, RGB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제어부(143)는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제1 모니터(102)로 출력하고,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2 모니터(104)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신호 제어부(14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모니터 화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영상 신호 제어부(14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모니터(102)의 화면을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HDMI 출력)에서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HDMI 출력)로 화면 전환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를 참조하면, 영상 신호 제어부(14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모니터(104)의 화면을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RGB 출력)에서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RGB 출력)로 화면 전환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니터(102) 및 제2 모니터(104)의 화면 전환은 각각 사용자가 설정한 핫키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핫키(예를 들어, 키보드(110-1)의 왼쪽 쉬프트)를 누르면, 제1 모니터(102)에서 화면 전환(즉,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 출력에서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핫키(예를 들어, 키보드(110-1)의 오른쪽 쉬프트)를 누르면, 제2 모니터(104)에서 화면 전환(즉,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에서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1 모니터(102)가 디지털 영상 신호를 출력(예를 들어, HDMI 출력)하고, 제2 모니터(104)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예를 들어, RGB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모니터(102)가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제2 모니터(104)가 디지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모니터(102)에서 화면 전환(예를 들어,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에서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104)에서 화면 전환(예를 들어,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 출력에서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에서 모니터 표시 제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모니터 표시 제어로 PBP(Picture By Picture) 기능을 수행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에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화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104)에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화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니터(102)는 제2 AD 보드 연결부(112e)를 통해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2 모니터(104)의 제2 AD 보드(104a)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니터(102)는 PBP 제어 신호를 제2 모니터(104)로 전달하여 제2 모니터(104)에서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화면 분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PBP 제어 신호는 케이블 등을 통해 제1 모니터(102)에서 제2 모니터(104)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에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화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104)에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에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화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104)에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d)를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에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104)에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화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e)를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에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104)에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화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시스템에서 모니터 표시 제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모니터 표시 제어로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수행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에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모니터(104)에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니터(104)에는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팝업 화면으로 추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니터(102)는 제2 AD 보드 연결부(112e)를 통해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2 모니터(104)의 제2 AD 보드(104a)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니터(102)는 PIP 제어 신호를 제2 모니터(104)로 전달하여 제2 모니터(104)에서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팝업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PIP 제어 신호는 케이블 등을 통해 제1 모니터(102)에서 제2 모니터(104)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에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팝업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104)에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팝업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에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팝업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104)에 제1 컴퓨터(106)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의 (d)를 참조하면, 제1 모니터(102)에 제1 컴퓨터(106)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고, 제2 컴퓨터(108)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팝업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104)에 제2 컴퓨터(108)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모니터 장치(예를 들어, 제1 모니터(102) 또는 제2 모니터(104))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KVM 스위칭 장치(112)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듀얼 모니터 시스템
102 : 제1 모니터
102a : 제1 AD 보드
102a-1 : 제1 디지털 접속 단자
102a-2 : 제1 아날로그 접속 단자
102b-1 : 제1 백커버
102b-2 : 제2 백커버
102c : 결합 부재
104 : 제2 모니터
104a : 제2 AD 보드
104a-1 : 제2 디지털 접속 단자
104a-2 : 제2 아날로그 접속 단자
106 : 제1 컴퓨터
108 : 제2 컴퓨터
110 : 입력 장치
110-1 : 키보드
110-2 : 마우스
112 : KVM 스위칭 장치
112a : 제1 입력 단자부
112a-1 : 제1 디지털 입력 단자
112a-2 : 제1 아날로그 입력 단자
112a-3 : 제1 데이터 입력 단자
112b : 제2 입력 단자부
112b-1 : 제2 디지털 입력 단자
112b-2 : 제2 아날로그 입력 단자
112b-3 : 제2 데이터 입력 단자
112c : 제3 입력 단자부
112c-1 : 제3 데이터 입력 단자
112c-2 : 제4 데이터 입력 단자
112d : 제1 AD 보드 연결부
112e : 제2 AD 보드 연결부
112f :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
112g :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
121 : 제1 스위치
123 : 제2 스위치
125 : 모드 전환 제어부
131 : 제1 신호 처리부
133 : 제2 신호 처리부
135 : 커넥터
141 : 입력 장치 제어부
143 : 영상 신호 제어부
145 : 제1 영상 신호 출력부
147 : 제2 영상 신호 출력부

Claims (10)

  1. 제1 AD(Analog to Digital) 보드를 구비하는 제1 모니터;
    상기 제1 모니터와 이웃하고, 제2 AD 보드를 구비하는 제2 모니터; 및
    상기 제1 모니터에 장착되고,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AD 보드 및 상기 제2 AD 보드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컴퓨터 및 상기 제2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 표시 제어하여 상기 제1 모니터 및 상기 제2 모니터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하는 KVM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AD 보드는,
    상기 KVM 스위칭 장치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AD 보드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KVM 스위칭 장치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AD 보드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AD 보드는,
    디지털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디지털 접속 단자;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접속 단자;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활성화 모드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및/또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제1 신호 처리부 및/또는 상기 제2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되지 않도록 동작되는 모드인, 듀얼 모니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AD 보드는,
    디지털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디지털 접속 단자;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접속 단자;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상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2 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 접속 단자와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아날로그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신호 처리부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KVM 스위칭 장치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에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켜 상기 제1 AD 보드의 동작 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 전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5. 제1 AD(Analog to Digital) 보드를 구비하는 제1 모니터;
    상기 제1 모니터와 이웃하고, 제2 AD 보드를 구비하는 제2 모니터; 및
    상기 제1 모니터에 장착되고,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AD 보드 및 상기 제2 AD 보드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컴퓨터 및 상기 제2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 표시 제어하여 상기 제1 모니터 및 상기 제2 모니터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하는 KVM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KVM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제1 모니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컴퓨터로부터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제1 입력 단자부;
    상기 제2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컴퓨터로부터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제2 입력 단자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와 연결되는 제3 입력 단자부;
    상기 제1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장치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1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2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장치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1 AD 보드와 연결되는 제1 AD 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AD 보드와 연결되는 제2 AD 보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니터는,
    상기 제1 모니터의 후면에 상기 KVM 스위칭 장치 및 상기 제1 AD 보드를 커버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입력 단자부, 상기 제2 입력 단자부, 상기 제3 입력 단자부, 상기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 및 상기 제2 AD 보드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6. 제1 AD(Analog to Digital) 보드를 구비하는 제1 모니터;
    상기 제1 모니터와 이웃하고, 제2 AD 보드를 구비하는 제2 모니터; 및
    상기 제1 모니터에 장착되고,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AD 보드 및 상기 제2 AD 보드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컴퓨터 및 상기 제2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 표시 제어하여 상기 제1 모니터 및 상기 제2 모니터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하는 KVM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KVM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제1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제1 입력 단자부;
    상기 제2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는 제2 입력 단자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각각 연결되고, 키보드 및 마우스에서 발생한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3 입력 단자부;
    상기 제1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1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1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2 컴퓨터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컴퓨터로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출력 단자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제1 AD 보드 연결부;
    상기 제2 AD 보드와 연결되는 제2 AD 보드 연결부;
    상기 제1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상기 제1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AD 보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AD 보드로 전달하여 상기 제1 모니터의 화면에 출력하는 제1 영상 신호 출력부;
    상기 제1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상기 제1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AD 보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2 AD 보드로 전달하여 상기 제2 모니터의 화면에 출력하는 제2 영상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제1 컴퓨터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대한 모니터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니터는,
    상기 제1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상기 제1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KVM 스위칭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하고, PBP(Picture By Picture)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하여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된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가 화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니터는,
    상기 제1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상기 제1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상기 제2 컴퓨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KVM 스위칭 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하고, PIP(Picture In Picture)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하여 상기 제2 모니터로 전달된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가 팝업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모니터의 화면을 상기 제1 컴퓨터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영상 신호 간 화면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모니터의 화면을 상기 제1 컴퓨터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컴퓨터의 영상 신호 간 화면 전환되도록 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10. 모니터로서,
    상기 모니터에 마련되는 제1 AD (Analog to Digital) 보드; 및
    상기 모니터에 장착되고,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KVM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KVM 스위칭 장치는,
    제1 컴퓨터 및 제2 컴퓨터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AD 보드와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와 이웃하는 다른 모니터의 제2 AD 보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컴퓨터 및 상기 제2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 표시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 및 상기 다른 모니터 중 하나 이상에 표시하는,
    상기 제1 AD 보드는,
    상기 KVM 스위칭 장치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AD 보드의 동작 모드를 정상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KVM 스위칭 장치가 상기 제1 AD 보드의 커넥터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AD 보드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모니터.
KR1020190004534A 2019-01-14 2019-01-14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KR101987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34A KR101987072B1 (ko) 2019-01-14 2019-01-14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534A KR101987072B1 (ko) 2019-01-14 2019-01-14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072B1 true KR101987072B1 (ko) 2019-06-10

Family

ID=6684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534A KR101987072B1 (ko) 2019-01-14 2019-01-14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0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5340A (ja) * 2008-07-03 2010-01-21 Fujitsu Component Ltd 携帯可能なコーンソール装置
KR101459059B1 (ko) * 2014-07-07 2014-11-12 쉐도우시스템즈(주) 듀얼 모니터의 사용이 가능한 kvma 스위치를 구비한 물리적 망분리 장치
KR101841174B1 (ko) 2016-09-29 2018-05-04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Kvm 스위치 및 kvm 스위칭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5340A (ja) * 2008-07-03 2010-01-21 Fujitsu Component Ltd 携帯可能なコーンソール装置
KR101459059B1 (ko) * 2014-07-07 2014-11-12 쉐도우시스템즈(주) 듀얼 모니터의 사용이 가능한 kvma 스위치를 구비한 물리적 망분리 장치
KR101841174B1 (ko) 2016-09-29 2018-05-04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Kvm 스위치 및 kvm 스위칭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1545B2 (ja) ブリッジコントローラを用いないポイントツーポイントバスブリッジング
US10002105B2 (en) Display device
US20060253639A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target computers through portable computer
JP2010277592A (ja) ハイブリッド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993418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onnector for video signal interface
US1120195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notification
US9423884B2 (en) KVM switch and KVM system
US20080151127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network communicat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779958A1 (en) Display system and program
US201803143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20090213074A1 (en)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more computers
EP1917583A1 (en) Connection of peripherals to operating systems
KR101987072B1 (ko) 모니터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모니터 시스템
KR102495643B1 (ko) 입력 수단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및 방법
US8346981B2 (en) Connection of peripherals to operating systems
KR20130031188A (ko) 다중 데이터 접속 포트들을 구비한 전기 장치
US11099801B2 (en) Display system and program
US20070097068A1 (e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8059417B2 (en) Switch module
US9904643B2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switching operating systems thereof
US11763773B2 (en) Computer device and multi-computer system
US8392646B2 (en) Programmable controlled computer switch
CN218273376U (zh) 支援雷达坐标的多电脑主机切换装置
JP6264590B2 (ja)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を有するキーボード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アセンブリ
JP4719925B2 (ja) 周辺装置を提供可能な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