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071B1 -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071B1
KR101987071B1 KR1020130007617A KR20130007617A KR101987071B1 KR 101987071 B1 KR101987071 B1 KR 101987071B1 KR 1020130007617 A KR1020130007617 A KR 1020130007617A KR 20130007617 A KR20130007617 A KR 20130007617A KR 101987071 B1 KR101987071 B1 KR 10198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nnection
call
vo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157A (ko
Inventor
류명환
정월기
배성수
이한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0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개시한다.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부하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패킷호의 발신에 대한 제한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음성호를 이용한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Method and Terminal for Call Processing Capable of Interworking Network}
본 실시예는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LTE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패킷호를 연결하여 음성통화를 사용할 때, 기지국의 과부하 또는 패킷 처리에 대한 무응답 등과 같은 오류로 인해 음성 패킷호의 연결이 불가한 경우, 3G 네트워크 기반으로 음성호를 연결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위치의 제약이 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무선통신 시스템은 초기 단순한 음성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형태에서 고속의 데이터서비스 및 패킷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예컨대, VoIP, VoLTE 등)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종류로는 기본적인 음성 서비스와 비교적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방식의 시스템에서 점차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와 비교적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는 2세대(2nd Generation : 이하 "2G"라 함) 네트워크 및 3세대(3rd Generation : 이하 "3G"라 함) 네트워크가 있다. 3G 네트워크는 비교적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도 하지만, 더욱 발전된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이하 "4G"라 함) 네트워크에 대한 개발되었고, 4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 패킷호를 연결하여 음성통화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4G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과부하 상태일 경우, 단말기에서 음성 패킷호를 연결할 수 없어 음성 통화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가 기지국에 접속은 되었더라도 4G 네트워크 내에서 음성 패킷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음성 패킷호의 연결을 시도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음성 통화를 사용할 수 없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LTE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패킷호를 연결하여 음성통화를 사용할 때, 기지국의 과부하 또는 패킷 처리에 대한 무응답 등과 같은 오류로 인해 음성 패킷호의 연결이 불가한 경우, 3G 네트워크 기반으로 음성호를 연결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부하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패킷호의 발신에 대한 제한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음성호를 이용한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부하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패킷호의 발신의 제한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과정; 및 상기 단말 제어과정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음성호를 이용한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가능한 호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LTE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패킷호를 연결하여 음성통화를 사용할 때, 기지국의 과부하 또는 패킷 처리에 대한 무응답 등과 같은 오류로 인해 음성 패킷호의 연결이 불가한 경우, 3G 네트워크 기반으로 음성호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음성통화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를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과부하로 인해 제2 네트워크에 음성호 연결이 불가한 경우,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송응답이 없는 경우,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를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와 연결된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120) 및 제2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120) 및 제2 네트워크(130)는 기지국이 과부하 상태일 경우, 사용자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해 부하 관리장치(14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120)는 제1 전송기(122), 데이터 처리기(124) 및 데이터 게이트웨이(126)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120)와 연동하는 UTRAN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를 말하며, GERAN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를 말한다. UTRAN, GERAN은 제1 네트워크(120)에 포함된다.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0)와 제2 네트워크(130) 모두를 지원하므로, 제1 네트워크(120)에서 통신단말기(110)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UTRAN과 통신하고,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GERAN와 통신한다. UTRAN은 Iu-ps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처리기(124)와 통신하고, Iu-cs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와 통신한다. GERAN는 Gb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처리기(124)와 통신하고, A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와 통신한다. 또한,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0)와 제2 네트워크(130) 모두를 지원하므로 데이터 처리기(124)는 G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게이트웨이(126)와 통신하고, Gs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와 통신한다.
제1 전송기(122)는 제1 네트워크(120) 내의 전송기를 말하며, 제1 네트워크(120) 내에서 위치 등록, 무선 채널 할당, 핸드오프 등 음성 및 데이터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하고, 제1 전송기(122)는 신호 채널을 통해 통신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전송기(122)는 신호 채널을 통해 통신단말기(110)로부터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요청신호를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송기(122)는 노드 B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송기(122)는 통신단말기(110)로부터 음성호 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음성호 연결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음성호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데이터 처리기(124)는 이동 중인 통신단말기(110)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며, 통신단말기(110)로 전송된 데이터 패킷 및 음성통화에 대한 사용 내역정보 및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 처리장치에 전송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기(124)는 설치된 지역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처리기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기(124)는 SGSN(Support GPRS Serving Node)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게이트웨이(126)는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 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로서, 데이터 처리기(124)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적당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형식(예컨대, IP, X.25)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착신 패킷 데이터의 PDP(Packet Data Protocol) 주소를 수신자의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 주소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게이트웨이(126)는 데이터 처리기(124)의 위치 레지스터에 있는 현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기의 주소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인증과 요금 부과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게이트웨이(126)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2 네트워크(13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네트워크(130)는 제2 전송기(132), 제어 처리부(134), 트래픽 제어부(136) 및 패킷 처리부(138)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제2 네트워크(130)와 연결된 E-UTRAN은 Evolved-UTRAN를 말하며, E-UTRAN은 제2 네트워크(130)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와 제2 네트워크(130) 모두를 지원하므로 제2 네트워크(130)에서 통신단말기(110)는 LTE-Uu 인터페이스를 통해 E-UTRAN과 통신하고, E-UTRAN은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처리부(134)와 통신한다.
제2 네트워크(130)는 제 2 전송기(132)와 EPC(Evolved Packet Core)(즉, 제어 처리부(134), 트래픽 제어부(136) 및 패킷 처리부(138)를 합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칭할 수 있다.
제2 전송기(132)는 4G 네트워크(124)인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내의 전송기를 말하며, 4G 네트워크(124) 내에서 위치 등록, 무선 채널 할당,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전송기(132)는 e노드 B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e노드 B란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는 장비로서, 전송 신호의 RF화, 송수신, 신호세기,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및 채널 카드(Channel Card)(채널 카드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제 2 전송기(132)는 제2 네트워크(130) 내에서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 즉, 패킷통신을 통해 통신단말기(110)로부터 음성 패킷호 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과 같이 음성 패킷호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 전송기(13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단말기(110)로부터 음성 패킷호 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성 패킷호 연결 응답신호를 통신단말기(110)에 전송하여 음성 패킷호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송기(132)는 전송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E-UTRAN로 확장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송기(132)는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설치된 부하 관리장치(140)와 연결되어 통신단말기(110)에 제2 전송기(132)의 부하상태를 포함한 부하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2 전송기(132)의 부하상태가 소정의 기준이상인 과부하 상태인 경우, 통신단말기(110)의 접속을 제한(Access Barring)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0)를 이용하여 음성통화을 시도한다.
제어 처리부(134), 트래픽 제어부(136) 및 패킷 처리부(138)를 포함하여 패킷 코어라 칭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 코어는 EPC를 말한다. 제어 처리부(134)는 기본적으로 통신단말기(110)에 대한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 처리부(134)는 MME(Mobile Management Entity)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 처리부(134)는 위치등록 및 페이징(Paging), 인증 등의 호 제어를 담당하고, 호 제어부에 대한 합법적 감청 기능 및 데이터 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 처리부(134)는 가입자 정보 및 통신단말기(11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노드로서 세션(Session) 관리, 아이들(Idle)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 기능 등을 담당한다.
트래픽 제어부(136)는 S-GW(Serving Gateway)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트래픽 제어부(136)는 액세스(Access)망에 대한 게이트웨이를 말하며 제2 네트워크(130) 내에서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또한, 트래픽 제어부(136)는 호 트래픽에 대한 합법적 감청 등을 처리하며, 트래픽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트래픽 제어부(136)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컨트롤(Session Control) 및 사용자 플랜(User Plane) 노드로서 제2 전송기(132)와 연동하며 인터(Inter) 핸드오버를 지원하고 패킷 처리부(138)와 PDP 컨텍스트(Context)를 설정하고 터널링(Tunneling)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한다. 한편, 제어 처리부(134)와 트래픽 제어부(136)의 분리 구현을 통해 트래픽 증가 또는 제어 신호 증가에 따른 유연한 확장가능하다.
패킷 처리부(138)는 P-GW(PDN Gateway)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킷 처리부(138)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인터넷 등 PDN(Packet Data Network)에 대한 게이트웨이를 말하며 Non-3GPP망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하며, 정책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유해 패킷 차단 등을 담당한다. 또한, 패킷 처리부(138)는 통신단말기(110)의 IP 주소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Non-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컨트롤 및 사용자 플랜으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트래픽 제어부(136) 및 외부망과 라우팅(Routing)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또한, 패킷 처리부(138)는 트래픽 제어부(136) 및 외부망으로 PDU를 전달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10)는 단말 제어부(210), 통신 처리부(230), 표시부(240), 스피커부(250), 메모리부(260) 및 입력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제어부(210)는 연결 요청정보 수신부(212), 연결 기준값 생성부(214), 부하정보 수신부(216), 연결 판단부(218) 및 호 연결 제어부(220)를 포함하고, 통신 처리부(230)는 제1 네트워크 통신부(232) 및 제2 네트워크 통신부(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10)는 통신단말기(110)가 호 연결을 통해 음성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21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연결 요청정보 수신부(212)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연결 요청정보를 입력부(270)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정보는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버튼입력, 터치입력, 음성명령 등과 같은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입력한 신호로서, 예컨대, 연결 요청정보 수신부(212)는 입력부(270)에서 사용자가 터치입력 통해 임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음성 패킷호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연결 요청정보를 수신한다.
연결 기준값 생성부(214)는 통신단말기(110)가 제2 네트워크(130)와 음성 패킷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기준값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결 기준값은 통신단말기(110)에 연결된 주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랜덤값(Random Value)으로 생성될 수 있다.
부하정보 수신부(216)는 통신단말기(110)와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부하상태를 포함하는 부하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부하정보는 제2 네트워크(130) 내에 포함된 제2 전송기(132)로부터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부하정보는 제2 네트워크(130)의 접속가능 정보, 과부하 정보, 연결 기준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속가능 정보는 제2 전송기(132)에 접속가능한 단말기 수를 의미하고, 과부하 정보는 제2 전송기(132)가 과부하인 경우, 접속을 제한하는 정보를 의미하고, 연결 기준정보는 연결 판단부(218)에서 연결 기준값을 비교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연결 판단부(218)는 연결 기준값 생성부(214)에서 생성된 연결 기준값과 부하정보 수신부(216)에서 수신된 부하정보를 비교하여 제2 네트워크(130)에 음성 패킷호 발신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부하정보 수신부(216)에서 수신된 부하정보가 50이고, 연결 기준값 생성부(214)에서 생성된 연결 기준값이 55인 경우, 연결 판단부(218)는 연결 기준값이 부하정보의 값보다 크므로 호 연결 제어부(220)에서 제2 네트워크(130)에 음성 패킷호 신호를 발신하여 음성 패킷을 이용한 음성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부하정보 수신부(216)에서 수신된 부하정보가 50이고, 연결 기준값 생성부(214)에서 생성된 연결 기준값이 45인 경우, 연결 판단부(218)는 연결 기준값이 부하정보의 값보다 작으므로 호 연결 제어부(220)에서 제2 네트워크(130)에 음성 패킷호 신호의 발신을 대기시키거나, 제1 네트워크(120)의 음성호 연결을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호 연결 제어부(220)는 제2 네트워크(130)의 부하 상태에 따라 호 연결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호 연결 제어부(220)는 연결 판단부(218)의 판단에 근거하여, 제2 네트워크(130)에 음성 패킷호 연결이 가능하면 통신 처리부(230)에 제2 네트워크(130) 기반의 음성 패킷호 신호를 발신하여 음성 패킷을 이용한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 연결 제어부(220)는 통신 처리부(230)에 제2 네트워크(130) 기반의 음성 패킷호 신호를 발신하고, 제2 네트워크(130)의 무선 통신상태, 급작스런 과부하 등과 같은 이유로 음성 패킷호 발신이 제한되면, 통신 처리부(230)에 제1 네트워크(120) 기반의 음성호 신호를 발신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 연결 제어부(220)는 통신 처리부(230)에 제2 네트워크(130) 기반의 음성 패킷호 신호를 발신하여, 제2 네트워크(130)와 통신단말기(110) 간에 음성 패킷호가 연결된 후, 패킷 전송에 대한 전송 또는 응답에 오류가 발생하여 무응답 상태로 기 설정된 대기시간을 초과하면, 통신 처리부(230)에 제1 네트워크(120) 기반의 음성호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호 연결 제어부(220)는 무응답 상태의 대기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무응답 대기처리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호 연결 제어부(220)는 제2 네트워크(130)와 통신단말기(110) 간에 음성 패킷호가 연결된 후, 패킷 전송에 대한 응답이 기 설정된 대기시간인 8초가 초과된 경우, 통신 처리부(230)에 제1 네트워크(120) 기반의 음성호 신호를 발신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 처리부(230)는 제1 네트워크(120) 및 제2 네트워크(130)와 연결되어 통신단말기(110)의 호 연결을 처리하고, 패킷 및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 처리부(23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제1 네트워크 통신부(232)는 단말 제어부(210)로부터 제2 네트워크(130)의 음성 패킷호 연결이 불가하여 제1 네트워크(120)에 음성호를 연결하기 위한 음성호 발신신호를 수신하면, 제1 네트워크(120)에 음성호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음성호 연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단말기(110)가 제1 네트워크(120)을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통신부(232)는 음성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호만을 연결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데이터호를 연결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제2 네트워크 통신부(234)는 단말 제어부(210)로부터 음성 패킷호 발신신호를 수신하면, 제2 네트워크(130)에 음성 패킷호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음성 패킷호 연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패킷호 연결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음성 패킷호가 연결되면 통신단말기(110)가 음성 패킷을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네트워크 통신부(234)는 단말 제어부(210)로부터 음성 패킷호 발신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제2 네트워크(130)로부터 음성 패킷호 연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패킷호 연결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또는, 제2 네트워크(130)과 음성 패킷호는 연결되었으나 음성 패킷의 전송 또는 응답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연결 패킷호 연결실패 신호를 단말 제어부(210)에 전송하여 제1 네트워크(120)를 이용하여 음성호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한다.
표시부(240) 및 스피커부(250)는 통신단말기(110)의 동작에 대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표시부(240)는 통신단말기(1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 단말기 동작상태 및 음성통화 연결/종료 등과 같은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스피커부(250)는 통신단말기(110)가 제1 네트워크(120) 또는 제2 네트워크(130)에 연결되어 음성통화를 수행할 때,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스피커부(250)는 통신단말기(110)가 제2 네트워크(130)에 연결되어 음성 패킷을 통해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패킷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패킷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260)는 통신단말기(110)의 동작 및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입력부(27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명령을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입력부(270)는 버튼, 터치스크린 및 마이크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되어 버튼입력, 터치입력, 음성명령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과부하로 인해 제2 네트워크에 음성호 연결이 불가한 경우,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2 네트워크(130)에 포함된 제2 전송기(132)는 부하정보를 단말 제어부(210)에 전송한다(S310).
단말 제어부(210)는 부하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패킷호 신호를 통신 처리부(230)에 전송하고(S320), 제2 네트워크(130)에 대한 발신이 제한되지 않은 경우(S330) 음성 패킷호 연결 요청신호를 제2 전송기(132)에 전송하고(S334), 음성 패킷호가 연결되면 음성 패킷을 이용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한다(S336).
한편, 단말 제어부(210)는 음성 패킷호 신호를 통신 처리부(230)에 전송하고(S320), 제2 네트워크(130)의 무선 통신상태, 급작스런 과부하 등과 같은 이유로 음성 패킷호 발신이 제한된 경우(S330) 단말 제어부(210)는 제2 네트워크(130)에 대한 음성 패킷호 연결을 종료한다(S332).
단말 제어부(210)는 통신 처리부(230)에 제1 네트워크(120) 기반의 음성호 신호를 발신하고(S340), 통신 처리부(230)는 제1 네트워크(120)에 음성호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S350), 제1 네트워크(120)로부터 음성호 연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S360), 통신단말기(110)는 제 1 네트워크(120)의 음성호를 이용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한다(S370).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7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7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송응답이 없는 경우,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 제어부(210)는 음성 패킷호 신호를 통신 처리부(230)에 전송하고(S310), 통신 처리부(230)는 제2 전송기(132)에 음성 패킷호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320). 통신 처리부(230)는 음성 패킷호 연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패킷호 연결 응답신호를 제2 전송기(132)로부터 수신하여 통신단말기(110)와 제2 네트워크(130) 간에 음성 패킷호를 연결한다(S330).
통신 처리부(230)는 음성 패킷호를 이용하여 패킷 전송 요청신호를 패킷 처리부(138)에 전송한다(S340). 여기서, 패킷 처리부(138)는 링크 단절, 장치 결함 등과 같은 이유로 패킷 전송 응답신호에 대한 오류가 발생하여 패킷 전송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없게 되면(S342), 통신 처리부(230)는 기 설정된 대기시간이 초과하게 되면(S350), 무응답 정보를 단말 제어부(S360)에 전송하여 제2 네트워크(130)에 대한 음성 패킷호 연결을 종료한다(S332).
단말 제어부(210)는 통신 처리부(230)에 제1 네트워크(120) 기반의 음성호 신호를 발신하고(S370), 통신 처리부(230)는 제1 네트워크(120)에 음성호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S380), 제1 네트워크(120)로부터 음성호 연결 응답신호를 수신하면(S382), 통신단말기(110)는 제 1 네트워크(120)의 음성호를 이용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한다(S390).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9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9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음성통신 분야에 적용되어, 4G 네트워크에 과부하로 인해 단말기의 접속이 제한되어 패킷을 이용한 음성통신이 불가능하더라도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음성통화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통신단말기 120: 제1 네트워크
122: 제1 전송기 124: 데이터 처리기
126: 데이터 게이트웨이 130: 제2 네트워크
132: 제2 전송기 134: 제어 처리부
136: 트래픽 제어부 138: 패킷 처리부
210: 단말 제어부 212: 연결 요청정보 수신부
214: 연결 기준값 생성부 216: 부하정보 수신부
218: 연결 판단부 220: 호 연결 제어부
230: 통신 처리부 232: 제1 네트워크 통신부
234: 제2 네트워크 통신부

Claims (10)

  1.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로부터 부하정보를 수신하는 부하정보 수신부;
    주변 네트워크 상태에 근거하여 무작위(Random)로 연결 기준값을 생성하는 연결 기준값 생성부;
    상기 부하정보가 상기 연결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음성 패킷호를 발신하도록 호 연결 제어부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부하정보가 상기 연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상기 음성 패킷호의 발신을 대기시키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음성호 연결을 이용하도록 하는 연결 판단부;
    상기 연결 판단부에서 상기 음성 패킷호의 발신이 제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호 연결 제어부;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음성호를 이용한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패킷 전송 또는 응답에 대한 오류로 인해 무응답 상태가 기 설정된 대기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무응답 대기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접속가능 정보, 과부하 정보, 연결 기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가능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단말기 수를 의미하고, 상기 과부하 정보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정도를 나타낸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연결 기준정보는 상기 연결 기준값의 판단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값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판단부에서 상기 연결 기준값이 상기 연결 기준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음성 패킷호의 발신이 제한된 것으로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처리부는,
    상기 음성호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음성호 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성호 연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음성호 연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8.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로부터 부하정보를 수신하는 부하정보 수신과정;
    주변 네트워크 상태에 근거하여 무작위(Random)로 연결 기준값을 생성하는 연결 기준값 생성과정;
    상기 부하정보가 상기 연결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음성 패킷호를 발신하도록 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부하정보가 상기 연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상기 음성 패킷호의 발신을 대기시키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음성호 연결을 이용하도록 하는 연결판단 과정;
    상기 연결 판단과정에서 상기 음성 패킷호의 발신이 제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호 연결 제어과정;
    상기 호 연결 제어과정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음성호를 이용한 음성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가능한 호 처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패킷 전송 또는 응답에 대한 오류로 인해 무응답 상태가 기 설정된 대기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무응답 대기처리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가능한 호 처리방법.
  10. 삭제
KR1020130007617A 2013-01-23 2013-01-23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98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617A KR101987071B1 (ko) 2013-01-23 2013-01-23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617A KR101987071B1 (ko) 2013-01-23 2013-01-23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157A KR20140095157A (ko) 2014-08-01
KR101987071B1 true KR101987071B1 (ko) 2019-06-11

Family

ID=5174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617A KR101987071B1 (ko) 2013-01-23 2013-01-23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92A1 (ko) * 2021-04-29 2022-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반하여 노드와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607B1 (ko) * 2009-04-15 2013-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시스템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654063B1 (ko) * 2010-08-10 201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92A1 (ko) * 2021-04-29 2022-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반하여 노드와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157A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9765B2 (en) Policy control method for multipath transmission, and related device
JP2011527537A (ja) アイドルモードにおけるシグナリング節約機能の活性化判断方法及びシステム
CN110351793B (zh) 业务的实现方法、网络单元和终端
CN111479262B (zh) 一种业务注册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0049481B (zh) 一种业务指示方法和相关设备
CN110446274B (zh) 一种隧道建立的方法及装置
CN111263424B (zh) 一种接入网络的控制方法及通信设备
CN112543172B (zh) 一种ims呼叫方法、终端和网络功能
KR102084038B1 (ko) 중요 데이터 패킷을 우선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7071B1 (ko) 이종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호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432510B1 (ko) 이종 이동통신 혼용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09239B1 (ko) Apn 변경 장치 및 방법과 apn 변경을 위한 무선 단말 장치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N111602428B (zh) 一种切换方法及装置
KR101368230B1 (ko) 홈 가입자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요금제 변경 처리 방법
CN112449402A (zh) 网络附着方法、网关及用户设备
KR101449720B1 (ko) 베어러 설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28624A (ko) 맞호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957952B1 (ko) 이종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101817267B1 (ko) 이기종 망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징 장치 및 방법
KR102049594B1 (ko)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21970B1 (ko)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405544B1 (ko) 가입자 위치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EP306255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ffloading access network
KR101890887B1 (ko) Epc망에서 중복 페이징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12044B1 (ko)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