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739B1 - 도어용 충격완화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충격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739B1
KR101986739B1 KR1020170126665A KR20170126665A KR101986739B1 KR 101986739 B1 KR101986739 B1 KR 101986739B1 KR 1020170126665 A KR1020170126665 A KR 1020170126665A KR 20170126665 A KR20170126665 A KR 20170126665A KR 101986739 B1 KR101986739 B1 KR 10198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door
coupled
shock absorbing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400A (ko
Inventor
정대성
Original Assignee
정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성 filed Critical 정대성
Priority to KR102017012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739B1/ko
Priority to PCT/KR2017/014022 priority patent/WO2018101795A1/ko
Publication of KR2019003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61Behaviour during impact characterised by a pre-defined mode of deformation or displacement in ord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Panel 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완화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판상 탄성부재의 중앙영역이 요입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중앙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의 양측으로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제 1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중간부의 수용공간과 사이드부의 수용공간에 각각 장착되어 제 1 충격 완화 부재에 전달되는 충격을 후속으로 완화시키는 복수의 제 2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중간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제 2 충격 완화 부재를 지지시키고 한 쌍의 사이드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의 상기 중간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제 2 충격 완화 부재를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 충돌 시 제 1, 제 2 충격 완화 부재 및 연결부재의 단계적인 충격흡수를 통해 충격에너지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도어 패널의 변형에 따른 실내진입을 최소화하여 도어의 피해는 물론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충격완화장치{Impact Reducing Apparatus For Vehicle Doors}
본 발명은 도어용 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에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 에너지를 다단계로 흡수하여 도어의 함몰과 파손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충격으로부터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충격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후방에는 충돌에 대한 충격저감수단으로 완충부재인 범퍼가 설치되는데 반하여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한 저감수단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측면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일예로서, 외부로부터 도어에 충격이 가해질 때 도어의 패널이 변형되면서 차체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임펙트 바를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임펙트 바(10)는 차량이 승용차의 경우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횡방향으로 착설되어 도어의 외부에서 가하여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임펙트 바는 단면형태가 원형이거나 사각형인 금속봉이 사용되며, 이러한 금속봉 형태의 임펙트 바는 재질 특성상 강도가 우수하여 내충격성은 있으나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없어서 이에 가해지는 충격이 차량전체 또는 차량내부에 그대로 전달되어 탑승자에게 충돌충격이 전달될 수 있으며, 도어 패널과 함께 쉽게 변형되면서 실내로 진입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삭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48214호 (1999.03.15)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83202호 (2003.10.3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횡방향, 종방향, 사선방향으로 장착되어 외부 충돌시 뛰어난 완충작용과 충격흡수력으로 도어 패널의 변형에 따른 실내진입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는 도어용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되는 충격완화장치를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시켜 충돌력에 보다 큰 응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충격완화장치의 설치구조를 확보하는 도어용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완화장치에 충격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장치를 장착하여 충격 감지시 에어백, 헤드레스트, 시트, 안전밸트 등과 같은 안전관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신호를 인가함으로서 안전관련장치의 작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도어용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는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완화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판상 탄성부재의 중앙영역이 요입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중앙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의 양측으로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제 1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중간부의 수용공간과 사이드부의 수용공간에 각각 장착되어 제 1 충격 완화 부재에 전달되는 충격을 후속으로 완화시키는 복수의 제 2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중간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제 2 충격 완화 부재를 지지시키고 한 쌍의 사이드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의 상기 중간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제 2 충격 완화 부재를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양 측단이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양단이 상기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제 2 충격 완화 부재를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은 상기 아웃터 패널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외향 절곡되어 상기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 제 2 충격 완화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이 아웃터 패널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에 의해 마련되는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인너 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결합되고, 수직면이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ㄱ자" 형상의 모서리부분이 모따기 형태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상지 지지부재의 절곡면에 결합되고, 수직면이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T"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면에 결합되고, 수직면이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면의 하단은 상기 인너 패널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한 덧댐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상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가 절곡된 각도는 90°내지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연결 부재 간에는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연결 부재 중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걸림턱은 회전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2 충격 완화 부재는 코일 스프링, 유압 스프링, 판 스프링, 에어 스프링,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 마그네틱 스프링, 및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충격 완화 부재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 내부에 위치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에는 고정 부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는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 중 어느 한 곳에 또는 둘 모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돌감지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충돌감지장치는 상기 아웃터 패널과 제 1 충격 완화 부재 간에 걸쳐지게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아웃터 패널과 상기 연결 부재간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충돌감지장치는 안전관련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격감지 시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 충돌 시 제 1, 제 2 충격 완화 부재 및 연결부재, 지지부재의 단계적인 충격흡수를 통해 충격에너지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도어 패널의 변형에 따른 실내진입을 최소화하여 도어의 피해는 물론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 및 보강부재, 덧댐부재 등의 형상 및 결합관계 그리고 설치구조를 통해 충격완화장치를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시켜 충돌력에 보다 큰 응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돌감지장치가 충격 감지시 에어백, 헤드레스트, 시트, 안전밸트 등과 같은 안전관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신호를 인가하여 헤드레스트, 시트,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를 사고 상태에 적합하게 세팅(setting)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차량 내부의 탑승자의 안전을 보다 더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종래 임펙트바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가 종래 임펙트바 대신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충격 완화 부재의 사이드부와 연결부재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충격 완화 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가 차량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가 차량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가 차량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되는 제 3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가 차량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되는 제 4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에 충돌감지장치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충돌감지장치가 상기 아웃터 패널과 제 1 충격 완화 부재간에 걸쳐지게 구비되고 아웃터 패널과 연결 부재 간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평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용 충격완화장치(100)는 도어의 인너 패널(210)과 아웃터 패널(220) 사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사선방향으로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다단계로 흡수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완화장치(100)는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판상 탄성부재의 중앙영역이 요입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중앙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중간부(111) 및 상기 중간부의 양측으로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한 쌍의 사이드부(112)를 포함하는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와, 중간부(111)의 수용공간과 사이드부(112)의 수용공간에 각각 장착되어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에 전달되는 충격을 후속으로 완화시키는 복수의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와, 중간부(111)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를 지지시키고 한 쌍의 사이드부(112)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30)와,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상기 중간부(111)와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부(112)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제 2 충격완화 부재(120)를 지지시키는 지지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는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판상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는 결합부재(113)에 의해 결합되거나 그들 사이에 용접을 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의며, 결합부재(113)는 U-볼트, 브라켓,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를 이루는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가 결합부재(113)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시 충격흡수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는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의 중앙영역이 요입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중앙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중간부(111) 및 상기 중간부의 양측으로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한 쌍의 사이드부(112)를 포함한다.
이때, 중간부(111)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양측의 사이드부(112)로부터 요입된 형태로 절곡된 판상 탄성부재의 절곡 각도는 90° 내지 16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절곡 각도를 통해 외부의 충격시 충격 흡수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그 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의 소재, 두께, 수량, 형태를 변화함으로써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충격흡수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13)로 U-볼트를 채택할 경우, 브라켓(미도시) 또는 마운팅 부재(미도시)를 추가하여 완충력을 높일 수 있으며, U-볼트의 몸체 일부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미도시)이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 상에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113)의 장착 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양 사이드부(112)간을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부재(130)는 탄성소재의 복수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판 스프링의 소재, 두께, 수량, 형태 등을 변경함으로써 연결부재(130)의 충격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판 스프링은 결합부재(113)에 의해 결합되거나 그들 사이에 용접을 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부재(113)는 U-볼트, 브라켓,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30)를 이루는 복수의 판 스프링이 결합부재(113)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시 충격흡수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13)로 U-볼트를 채택할 경우, 브라켓(미도시) 또는 마운팅 부재(미도시)를 추가하여 완충력을 높일 수 있으며, U-볼트의 몸체 일부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미도시)이 연결부재(130) 상에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113)의 장착 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0)는 양측의 사이드부(112)와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즉, 사이드부(112)는 중앙에 회전결합부재(131)가 관통하는 제 1 힌지 구조(112a)를 포함하고, 연결부재(130)는 중앙에 회전결합부재(131)가 관통하는 제 2 힌지 구조(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힌지 구조(130a)는 제 1 힌지 구조(112a)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 홈(112b)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제 1 힌지 구조(71) 및 제 2 힌지 구조(72)는 요철 형상이 서로 반대로 되어 한 쪽이 다른 쪽에 끼워지도록 될 수 있다.
회전결합부재(131)는 볼트일 수 있으며, 회전결합부재(131)가 제 1 힌지 구조(112a) 및 제 2 힌지 구조(130a)를 관통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너트(132)가 회전결합부재(13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부(112) 측에는 걸림턱(112c)이 형성되고, 연결부재(130) 측에는 걸림턱(112c)에 대응되는 돌출부(130c)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2c)과 돌출부(130c)가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부재(130)와 사이드부(112) 간이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될 때 충격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걸림턱(112c)과 돌출부(130c)에 의해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걸림턱(112c)과 돌출부(130c)의 형성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부재(130) 측에 걸림턱(112c)이 형성되고 사이드부(112)측에 돌출부(130c)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는 도어의 아웃터 패널(220)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받는 부분이 단순한 구조의 탄성부재가 아닌 중간부(111)가 요입된 형태로 절곡되어 양쪽 사이드부(112)가 마치 날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사이드부(112) 사이를 연결부재(130)로 연결하여 구성됨으로서 외부 충격시에 충격에너지의 분산 효과 및 탄성 효과를 높이는 한편, 전면적인 정면충돌과 후방 충돌은 물론 부분적 정면충돌이나 측면충돌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양측으로 펼친 날개에 해당하는 사이드부(112)는 충돌 시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양쪽 사이드부(112)가 연결부재(130)를 통해 유동적으로 체결되어 복합적으로 구성됨으로써 탄성효과를 높이는 한편, 전면적인 정면충돌은 물론 부분적 정면충돌이나, 좌측이나 우측 등에서 발생하는 부분충돌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사이드부(112)와 지지부재(140)의 사이 및 연결 부재(130)와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중간부(111)의 사이에는 복수의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가 배치된다.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는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 및 연결 부재(130)에 이어서 3차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코일 스프링, 유압 스프링, 판 스프링, 에어 스프링,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 마그네틱 스프링, 및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는 탄성을 가진 구성 중 하나일 수도 있고, 이들 중 복수가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는 코일 스프링 및 댐퍼가 결합된 형태를 본 실시 예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는 코일 스프링(121), 코일 스프링(121)의 내부에 위치하는 댐퍼(122)를 포함하고, 코일 스프링(121)의 양단에는 코일 스프링(121)이 정해진 위치 내에서 충격 완화를 행할 수 있도록 고정 부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121)과 댐퍼(122)는 충격에 대하여 반응하는 시간이 다르고 흡수할 수 있는 충격의 정도도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121)이 우선 반응하되, 흡수하는 충격 에너지는 댐퍼(122)가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는 충격을 나누어서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는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사이드부(112)와 지지부재(140)의 사이 및 연결부재(130)와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중간부(111)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 충격시 충격흡수력을 강화한다.
지지부재(140)는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에 이어 4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용접 또는 결합 부재(113)를 통해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중간부(111)와 연결되고 사이드부(112)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를 지지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100)가 차량의 인너 패널(210)과 아웃터 패널(220) 사이에 장착되는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완화장치(100)는 차량의 인너 패널(210)과 아웃터 패널(220) 사이에 장착되며, 지지부재(140)가 인너 패널(210)에 고정되어 제 1, 제 2 충격 완화 부재(110,120)를 지지시키고, 제 1, 제 2 충격 완화 부재(110,120)는 아웃터 패널(220)을 향해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의 충격완화장치(100)는 인너 패널(210)과 아웃터 패널(22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40)는 인너 패널(210)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재(140)에는 일단이 인너 패널(210)과 결합되어 지지부재(14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부재(23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230)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지지부재(140)의 저면에 결합되고, 수직면이 인너 패널(2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4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230)는 모서리부분을 모따기 형태로 절곡하여 탄성력 및 완충력, 충격흡수력을 증대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의 충격완화장치(100)는 지지부재(140)의 양 측단이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양단이 차량 도어의 인너 패널(210)과 아웃터 패널(220) 사이에 개재되어 제 1, 제 2 충격 완화 부재(120)를 지지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40)의 양단에는 아웃터 패널(220)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41)와, 절곡부로부터 외향 절곡되어 인너 패널(210)과 아웃터 패널 (220)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부재(140)의 절곡부(141)는 지지부재(140)의 탄성력 및 완충력, 충격흡수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1, 제 2 충격 완화 부재(110,120)는 지지부재(140)의 양단이 아웃터 패널(220)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141)에 의해 마련되는 수용공간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보강부재(230)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지지부재(141)의 절곡부(141)에 결합되고, 수직면이 인너 패널(2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41)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의 충격완화장치(100)는 도 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지지부재(140)의 양단에 절곡부(141)와, 고정부(142)가 형성되어 인너 패널(210)과 아웃터 패널(22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형태를 갖되, 보강부재(230)가 "T"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지지부재의 절곡부(141)에 결합되고, 수직면의 하단이 인너 패널(210)의 측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재(230)의 수직면의 하단은 인너 패널(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 형태의 충격완화장치(100)는 지지부재(140)의 고정부(142)가 인너 패널(210)의 단턱에 걸쳐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고정부(142)의 상면에는 덧댐부재(240)가 덧대어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고정부(142)의 고정력을 보강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덧댐부재(240)의 형상은 인너 패널(210)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230)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지지부재(140)의 절곡부(141)에 결합되고, 수직면이 인너 패널(2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4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충격완화장치(100)가 차량의 인너 패널(210)과 아웃터 패널(220) 사이에 장착되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아울러 지지부재(140)의 형상이나 보강부재(230) 및 덧댐부재(240)의 형상, 그리고 결합위치 및 결합방법은 차량의 도어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충격완화장치에 장착되는 충돌감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에 설치된 충격완화장치(100)에는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장치(30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충돌감지장치(300)는, 충돌 시 입력되는 값에 따라 제어장치를 통해 에어백과 같은 안전관련장치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감지장치(300)는 제 1 충격 완화 부재와 연결 부재 중 어느 한 곳에 또는 둘 모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돌감지장치(300)가 단순한 외부 충격에 의해서만 작동될 뿐만 아니라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 및 연결 부재(13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에도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충돌로 인한 충격의 감지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안전관련장치를 보다 정확하게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감지장치(300)는 아웃터 패널(220)과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 간에 걸쳐지게 구비되거나 또는 아웃터 패널(220)과 연결부재 (130)간에 걸쳐지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아웃터 패널(220)과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에 걸치도록 설치되는 충돌감지장치(300)의 경우, 제 1 충격 완화 부재(110)의 사이드부(112)에 걸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충돌감지장치(300)는 차량 내부의 안전관련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격감지 시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충돌감지장치(300)는 에어백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제어장치(예를 들어, 헤드레스트, 시트, 안전벨트와 같은 안전관련장치를 포함한 차량에서 제어와 관련된 모든 장치)와 연결되어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충돌감지장치(60)가 충격을 감지하게 되면 사고 모드(mode)로 되어서 차량 내부의 전자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헤드레스트, 시트,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를 사고 상태에 적합하게 세팅(setting)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차량 내부의 탑승자의 안전을 보다 더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 충돌 시 제 1, 제 2 충격 완화 부재 및 연결부재의 단계적인 충격흡수를 통해 충격에너지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도어 패널의 변형에 따른 실내진입을 최소화하여 차량 피해는 물론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 및 보강부재, 덧댐부재 등의 형상 및 결합관계 그리고 설치구조를 통해 충격완화장치를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시켜 충돌력에 보다 큰 응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돌감지장치가 충격 감지시 에어백, 헤드레스트, 시트, 안전밸트 등과 같은 안전관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신호를 인가하여 헤드레스트, 시트,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를 사고 상태에 적합하게 세팅(setting)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차량 내부의 탑승자의 안전을 보다 더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충격완화장치 110: 제 1 충격 완화 부재
111: 중간부 112: 사이드부
112a: 제 1 힌지 구조 112b: 회전 홈
112c: 걸림턱 113: 결합부재
120: 제 2 충격 완화 부재 121: 코일 스프링
122: 댐퍼 130: 연결부재
130a: 제 2 힌지구조 130c: 돌출부
131: 회전결합부재 132: 너트
140: 지지부재 141: 절곡부
142: 고정부 210: 인너 패널
220: 아웃터 패널 230: 보강부재
240: 덧댐부재
300: 충돌감지장치

Claims (22)

  1.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완화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판상 탄성부재의 중앙영역이 요입되는 형태로 절곡되어 중앙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의 양측으로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제 1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중간부의 수용공간과 사이드부의 수용공간에 각각 장착되어 제 1 충격 완화 부재에 전달되는 충격을 후속으로 완화시키는 복수의 제 2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중간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제 2 충격 완화 부재를 지지시키고 한 쌍의 사이드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의 상기 중간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부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제 2 충격 완화 부재를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양 측단이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양단이 상기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제 2 충격 완화 부재를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은 상기 아웃터 패널을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외향 절곡되어 상기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 제 2 충격 완화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이 아웃터 패널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에 의해 마련되는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인너 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결합되고, 수직면이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ㄱ자" 형상의 모서리부분이 모따기 형태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상지 지지부재의 절곡면에 결합되고, 수직면이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T"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평면이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면에 결합되고, 수직면이 상기 인너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면의 하단은 상기 인너 패널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한 덧댐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복수의 판상 탄성부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가 절곡된 각도는 90° 내지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연결 부재 간에는 기 결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연결 부재 중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걸림턱은 회전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격 완화 부재는 코일 스프링, 유압 스프링, 판 스프링, 에어 스프링,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 마그네틱 스프링, 및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격 완화 부재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코일 스프링 내부에 위치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양단에는 고정 부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 중 어느 한 곳에 또는 둘 모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돌감지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감지장치는 상기 아웃터 패널과 제 1 충격 완화 부재 간에 걸쳐지게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아웃터 패널과 상기 연결 부재간에 걸쳐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감지장치는 안전관련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격감지 시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KR1020170126665A 2016-12-02 2017-09-29 도어용 충격완화장치 KR10198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65A KR101986739B1 (ko) 2017-09-29 2017-09-29 도어용 충격완화장치
PCT/KR2017/014022 WO2018101795A1 (ko) 2016-12-02 2017-12-01 충격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65A KR101986739B1 (ko) 2017-09-29 2017-09-29 도어용 충격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00A KR20190037400A (ko) 2019-04-08
KR101986739B1 true KR101986739B1 (ko) 2019-06-07

Family

ID=6616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665A KR101986739B1 (ko) 2016-12-02 2017-09-29 도어용 충격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3644A (zh) * 2019-06-28 2019-09-24 三一重机有限公司 减震盖板及旋挖钻机底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214Y1 (ko) 1995-12-23 1999-06-15 정몽규 차량도어용 임펙트바의 설치구조
KR0160027B1 (ko) * 1995-12-27 1999-01-15 김태구 자동차의 범퍼구조
JPH1148883A (ja) * 1997-08-08 1999-02-23 Koichi Nagai 衝撃吸収バンパー装置
DE19918202A1 (de) * 1999-04-22 2000-10-26 Bayer Ag Sicherheitsstoßfänger
KR20030083202A (ko) 2002-04-19 2003-10-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임펙트바 보강브라켓을 구비한 차량의 사이드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00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950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a vehicle
JP6706260B2 (ja) 側面衝突に対する強化された車のドア
US6679547B2 (en) Front pillar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KR101986739B1 (ko) 도어용 충격완화장치
CN108621759A (zh) 车门结构
KR20140055232A (ko) 철도차량용 배장기
EP2423038B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KR20160126194A (ko) 복판구조를 갖는 차량용 범퍼 백빔 조립체
US11890976B2 (en) Damped shock-absorbing seat
KR100916148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101869274B1 (ko) 충격 완화 장치
JP4101617B2 (ja) 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体
KR101875916B1 (ko) 충격 완화 장치
KR102338032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니볼스터 브라켓
KR102271623B1 (ko) 차량 범퍼 보강용 사이드 익스텐션
KR101659951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101252206B1 (ko) 도어 임팩트 빔 마운팅용 빔브라켓
JP7078518B2 (ja) 車両用ドア
KR101450608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브라켓 설치구조
CN208216844U (zh) 前部车体增强结构
KR101490734B1 (ko) 판스프링용 다기능 사이렌서
KR19990038078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구조
KR102315841B1 (ko) 다중 차량추돌 완충장치
KR20140044681A (ko) 차량용 프레임 유닛
JP7040082B2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