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362B1 -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362B1
KR101986362B1 KR1020170121158A KR20170121158A KR101986362B1 KR 101986362 B1 KR101986362 B1 KR 101986362B1 KR 1020170121158 A KR1020170121158 A KR 1020170121158A KR 20170121158 A KR20170121158 A KR 20170121158A KR 101986362 B1 KR101986362 B1 KR 10198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upler
high frequency
frequency
power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3112A (en
Inventor
이건복
이경표
이수길
김명룡
창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2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362B1/en
Publication of KR2019003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3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전력전송장치를 통해 무선 방식으로 인가받은 전원을 기 지정된 고주파 전원으로 변환하는 고주파 변환부;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기 변환된 고주파 전원을 유선으로 인가받는 제1 전력 커플러; 상기 제1 전력 커플러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조가선에 유기된 고주파 전원을 전달받는 제2 전력 커플러; 및 조가선-전차선-드로퍼 구조의 고유한 공진 주파수에 맞추기 위하여 상기 각 전력 커플러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커플러가 상기 전달받은 고주파 전원을, 상기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시 구동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 지정된 전기 장치에 유선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that includes a high-frequency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power supplied via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to a predetermined high- A first power coupler installed in the wire and adapted to receive the converted high-frequency power as wires; A second power coupler for receiving a high frequency power source induc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power coupler; And a capacitor element connected to each of the power couplers for matching a resonance frequency of the first harmonic generator and the harmonic resonance frequency of the first harmonic generator to the second harmonic generator. To a pre-designated electrical device that requires power.

Description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0001]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로의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시 구동 전원이 필요한 임의의 전기 장치에 공진 주파수 특성을 이용해 무선 방식으로 고주파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 high-frequency power in a wireless manner to an arbitrary electric device installed in a rail of a railroad, .

대부분의 철도 차량은 상부의 가선에 판토그래프를 접촉시켜 전원을 공급 받으며, 이를 위해 레일 위의 공중에 전차선이라는 고압의 가선을 설치해 놓는다.Most railway vehicles are powered by contacting the pantograph on the upper cantilever. To do this, a high voltage cantilever, called a catenary, is installed in the air above the rail.

상기 전차선은 25(kV)에 해당하는 특고압 상태에 있으므로, 근처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이에 따라 역사 근처에는 전차선 구조 중 하나인 조가선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압위험표지를 매달아 놓는다. Since the electric cable has an extra-high voltage of 25 (kV), it is very dangerous for a person to approach nearby. Accordingly, a high-voltage danger sign as shown in FIG. 1 is hung on a hanger line, which is one of the catenary structures, near the history.

그러나 상기 고압위험표지는 단순히 일반 패널에 위험을 알리는 문구가 적혀 있어서 전차선의 활선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고, 어두운 상태에서는 사람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안전관리 측면에서 유지보수 작업자 및 일반 사람들의 눈에 잘 뜨이고, 또한 일반적인 경고 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의 안전표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high-risk danger sig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detect the live state of a catenary because the general panel includes a danger warning text, and is not visible to a human eye in a dark stat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afety indicator that is well visible to the maintenance worker and the public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and that has a higher level of security than the general warning level.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최근에는 위험표지장치에 보조전원을 공급하여 이에 내장된 조명(LED 조명)을 점등하고, 활선감지센서를 탑재하여 전차선의 활선상태를 나타내 주는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 전차선의 고압부는 매우 높은 전압으로 인해 전주에 절연애자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저압부와 분리되어 있어서, 만약 외부의 보조전원을 유선으로 바로 연결하게 되면 위험표지장치의 절연이 파괴되어 일반적인 보조전원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developed an apparatus for supplying an auxiliary power source to a hazard marking apparatus, lighting a built-in illumination (LED illumination), and displaying a live state of a catenary by mounting a live-line sensor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Since the high-voltage part of the catenary cable is separated from the low-voltage part electrically using insulating insulators due to the very high voltage, if the auxiliary auxiliary pow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ire, the insulation of the danger marking device is destroy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배터리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전차선 전기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power supply method using a battery system, a power supply method using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a power supply method using a electric wire harnessing electric wire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 배터리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은, 배터리 수명이 다되면 교체를 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 가선의 가압을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ower supply method using the battery system needs to be replaced when the battery life expires. In this case, since the pressing of the cable is required to be released, maintenance costs are increased.

또한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은, 고압부에 반영구적인 독립 발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인데, 이는 태양광이 없는 흐린 날이나 밤에는 에너지 수집이 어렵고 일정한 크기의 에너지를 꾸준히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supplying power using the above-describe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is to install a semi-permanent independent power generation device in a high-voltage portion, which is difficult to collect energy at a cloudy day or night without sunlight, have.

또한 상기 변류기를 이용한 전차선 전기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은, 전차선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 커플링을 이용하여 약간의 에너지를 수집하는 방법인데, 전차선에는 수백 암페어의 큰 전류가 흐르므로 에너지 수집은 가능하다. 하지만 전차선 구조에서는 일반적인 송전선과 다르게 열차가 지나갈 때에만 전류가 흐르고, 또한 전류가 전차선과 조가선이라는 보조도선에 병렬로 흐르기 때문에 부하장치를 조가선에 연결할 경우 조가선에 흐르던 전류가 전차선으로 우회하여 흐를 가능성이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harvesting electric wire using the current transformer is a method of collecting a little energy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when a current flows in the electric wire. Energy collecting is possible because a large current of several hundred amperes flows in the electric wire. However, unlike a normal transmission line, a current flows only when a train passes, and since a current flows in parallel to a secondary line such as a line and a line, the current flowing in the line is bypassed to the line There is an inefficient problem.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8149호(2017.04.12. 등록, 전원 공급용 원거리 무선전력전송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728149 (Registered on Apr. 12, 2017) for a remot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power suppl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철로의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시 구동 전원이 필요한 임의의 전기 장치에 공진 주파수 특성을 이용해 무선 방식으로 고주파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apparatus, which is installed in a line of a railway and which requires an always-on driving power,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high-frequency pow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는, 무선전력전송장치를 통해 무선 방식으로 인가받은 전원을 기 지정된 고주파 전원으로 변환하는 고주파 변환부;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기 변환된 고주파 전원을 유선으로 인가받는 제1 전력 커플러; 상기 제1 전력 커플러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조가선에 유기된 고주파 전원을 전달받는 제2 전력 커플러; 및 조가선-전차선-드로퍼 구조의 고유한 공진 주파수에 맞추기 위하여 상기 각 전력 커플러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커플러가 상기 전달받은 고주파 전원을, 상기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시 구동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 지정된 전기 장치에 유선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gh frequency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power received in a wireless manner throug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nto a designated high frequency power; A first power coupler installed in the wire and adapted to receive the converted high-frequency power as wires; A second power coupler for receiving a high frequency power source induc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power coupler; And a capacitor element connected to each of the power couplers for matching a resonance frequency of the first harmonic generator and the harmonic resonance frequency of the first harmonic generator to the second harmonic generator. To the pre-designated electric apparatus requiring the electric pow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커플러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커플러가 기 지정된 간격으로 추가 배치되어, 상기 제1 전력 커플러로부터 전달되는 고주파 전원을 전달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power couplers having the same form as that of the second power coupler are further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high frequency power delivered from the first power coupler is receiv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커플러와 상기 제2 전력 커플러는, 토로이달 형태의 공진 코일이 지지대에 감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진 코일은 내부에 마그네틱 코어가 없는 형태이고,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커패시터 소자가 연결되며, 상기 공진 코일은 토로이달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지지대에 감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wer coupler and the second power coupler ar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resonance coil of a toroidal shape is wound on a support, the resonance coil has no magnetic core inside, And the resonance coil is wound around a support formed of plastic to maintain the toroidal shap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커플러와 상기 제2 전력 커플러는, 상기 드로퍼의 길이 및 드로퍼 간 전차선이나 조가선의 간격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원의 전달 특성이나 공진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력 커플러와 상기 제2 전력 커플러를 형성하는 지지대의 내부 지름(ri), 외부 지름(ro), 두께나 높이(h), 커패시터 값 및 상기 지지대에 감기는 코일의 턴수(turn)가 조절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wer coupler and the second power couple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frequency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ropper, The inner diameter ri, the outer diameter ro, the thickness and the height h of the support for forming the power coupler and the second power coupler, the capacitor value, and the turn number of the coil wound on the support are adjusted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철로의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시 구동 전원이 필요한 임의의 전기 장치에 공진 주파수 특성을 이용해 무선 방식으로 고주파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dio frequency power source can be transmitted in a wireless manner to an arbitrary electric device that is installed in a rail of a railway line and requires a constant driving power source, using resonance frequency characteristics.

도 1은 기존에 전차선 구조 중 하나인 조가선에 매달아 놓는 고압위험표지를 예시적으로 보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가 설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가 최적의 효율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공진 주파수 산출 및 전력 커플러의 형태를 산출하는 실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전력 커플러의 개략적인 형상을 보인 사진과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의 성능 시험 장면을 보인 사진.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high-pressure danger sign hanging on a sidewall, which is one of the existing catenary structure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ode in which the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installed in FIG. 2;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periment method for calculating a resonance frequency and a shape of a power coupler for delivering power at an optimum effici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power coupler in FIG. 2 and a performance test of a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는, 무선전력전송장치(100)를 통해 전송받은 전원을 조가선에 설치된 위험표지장치(300)가 있는 위치까지 전달한다.As shown in FIG. 2, the RF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ransmits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to a location where the hazard marking apparatus 300 installed in the wire is located.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고전압이 간헐적으로(예 : 철도 차량 통과 시) 인가되는 전차선에 부착된 임의의 전기 장치(예 : 위험표지장치)에 저전압 전원(예 : 상용전원)을 상시 인가하기 위한 장치이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is capable of constantly applying a low voltage power source (for example, a commercial power source) to any electric device (for example, a hazard marking apparatus) attached to a wire to which a high voltage is intermittently applied .

이에 따라 상기 고전압을 이용해 상기 임의의 전기 장치(예 : 위험표지장치)에 상시 전원을 공급하기에는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능하면 외부에서 저전압 전원(예 :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임의의 전기 장치(예 : 위험표지장치)에 상시 전원으로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저전압 전원을 유선 방식으로 상기 고전압 라인(즉, 전차선)에 공급할 경우에는 쇼트 발생 시 고전압이 저전압 라인으로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it is not efficient to always supply power to the arbitrary electric device (for example, the hazard marking device) by using the high voltage, it is possible to supply a low voltage power source (e.g., a commercial power source) For example, a hazard marking apparatus) as an ordinary power source. However, when the low-voltage power is supplied to the high-voltage line (i.e., the electric line) in a wired manner, a high voltage may flow into the low-voltage line when a short circuit occurs.

따라서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저전압 전원(예 : 상용전원)을 무선 방식으로 상기 고전압 라인(즉, 전차선)에 부착된 임의의 전기 장치(예 : 위험표지장치)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고전압 라인과 상기 저전압 라인 간에 쇼트 발생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100)는 상기 배경기술에 공지된 기술(예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8149호)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u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00 can be configured to apply a low voltage power source (e.g., a commercial power source) to any electrical device (e.g., hazard marking device) attached to the high voltage line So that the risk of a short circuit between the low voltage line and the low voltage line can be prevented. However, sinc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can use a technique (e.g., Korean Patent No. 10-1728149) known in the background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100)의 무선전력송신장치(110)가 상용전원(예 : 220V 60Hz)을 각 장치에서 미리 정해진 주파수(예 : Airfuel 규격의 경우 6.78MHz)로 변환하여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면, 이를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100)의 무선전력수신장치(120)가 수신한다.2,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1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converts a commercial power source (for example, 220 V 60 Hz)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e.g., 6.78 MHz in the case of the Airfuel standar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의 고주파 변환부(210)가 상기 무선전력수신장치(120)에서 출력된 전원을 기 지정된 고주파 전원으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고주파 변환부(210)를 통해서 변환되는 전압의 주파수는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서 무선전력전송을 위해 변환하는 주파수와 무관하다. Accordingly, the high-frequency converting unit 210 of the high-frequency pow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verts the power output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into a designated high-frequency power. At this time, the frequency of the voltage converted through the high-frequency conversion unit 210 is independent of the frequency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to conver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즉, 상기 고주파 변환부(210)를 통해서 변환되는 전압의 주파수는,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100)를 통해 전송받은 전원을 조가선에 설치된 위험표지장치(300)가 있는 위치까지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상기 무선전력전송장치(100)에서의 주파수와는 차이가 있다(도 4의 (b) 참조).That is, the frequency of the voltage to be converted through the high-frequency conversion unit 210 is a frequency of a kind of resonance for transmitting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to the position of the danger marking apparatus 300 installed on the wire Frequenc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see FIG. 4 (b)).

상기 고주파 변환부(210)를 통해 기 지정된 고주파 전원으로 변환된 고주파 전원은 조가선에 설치된 비접촉 결합기(220a)(또는 제1 전력 커플러)에 인가된다. 즉, 상기 조가선에 설치된 비접촉 결합기(220a)(또는 제1 전력 커플러)는 상기 고주파 변환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 전원을 유선으로 인가받는다.Frequency power source converted into a high frequency power source through the high frequency converter 210 is applied to the non-contact coupler 220a (or the first power coupler) provided on the bump. That is, the noncontact coupler 220a (or the first power coupler) installed in the bundle line receives the high-frequency power output through the high-frequency conversion unit 210 as a wire.

이때 만약 상기 무선전력수신장치(12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주파수가 원하는 주파수인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 변환부(210)는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무선전력수신장치(120)의 출력 전원을 상기 조가선에 설치된 비접촉 결합기(220a)(또는 제1 전력 커플러)에 직접 인가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 frequency of the voltage output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is a desired frequency, the high frequency converter 210 may not use the frequency. That is, the output power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non-contact coupler 220a (or the first power coupler) installed in the wire.

한편 상기 고주파 전원을 인가받은 비접촉 결합기(220a)(또는 제1 전력 커플러)는 그 형태적인 특성(도 5의 (a) 참조)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하고, 자기장에 의해 조가선에 전류가 유기되어 제2 전력 커플러(220b)에 전달되고(즉, 고주파 전원이 전달되고), 추가적으로 제3 전력 커플러(220c)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3 전력 커플러(220c)에도 고주파 전원이 전달된다.Meanwhile, the non-contact coupler 220a (or the first power coupler) to which the high-frequency power is applied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accordance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ee FIG. 5A) The high frequency power is transmitted to the third power coupler 220c when the third power coupler 220c is further provided to the second power coupler 220b (i.e., the high frequency power source is transmitted).

여기서 상기 제1, 제2, 제3 전력 커플러(220a ~ 220c)는 동일한 형태이지만, 상기 제1 전력 커플러(220a)는 상기 무선전력수신장치(120)나 상기 고주파 변환부(210)를 통해 유선으로 고주파 전원을 최초로 인가받기 때문에 비접촉 결합기(220a)라고 기재할 수도 있다.The first power coupler 220a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coupler 220a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and the high frequency converter 210, The high frequency power is first supplied to the non-contact coupler 220a.

상기 제1, 제2, 제3 전력 커플러(220a ~ 220c)의 형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로이달 형태의 공진 코일이 지지대에 감긴 형태이다.The shap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wer couplers 220a to 220c are such that a toroidal resonance coil is wound on a support as shown in FIG. 5 (a).

여기서 상기 공진 코일은 로고스키(rogowski) 코일과 같이 내부에 마그네틱 코어가 없는 형태이고, 커패시터 회로(각 전력 커플러에 연결된 커패시터 소자(미도시)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결정되는 회로)에 의해 특정한 주파수에 공진하는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공진 코일은 토로이달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플라스틱(절연 소재)으로 형성된 지지대에 감긴 형태이다. Here, the resonance coil is a type without a magnetic core inside, such as a rogowski coil, and is formed by a capacitor circuit (a circuit in which a resonance frequency is determined by a capacitor element (not shown) connected to each power coupler) And has resonance characteristics. The resonance coil is wound on a support formed of plastic (insulating material) to maintain the toroidal shape.

참고로 상기 토로이달 형태의 코일은 내부에 갇혀 회전하는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방향은 토로이달 코일의 한 가운데를 관통하는 조가선에서 발생시키는 자기장의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조가선과 전력 커플러(220a ~ 220c)간의 자기장 결합(magnetic coupling)이 이루어져서 코일의 전력을 조가선에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toroidal coil is internally trapped to form a rotating magnetic field which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tangen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oroidal coil, Magnetic coupling is carried out between the coils 220a and 220c.

아울러 상기 드로퍼는 전차선의 구조상, 수평으로 이어진 전차선과 조가선을 수직으로 연결해 주기 때문에 전력 커플러(220a ~ 220c)에 의해 조가선에 유기된 전류의 귀환을 도울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ropper vertically connects the horizontal line of the electric wire and the wire in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wire, the drop coupler can help return the current induced in the wire by the power couplers 220a to 220c.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 커플러(220a ~ 220c)는 마그네틱 코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조가선과 자기장 결합되는 정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조가선-전차선-드로퍼 구조의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고주파 전원을 전달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류 루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두 전력 커플러(어느 일 측은 송신 전력 커플러가 되고 다른 일 측은 수신 전력 커플러가 된다)가 공유하는 전류 루프의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면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ower couplers 220a to 220c do not use a magnetic core,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coils and the magnetic field is very small. Therefore, the coils 220a to 220c transmit the high frequency power using the resonance phenomenon of the wire-drop wire-dropper structure. That is, the current loo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using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current loop shared by two power couplers (one side becomes the transmission power coupler and the other side becomes the reception power coupler) Power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이때 상기 드로퍼의 길이 및 드로퍼 간 전차선(또는 조가선)의 간격에 따라서도 상기 고주파 전원의 전달 특성(또는 공진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r resonance characteristic) of the high frequency power source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ropper and the spacing between the interdropper lines (or the tangent line).

이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원의 전달 특성(또는 공진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제3 전력 커플러(220a ~ 220c)의 지지대의 내부 지름(ri), 외부 지름(ro), 두께(또는 높이)(h), 커패시터 값 및 상기 지지대에 감기는 코일의 턴수(turn)가 조절될 수 있다. In order to adjust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r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frequency power sour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wer couplers 220a to 220c The inner diameter ri, the outer diameter ro, the thickness (or height) h, the capacitor value,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wound on the support can be adjusted.

상기 값들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을 병행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above values can be calculated through simulation or can be calculated in parallel with the test as shown in Fig. 5 (b).

다시 말해, 상기 제1 전력 커플러(220a)에 의해 조가선 및 전차선에 유기된 고주파 전원(또는 전류)은 상기 제1 전력 커플러(220a)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제2 전력 커플러(220b)에 전달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전력 커플러(220a)로부터 제3 전력 커플러(220c)에도 고주파 전원이 전달된다.In other words, the high frequency power source (or current) induced in the first and second power couplers 220a and 230b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power coupler 220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wer coupler 220a, The high frequency power is also transmitted from the first power coupler 220a to the third power coupler 220c.

이에 따라 특정 전력 커플러(즉, 위험표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커플러)(예 : 제3 전력 커플러)에까지 고주파 전원이 전달되면, 상기 특정 전력 커플러(예 : 제3 전력 커플러)를 유선으로 상기 위험표지장치(300)의 내부 전원부(미도시)에 연결하여, 상기 특정 전력 커플러(예 : 제3 전력 커플러)에서 생성된 전원을 상기 위험표지장치(300)의 내부 전원부(미도시)에 인가한다.Accordingly, when a high frequency power is delivered to a specific power coupler (i.e., a power coupl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hazard marker) (e.g., a third power coupler), the specific power coupler (e.g., third power coupler) (Not shown) of the danger marking apparatus 300 and supplies power generated by the specific power coupler (for example, the third power coupler) to an internal power source unit (not shown) of the hazard marker 300 .

이에 따라 상기 위험표지장치(300)의 내부 전원부(미도시)는 상기 특정 전력 커플러(예 : 제3 전력 커플러)에서 인가받은 전원을 정류장치(미도시) 및 컨버터(미도시)를 이용해 원하는 직류(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위험표지장치(300)의 조명 제어를 위한 구동 전원으로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internal power supply unit (not shown) of the hazard marking apparatus 300 can suppl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pecific power coupler (for example, the third power coupler) to a desired DC power supply (not shown) using a rectifier (DC) voltage to supply as driving power for lighting control of the hazard marking apparatus 300.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가 설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igh-frequency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installed i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커플러(220a ~ 220c)가 지정된 간격으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속해서 설치된 전력 커플러(220a ~ 220c)는 비접촉 결합기로서, 이 중 어느 하나의 전력 커플러(220a)는 송신 커플러가 되고 나머지 전력 커플러(220b, 220c)는 수신 커플러가 된다. As shown in FIG. 3, at least one or more power couplers 220a to 220c are successively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bundle line, and the continuously installed power couplers 220a to 220c are noncontact couplers, The power coupler 220a of the power coupler 220a becomes the transmit coupler and the remaining power couplers 220b and 220c become the receive coupler.

상기 송신 커플러인 제1 전력 커플러(220a)는 무선전력전송장치(100)로부터 유선으로 고주파 전원을 최초로 인가받고, 다른 어느 하나의 전력 커플러(220b, 220c)는 상기 고주파 전원을 전달받는 수신 커플러로서, 상시 전원이 필요한 임의의 전기 장치(예 : 위험표지장치)에 유선으로 고주파 전원을 인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제3 전력 커플러(220b, 220c)는 상기 송신 커플러인 제1 전력 커플러(220a)에서 송신된 고주파 전원을 전달 받는다.The first power coupler 220a as the transmission coupler is firstly supplied with high frequency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by wire and the other power coupler 220b or 220c is a receive coupler for receiving the high frequency power , And radio frequency power is applied to any electric devices (eg, hazard marking devices) that require constant power supply. Thus, the second and third power couplers 220b and 220c receive the high frequency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power coupler 220a, which is the transmit coupler.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철로의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시 구동 전원이 필요한 임의의 전기 장치에 공진 주파수 특성을 이용해 무선 방식으로 고주파 전원을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afely transmit a high-frequency power source in a wireless manner to an arbitrary electric device that is installed in a rail of a railway line and requires a constant driving power source, using resonance frequency characteristics.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무선전력전송장치
110 : 무선전력송신장치
120 : 무선전력수신장치
210 : 고주파 변환부
220a ~ 220c : 전력 커플러
300 : 위험표지장치
10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20: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10: a high-
220a to 220c: power coupler
300: Hazard labeling

Claims (4)

무선전력전송장치를 통해 무선 방식으로 인가받은 전원을 기 지정된 고주파 전원으로 변환하는 고주파 변환부;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기 변환된 고주파 전원을 유선으로 인가받는 제1 전력 커플러;
상기 제1 전력 커플러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조가선에 유기된 고주파 전원을 전달받는 제2 전력 커플러; 및
조가선-전차선-드로퍼 구조의 고유한 공진 주파수에 맞추기 위하여 상기 각 전력 커플러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커플러가 상기 전달받은 고주파 전원을, 상기 조가선에 설치되어 상시 구동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 지정된 전기 장치에 유선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전력 커플러와 상기 제2 전력 커플러는, 토로이달 형태의 공진 코일이 지지대에 감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진 코일은 내부에 마그네틱 코어가 없는 형태이고,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커패시터 소자가 연결되며,
상기 공진 코일은 토로이달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지지대에 감긴 형태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전력 커플러와 상기 제2 전력 커플러는,
상기 드로퍼의 길이 및 드로퍼 간 전차선이나 조가선의 간격에 따라,
상기 고주파 전원의 전달 특성이나 공진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력 커플러와 상기 제2 전력 커플러를 형성하는 지지대의 내부 지름(ri), 외부 지름(ro), 두께나 높이(h), 커패시터 값 및 상기 지지대에 감기는 코일의 턴수(turn)가 조절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
A high frequency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power received in a wireless manner throug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nto a predetermined high frequency power;
A first power coupler installed in the wire and adapted to receive the converted high-frequency power as wires;
A second power coupler for receiving a high frequency power source induc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power coupler; And
And a capacitor element coupled to each of the power couplers to match a resonance frequency inherent to the tangent-to-line-and-dropper structure,
And the second power coupler is configured to apply the received high-frequency power to the pre-designated electric device installed in the wire bundle and requiring the always-on driving power,
Wherein the first power coupler and the second power coupler ar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toroidal resonance coil is wound on a support,
Wherein the resonance coil has no magnetic core inside, a capacitor element for controlling a resonance frequency is connected,
The resonance coil is formed in the form of being wound on a support formed of plastic to maintain the toroidal shape,
The first power coupler and the second power coupler,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ropper and the spacing between the dropper-to-damper lines and /
In order to adjust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frequency power source, the inner diameter ri, the outer diameter ro, the thickness and the height h of the support forming the first power coupler and the second power coupler,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wound on the support is adjus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커플러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커플러가 기 지정된 간격으로 추가 배치되어,
상기 제1 전력 커플러로부터 전달되는 고주파 전원을 전달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원 전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r more power couplers having the same form as the second power coupler are additional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rein th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high frequency power from the first power coupl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21158A 2017-09-20 2017-09-20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19863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58A KR101986362B1 (en) 2017-09-20 2017-09-20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158A KR101986362B1 (en) 2017-09-20 2017-09-20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12A KR20190033112A (en) 2019-03-29
KR101986362B1 true KR101986362B1 (en) 2019-06-05

Family

ID=6589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158A KR101986362B1 (en) 2017-09-20 2017-09-20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36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7368A (en) * 1997-06-27 2002-03-05 ビデオコム,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Transmission of FM video signals over various lines
JP2017028832A (en) 2015-07-21 2017-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Power transmis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4469A (en) * 2013-04-01 2014-10-27 日東電工株式会社 Wireless power transmitter, supply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1548057B1 (en) * 2013-11-22 2015-08-2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less power transport system with multiple resonators
KR101728149B1 (en) * 2014-10-24 2017-04-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with large airgap for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7368A (en) * 1997-06-27 2002-03-05 ビデオコム,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Transmission of FM video signals over various lines
JP2017028832A (en) 2015-07-21 2017-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Power transmission devic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2013 07, (제9 내지 10면)
이건복,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566-569 (4 p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12A (en)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18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ing electric vehicles on the road via wireless power transfer
US82373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electric power
CN102891538A (en) Line patrol robot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150050952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Tram Vehicle
KR20170025757A (en) Energy harvesting line post insulator
KR20110061479A (en) A insulator for coupl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a control system of electric railway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2241145B1 (en) On-lin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thereof
KR101728149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with large airgap for power supply
KR101986362B1 (en) High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RU2603331C2 (en) Method of locating short circuit and damage to dc and ac overhead contact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557720B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al energy storage in a fixed or mobile consumer
RU2505427C2 (en) Contactless method of powering electric vehicles
EP34785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on-road electric vehicles via wireless power transfer
CN106483395A (en) For indicating the circuit of high-tension switch cabinet electriferous state
CN210350866U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steel rail as transmission medium
KR102212117B1 (en) Powerless Sensor Tag using the Return Current
CN101777802A (en) Clamping power supply
CN209176543U (en) A kind of erected wire of underground electric locomotive Discrete control system
CN106483362A (en) The potential indicator of high-tension switch cabinet
CN206876755U (en) Indoor non-contact type high voltage charged display device
CN106059019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of convertor station
CN106483364A (en) High-tension switch cabinet electriferous state indicating module
CN106059107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6059021A (en) Wireless charging system employing current control mode
CN106483394A (en) It is easy to indicate the device of high-tension switch cabinet electriferous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