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139B1 -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139B1
KR101986139B1 KR1020190046042A KR20190046042A KR101986139B1 KR 101986139 B1 KR101986139 B1 KR 101986139B1 KR 1020190046042 A KR1020190046042 A KR 1020190046042A KR 20190046042 A KR20190046042 A KR 20190046042A KR 101986139 B1 KR101986139 B1 KR 101986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stacking
housing
roll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호성
박승수
하갑승
Original Assignee
올레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레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올레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52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상기 적재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 내에 최소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에 1개의 보행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보행통로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제한된 공간 내에서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은,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적재프레임; 상기 적재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재배식물이 수용되는 재배화분; 상기 재배화분에 광에너지를 제공하는 조명장치; 상기 재배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장치; 상기 적재프레임 사이에 작업자의 보행통로를 확보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송수단;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Smart farm cultivation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물이 다층으로 배치된 적재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어 일정 공간에서 많은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well-being) 문화의 확산에 따라, 도심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의 여가활용 및 취미활동의 일환으로 농장에서의 작물재배에 대한 욕구 및 시장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도시의 현대인들이 주말 시간을 활용하여 작물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주말 농장과 같은 프로그램의 경우, 주말농장 참여자가 직접 주말마다 농장이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하여 작물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심의 근거리에 위치한 농장 위주로만 주말 농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농경지나 청정 지역이 감소하여 주말농장의 수가 부족해 지고 있다.
또한, 각종 산업공해로 인한 청정 농산물이나 각종 식물의 재배가 날로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실내에서 농산물이나 각종 식물을 재배하는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은 일정 공간에 상하 다층으로 작물이 적재되는 적재프레임(200)을 좌우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분과 빛을 일정하게 공급해준다.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은 농작물 및 식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계절에 상관없이 다양한 농작물 및 식물을 재배할 수는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은 적재프레임(200) 사이에는 작물을 재배하거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작업자가 지나다닐 수 있는 보행통로가 필요하므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이러한 보행통로로 인해 일정 공간 내에서 적재할 수 있는 작물의 수가 한정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958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상기 적재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 내에 최소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에 1개의 보행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보행통로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제한된 공간 내에서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은,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적재프레임; 상기 적재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재배식물이 수용되는 재배화분; 상기 재배화분에 광에너지를 제공하는 조명장치; 상기 재배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장치; 상기 적재프레임 사이에 작업자의 보행통로를 확보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송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 상기 적재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 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수단;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 상기 적재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는 제1롤러지지대; 상기 제1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맞물림되는 제1가이드홈(731)이 형성된 제1가이드롤러; 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수단;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롤러지지대; 상기 제2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2가이드레일과 맞물림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가이드롤러;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롤러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한다.
내부에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기 적재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탄소 복합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벽에는 반사판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는 환경제어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장치; 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적재프레임(20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의 연결프레임(120)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송수단(6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보행통로(10)가 형성되도록 간격을 조절하여 정해진 공간 내에 최대한 많은 상기 적재프레임(200)을 설치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제1가이드수단(700)과 상기 제2가이드수단(800)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이동시 방향을 가이드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롤러지지대(820)를 상기 제2가이드레일(8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8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0)이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 하고, 이로 인해 소음 및 작물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은, 가이드프레임(100), 적재프레임(200), 재배화분(300), 조명장치(400), 관수장치(500), 이송수단(600), 제1가이드수단(700), 제2가이드수단(800), 하우징(910), 환경제어장치(920), 이산화탄소공급장치(9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은 사각 알루미늄 파이프를 가로,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직육면체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은 사각틀 형상의 제1측면프레임(110)과 제2측면프레임(110)이 세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사이에 연결프레임(120)이 배치되어 상기 제1측면프레임(110) 및 상기 제2측면프레임(110)과 결합된다.
상기 적재프레임(200)은 세로 폭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의 세로 폭 보다 작은 직육면체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후술할 상기 재배화분(300)이 안착되는 화분안착대(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프레임(200)은 4개로 이루어져 1개의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의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상기 화분안착대(210)는 상단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화분안착대(210)의 하단에는 배수로가 형성되며, 작물에 공급된 물의 잔여분이 상기 배수로를 통해 일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일괄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재배화분(300)은 일반적인 화분과 마찬가지로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재배할 작물이 수용되며, 하단에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재배화분(300)은 작업자가 쉽게 들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분안착대(210)의 내부에 안착되며, 쉽게 꺼낼 수 있게 배치된다.
상기 조명장치(400)는 LED소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광에너지를 상기 재배화분(300)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조명장치(40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상기 화분안착대(210)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적재프레임(200)에 고정된다.
상기 관수장치(500)는 상기 재배화분(300)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상기 화분안착대(210)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공급관(510)과, 상기 공급관(510)에서 상기 재배화분(3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공급노즐(520)과,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T), 상기 저장탱크에서 상기 공급관(510)으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펌프(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수장치(500)에는 물의 산도를 조절하는 산도조절장치(미도시), 작물에 필요한 영양소를 제공하는 영양제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이송수단(600)은 다수개의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에 작업자의 보행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적재프레임(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610) 및 구동모터(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랙기어(61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데 사용되는 랙과 피니어 장치의 랙(Rack)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의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상단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620)는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610)의 측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620)의 회전축에는 상기 랙기어(610)와 맞물림 되는 피니언기어(6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620)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기어(630)와 상기 랙기어(610)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적재프레임(200)이 상기 랙기어(610)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600)은 레버나 스위치 등의 제어수단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거리 만큼 수동으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며, 경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만큼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600)은 위치센서에 의해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일정 거리 이하로 좁혀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수단(600)은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를 이격시켜, 작업자가 작물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보행통로(10)가 형성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은 작물의 충돌이 없을 정도의 최소한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정해진 공간 내에서 최대한의 많은 적재프레임(2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좌측 끝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좌측에는 상기 보행통로(10)가 1개 형성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보행통로(10)를 통해 좌측 끝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 내의 작물들의 상태는 확인할 수 있으나, 가운데와 우측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 내의 작물들은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 내의 작물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이송수단(600)은 좌측 끝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좌측에 배치된 2개의 적재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보행통로(1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프레임(20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의 연결프레임(120)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송수단(6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보행통로(10)가 형성되도록 간격을 조절하여 정해진 공간 내에 최대한 많은 상기 적재프레임(200)을 설치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수단(7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의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수단(700)은, 제1가이드레일(710), 제1롤러지지대(720), 제1가이드롤러(7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710)은 하부에 배치된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상단에 세로 방항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롤러지지대(7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이 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하단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롤러지지대(720)는 2개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73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롤러지지대(7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롤러(730)의 외주면에 상기 제1가이드레일(710)이 맞물림되는 제1가이드홈(7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수단(700)은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가이드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이동 방향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수단(8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의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가이드수단(800)은, 제2가이드레일(810), 제2롤러지지대(820), 제2가이드롤러(8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810)은 상부에 배치된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하단에 세로 방항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롤러지지대(8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이 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하단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롤러지지대(820)는 2개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83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롤러지지대(8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롤러(830)의 외주면에 상기 제2가이드레일(810)이 맞물림되는 제2가이드홈(8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가이드수단(800)은 상기 제2가이드홈(831)에 상기 제2가이드레일(810)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가이드레일(810)을 따라 상기 제2가이드롤러(830)가 회전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이동 방향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제1가이드수단(700)과 상기 제2가이드수단(800)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이동시 방향을 가이드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수단(800)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8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원통형 형상의 가이드축(840)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롤러지지대(820)는 상기 가이드축(84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롤러지지대(820)의 세로 방향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축(840)과 결합되는 연장부(821)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850)는 상기 가이드축(840)에 끼워지며,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상단과 상기 연장부(82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부(821)를 상기 제2가이드레일(810)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롤러지지대(820)를 상기 제2가이드레일(8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8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0)이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 하고, 이로 인해 소음 및 작물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910)은 내부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00), 상기 적재프레임(200)이 수용되는 밀폐된 공간을 갖는 것으로, 탄소 복합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벽에는 반사판(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조명장치(400)에서 조사되는 빛들을 내부로 반사시켜 외부로 투과하여 나가는 것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910) 내부에 상기 반사판을 설치하여 상기 조명장치(400)에서 조사되는 빛들 상기 하우징(910) 내부로 반사시킴으로써, 광량의 손실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환경제어장치(920)는 상기 하우징(9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9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재바할 작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조절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경제어장치(920)는 가습기(미도시), 냉방기(C) 및 난방기(H)를 구비하며, 미리 설정된 습도와 온도에 맞추어 상기 가습기, 냉방기(C) 및 난방기(H)가 작동하여 상기 하우징(910) 내부의 습도 및 온도가 일정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910) 내부에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는 상기 환경제어장치(920)가 구비됨으로써, 작물의 생장에 적절한 온도와 습도 환경을 제공하여 작물의 발육을 향상시켜 좋은 품질의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산화탄소공급장치(930)는 작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상기 하우징(910) 내부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이산화탄소공급장치(930)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하우징(910) 내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은 작물의 충돌이 없을 정도의 최소한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정해진 공간 내에서 최대한의 많은 적재프레임(2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좌측 끝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의 좌측에는 상기 보행통로(10)가 1개 형성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보행통로(10)를 통해 좌측 끝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 내의 작물들의 상태는 확인할 수 있으나, 가운데와 우측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 내의 작물들은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 내의 작물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이송수단(600)을 이용하여 좌측 끝에 배치된 상기 적재프레임(20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좌측에 배치된 2개의 적재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보행통로(1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순차적으로 상기 적재프레임(200)을 하나씩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행통로(10)를 형성하여 상기 적재프레임(200)에 설치된 작물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프레임(20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00)의 연결프레임(120)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송수단(6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적재프레임(200) 사이에 상기 보행통로(10)가 형성되도록 간격을 조절하여 정해진 공간 내에 최대한 많은 상기 적재프레임(200)을 설치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가이드프레임(100), 측면프레임(110), 연결프레임(120), 적재프레임(200), 화분안착대(210), 재배화분(300), 조명장치(400), 관수장치(500), 이송수단(600), 랙기어(610), 구동모터(620), 피니언기어(630), 제1가이드수단(700), 제1가이드레일(710), 제1롤러지지대(720), 제1가이드롤러(730), 제2가이드수단(800), 제2가이드레일(810), 제2롤러지지대(820), 제2가이드롤러(830), 가이드축(840), 연장부(821), 탄성부재(850), 하우징(910), 환경제어장치(920), 이산화탄소공급장치(930)

Claims (6)

  1.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적재프레임;
    상기 적재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재배식물이 수용되는 재배화분;
    상기 재배화분에 광에너지를 제공하는 조명장치;
    상기 재배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장치; 및
    상기 적재프레임 사이에 작업자의 보행통로를 확보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기어; 및
    상기 적재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롤러지지대;
    상기 제2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2가이드레일과 맞물림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가이드롤러; 및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롤러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수단;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에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
    상기 적재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는 제1롤러지지대;
    상기 제1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맞물림되는 제1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가이드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기 적재프레임을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탄소 복합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벽에는 반사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는 환경제어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KR1020190046042A 2019-04-19 2019-04-19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KR101986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42A KR101986139B1 (ko) 2019-04-19 2019-04-19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42A KR101986139B1 (ko) 2019-04-19 2019-04-19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139B1 true KR101986139B1 (ko) 2019-06-10

Family

ID=6684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42A KR101986139B1 (ko) 2019-04-19 2019-04-19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13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481B1 (ko) 2019-12-31 2020-07-28 농업회사법인 드림팜 유한회사 스마트 팜 큐브
KR20210045063A (ko) * 2019-10-16 2021-04-26 박영목 화분 이동 및 간격 조절 장치
KR20210060019A (ko) 2019-11-18 2021-05-26 이동성 이동이 용이한 조립형 스마트 팜
KR20210073421A (ko) 2019-12-10 2021-06-18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형 스마트 팜
KR20210114611A (ko) 2020-03-11 2021-09-24 (주)투비시스템 IoT 방식의 스마트 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95013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디이엔티 스마트 팜의 탱크 내 잔량측정장치
KR20220095012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디이엔티 스마트 식물 치료 시스템
KR20220095014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디이엔티 스마트 팜의 회전식 트레이 측정장치
KR20220112360A (ko) 2021-02-04 2022-08-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식물 재배장치
KR20220117620A (ko) 2021-02-17 2022-08-24 (주) 심플그로우 딥러닝 기반의 식물 관리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KR102482624B1 (ko) 2022-07-05 2022-12-30 주식회사 경일 이동식 배지통을 이용한 작물 생육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543Y1 (ko) * 2002-02-28 2002-05-11 지상철 랙 이송기
KR20120021543A (ko) * 2010-08-06 2012-03-09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조명장치를 이용한 무인식물재배장치
JP2016077209A (ja) * 2014-10-16 2016-05-16 有限会社ナチュラルステップ 植物栽培槽及び植物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方法
KR101799586B1 (ko) 2017-03-13 2017-11-20 주식회사 리퓨터 스마트 작물재배 시스템
KR101951922B1 (ko) * 2017-08-23 2019-02-26 조영재 식물 공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543Y1 (ko) * 2002-02-28 2002-05-11 지상철 랙 이송기
KR20120021543A (ko) * 2010-08-06 2012-03-09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조명장치를 이용한 무인식물재배장치
JP2016077209A (ja) * 2014-10-16 2016-05-16 有限会社ナチュラルステップ 植物栽培槽及び植物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方法
KR101799586B1 (ko) 2017-03-13 2017-11-20 주식회사 리퓨터 스마트 작물재배 시스템
KR101951922B1 (ko) * 2017-08-23 2019-02-26 조영재 식물 공장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063A (ko) * 2019-10-16 2021-04-26 박영목 화분 이동 및 간격 조절 장치
KR102296191B1 (ko) * 2019-10-16 2021-08-31 박영목 화분 이동 및 간격 조절 장치
KR20210060019A (ko) 2019-11-18 2021-05-26 이동성 이동이 용이한 조립형 스마트 팜
KR20210073421A (ko) 2019-12-10 2021-06-18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형 스마트 팜
KR102138481B1 (ko) 2019-12-31 2020-07-28 농업회사법인 드림팜 유한회사 스마트 팜 큐브
KR20210114611A (ko) 2020-03-11 2021-09-24 (주)투비시스템 IoT 방식의 스마트 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95013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디이엔티 스마트 팜의 탱크 내 잔량측정장치
KR20220095012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디이엔티 스마트 식물 치료 시스템
KR20220095014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디이엔티 스마트 팜의 회전식 트레이 측정장치
KR20220112360A (ko) 2021-02-04 2022-08-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식물 재배장치
KR20220117620A (ko) 2021-02-17 2022-08-24 (주) 심플그로우 딥러닝 기반의 식물 관리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KR102482624B1 (ko) 2022-07-05 2022-12-30 주식회사 경일 이동식 배지통을 이용한 작물 생육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139B1 (ko) 스마트팜 재배 시스템
US111788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KR101240249B1 (ko) 식물재배시스템
TWI695677B (zh) 植物栽培方法及設施
CA3028899C (en) A system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in the absence of soil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1424058B1 (ko) 산업용 인삼 수경재배 시스템
KR101650057B1 (ko) 어항과 led 조명을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1740578B1 (ko) 수경재배장치
JP2012005468A (ja) 植物栽培システム、植物栽培プラント及び植物栽培方法
JP7372721B2 (ja) エアロポニック農業用のプランター、成長システム、および成長ブロック
KR20120128526A (ko)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KR20140122821A (ko) 수경 재배장치
KR20180058558A (ko) 새싹사료용 수경재배장치
JP6392692B2 (ja) ホウレンソウとキノコ類の相互栽培設備
KR20130137902A (ko) 초음파를 이용한 무균 식물재배 장치
KR20170057685A (ko) 수경재배장치
KR10206005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1863910B1 (ko) 식물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실내 녹화장치
KR102265054B1 (ko)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
KR100939898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직형 작물 재배장치
KR20200140747A (ko) 코코배지를 활용한 다단형 식물재배기
KR102416018B1 (ko) 분무식 수경 재배장치
KR101869777B1 (ko) 인삼 수경 재배 장치
JPH01235524A (ja) 完全制御型植物工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