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807B1 -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807B1
KR101985807B1 KR1020180140937A KR20180140937A KR101985807B1 KR 101985807 B1 KR101985807 B1 KR 101985807B1 KR 1020180140937 A KR1020180140937 A KR 1020180140937A KR 20180140937 A KR20180140937 A KR 20180140937A KR 101985807 B1 KR101985807 B1 KR 10198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equipment
environment
setting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덕
안홍준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정찰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에 동적 기능을 할당하기 위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은,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대한 장비 ID를 설정하는 장비 ID 설정 단계;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운용환경을 세팅하는 환경 세팅 단계; 조작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장비 ID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상기 장비 ID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할당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 할당 처리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상기 운용환경의 세팅값을 기반으로 할당된 상기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ynamic Functions Using Equipment ID}
본 발명은 다수의 장비를 사용하는 감시정찰 시스템에서 장비 ID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기능을 할당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장비를 사용하는 감시정찰 시스템은 각각의 장비마다 고유의 독립된 기능을 수동적으로 부여하고, 각 장비에서는 독립된 기능이 고정되어 수행된다. 만약, 소정의 장비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감시정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에 해당하는 경우 소정의 장비는 이중화로 설계된다. 여기서, 장비의 이중화를 통해 하드웨어는 동일하게 설계 및 제작 가능하나 소프트웨어(SW) 기능 할당 제약으로 공용화 활용성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장비가 동일한 하드웨어 구조를 갖더라도 탑재되는 소프트웨어(SW)가 상이하므로 결국 독립된 별개의 장비로 구분된다.
다수의 장비 각각의 운용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는 장비마다 독립적으로 수동 탑재되기 때문에 해당 장비의 고장 발생 시, 기능 중요도와 관계없이 해당 기능은 사용 불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고장이 발생한 장비의 기능 재생을 위해 타 하드웨어에 해당 소프트웨어(SW)를 수동 이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한편, 주요 기능의 운용 생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장비를 이중화 설계할 경우, 동일 소프트웨어(SW)를 탑재한 하드웨어를 여분(Redundancy)으로 보유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 하드웨어 추가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중화 설계된 동일 소프트웨어(SW)가 지속 운용되어야 하며, 문제 발생 시 공간, 열 , 전력, 통신라인, 소프트웨어 처리 추가 등에 따른 설계가 복잡해진다.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은 장비마다 고유의 독립적인 기능을 고정하여 탑재하고 운용하기 때문에, 하드웨어 결함이나 연동 불량에 따른 기능 마비 시 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의 (a)를 참고하면, 종래의 감시정찰 시스템에서 각 장비(A, B, C 중 하나)는 독립된 '가' 내지 '다' 소프트웨어(SW) 기능이 수동적으로 고정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A 장비의 고장 발생시 '가' 소프트웨어(SW) 기능은 중지될 것이다. 만약 '가' 소프트웨어(SW) 기능이 감시정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을 경우 A 장비 고장만으로 시스템 전체가 중지될 수도 있다.
기능 중요도를 따져 B 장비를 A 장비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조로 제작하더라도 수동으로 B 장비에 '나' 기능을 삭제하고 '가' 기능으로 다시 탑재하여 운용해야 하는 시간적 공간적 제원이 소모된다.
또한, 도 1의 (b)를 참고하면,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의 감시정찰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장비를 이중화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화 설계는 이중화 하드웨어 구축 비용 및 필요공간 증가, 소요전력 및 발열량 증가, 통신라인 배선 증가 등과 같이 비용 및 설계 복잡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감시정찰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 각각에 대한 장비 ID를 설정하고, 장비 ID에 근거하여 운용환경을 세팅한 후 할당된 특정 기능에 대한 기능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로딩하여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감시정찰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에 동적 기능을 할당하기 위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은,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대한 장비 ID를 설정하는 장비 ID 설정 단계;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운용환경을 세팅하는 환경 세팅 단계; 조작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장비 ID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상기 장비 ID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할당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 할당 처리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상기 운용환경의 세팅값을 기반으로 할당된 상기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감시정찰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에 동적 기능을 할당하기 위한 동적 기능 할당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대한 장비 ID를 설정하는 장비 ID 설정 단계;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운용환경을 세팅하는 환경 세팅 단계; 상기 장비 ID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상기 장비 ID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할당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 할당 처리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상기 운용환경의 세팅값을 기반으로 할당된 상기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제어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장비에 소프트웨어 기능을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구조를 공용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 공용화 설계로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중화 설계, 병렬처리 설계까지 가능하므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용화된 하드웨어 장비에 여러 기능을 선택적으로 할당하여 운용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장비 중 일부 장비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주요 기능은 지속적으로 운용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 생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 각각에 접근할 필요 없이 데이터 저장소에만 접근하여 각 장비에 할당된 소프트웨어 기능에 대한 관리 및 유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시정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정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장치의 장비 ID 설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장치의 환경 세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장치의 기능 할당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장치의 기능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정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의 감시정찰 시스템과 본 발명의 감시정찰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b는 복수의 장비에 동적 기능을 할당하는 본 발명의 감시정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감시정찰 시스템은 복수의 장비(A 장비, B 장비 및 C 장비) 중 A 장비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A 장비 전용으로 동작하던 '가' 기능이 중지된다. 여기서, A 장비의 고장은 장비의 하드웨어 고장일 수 있으나 통신망 또는 소프트웨어적 고장일 수도 있다.
만약, ‘가’기능이 종래의 감시정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A 장비와 연동하는 타 장비뿐만 아니라 감시정찰 시스템 전체의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감시정찰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감시정찰 시스템(200)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감시정찰 시스템(200)은 복수의 장비 각각에 고유의 독립된 소프트웨어(SW) 기능을 고정하여 탑재 및 운용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복수의 장비 각각에 동적으로 기능을 할당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도 2a의 (b)를 참조하면, 감시정찰 시스템(200)은 A 장비의 고장으로 인해 '가' 기능이 중지될 경우, C 장비에 '가' 기능이 할당되도록 제어하여 최대한 단시간 내에 '가' 기능이 다시 동작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가' 기능을 다시 할당하는 동작은 장비 또는 기능의 중요도 우선순위 판단에 따라 결정된 장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시정찰 시스템(200)은 C 장비에서 동작하던 '다' 기능은 중지되지만, 중요도 우선순위가 낮은 C 장비의 '다' 기능을 중지시키는 대신 시스템의 중요 기능에 해당하는 '가' 기능을 지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방식을 통해 감시정찰 시스템(200)은 하드웨어 결함에 따른 시스템 운용의 치명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하드웨어의 이중화 설계 필요성이 줄어들게 되며 이중화 설계에 따른 설계 구조 복잡도 및 설계 추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감시정찰 시스템(200) 내의 복수의 장비 각각이 독립된 소프트웨어(SW)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동적으로 기능을 할당하고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동적 기능 할당이 가능한 장비의 사용은 시스템 활용도를 상당히 높일 수 있으며, 하드웨어 구조를 간소화 하여 유연성 및 소프트웨어(SW) 기능 적응력이 우수한 제품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적으로 소프트웨어(SW) 기능을 할당할 수 있는 감시정찰 시스템(200)의 구조는 간략히 다음과 같다. 먼저 장비의 소프트웨어(SW) 구조를 '연동 기능'과 '고유 기능'으로 분리한다. 여기서, 연동 기능은 환경세팅 및 기능할당 제어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고유 기능은 기능 처리 알고리즘, 데이터 처리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감시정찰 시스템(200)에 포함된 각 장비에는 최소한 연동 기능만을 고정적으로 탑재하고, 나머지 고유 기능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SW)는 모두 데이터 저장장치(Data Storage)에 탑재한다. 이후 각 장비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의 장비 ID를 부여받으며, 부여된 고유의 ID에 따라 Operator는 각 장비에 고유기능 소프트웨어(SW)를 동적 할당할 수 있다. 각 장비는 할당받은 소프트웨어(SW)를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자동 Loading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정찰 시스템(200)은 컨트롤러(Controller, 210), 운용장비(220), 조작 단말기(Operator Terminal, 230) 및 데이터 저장장치(Data Storage, 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용장비(220)는 복수의 장비 예를 들어, A 장비, B 장비, C 장비 등을 포함하며, 복수의 장비는 서로 동일한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의 감시정찰 시스템(2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b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감시정찰 시스템(2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감시정찰 시스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10)는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를 통해 운용장비(220)와 연결되며, 네트워크망을 통해 조작 단말기(230) 및 데이터 저장장치(240)와 연동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망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소켓(Socket) 통신이 적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운용장비(220)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 각각에 장비 ID를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컨트롤러(210)는 복수의 장비 각각에 서로 다른 장비 ID를 할당하며, 할당된 장비 ID에 근거하여 각각의 장비에서 환경 세팅이 수행되도록 한다.
운용장비(220)는 감시정찰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장비를 포함한다.
운용장비(220)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는 서로 동일한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용장비(220)의 각각의 장비는 다용도 입출력 포트를 통해 컨트롤러(210)와 연결되며, 네트워크망을 통해 조작 단말기(230) 및 데이터 저장장치(240)와 연동한다.
조작 단말기(230)는 관리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운용장비(220)의 기능할당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단말기(230)는 운용장비(220)의 장비 ID를 확인하고, 운용장비(220)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 각각에 장비 ID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할당 여부를 결정하여 기능할당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단말기(230)는 기능할당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운용장비(220)로 전송하고, 운용장비(220)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데이터 저장장치(240)로부터
데이터 저장장치(240)는 운용장비(220)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데이터 저장장치(240)는 복수의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고, 운용장비(220)의 요청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를 운용장비(220)로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통신부(310), 메모리(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메모리(320) 및 프로세서(3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31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일 수 있으며, 내부 버스(internal bus) 및 외부 버스(internal bus)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3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330) 및 메모리(32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통신부(3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33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동적 기능할당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 세트 예를 들어, 기능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동적 기능할당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 세트는 프로세서(3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명령어 세트에 따라 동적 기능 할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메모리(3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33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32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33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도 3b는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에 포함된 프로세서(330)의 동작 구성을 나타내며,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에 포함된 프로세서(330)는 장비 ID 설정부(332), 환경 세팅부(334), 기능 할당 처리부(336) 및 기능 제어부(338)를 포함한다. 도 3의 프로세서(3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3b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3b에서 프로세서(330)는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에 포함된 일부 구성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및 저장기능을 포함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와 동일한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프로세서(33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장비 ID 설정부(332)는 컨트롤러(210)를 통해 운용장비(220)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 각각에 대한 장비 ID를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장비 ID 설정부(332)는 컨트롤러(210)와 연결된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를 통해 장비 ID를 설정한다. 장비 ID는 컨트롤러(210)에서 High(1) 또는 Low(0)로 제어되어 결정된 PIN 값일 수 있다.
장비 ID 설정부(332)는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따라 PIN 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PIN 값을 운용장비(220)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에 적용하여 장비 ID를 변경할 수 있다.
환경 세팅부(334)는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운용환경을 세팅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환경 세팅부(334)는 복수의 장비 각각에 설정된 장비 ID에 해당하는 운용환경을 세팅한다.
환경 세팅부(334)는 운용환경 테이블을 생성하고, 운용환경 테이블을 기반으로 운용환경을 세팅한다. 여기서, 운용환경 테이블은 시스템 통신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환경조건 및 각 장비 ID에 특화된 통신을 위한 개별특화 환경조건으로 구분되어 세팅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환경조건은 OS(Operating System) 단에서 동작하는 운용환경에 관한 조건으로서, 통신설정, 연동포트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별특화 환경조건은 장비 ID에 특화된 운용환경 및 기능을 위한 운용환경에 관한 조건을 의미한다.
환경 세팅부(334)는 복수의 장비 각각이 시스템 통신망에 접근하기 전에 시스템 통신망 접속을 세팅하며, 운용환경 테이블은 복수의 장비 각각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 할당 처리부(336)는 조작 단말기(230)와 연동하여 장비 ID를 확인하고, 복수의 장비 각각에 설정된 장비 ID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할당 여부를 결정한다.
기능 할당 처리부(336)는 조작 단말기(230)로부터 기능 할당을 위한 조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장비 ID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정 기능 중 하나의 특정 기능이 할당되도록 제어한다.
기능 할당 처리부(336)는 조작신호를 운용장비(220)의 OS(Operating System) 단으로 전달하고, 조작신호에 따른 기반연동 동작을 처리한다. 또한, 기능 할당 처리부(336)는 특정 기능의 할당 여부를 결정하고, 특정 기능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알고리즘을 처리한다.
기능 제어부(338)는 운용장비(220)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운용환경의 세팅값을 기반으로 할당된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기능 데이터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각 장비는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 저장장치(240)로부터 필요한 기능 소프트웨어(SW)를 로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잇다.
구체적으로, 기능 제어부(338)는 운용환경에서 시스템 통신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환경조건의 세팅값을 이용하여 외부 데이터 저장소와 접속하고, 외부 데이터 저장소에 기 저장된 상기 기능 데이터를 불러와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기능 제어부(338)는 데이터 저장장치(240)로부터 로딩된 기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이 수행하며, 특정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조작 단말기(230)로부터 기능 재할당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기능 제어부(338)는 기능 재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능 재할당 메시지에 근거하여 데이터 저장장치(240)로부터 신규 기능 데이터를 획득하고, 신규 기능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규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3에서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감시정찰 시스템(200)과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감시정찰 시스템(200)의 구성요소에 포함될 수 있으며, 감시정찰 시스템(200)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기능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장비 각각에 대한 장비 ID를 설정한다(S410).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컨트롤러(210)와 연결된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를 통해 장비 ID를 설정한다. 장비 ID는 컨트롤러(210)에서 High(1) 또는 Low(0)로 제어되어 결정된 PIN 값일 수 있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따라 PIN 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PIN 값을 운용장비(220)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에 적용하여 장비 ID를 변경할 수 있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설정된 장비 ID에 해당하는 환경 세팅을 수행한다(S420).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기능 수행을 위한 운용환경을 세팅한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운용환경 테이블을 생성하고, 운용환경 테이블을 기반으로 운용환경을 세팅한다. 여기서, 운용환경 테이블은 시스템 통신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환경조건 및 각 장비 ID에 특화된 통신을 위한 개별특화 환경조건으로 구분되어 세팅될 수 있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설정된 장비 ID에 대응하는 기능을 할당하고(S430), 할당된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기능 소프트웨어)를 획득한다(S440).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조작 단말기(230)로부터 기능 할당을 위한 조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장비 ID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정 기능 중 하나의 특정 기능이 할당되도록 제어한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운용환경에서 시스템 통신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환경조건의 세팅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장치(240)와 접속하고, 데이터 저장장치(240)에 기 저장된 상기 기능 데이터를 불러와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획득한 기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할당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S450).
한편,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기능 재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단계 S440에서 기능 재할당 메시지에 근거하여 신규 기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60).
도 4에서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4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방법은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 또는 매체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비 ID 설정 단계(S510, S512)에서 각각의 구성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210)는 다용도 입출력 포트의 PIN 설정하고, 설정된 PIN 값을 운용장비(220)로 전송한다.
운용장비(220)는 기반연동 소프트웨어를 로딩 및 실행하고, 컨트롤러(210)에서 설정된 다용도 입출력 포트의 PIN 값을 읽어 장비 ID로 전환한다. 운용장비(220)는 전환된 장비 ID가 유효 ID이면 해당 장비 ID 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조작 단말기(230)는 시스템 통신을 수행하고, 기능할당 제어 메시지 획득하면, ID 할당 상태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경 세팅 단계(S520, S522, S524, S526)에서 각각의 구성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210)는 내부 데이터 저장소를 통해 환경 테이블을 읽고, 시스템 환경조건 세팅을 수행한다.
운용장비(220)는 내부 데이터 저장소를 통해 환경 테이블을 읽고, 장비 ID와 환경 테이블의 ID가 동일하면 시스템 환경조건 및 개별특화 환경조건을 세팅한다.
조작 단말기(230)는 내부 데이터 저장소를 통해 환경 테이블을 읽고, 시스템 환경조건을 세팅한다.
데이터 저장장치(240)는 내부 데이터 저장소를 통해 환경 테이블을 읽고, 시스템 환경조건을 세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 할당 단계(S530)에서 각각의 구성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210)는 제어 수신 대기 중 조작 단말기(230)로부터 장비 ID 할당 상태 요청을 수신하고, 장비 ID 할당 상태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장비 ID 할당 상태를 조작 단말기(230)로 전달한다.
운용장비(220)는 시스템 통신을 시직하고, 기능 수신을 대기한다. 운용장비(220)는 기능 대기 중 조작 단말기(230)로부터 기능 할당을 수신할 수 있다.
조작 단말기(230)는 컨트롤러(210)로부터 장비 ID 할당 상태 요청에 따른 장비 ID 할당 상태를 획득하고, 운용장비(220)의 기능 할당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 수행(S540)에서 각각의 구성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운용장비(220)는 장비 ID와 기능할당 정보가 매칭되면 F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장치(240)와 접속하고, 데이터 저장장치(240)에 기능 데이터 요청하여 해당 기능 데이터를 수신한다. 운용장비(220)는 기능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조작 단말기(230)로 기능할당 성공 여부를 전송한다.
데이터 저장장치(240)는 FTP 프로토콜 서비스를 대기하고, 운용장비(220)로부터 수신된 기능 데이터 요청을 확인한 후 요청에 대응되는 기능 데이터를 운용장비(220)로 전송한다.
도 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컨트롤러(210)를 통해 운용장비(220)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A, B, C) 각각에 고유한 장비 ID를 설정한다(도 6a의 (a)).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설정된 장비 ID에 해당하는 운용환경을 세팅한다(도 6a의 (b)). 여기서,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장비 ID에 맞는 IP 설정, 통신 포트 설정 등에 대한 운용환경을 세팅한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조작 단말기(230)의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장비(A, B, C) 각각에 기능을 할당한다(도 6a의 (c)).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장비 ID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장비 각각에 할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할당되는 기능이 변경될 수 도 있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데이터 저장장치(240)로부터 할당된 기능에 대한 기능 데이터(기능 소프트웨어)를 로딩한다(도 6a의 (d)). 예를 들어, A 장비에는 '가' 기능 데이터, B 장비에는 '나' 기능 데이터, C 장비에는 '다' 기능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로딩된 기능 데이터를 탑재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도 6b의 (e)).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조작 단말기(230)로부터 기능 재할당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장비에 대한 기능이 재할당되도록 한다(도 6b의 (f))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데이터 저장장치(240)로부터 재할당된 기능에 대한 기능 데이터(기능 소프트웨어)를 로딩하여 장비의 기능을 변경한다(도 6b의 (g)). 예를 들어, 기능 재할당 메시지에 근거하여 A 장비는 기존에 동작하던 '가' 기능 데이터를 삭제하고, '라' 기능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장치(240)에서 로딩한다.
동적 기능 할당장치(300)는 재로딩된 기능 데이터를 탑재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도 6b의 (h)).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장치의 장비 ID 설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운용장비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 각각에 고유한 장비 ID를 부여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장비 ID를 부여하는 동작은 장비 ID 설정부(332)의 동작과 대응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10)는 운용장비(220)와의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 제어를 통해 장비 ID를 부여한다.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는 별도의 프로토콜 없이, 할당된 PIN 값을 제어 및 확인함으로써 컨트롤러(210) 및 운용장비(220) 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A 장비(222), B 장비(224) 및 C 장비(226) 각각과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로 연결되며, 컨트롤러(210)는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 라인을 이용하여 PIN 값으로 설정된 장비 ID를 복수의 장비(222, 224, 226) 각각으로 전달한다.
복수의 장비(222, 224, 226) 각각과 컨트롤러(210) 사이에는 장비 ID을 설정하기 위한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 설정 라인이 깔려 있고, 컨트롤러(210)는 복수의 장비 각각과 연결된 각 다용도 입출력 포트의 PIN 값을 이용하여 각 장비에 맞는 장비 ID를 High(1) 또는 Low(0)로 제어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용도 입출력 포트 통신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컨트롤러(210)는 OPEN 또는 GND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장비(222, 224, 226)는 부팅 이후 다용도 입출력 포트의 PIN 값의 설정에 따라 장비 ID를 할당받고, 장비 ID에 따른 설정상태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비 ID 설정을 위한 조건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조건은 복수의 장비(222, 224, 226) 각각이 하드웨어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장비 ID를 위한 별도의 장비 구분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제작 도면의 단일화가 가능하다. 즉, 종래 방법에서는 하드웨어가 동일하더라도 탑재 소프트웨어(SW)가 다르므로 다른 장비로 식별되며, 기존의 유사 ID 설정 방식도 고정적으로 ID를 부여했기 때문에 최상위 도면은 결국 다른 장비로 식별해야 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두 번째 조건은 고정적인 장비 ID 설정이 아니라 제어에 의해, 필요 시 컨트롤러(210)에서 장비 ID를 변경할 수 있다. 세 번째 조건은 복수의 장비(222, 224, 226) 각각에서 추가 통신 프로토콜 없이, 바로 장비 ID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장치의 환경 세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운용장비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사전 운용환경 세팅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전 운용환경을 세팅하는 동작은 환경 세팅부(334)의 동작과 대응된다.
운용장비(220)는 장비 ID 설정(810) 이후 기능 수행을 하기 위한 사전 운용환경 세팅을 수행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장비(220)는 내부 저장소에 있는 운용환경 테이블에서 세팅값을 불러와 통신설정, 연동포트 설정 등에 대한 환경을 구성한다. 이러한 환경 세팅은 통신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환경조건에 따른 세팅(820)과 각 장비 ID 에 특화된 통신을 위한 개별특화 환경조건에 따른 세팅(830)으로 이루어진다.
운용장비(220)의 환경 세팅을 위한 운용환경 테이블 형식은 도 8b에 도시된 테이블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운용장비(220)가 시스템 통신망에 접근하기 전에 통신망 접속을 위한 환경을 세팅해야 하기 때문에 운용환경 테이블은 장비 내부의 별도 저장소에 저장한다. 운용장비(220)는 내부의 별도 저장소에 운용환경 테이블을 저장함에 따라 장비 ID에 대한 설정 변경만으로 환경 세팅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비 ID 설정에 의한 유연한 장비 환경 세팅은 컨트롤러(210)에서 장비 ID을 변경함으로써, 각 장비의 소프트웨어(SW) 수정 없이 운용 환경 및 통신 방법을 자유롭게 통제 및 변경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장치의 기능 할당 처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복수의 장비 각각으로 기능을 할당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기능을 할당하는 동작은 기능 할당 처리부(336)의 동작과 대응된다.
각 장비에서 환경 세팅이 완료되면, 조작 단말기(230)는 각 장비(222, 224, 226)와 시스템 통신망을 이용하여 시스템 연동을 수행한다. 조작 단말기(230)와 각 장비(222, 224, 226)는 도 9a와 같은 구조로 연동하며, 도 8a의 System 환경 세팅 설정에 따라 연동방식을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조작 단말기(230)는 각 장비(222, 224, 226)에 할당된 장비 ID를 확인한 후 통신망을 통해 각 장비로 기능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데, 기반연동 소프트웨어(SW)가 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여기서, 기반연동 소프트웨어(SW)는 도 9b와 같이 기능 소프트웨어(SW)와 OS 간의 연동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SW)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비(222, 224, 226)의 내부는 기능 소프트웨어(SW)와 기반연동 소프트웨어(SW)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기능 소프트웨어(SW)는 연동에 대한 설계구현이 필요없다. 기반연동 소프트웨어(SW)에서 모든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하게 되며, 기능 소프트웨어(SW)는 기반연동 소프트웨어(SW)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용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설계시, 고유의 기능에 대한 구현에 집중하여 기능 소프트웨어(SW)를 설계할 수 있고, 이는 개발단축과 높은 수준의 소프트웨어(SW) 구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반연동 소프트웨어(SW)와 기능 소프트웨어(SW)를 분리한 구조에서는 장비 ID설정을 이용한 동적 기능할당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 번째로 각 장비(222, 224, 226)에 기능 재할당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정의 장비에서 '다' 기능을 수행 중이더라도, '다' 기능 대신 '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다수의 장비에 동일한 기능을 할당시켜 병렬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A 장비(222) 및 B 장비(224)에 '가' 기능을 중복으로 할당하여 병렬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기능 할당장치의 기능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복수의 장비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할당된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기능 제어부(338)의 동작과 대응된다.
운용장비(220)는 소정의 프로토콜(예: F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장치(240)로부터 할당받은 기능 데이터를 불러온다.
운용장비(220)는 시스템 환경조건에 따른 세팅(820)을 이용하여 지정된 데이터 저장장치(240)에 접근할 수 있으며 불러온 기능 데이터를 로딩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되도록 한다.
추가 기능할당 제어 처리를 위해 기능 수행은 도 10과 같은 구조로 별도 태스크(Task) 또는 쓰레드 (Thread)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존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데이터 수신 태스크(1010), 데이터 처리 태스크(1020), 메시지 프로세스(1030), 기존 기능 수행 태스크(1032) 순으로 동작한다.
한편, 신규로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데이터 수신 태스크(1010), 데이터 처리 태스크(1020), 메시지 프로세스(1030), 기능 준비 태스크(1040) 및 신규 기능 수행 태스크(1042) 순으로 동작한다.
운용장비(220)는 기능 수행을 위한 기능 데이터를 장비 내 저장장치(예: HDD, NAND Flash 등)에 저장하지 않고,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장치(240)에 저장하여 필요 시 불러오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 번째로, 기능 소프트웨어(SW)의 업데이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SW)의 버전(Version)이 업그레이드된 경우, 다수의 장비 각각에서 소프트웨어(SW)를 업데이트할 필요 없이, 통신망에 연결된 데이터 저장장치(240)의 소프트웨어(SW)만 업데이트만 하면 된다.
두 번째로, 소프트웨어(SW)의 형상 관리가 용이하다. 즉, 다수의 장비 각각에서 소프트웨어(SW)를 관리할 필요 없이, 데이터 저장장치(240)에 저장된 데이터 저장소에 있는 소프트웨어(SW)만 관리하면 된다.
세 번째로, 운용장비(220) 내에 소프트웨어(SW)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운용장비(220)의 내부 저장소의 설계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감시정찰 시스템
210: 컨트롤러 220: 운용장비
230: 조작 단말기 240: 데이터 저장장치
300: 동적 기능 할당장치 310: 통신부
320: 메모리 330: 프로세서
332: 장비 ID 설정부 334: 환경 세팅부
336: 기능 할당 처리부 338: 기능 제어부

Claims (11)

  1. 감시정찰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에 동적 기능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대한 장비 ID를 설정하는 장비 ID 설정 단계;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상기 장비 ID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을 위한 운용환경을 세팅하는 환경 세팅 단계;
    조작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장비 ID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상기 장비 ID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할당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 할당 처리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상기 운용환경의 세팅값을 기반으로 할당된 상기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 세팅 단계는, 시스템 통신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환경조건 및 각 장비 ID에 특화된 통신을 위한 개별특화 환경조건으로 구분하여 상기 운용환경을 세팅하며,
    상기 기능 제어 단계는, 연동 기능을 위한 시스템 환경조건의 세팅값에 근거하여 외부 데이터 저장소와 접속하고, 상기 외부 데이터 저장소에 기 저장된 상기 기능 데이터를 불러오되, 고유 기능을 위한 상기 개별특화 환경조건의 세팅값에 근거하여 장비 ID에 특화된 통신을 통해 상기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ID 설정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를 통해 상기 장비 ID를 설정하며, 상기 장비 ID는 상기 컨트롤러에서 High(1) 또는 Low(0)로 제어되어 결정된 PIN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ID 설정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변경된 상기 PIN 값을 적용하여 상기 장비 ID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세팅 단계는,
    운용환경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운용환경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운용환경을 세팅하되,
    상기 운용환경 테이블은 시스템 통신망 접속을 위한 상기 시스템 환경조건 및 각 장비 ID에 특화된 통신을 위한 상기 개별특화 환경조건으로 구분되어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세팅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이 시스템 통신망에 접근하기 전에 상기 시스템 통신망 접속을 세팅하며, 상기 운용환경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의 내부 저장소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할당 처리 단계는,
    상기 조작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장비 ID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정 기능 중 하나의 상기 특정 기능이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할당 처리 단계는,
    상기 조작신호를 OS(Operating System) 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조작신호에 따른 기반연동 동작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기능의 할당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 기능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알고리즘을 처리하는 단계로 구분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단계는,
    상기 기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 단말기로부터 기능 재할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기능 재할당 메시지에 근거하여 신규 기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신규 기능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규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비는 동일한 하드웨어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설정된 상기 장비 ID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11. 감시정찰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장비에 동적 기능을 할당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대한 장비 ID를 설정하는 장비 ID 설정 단계;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상기 장비 ID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을 위한 운용환경을 세팅하는 환경 세팅 단계;
    상기 장비 ID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 상기 장비 ID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할당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 할당 처리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장비 각각에서 상기 운용환경의 세팅값을 기반으로 할당된 상기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 제어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환경 세팅 단계는, 시스템 통신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환경조건 및 각 장비 ID에 특화된 통신을 위한 개별특화 환경조건으로 구분하여 상기 운용환경을 세팅하며,
    상기 기능 제어 단계는, 연동 기능을 위한 시스템 환경조건의 세팅값에 근거하여 외부 데이터 저장소와 접속하고, 상기 외부 데이터 저장소에 기 저장된 상기 기능 데이터를 불러오되, 고유 기능을 위한 상기 개별특화 환경조건의 세팅값에 근거하여 장비 ID에 특화된 통신을 통해 상기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장치.
KR1020180140937A 2018-11-15 2018-11-15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985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937A KR101985807B1 (ko) 2018-11-15 2018-11-15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937A KR101985807B1 (ko) 2018-11-15 2018-11-15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807B1 true KR101985807B1 (ko) 2019-06-04

Family

ID=6681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937A KR101985807B1 (ko) 2018-11-15 2018-11-15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8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182A (ja) * 2007-07-23 2009-02-05 Toshiba Corp プログラム実行システム及び実行装置
KR2012007225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182A (ja) * 2007-07-23 2009-02-05 Toshiba Corp プログラム実行システム及び実行装置
KR2012007225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153B2 (en) Virtual server cloning
US11392400B2 (en) Enhanced migration of clusters based on data accessibility
CN111782232A (zh) 集群的部署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5272709B2 (ja) アドレス割当方法、コンピュータ、物理マシン、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84735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b based storage on-demand
US20230026690A1 (en) Method and system to place resources in a known state to be used in a composed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11734137B2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input/output requests for storage systems
US8805978B1 (en) Distributed cluster reconfiguration
EP3495938B1 (en) Raid configuration
EP4013000A1 (en) Cloud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loud server, cloud ser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3677858A (zh) 一种云环境中虚拟机软件管理的方法、系统及设备
US1115936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zero touch computing node initialization
CN107924289A (zh) 计算机系统和访问控制方法
TW201434300A (zh) 跨越叢集邊界的服務遷移
CN110224917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服务器
CN115965517B (zh) 图形处理器资源管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388274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high availability of bare metal node based on OpenSt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985807B1 (ko) 장비 id를 이용한 동적 기능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2020191100A (ja) 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7096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250169B1 (ko) 서비스 연결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496305B2 (en) Transfer of a unique name to a tape drive
JP2008129828A (ja) ブレードサーバの動的割り当て方法
US201401226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b Based Storage On Demand
US20240143359A1 (en) Instant cluster deployment for virtual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