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751B1 -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751B1
KR101984751B1 KR1020170146875A KR20170146875A KR101984751B1 KR 101984751 B1 KR101984751 B1 KR 101984751B1 KR 1020170146875 A KR1020170146875 A KR 1020170146875A KR 20170146875 A KR20170146875 A KR 20170146875A KR 101984751 B1 KR101984751 B1 KR 101984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xt
request information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346A (ko
Inventor
노희균
Original Assignee
노희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균 filed Critical 노희균
Priority to KR102017014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7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자원 공유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SNS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 설치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키 입력과 대응하는 텍스트를 조합하고, 전송버튼에 대한 키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조합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관심정보 서버로 전송하고,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또는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정보를 색인하여 생성한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심정보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전에 헬스장별로 운동기구 이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사진촬영을 통해 운동기구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며, 각 신체부위별 운동기구들과 그 사용법 및 효능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Description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TEREST INFORMATION USING TEXT ANALYSIS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받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와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헬스장과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더 나아가 헬스장에 구비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와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환경이 일반인에게 보편적인 생활의 공간으로 자리잡은 현재에는 수를 헤아릴 수 없는 광대한 정보가 인터넷에 편재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유저가 특정한 사이트의 주소를 미리 알고 있지 않는 한, 원하는 정보가 게재되어 있는 웹사이트를 찾아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정보의 활용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검색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모든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도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정보 활용 방법인 소위 검색이라는 기법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이러한 검색 기법들은 기본적으로 웹-문서 정보에 대한 색인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검색어와 유사도 또는 일치도에 부합되는 색인데이터를 선별하고 선별된 색인데이터에 포스팅되어 있는 해당하는 웹문서를 제공하여 주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텍스트 기반의 검색 기술에 대한 일예로, 미국공개특허 US2011-987982호(공개일: 2011년 01월 10일) "디지털 어시스턴트에 대한 개인화된 어휘" 에는 입력받은 텍스트와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특허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텍스트와 대응하는 연락처, 미디어 리스트, 상점이름 또는 장소명칭 중에 어느 하나를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색인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웹상에서 이용자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가 각광받고 있으며, 인터넷에서 개인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1인 미디어/1인 커뮤니티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SNS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대표적 서비스로는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플러스친구라는 서비스가 있으며, 이 서비스는 주로 사용자 동의에 따라 관심분야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SNS 환경에서의 정보제공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 동의에 따라 기 설정된 카테고리와 일치하는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단방향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제공자 입장에서는 단순히 사용자가 기 동의한 카테고리에 국한된 정보를 대량으로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의 피드백이 극히 제한적이고, 사용자 참여 유도를 위해서는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였더라도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별도로 검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US2011-987982호
본 발명의 목적은, SNS 환경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헬스장과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더 나아가 헬스장에 구비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와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전에 헬스장별로 운동기구 이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사진촬영을 통해 운동기구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며, 각 신체부위별 운동기구들과 그 사용법 및 효능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은, SNS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 설치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키 입력과 대응하는 텍스트를 조합하고, 전송버튼에 대한 키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조합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관심정보 서버로 전송하고,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또는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정보를 색인하여 생성한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심정보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SNS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키 입력과 대응하는 이미지를 촬영하되, 전송버튼에 대한 키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관심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심정보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에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텍스트가 명령형 동사인지 또는 명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명령형 동사 또는 명사와 대응하는 텍스트를 색인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관심정보 서버는, 요청정보에 운동기구 예약 또는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텍스트와 대응하는 헬스장의 운동기구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 값을 토대로 예약 가능한 운동기구 또는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SNS 환경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헬스장과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더 나아가 헬스장에 구비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와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채팅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전에 헬스장별로 운동기구 이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사진촬영을 통해 운동기구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며, 각 신체부위별 운동기구들과 그 사용법 및 효능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S)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이하, '요청정보')를 관심정보 서버(20)로 전송하고,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10) 및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또는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정보를 색인하여 생성한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관심정보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에는 관심정보 서버(20)와 접속하여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SNS 운영사 또는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휴대폰, PC 또는 노트북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디바이스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는 기 설치된 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요청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는 SNS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 설치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키 입력과 대응하는 텍스트를 조합하고, 전송버튼에 대한 키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조합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관심정보 서버(2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SNS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키 입력과 대응하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전송버튼에 대한 키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관심정보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때, 요청정보는 헬스장 명칭, 운동기구 명칭 또는 사용법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또는 운동기구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는 관심정보 서버(20)로부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하여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관심정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요청정보를 수신하되, 요청정보에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텍스트가 명령형 동사인지 또는 명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명령형 동사 또는 명사와 대응하는 텍스트를 색인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명령형 동사는 찾아라, 구매해라, 예약해라, 체크해라, 알려줘라 또는 그와 유사한 단어가 포함될 수 있고, 명사는 헬스장 명칭, 운동기구 명칭 또는 그와 유사한 단어가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관용구, 구절, 문법적 구조 또는 어휘들을 인식하기 위한 패턴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심정보 서버(20)는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에 명령형 동사 또는 명사와 대응하는 텍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접속된 웹사이트로 텍스트를 전송하여 검색된 텍스트,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포함된 URL을 수신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관심정보 서버(20)는 요청정보에 운동기구 예약 또는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텍스트와 대응하는 헬스장의 운동기구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 값을 토대로 예약 가능한 운동기구 또는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관심정보 서버(20)는 운동기구에 설치된 센서가 사용자를 최초 감지한 시간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요청정보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를 감지한 시간을 토대로, 요청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와 대응하는 운동기구가 언제부터 얼마동안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심정보 서버(20)는 수신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운동기구가 예약 가능한 경우, 요청정보에 포함된 예약시간과 대응하는 시간동안 해당 운동기구에 설치된 LED가 점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관심정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요청정보 및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GPS 위치정보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헬스장이 표시된 지도를 포함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관심정보 서버(20)가 단순명사 헬스장이 포함된 요청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GPS 위치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특정하고, 이 특정된 위치정보와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한 헬스장이 표시된 지도, 헬스장 연락처, 헬스장 주소 또는 헬스장 url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가 SNS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이후, 사용자로부터 '가슴운동' 이라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입력받는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가 입력받은 요청정보를 관심정보 서버(20)로 전송한다.
뒤이어, 관심정보 서버(20)가 요청정보에 포함된 '가슴운동' 과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URL을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 또는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검색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관심정보 서버(20)가 색인 또는 검색하여 생성한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가 수신한 응답정보를 실행중인 SNS 어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와 관심정보 서버(20) 각각이 생성한 요청정보와 응답정보가 SNS 상에서 채팅을 주고받는 형태의 프로세스를 가진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가 기 설치된 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요청정보를 입력받는다(S10).
이어서, 관심정보 서버(20)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요청정보를 수신한다(S20).
뒤이어, 관심정보 서버(20)가 요청정보에 텍스트가 포함되었는지 또는 이미지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제S30단계의 판단결과, 요청정보에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관심정보 서버(20)가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url을 색인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한다(S4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가 관심정보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응답정보를 실행중인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S50).
한편, 제S30단계의 판단결과, 요청정보에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관심정보 서버(20)가 이미지를 데이터로 변환한다(S60).
그리고, 관심정보 서버(20)가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변환된 데이터와 유사한 배열로 구성된 이미지를 색인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제S50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70).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방법의 제S3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30단계 이후,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색인하지 못한 경우, 관심정보 서버(20)가 접속된 웹사이트로 요청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전송한다(S80).
그리고, 관심정보 서버(20)가 웹사이트로부터 검색된 텍스트,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포함된 URL을 수신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제S50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90).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SNS 환경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헬스장과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더 나아가 헬스장에 구비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와 대응하는 관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전에 헬스장별로 운동기구 이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사진촬영을 통해 운동기구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며, 각 신체부위별 운동기구들과 그 사용법 및 효능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10: 사용자 단말기
20: 관심정보 서버

Claims (4)

  1.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SNS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 설치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키 입력과 대응하는 텍스트를 조합하고, 전송버튼에 대한 키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조합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관심정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또는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정보를 색인하여 생성한 응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심정보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심정보 서버는,
    상기 요청정보에 운동기구 예약 또는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텍스트와 대응하는 헬스장의 운동기구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 값을 토대로 예약 가능한 운동기구 또는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운동기구에 설치된 센서가 사용자를 최초 감지한 시간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정보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를 감지한 시간을 토대로, 요청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와 대응하는 운동기구가 언제부터 얼마동안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며,
    수신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운동기구가 예약 가능한 경우, 요청정보에 포함된 예약시간과 대응하는 시간동안 해당 운동기구에 설치된 LED가 점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정보 및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GPS 위치정보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헬스장이 표시된 지도를 포함하는 응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기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키 입력과 대응하는 이미지를 촬영하되,
    전송버튼에 대한 키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요청정보를 상기 관심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정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에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텍스트가 명령형 동사인지 또는 명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명령형 동사 또는 명사와 대응하는 텍스트를 색인하여 응답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4. 삭제
KR1020170146875A 2017-11-06 2017-11-06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84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75A KR101984751B1 (ko) 2017-11-06 2017-11-06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75A KR101984751B1 (ko) 2017-11-06 2017-11-06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346A KR20190051346A (ko) 2019-05-15
KR101984751B1 true KR101984751B1 (ko) 2019-06-03

Family

ID=6657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875A KR101984751B1 (ko) 2017-11-06 2017-11-06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7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692B1 (ko) * 2012-10-23 2014-12-18 심재훈 스마트폰 사용자의 센서 기반 상황인지 및 개인 정보 학습에 의한 지능형 골프 부킹 및 조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559434B1 (ko) * 2013-12-26 2015-10-12 주식회사 휴니티 운동 스케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076264A (ko) * 2014-12-22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346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121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 topic
EP2896162B1 (en) Determining addi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CN113268498A (zh) 业务推荐方法和具有智能助手的装置
KR20120021606A (ko) 객체간 또는 객체와 유저간에 정보 제공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저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JP2010257469A (ja) 入力ボタンに対応する数字及び文字列を表示することにより、選択され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Paredes et al. SOSPhone: a mobile application for emergency calls
JP201015247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コミュニティ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0045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s of mobile terminal
JP200926577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等
CN111984180B (zh) 终端读屏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891909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Velasco et al. Universal access to information services—the need for user information and its relationship to device profiles
JP6804049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8077590A (ja) サーバ装置
KR101984751B1 (ko) Sns 기반의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Olmsted-Hawala et al. Willingness of the public to share geolocation information in a US census bureau survey
TW201740293A (zh) 資訊分析裝置與方法、應用軟體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Casillo et al. Cat: a context aware teller for supporting tourist experiences
JP608170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altaretu et al. Improving route directions: The role of intersection type and visual clutter for spatial reference
KR20080096225A (ko) 답변 가능 지수를 고려하여 실시간 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20190142501A (ko) 컨텐츠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법
Vartiainen Using Metadata and Context Information in Sharing Personal Content of Mobile Users
JP200206327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hanwalkar et al. Identifying and providing museum services for ubiquitous vis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