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708B1 - 이중 튜브형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튜브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708B1
KR101984708B1 KR1020170158535A KR20170158535A KR101984708B1 KR 101984708 B1 KR101984708 B1 KR 101984708B1 KR 1020170158535 A KR1020170158535 A KR 1020170158535A KR 20170158535 A KR20170158535 A KR 20170158535A KR 101984708 B1 KR101984708 B1 KR 101984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er tube
flow hole
tube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채은
송용신
Original Assignee
송채은
송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채은, 송용신 filed Critical 송채은
Priority to KR1020170158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상기 튜브형 용기는 원형복원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 재질의 외부튜브(300) 및 상기 외부튜브(300)의 내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튜브(200)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튜브(200)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210), 상기 토출구(210)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00) 및 상기 토출구(210)의 일정한 거리의 외부튜브(300) 일면에 위치한 공기유통공(123)과 상기 공기유통공(123) 중앙에 공기주입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 측면에 마감부(110)가 결합되어 덮개가 개방시 상기 마감부(110)가 상기 공기유통공(123)과 결착되어 공기주입부(120)가 밀폐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튜브형 용기{Double Tubular Container}
본 발명은 이중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부용기 및 공기가 충전된 외부용기로 구성된 이중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형의 화장품용기는 썬크림 등과 같이 주로 크림타입의 화장품을 효과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나, 화장품뿐만 아니라 의약품은 물론 각종 세제류 등의 내용물을 밀봉하여 효과적으로 보관토록 하는 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는 튜브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표면을 압착함에 의해 내용물이 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튜브형 화장품용기는 저장하고자 하는 내용물에 따라서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합성수지 등 여러 가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일반적인 화장품용기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튜브형 화장품용기는 주로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재질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튜브를 압착할 때 원형으로 복원되는 외형복원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기는 하나, 출구가 개방된 상태임으로써 사용시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구성임으로써 항상 필요로 하는 적당량을 토출시키기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저장하는 튜브를 외형복원성이 우수한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하면서도 출구에는 별도로 에어리스 펌프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 많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튜브의 출구에 에어리스 펌프가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그 내부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내용물을 장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와 동시에 펌프의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항상 일정량씩 정확히 토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펌프를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종래 구조는 전술한 특징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튜브의 자체가 후렉시블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용물이 토출되는 양만큼 전체적인 체적이 줄어들어 외형이 변형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하는 양만큼 튜브의 외형이 점차 찌그러지게 됨으로써 최초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여 외관상 보기가 좋지 못한 등 제품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변형된 외형에 의해 보관성은 물론 사용시 핸드링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외부 튜브는 항상 일정한 외형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은 물론 사용시에도 편리함을 추구하고, 외관을 좋게 하도록 하는 이중 튜브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이 사용에 의해 소모된 부피만큼 외부 및 내부 튜브 사이의 공간을 외부 공기로 채워줄 수 있는 공기통로가 구비된 이중 튜브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중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상기 튜브형 용기는 원형복원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 재질의 외부튜브(300) 및 상기 외부튜브(300)의 내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튜브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210), 상기 토출구(210)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 및 상기 토출구(210)의 일정한 거리의 외부튜브(300) 일면에 위치한 결착홈과 상기 결착홈 중앙에 공기주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 측면에 마감부가 결합되어 덮개가 개방시 상기 마감부가 상기 결착홈과 결착되어 공기주입부가 밀폐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 튜브형 용기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튜브(300) 및 내부튜브는 일정한 간격이 있으며 공기로 채워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 튜브형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주입부는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튜브(300) 및 내부튜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구멍인 공기유통공 및 반대방향으로 공기 이동을 차단하는 판막구조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 튜브형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 튜브는 항상 일정한 외형을 유지가 되는 복원력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운반 및 보관은 물론 사용시에도 편리함을 추구하고, 외관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이 사용에 의해 소모된 부피만큼 외부 및 내부 튜브 사이의 공간을 외부 공기로 채워져 외부 튜브의 압력이 내부 튜브로 전달이 용이하여 상기 압력에 의해 내용물 토출이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중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덮개를 열어 압력을 가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이중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덮개를 닫고 튜브가 원상태로 회복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중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튜브형 용기는 원형복원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 재질의 외부튜브(300) 및 상기 외부튜브(300)의 내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튜브(200)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튜브(200)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210), 상기 토출구(210)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00) 및 상기 토출구(210)의 일정한 거리의 외부튜브(300) 일면에 위치한 공기유통공(123)과 상기 공기유통공(123) 중앙에 공기주입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100) 측면에 마감부(110)가 결합되어 덮개(100)가 개방시 상기 마감부(110)가 상기 공기유통공(123)과 결착되어 공기주입부(120)가 밀폐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중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덮개(100)를 열어 압력을 가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이중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덮개(100)를 닫고 튜브가 원상태로 회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인 이중 튜브형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덮개(100)를 열고 외부튜브(300)를 손으로 압력을 가한다. 내부튜브(200)와 외부튜브(300) 사이의 공기가 상기 압력을 내부튜브(200)로 전달해주는 매개체역할을 한다. 전달받은 압력에 의해 내부튜브(200)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고 이때 내용물이 개방된 덮개(100)에 의해 노출된 토출구(210)로 나오게 된다.
외부 튜브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면 원형복원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 재질의 외부튜브(300)는 원상태로 회복이 되고, 반면에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튜브(200)는 재질의 특성상 부피 회복 없이 줄어든 상태에서 멈추게 된다.
회복된 외부튜브(300)와 줄어든 내부튜브(200) 사이는 외부에서 공기로 채워져야 한다. 공기유입경로는 토출구(210)의 일정한 거리의 외부튜브(300) 일면에 위치한 공기주입부(120)를 통해 외부튜브(300)와 내부튜브(200) 사이 공간으로 이동된다.
채워진 공기는 다시 덮개(100)를 열고 압력을 가할 때 상기 공기주입부(120)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100) 측면에 마감부(110)가 결합되어 덮개(100)가 개방시 상기 마감부(110)가 공기주입부(120)를 차단시킨다.
상기 공기주입부(120)는 상기 마감부(110)와 결착이 용이하도록 결합홈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중앙에 공기유통공(123)이 구성된다.
또한 압력시 공기가 공기주입부(120)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공기유통공(123)은 판막(121)이 추가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판막(121)은 공기유통공(123)의 크기보다 크며 탄성력이 있는 열결띠에 의해 공기유통공(123)의 하부에 위치한다.
외부에서 공기는 공기유통공(123)을 통해 외부튜브(300)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판막(121)은 아래로 이동되나, 압력을 가할 경우 내부공기가 상기 공기유통공(123)으로 이동시 상기 판막(121)에 의해 공기유통공(123)이 차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튜브(300)의 압력이 내부튜브(200)로 그대로 전달되기 위해 마감부(110)와 공기유통공(123)의 결합 및 공기유통공(123)과 판막(121)구조에 의한 2중 차단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덮개 110 : 마감부
120 : 공기주입부 121 : 판막
123 : 공기유통공 125 : 공기유통공
200 : 내부튜브 210 : 토출구
300 : 외부튜브

Claims (3)

  1. 이중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용기는 원형복원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 재질의 외부튜브(300) 및 상기 외부튜브(300)의 내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튜브(200)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튜브(200)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210), 상기 토출구(210)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00) 및 상기 토출구(210)의 일정한 거리의 외부튜브(300) 일면에 위치한 공기유통공(123)과 상기 공기유통공(123) 중앙에 공기주입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100) 측면에 마감부(110)가 결합되어 덮개(100)가 개방시 상기 마감부(110)가 상기 공기유통공(123)과 결착되어 공기주입부(120)가 밀폐되며,
    상기 공기유통공(123)하부에는 공기유통공(123)의 크기보다 크며 탄성력이 있는 열결띠에 의해 공기유통공(123)의 하부에 연결된 판막(121)이 추가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 튜브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튜브(300) 및 내부튜브(200)는 일정한 간격이 있으며 공기로 채워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중 튜브형 용기.
  3. 삭제
KR1020170158535A 2017-11-24 2017-11-24 이중 튜브형 용기 KR101984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535A KR101984708B1 (ko) 2017-11-24 2017-11-24 이중 튜브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535A KR101984708B1 (ko) 2017-11-24 2017-11-24 이중 튜브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708B1 true KR101984708B1 (ko) 2019-05-31

Family

ID=6665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535A KR101984708B1 (ko) 2017-11-24 2017-11-24 이중 튜브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453B1 (ko) 2022-12-30 2023-11-29 김준웅 음료통이 내장된 간편 취식형 케이스
KR102628509B1 (ko) 2022-12-08 2024-01-24 김준웅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튜브형 저장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779Y1 (ko) * 1999-07-27 2000-02-15 이도훈 튜브용기
JP2001171699A (ja) * 1999-12-13 2001-06-26 Hideo Nakagawa チューブ容器装置
JP2011157119A (ja) * 2010-02-02 2011-08-18 Masahiko Takahashi 二重構造の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779Y1 (ko) * 1999-07-27 2000-02-15 이도훈 튜브용기
JP2001171699A (ja) * 1999-12-13 2001-06-26 Hideo Nakagawa チューブ容器装置
JP2011157119A (ja) * 2010-02-02 2011-08-18 Masahiko Takahashi 二重構造の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509B1 (ko) 2022-12-08 2024-01-24 김준웅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튜브형 저장용기
KR102606453B1 (ko) 2022-12-30 2023-11-29 김준웅 음료통이 내장된 간편 취식형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155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이중화장품용기
JP6110041B2 (ja) 折り畳み可能なストローを有する、ボトルのための蓋
AR052859A1 (es) Recipiente flexible que contiene un producto liquido, y un proceso para elaborar un recipiente flexible para llenar con liquido
KR101984708B1 (ko) 이중 튜브형 용기
US20110220682A1 (en) Openable cosmetic case of dual structure protecting tube
RU2008122053A (ru) Одноходовая клапанная система
KR20100077455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롤러식 이중화장품용기
WO2004069664A3 (en) Closure member
JPH10511878A (ja) 折り畳み式石鹸ディスペンサー
KR100992310B1 (ko) 주출용기
JPH03133748A (ja) 注出容器
JP2006111335A (ja)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JP2014504577A (ja) チューブ排出口内空気逆流防止機能を備えた容器
US3086683A (en) Liquid dispensing device
KR100932782B1 (ko)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KR101942564B1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KR200448108Y1 (ko) 펌프를 가지는 튜브형 이중화장품용기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2001240089A (ja) チューブ容器
CA3019370C (fr) Mecanisme de dosage d'une pompe, procedes de verrouillage et de deverrouillage d'un tel mecanisme
CN208701831U (zh) 扁平构造的马桶清洁器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CN212314364U (zh) 一种倒置式容器
KR102591205B1 (ko) 개선된 압축기체 공급장치
US7837064B1 (en) Fluid disp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