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689B1 -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689B1
KR101984689B1 KR1020180128169A KR20180128169A KR101984689B1 KR 101984689 B1 KR101984689 B1 KR 101984689B1 KR 1020180128169 A KR1020180128169 A KR 1020180128169A KR 20180128169 A KR20180128169 A KR 20180128169A KR 101984689 B1 KR101984689 B1 KR 101984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support member
suppor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성창 주식회사
이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 주식회사, 이재진 filed Critical 성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이용가능한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기 본체의 제1면에 구비된 입력단자, 상기 본체의 제2면에 구비된 출력단자, 상기 본체의 제1면에 결합 가능하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제1지지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2면에 결합 가능하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에 사용되는 방수커버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면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의 제2면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2면과 상기 제2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외부 진동과 수분의 투습을 방지하여 무정전 전원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과 내구성 향상을 담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WATERPROOF COVER FOR UNINTRRUPTIBLE POWER SUPPLY}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방수와 진동 저감을 위하여 무정전 전원 장치의 외측에 결합 가능한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정전 전원 장치(Unintrruptible Power Supply;UPS)는 상용 전원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전원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장치로, 상용시에는 축전지에 전력을 저장하고, 정전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 장치는 갑작스러운 정전 등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막아줄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외부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입력단자와, 상기 본체에 외부부하를 연결할 수 있는 출력단자로 구성되는데, 본체 내부의 축전기 등의 구성은 수분이나 진동에 취약하여 외부 진동이나 외부에서 본체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여야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고무로 형성된 케이스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9189호에서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컴퓨터 파워용 고무파워방진가이드가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된 가이드를 컴퓨터용 파워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결합시켜 상기 파워의 진동이 컴퓨터용 케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의 가이드를 무정전 전원 장치에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공개특허의 가이드는 외부 수분이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며, 특히, 입력단자나 출력단자 등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의 경우 컴퓨터용 파워처럼 별도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이나 외부 진동에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무정전 전원 장치에 결합이 용이한 동시에 수분이나 진동을 차단하는 구조의 방수커버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문헌 0001) 한국공개특허 10-2011-0129189(공개일:11.12.01.) (문헌 0001) 한국공개특허 10-2018-0064755(공개일:18.06.15.)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정전 전원 장치에 결합이 용이한 동시에 외부 수분이 유입되거나 외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는 본체, 본체의 제1면에 구비된 입력단자, 본체의 제2면에 구비된 출력단자, 본체의 제1면에 결합 가능하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제1지지부재 및 본체의 제2면에 결합 가능하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에 사용되는 방수커버에 있어서, 본체의 제1면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고, 제1면과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1커버 및 본체의 제2면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고, 제2면과 제2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제1커버는 제1지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제2커버는 제2지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된다.
또한, 제1커버 및 제2커버는 각각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커버는, 입력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입력홀 및 입력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신축성을 갖는 제1밀착부재를 포함하고, 제2커버는, 출력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출력홀 및 출력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신축성을 갖는 제2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밀착부재는 제1지지부재에서 제1면의 방향으로 나선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제2밀착부재는 제2지지부재에서 제2면의 방향으로 나선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는, 하부가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저면에는 아랫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접촉 가능한 제1받침부가 구비되며, 제2커버는, 하부가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저면에는 제1받침부와 대응되도록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제2받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커버 또는 제2커버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와 연결되어 본체의 오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버가 본체의 제1면과 제1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제2커버가 본체의 제2면과 제2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본체로 가해지는 외부 진동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수분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홀과 출력홀이 각각 신축성을 가져 입력단자나 출력단자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밀착부재와 제2밀착부재를 통해 입력단자에 삽입되는 입력케이블과 출력단자에 삽입되는 출력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가 구비되어 지면의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홀과 출력홀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표시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제1면(110)에 구비된 입력단자(111), 상기 본체(100)의 제2면(130)에 구비된 출력단자(131), 상기 본체(100)의 제1면(110)에 결합 가능하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제1지지부재(120) 및 상기 본체(100)의 제2면(130)에 결합 가능하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지지부재(140)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에 사용되는 방수커버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제1면(110)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1면(110)과 상기 제1지지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커버(200) 및 상기 본체(100)의 제2면(130)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2면(130)과 상기 제2지지부재(14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커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200)는 상기 제1지지부재(1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커버(300)는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된다.
먼저 본 발명의 방수커버가 결합 가능한 무정전 전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는 본체(100)의 내부에 축전기가 수용되어 상기 입력단자(111)로 공급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제1면(110)에 입력단자(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면(110)과 반대 방향에 구비된 제2면(130)에 출력단자(131)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단자(111)는 입력케이블(I)이 삽입되어 상기 입력케이블(I)과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출력단자(131)는 출력케이블(O)이 삽입되어 상기 출력케이블(O)과 연결된 외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입력단자(111)와 출력단자(131)는 다양한 형상과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는 상기 제1면(110)에 상기 축전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1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면(130)에 스위치(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제1면(110)에는 제1커버(200)와 제1지지부재(120)가 결합 가능하고, 상기 본체(100)의 제2면(130)에는 제2커버(300)와 제2지지부재(140)가 결합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부재(120)는 상기 제1면(110)의 아랫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상부가 기립된 판 형상을 갖고 하부가 상기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140)는 상기 제2면(130)의 아랫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상부가 기립된 판 형상을 갖고 하부가 상기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40)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본체(100)는 일정 높이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40)를 통해 상기 본체(100)를 일정 높이로 이격시킴에 따라 지면의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본체(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40)는 각각 상기 제1커버(200)와 제2커버(300)의 강성을 보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1커버(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커버(200)는 상기 제1면(110)과 상기 제1지지부재(120)의 사이에 결합 가능한데, 제1커버(200)는 상기 제1면(110)에 접촉되면서 신축성을 가져 상기 본체(100)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면(110)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한다. 또한, 제1커버(20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커버(200)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는 기립된 판 형상을 갖고, 하부는 본체(100)의 외측 방향을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버(200)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100)의 방향으로 돌출된 제1결합부(210)가 구비되고, 제1결합부(210)의 내측에는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커버(200)와 본체(100)의 결합은 상기 제1결합부(210)가 제1면(1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면서 제1면(110)이 상기 수용공간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0)는 탄성을 가져 제1커버(200)와 본체(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0)와의 밀착력이 증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부(210)는 상기 제1커버(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커버(200)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200)의 하부는 상기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제1지지부(2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지지부(220)는 제1커버(200)가 본체(10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본체(100)보다 낮은 높이에 구비되어 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20)의 상부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12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120)가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220)의 저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220)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제1받침부(221)가 구비된다. 상기 제1받침부(221)는 상기 제1지지부(220)의 저면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221)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원통형상을 갖는 제1받침부(221)는 내부에 진동저감홀이 형성된다. 상기 진동저감홀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지면과 접촉하였을 때 지면에서 제1지지부(220)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킨다.
상기 제1면(110), 제1지지부재(120) 및 제1커버(200)는 나사 등이 삽입되는 나사홀이 구비되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 등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나사홀과 나사의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면(110), 제1지지부재(120) 및 제1커버(200)를 고정시키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홀(230) 및 출력홀(330)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버(200)는, 상기 입력단자(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입력홀(230) 및 상기 입력홀(2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신축성을 갖는 제1밀착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홀(230)은 제1면(110)의 입력단자(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120), 제1커버(200) 및 제1면(110)이 결합되었을 때 입력케이블(I)이 제1지지부재(120), 제1커버(200) 및 제1면(110)을 관통하면서 입력단자(1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홀(230)의 내측에 구비된 제1밀착부재(231)는 상기 입력홀(23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입력홀(230)의 내부직경을 감소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밀착부재(231)는 신축성을 가져 상기 입력케이블(I)이 입력홀(230)을 통과할 때 상기 입력케이블(I)에 접촉되면서 삽입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입력케이블(I)과 입력홀(230)의 틈새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케이블(I)이 입력홀(23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밀착부재(231)의 두께와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나 상기 삽입홀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원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입력홀(230)의 시작지점, 즉 상기 제1지지부재(120)와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밀착부재(231)는 상기 제1지지부재(120)에서 상기 제1면(110)의 방향으로 상기 입력홀(2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나선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나선상으로 구비된 제1밀착부재(231)는 상기 입력케이블(I)이 상기 입력홀(230)을 통과할 때 입력케이블(I)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마찰력을 증대시켜 입력케이블(I)이 입력홀(2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밀착부재(231)는 상술한 원판 형상을 갖는 실시예와 나선을 이루는 실시예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커버(200)에는 상기 제1면(110)에 구비된 램프(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램프홈(2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램프홈(240)은 상기 제1커버(20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져 빛의 투광성을 증대시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커버(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커버(300)는 상기 제1커버(200)와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면(130)과 상기 제2지지부재(140)의 사이에 결합 가능하다. 제2커버(300)는 상기 제2면(130)에 접촉되면서 신축성을 가져 상기 본체(100)로 전달되는 진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면(130)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한다.
상기 제2커버(300)는 상기 제1커버(2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커버(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커버(300)는 상부가 기립된 판 형상이고 하부는 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커버(300)의 절곡된 방향은 상기 제1커버(200)의 절곡된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커버(300)의 상부 테두리에는 제2결합부(310)가 구비되고, 제2결합부(310)는 상기 제1결합부(210)와 방향이 반대이고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결합부(310)가 제2면(13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310)는 상기 제2커버(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커버(300)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300)의 하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부(220)에 대응되는 제2지지부(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지지부(320)의 상부에는 제2지지부재(140)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1받침부(221)에 대응되는 제2받침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20)와 제2지지부(320)는 같은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제1받침부(221)와 제2받침부(321)는 같은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받침부(321)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면(130), 제2지지부재(140) 및 제2커버(300)는 나사 등이 삽입되는 나사홀이 구비되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 등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커버(300)는, 상기 출력단자(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출력홀(330) 및 상기 출력홀(3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신축성을 갖는 제2밀착부재(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홀(330)은 제2면(130)의 출력단자(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140), 제2커버(300) 및 제2면(130)이 결합되었을 때 출력케이블(O)이 제2지지부재(140), 제2커버(300) 및 제2면(130)을 관통하면서 출력단자(1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력홀(330)은 상기 입력홀(230)과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홀(330)에는 상기 제1밀착부재(23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밀착부재(3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밀착부재(331)는 출력케이블(O)이 상기 출력홀(3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커버(300)에는 상기 제2면(130)에 구비된 스위치(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위치홈(340)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홈(340)은 상기 스위치(13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50)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와 표시부(35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버(200) 또는 제2커버는(3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오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제어부(150)와 센서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16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본체(100)에서 입력케이블(I) 또는 출력케이블(O)의 착탈 유무를 감지, 또는 본체(100)의 축전기 등의 오작동을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160)는 압력센서, 습도센서, 온도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60)로부터 감지된 수분 침투 여부, 입력케이블 또는 출력케이블의 착탈 여부, 내부 오작동 여부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표시부(350)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350)는 LED램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받아 각 신호에 맞추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50)에서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통해 사용자는 일견에 본체(100)의 내부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50)는 상기 제1결합부(210) 또는 제2결합부(3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결합부(210) 또는 제2결합부(310)의 내면에 부착된 별도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본체(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 진동이 본체(1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본체(100)와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력이 뛰어나다. 상기와 같은 방수커버를 결합하여 무정전 전원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과 내구성 향상을 담보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제1면
111 : 입력단자 112 : 램프
120 : 제1지지부재 130 : 제2면
131 : 출력단자 132 : 스위치
140 : 제2지지부재 150 : 제어부
160 : 센서부
200 : 제1커버 210 : 제1결합부
220 : 제1지지부 221 : 제1받침부
230 : 입력홀 231 : 제1밀착부재
240 : 램프홈
300 : 제2커버 310 : 제2결합부
320 : 제2지지부 321 : 제2받침부
330 : 출력홀 331 : 제2밀착부재
340 : 스위치홈 350 : 표시부
I : 입력케이블 O : 출력케이블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의 제1면에 구비된 입력단자, 상기 본체의 제2면에 구비된 출력단자, 상기 본체의 제1면에 결합 가능하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제1지지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제2면에 결합 가능하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에 사용되는 방수커버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면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의 제2면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2면과 상기 제2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각각 상부가 기립된 판 형상을 갖고 하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를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고,
    상기 제1커버는,
    하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부에 상면이 접촉되면서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저면에는 아랫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접촉 가능한 제1받침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커버는,
    하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의 하부에 상면이 접촉되면서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받침부와 대응되도록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제2받침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는 신축성과 탄성을 가져 바닥으로부터 진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입력홀; 및
    상기 입력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신축성을 갖는 제1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출력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출력홀; 및
    상기 출력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신축성을 갖는 제2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서 상기 제1면의 방향으로 나선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밀착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서 상기 제2면의 방향으로 나선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부 및 상기 제2받침부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또는 제2커버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오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KR1020180128169A 2018-10-25 2018-10-25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KR101984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69A KR101984689B1 (ko) 2018-10-25 2018-10-25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169A KR101984689B1 (ko) 2018-10-25 2018-10-25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689B1 true KR101984689B1 (ko) 2019-05-31

Family

ID=6665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169A KR101984689B1 (ko) 2018-10-25 2018-10-25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68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435U (ko) * 2007-07-11 2009-01-15 문제삼 엘이디용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200454359Y1 (ko) * 2011-01-05 2011-06-29 하태복 방수형 전원 공급기
KR20110129189A (ko) 2010-05-25 2011-12-01 이일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컴퓨터 파워용 고무파워방진가이드
KR20160026079A (ko) * 2014-08-29 2016-03-09 이선영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JP2017208258A (ja) * 2016-05-19 2017-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栓および防水栓を備えた圧着端子付電線
KR20180064755A (ko)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코닥트 케이블 엔트리 장치
KR101890611B1 (ko) * 2017-12-20 2018-08-23 (주)유니온전자통신 방수성이 강화된 led조명용 컨버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435U (ko) * 2007-07-11 2009-01-15 문제삼 엘이디용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20110129189A (ko) 2010-05-25 2011-12-01 이일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컴퓨터 파워용 고무파워방진가이드
KR200454359Y1 (ko) * 2011-01-05 2011-06-29 하태복 방수형 전원 공급기
KR20160026079A (ko) * 2014-08-29 2016-03-09 이선영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JP2017208258A (ja) * 2016-05-19 2017-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栓および防水栓を備えた圧着端子付電線
KR20180064755A (ko)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코닥트 케이블 엔트리 장치
KR101890611B1 (ko) * 2017-12-20 2018-08-23 (주)유니온전자통신 방수성이 강화된 led조명용 컨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15482A1 (en) Humidifier
TWI672239B (zh) 用於自行車之零件
US20020122316A1 (en) Full circle illumination band
JP2008006046A (ja) 洗濯機
CN112750640B (zh) 电子设备及其外壳
JPH03115925A (ja) 計器装置
KR101984689B1 (ko) 무정전 전원 장치용 방수커버
US9929444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indicating remaining capacity thereof
TWI726408B (zh) 混合模組式無線感測器
EP3376173A1 (en) Environmental sensor
CN207798278U (zh) 温度检测仪
US20220341905A1 (en) Combustible gas sensor module and combustible gas sensing device
AU2018101595A4 (en) Modular track power box and track light having the track light power box
JP5317763B2 (ja) 照明器具
KR101216609B1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CN112229568A (zh) 一种具有诊断功能的压力传感器及其诊断方法
KR20150046824A (ko) 센서를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
CN210667567U (zh) 柔性模组和电子设备
JPH09321446A (ja) 電子回路ユニット
KR101984636B1 (ko) 케이스와 프리즘이 일체화된 광학식 수위센서
CN220039492U (zh) 一种水浸传感器及其终端设备
KR20110011204U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JP7373819B2 (ja) 配線器具、及び、配線器具システム
KR20070021650A (ko)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CN213779374U (zh) 一种具有诊断功能的压力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