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609B1 -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 Google Patents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609B1
KR101216609B1 KR1020120031669A KR20120031669A KR101216609B1 KR 101216609 B1 KR101216609 B1 KR 101216609B1 KR 1020120031669 A KR1020120031669 A KR 1020120031669A KR 20120031669 A KR20120031669 A KR 20120031669A KR 101216609 B1 KR101216609 B1 KR 101216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ensor
control circuit
lamp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648A (ko
Inventor
정완석
Original Assignee
정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완석 filed Critical 정완석
Priority to KR102012003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6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이 개시된다. 상기 센서등은, 다수의 LED가 배열된 램프 회로기판; 초음파 센서와 움직임 감지센서가 실장된 제어 회로기판; 전원선에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가 실장되며, 상기 램프 회로기판 및 제어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기판; 상기 램프 회로기판이 수납되는 공간, 상기 제어 회로기판이 수납되는 공간, 및 상기 두 수납공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원 회로기판이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된 본체; 및 상기 제어 회로기판에 수납되는 공간에서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본체에 대응하는 결합 구조를 갖는 엔드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Modular Sensor Lamp having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센서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지영역을 변경시키지 않아 감지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램프 부분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모듈화한 센서등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방이나 화장실에 설치되는 램프는 이와 연결되는 별도의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점등이나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주간이나 외출시 또는 램프가 설치된 장소를 비워두는 경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램프를 소등하여야 한다.
이는 조작이 불편하다는 측면과,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할 경우, 불필요한 점등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낭비된다는 측면에서 이를 해결할 다양한 장치나 방법에 제안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로 인체감지센서를 부착한 센서등이 제안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센서등은 조도센서, 인체감지센서, 증폭부, 타이머 및 램프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동작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일정 조도 이상에서 조도센서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인체감지센서가 동작하는데, 인체감지센서의 감시영역 내에 출입자가 진입하면 그 순간에 인체감지신호를 증폭하여 타이머에 내보고, 타이머는 감지신호의 변화를 통하여 감시영역 내에 출입자가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시간 동안 램프구동부를 제어하여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센서등은 감지센서를 장착할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조건 때문에 램프 부분의 확장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감지센서를 위한 공간이 이미 확보된 상태에서 램프 부분 간의 손쉽고 신속한 결합을 위해 센서등 자체를 모듈화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램프 부분의 확장에 의해 감지센서의 감지 영역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감지센서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등에 있어서 감지영역을 변경시키지 않아 감지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램프 부분의 결합에 의한 확장을 손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다수의 LED가 배열된 램프 회로기판; 초음파 센서와 움직임 감지센서가 실장된 제어 회로기판; 전원선에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가 실장되며, 상기 램프 회로기판 및 제어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기판; 상기 램프 회로기판과 상기 전원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엔드 캡을 포함하며, 상기 엔드 캡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어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엔드 캡의 분리에도 상기 제어 회로기판의 초음파 센서와 움직임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이 유지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엔드 캡이 분리되고, 일단이 상기 엔드 캡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갖는 확장 본체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회로기판 수납공간에 결합하여 상기 제어 회로기판을 덮는 감지센서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에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가 노출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회로기판에는 RF 또는 지그비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실장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센서등에 있어서 감지영역을 변경시키지 않아 감지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램프 부분의 결합에 의한 확장을 손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회로기판으로부터 그 양측에 위치한 램프 회로기판과 제어 회로기판에 전원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서등을 조립한 외관도이다.
도 3은 센서등의 램프 부분의 결합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센서등을 조립한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전원 회로기판(150)을 수납할 공간(103)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LED 어레이가 실장된 램프 회로기판(110)을 수납할 공간(101)과 제어 회로기판(130)을 수납할 공간(102)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전원 회로기판(150)으로부터 그 양측에 위치한 램프 회로기판(110)과 제어 회로기판(130)에 전원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수납공간(102)은 가령 반 원통형으로 내부 측면에는 감지센서 캡(140)이 안착하는 안착부(105)가 형성되고 안착부(105)의 일측에는 감지센서 캡(14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함 홈(105a)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공간(102) 바닥의 단부에는 엔드 캡(end cap; 17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02a)와 결합 홈(102b)이 쌍으로 구비된다. 이들은 각각 같은 구성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엔드 캡(170)의 결합 홈(미도시)과 결합돌기(미도시)에 결합된다.
수납공간(103)의 중앙에는 대향하는 양 측면이 개방된 지지 브라켓(104)이 바닥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 브라켓(104)의 내부에는 전원 커넥터(160)가 끼워지는데, 전원 커넥터(160)는 전원 회로기판(150)에 전기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 브라켓(104)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전원 커넥터(160)는 본체(100)의 이면에서 볼 때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고, 외부 전원선이 전원 커넥터(160)에 연결된다.
램프 회로기판(110)에는 전면에 걸쳐 다수의 LED가 배열되고, 전원 회로기판(150)에 가령 커넥터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102)의 바닥에는 제어 회로기판(130)이 수납되는데, 이때, 제어 회로기판(130)은 수납공간(103)에 수납된 전원 회로기판(150)과 가령 커넥터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제어 회로기판(130)에는 중앙에 움직임 감지센서(134)가 실장되고, 그 양측에 인체감지센서, 가령 초음파센서(132, 132a)가 실장된다. 또한, 제어 회로기판(130)에는 RF 또는 지그비(ZigBee)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실장될 수 있다.
제어 회로기판(130)이 수납공간(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 위에 감지센서 캡(140)이 덮인다. 감지센서 캡(140)의 중앙에는 개구(142)가 형성되어 이 개구(142)를 통하여 움직임 감지센서(134)가 노출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감지센서 캡(14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돌기(141)가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102)의 안착부(105) 일측에 형성된 결합 홈(105a)과 안착부(105)에 대응하여 엔드 캡(170)에 형성된 안착부(175)의 결합 홈(미도시)에 각각 결합한다.
커버(120)는 램프 회로기판(110)을 덮은 상태에서 본체(100)에 결합하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커버(120)는 감지센서 캡(140)과 같은 수평 레벨을 이룰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구조를 갖는 센서등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 커넥터(160)를 전원 회로기판(150)에 전기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전원 커넥터(160)를 지지 브라켓(104)의 내부에 끼움과 동시에 전원 회로기판(150)을 수납공간(103)에 장착한다.
이어, 램프 회로기판(110)을 수납공간(101)에 장착하고, 램프 회로기판(110)을 전원 회로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다음, 엔드 캡(170)을 본체(100)의 수납공간(102)에 수평으로 결합한다. 엔드 캡(170)이 반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이 결합에 의해, 반 원통 형상의 수납공간(102)은 원통 형상으로 되어 제어 회로기판(130)을 수용할 준비가 된다.
수납공간(102)에 제어 회로기판(130)을 장착하고, 전원 회로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한 다음, 수납공간(102)을 감지센서 캡(140)으로 덮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 캡(140)은 수납공간(102)의 안착부(105)와 엔드 캡(170)의 안착부(175)에 의해 형성되는 링 형상의 안착부 위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제어 회로기판(130)에 장착된 움직임 감지센서(134)와 초음파 센서(132, 132a)의 위치가 고정되고, 특히 움직임 감지센서(134)는 감지센서 캡(140)의 개구(14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고정된 위치에 의해 감지영역을 고정할 수 있다.
이어, 커버(120)를 본체(110)에 결합하여 도 2와 같이 조립을 완료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감지센서에 대해 하나의 램프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통상 상기와 같은 구조로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램프 회로기판을 확장하는 경우, 신뢰성 있는 감지영역의 확보를 위해 감지센서가 설치된 위치의 변경이 있어서는 안 된다.
도 3은 센서등의 램프 부분의 결합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커버(120a)가 덮인 확장 본체(110a)가 본체(110)와 결합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 본체(110)로부터 엔드 캡(170)을 분리하고, 그 자리에 확장 본체(110a)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본체(110)와의 결합을 위한 엔드 캡(170)의 구조와 확장 본체(110a)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감지센서를 위한 공간을 변경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된다.
그 결과, 확장 본체(110a)를 결합하여 램프 부분을 실질적으로 넓혀 조도를 증가시켜도 감지센서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 감지영역이 본래대로 유지되어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가령, 각 부분의 구체적인 치수나 형상 등은 적절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으며, 재질 등도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01, 102, 103: 수납공간
104: 지지 브라켓
105: 안착부
110: 램프 회로기판
120: 커버
130: 제어 회로기판
132, 132a: 초음파센서
134: 움직임 감지센서
140; 감지센서 캡
150: 전원 회로기판
160: 전원 커넥터

Claims (3)

  1. 다수의 LED가 배열된 램프 회로기판;
    초음파 센서와 움직임 감지센서가 실장된 제어 회로기판;
    전원선에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가 실장되며, 상기 램프 회로기판 및 제어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기판;
    상기 램프 회로기판과 상기 전원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엔드 캡을 포함하며,
    상기 엔드 캡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어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엔드 캡의 분리에도 상기 제어 회로기판의 초음파 센서와 움직임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이 유지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엔드 캡이 분리되고, 일단이 상기 엔드 캡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갖는 확장 본체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기판 수납공간에 결합하여 상기 제어 회로기판을 덮는 감지센서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 캡에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가 노출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기판에는 RF 또는 지그비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KR1020120031669A 2012-03-28 2012-03-28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KR101216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669A KR101216609B1 (ko) 2012-03-28 2012-03-28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669A KR101216609B1 (ko) 2012-03-28 2012-03-28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376 Division 2012-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648A KR20120062648A (ko) 2012-06-14
KR101216609B1 true KR101216609B1 (ko) 2012-12-27

Family

ID=4668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669A KR101216609B1 (ko) 2012-03-28 2012-03-28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357A (ko) * 2014-04-30 2015-11-09 (주)아스트로 독립 제어형 엘이디 방폭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695B1 (ko) * 2016-11-29 2019-02-19 한국전력공사 무선전력공급형 led등기구 및 상기 led등기구가 설치된 전력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502Y1 (ko) 2002-09-10 2003-01-03 장영봉 센서등의 센서회로 케이스
KR100911418B1 (ko) 2008-10-10 2009-08-12 김남호 발광다이오드 센서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502Y1 (ko) 2002-09-10 2003-01-03 장영봉 센서등의 센서회로 케이스
KR100911418B1 (ko) 2008-10-10 2009-08-12 김남호 발광다이오드 센서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357A (ko) * 2014-04-30 2015-11-09 (주)아스트로 독립 제어형 엘이디 방폭등
KR101600006B1 (ko) * 2014-04-30 2016-03-04 (주)아스트로 독립 제어형 엘이디 방폭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648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1661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JP2002373761A5 (ko)
US8963426B2 (en) LED light
US20090180280A1 (en) Multi-action, battery-powered, trigger-activated lighting system
KR101216609B1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US7330115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KR200459726Y1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US20030227775A1 (en) Illuminated soap bar with sound
WO2012056268A1 (en) A common light module for decorative external lighting structures
KR101761158B1 (ko) 파워 카세트 등기구
KR101279298B1 (ko) 무접점 전환스위치가 장착된 욕실등 및 그 제어방법
ES2614503T3 (es) Interruptor con medio de iluminación y módulo electrónico adaptable
KR101875570B1 (ko) 원형 센서등
KR100989957B1 (ko) 자전거 안전등
CA2307469A1 (en) Infrared sensitive electric controlled lamp seat
EP1686312A1 (en) Lamp with LEDs and batteries
KR200457129Y1 (ko) 센서 직부등
JP6026623B1 (ja) Ledを装置したカバーを装着したカラオケマイク
JP2014099337A5 (ko)
JP2020066420A (ja) スマート表示マット
KR101883267B1 (ko) 원형 센서등의 엘이디모듈
CN214009043U (zh) 多功能应急吸顶灯
KR200235471Y1 (ko) 발광램프를 구비한 안전콘센트
CN218153939U (zh) 一种分体式墙壁应急灯
CN208268973U (zh) 一种感应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