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560B1 -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560B1
KR101984560B1 KR1020160073809A KR20160073809A KR101984560B1 KR 101984560 B1 KR101984560 B1 KR 101984560B1 KR 1020160073809 A KR1020160073809 A KR 1020160073809A KR 20160073809 A KR20160073809 A KR 20160073809A KR 101984560 B1 KR101984560 B1 KR 10198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input tool
area
coordinates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303A (ko
Inventor
조영임
다우렛베크 예르갈리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56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과 연동되는 좌표입력도구를 포함하며, 좌표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성된 정보 입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지우개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우고자 하는 스크린 상의 영역에 디지털 지우개를 움직일 때마다 디지털 지우개가 이동된 만큼의 영역이 계산되어 사용자의 동작이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는, 좌표입력도구에 의해 스크린 상의 동작이 결정되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스크린 상의 내용에서 삭제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된다.

Description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User behavior responsive digital eras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자칠판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닷패턴 기반의 좌표시스템으로 구성된 판서의 스크린에 표시된 내용을 지울 때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원하는 영역만큼 용이하게 지울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자칠판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뿐만 아니라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디지털 펜이 사용되는 닷패턴 기반의 판서 시스템은 공통적으로,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 표시된 내용을 지우고자 할 때, 스크린 상에 표시된 지우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우개의 두께 및 모양을 설정해야 하는 과정을 거친다.
즉, 이와 같은 기존의 전자칠판용 또는 닷패턴 기반 판서 시스템의 지우개는 사용자가 일일이 지우고자 하는 크기 및 영역을 스크린을 통해 선택하여 지우는데, 사용할 때마다 지우개의 두께 및 모양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종래기술의 한 예로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고자 별도의 도구 선택 절차 없이도 쓰기 기능과 지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국내공개특허 제2010-0020389호는, 임의의 물체가 접촉되면, 접촉 지점의 크기를 산출하고, 접촉 지점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접촉 지점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입력 모드를 지우기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술은 지우개 도구 선택 절차가 없어도 지우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넓은 영역을 단순히 몇 번의 동작으로 신속하게 지우고자 할 경우에, 의도치 않게 일부 영역의 접촉 지점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으로 입력되어 지우기 모드에서 쓰기 모드로 바뀌면서 지우는 작업이 더 불편해질 수도 있다.
아직까지는 디지털 지우개를 사용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신속하게 내용을 지우기 위해서는 지우개의 크기 및 모양 설정을 적합하게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현재는 사용자의 의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더욱 편리하게 적은 수의 동작만으로도 신속하게 스크린 상의 특정 내용을 지울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지우개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2010-0020389호 (2010.02.22 공개)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동작을 파악하여 지우고자 하는 영역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적은 수의 동작만으로도 편리하게 사용자의 의도대로 스크린 상의 내용을 지울 수 있는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과 연동되는 좌표입력도구를 포함하며, 좌표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성된 정보 입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지우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지우개는 상기 좌표입력도구에 의해 상기 스크린 상의 동작이 결정되며,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상기 스크린 상의 내용에서 삭제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되는,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이동 경로 좌표가 상기 좌표시스템에 입력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중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방향이 전환된 경우에,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이 전환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는 전환점 좌표로 규정되며, 상기 좌표시스템에 입력된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초기 좌표와 상기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이동 경로 좌표가 상기 좌표시스템에 입력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될 때까지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경로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모두가 일 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는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최종 좌표로 규정되며, 상기 좌표시스템에 입력된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스크린 상의 내용에서 삭제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기 좌표 및 상기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및 y좌표가 서로 모두 상이할 경우에,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기 좌표 및 상기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또는 y좌표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변의 길이와 기설정된 폭을 갖는 사각형 영역이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단말기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스크린에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상기 스크린과 접촉함으로써 좌표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입력 시스템은 닷패턴 기반의 판서 시스템으로서, 단말기 및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디지털 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과 연동되는 좌표입력도구를 포함하며, 좌표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성된 정보 입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펜 다운 동작으로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초기 좌표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펜 이동 동작으로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이동 경로 좌표가 입력되는 단계; (c)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 전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d)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상기 스크린 상의 삭제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되는 단계; 및 (e) 결정된 상기 영역이 삭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펜 업 동작으로 디지털 지우개의 이동 경로 좌표의 입력이 정지하기 전까지는 상기 (b) 단계부터 상기 (e) 단계가 반복되는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중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방향이 전환된 경우에,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이 전환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전환점 좌표로 규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영역은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의 전환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경우에, 먼저 전환점 좌표로 규정된 이동 경로 좌표는 후속되는 방향 전환에 의해 삭제되는 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되는 단계; 및 (e2) 상기 후속되는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전환점 좌표로 갱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의 전환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경우에, 상기 영역은 갱신된 상기 초기 좌표와 갱신된 상기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2)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될 때까지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경로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모두가 일 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최종 좌표로 규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e3)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의 전환이 적어도 한 번 일어난 후에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될 때까지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경로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모두가 일 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먼저 전환점 좌표로 규정된 이동 경로 좌표는 상기 최종 좌표에 의해 결정되어 삭제되는 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2) 단계에서, 상기 초기 좌표 및 상기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및 y좌표가 서로 모두 상이할 경우에는,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 상기 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2) 단계에서, 상기 초기 좌표 및 상기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또는 y좌표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변의 길이와 기설정된 폭을 갖는 사각형 영역이 상기 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지우고자 하는 스크린 상의 영역에 지우개를 움직일 때마다 지우개가 이동된 만큼의 영역이 계산되어 사용자의 동작이 파악되면서 삭제영역이 결정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넓은 영역이든 좁은 영역이든 지우개의 크기 및/또는 모양을 변경하지 않고도 한번의 스트로크(stroke)로 내용을 삭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작게 지우고자 하여 이동거리를 작게 하면 지우는 영역이 작게 설정되고, 크게 지우고자 하여 이동 거리를 크게 하면 지우는 영역이 크게 설정되므로, 사용 방법이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가 사용될 경우에 스크린 상에서 지워지는 내용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가 사용될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른 방식으로 스크린 상에서 지워지는 내용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가 사용될 경우에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의 사용자 동작에 따라 지워지는 내용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닷패턴 기반 판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펜의 구성은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서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은 각각 "y축" 방향 및 이와 수직관계인 "x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x좌표" 및 "y좌표"는, x축 및 y축으로 이뤄진 평면상에서의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x, y)에서 각각의 축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방향이 전환"된다는 것은 좌표입력도구가 이동됨에 따라 변하는 디지털 지우개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x, y)가 일정 방향, 예를 들면, x좌표 및/또는 y좌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어느 지점에서 좌표(x, y)가 반대 방향, 예를 들면, x좌표 및/또는 y좌표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디지털 지우개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가 사용될 경우에 스크린 상에서 지워지는 내용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른 방식으로 스크린 상에서 지워지는 내용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의 사용자 동작에 따라 지워지는 내용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는 스크린(100) 및 스크린(100)과 연동되는 좌표입력도구(200)를 포함하며, 좌표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성된 정보 입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지우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입력 시스템은 예를 들면, 스크린(100)이 연결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와 같은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스크린(100)에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좌표입력도구(200)가 스크린(100)과 접촉함으로써 좌표 정보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표입력도구(200)는 터치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도구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한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정보 입력 시스템은 닷패턴 기반의 판서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정보 입력 시스템은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 및 이와 연결된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고, 스크린(100)은 닷패턴이 인쇄된 표면을 구비한 종이와 같은 부재일 수 있으며, 좌표입력도구(200)는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디지털 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정보 입력 시스템은 좌표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성된 것으로, 어느 한가지 정보 입력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우개는 좌표입력도구(200)에 의해 스크린(100) 상의 동작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100) 상의 내용에서 삭제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지우개의 이동 경로 좌표는 좌표입력도구(200)이 이동됨에 따라 가 좌표시스템에 입력된다. 여기서 이동 경로 좌표는 스크린(100) 상에서 좌표입력도구(200)가 이동하면서 그려진 좌표입력도구(200)의 경로에 대응하는 다수의 좌표들로서, x좌표 및 y좌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좌표입력도구(200)의 이동 중 수직방향인 y축 방향 및 수평방향인 x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방향이 전환된 경우에,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이 전환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는 전환점 좌표로 규정되며, 좌표시스템에 입력된 디지털 지우개의 초기 좌표와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입력도구(200)가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 우측으로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하측 우측으로 y축 방향이 전환되어 이동된 경우에, 첫 번째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a)만큼의 사각형 영역이 삭제된다.
이어서 좌표입력도구(200)가 하측 우측으로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다시 상측 우측으로 y축 방향이 전환되어 이동된 경우에, 두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세영역(300b)만큼의 사각형 영역이 삭제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y축 방향이 전환되어 이동된 경우에 세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c)이 삭제되고, 네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d)도 삭제된다. 네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d)이 삭제된 후, x축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전환되면서 다섯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e)이 삭제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x축 방향이 전환되어 이동된 경우에 여섯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f)이 삭제된다.
상기와 같은 첫 번째 내지 여섯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a 내지 300f)은 모두 각각의 초기 좌표와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 삭제될 영역으로 자동으로 결정되어 삭제된 경우를 나타낸다. 특히, 연속적으로 전환점이 발생하면, 그때마다 이전 삭제영역의 전환점의 전환 좌표는 이어지는 삭제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되어 작용한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a)의 전환점은 이어서 삭제된 두 번째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b)의 초기 좌표로 갱신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는, 좌표입력도구(200)가 정지될 때까지 좌표입력도구(200)의 이동 경로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모두가 일 방향으로 유지되어, 좌표입력도구(200)가 정지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는 디지털 지우개의 최종 좌표로 규정된다.
스크린(100) 상의 내용에서 삭제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좌표시스템에 입력된 디지털 지우개의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여섯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f)의 초기 좌표는, 다섯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e)이 삭제된 후 연속적으로 결정되었을 경우에, 다섯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e)의 전환점 좌표가 여섯 번째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f)의 초기 좌표로 갱신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른 방식으로 스크린(100) 상에서 지워지는 내용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스크린(100) 상에 표시된 그림은 동일하나, 도 1에 도시된 여섯 개의 제1 실시예 삭제영역(300a 내지 300f)과 달리, 단 세번 만의 스트로크로, 세 개의 제2 실시예 삭제영역(400a 내지 400c)에 따라 내용의 삭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삭제를 원하는 영역을 생각하면서 적은 수의 동작만으로 동일한 그림의 일부를 편리하게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삭제영역을 나타내는 상자들 내부에 표시된 화살표는 좌표입력도구(200)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 번의 펜 다운과 한 번의 펜 업으로 연속적으로 좌표입력도구(200)가 이동되든, 여러 번의 펜 다운과 펜 업으로 단발적으로 좌표입력도구(200)가 이동되든 상관없이 결과는 동일하게 삭제영역이 설정된다.
펜 다운 동작은 좌표입력도구(200)의 작동을 시작하는 동작이며, 펜 이동 동작은 좌표입력도구(200)로 이동 결로 좌표를 좌표시스템에 입력하는 동작이며, 펜 다운 동작은 좌표입력도구(200)의 작동을 종료하는 동작인 것이 바람직하다.
펜 다운 동작을 통해 좌표입력도구(200)의 작동을 종료하면, 작동이 종료된 지점의 좌표가 최종 좌표가 된다. 도 1 및 도 2는 모두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간의 거리에 따라 삭제영역이 결정되되, 특히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및 y좌표가 모두 상이한 경우를 도시한다.
즉,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 사이에 직선을 그리면, 이는 각각의 x좌표 및 y좌표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x축 또는 y축에 평행하지 않은 선이 그려진다. 이에 따라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사각형 영역이 삭제된다.
도 3은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의 사용자 동작에 따라 지워지는 내용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초기 좌표 및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또는 y좌표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변의 길이와 기설정된 폭을 갖는 사각형 영역이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기 좌표 및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가 일치할 경우에는, 수직삭제영역(500)과 같이 초기 좌표 및 최종 좌표 각각의 y좌표의 직선 거리만큼을 변의 길이로 하고, 기설정된 폭으로 형성된 사각형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초기 좌표 및 최종 좌표 각각의 y좌표가 일치할 경우에는, 수평삭제영역(600)과 같이 초기 좌표 및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의 직선 거리만큼을 변의 길이로 하고, 기설정된 폭으로 형성된 사각형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폭은 스크린(100) 상에 별도의 도구 창의 옵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되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는 사용자가 좌표입력도구(200)를 특정 방식으로 작동시키거나 어떠한 동작을 통해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은, 좌표입력도구(200)의 펜 다운 동작으로 디지털 지우개의 초기 좌표가 입력되는 단계; 좌표입력도구(200)의 펜 이동 동작으로 디지털 지우개의 이동 경로 좌표가 입력되는 단계;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 전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스크린(100) 상의 삭제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되는 단계; 및 결정된 삭제영역이 삭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좌표입력도구(200)의 펜 업 동작으로 디지털 지우개의 이동 경로 좌표의 입력이 정지하기 전까지는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 전환 여부의 판단 단계부터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스크린(100) 상의 삭제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되는 단계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 전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좌표입력도구(200)의 이동 중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방향이 전환된 경우에,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이 전환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전환점 좌표로 규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좌표입력도구(200)로 입력되는 이동 경로 좌표의 x좌표 및/또는 y좌표가 증가하다가 감소하거나, 감소하다가 증가하면, 좌표가 변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바로 전환점 좌표로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스크린(100) 상의 삭제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되는 단계에서, 삭제영역은 초기 좌표와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은, 삭제영역이 결정되는 단계에서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의 전환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경우에, 먼저 전환점 좌표로 규정된 이동 경로 좌표는 후속되는 방향 전환에 의해 삭제되는 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되는 단계; 및 후속되는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전환점 좌표로 갱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우개로 스크린(100) 상의 어떤 내용을 지우기 위해 연속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동작으로 사용자가 좌표입력도구(200)를 이동하면,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 전환이 일어날 때마다 새로 결정되는 삭제영역의 초기 좌표 및 전환점 좌표는 갱신되면서 연속적으로 삭제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의 전환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경우에, 삭제영역은 갱신된 초기 좌표와 갱신된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 전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좌표입력도구(200)가 정지될 때까지 좌표입력도구(200)의 이동 경로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모두가 일 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좌표입력도구(200)가 정지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디지털 지우개의 최종 좌표로 규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삭제영역은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더 이상의 방향 전환 없이 펜 업 동작에 의해 좌표입력도구(200)가 정지되면, 좌표입력도구(200)가 정지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는 최종 좌표로 규정되며, 삭제영역은 초기 좌표와 전환점 좌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은,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의 전환이 적어도 한 번 일어난 후에 정지될 때까지 좌표입력도구(200)의 이동 경로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모두가 일 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먼저 전환점 좌표로 규정된 이동 경로 좌표가 최종 좌표에 의해 결정되어 삭제되는 삭제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좌표입력도구(200)의 방향의 전환이 이미 적어도 한 번 일어난 후에 연속적으로 좌표입력도구(200)가 전환점 없이 이동되다가 정지되면, 제일 최근에 방향의 전환이 일어난 전환점이 바로 마지막 삭제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된다. 이와 같이 갱신된 초기 좌표와 정지된 지점에서의 최종 좌표에 의해 마지막 삭제영역이 결정된다.
또한, 이와 같이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에 의해 삭제영역이 결정되는 경우에서, 초기 좌표 및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및 y좌표가 서로 모두 상이할 경우에는,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 상기 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및 도 2 참고).
반면에, 초기 좌표 및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또는 y좌표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는, 초기 좌표와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변의 길이와 기설정된 폭을 갖는 사각형 영역이 삭제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지우고자 하는 스크린(100) 상의 영역에 디지털 지우개를 움직일 때마다 디지털 지우개가 이동된 만큼의 영역이 계산되어 사용자의 동작이 파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되는 삭제영역이 결정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넓은 영역이든 좁은 영역이든 지우개의 크기 및/또는 모양을 변경하지 않고도 한번의 스트로크(stroke)로 내용을 삭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디지털 지우개가 제공된다.
100: 스크린
200: 좌표입력도구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제1 실시예 삭제영역
400a, 400b, 400c: 제2 실시예 삭제영역
500: 수직삭제영역
600: 수평삭제영역

Claims (16)

  1.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과 연동되는 좌표입력도구를 포함하며, 좌표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성된 정보 입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지우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지우개는 상기 좌표입력도구에 의해 상기 스크린 상의 동작이 결정되며,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상기 스크린 상의 내용에서 삭제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중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방향이 전환된 경우에,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이 전환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는 전환점 좌표로 규정되며, 상기 좌표시스템에 입력된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초기 좌표와 상기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 또는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일 변의 길이와 기설정된 폭을 갖는 사각형 영역이 자동으로 삭제되고,
    상기 사각형 영역이 삭제될 때, 상기 전환점 좌표는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한 위치인 최종 좌표로 규정되거나, 후속되어 삭제되는 사각형 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될 때까지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경로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모두가 일 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는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최종 좌표로 규정되며, 상기 좌표시스템에 입력된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및 y좌표가 서로 모두 상이할 경우에,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 삭제되고,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또는 y좌표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변의 길이와 기설정된 폭을 갖는 사각형 영역이 삭제되는,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단말기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스크린에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상기 스크린과 접촉함으로써 좌표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시스템은 닷패턴 기반의 판서 시스템으로서,
    단말기 및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가능한 디지털 펜인,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8.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과 연동되는 좌표입력도구를 포함하며, 좌표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성된 정보 입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펜 다운 동작으로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초기 좌표가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펜 이동 동작으로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이동 경로 좌표가 입력되는 단계;
    (c)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 전환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d)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 전환 여부에 따라 상기 스크린 상의 삭제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되는 단계; 및
    (e) 결정된 상기 삭제영역이 삭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펜 업 동작으로 디지털 지우개의 이동 경로 좌표의 입력이 정지하기 전까지는 상기 (b) 단계부터 상기 (e) 단계가 반복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중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방향이 전환된 경우에,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이 전환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전환점 좌표로 규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삭제영역은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 또는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일 변의 길이와 기설정된 폭을 갖는 사각형 영역으로 결정되어 자동으로 삭제되고,
    상기 사각형 영역이 삭제되면, 상기 전환점 좌표는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하는 위치인 최종 좌표로 규정되거나, 후속되어 삭제되는 사각형 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될 때까지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경로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모두가 일 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상기 (d) 단계는 (d2)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한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상기 디지털 지우개의 최종 좌표로 규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삭제영역은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의 전환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경우에,
    상기 (e) 단계는,
    (e1) 먼저 전환점 좌표로 규정된 이동 경로 좌표가, 후속되는 방향 전환에 의해 삭제되는 삭제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되는 단계; 및
    (e2) 상기 후속되는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지점의 이동 경로 좌표가 전환점 좌표로 갱신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삭제영역은 갱신된 상기 초기 좌표와 갱신된 상기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 또는 갱신된 상기 초기 좌표와 갱신된 상기 전환점 좌표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일 변의 길이와 기설정된 폭을 갖는 사각형 영역으로 결정되어 자동으로 삭제되는,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3)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방향의 전환이 적어도 한 번 일어난 후에 상기 좌표입력도구가 정지될 때까지 상기 좌표입력도구의 이동 경로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모두가 일 방향으로 유지된 경우에, 먼저 전환점 좌표로 규정된 이동 경로 좌표는 상기 최종 좌표에 의해 결정되어 삭제되는 삭제영역의 초기 좌표로 갱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에서,
    상기 초기 좌표 및 상기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및 y좌표가 서로 모두 상이할 경우에는,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 상기 삭제영역으로 결정되는,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에서,
    상기 초기 좌표 및 상기 최종 좌표 각각의 x좌표 또는 y좌표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는, 상기 초기 좌표와 상기 최종 좌표 간의 직선 거리만큼의 변의 길이와 기설정된 폭을 갖는 사각형 영역이 상기 삭제영역으로 결정되는,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의 작동 방법.
KR1020160073809A 2016-06-14 2016-06-14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98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09A KR101984560B1 (ko) 2016-06-14 2016-06-14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09A KR101984560B1 (ko) 2016-06-14 2016-06-14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303A KR20170141303A (ko) 2017-12-26
KR101984560B1 true KR101984560B1 (ko) 2019-06-03

Family

ID=6093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809A KR101984560B1 (ko) 2016-06-14 2016-06-14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2463B (zh) * 2018-07-19 2019-11-05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笔记擦除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389A (ko)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접촉 지점의 크기를 이용한 입력 방법 및 장치
EP2488930B1 (en) * 2009-10-15 2017-12-06 SMART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and erasing calligraphic ink objects on a display surface
KR20110091296A (ko) * 2010-02-05 201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서 작성 장치 및 방법
KR20140068595A (ko) * 2012-11-28 2014-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조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303A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90567A1 (en) Gesture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3733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erasing a writing path on an infrared electronic white board, and a system for writing on an infrared electronic white board
US9141134B2 (en) Utilization of temporal and spatial parameters to enhance the writing capability of an electronic device
US8600163B2 (en) Handwriting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7737954B2 (en) Pointing device for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40210797A1 (en) Dynamic stylus palette
EP1507192A2 (en) Detection of a dwell gesture by examining parameters associated with pen motion
US20140189482A1 (en) Method for manipulating tables on an interactive input system and interactive input system executing the method
US2015015444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JP201500794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130321350A1 (en) Virtual ruler for stylus input
CN109002201B (zh) 在电子呈现系统中拒绝无关触摸输入
US20100289764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2738658A2 (e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515890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8205415B (zh) 文本选择方法和装置
JP2015138360A (ja) オブジェクト操作システム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方法
US20070177806A1 (en) System,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sing a mobile camera for controlling a computer
CN111984151B (zh) 一种提高处理效率的白板画布大小、位置漫游控制方法
KR101984560B1 (ko) 사용자 동작 반응형 디지털 지우개 및 이의 작동 방법
EP2669783A1 (en) Virtual ruler for stylus input
KR102245706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773977B2 (ja) 端末装置及び操作制御プログラム
CN105511772A (zh) 通过手势操作触发触摸屏上按钮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6622837B2 (ja) 入力表示装置および入力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0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9

Effective date: 201904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