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083B1 - Knee protector - Google Patents

Knee pro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083B1
KR101984083B1 KR1020180037072A KR20180037072A KR101984083B1 KR 101984083 B1 KR101984083 B1 KR 101984083B1 KR 1020180037072 A KR1020180037072 A KR 1020180037072A KR 20180037072 A KR20180037072 A KR 20180037072A KR 101984083 B1 KR101984083 B1 KR 10198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knee
release button
insert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규남
김시현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0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0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8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X-shaped main body in which a first pressing part for pressing a knee upper end and a second pressing part for pressing a knee lower end are integrally formed; a pressing dial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pressing part; a fixing inse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a wire connecting the pressing dial and the fixing insert; and a ventilation part formed at a central part where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are connected.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alleviate knee pain.

Description

무릎 보호대{KNEE PROTECTOR}Knee protector {KNEE PROTECTOR}

본 발명은 무릎 보호대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임 다이얼을 포함하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ee protector including a fastening dial.

무릎 보호대는 무릎 슬개골(膝蓋骨: patella) 부위를 적절하게 압박하여 관절을 보호하는 것이다. 대다수의 무릎 보호대는 무릎의 주위 전체를 탄성으로 조여 고정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16129호(2000.12.28)가 있다.A knee protector protects the joint by appropriately compressing the patella of the knee. Most of the knee guards fix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knee with elasticity,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216129 (December 28, 2000).

상기 등록고안에 개시된 무릎보호대는 신축성 있는 천으로 구성되어 무릎을 감아싸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무릎보호대는 내외면 사이의 소정위치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패드를 내장하고 있어 사용자의 무릎에 착용 시 무릎의 측면부위의 내부에 내장된 원적외선 방사패드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knee protector disclosed in the above registration design is formed of a stretchable cloth and has a shape wrapped around the knee. The knee protector includes a far-infrared radiation pad for emitting a far-infrared ra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inner and outer surfaces. When the wearer is worn on a user's knee, blood is circulated by far-infrared rays radiated from the far- So as to alleviate the pain of the joint.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에 개시된 무릎보호대는 단순히 무릎의 주변을 압박할 뿐 움직임이 있을 때 슬관절을 보호하는 슬개골의 주변을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없어 무릎의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부족하였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을 패드형태로 본체에 부착함으로써 원적외선에 의한 혈액순환의 촉진이 원활하지 못하다.However, the knee protecto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design can not effectively press the periphery of the kneecap to protect the knee joints when the knee is simply moved while pressing the periphery of the knee, which is insufficient for relieving the pain of the knee. The blood circulation by the far-infrared rays is not promoted smoothly.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무릎 보호대는 운동, 스포츠, 등산 등과 같은 레저용이나 또는 의료용 보조 기구로 무릎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갖는 관절 보호대가 시중에서 판매되거나 소개되고 있다Commercially available knee guards are sold or introduced on the market with various types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knee joints with leisure or medical aids such as sports, sports, mountaineering, etc.

이러한 종래의 무릎 보호대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5091호(2007.07.18),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6506호(2003.12.08),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53935호(2004.06.09)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41877호(2008.09.08) 등이 개시되어 있다Such conventional knee protec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5091 (2007.07.18), Korean Registration No. 20-0336506 (2003.12.08),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353935 (June 2004) And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441877 (2008.09.08), etc.

상기 종래기술들은 공통적으로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가 한 쪽 방향에 배열되고, 그 반대 쪽 방향에 벨크로 테이프를 접착하여 관절 보호대를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above conventional techniques, a pair of Velcro tapes are commonly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a Velcro tape is adher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joint protector can be worn

따라서 신축성을 갖는 무릎 보호대를 어느 정도 인장시킨 상태에서 벨크로 테이프를 접착시키게 되면 관절 보호대는 수축하여 무릎을 압박하게 되는데, 이 경우 무릎 보호대의 신축성은 어느 한계로 정해져 있어 무릎의 압박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무릎 보호대를 신장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Therefore, when the velcro tape is stretched in a state in which the stretchable knee protector is stretched to some extent, the joint protector contracts and presses the knee. In this case, the elasticity of the knee protector is set to a certain limit. In order to increase the pressing force of the knee, There is a limit to extending the protector.

즉 상기 종래기술들은 벨크로 테이프가 동일한 방향에서 두 지점을 지지하여 무릎 보호대의 결속을 증강 시킬 수는 있으나, 무릎 보호대에 의한 압박 정도는 벨크로 테이프가 접착된 한 지점에서의 압박 정도와 동일하게 되어 무릎 보호대에 의한 압박력을 증강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있다.That is, although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allow the Velcro tape to support two points in the same direction to enhance the binding of the knee protector, the degree of pressing by the knee protector becomes equal to the degree of pressing at one point where the Velcro tape is adhered, There is a problem in increasing the pressing force by the protector.

나아가 상기 종래기술들은 단순히 동일한 방향에 배열된 벨크로 테이프를 단순히 벨크로 원단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무릎에 착용하게 되므로 무릎 보호대를 작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운동이나 등산을 하는 경우 무릎 보호대가 풀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이 무릎 보호대가 풀리는 경우 무릎 보호대를 다시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제품의 신뢰가 떨어진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simply wear the Velcro tap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on the knee in such a manner that the Velcro tape is simply attached to the velcro fabric. Therefore, when the knee protector is oper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climbing, If the knee protector is loosene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lowered due to the inconvenience of wearing the knee protector again.

더 나아가 무릎 보호대는 사용자의 신체사이즈를 고려하지 않고 있어 벨크로 테이프의 접착부위를 조절함으로서 압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접착 면적이 줄어들게되어 무릎 보호대가 잘 풀리는 문제가 있다.Furthermore, the knee protector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ize of the user's body. Therefore,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by adjusting the adhesive portion of the Velcro tape. In this case, the adhesive area of the Velcro tape is reduced and the knee protector is loosened.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16129호(2000.12.28)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216129 (December 28, 200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5091호(2007.07.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5091 (2007.07.18)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6506호(2003.12.08)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336506 (2003.12.08)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53935호(2004.06.09)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353935 (June, 2004)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41877호(2008.09.08)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441877 (2008.09.08)

본 발명의 목적은 무릎 통증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무릎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ee protector for effectively reducing knee pai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관절의 직경 사이즈에 관계없이 압박력을 가할 수 있는 무릎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ee protector capable of applying an urging forc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kne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는 무릎 상단을 압박하는 제1 압박부와 무릎 하단을 압박하는 제2 압박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X자형 본체, 상기 제1 압박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압박다이얼, 상기 제1 압박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인서트, 상기 압박다이얼과 상기 고정인서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제1 압박부와 상기 제2 압박부가 연결되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기부를 포함한다.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X-shaped main body having a first pressing part for pressing the knee upper end and a second pressing part for pressing the knee lower end integrally, a pressing dial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pressing part, A fixing inse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a wire connecting the pressing dial and the fixing insert, and a vent portion formed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are connected.

여기서, 상기 압박다이얼은 회전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와 연결되고, 2단 구조의 래칫기어 및 상기 래칫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는 클리켓을 포함하되, 상기 2단 구조의 래칫기어는 톱니가 형성된 하단기어와 상기 하단기어보다 직경이 작은 상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ushing dial includes a rotatable handle, a pivo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ulling portion to which the wire is wound, a ratchet gear connected to the pivoting portion, a two-stage ratchet gear, and a clit engaging with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The ratchet gear of the two-stage structure may include a lower gear having teeth and a lower gear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gear.

여기서, 상기 압박다이얼은 상기 손잡이부 중앙에 형성되는 릴리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릴리스부는 릴리스 버튼 및 상기 릴리스 버튼의 하단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인서트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dial may include a release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release portion may include a release button and a fixing unit protruding from a lower end of the release button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insert.

또한, 상기 릴리스 버튼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릴리스 버튼 하부면은 단면이 원호형상이고, 상기 고정유닛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인서트에 체결되도록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avity may be formed in the release butt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button may have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and one end of the release button may be formed with a step to be fastened to the stationary insert.

여기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X자형 본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ire may be formed inside the X-shaped body.

여기서, 상기 X자형 본체는 일면에 압박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X-shaped body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rotrusion on one surfac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는 무릎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극점만을 압박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무릎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eve the knee pain more effectively by pressing only the stimulation point to reduce knee pa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는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nyon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user's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A'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체결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착용한 다리의 정면도(왼쪽)와 배면도(오른쪽)이다.
1 is a plan view of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astening view of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left) and a rear view (right) of a leg wear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 one side, " " first, "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n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A'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는 무릎 상단을 압박하는 제1 압박부(110)와 무릎 하단을 압박하는 제2 압박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X자형 본체(100), 상기 제1 압박부(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압박다이얼(200), 상기 제1 압박부(110)의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인서트(300), 상기 압박다이얼(200)과 상기 고정인서트(300)를 연결하는 와이어(400) 및 상기 제1 압박부(110)와 상기 제2 압박부(120)가 연결되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기부(500)를 포함한다.1,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X-shaped body 110 having a first pressing part 110 for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knee and a second pressing part 120 for pressing the lower knee, A pushing dial 200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pushing portion 110, a fixed insert 30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ushing portion 110, A wire 400 connecting the fixed insert 300 and a ventilation part 500 formed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first pressing part 110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120 are connected.

X자형 본체(100)는 무릎의 상단을 압박하는 제1 압박부(110)와 하부에 대칭모양의 제2 압박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X자형 본체(100)는 압박을 통한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고 무릎의 절곡시 운동의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섬유의 탄성사로 만든 스판덱스(spandex)를 사용하여 일정한 강도와 신축성을 갖는다.The X-shaped main body 10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pressing portion 110 for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knee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120 having a symmetrical shape at the lower portion. The X-shaped main body 100 has constant strength and stretchability by using a spandex made of polyurethane fiber elastic yarn to maintain constant strength through compression and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movement when bending the knee.

X자형 본체(100)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피와 외피를 겹친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분에 덧댄 천으로 감싼 후 오버로크(overlock)를 통해서 박음질하여 봉합형성할 수 있다.The X-shaped main body 100 may be composed of an inner skin and an outer skin.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rapped with a cloth adhered to the edge portion, and then stitched through an overlock.

내피, 외피 모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계열의 플라스틱 섬유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Both the inner and outer jackets may be polyurethane-based plastic fibers as described abov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에는 와이어(400)가 삽입되고 삽입된 와이어(400)는 조임과 풀림에 의해서 손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내피의 구성재료를 달리할 수도 있다.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2, the wire 4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kin, and the inserted wire 400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the inner skin so as to be easily moved by tightening and loosening.

와이어(40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망이 내피에 덧대어질 수 있다.In order to smoothly move the wire 400, a net made of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can be attached to the endothelium.

압박다이얼(200)은 제1 압박부(110)의 일단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다이얼(200)은 제1 압박부(110)의 일단에 형성됨과 동시에 제2 압박부(12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압박다이얼(200)에는 와이어(400)가 연결되고 압박다이얼(200)의 회전에 의해서 와이어(400)가 감기게 된다. The pushing dial 2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pushing portion 110. As shown in FIG. 1, the pushing dial 20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pushing portion 110 and at one end of the second pushing portion 120. The wire 400 is connected to the pushing dial 200 and the wire 400 is wound by the rotation of the pushing dial 200.

압박다이얼(200)은 제1 압박부(110)의 두께를 관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고, 내피에 삽입된 와이어(400)와 연결된다. 압박다이얼(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한다.The pushing dial 200 is firmly coupled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first pressing part 110 and is connected to the wire 400 inserted in the inner skin. The push dial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고정인서트(300)는 제1 압박부(110)의 타단에 형성된다. 압박다이얼(200)과 마찬가지로 고정인서트(300)는 제1 압박부(110)의 타단에 형성됨과 동시에 제2 압박부(120)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인서트(300)는 금속재질의 속이 뚫린 원통형상이며, 제1 압박부(110)의 두께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인서트(300)의 원주표면에는 와이어(400)가 한번 감긴상태로 고정되어 있다.The stationary insert (30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ing part (110). Like the pushing dial 200, the stationary insert 300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ushing portion 110 an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ushing portion 120. The fixed insert 300 is a cylindrical hollow body made of a metal and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thickness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110. Particularly, the wire 400 is fixedly woun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insert 300 once.

와이어(400)는 앞서 설명한 압박다이얼(200)과 고정인서트(300)를 연결한다. 와이어(400)의 재질은 탄성이 있고 강한 인장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예를 들어 낚시줄, 테니스채 줄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장강도가 비교적 강한 금속재질의 얇은 가닥이 모인 금속선일 수 있다.The wire 400 connects the pushing dial 200 and the fixed insert 300 described above. The material of the wire 400 may be a p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 high tensile strength (for example, a fishing line, a tennis line, etc.), but preferably a thin metal stran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tensile strength have.

통기부(500)는 제1 압박부(110)와 제2 압박부(120)가 연결되는 중앙부로서 신축성과 통풍성능이 우수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어텍스, 통풍기능을 갖는 나일론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vent portion 500 may be a middle portion to which the first press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120 are connected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ventilation performance. For example, gore-tex, nylon with ventilation, but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통기부(500)는 무릎 보호대 착용시에 오금이 맞닿는 영역이다. 무릎을 굽히거나 펴는 장시간의 운동시에 오금 부분에 땀이 분비되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부분으로 신축성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중요한 영역이다. 통기부(500)는 제1 압박부(110)와 제2 압박부(120)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X자형 본체(100)의 내피와 결합 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part 500 is a contact area where the knee protector wears. It is an area where not only elasticity but also breathability is important as it is a part that can cause discomfort by releasing sweat in the swollen part during prolonged exercise in bending or stretching the knee. The vent portion 500 is positioned at a midpoi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110 and 120 and can be coupl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X-shaped main body 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rear view of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는 압박돌출부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압박돌출부(600)는 X자형 본체(100)의 일면, 특히 인체의 피부와 맞닿는 부분에 위치한다. 복수개의 압박돌출부(600)는 제1 압박부(110)와 제2 압박부(120)의 서로 대응되는 중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압박돌출부(600)는 반원형의 플라스틱 재질이 X자형 본체(100)의 일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형태이며, 압박돌출부(600)는 무릎 보호대 착용시 대퇴골의 하단과 경골의 상단을 압박함과 동시에 피부의 쓸림을 방지하여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pushing projection 6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X-shaped main body 100, in particular, at a portion of the body that abuts against the skin. The plurality of pushing protrusions 600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push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pushing portion 12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pushing protrusion 600 may be formed of a semi- The pressing projection 600 presses the lower end of the femur and the upper end of the tibia when the knee protector is worn and prevents the skin from being chafed to prevent skin damag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체결상태도이다.4 is a fastening view of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압박다이얼(200)은 회전가능한 손잡이부(210), 상기 손잡이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400)가 감기는 회동부(220), 상기 회동부(220)와 연결되는 2단 구조의 래칫기어(230) 및 상기 래칫기어(230)의 톱니(234)와 맞물리는 클리켓(240)을 포함하되, 상기 2단 구조의 래칫기어(230)는 톱니(234)가 형성된 하단기어(233)와 상기 하단기어보다 직경이 작은 상단기어(231)를 포함한다.4, the pressing dial 200 of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able knob 210, a knob 210 coupled to the knob 210, A ratchet gear 230 having a two-step structure connected to the rotary part 220 and a clit 240 interlocking with the teeth 234 of the ratchet gear 230, The ratchet gear 230 includes a lower gear 233 having teeth 234 and an upper gear 231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gear.

또한, 압박다이얼(200)은 손잡이부(210) 중앙에 형성되는 릴리스부(250)를 포함하되, 릴리스부(250)는 릴리스 버튼(251) 및 상기 릴리스 버튼(251)의 하단에 돌출되어 고정인서트(300)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유닛(253)을 포함한다.The pushing dial 200 includes a release part 25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210. The release part 250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button 251 and the release button 251, And a fixed unit 253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ert 300.

손잡이부(210)는 플라스틱 재질의 회전가능한 원판형상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넛 형태의 원형 구조물이다. The handle 210 is a rotatable circular plate made of plastic, and more specifically, a donut-shaped circular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10) 중심부에 구비되어 있는 릴리스부(250)의 고정을 위해서 손잡이부(210)는 릴리스부(250)의 릴리스 버튼(251)보다 더 두껍고 상단에 릴리스부(250)를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4, the handle 210 is thicker than the release button 251 of the release part 250 for fixing the release part 25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210, A protrusion for fixing the protrusion 250 may be provided.

회동부(220)는 손잡이부(210)와 연결되어 손잡이부(210)가 외력에 의해서 회전할때 함께 회전한다. 회동부(220)의 원주를 따라서 와이어(400)가 감기거나 풀어진다. The swivel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210 so that the swivel portion 220 rotates when the grip portion 210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wire 400 is wound or unwou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wivel portion 220.

2단 구조의 래칫기어(230)는 회동부(220)와 연결되어 손잡이부(210)가 외력에 의해서 회전할때 회동부(220)와 함께 회전한다. 2단 구조 래칫기어(230)는 원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하단기어(233)와 톱니가 형성되지 않은 상단기어(2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기어(233)의 직경은 상단기어(231)의 직경보다 크다. The ratchet gear 230 of the two-stag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unit 22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unit 220 when the knob unit 210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The lower end gear 2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gear 233 having teeth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upper gear 231 having no teeth formed thereon. 231).

클리켓(240)은 래칫기어(230)의 하단기어(233) 톱니(234)와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하단기어(233)의 톱니(234)에 의해서 래칫기어(230)가 정회전 방향(와이어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특히 클리켓(240)은 래칫기어(230) 방향으로 지속적인 힘을 받고 있어 손잡이부(210)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딱딱"하는 소리가 나고, 이는 클리켓(240)이 톱니(234)사이를 옮겨가는 소리이다.The ratchet gear 230 is engaged with the lower gear 233 of the ratchet gear 230 by the teeth 234 of the lower gear 233 so that the ratchet gear 230 is rotated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To prevent rotation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Particularly, the clit 240 receives a continuous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ratchet gear 230, which causes a "crackling" sound when the knob 210 is rotated in the normal rotation direction, It is the sound that moves between.

릴리스부(250)는 릴리스 버튼(251)과 고정유닛(25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릴리스 버튼(251) 내부는 속이 빈 공동(255)이 형성된다. 릴리스 버튼(251)은 약간의 탄성이 있는 플랙서블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릴리스 버튼(251)의 하단에는 돌출되어 있는 고정유닛(253)이 일체로 결합된다. The release part 250 is constituted by a release button 251 and a fixed unit 253 and hollow cavities 255 are formed inside the release button 251. The release button 251 may be a flexible plastic material having a slight elasticity, and the projecting fixed unit 253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button 251.

릴리스 버튼(251) 하부면은 회동부(220)와 약간의 유격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원호형상이 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릴리스 버튼(251) 하부면이 평평하지 않고 원호형상으로 말리는 구조를 갖는 것은 릴리스 버튼(251)이 눌렸을 경우 아래 설명할 고정유닛(253)의 단턱이 고정인서트(300) 내부원주안으로 밀려 들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button 251 may be slightly spaced from the pivot portion 220 and is bent so as to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The release button 25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button 251 is not flat but curled in an arc shape when the release button 251 is depressed and the step of the fixing unit 253 to be described below is push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insert 300 .

또한, 릴리스 버튼(251)을 눌러서 압력을 가하는 경우는 회동부(220)가 함께 눌리나 회동부(220)의 회전은 릴리스 버튼(25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릴리스 버튼(251)의 하부면과 회동부(220) 사이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와셔(미도시)가 구비되거나 릴리스 버튼(251)의 하부면에 작은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release button 251 is depressed to apply pressure, the rotation unit 220 is pushed together, bu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220 is released by the release button 251 A wash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button 251 and the turning portion 220 or a small bearing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button 251.

고정유닛(253)은 일단에 고정인서트(300)와 체결되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유닛(253)은 릴리스 버튼(251)에 압력이 가해져 눌리면 고정인서트(300)에 체결된 단턱이 해제되어 고정인서트(300) 내주면에 형성된 홀에서 상하운동이 가능해진다.The fixed unit 253 is fixed to the fixed insert 300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release button 251 and the fixed unit 253 is pressed by the fixed insert 300 to fix the fixed unit 253 so as not to come out. So that the up and down movements can be performed in the hole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insert 300.

압박다이얼(200)이 고정인서트(30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고정유닛(253)의 단턱이 고정인서트(3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 압박다이얼(200)의 회전에 의해서 가해지는 와이어(400)의 장력에 의해 압박다이얼(200)과 고정인서트(300)의 결합이 풀리지 않는다.In the state where the press dial 200 is fixed to the fixed insert 300, the step of the fixed unit 253 is firmly coupled to the fixed insert 300, and the wire 400, which is applied by the rotation of the push dial 200, The combination of the pushing dial 200 and the fixed insert 300 is not released.

또한, 무릎 보호대의 착용을 해제할 경우, 릴리스 버튼(251)을 누르면 클리켓(240)과 결합되어 있는 하단기어(233) 톱니(234)가 빠지고, 클리켓(240)은 톱니가 없는 상단기어(231)쪽으로 이동하여 회동부(220)가 주위에 감긴 와이어(400)의 장력에 의해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400)가 풀리게 된다. When the release button 251 is pressed to release the knee protector, the lower gear 233 coupled with the clucker 240 is disengaged and the clucker 240 is disengaged from the upper gear And the wire 400 is loosen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art 220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tension of the wire 400 wound around the rotary part 220.

와이어(400)가 풀리면 고정유닛(253)에서 고정인서트(300)를 빼내어 무릎 보호대의 착용을 해제하게 된다.When the wire 400 is unlocked, the fixed insert 300 is pulled out of the fixed unit 253 to release the wear of the knee protecto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착용한 다리의 정면도(왼쪽)와 배면도(오른쪽)이다.5 is a front view (left) and a rear view (right) of a leg wearing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보호대를 착용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다이얼(200)의 고정유닛(253)을 고정인서트(300) 내부를 관통하도록 밀어넣고 고정유닛(253)의 단턱을 고정인서트(300)에 고정시킨다. 5, when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the fixing unit 253 of the pushing dial 200 is push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ixing insert 300, Thereby fixing the step to the stationary insert 300.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210)를 회전시키면 와이어(400)에 의해서 제1 압박부(110) 또는 제2 압박부(120)가 조여진다. 또한, 통기부(500)는 무릎 뒤편인 오금에 위치하고, 와이어(400)를 적당히 조이면, 피부와 맞닿는 압박돌출부(600)에 의해서 슬관절에 압력이 가해져서 무릎을 보호하게 된다.The first pressing part 110 or the second pressing part 120 is tightened by the wire 400 when the knob part 210 is rotated in a fixed state. In addition, the ventilation part 500 is located in the back of the knee, and when the wire 400 is properly tighte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knee joint by the pressing projection 600 contacting the skin, thereby protecting the kne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contemplate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s, devices, and the lik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other ways than the described method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y are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X자형 본체 110 : 제1 압박부
120 : 제2 압박부 200 : 압박다이얼
210 : 손잡이부 220 : 회동부
230 : 래칫기어 231 : 상단기어
233 : 하단기어 234 : 톱니
240 : 클리켓 250 : 릴리스부
251 : 릴리스 버튼 253 : 고정유닛
255 : 공동 300 : 고정인서트
400 : 와이어 500 : 통기부
600 : 압박돌출부
100: X-shaped body 110:
120: second pressing section 200: pressure dial
210: handle 220:
230: ratchet gear 231: upper gear
233: lower gear 234: tooth
240: Clucker 250: Release part
251: release button 253: fixed unit
255: cavity 300: fixed insert
400: wire 500:
600: compression protrusion

Claims (6)

무릎 상단을 압박하는 제1 압박부와 무릎 하단을 압박하는 제2 압박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X자형 본체;
상기 제1 압박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압박다이얼;
상기 제1 압박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인서트;
상기 압박다이얼과 상기 고정인서트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제1 압박부와 상기 제2 압박부가 연결되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다이얼은
회전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와 연결되고, 2단 구조의 래칫기어; 및
상기 래칫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는 클리켓을 포함하되,
상기 2단 구조의 래칫기어는 톱니가 형성된 하단기어와 상기 하단기어보다 직경이 작은 상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An X-shaped body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knee upper end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knee lower end;
A pushing dial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pushing portion;
A fixing inse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ressing portion;
A wire connecting the pushing dial and the fixed insert; And
And a vent portion formed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first pres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portion are connected,
The push-
A rotatable handle;
A rotating unit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to wind the wire;
A ratchet gear connected to the rotation portion and having a two-stage structure; And
And a clit engaging with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Wherein the ratchet gear of the two-stage structure includes a lower gear having teeth and an upper gear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ge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다이얼은
상기 손잡이부 중앙에 형성되는 릴리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릴리스부는 릴리스 버튼; 및
상기 릴리스 버튼의 하단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인서트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And a release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portion,
The release portion includes a release button; And
And a fixing unit protruding from a lower end of the release button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inse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버튼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릴리스 버튼 하부면은 단면이 원호형상이고, 상기 고정유닛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인서트에 체결되도록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cavity is formed in the release butt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button has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and one end of the release button is formed with a step to be fastened to the stationary inse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X자형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 is formed inside the X-shape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본체는 일면에 압박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X-shaped body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protrusion on one surface thereof.
KR1020180037072A 2018-03-30 2018-03-30 Knee protector KR1019840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72A KR101984083B1 (en) 2018-03-30 2018-03-30 Knee pro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072A KR101984083B1 (en) 2018-03-30 2018-03-30 Knee prot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083B1 true KR101984083B1 (en) 2019-05-30

Family

ID=6667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072A KR101984083B1 (en) 2018-03-30 2018-03-30 Knee pro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08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471B1 (en) 2020-07-07 2020-10-28 김세혁 Knee Protector for Patella Free
WO2021182673A1 (en) * 2020-03-11 2021-09-16 조봉준 Calf compression brace
KR20220054064A (en) 2020-10-23 2022-05-02 (주)에이스텍오쏘시스 Knee protector

Citation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129Y1 (en) 2000-09-09 2001-03-15 김병철 A knee protecting belt
KR200241741Y1 (en) * 1999-05-04 2001-09-25 권호석 A knee joint supporter
JP2001262412A (en) * 2000-03-14 2001-09-26 Apollo Iryoki Kk Knee supporter
KR200336506Y1 (en) 2003-10-04 2003-12-18 조현준 Knee-joint protector
JP2004044057A (en) * 2002-05-24 2004-02-12 Kyoto Seni Kogyo:Kk Kneecap supporter
KR200353935Y1 (en) 2004-03-25 2004-06-22 김신교 protection band for knee joint
KR200433221Y1 (en) * 2006-09-07 2006-12-08 전철 a knee guard for infant
KR20070075091A (en) 2006-01-12 2007-07-18 이영록 Pad adhered for mitigating onknee pain
KR200441877Y1 (en) 2007-04-10 2008-09-12 주혜숙 Knee protector
WO2008139217A1 (en) * 2007-05-16 2008-11-20 Great Star Saw Limited Knee protectors
US7707649B2 (en) * 2006-02-03 2010-05-04 Custom Leathercraft Mfg. Co., Inc. Knee pad
KR100975400B1 (en) * 2010-02-03 2010-08-12 정해천 Joint protector
JP4839232B2 (en) * 2007-01-16 2011-12-21 株式会社マーケティングコンセプトハウス Supporter
KR200465342Y1 (en) * 2011-03-30 2013-02-13 이용우 Knee pads
JP2013124433A (en) * 2011-12-15 2013-06-24 Shinwa:Kk Knee supporter
KR20130004428U (en) * 2012-01-09 2013-07-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A knee protecting belt
US20130245522A1 (en) * 2012-03-15 2013-09-19 Deroyal Industries, Inc. Rigid braces with tensioning system
JP5540397B2 (en) * 2009-10-06 2014-07-02 ジュピター有限会社 Knee supporter
KR101549871B1 (en) * 2014-04-14 2015-09-03 이성종 Knee protector
CA2848696A1 (en) * 2014-04-04 2015-10-04 Henry Bickle Knee pads attached to pants
KR101608011B1 (en) * 2015-11-03 2016-04-01 김경일 Knee Joint Protector
KR20180012492A (en) * 2016-07-27 2018-02-06 김수원 Knee Protector
JP2018114120A (en) * 2017-01-18 2018-07-26 中山式産業株式会社 Knee supporter

Patent Citation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741Y1 (en) * 1999-05-04 2001-09-25 권호석 A knee joint supporter
JP2001262412A (en) * 2000-03-14 2001-09-26 Apollo Iryoki Kk Knee supporter
KR200216129Y1 (en) 2000-09-09 2001-03-15 김병철 A knee protecting belt
JP2004044057A (en) * 2002-05-24 2004-02-12 Kyoto Seni Kogyo:Kk Kneecap supporter
KR200336506Y1 (en) 2003-10-04 2003-12-18 조현준 Knee-joint protector
KR200353935Y1 (en) 2004-03-25 2004-06-22 김신교 protection band for knee joint
KR20070075091A (en) 2006-01-12 2007-07-18 이영록 Pad adhered for mitigating onknee pain
US7707649B2 (en) * 2006-02-03 2010-05-04 Custom Leathercraft Mfg. Co., Inc. Knee pad
KR200433221Y1 (en) * 2006-09-07 2006-12-08 전철 a knee guard for infant
JP4839232B2 (en) * 2007-01-16 2011-12-21 株式会社マーケティングコンセプトハウス Supporter
KR200441877Y1 (en) 2007-04-10 2008-09-12 주혜숙 Knee protector
WO2008139217A1 (en) * 2007-05-16 2008-11-20 Great Star Saw Limited Knee protectors
JP5540397B2 (en) * 2009-10-06 2014-07-02 ジュピター有限会社 Knee supporter
KR100975400B1 (en) * 2010-02-03 2010-08-12 정해천 Joint protector
KR200465342Y1 (en) * 2011-03-30 2013-02-13 이용우 Knee pads
JP2013124433A (en) * 2011-12-15 2013-06-24 Shinwa:Kk Knee supporter
KR20130004428U (en) * 2012-01-09 2013-07-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A knee protecting belt
KR200470311Y1 (en) * 2012-01-09 2013-12-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A knee protecting belt
US20130245522A1 (en) * 2012-03-15 2013-09-19 Deroyal Industries, Inc. Rigid braces with tensioning system
CA2848696A1 (en) * 2014-04-04 2015-10-04 Henry Bickle Knee pads attached to pants
KR101549871B1 (en) * 2014-04-14 2015-09-03 이성종 Knee protector
KR101608011B1 (en) * 2015-11-03 2016-04-01 김경일 Knee Joint Protector
KR20180012492A (en) * 2016-07-27 2018-02-06 김수원 Knee Protector
JP2018114120A (en) * 2017-01-18 2018-07-26 中山式産業株式会社 Knee suppor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673A1 (en) * 2020-03-11 2021-09-16 조봉준 Calf compression brace
KR102170471B1 (en) 2020-07-07 2020-10-28 김세혁 Knee Protector for Patella Free
KR20220054064A (en) 2020-10-23 2022-05-02 (주)에이스텍오쏘시스 Knee prot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083B1 (en) Knee protector
CN214386185U (en) Wrist protector
KR101997789B1 (en) Wrist band for relieving pain
KR101853070B1 (en) Wrist protecting band having thumb guard
US20090264802A1 (en) Cervical collar
KR100975400B1 (en) Joint protector
JP2014509551A (en) Orthopedic pressure device
US20190364991A1 (en) Wrist guard
US20210154039A1 (en) Waterproof, polymeric brace
US7364561B1 (en) Ankle brace with removable plate
KR20190138136A (en) Elbow Guard
KR102389893B1 (en) Wrist guard
WO2016015622A1 (en) Joint movement supporting protector
KR20140121247A (en) Brace for medical treatment having hemostasis function
JP2007244786A (en) Interdigital device for hallux valgus
JP5808877B1 (en) Ankle supporter
KR200470311Y1 (en) A knee protecting belt
CN212630056U (en) Ankle guard sports shoes
KR102449654B1 (en) shin compression protector
KR200361975Y1 (en) Arm Guard for Arm Pain Treatment
US3234936A (en) Surgical pad
JP3455914B2 (en) Sprain protection band
US20240024696A1 (en) Light therapy wearable
KR102456375B1 (en) Band fastening structure with improved fastening convenience
KR20200000681U (en) Protective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