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749B1 -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749B1
KR101983749B1 KR1020180097225A KR20180097225A KR101983749B1 KR 101983749 B1 KR101983749 B1 KR 101983749B1 KR 1020180097225 A KR1020180097225 A KR 1020180097225A KR 20180097225 A KR20180097225 A KR 20180097225A KR 101983749 B1 KR101983749 B1 KR 101983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frames
fram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식
Original Assignee
휴미텍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미텍코리아(주) filed Critical 휴미텍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8009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프레임 구조체의 구성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으면서도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는, 일정한 제1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00)와;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부(200)와; 일측은 미리 설정된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일측이 각각 삽입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으로 이루어진 연결부(3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A frame structure for mounting a filter on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 구조체의 구성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으면서도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는 냉방·난방·제습·가습·공기의 정화 등과 같은 공기 조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 기구를 하나 이상의 케이싱에 조합시킨 장치이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기는 케이싱(Casing), 팬 및 모터(Fan & Motor), 필터(Filter), 댐퍼(Damper), 코일(Coil), 엘리미네이터(Eleminator)로 구성된다.
여기서, 필터는 공조기로 유입되어 룸(Room)이나 작업장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분진 및 오염물질을 정화시켜 주는 기능을 갖으며, 댐퍼는 유입 또는 토축공기의 양을 조절하며, 코일은 공조기로 유입된 공기에 열원설비(보일러, 냉동기)에서 전달된 열량을 열교환시켜주는 부분으로 대부분의 공조기의 코일은 Fin & amp; Tube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4038호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적용이 가능하고, 제작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뛰어난 호환성을 제공함으로서 원가의 절감은 물론,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부분적인 교환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한 공조용 필터의 조립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첫 번째 선행기술은 n개의 판 형태의 프레임과 n개의 앵글이 필요하여 프레임 구조물의 구성 부품수가 많아지고, 판 형태의 측면 프레임과 길이 방향의 지지대의 접촉부에 틈새가 존재하므로, 이 접촉부들을 밀봉작업을 하여도 구조적으로 누설에 취양한 단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837호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적용이 가능하고, 제작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뛰어난 호환성을 제공함으로서 원가의 절감은 물론,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부분적인 교환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하도록함과 그 조립된 상태에서의 지지력이 더욱 견고한공조용 필터의 조립구조가 기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두 번째 선행기술은 ㄱ자 형상의 앵글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지지대를 조립해야하기 때문에 조립시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앵글과 프레임 또는 지지대를 고정할 때 조립 각도가 어긋나서 구조물이 전체적으로 틀어지기 쉬운 문제점일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4701호에는 필터의 조립이 용이하고, 설치 환경이나 공조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 설치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뛰어나며, 필터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의 구성 부품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필터 프레임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 번째 선행기술은 각각의 수직부재가 전방단부 폐쇄패널을 구비하며, 한 쌍의 수직부재를 맞대어서 전방단부 폐쇄패널들을 서로 중첩시켜 접합부에서 실링재에 의해 밀봉하여 전방단부를 폐쇄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수직부재는 후방단부 폐쇄패널을 구비하며, 이들 후방단부 폐쇄패널을 서로 중첩시켜 접합부에서 실링재에 의해 밀봉하여 후방단부를 폐쇄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성의 개선은 크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한 쌍의 수직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서로 결합되는 수직부재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위해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수평프레임은 상부패널의 저면 및/또는 하부패널의 상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구성 부품의 수가 종래에 비해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83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8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470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구조체의 구성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으면서도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는, 일정한 수직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00)와; 다수개의 필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부(200)와; 일측은 미리 설정된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삽입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으로 이루어진 연결부(300)와; 임의의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해당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값을 알리는 압력감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력감지부(400)는, 각각의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30)와;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4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필터 수용공간의 고유위치정보와 압력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한 압력비교 결과값을 무선방식으로 수신하거나 이를 가청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는 비콘 모듈(420)과; 상기 비콘모듈(420)의 제어동작에 따라 압력비교 결과값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가청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스피커(440) 또는/및 경광등(4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110~130)을 미리 설계된 수직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한 상기 수직 프레임(110와 120, 120과 130)의 내면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가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형 내부공간이 형성된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앞측면과 뒷측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면 장공(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과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제2 측면 장공(314a,314b,316a,316b;315a,315b,317a,317b)이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장공(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과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제2 측면 장공(314a,314b,316a,316b;315a,315b,317a,317b)이 서로 고정되도록 나사(414a,414b~417a,417b)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하고, 수평 프레임 캡(215)을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캡 결합날개(212)에 길이 방향으로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하여 조립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110~130), 상기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 및 상기 연결부재(310a,310b~360a,360b)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필터 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압력감지부(400)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압력감지부(400)는, 각각의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30)와;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4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필터 수용공간의 고유위치정보와 압력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한 압력비교 결과값을 무선방식으로 수신하거나 이를 가청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는 비콘 모듈(420)과; 상기 비콘모듈(420)의 제어동작에 따라 압력비교 결과값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가청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스피커(440) 또는/및 경광등(4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체의 구성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으면서도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전체 조립시간을 줄 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제품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가 조립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시 수평 프레임을 수직 프레임에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에 장착된 압력 감지부의 블럭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의 구성과 조립절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가 조립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시 수평 프레임을 수직 프레임에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는, 일정한 수직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00)와, 다수개의 필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부(200)와, 일측은 미리 설정된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고정되며, 타측은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삽입 및 고정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로 이루어진 연결부(300)와, 임의의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해당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값을 알리는 압력감지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압력감지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30)와,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4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필터 수용공간의 고유위치정보와 압력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한 압력비교 결과값을 무선방식으로 수신하거나 이를 가청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는 비콘 모듈(420)과, 비콘모듈(420)의 제어동작에 따라 압력비교 결과값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가청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스피커(440) 또는/및 경광등(450)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번호 500은 각각의 필터수용공간에 설치된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 및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230)은 공기조화기의 구조적 특성상 금속재질이 사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텐레스나 탄소, 니켈, 구리, 규소, 망간, 또는 모리브덴을 소량 포함하는 스텐레스 합금 또는 알루니늄이나 Al-Cu계 합금, Al-Mn계 합금, Al-Si계 합금, Al-Mg계 합금, Al-Mg-Si계, Al-Zn-(Mg, Cu)계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갖는 판넬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 몸체(111)와, 수직 프레임 몸체(111)의 뒷측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도록, 수직 프레임 몸체(111)의 뒷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 후면패널(113)과, 수직 프레임 몸체(111)의 앞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자홈이 형성되도록 수직 프레임 몸체(111)의 앞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 프레임 커버(115)로 구성된다.
한편,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직사각형 판넬으로 형성되며, 넓은 면이 상면 및 하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앞측면이 개방된 ⊃자 형상의 홈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캡 결합날개(212)가 형성된 수평 프레임 몸체(211)와,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뒷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도록,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뒷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 후면패널(213)과,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한 쌍의 캡 결합날개(212)에 횡방향으로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 프레임 캡(21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ㄷ자 형상의 수평 프레임 캡(215)의 내부 공간의 높이는 한 쌍의 캡 결합날개(212) 사이의 높이 보다 동일하거나 크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수조작으로 수평 프레임 캡(215)을 한 쌍의 캡 결합날개(212)의 외측단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넓은 면이 상면 및 하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전면 및 뒷면의 양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상의 한 쌍의 제1 측면 장공(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
한편, 연결부(300)의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고정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밑면과 후면이 개방된 ┌┐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횡방향의 전면 및 후면이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곡 형성된 연결부재 몸체(311)와,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 및 120)의 내면에 각각 대향하는 연결부재 몸체(311)의 전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관통홀(312a,312b; 313a,313b)과, 절곡된 앞측면 및 뒷측면의 양단에는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한 쌍의 제1 측면 장공(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과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한 쌍의 제2 측면 장공(314a,314b,316a,316b;315a,315b,317a,317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와 연결부재(310a,310b~360a,360b) 간의 규격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각의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속이 비어 있는 직사각형 내부의 폭(d1)과 높이(d5)는 각각의 연결부재 몸체(311)의 폭(d2)와 높이(d6) 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내부에 연결부재(310a,310b~360a,360b)를 삽입할 때 용이하게 삽입되는 규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횡방향 길이(d4) 대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전체 횡방향 길이 비율은 1:4~5 (바람직하게는 1 : 4.5) 범위 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횡방향 길이(d4)가 너무 짧으면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을 지지하는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고, 너무 길면 불필요하게 제품의 부품단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을 더 걸리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연결부재 몸체(311)의 한 쌍의 외측횡단면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향할수록 라운드 형상(R2,R3)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내부에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연결부재 몸체(311)을 끼울때 연결부재 몸체(311)의 외측단부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끼워지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절차를 설명한다.
1.수직 프레임들의 배치
먼저, 작업자는 공기조화기의 설계된 규격을 갖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110~130)을 미리 설계된 수직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후면 패널(113)이 뒷면에 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야 하며, 아직 조립되기 전 상태이므로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배치 위치는 정확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2. 수직 프레임의 내면에 연결부재의 고정
이어, 작업자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형성될 다수개의 필터 수용공간에 맞도록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을 고정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한 수직 프레임(예를 들어, 110와 120, 120과 130)의 내면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를 각각 고정한다.
아래에서는 110 및 120으로 표시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내면에 제1 연결부재(310a)를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며, 나머지 연결부재의 고정방법은 동일하므로 다른 연결부재의 고정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작업자는 제1 연결부재(310a)의 연결부재 몸체(3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고정홀(312a,312b)이 수직 프레임(110)의 내면에 면접한 상태에서 일자 나사(411a,411b)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재(310a)를 수직 프레임(110)의 내면에 고정한다.
이때, 작업자는 일자 나사(411a,411b) 만을 이용하여 제1 연결부재(310a)를 수직 프레임(110)의 내면에 직접 고정할 수 도 있지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 나사(411a,411b)의 외측에 회전나사(412a,412b)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연결부재(310a)를 수직 프레임(110)의 내면에 고정할 수 도 있다.
여기서, 각각의 회전나사(412a,412b)는 작업자가 90°만 회전시키면 각각의 일자나사(411a,411b)가 고정되기 때문에 제1 연결부재(310a)를 일자 나사만을 이용할 때 보다 지지력을 받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을 수 있다.
이어, 작업자는 제2 연결부재(310b)의 연결부재 몸체(3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고정홀(313a,313b)이 수직 프레임(120)의 내면에 면접한 상태에서 제2 나사(410a,410b)를 이용하여 제2 연결부재(310b)를 수직 프레임(120)의 내면에 위에서 설명한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한다.
이때, 서로 이웃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0,120)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제1 연결부재(310a)와 제2 연결부재(310b)는 수평 프레임(210a)이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수평 프레임들의 삽입
이어, 작업자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다수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가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형 내부공간에 각각 삽입되는데,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앞측면과 뒷측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타원형상의 한 쌍의 제1 측면 장공(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과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제2 측면 장공(314a,314b,316a,316b;315a,315b,317a,317b)이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수평 프레임들의 고정
이어, 작업자는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한 쌍의 제1 측면 장공(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과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제2 측면 장공(314a,314b,316a,316b;315a,315b,317a,317b)이 서로 고정되도록 꺽임나사(414a,414b~417a,417b)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하는데,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오른쪽 또는 왼쪽 고정 순서를 한정 할 필요는 없은 뿐만 아니라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자체의 고정 순서 또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각각의 꺽임나사(414a,414b~417a,417b)는 작업자가 한번 90도 회전시키면 꺽임나사의 헤드와 바디가 각각의 장공을 따라 서로 어긋나도록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종래보다 상대적으로 조립속도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5.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들의 캡 결합
이어, 작업자는 수평 프레임 캡(215)을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캡 결합날개(212)에 길이 방향으로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한다.
6. 필터의 삽입
이어, 작업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에 형성된 각각의 필터 수용공간에 미리 제조된 필터를 배치한다.
7. 필터의 교체주기 통보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값을 알리는 압력감지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압력감지부(400)의 압력센서(430)는 각각의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비콘모듈(420)으로 전송한다.
이때, 비콘 모듈(420)은 하나 이상의 스마트폰(4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필터 수용공간의 고유위치정보와 압력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한 압력비교 결과값을 무선방식으로 수신하거나 이를 가청가능한 신호로 스피커(440) 또는/및 경광등(450)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420)을 갖고 있는 관리자가 순찰을 돌거나 스피커(440) 또는/및 경광등(450)을 통하여 출력되는 가청가능한 신호를 통하여 해당 필터의 교체주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체의 구성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으면서도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시 별도로 고정해야하는 고정구나 고정절차가 불필요하여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구조체의 조립 설계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수직 프레임부 110~130 : 수직 프레임
111 : 수직 프레임 몸체 13 : 후면 패널 115 : 전면 패널
200 : 수평 프레임부 210a,210b~230a,230b : 수평 프레임
211 : 수평 프레임 몸체 213 : 후면 패널
215 : 수평 프레임 캡 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 : 측면 장공
300 : 연결부 310a,310b~360a,360b : 연결부재
311 : 연결부재 몸체 312a,312b,313a,313b : 고정홀
314a,314b,315a,315b,316a,316b,317a,317b : 측면 장공
410a,410b,411a,411b : 일자나사 412a,412b,413a,413b : 회전나사
414a,414b~417a,417b : 꺽임나사 400 : 압력감지부
420 : 비콘모듈 430 : 압력센서
440 : 스피커 450 : 경광등
460 : 스마트폰 500 : 클램프

Claims (7)

  1. 일정한 수직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00)와;
    다수개의 필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부(200)와;
    일측은 미리 설정된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삽입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310a,310b~360a,360b)으로 이루어진 연결부(300)와;
    임의의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해당 필터 수용공간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값을 알리는 압력감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300)의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30a,330b)는,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고정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밑면과 후면이 개방된 ┌┐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횡방향의 전면 및 후면이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곡 형성된 연결부재 몸체(311)와;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 및 120)의 내면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재 몸체(311)의 전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관통홀(312a,312b; 313a,313b)과;
    절곡된 앞측면 및 뒷측면의 양단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수평 프레임 몸체(211)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면 장공(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과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30a,330b)의 한 쌍의 제2 측면 장공(314a,314b,316a,316b;315a,315b,317a,317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은,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갖는 판넬 형상으로 형성된 수직 프레임 몸체(111)와;
    상기 수직 프레임 몸체(111)의 뒷측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 몸체(111)의 뒷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 후면패널(113)과;
    상기 수직 프레임 몸체(111)의 앞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자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 몸체(111)의 앞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 프레임 커버(115)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은,
    속이 비어 있는 직사각형 판넬으로 형성되며, 넓은 면이 상면 및 하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앞측면이 개방된 ⊃자 형상의 홈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캡 결합날개(212)가 형성된 수평 프레임 몸체(211)와;
    상기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뒷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뒷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 후면패널(213)과;
    상기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한 쌍의 캡 결합날개(212)에 횡방향으로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 프레임 캡(2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속이 비어 있는 직사각형 내부의 폭(d1)과 높이(d5)는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 몸체(311)의 폭(d2)와 높이(d6) 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30a,330b)의 횡방향 길이(d4) 대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전체 횡방향 길이는 1:4~5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7. 일정한 수직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00)와;
    다수개의 필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0~130)으로 이루어진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속이 비어 있는 직사각형 판넬으로 형성되며, 넓은 면이 상면 및 하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앞측면이 개방된 ⊃자 형상의 홈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캡 결합날개(212)가 형성된 수평 프레임 몸체(211)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으로 이루어진 수평 프레임부(200)와;
    일측은 미리 설정된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삽입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310a,310b~330a,330b)으로 이루어진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300)의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30a,330b)는,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고정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밑면과 후면이 개방된 ┌┐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횡방향의 전면 및 후면이 하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곡 형성된 연결부재 몸체(311)와;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 및 120)의 내면에 각각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재 몸체(311)의 전측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관통홀(312a,312b; 313a,313b)과;
    절곡된 앞측면 및 뒷측면의 양단에는 상기 수평 프레임 몸체(211)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측면 장공(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과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30a,330b)의 한 쌍의 제2 측면 장공(314a,314b,316a,316b;315a,315b,317a,317b)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130)의 내면에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310a,310b~330a,330b)가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수평 프레임(210a,210b~230a,230b)의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형 내부공간에 각각 삽입되는데, 상기 수평 프레임 몸체(211)의 앞측면과 뒷측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타원형상의 한 쌍의 제1 측면 장공(214a,214b;215a,215b;216a,216b;217a,217b)과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310a,310b~330a,330b)의 제2 측면 장공(314a,314b,316a,316b;315a,315b,317a,317b)이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삽입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KR1020180097225A 2018-08-21 2018-08-21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KR10198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25A KR101983749B1 (ko) 2018-08-21 2018-08-21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25A KR101983749B1 (ko) 2018-08-21 2018-08-21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749B1 true KR101983749B1 (ko) 2019-05-29

Family

ID=6667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225A KR101983749B1 (ko) 2018-08-21 2018-08-21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7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556A (ko) 2019-11-11 2021-05-20 휴미텍코리아(주) 공기조화기의 필터 프레임 구조체의 필터를 일정 토크로 고정 가능한 필터 고정구
KR20220012565A (ko) 2020-07-23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382315B1 (ko) * 2021-08-17 2022-04-01 박종길 작업성을 개선한 헤파필터 장착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2647338B1 (ko) 2023-10-30 2024-03-13 주식회사 백륜 엘이디 일체형 필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837Y1 (ko) 2003-07-22 2003-10-01 (주)동양공조 공조용 필터의 조립구조
JP2010104879A (ja) * 2008-10-29 2010-05-13 Nitta Ind Corp フィルタ枠用コーナーカバー
KR101292420B1 (ko) * 2013-01-10 2013-08-07 이오형 필터프레임
JP2016042015A (ja) * 2014-08-15 2016-03-31 台達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Delta Electronics,Inc. フィルタ汚れ検出機能付きの換気装置及びそのフィルタ汚れを検出する検出方法
KR101824701B1 (ko) 2016-08-18 2018-02-02 (주)동양공조 공기조화기용 필터 프레임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837Y1 (ko) 2003-07-22 2003-10-01 (주)동양공조 공조용 필터의 조립구조
JP2010104879A (ja) * 2008-10-29 2010-05-13 Nitta Ind Corp フィルタ枠用コーナーカバー
KR101292420B1 (ko) * 2013-01-10 2013-08-07 이오형 필터프레임
JP2016042015A (ja) * 2014-08-15 2016-03-31 台達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Delta Electronics,Inc. フィルタ汚れ検出機能付きの換気装置及びそのフィルタ汚れを検出する検出方法
KR101824701B1 (ko) 2016-08-18 2018-02-02 (주)동양공조 공기조화기용 필터 프레임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556A (ko) 2019-11-11 2021-05-20 휴미텍코리아(주) 공기조화기의 필터 프레임 구조체의 필터를 일정 토크로 고정 가능한 필터 고정구
KR20220012565A (ko) 2020-07-23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382315B1 (ko) * 2021-08-17 2022-04-01 박종길 작업성을 개선한 헤파필터 장착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2647338B1 (ko) 2023-10-30 2024-03-13 주식회사 백륜 엘이디 일체형 필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749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
EP1645809A1 (en) Integral air conditioner
WO2018090114A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suporte retrátil para aparelho de ar condicionado
CN211822719U (zh) 空调器
CN107525142B (zh) 空调柜机及其控制方法
CN214249914U (zh) 一种铁路机房双热管空调机
JP2006249768A (ja) ルーバー装置
US20130306746A1 (en) Retrofit Flap Damper Assembly System for Cone Type Damper Variable Air Volume Boxes
US20130331024A1 (en) Retrofit Flap Damper Assembly System for Cone Type Damper Variable Air Volume Boxes
DE10312660A1 (de) Raumbediengerät mit integrierter Raumtemperaturmessung
CN205156170U (zh) 安装于门窗洞上口的新风与空气净化系统
CN111415568A (zh) 一种双洞单线隧道加密横通道型救援站火灾模型试验系统
CN211399408U (zh) 一种隐蔽走线易安装的线条灯
CN211177356U (zh) 用于空调的摆叶组件和空调
CN108019832B (zh) 一种电器壳体和空调
CN220624212U (zh) 过滤组件及空气处理机组
JPH1073310A (ja) 多機能カセット型空調ユニット
CN208475488U (zh) 一种多风机防故障中央空调系统
JP3572286B2 (ja) 天井吊り形空気調和機
CN216204031U (zh) 一种工厂用可远程控制的通风装置
CN218763953U (zh) 一种管道安装结构
CN214746364U (zh) 一种新风装置及空调
CN218941545U (zh) 一种工业自动控制仪表系统中的仪表终端
CN216771645U (zh) 一种用于大气污染治理的空气质量检测警报装置
CN220891608U (zh) 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