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637B1 -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parking lot of apartment - Google Patents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parking lot of apar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637B1
KR101983637B1 KR1020190036639A KR20190036639A KR101983637B1 KR 101983637 B1 KR101983637 B1 KR 101983637B1 KR 1020190036639 A KR1020190036639 A KR 1020190036639A KR 20190036639 A KR20190036639 A KR 20190036639A KR 101983637 B1 KR101983637 B1 KR 10198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ails
parking
vehic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온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3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6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B60S13/02Turntables; Traver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parked vehicle movement apparatus includes: a pair of rails placed in parallel with a front parking division line; a body mov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s; a movement space formed between the rails to enable the body to be mov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s; and prevention bumps install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rails respectively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s. Therefore, the double-parked vehicle movement apparatus is capable of enabling a double-parked car to be easily moved.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parking lot of apartme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주차 된 차량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for a dual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family ho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device for a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family home in which a double-

일반적인 아파트나 빌라와 같이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장소에서는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다.In a place where many people reside, such as a typical apartment or a villa, the space for parking the vehicle is narrow.

이러한 공간상의 제약 때문에, 보통 나란히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주변에 최소한의 차량이동로만을 확보하여 두고 이중주차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Due to such space limitations, it is often the case that double parking is carried out with only a minimum movement of the vehicle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normally parked side by side.

여기서, 이중주차란 운전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주차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켜 놓고 주차를 하는 경우를 말한다.Here, double parking is a case in which parking is released while the parking brake of the vehicle is released so that the vehicle can be moved even in the absence of a driver.

이러한 이중주차는 대부분의 아파트에서 허용될 만큼 주차할 공간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This double parking is an example of indirectly showing that there is not enough parking space available in most apartments.

그리고 이중주차는 건장을 체격을 가진 남자들 경우, 이중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트렁크 측을 밀어 본인차량의 이동로를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다.And for double parking,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moving path of the own vehicle smoothly by pushing the trunk side of the parked vehicle in the case of the men who are physically strong.

그러나 여자들이나 노약자들 경우, 차량의 무게, 미세한 경사, 바퀴의 정렬상태 및 차량을 미는 힘 등에 의해 이중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women or elderly people, it is difficult to move a vehicle which is double-parked due to the weight of the vehicle, the minute slope, the alignment of the wheels, and the force of pushing the vehic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6679호(2014.10.24)Korean Patent No. 10-1456679 (Apr. 24,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는 이중주차 된 차량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 parking vehicle mov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family ho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주차구역을 형성하는 주차구획선 중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주차구획선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에 이중주차 차량이 주차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한 쌍의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공간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한 쌍의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은 지면과 맞대어져 고정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한 쌍의 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면의 상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와 맞대어지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롤러가 상기 한 쌍의 측면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하체와, 상기 하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에 이중주차 차량이 주차되는 상체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본체와 마주보는 옆면에 구비되어 이동완료시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본체와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체는 일부가 하체의 하부로 노출되어 지면과 맞대어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롤러가 회전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상체는 상기 상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홈과, 상기 본체를 이동시킬 시 상기 인출홈에서 인출되는 인출부재와, 상기 상체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어 상부에 주차되는 차량이 상기 상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돌기와, 상기 상체의 상면 길이방향 테두리에 부착되어 빛에 반사되는 반사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인출홈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3회전축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인출홈에서 인출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4회전축과, 상기 제4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4회전축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안착홈에서 인출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를 각각 상기 인출홈 및 상기 안착홈에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손잡이와, 상기 제2부재의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인출홈에 위치할 시 일단이 상기 지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되어 미이동시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parking vehicle mov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multi-unit house, the parking device comprising: A pair of rails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partition lines, a main body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rails and is parked on the upper part and which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A moving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rails to allow the main body to mov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and a movable spac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The rail includes a bottom surface which is fixed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 first roller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abutting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rotation shaf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oller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allow the first roller to rotate about the pair of side surfaces, A lower body provided on the lower body and being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rails and having a double parking vehicle parked on the upper body and a lower body disposed on a side of the lower body opposite to the body, And a cushioning member for minimizing an impact with the neighboring main body when completed, wherein the lower body is partly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shaf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to rotate the second roller, wherein the upper body includes an extraction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a reflect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so as to prevent the vehicle parked at the upper sid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body, and a reflection sheet attached to a longitudinal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 first member connected to the third rotation shaft and rotated from the third rotation shaft to be drawn out from the drawing groove; and a second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ember, A fourth rotary shaf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a second rotary shaft connected to the fourth rotary shaft and rotated from the fourth rotary shaft to be drawn out from the seating groove; A handl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for allow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be easily pulled out from the drawing groove and the seating groove, And on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ground when the first member is positioned in the outflow groove, thereby preventing the main body from moving when not moving.

상기 이동공간에는 야간에 상기 이동공간의 존재가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하는 공간표시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The movement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display sheet for easily recognizing existence of the movement space at night.

본 발명의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에 의하면, 이중주차 된 차량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ving vehicle for a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famil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parked vehicle can be easily 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를 통해 이중주차 된 차량을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device for a double parking vehicle is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family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uble parked vehicle is moved through a double parking vehicle mov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device for a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device for a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device for a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shown in Fig. 4 is drive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obile device for a dual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family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device for a dual parking vehicle is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family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는 지상 또는 지하에 구획된 공동주택의 주차구역 전방에 구비되며, 레일(100), 본체(200), 이동공간(300) 및 방지턱(400)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double parking space mobile device 10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multi-family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front of a parking space of a multi-unit housing divided in the ground or underground, 100, a main body 200, a moving space 300, and a bushing 400.

레일(1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주차구역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주차구획선(20) 중에서 전방 즉, 후방주차를 기준으로 할 시 차량(30)의 앞 부분에 위치한 전방주차구획선(21)과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1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거리 이격된 채로 서로 간에 평행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레일(100)의 상세한 구성은 추후에 설명하도록 한다.The rail 100 includes a front parking partition line 21 located at a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30 in front of a rectangular parking space line 20 formed in a long direction and forming a parking space, As shown in FIG. The rails 100 may be formed as a pair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kept parallel to each oth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ail 100 will be described later.

본체(200)는 한 쌍의 레일(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0)의 상부에는 이중주차 되는 차량(30)이 주차되며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200)에 차량(30)이 주차된 상태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차량(30)을 직접 밀지 않더라도 차량(30)의 이동이 가능하고 주차된 차량(30)의 주차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아도 차량(30)의 이동이 가능하다. 본체(200)의 상세한 구성은 추후에 설명하도록 한다.The main body 20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A double-parked vehicle 30 is park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00 and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The vehicle 30 can be moved even if the vehicle 30 is not directly pushed by moving the rail 30 along the rail 100 while the vehicle 30 is parked in the main body 200 and the parking of the parked vehicle 30 It is possible to move the vehicle 30 without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brak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이동공간(300)은 본체(20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비워두는 공간으로써 한 쌍의 레일(1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에 차량(30)이 주차된 본체(200)는 레일(100)을 따라 이동공간(300)으로 이동함으로써 본래에 위치하던 자리에 이동공간(30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공간(300)에는 공간표시시트(310)가 구비되어 야간에 이동공간(300)의 존재 즉, 이동공간(300)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용이하게 이중주차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공간(300)의 크기는 주차구획선(20)에 의해 구획된 주차공간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space 300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rails 100 as a space that is left empty so that the main body 200 can move along the rail 100. The main body 200 in which the vehicle 30 is parked on the upper part moves to the moving space 300 along the rail 100 so that the moving space 300 can be formed in the original position. A space display sheet 310 is provided in the moving space 300 so that the presence of the moving space 300 in the nighttime, that is, the location of the moving space 300, can be easily recognized, . The size of the moving space 300 may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parking space partitioned by the parking space line 20.

방지턱(400)은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레일(100)에 구비된 방지턱(400)은 레일(100)을 따라 이동된 본체(200)가 레일(10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레일(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200)는 레일(10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레일(100)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The restricting jaws 40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rails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straining jaws 400 provided on the rails 100 may prevent the main body 200 moved along the rails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s 100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s 100. Accordingly, the main body 200 can be easily moved on the rail 100 without detaching from the rail 100.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를 통해 이중주차된 차량(30)을 이동시켜 본래의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30)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double parking vehicle 30 is moved through the double parking vehicle moving device 10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ve the parked vehicle 30 in the original parking area And to explain the proces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different part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를 통해 이중주차 된 차량을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of moving a double parked vehicle through a double parking vehicle mov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shown in FIG. 1.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주차구역을 형성하는 주차구획선(20) 중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주차구획선(21)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100)과, 한 쌍의 레일(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에 이중주차 차량(30)이 주차되며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200)와, 한 쌍의 레일(100)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200)가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공간(300)과,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본체(200)가 한 쌍의 레일(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40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mobile device 10 for a dual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multi-unit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king lot line 20 formed in a long direction to form a parking space, A pair of rails 100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a front parking partition line 21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pair of rails 100 provided in a form to be placed on top of the pair of rails 100, The main body 200 is formed between a pair of rails 100 and mov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The main body 2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And a bushing 40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rails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main body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rails 100,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를 통해 이중주차된 차량(30)을 이동시켜 본래의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30)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moving the parked vehicle 30 through the double parking vehicle moving device 10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ve the parked vehicle 30 in the original parking area Is as follows.

이동시키고자 하는 차량(30)의 전방에 위치한 본체(200)에 차량(30)이 없을 경우에는 별도의 이동과정 없이 본체(200)의 상부를 가로질러 이동하고, 본체(200)에 차량(30)이 있을 경우에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차량(30)의 전방에 이동공간(300)이 위치하도록 본체(200)를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동공간(300)이 차량(30)의 전방에 위치하면 한 쌍의 레일(100)을 가로질러 이동함으로써 본래의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30)을 이동시킬 수 있다.If the vehicle 30 is not present in the main body 200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30 to be moved, the main body 200 moves a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without any additional movement, The main body 2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0 so that the moving space 30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vehicle 30 to be moved. When the moving space 3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30, it is possible to move the parked vehicle 30 in the original parking area by moving across the pair of rails 100.

이와 같이, 본체(200)에 차량(30)이 주차된 상태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차량(30)을 직접 밀지 않더라도 차량(30)의 이동이 가능하고 주차된 차량(30)의 주차브레이크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아도 차량(30)의 이동이 가능하다.The vehicle 30 can be moved even if the vehicle 30 is not directly pushed by moving the rail 30 along the rail 100 while the vehicle 30 is parked in the main body 200 and the parking of the parked vehicle 30 It is possible to move the vehicle 30 without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brake.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의 레일(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rail 100 of the mobile device 10 for a dual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different part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device for a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주차구역을 형성하는 주차구획선(20) 중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주차구획선(21)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100)과, 한 쌍의 레일(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에 이중주차 차량(30)이 주차되며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200)와, 한 쌍의 레일(100)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200)가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공간(300)과,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본체(200)가 한 쌍의 레일(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40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double parking space mobile device 10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multi-family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king lot partition line 20 formed in a long direction to form a parking space, A pair of rails 100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a front parking partition line 21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pair of rails 100 provided in a form to be placed on top of the pair of rails 100, The main body 200 is formed between a pair of rails 100 and mov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The main body 2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And a bushing 40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rails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main body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rails 100, have.

그리고 레일(100)은 지면과 맞대어져 고정되는 바닥면(110)과 바닥면(110)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120)을 구비하여 상 방향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120)에는 내측 방향으로 삽입홈(1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측면(120) 사이에는 제1롤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롤러(140)는 바닥면(110)의 상부, 본체(200)의 하부와 맞대어져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롤러(140)의 양단에는 일단이 제1롤러(140)와 결합하고 타단이 삽입홈(130)에 삽입되는 제1회전축(15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축(150)은 제1롤러(140)가 한 쌍의 측면(120)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레일(100)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구비된 본체(200)가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rail 100 has a bottom surface 110 fixed to the ground and a pair of side surfaces 120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110 to form an upwardly opened & . The insertion holes 130 may b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side surfaces 120 and the first roller 1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ide surfaces 120. The first roller 140 may be provided to abut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The first roller 14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shaft 15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roller 140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0. The first rotating shaft 15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200 such that the first roller 140 rotates about the pair of side surfaces 120 so that the main body 20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rail 100, As shown in FIG.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의 본체(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main body 200 of a mobile device 10 for a dual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family h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different part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device for a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주차구역을 형성하는 주차구획선(20) 중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주차구획선(21)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100)과, 한 쌍의 레일(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에 이중주차 차량(30)이 주차되며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200)와, 한 쌍의 레일(100)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200)가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공간(300)과,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본체(200)가 한 쌍의 레일(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40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mobile device 10 for a dual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multi-unit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king lot line 20 formed in a long direction to form a parking space, A pair of rails 100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a front parking partition line 21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pair of rails 100 provided in a form to be placed on top of the pair of rails 100, The main body 200 is formed between a pair of rails 100 and mov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The main body 2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And a bushing 40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rails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main body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rails 100, have.

그리고 본체(200)는 한 쌍의 레일(100) 사이에 위치하는 하체(210)와 하체(210)로부터 연장되어 하체(21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한 쌍의 레일(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에 이중주차 차량(30)이 주차되는 상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체(210)와 상체(22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되 레일(100)을 기준으로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하체(210)와 상체(220)로 구분할 수 있다.The main body 200 includes a lower body 210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rails 100 and a lower body 210 extending from the lower body 210 and provided on the lower body 210 and resting on a pair of rails 100 And an upper body 220 on which a double parking vehicle 30 is parked. That is, the lower body 210 and the upper body 220 are integrally formed, but can be divided into the lower body 210 and the upper body 220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lower body 210 and the upper body 220 with respect to the rail 100.

하체(210)는 대부분이 하체(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가 하체(210)의 하부로 노출되어 지면과 맞대어지는 제2롤러(211)와 제2롤러(2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회전축(21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회전축(212)은 일단이 제2롤러(211)와 연결되고 타단이 하체(2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제2롤러(211)가 하체(210)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제2롤러(211)는 본체(20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시 제1롤러(140)와 함께 회전하여 본체(200)가 레일(100)을 따라 더욱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롤러(211)가 하나인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제2롤러(211)는 복수개 이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body 21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roller 211 and the second roller 211 which are located inside the lower body 210 and a part of which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10 and abutted against the ground. And a pair of second rotation shafts 212 may be provided. The second rotary shaft 212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ller 211 at one en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body 210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second roller 211 rotates about the lower body 210. The second roller 211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roller 140 when the main body 200 moves along the rail 100 so that the main body 200 moves more easily along the rail 100. Although the second roller 211 is described as being one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second rollers 211 may be provided.

상체(220)는 상체(22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인출홈(221)과 인출홈(221)에서 인출되는 인출부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인출부재(222)는 본체(200)를 이동시킬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체(2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본체(200)를 이동시키지 않을 시에는 인출홈(221)에 내장되고 본체(200)를 이동시킬 시에는 인출홈(221)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출부재(222)의 구성은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upper body 220 may include a lead groove 221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and a lead member 222 drawn out from the lead groove 221. The withdrawing member 222 serves to facilitate the user to move the main body 200 when the main body 200 is moved. When the main body 200 is not moved, the main body 200 is built in the withdrawing slot 221 And may protrude from the lead groove 221 when the main body 200 is moved. The configuration of the drawing member 222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그리고 상체(220)는 상면 타측 즉, 인출홈(2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방지돌기(223)를 구비할 수 있다. 방지돌기(223)는 일반적으로 주차구역에 설치되는 주차턱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체(220)의 상부에 차량(30)을 주차할 시 차량(30)이 상체(2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pper body 220 may have a protrusion protrusion 22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lead groove 221. The prevention protrusion 223 generally functions in the same manner as the park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parking space and prevents the vehicle 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body 220 when the vehicle 30 is parked on the upper body 220 can do.

또한, 상체(220)에는 상체(220)의 상면 길이방향 테두리에 반사시트(224)가 구비될 수 있다. 반사시트(224)는 빛에 반사되는 효과를 가져 야간에 차량(30)의 전조등 빛에 반사되도록 하여 본체(200)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30)의 운전자가 상체(220)의 위치와 폭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주차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220 may be provided with a reflective sheet 224 at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20. The reflective sheet 224 has an effect of reflecting light so that it is reflected by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30 at night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30 to park the main body 200 can detect the position and width of the upper body 220 Thereby making it easier to park the vehicle.

한편, 본체(200)는 이웃하는 또 다른 본체(200)와 마주보는 옆면(230)에 완충부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200)를 이동시킨 후 이동을 종료할 시에는 이웃하는 또 다른 본체(200)와 필연적으로 부딪히게 된다. 이때, 이웃하는 또 다른 본체(200)와 마주보는 옆면(230)에 완충부재(240)를 구비함으로써 이웃하는 또 다른 본체(200)와 부딪힐 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본체(200)에 주차된 차량(30)에 충격이 전달되거나 본체(200)의 손상 등을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body 200 may include a buffer member 240 on a side surface 230 facing another adjacent main body 200. When the main body 200 is moved and then the movement is terminated, it is inevitably collided with another neighboring main body 200. At this time, since the shock absorbing member 24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230 facing the neighboring another main body 200,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neighboring main body 200 hits another neighboring main body 200 is minimized, The impact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30, and the damage to the main body 200 can be reduced.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의 인출부재(22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drawing member 222 of a mobile device 10 for a dual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unit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different part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driving apparatus for a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hous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주차구역을 형성하는 주차구획선(20) 중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주차구획선(21)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100)과, 한 쌍의 레일(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에 이중주차 차량(30)이 주차되며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200)와, 한 쌍의 레일(100)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200)가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공간(300)과, 한 쌍의 레일(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본체(200)가 한 쌍의 레일(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40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a dual parking vehicle moving device 10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 multi-family 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king lot line 20 formed in a long direction to form a parking area, A pair of rails 100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a front parking partition line 21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pair of rails 100 provided in a form to be placed on top of the pair of rails 100, The main body 200 is formed between a pair of rails 100 and move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The main body 2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100, And a bushing 40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rails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main body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rails 100, have.

그리고 인출부재(222)는 인출홈(2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회전축(2221) 및 제3회전축(2221)과 연결되는 제1부재(22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부재(2222)는 제3회전축(2221)을 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인출홈(22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재(2222)에는 일측에 안착홈(2223)이 형성되고 안착홈(2223)의 일측에는 제4회전축(2224)이 구비되며, 제4회전축(2224)에는 제2부재(2225)가 연결될 수 있다. 제2부재(2225)는 제4회전축(2224)을 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안착홈(2223)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2225)에는 손잡이(2226)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2226)는 제1부재(2222)가 인출홈(221)에 위치하고 제2부재(2225)가 안착홈(2223)에 위치할 시 사용자가 제1부재(2222) 및 제2부재(2225)를 각각 인출홈(221)과 안착홈(2223)에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2226)는 제1부재(2222)가 인출홈(221)에 위치하고 제2부재(2225)가 안착홈(2223)에 위치할 시 상체(22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체(220)에 차량(30)을 주차하고자 할 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30)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안착홈(2223)에 손을 넣어 손잡이(2226)를 용이하게 움켜쥘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wing member 222 may include a third rotating shaft 222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rawing groove 221 and a first member 2222 connected to the third rotating shaft 2221. The first member 2222 can be drawn out from the drawing groove 221 by rotating about the third rotating shaft 2221. [ The first member 2222 has a seating groove 2223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fourth rotational shaft 2224 at one side of the seating groove 2223. A second member 2225 is fixed to the fourth rotational axis 2224 Can be connected. The second member 2225 can be drawn out from the seating groove 2223 by rotating about the fourth rotation axis 2224. [ Further, the second member 2225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2226. The handle 2226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rst member 2222 is positioned in the withdrawal groove 221 and the second member 2225 is positioned in the seating groove 2223, Can be easily pulled out from the lead groove 221 and the seating groove 2223, respectively. The handle 2226 is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member 2222 is located in the drawing groove 221 and the second member 2225 is not proj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isor 220 to be positioned in the seating groove 2223, 220 to prevent the vehicle 30 from being disturbed and to prevent the vehicle 30 from being dama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inserts his / her hand into the seating groove 2223 to easily grasp the handle 2226.

한편, 제2부재(2225)의 타면 즉, 안착홈(2223)과 대응되는 면에는 유동방지돌기(2227)가 구비될 수 있다. 유동방지돌기(2227)는 제1부재(2222)가 인출홈(221)에 위치할 시 일단이 지면과 맞대어져 본체(200)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본체(200)를 이동하지 않을 시 본체(20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체(220)에 차량(30)을 주차할 시 차량(30)의 움직임에 의해 본체(20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주차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low preventing protrusion 2227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2225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2223. When the first member 2222 is positioned in the drawing groove 221, one end of the flow prevention protrusion 222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main body 200 and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the main body 200 from moving.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30 is parked on the upper body 220, the main body 20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due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30,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ark the vehicl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체(200)에 차량(30)이 주차된 상태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차량(30)을 직접 밀지 않더라도 차량(30)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여자들이나 노약자들도 차량(30)의 무게, 미세한 경사, 바퀴의 정렬상태 및 차량(30)을 미는 힘 등에 상관없이 차량(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중주차한 차량(30)의 차주도 주차된 차량(30)을 직접 밀지 않으므로 직접 밀을 시 발생할 수 있는 차량(30)의 파손이나 흠집 등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심하고 이중주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ehicle 30 can be moved even if the vehicle 30 is not pushed directly by moving along the rail 100 while the vehicle 30 is parked in the main body 200, The vehicle 30 can be moved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vehicle 30, the fine inclination, the alignment state of the wheels, and the force to push the vehicle 30. [ Also, since the car of the double-parked vehicle 30 does not directly push the parked vehicle 3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or scratches of the vehicle 30 that may occur when the vehicle is directly pressed,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10: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
20: 주차구획선 21: 전방주차구획선
30: 차량 100: 레일
110: 바닥면 120: 측면
130: 삽입홈 140: 제1롤러
150: 제1회전축 200: 본체
210: 하체 211: 제2롤러
212: 제2회전축 220: 상체
221: 인출홈 222: 인출부재
2221: 제3회전축 2222: 제1부재
2223: 안착홈 2224: 제4회전축
2225: 제2부재 2226: 손잡이
2227: 유동방지돌기 223: 방지돌기
224: 반사시트 230: 옆면
240: 완충부재 300: 이동공간
310: 공간표시시트 400: 방지턱
10: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parking lot of apartment
20: parking lot line 21: front parking lot line
30: vehicle 100: rail
110: bottom surface 120: side surface
130: insertion groove 140: first roller
150: first rotating shaft 200:
210: lower body 211: second roller
212: second rotating shaft 220: upper body
221: drawing-out groove 222: drawing member
2221: third rotating shaft 2222: first member
2223: seat groove 2224: fourth rotary shaft
2225: second member 2226: handle
2227: Flow prevention protrusion 223: Protrusion projection
224: reflective sheet 230: side surface
240: buffer member 300: moving space
310: a space display sheet 400:

Claims (2)

공동주택의 주차구역 전방에 구비되는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주차구역을 형성하는 주차구획선 중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주차구획선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에 이중주차 차량이 주차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한 쌍의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공간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한 쌍의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은 지면과 맞대어져 고정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한 쌍의 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면의 상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와 맞대어지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롤러가 상기 한 쌍의 측면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하체와, 상기 하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부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에 이중주차 차량이 주차되는 상체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본체와 마주보는 옆면에 구비되어 이동완료시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본체와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체는 일부가 하체의 하부로 노출되어 지면과 맞대어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롤러가 회전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상체는 상기 상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홈과, 상기 본체를 이동시킬 시 상기 인출홈에서 인출되는 인출부재와, 상기 상체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어 상부에 주차되는 차량이 상기 상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돌기와, 상기 상체의 상면 길이방향 테두리에 부착되어 빛에 반사되는 반사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인출홈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3회전축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인출홈에서 인출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4회전축과, 상기 제4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4회전축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안착홈에서 인출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를 각각 상기 인출홈 및 상기 안착홈에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손잡이와, 상기 제2부재의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인출홈에 위치할 시 일단이 상기 지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되어 미이동시 상기 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
A dual parking vehicle mov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a multi-unit housing provided in front of a parking space of a multi-
The double parking vehicle moving device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of the apartment house includes a pair of rails formed in a long direction and parallel to a front parking space line located forward of the parking space lines forming the parking space,
A pair of rail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the double parking vehicle being parked on the upper part and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A moving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rails to allow the main body to mov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And a pair of rail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rails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rails,
Wherein the rail includes a bottom surface which is held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 pair of side surfaces extending upward in the bottom surface,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pair of side surfaces, A first roller which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oller and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first roller rotates about the pair of side faces And a second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shaft,
The main body includes a lower body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rails, an upper bod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rails, the upper body being parked with a double parking vehicle, And a cushioning member provided on a side surface facing the other body for minimizing an impact with the neighboring body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shaft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roller so as to rotate the second roller,
The upper body is provided with a take-out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 take-out member drawn out from the take-out groove when the body is moved, And a reflective sheet attached to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reflected by the light,
A first member connected to the third rotation shaft and rotated from the third rotation shaft to be drawn out from the drawing groove; and a second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ember, A second member connected to the fourth rotation shaft and rotated from the fourth rotation shaft to be drawn out from the seating groove, and a second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member, A handl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member so as to allow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be easily pulled out from the lead groove and the seating groove, And a flow preventing protrusion provided on one end of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ground and preventing the main body from moving when not moving.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간에는 야간에 상기 이동공간의 존재가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하는 공간표시시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이중주차 차량용 이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ing space is provided with a space display sheet for easily recognizing existence of the moving space at night.

KR1020190036639A 2019-03-29 2019-03-29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parking lot of apartment KR101983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39A KR101983637B1 (en) 2019-03-29 2019-03-29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parking lot of apar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639A KR101983637B1 (en) 2019-03-29 2019-03-29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parking lot of apar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637B1 true KR101983637B1 (en) 2019-05-29

Family

ID=6667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639A KR101983637B1 (en) 2019-03-29 2019-03-29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parking lot of apar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6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325A (en) 2021-12-23 2023-06-30 서아림 Pusher for parking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1635U (en) * 1978-03-24 1979-10-02
KR200272708Y1 (en) * 2002-01-19 2002-04-18 인광기술산업(주) device of electric motor-parking for home use
KR20030029578A (en) * 2003-03-18 2003-04-14 김정학 Parking apparatus for alleyway
KR101456679B1 (en) 2013-07-29 2014-11-04 오문근 Shifter for double parked vehicle
KR20180085902A (en) * 2017-01-20 2018-07-30 (주)미래로중공업 Smart parking system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1635U (en) * 1978-03-24 1979-10-02
KR200272708Y1 (en) * 2002-01-19 2002-04-18 인광기술산업(주) device of electric motor-parking for home use
KR20030029578A (en) * 2003-03-18 2003-04-14 김정학 Parking apparatus for alleyway
KR101456679B1 (en) 2013-07-29 2014-11-04 오문근 Shifter for double parked vehicle
KR20180085902A (en) * 2017-01-20 2018-07-30 (주)미래로중공업 Smart parking system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325A (en) 2021-12-23 2023-06-30 서아림 Pusher for parking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637B1 (en) Double parking vehicle installed in parking lot of apartment
US20150343963A1 (en) Vehicle dashboard provided with a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413270B2 (en) Locking device of sliding drawer
US7108239B2 (en) Container holder
CN206902615U (en) It is a kind of to be automatically prevented from the retrograde device of automobile
CN1882230B (en) Electronic apparatus
US5255770A (en) Coin handling system
CN102294972B (en) For the cup holder of vehicle
US6012252A (en) Turning blocking device
JP4130293B2 (en) Platform step device
US5217088A (en) Satellite banking unit for drive-through bank
CN100448766C (en) Driving unit of storage unit in automatic bill receiving and storaging unit
JP4724534B2 (en) Car ticket gate
JP5268687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EP1122809A1 (en) Antennas placed in strap handles for hands-free remote entry system
KR101976326B1 (en) Blocking device and safty device of parking system using this
CN1573821B (en) Paper money discriminating device
JP2515144Y2 (en) Shut-off gate device
CN219931789U (en) Stereo garage with prevent scraping function
KR200259656Y1 (en) An apparatus for bring out a ticket for vehicle
JPH07306961A (en) Automatic charge reception device
JP2001323679A (en) Vehicle restraining device in unmanned parking lot
JP3986706B2 (en) Cup holder device
JP3607527B2 (en) Front panel device for in-vehicle electronic equipment
JP2001323681A (en) Vehicle restraining device in unmanned parking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