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577B1 -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577B1
KR101983577B1 KR1020170097529A KR20170097529A KR101983577B1 KR 101983577 B1 KR101983577 B1 KR 101983577B1 KR 1020170097529 A KR1020170097529 A KR 1020170097529A KR 20170097529 A KR20170097529 A KR 20170097529A KR 101983577 B1 KR101983577 B1 KR 101983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emi
water
concrete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222A (ko
Inventor
박현상
신창민
이태희
양성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09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5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6Earth-fill dams; Rock-fill dams

Abstract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곡선투과형 사방댐은 계류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따라 배열되는 본댐, 중간부 및 물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댐은 바닥에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기초부와, 상기 하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일측에,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반수면부와, 상기 상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타측에,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대수면부와,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 사이에 채움석이 충진되는 채움부와, 상기 채움부 상에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천단부와, 상기 반수면부 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상기 중간부의 복수의 중간보와 연결됨과 아울러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반수면 지주대, 및 상기 대수면부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대수면 지주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댐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상기 반수면부, 상기 대수면부 및 상기 채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부, 상기 중간보, 상기 반수면 지주대, 상기 대수면 지주대 및 상기 천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된다.

Description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CURVED PERMEABILITY TYPE EROISION CONTROL D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댐의 대수면과 반수면이 갖는 투수성으로 인해 대수면 측에서 유수의 저류를 근원적으로 방지하면서 유수의 정화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방댐은 유역의 상류지역 또는 단지개발에 따른 토사유출과 재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시공하여 유송된 모래와 석력 등을 저류 또는 조절하기 위한 것인데, 그 설치목적은 황폐계류에 토석력과 산사태로 인한 계류의 침식을 방지하고 산각을 고정하여 계류의 안정으로 도모하기 위함이다.
즉, 이러한 사방댐은 석력, 토사의 이동이 심한 곳에 만들어 상류쪽에 토석력을 퇴적시켜서 하상을 완만한 구배로 안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사방댐은 산사태 및 상습수해 지역에 홍수로 인한 산림재해를 예방하여 하류의 주민생활 보호와 농경지의 침식을 방지하고, 국지성 집중호우를 대비하며,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산림 유역의 수원함양, 수질정화 및 환경 기능 강화, 산림자원의 증식을 꾀하는 것이다.
사방댐은 통상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본댐과 물방석으로 이용되는 물받이부를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시공되거나, 본댐을 자연석에 의해 축조하면서, 자연석 사이에 뒷채움 콘크리트 내지 모르타르(mortar)를 충진하여 시공된다.
이와 같이 시공된 사방댐의 대수면과 반수면은 전혀 유수를 통과시키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대수면 측의 물은 반수면 측으로 흐르지 않고 저류된다. 최근의 사방댐에서는 수서 생물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대수면과 반수면을 관통하는 소정 사이즈의 생태 통로가 마련되어 있어, 저류된 물이 이를 통해 반수면 측으로 유출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과도한 강우 혹은 홍수 등으로 인해 상류측으로부터 유수를 따라 이동된 석력, 토사 및 나무 등의 식생이 생태 통로를 차단시켜, 대수면 측의 물이 저류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발생한다.
저류된 물은 대수면 측의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습한 상태로 방치하여 콘크리트 등을 손상시키고, 또한 저류된 물이 유출되지 않음으로 인한 악취, 부패 등의 환경 오염이 유발된다.
더욱이, 자연석과 뒷채움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조합한 사방댐의 경우,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른 이들 계면 간의 응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되고, 전체를 콘크리트로 시공한 사방댐의 경우, 자연 경관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댐 형태가 획일적이고 단순하여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댐의 대수면과 반수면이 갖는 투수성으로 인해 대수면 측에서 유수의 저류를 근원적으로 방지하면서 유수의 정화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곡선투과형 사방댐은 계류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따라 배열되는 본댐, 중간부 및 물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댐은 바닥에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기초부와, 상기 하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일측에,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반수면부와, 상기 상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타측에,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대수면부와,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 사이에 채움석이 충진되는 채움부와, 상기 채움부 상에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천단부와, 상기 반수면부 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상기 중간부의 복수의 중간보와 연결됨과 아울러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반수면 지주대, 및 상기 대수면부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대수면 지주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댐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상기 반수면부, 상기 대수면부 및 상기 채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부, 상기 중간보, 상기 반수면 지주대, 상기 대수면 지주대 및 상기 천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수면부의 야면석은 공극이 가로로 연통되도록 켜쌓기로 시공되고, 상기 대수면부의 야면석은 공극이 파상으로 불규칙하게 연통되도록 골쌓기로 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움부는 상기 야면석보다 작은 사이즈의 돌들로 적층되고, 상기 돌들 사이에 상기 돌보다 작은 사이즈의 자갈과 율석으로 채울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댐은 상기 반수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반수면부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며, 상기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어깨측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대수면부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며,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어깨측 대수면부와,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 사이에 채움석이 충진되는 어깨측 채움부와, 상기 천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천단부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며, 상기 어깨측 채움부 상에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어깨부와, 상기 어깨측 반수면부 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상기 중간부의 어깨측 중간보와 연결되는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와, 상기 어깨측 대수면부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부는 상기 어깨측 채움부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본댐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상기 어깨측 반수면부, 상기 어깨측 대수면부 및 상기 어깨측 채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부, 상기 어깨측 중간보, 상기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 상기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 및 상기 어깨부가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어깨측 채움부의 채움석과 연결되는 식생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수면 지주대 사이에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를 관통하는 생태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중간부보다 하류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복수의 끝돌림보와, 상기 끝돌림보를 지지하도록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끝돌림 바닥부와, 상기 복수의 끝돌림보와 상기 복수의 중간보 사이에, 상기 중간보를 최저점으로 상기 중간보로부터 상기 끝돌림보를 향하여 곡선 형태의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배열되는 물받이석, 및 상기 물받이석의 하부에 배치되는 잡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반수면부의 야면석 사이의 공극과 상기 물받이석의 공극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잡석은 상기 기초부 및 상기 끝돌림 바닥부의 상면 레벨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댐, 상기 중간부 및 상기 물받이부의 양측에 메쌓기로 시공되어 상기 사방댐 주위의 자연석 또는 흙과 접촉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측벽 기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끝돌림보, 상기 끝돌림 바닥부 및 상기 측벽 기초부는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끝돌림보에 인접한 상기 물받이석은 다층으로 구성되어 상기 물받이석 사이의 공극은 상기 끝돌림보 사이에 노출되며, 상기 물받이석은 상기 끝돌림보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물받이석이 접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상기 반수면부의 야면석과 상기 물받이석이 배열되고, 상기 반수면부. 상기 대수면부 및 상기 물받이석의 공극은 자갈과 율석으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계류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따라 배열되는 본댐, 중간부 및 물받이부를 포함한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은 바닥에 콘크리트로 기초부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하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일측 끝단에 중간부의 복수의 중간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하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일측에,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에 의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반수면부를 시공함과 아울러서, 상기 상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타측에, 메쌓기에 의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대수면부를 시공하고, 상기 야면석을 적층하는 동안,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 사이에, 채움부를 형성하기 위한 채움석으로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반수면부 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상기 중간부의 복수의 중간보와 연결됨과 아울러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반수면 지주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대수면부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대수면 지주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채움부 상에 콘크리트로 천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댐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상기 반수면부, 상기 대수면부 및 상기 채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부, 상기 중간보, 상기 반수면 지주대, 상기 대수면 지주대 및 상기 천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댐의 대수면과 반수면이 공극 특성을 갖는 야면석으로 시공됨으로써, 양쪽 면이 투수성을 가지게 되어, 대수면 측에서의 유수의 저류를 근원적으로 방지하면서 정화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대수면과 반수면 측의 야면석 상에 기초부, 중간보, 천단부와 콘크리트 일체로 형성되는 지주대가 설치됨으로써, 사방댐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있어서 대수면부 측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있어서, 반수면 지주대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있어서, 반수면 지주대 사이의 반수면부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있어서, 어깨부 측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위치 관계의 표현, 예컨대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재된 것이고,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을 역으로 보는 경우에는, 명세서에 기재된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있어서 대수면부 측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있어서, 반수면 지주대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있어서, 반수면 지주대 사이의 반수면부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곡선 투과형 사방댐(10)은 계류 방향(W)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따라 배열되는 본댐(100), 중간부(200), 물받이부(300) 및 이들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400)을 포함한다.
본댐(100)은 바닥에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기초부(102), 계류 방향(W)의 하류에 위치된 기초부(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반수면부(104), 계류 방향(W)의 상류에 위치된 기초부(102)의 타측에 설치되는 대수면부(106), 반수면부(104)와 대수면부(106) 사이의 채움부(140), 채움부(140) 상에 축설되는 천단부(108), 반수면부(104) 및 대수면부(106) 상에 각각 이들의 외면 형상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반수면 지주대(110) 및 대수면 지주대(112)를 포함한다.
반수면부(104)는 중간부(200)을 최저점을 채택하여, 중간부(200)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오목 형상의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로 시공된다. 이에 따라, 반수면부(104)는 공극(116; 줄눈)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114)을 구비한다. 대수면부(106)도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134)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130)을 구비한다.
반수면부(104)의 야면석(114)은 공극(116)이 가로로 연통되도록 켜쌓기로 시공되고, 대수면부(106)의 야면석(130)은 공극(134)이 파상(波狀)으로 불규칙하게 연통되도록 골쌓기로 시공될 수 있다. 골쌓기는 켜쌓기에 비해, 대수면부(106)에 인가되는 수압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가짐으로써, 다량의 유수가 유입되더라도 본댐(10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반수면부(104) 및 대수면부(106)의 공극(116, 134)은 야면석(114, 130)의 적층 구조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자갈과 율석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공극(116, 134)은 현지 식물의 식생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할수록 사방댐(10)이 주변 환경과의 자연 친화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채움부(140)는 반수면부(104)와 대수면부(106) 사이에 채움석으로 충진되고, 채움부(14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면석(114, 130)보다 작은 사이즈의 돌들과 함께, 이들 사이에 돌보다 작은 사이즈의 자갈과 율석으로 채워질 수 있다.
천단부(108)는 채움부(140) 상에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복수의 반수면 지주대(110)는 반수면부(104) 상에 곡선 형태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기초부(102) 상에 위치된 중간부(200)의 복수의 중간보(202)와 연결된다. 복수의 대수면 지주대(112)는 대수면부(106)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반수면 및 대수면 지주대(110, 112)는 대수면부(106)과 반수면부(104)의 부력을 억제함과 동시에, 채움부(140)의 채움석에 대한 압력을 보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본댐(100)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전술한 반수면부(104), 대수면부(106) 및 채움부(140)을 둘러싸도록, 기초부(102), 중간보(202), 반수면 지주대(110), 대수면 지주대(112) 및 천단부(108)이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된다.
본댐(100)은 반수면 지주대(110) 사이에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를 관통하여 물받이부(300)의 생태로(206)와 연결되는 생태 통로(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댐(100)은 반수면부(104) 및 대수면부(106)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반수면부(104) 및 대수면부(106)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는 어깨측 반수면부(124)와 어깨측 대수면부(128), 이들 사이의 기초부(102) 상에 위치되는 어깨측 채움부(140), 천단부(108)로부터 연장되어 이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는 어깨부(118), 중간부(200)의 어깨측 중간보(204)와 연결되는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120), 및 어깨측 대수면부(128) 상에 배치되는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깨측 반수면부(124)는 오목 형상의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반수면부(104)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로 켜쌓기로 시공되어 반수면부(104)의 공극(116)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깨측 대수면부(128)는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할 수 있으며, 대수면부(106)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로 골쌓기로 시공되어 대수면부(106)의 공극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깨측 채움부(140)은 반수면부(104)와 대수면부(106) 사이에 채움부(140)의 채움석으로 충진될 수 있으며, 어깨측 채움부(14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면석(114, 130)보다 작은 사이즈의 돌들과 함께, 이들 사이에 돌보다 작은 사이즈의 자갈과 율석으로 채워질 수 있다.
어깨부(118)는 천단부(108)의 설치시에 시공되어,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어깨부(118)가 천단부(108)보다 높은 레벨로 위치되어, 유수가 월류하는 경우에 유수는 가급적 천단부(108)로 가이드되도록 한다. 또한, 어깨부(11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측 채움부(140)의 채움석과 연결되는 식생 공간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있어서, 어깨부 측의 단면도이다. 식생 공간부(126)이 채움석을 통해 투수성을 확보하므로, 식물이 식생 공간부(126)에 의해 저장된 물로 인해 손상되지 않고 원활한 생육이 가능하다.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120)는 어깨측 반수면부(124)의 오목 형상의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고,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122)는 어깨측 대수면부(128)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깨 지주대(120, 122)는 어깨측 대수면부(128)과 어깨측 반수면부(124)의 부력을 억제함과 동시에, 채움부(140)의 채움석에 대한 압력을 보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본댐(100)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어깨측 반수면부(124), 어깨측 대수면부(128) 및 어깨측 채움부(140)을 둘러싸도록, 기초부(102), 어깨측 중간보(204),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120),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122) 및 어깨부(118)이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될 수있다.
한편, 물받이부(300)는 계류 방향(W)으로 볼 때, 중간부(200)보다 하류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끝돌림보(308), 끝돌림보(308)를 지지하는 끝돌림 바닥부(304), 복수의 끝돌림보(308)와 복수의 중간보(202) 사이에 위치되는 물받이석(302), 및 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잡석(310)을 포함할 수 있다.
끝돌림보(308) 및 끝돌림 바닥부(304)는 콘크리트로 타설되고, 물받이석(302)는 중간보(202)를 최저점으로 중간보(202)로부터 끝돌림보(308)를 향하여 곡선 형태의 메쌓기, 예컨대 켜쌓기 등으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물받이석(302)은 중간보(202) 부근에 위치된 반수면부(104)의 일부 곡선과 함께, 월류하는 유수의 낙하력과 흐름을 완화시키는 물방석으로 기능하도록, 반수면부(104)과 접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받이석(302)은 반수면부(104)와 접하는 부분에서, 반수면부(104)의 야면석(114)의 상면 레벨에 정합하여 배열되고, 반수면부(104)와 마찬가지로 켜쌓기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물받이석(302)의 공극은 유수의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자갈과 율석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끝돌림보(308)에 인접한 물받이석(302)는 다층으로 구성되어, 본댐(100)을 투과한 유수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물받이석(302) 사이의 공극은 끝돌림보 사이에 노출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물받이석(302)은 유수에 의해서도 잡석(310) 상에 안정되게 고착하도록 끝돌림보(308)에 맞물려 고정되어, 고정력이 증대된다.
잡석(310)은 도 4 및 5에서와 같이, 기초부(102) 및 끝돌림 바닥부(304)의 상면 레벨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수면부(104)의 야면석(114) 사이의 공극(116)과 물받이석(302)의 공극이 서로 연통하여 배수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물받이석(302)이 중간보(202)와 끝돌림보(308)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배열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측벽(400)은 본댐(100), 중간부(200) 및 물받이부(300)의 양측에 메쌓기, 예를 들면 켜쌓기로 시공되어 사방댐(10) 주위의 자연석 또는 흙과 접촉하는 야면석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방댐(10) 주위의 흙 등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수가 측벽(400)의 공극을 통해 하류로 배출될 수 있으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어 건강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측벽(400)의 하부에는 측벽 기초부(306)이 설치되어 측벽(400)을 지지하고, 측벽 기초부(306)은 예컨대, 콘크리트로 타설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끝돌림보(308), 끝돌림 바닥부(304) 및 측벽 기초부(306)은 물받이부(3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댐(100)의 대수면부(106)와 반수면부(104)가 공극(116, 134)을 갖는 야면석(114, 130)으로 시공됨으로써, 양쪽 면이 투수성을 가지게 되어, 상류측에서의 유수의 저류를 근원적으로 방지하면서 유수의 정화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대수면과 반수면 측의 야면석(114, 130) 상에 기초부(102), 중간보(202), 천단부(108)와 콘크리트 일체로 형성되는 지주대(110, 112)가 설치됨으로써, 사방댐(1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수면부(106)과 반수면부(104)가 야면석(114)으로 구성되어, 주변 환경과 자연 친화적이다. 반수면부(104)의 야면석(114)이 오목 형상의 곡선 형태(외씨 버선 형상)로 적석되어 완만한 방수로가 형성되므로, 본댐(100)을 투과한 유수가 낙하하지 않고 완만한 방수로를 따라 흐른다. 또한, 곡선 형태의 반수면부(104)와 동일한 레벨로 연결된 물받이석(302)의 조합에 의해 물방석은 방수로에서 유입된 유수를 저치시켜 유수의 낙하력과 흐름을 더 완화시킨다. 이에 따라, 종래 사방댐에서의 직선 형태의 반수면부에 비해 본댐(100)을 투과한 유수가 반수면부(104) 측에서 낙하되지 않아 반수면부(104) 및 물받이석(302)의 세굴을 방지하고, 본댐(1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된 종래 사방댐에서의 직선 형태보다 중압적인 이미지가 탈피되어, 곡선 형태의 대수면부(104)를 가진 사방댐(10)은 직선 형태에 비해 개선된 경관미를 추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야면석(114. 130) 사이의 공극(116, 134)에 자갈과 율석이 채워짐으로써, 모르타르 채움에 비해 온도 차에 따른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 본댐(100)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유수의 정화 기능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곡선투과형 사방댐(10)은 계류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따라 배열되는 본댐(100), 중간부(200), 물받이부(300) 및 측벽(400)으로 구성되며, 사방댐(10)의 시공 방법은 개략적으로 본댐(100)과 중간부(200), 물받이부(300) 및 측벽(400) 순으로 시공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터잡기 시공이 완료된 바닥에 콘크리트로 기초부(102)를 구축하고, 계류 방향(W)의 하류에 위치된 기초부(102)의 일측 끝단에 중간부(200)의 복수의 중간보(202) 및 어깨측 중간보(204)를 콘크리트로 타설한다.
기초부(102) 및 중간보(202, 204)는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로 설치되기 위해, 기초부(102)와 중간보(202, 204)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된 철근을 포함하여 콘크리트 타설될 수 있다.
중간보(202), 어깨측 중간보(204) 및 계류 방향(W)의 상류에 위치된 기초부(102)의 타측 끝단에는 지주대(110, 112, 120, 122)와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형성되기 위한 연결 철근(142, 208)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류에 위치된 기초부(102)의 일측에, 중간부(200)을 최저점으로 이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오목 형상의 곡선 형태(외씨 버선 형상)로 적석되는 메쌓기에 의해, 반수면부(104) 및 어깨측 반수면부(124)가 형성될 부분에 야면석(114)을 적층하고, 적층된 야면석(114) 사이에 공극(116)이 생성된다. 야면석(114)의 적층은 고임석(136)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수면부(104)의 야면석(114)은 공극이 가로로 연통되도록 켜쌓기로 시공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류에 위치된 기초부의 타측에, 메쌓기에 의해, 대수면부(106) 및 어깨측 대수면부(128)가 형성될 부분에 야면석(130)을 적층하고, 적층된 야면석(130) 사이에 공극(134)이 생성된다. 이의 적층도 고임석(138)을 이용할 수 있으며, 대수면부(106)의 야면석(130)은 수압 하중을 양호하게 견디기 위해, 공극(134)이 파상으로 불규칙하게 연통되도록 골쌓기로 시공될 수 있다.
반수면부(104) 및 대수면부(106) 측에 형성되는 공극(116, 134)은 자갈과 율석으로 채워질 수 있다.
야면석(114, 130)을 적층하는 동안, 대수면부(106)와 반수면부(104)가 형성될 부분의 사이에 채움석을 야면석(114, 130)의 적층 높이에 맞춰 충진한다. 채움석은 야면석(114, 130)보다 작은 사이즈의 돌들과 이보다 작은 사이즈의 자갈과 율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돌을 적층하면서 이들 사이에 자갈과 율석을 채운다.
한편, 야면석(114, 130)의 적층 및 채움석의 충진 동안에, 반수면 지주대(110)가 설치될 개소 사이에 반수면부(104)와 대수면부(106)의 예정 위치를 관통하는 생태 통로(132)를 설치한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야면석(114, 130)과 채움석을 적층, 충진한 결과, 기초부(102)의 일측에 곡선 형태의 야면석(114)을 구비하는 반수면부(104) 및 이로부터 연장되어 반수면부(104)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는 어깨측 반수면부(124)가 시공된다. 또한, 기초부(102)의 타측에 야면석(130)을 구비하는 대수면부(106) 및 이로부터 연장되어 대수면부(106)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는 어깨측 대수면부(128)가 시공된다. 아울러, 반수면부(104) 및 대수면부(106)이 설계 높이로 설치되면, 이들 사이에는 채움석으로 충진된 채움부(140) 및 이로부터 연장되어 높은 레벨에 위치되는 어깨측 채움부(140)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반수면부(104) 및 어깨측 반수면부(124) 상에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연결 철근(208)을 통해, 복수의 중간보(202) 및 어깨측 중간보(204)와 연결됨과 아울러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반수면 지주대(110) 및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120)를 설치한다. 이로 인하여, 각 지주대(110, 112, 120, 122)는 각 중간보(202)와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대수면부(106) 및 어깨측 대수면부(128)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연결 철근(142)을 통해, 기초부(102)와 연결됨과 아울러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대수면 지주대(112) 및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122)를 설치한다. 이로 인하여, 각 지주대(110, 112, 120, 122)는 기초부(102)와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채움부(140) 및 어깨측 채움부(140) 상에 콘크리트로 천단부(108) 및 이로부터 연장되어 높은 레벨에 배치되는 어깨부(118)을 형성한다. 천단부(108)와 어깨부(118)는 해당 지주대(110, 112, 120, 122)와 연결 철근 등을 통해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어깨부(118)에 어깨측 채움부(140)의 채움석과 연결되는 식생 공간부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중간부(200)과 이격되도록 중간부(200)보다 하류 측에 끝돌림 바닥부(304)를 콘크리트로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본댐(100), 중간부(200) 및 끝돌림 바닥부(304)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측벽 기초부(306)를 콘크리트로 타설하며, 측벽 기초부(306)는 끝돌림 바닥부(304)와 서로 연결되어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끝돌림 바닥부(304)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끝돌림보(308)를 콘크리트로 타설한다. 끝돌림보(308)는 측벽 기초부(306)에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된다.
계속해서, 복수의 중간보(202)와 끝돌림 바닥부(304) 사이에 잡석(310)을 배치시킨다. 잡석(310)은 기초부(102) 및 끝돌림 바닥부(304)의 상면 레벨과 동일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반수면부(104)의 야면석(114) 사이의 공극(116)과 물받이석(302)의 공극이 서로 연통된다.
이어서, 중간보(202)를 최저점으로 중간보로부터 끝돌림보(308)를 향하는 곡선 형태의 메쌓기, 예컨대 켜쌓기 등에 의해, 공극을 갖도록 배열되는 물받이석(302)을 잡석(310) 상에 시공한다.
이 경우에, 끝돌림보(308)에 인접한 물받이석(302)은 다층으로 구성되어 물받이석(302) 사이의 공극은 끝돌림보(308) 사이에 노출되도록 시공되며, 물받이석(302)는 끝돌림보(308)에 맞물려 고정된다.
또한, 물받이석(302)은 반수면부(104)와 물받이석(302)이 접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반수면부(104)의 야면석(114)에 정합되어 배열되고, 물받이석(302)의 공극은 자갈과 율석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댐(100), 중간부(200) 및 물받이석(302)의 양측인 측벽 기초부(306) 상에, 메쌓기, 예를 들면 켜쌓기 등에 의해, 사방댐(10) 주위의 자연석 또는 흙과 접촉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측벽(400)을 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수면과 반수면 측의 야면석(114, 130) 상에 기초부(102), 중간보(202), 천단부(108)와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형성되는 지주대(110, 112, 120, 122)가 설치됨으로써, 본댐(100)의 대수면부(106)와 반수면부(104)가 투수성을 갖는 야면석(114, 130)에 의한 메쌓기로 시공되는 경우에 유발되는 구조적인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연석과 뒷채움, 콘크리트 내지 모르타르를 조합하거나 콘크리트로 시공된 사방댐보다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곡선 형태의 야면석과 지주대를 구비한 사방댐(10)은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자연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곡선투과형 사방댐 100: 본댐
102: 기초부 104: 반수면부
106: 대수면부 108: 천단부
110: 반수면 지주대 112: 대수면 지주대
114: 야면석 116: 공극
118: 어깨부 120: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
122: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 124: 어깨측 반수면부
126: 식생 공간부 128: 어깨측 대수면부
130: 야면석 132: 생태 통로
134: 공극 140: 채움부
200: 중간부 202: 중간보
204: 어깨측 중간보 300: 물받이부
302: 물받이석 304: 끝돌림 바닥부
306: 측벽 기초부 308: 끝돌림보
400: 측벽

Claims (20)

  1. 계류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따라 배열되는 본댐, 중간부 및 물받이부를 포함한 곡선투과형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본댐은
    바닥에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기초부;
    상기 하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일측에,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반수면부;
    상기 상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타측에,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대수면부;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 사이에 채움석이 충진되는 채움부;
    상기 채움부 상에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천단부;
    상기 반수면부 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상기 중간부의 복수의 중간보와 연결됨과 아울러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반수면 지주대; 및
    상기 대수면부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대수면 지주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댐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상기 반수면부, 상기 대수면부 및 상기 채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부, 상기 중간보, 상기 반수면 지주대, 상기 대수면 지주대 및 상기 천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중간부보다 하류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복수의 끝돌림보;
    상기 끝돌림보를 지지하도록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끝돌림 바닥부;
    상기 복수의 끝돌림보와 상기 복수의 중간보 사이에, 상기 중간보를 최저점으로 상기 중간보로부터 상기 끝돌림보를 향하여 곡선 형태의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배열되는 물받이석; 및
    상기 물받이석의 하부에 배치되는 잡석을 포함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수면부의 야면석은 공극이 가로로 연통되도록 켜쌓기로 시공되고, 상기 대수면부의 야면석은 공극이 파상(波狀)으로 불규칙하게 연통되도록 골쌓기로 시공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부는 상기 야면석보다 작은 사이즈의 돌들로 적층되고, 상기 돌들 사이에 상기 돌보다 작은 사이즈의 자갈과 율석으로 채우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댐은,
    상기 반수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반수면부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며, 상기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어깨측 반수면부;
    상기 대수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대수면부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며, 메쌓기로 시공되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어깨측 대수면부;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 사이에 채움석이 충진되는 어깨측 채움부;
    상기 천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천단부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며, 상기 어깨측 채움부 상에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어깨부;
    상기 어깨측 반수면부 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상기 중간부의 어깨측 중간보와 연결되는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
    상기 어깨측 대수면부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부는 상기 어깨측 채움부의 하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본댐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상기 어깨측 반수면부, 상기 어깨측 대수면부 및 상기 어깨측 채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부, 상기 어깨측 중간보, 상기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 상기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 및 상기 어깨부가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어깨측 채움부의 채움석과 연결되는 식생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수면 지주대 사이에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를 관통하는 생태 통로를 더 포함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수면부의 야면석 사이의 공극과 상기 물받이석의 공극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잡석은 상기 기초부 및 상기 끝돌림 바닥부의 상면 레벨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댐, 상기 중간부 및 상기 물받이부의 양측에 메쌓기로 시공되어 상기 사방댐 주위의 자연석 또는 흙과 접촉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측벽 기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끝돌림보, 상기 끝돌림 바닥부 및 상기 측벽 기초부는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돌림보에 인접한 상기 물받이석은 다층으로 구성되어 상기 물받이석 사이의 공극은 상기 끝돌림보 사이에 노출되며, 상기 물받이석은 상기 끝돌림보에 맞물려 고정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물받이석이 접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상기 반수면부의 야면석과 상기 물받이석이 배열되고, 상기 반수면부. 상기 대수면부 및 상기 물받이석의 공극은 자갈과 율석으로 채워지는 곡선투과형 사방댐.
  11. 계류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따라 배열되는 본댐, 중간부 및 물받이부를 포함한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바닥에 콘크리트로 기초부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하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일측 끝단에 중간부의 복수의 중간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
    상기 하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일측에,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에 의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반수면부를 시공함과 아울러서, 상기 상류에 위치된 상기 기초부의 타측에, 메쌓기에 의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대수면부를 시공하고, 상기 야면석을 적층하는 동안,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 사이에, 채움부를 형성하기 위한 채움석으로 충진하는 단계;
    상기 반수면부 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상기 중간부의 복수의 중간보와 연결됨과 아울러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반수면 지주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대수면부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대수면 지주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채움부 상에 콘크리트로 천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댐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상기 반수면부, 상기 대수면부 및 상기 채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부, 상기 중간보, 상기 반수면 지주대, 상기 대수면 지주대 및 상기 천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천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중간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중간부보다 하류 측에 끝돌림 바닥부를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끝돌림 바닥부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끝돌림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간보와 상기 끝돌림 바닥부 사이에 잡석을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간보를 최저점으로 상기 중간보로부터 상기 끝돌림보를 향하는 곡선 형태의 메쌓기에 의해, 공극을 갖도록 배열되는 물받이석을 상기 잡석 상에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수면부의 야면석은 공극이 가로로 연통되도록 켜쌓기로 시공되고, 상기 대수면부의 야면석은 공극이 파상으로 불규칙하게 연통되도록 골쌓기로 시공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부는 상기 야면석보다 작은 사이즈의 돌들로 적층되고, 상기 돌들 사이에 상기 돌보다 작은 사이즈의 자갈과 율석으로 채우는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복수의 중간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 동안에, 상기 기초부 상에 상기 중간부의 어깨측 중간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수면부 및 상기 대수면부를 시공하고, 상기 채움부를 형성하기 위한 채움석으로 충진하는 단계 동안에, 상기 반수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반수면부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며, 상기 곡선 형태로 적석되는 메쌓기에 의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어깨측 반수면부를 시공함과 아울러서, 상기 대수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대수면부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며, 메쌓기에 의해, 공극을 갖도록 적층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어깨측 대수면부를 시공하고,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 사이에, 어깨측 채움부를 형성하기 위한 채움석을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수면 지주대 및 상기 복수의 대수면 지주대를 설치하는 단계 동안에, 상기 어깨측 반수면부 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콘크리트로 타설되며, 상기 중간부의 어깨측 중간보와 연결되는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어깨측 대수면부 상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천단부를 형성하는 단계 동안에, 상기 천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천단부보다 높은 레벨로 배열되며, 상기 어깨측 채움부 상에 콘크리트로 어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댐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 상기 어깨측 반수면부, 상기 어깨측 대수면부 및 상기 어깨측 채움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부, 상기 어깨측 중간보, 상기 반수면측 어깨 지주대, 상기 대수면측 어깨 지주대 및 상기 어깨부가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는 상기 어깨측 채움부의 채움석과 연결되는 식생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수면 지주대 사이에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대수면부를 관통하는 생태 통로를 더 포함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수면부의 야면석 사이의 공극과 상기 물받이석의 공극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잡석은 상기 기초부 및 상기 끝돌림 바닥부의 상면 레벨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돌림 바닥부를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단계 동안에, 상기 본댐, 상기 중간부 및 상기 물받이부의 양측에 콘크리트로 측벽 기초부를 타설하는 단계; 및
    메쌓기에 의해, 상기 사방댐 주위의 자연석 또는 흙과 접촉하는 야면석을 구비하는 측벽을 상기 측벽 기초부 상에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끝돌림보, 상기 끝돌림 바닥부 및 상기 측벽 기초부는 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일체 구조로 설치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돌림보에 인접한 상기 물받이석은 다층으로 구성되어 상기 물받이석 사이의 공극은 상기 끝돌림보 사이에 노출되도록 시공되며, 상기 물받이석은 상기 끝돌림보에 맞물려 고정되는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수면부와 상기 물받이석이 접하는 부분에서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상기 반수면부의 야면석과 상기 물받이석이 배열되고, 상기 반수면부, 상기 대수면부 및 상기 물받이석의 공극은 자갈과 율석으로 채워지는 곡선투과형 사방댐의 시공 방법.
KR1020170097529A 2017-08-01 2017-08-01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 KR101983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29A KR101983577B1 (ko) 2017-08-01 2017-08-01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29A KR101983577B1 (ko) 2017-08-01 2017-08-01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222A KR20190013222A (ko) 2019-02-11
KR101983577B1 true KR101983577B1 (ko) 2019-06-03

Family

ID=6537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529A KR101983577B1 (ko) 2017-08-01 2017-08-01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196A (ko) * 2019-08-07 2021-02-17 신은영 측벽일체식 사방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425A (ja) * 2001-04-27 2002-11-15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透過型砂防ダム
KR101001342B1 (ko) * 2010-04-20 2010-12-14 경상북도 친환경 사방댐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425A (ja) * 2001-04-27 2002-11-15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透過型砂防ダム
KR101001342B1 (ko) * 2010-04-20 2010-12-14 경상북도 친환경 사방댐 설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196A (ko) * 2019-08-07 2021-02-17 신은영 측벽일체식 사방댐
KR102351049B1 (ko) * 2019-08-07 2022-01-12 신은영 측벽일체식 사방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222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1960B2 (en) Methods and apparatus of building construction resisting earthquake and flood damage
JP4210312B2 (ja) 建築物
KR101768016B1 (ko)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사방시설
KR101983577B1 (ko) 곡선투과형 사방댐 및 그 시공 방법
GB2501123A (en) Submerged foundation with ballast
Anderson Amphibious Architecture Living with a Rising Bay
WO1996025561A1 (fr) Structure souple de pose sur fond sous-marin et procede de mise en place
JP4410572B2 (ja) 埋立用護岸の構築方法
JP4315620B2 (ja) 管理型廃棄物埋立護岸の遮水処理方法
KR100737331B1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JP2007247151A (ja) 建物基礎および建物基礎工法
GB2300009A (en) Foundations for poor soils
JP2017082440A (ja) 堰堤の施工方法
CN213896975U (zh) 一种多功能防洪墙结构
JP5620850B2 (ja) 雨水等貯留浸透設備
JP2012237092A (ja) 建築物
GB2477163A (en) Flood-resistant building having a floating caisson
JPS61134433A (ja) 護岸工法
JP2006274701A (ja) 雨水貯留浸透槽
JP3870371B2 (ja) 浮体式免震構造
JP4720429B2 (ja) 耐震性に優れた管の埋設方法
JPH02112527A (ja) 液状化しやすい砂地盤における地中構造物の浮上防止工法
JP2506050B2 (ja) アスファルトマスチック層の施工法
KR101536082B1 (ko) 수중 구조물 및 수중 구조물의 설치 방법
JP2009052217A (ja) 護岸構造物の基礎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