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528B1 - 감소된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감소된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528B1
KR101983528B1 KR1020187031226A KR20187031226A KR101983528B1 KR 101983528 B1 KR101983528 B1 KR 101983528B1 KR 1020187031226 A KR1020187031226 A KR 1020187031226A KR 20187031226 A KR20187031226 A KR 20187031226A KR 101983528 B1 KR101983528 B1 KR 10198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tact lens
silicone hydrogel
vinyl
hydroge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714A (ko
Inventor
폴 리차드슨
넨시 제이 키어
신펑 시
제임스 문
Original Assignee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4853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835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filed Critical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18012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4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composed of parts with dissimilar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낮은 이오노플럭스 및 낮은 증발률을 갖는 습윤가능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전방 및 후방 렌즈-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금형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되며, 렌즈-형성 표면 중 하나는 다른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높은 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감소된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전형적으로 콘택트 렌즈의 전방 및 후방 표면을 형성하는 콘택트 렌즈 금형 내에서 1종 이상의 실리콘-함유 단량체와 1종 이상의 친수성-함유 단량체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중합 이후, 렌즈를 금형으로부터 꺼내고, 수화시키고 렌즈로부터 비반응성 물질을 제거하도록 가공한다. 콘택트 렌즈 표면의 친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렌즈를 추가로 가공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콘택트 렌즈의 전방 (즉, 뒤쪽) 및 후방 (즉, 앞쪽) 표면은 동일한 물질 성질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두 표면은 매우 상이한 환경에 노출된다. 렌즈의 전방 표면은 공기-눈물 계면에 노출되어, 히드로겔 렌즈 내에 있는 물이 증발되기 쉽다. 렌즈의 후방 표면은 눈-각막 계면에 노출된다. 콘택트 렌즈 탈수가 앞쪽 표면에서의 물 증발에 이어 뒤쪽으로부터 앞쪽 렌즈 표면으로의 물 수송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제안되었고 (Little and Bruce, ICLC 22 (1995) 148-155 참조), 이는 렌즈 뒤의 눈물막을 얇게 만들 수 있고, 따라서 플루오레세인 안구 염색 테스트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각막 상피 세포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불편함은 흔히 각막 착색과 관련이 있다.
탈수에 덜 민감하고 각막 착색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착용자에게 더욱 편안한 신규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가 요구된다.
배경기술 공개에는 미국 특허 번호 6,551,531, 미국 특허 번호 8,979,261, 미국 공개 번호 2016/0159019, 미국 공개 번호 2008/02950534, 및 미국 특허 번호 9,156,214가 포함된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한쪽을 성형하기 위한 제1 렌즈-형성 표면 및 상기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반대쪽을 성형하기 위한 제2 렌즈-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금형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은 제2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높은 극성을 갖고; 콘택트 렌즈 금형에서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경화시켜,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형성하고;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수화시켜,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1 렌즈-형성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1 표면 및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2 렌즈-형성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2 표면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고;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패키지에 밀봉하는 것을 포함하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예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제2 렌즈-형성 표면이 제1 렌즈-형성 표면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조군 콘택트 렌즈보다 더 낮은 이오노플럭스 및/또는 더 낮은 증발률을 갖는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포함하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서, 1.0 x 10-6 mm2/분 내지 0.5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 및 45˚ 미만의 후방 표면 접촉각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포함하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서, 1.0 x 10-6 mm2/분 내지 0.5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 및 21℃ 내지 23℃에서 48-50% RH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측정 시 15 mg/h 미만의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도 1은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이오노플럭스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를 도시한다.
낮은 이오노플럭스 및/또는 감소된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된다. 상기 방법은 2개의 렌즈-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금형에서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렌즈-형성 표면"으로 지칭되는 1개의 렌즈-형성 표면은 상보적인 (즉, 제2)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극성이다. 생성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 금형의 렌즈-형성 표면 둘 다가 동일한 "더 극성인"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렌즈보다 더 낮은 이오노플럭스 및/또는 감소된 증발률을 갖는다.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1 및 제2 렌즈-형성 표면 사이의 극성 차이에 의해 물리적 성질이 상이한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가 생성되기 때문에, 본원에서 생성된 렌즈는 "이중-표면 렌즈"로 지칭된다.
콘택트 렌즈 금형은 전형적으로 2개의 결합가능한 부품을 포함하고, 1개의 부품은 암형 금형 부재로 지칭되고 콘택트 렌즈의 전방 (즉, 앞쪽) 표면을 한정하는 오목한 표면을 가지며, 다른 부품은 수형 금형 부재로 지칭되고 콘택트 렌즈의 후방 (즉, 뒤쪽) 표면을 한정하는 볼록한 표면을 갖는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암형 금형 부재에 분배하고, 수형 금형 부재를 암형 금형 부재와 커플링시켜, 렌즈-형태의 공동을 가지며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그 사이에 있는 금형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금형 조립체를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조건에 적용한다.
콘택트 렌즈 금형은 제2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극성인 제1 렌즈-형성 표면을 갖는 한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한 예에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은 제2 렌즈-형성 표면의 퍼센트 극성보다 적어도 3, 5, 10 또는 15 백분율 포인트에서부터 약 25, 30, 40 또는 50 백분율 포인트까지 더 높은 퍼센트 극성을 가지며, 여기서 성형 물질의 퍼센트 극성은 오웬스, 웬트, 라벨 및 캘블(Owens, Wendt, Rabel and Kaelble, OWRK)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한 예에서,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1 렌즈-형성 표면은 콘택트 렌즈의 전방 표면을 형성한다. 또 다른 예에서,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1 렌즈-형성 표면은 콘택트 렌즈의 후방 표면을 형성한다. 제1 렌즈-형성 표면이 제2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낮은 접촉각을 갖는다면,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1 렌즈-형성 표면은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2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극성인 것으로 고려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금형의 렌즈-형성 표면의 접촉각은, 렌즈-형성 표면의 중심에 적하된 3 μl PBS를 사용하는 크뤼쓰(Kruess)로부터의 DSA-100 드롭 형상 분석 시스템(Drop Shape Analysis System) 또는 등가의 분석기를 이용하여 세실 드롭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한 예에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의 접촉각은 제2 렌즈-형성 표면의 접촉각보다 적어도 10˚, 20˚ 또는 30˚ 더 낮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은 극성이고, 제2 렌즈-형성 표면은 비극성이다. 90˚ 이하의 접촉각을 갖는 렌즈-형성 표면은 극성 표면을 나타내고, 90˚ 초과의 접촉각을 갖는 렌즈-형성 표면은 비극성 표면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에 걸쳐, "예" 또는 "구체적인 예" 또는 유사한 문구의 언급은, 특색들의 특별한 조합이 서로 배타적이지 않거나 또는 문맥상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이전에 기재되었거나 이후에 기재될 예 (즉, 특색)의 임의의 조합과 조합될 수 있는, 콘택트 렌즈 금형, 중합가능한 조성물, 제조 방법 등 (문맥에 따라)의 특색 또는 특색들을 도입하기 위해 의도된다.
한 예에서, 콘택트 렌즈 금형 부재는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된다. 각각의 금형 부재는 동일한 물질 또는 상이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금형 부재가 동일한 물질로부터 형성된 예에서, 금형 부재 중 하나의 렌즈-형성 표면을 다른 금형 부재의 렌즈-형성 표면과는 상이한 표면 극성을 제공하도록 코팅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한 예에서, 금형 부재 둘 다 비극성 물질을 포함한다. 콘택트 렌즈 금형에 적합한 비극성 물질의 예에는 폴리프로필렌, 환형 올레핀성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나일론 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금형 부재 둘 다가 동일한 비극성 물질을 포함하는 예에서,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1 렌즈-형성 표면을 제2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극성인 표면이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을 공기 플라즈마, UV-오존, 또는 코로나 방전으로 처리하여 더 극성으로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을 친수성 코팅으로 코팅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은 친수성 코팅으로 코팅된 비극성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2 렌즈-형성 표면은 극성-증진 표면 코팅 또는 처리를 하지 않은 비극성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한다.
친수성 코팅은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의 예에는 폴리비닐 알콜 (PVOH) 단독중합체, PVOH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에틸렌 옥시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폴리아크릴산, 키토산, 히알루론산, 및 이들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임의의 적합한 코팅 방법, 예컨대 분무 코팅, 스핀 코팅, 딥 코팅, 롤 코팅, 커튼 코팅, 화학 증착,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친수성 코팅을 제1 렌즈-형성 표면에 적용할 수 있다. 친수성 코팅을 콘택트 렌즈 금형 상에 적용하는 방법은 미국 공개 번호 2016/0159019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금형 부재는 비극성 물질, 예컨대 상기 비극성 열가소성 중합체 중 하나로부터 제조되고, 제1 금형 부재는 극성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콘택트 렌즈 금형에 적합한 극성 물질에는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1,2-디올 구조 단위를 갖는 폴리비닐 알콜 수지, 나일론 6/6, 나일론 4/6, 아세탈 수지,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포함된다. 콘택트 렌즈 금형에 적합한 추가의 극성 금형 물질은 미국 특허 번호 8,979,261 및 미국 특허 번호 9,156,214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금형 부재 둘 다가 극성 물질로부터 제조되고, 제2 렌즈-형성 표면을 제1 렌즈-형성 표면보다 덜 극성인 표면이 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제2 렌즈-형성 표면을 소수성 코팅으로 코팅할 수 있다.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콘택트 렌즈 금형에 분배하고 경화시킨다. 중합가능한 조성물, 콘택트 렌즈 금형, 및 경화 조건은 대조군 콘택트 렌즈보다 더 낮은 이오노플럭스 및/또는 감소된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대조군 콘택트 렌즈"는 이중 표면 렌즈와 동일한 중합가능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고, 대조군 콘택트 렌즈에 대한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2 렌즈-형성 표면이 제1 렌즈-형성 표면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 렌즈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를 제1 렌즈-형성 표면 상에는 PVOH 코팅을 갖고 제2 렌즈-형성 표면 상에는 코팅이 없는 폴리프로필렌 금형 (즉, 제2 렌즈-형성 표면은 코팅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임)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1 및 제2 렌즈-형성 표면 둘 다에 PVOH 코팅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금형에서 경화시킬 때 동일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더 높은 이오노플럭스 및/또는 증발률을 갖는 대조군 콘택트 렌즈를 생성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이오노플럭스"는 하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콘택트 렌즈의 이오노플럭스 확산 계수 값을 지칭한다. 일부 예에서, 콘택트 렌즈의 이오노플럭스는 적어도 1.0 x 10-6 mm2/분, 2.5 x 10-6 mm2/분, 또는 5.0 x 10-6 mm2/분에서부터 약 0.1 x 10-3 mm2/분, 0.25 x 10-3 mm2/분, 0.5 x 10-3 mm2/분, 0.75 x 10-3 mm2/분, 또는 1.0 x 10-3 mm2/분까지이다. 한 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적어도 1.0 x 10-6 mm2/분 내지 0.5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를 갖고, 대조군 콘택트 렌즈는 1.0 x 10-3 mm2/분 초과 또는 2.0 x 10-3 mm2/분 초과의 이오노플럭스를 갖는다. 따라서, 이 예에서, 대조군 렌즈의 이오노플럭스는 이중-표면 렌즈보다 2배 넘게 크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증발률"은 하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측정되는, 주어진 시간 동안 (예를 들어, 0 시간부터 2 시간까지, 0 시간부터 4 시간까지, 2 시간부터 4 시간까지 등) 콘택트 렌즈를 통한 평균 증발률 (mg/hr의 단위)을 지칭한다. 한 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21℃ 내지 23℃에서 38-40% RH에서 0 시간부터 4 시간까지 측정 시 20 mg/h 미만, 18 mg/h 미만, 또는 15 mg/h 미만의 증발률을 갖는다. 또 다른 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21℃ 내지 23℃에서 49-50% RH에서 2 시간부터 4 시간까지 측정 시 15 mg/h 미만 또는 12 mg/h 미만의 증발률을 갖는다. 한 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21℃ 내지 23℃에서 38-40% RH에서 0 내지 4 시간 동안 측정 시 대조군 렌즈의 90%, 85%, 80%, 75%, 70% 또는 65% 이하인 증발률을 갖는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적어도 1개의 실록산 (Si-O-Si) 기 및 적어도 1개의 중합가능한 기를 함유하는 분자인 실록산 단량체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실록산 단량체는 2개 이상의 중합가능한 기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가교 관능성을 갖는다. 콘택트 렌즈 조성물에서 유용한 실록산 단량체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8,658,747, 미국 특허 번호 6,867,245, 미국 특허 번호 7,750,079, 미국 특허 번호 7,572,841, 미국 특허 번호 8,614,261, 미국 특허 번호 8,129,442, 및 미국 특허 번호 8,865,789 참조). 구체적인 예에서, 실록산 단량체는 아크릴 기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아크릴 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하기 구조식 (1)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18106371786-pct00001
여기서 X는 수소 또는 메틸 기이고; Z는 산소, 황 또는 질소이고; R은 단량체의 나머지 부분이다. 한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 중 모든 실록산 단량체는 1개 또는 2개의 아크릴 기를 포함하고, 다른 중합가능한 기는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의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적어도 20 중량%, 30 중량% 또는 40 중량%에서부터 약 50 중량%, 60 중량% 또는 70 중량%까지의 실록산 단량체의 총량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주어진 중량 백분율 (중량%)은 중합가능한 조성물 중 모든 중합가능한 성분의 총 중량에 대한 것이고, 비반응성 성분, 예컨대 희석제에 의해 기여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중량은 중량%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 걸쳐, 일련의 하한 범위 및 일련의 상한 범위가 제공되는 경우, 제공된 범위의 모든 조합은 각각의 조합이 구체적으로 열거된 것과 같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상기 중량 백분율의 열거에서, 모든 9가지 가능한 범위의 중량%가 고려된다 (즉, 20 중량% 내지 50 중량%, 20 중량% 내지 60 중량%... 4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40 중량% 내지 70 중량%). 또한, 본 개시내용에 걸쳐, 일련의 값들이 첫번째 값 앞에 있는 수식어와 함께 제시되는 경우, 문맥상 달리 해석되지 않는 한, 상기 수식어는 암시적으로 일련의 각각의 값 앞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열거된 중량 백분율의 경우, 수식어 "적어도"는 암시적으로 값 30 및 40 각각의 앞에 있고, 수식어 "내지 약"은 암시적으로 값 60 및 70 각각의 앞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또한 임의의 실록산 기는 함유하지 않고 단일 중합가능한 기를 포함하는 수용성 분자인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한다. 비교하면, 2개 이상의 중합가능한 기를 함유하고 실록산 기는 함유하지 않는 친수성 분자는 하기에 추가로 기재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가교제"로 지칭된다. 구체적인 예에서, 친수성 단량체는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이며, 이는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구조식 1에 의해 정의된) 아크릴 기의 일부가 아닌, 그의 분자 구조에 존재하는 단일 중합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 (즉, 비닐 기)을 갖는 임의의 실록산-무함유 친수성 단량체이고, 여기서 비닐 기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은 유리 라디칼 중합 하에 중합가능한 메타크릴레이트 기 (즉, X가 메틸 기이고 R이 산소인 구조식 1의 기)에 존재하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보다 덜 반응성이다. 따라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 중합가능한 메타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에 존재하지만,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단량체는 비닐 단량체로 고려되지 않는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의 예에는 단일 비닐 에테르, 또는 비닐 에스테르, 또는 알릴 에스테르, 또는 비닐 아미드 중합가능한 기를 갖는 친수성 단량체가 포함된다. 예시적인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에는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N-메틸아세트아미드 (VMA), N-비닐-N-에틸아세트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 (NVP),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N-에틸포름아미드, N-비닐 이소프로필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옥시카르보닐-L-알라닌, 1,4-부탄디올 비닐 에테르 (BVE), 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EGVE), 디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DEGVE),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한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적어도 10 중량%, 15 중량%, 20 중량% 또는 25 중량%에서부터 약 45 중량%, 60 중량% 또는 75 중량%까지의 친수성 비닐 단량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약 3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친수성 비닐 단량체를 포함한다. 추가의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약 3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친수성 비닐 단량체 및 약 40 중량% 내지 60 중량%의 실록산 단량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중합가능한 조성물 중의 특별한 부류의 성분 (예를 들어, 친수성 비닐 단량체, 실록산 단량체 등)에 대해 주어진 중량 백분율은 상기 부류 내에 속하는 조성물 중의 각각의 성분의 중량%의 합계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10 중량% VMA 및 25 중량% NVP를 포함하고 다른 친수성 비닐 단량체는 포함하지 않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35 중량%의 친수성 비닐 단량체를 포함한다고 말한다. 한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NVP를 적어도 10 중량%, 15 중량% 또는 20 중량%에서부터 약 30 중량%, 40 중량% 또는 50 중량%까지의 양으로 포함한다. 추가의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약 15 중량% 내지 약 40 중량% NVP 및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 VMA를 포함한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친수성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친수성 아크릴 단량체"는 구조식 1의 단일 아크릴 기를 포함하고 다른 중합가능한 기는 포함하지 않는 임의의 친수성 실록산-무함유 단량체이다. 예시적인 친수성 아크릴 단량체에는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타크릴아미드, 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ert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한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약 1 중량% 또는 5 중량%에서부터 약 10 중량%, 15 중량%, 20 중량% 또는 25 중량%까지의 친수성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친수성 비닐 단량체 및 친수성 아크릴 단량체를 각각 적어도 2 대 1의 중량 비로 포함한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중합가능한 기를 갖고 실록산 기는 갖지 않는 분자인 적어도 1종의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아크릴 기 또는 비닐 기, 또는 아크릴 기 및 비닐 기 둘 다를 포함한다. 실리콘 히드로겔 중합가능한 조성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가교제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8,231,218 참조,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 본원에 개시된 중합가능한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교제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저급 알킬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저급 알킬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저급 알킬렌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 에테르, 예컨대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비닐 에테르, 1,4-부탄디올 디비닐 에테르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비닐 에테르; 디비닐 술폰; 디- 및 트리비닐벤젠;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 프탈레이트; 1,3-비스(3-메타크릴옥시프로필)테트라메틸디실록산; 디알릴 프탈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이 포함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콘택트 렌즈 제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의 중합가능한 또는 중합 불가능한 성분, 예컨대 중합 개시제, UV 흡수제, 염색제, 염료, 산소 스캐빈져, 연쇄 전달제, 희석제 등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친수성 및 소수성 성분 사이의 상 분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기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 분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콘택트 렌즈 제형에서 흔히 사용되는 희석제에는 헥산올, 에탄올 및/또는 다른 알콜이 포함된다. 다른 예에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유기 희석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예에서, 친수성 모이어티, 예컨대 폴리에틸렌 옥시드 기, 펜던트 히드록실 기 또는 다른 친수성 기를 함유하는 실록산 단량체의 사용은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실록산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의 상용성을 개선시켜 희석제의 첨가를 불필요하게 만들 수 있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들 및 추가의 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번호 8,231,218에 제공되어 있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2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극성인 제1 렌즈-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금형에 분배하고, 임의의 적합한 경화 방법을 이용하여 경화시킨다 (즉, 중합시킨다). 전형적으로,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양의 열 또는 자외선 (UV)에 노출시킨다. 광중합으로도 지칭되는 UV-경화의 경우,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광개시제, 예컨대 벤조인 메틸 에테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DAROCUR, 또는 IRGACUR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Ciba Specialty Chemicals)로부터 입수가능함)을 포함한다. 콘택트 렌즈에 대한 광중합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5,760,100에 기재되어 있다. 열적 경화로도 공지된 열 경화의 경우,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열 개시제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열 개시제에는 2,2'-아조비스(2,4-디메틸펜탄니트릴) (VAZO-52),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니트릴) (VAZO-64), 및 1,1'-아조 비스(시아노시클로헥산) (VAZO-88)이 포함된다. 콘택트 렌즈에 대한 열 중합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8,231,218 및 미국 특허 번호 7,854,866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 기재되어 있다.
경화시킨 후, 생성된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금형으로부터 꺼내고 (렌즈 제거), 세척하여, 임의의 미반응 또는 부분 반응 성분을 추출하고 렌즈를 수화시킨다. 세척 단계는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1가지 이상의 부피의 1종 이상의 세척 액체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제1 부피의 세척 액체를 사용하여 금형으로부터 렌즈를 "습식" 렌즈 제거한다. 다른 예에서, 렌즈를 기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금형으로부터 "건식 렌즈 제거"한다. 일부 예에서, 렌즈를 세척 및 수화시키기 위해 사용된 세척 액체는 1종 이상의 휘발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휘발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 세척 액체만을 사용하여 렌즈를 세척하고 수화시킨다. 따라서, 한 예에서, 세척 단계는 휘발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액체의 부재 하에 수행된다.
경화 단계 또는 세척 단계 이후,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표면 개질 처리에 적용하여 콘택트 렌즈의 습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표면 개질을 이용하여 콘택트 렌즈의 제2 표면의 습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표면 개질을 이용하여 콘택트 렌즈의 제1 및 제2 표면 둘 다의 습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표면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표면 개질 방법이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그 예로는 플라즈마 처리, 층별(layer-by-layer) 기술과 같은 것에 의한 중합체성 렌즈 바디 상에 친수성 중합체의 부착, 및 콘택트 렌즈 패키징 용액에 친수성 중합체의 첨가가 포함된다. 표면 개질을 위한 이들 및 다른 방법은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4,143,949, 미국 특허 번호 7,582,327, 및 미국 특허 번호 7,841,716 참조).
세척 및 임의의 임의적인 공정 단계 (예를 들어, 표면 개질) 이후, 수화된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블리스터 패키지, 유리 바이알, 또는 다른 적절한 용기 (본원에서 모두 "패키지"로 공지됨)에 놓는다. 전형적으로, 패키징 용액 또한 용기에 첨가한다. 적합한 패키징 용액은 임의의 임의적인 추가의 성분, 예컨대 편안함 부여제, 약물, 렌즈가 그의 패키지에 들러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등과 함께 인산염- 또는 붕산염-완충된 식염수를 포함한다. 패키지를 밀봉하고, 밀봉된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조사, 열 및 증기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빙), 감마선 조사, e-빔 조사 등에 의해 멸균시킨다. 일부 예에서, 렌즈를 멸균성 조건 하에 패키징하여, 패키징후 멸균화 단계가 불필요하게 만들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건식 렌즈 제거하고, 패키징 용액과 함께 그의 최종 패키지에 직접 놓고, 밀봉하고, 임의적으로 멸균시킨다. 따라서, 세척 단계를 패키징 및 멸균화 단계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오토클레이빙에 의해 멸균시킨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그의 편안함을 증가시키고 환자의 각막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독특한 물리적 성질을 갖는다.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포함한다.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광학 대역을 포함하고, 중합 후에, 예컨대 중합후 표면 개질에 의해 렌즈에 첨가된 임의의 추가의 화학물질 또는 분자는 패키징 용액 첨가제 등과 접촉한다. 달리 말하면,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실리콘 히드로겔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광학 대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맥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은,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광학 대역이 콘택트 렌즈의 이오노플럭스에 영향을 미치는 (즉, 이오노플럭스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비-실리콘 히드로겔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이오노플럭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실리콘 히드로겔 성분에는 다양한 광학 삽입체, 예컨대 액정 렌즈 또는 메니스커스 렌즈가 포함된다. 비-실리콘 히드로겔 성분의 또 다른 예는 복합 또는 하이브리드 콘택트 렌즈의 비-실리콘 히드로겔 층, 예컨대 실리콘 엘라스토머 층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적어도 1.0 x 10-6 mm2/분, 2.5 x 10-6 mm2/분, 또는 5.0 x 10-6 mm2/분에서부터 약 0.1 x 10-3 mm2/분, 0.25 x 10-3 mm2/분, 0.5 x 10-3 mm2/분, 0.75 x 10-3 mm2/분, 또는 1.0 x 10-3 mm2/분까지의 이오노플럭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 기재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또 다른 유리한 성질은, 이들이 습윤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한 예에서, 콘택트 렌즈의 전방 표면 및/또는 후방 표면은 50˚, 45˚, 40˚, 35˚, 30˚ 또는 25˚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표면의 접촉각은 하기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크뤼스로부터의 DSA-100 드롭 형상 분석 시스템 또는 등가의 분석기에 의해 측정되는 렌즈의 후방 표면 (전방 표면이 명시되지 않는다면)의 세실 드롭 접촉각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1.0 x 10-6 mm2/분 내지 0.5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 및 45˚ 미만의 세실 드롭 접촉각을 갖는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극성이 상이한 렌즈-형성 표면들을 갖는 금형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경화시키면, 습윤 성질이 상이한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전방 표면은 후방 표면 접촉각보다 적어도 10%, 20%, 30% 또는 40% 더 큰 접촉각을 갖는다. 또 다른 예에서, 콘택트 렌즈의 후방 표면은 30˚ 미만인 접촉각을 갖는다.
상기 기재된 임의의 예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21℃ 내지 23℃에서 38-40% RH에서 0 시간부터 4 시간까지 측정 시 20 mg/h 미만, 18 mg/h 미만, 또는 15 mg/h 미만의 증발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21℃ 내지 23℃에서 38-40% RH에서 0 시간부터 4 시간까지 측정 시 15 mg/h 미만의 증발률, 및 0.25 x 10-6 mm2/분 내지 0.5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를 갖는다. 또 다른 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21℃ 내지 23℃에서 48-50% RH에서 2 시간부터 4 시간까지 측정 시 15 mg/h 미만 또는 12 mg/h 미만의 증발률, 및 0.25 x 10-6 mm2/분 내지 0.5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를 갖는다.
상기 기재된 임의의 예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약 30 중량%, 40 중량% 또는 50 중량% 초과에서부터 약 60 중량% 또는 70 중량%까지의 평형 함수율 (EWC)을 가질 수 있다. EWC를 측정하기 위해, 렌즈로부터 과잉의 표면수를 닦아 내고, 렌즈를 칭량하여 수화된 중량을 수득한다. 렌즈를 진공 하에 80℃의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칭량한다. 수화된 렌즈의 중량으로부터 건조 렌즈의 중량을 차감하여 중량 차이를 결정한다. 렌즈의 중량% EWC = (중량 차이/수화된 중량) x 100이다.
상기 기재된 임의의 예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약 0.2 MPa, 0.3 MPa 또는 0.4 MPa에서부터 약 0.7 MPa, 0.8 MPa 또는 0.9 MPa까지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의 모듈러스는 하기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인장 탄성률 (즉, 영률(Young's modulus))을 지칭한다.
상기 기재된 임의의 예에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적어도 60, 80 또는 100 배러의 산소 투과성 (Dk)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의 Dk는 크리에이테크/레더 디벨럽먼트 캄파니(Createch/Rehder Development Co.,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로부터의 산소 투과율 시험기를 사용하여 35℃의 습도-포화된 환경에서 미국 국립 표준 협회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Z80.20:2010, 및 국제 표준화 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18369-4:2006에 따라 결정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정한 측면 및 이점을 설명하며, 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이오노플럭스 방법
3개의 250 mL 물 자켓형 반응 비이커를 자성 교반 플레이트 상에 놓고, 공통된 순환조에 직렬로 연결하였다. 각각의 자켓형 반응 비이커를 80 mL의 탈이온수 (DI)로 충전하고, 순환조를 작동시켜 35.5℃ ± 0.5℃를 달성하였다. 자성 교반 막대를 구비한 3개의 100 ml 비이커 (수용 챔버)를 약 40℃에서 80 mL 물로 충전하고, 각각의 자켓형 반응 비이커에 놓았다. 3개의 교정된 전도도 계측기 (호리바(Horiba) 모델 ES-51) 및 전극 셀 (호리바 3552-10D)을 준비하였다. 실온에서 전도도 값은 1 μS/cm 이하이어야 한다. 전도성 전극을 각각의 수용 챔버에 담궜다.
각각의 콘택트 렌즈를 그의 원래 패키징 용액으로부터 꺼냄으로써 세정하고, 이를 실온에서 10 분 동안 30 mL의 탈이온수를 갖는 비이커에 두고, 30 mL의 새로운 탈이온수에 추가 10 분 동안 두었다. 세정된 각각의 렌즈의 두께를 레더 게이지 모델 ET-3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을 이용하여 5가지 각: 0, ± 12˚, ± 16˚에서 측정하였고, 평균 두께를 렌즈의 두께로 취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렌즈를 공여 챔버의 렌즈-보유 기기에 놓았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여 챔버는 개방 말단 (2), 및 스레드형 캡 (4)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점점 가늘어지는 스레드형 말단 (3)을 갖는 30 ml 투명한 유리 바이알 (1)을 포함한다. 캡의 중심은 8.5 mm 직경의 원형 개구부를 갖는다. 콘택트 렌즈의 후방 표면의 둘레가 O-링의 상단에 놓이도록 하여, 세정된 콘택트 렌즈 (5)를 8.5 mm의 중심 개구부 (즉, 내경)를 갖는 14.2 mm 직경의 실리콘 O-링 (6) 상에 탑재하였다. 콘택트 렌즈의 직경이 14.2 mm 초과인 경우에는, O-링에 놓기 전에 9/16 (~14.2 mm) 펀치를 사용하여 렌즈를 다듬었다. 이어서, O-링을 공여 챔버의 스레드형 말단 상에 두었다. 렌즈에 대한 손상없이 균일한 기밀성 및 적절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1.9 ± 0.1 N·cm의 토크가 달성될 때까지 공여 챔버 상에서 스레드형 캡 (4)를 수동으로 조였다. 토크는 토크 계측기 (25 N·cm 용량 및 0.1 N·cm 분해력을 갖는 IMADA DTX2-2B)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공여 챔버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꾸로 뒤집고, 5 mL 탈이온수로 충전하였다. 공여 챔버의 바닥 (캡핑 말단)을 닦아 내어 누수를 검사하였다. 필요한 경우, 누수가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렌즈 및 캡을 재조립할 수 있다. 누수가 없는 밀봉이 달성되면, 탈이온수를 공여 챔버로부터 제거하고, 공여 챔버를 수용 챔버에 두어, 렌즈에 대해 기포가 보유되지 않도록 하였다. 16 mL의 0.1 M 염화나트륨 용액 (7)을 공여 챔버에 첨가하였다. 염화나트륨 용액의 수위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공여 챔버를 위아래로 움직여서 수용 챔버 내의 물의 수위와 동일하도록 조정하였다. 이온 접합부가 렌즈 조립체와 수평이 되도록 클램프를 사용하여 전극을 조정하였다. 수용 챔버의 내부 온도를 35.0 ± 0.5℃로 유지하면서 전도도를 20 분 동안 기록하였다.
이오노플럭스는 각각의 렌즈에 대해 다음과 같이 픽(Fick)의 확산 법칙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D = -n'/(A x dc/dx) (여기서, n'= 이온 수송률 (mol/분), A = 노출된 렌즈의 면적 (mm2), dc = 농도 차이 (mol/L), 및 dx = 렌즈의 두께 (mm), D는 이오노플럭스 확산 계수 또는 간단히 "이오노플럭스"임). 3개의 렌즈에 대한 평균 이오노플럭스 값을 콘택트 렌즈의 이오노플럭스로 취하였다.
실시예 2: 증발률 방법
이오노플럭스 방법에서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스레드형 캡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세정된 콘택트 렌즈를 고정하였다. 상기 캡을 1 ml PBS를 함유하는 밀폐-말단형 5 ml 유리 바이알 (이오노플럭스 방법에서 기재된 30 ml 개방-말단형 바이알과 대조적임) 상에 스레드형으로 끼웠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PBS는 pH 7.3을 갖는 0.83 중량% NaCl, 0.03 중량% 일염기성 인산나트륨, 및 0.24 중량% 이염기성 인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인산염 완충된 식염수를 지칭한다. 캡핑된 바이알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누수에 대해 검사하고, 필요에 따라 누수-방지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재조립하였다. 렌즈/바이알 조립체를 첫번째로 칭량할 때 세정된 콘택트 렌즈가 완전히 수화된 채 유지되게 하기 위해, 상기 렌즈를 캡 및 바이알과 즉시 조립하도록 주의하였다. 5 ml 유리 바이알에 대한 랙을 분석용 저울 상에 놓고, 랙의 무게를 달아 상기 저울을 0으로 판독하였다. 캡핑된 바이알을 뒤집고 (즉, 렌즈가 아래로 향함), 렌즈를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해서 랙 상에 놓았다. 랙에 둔 후, 캡핑된 바이알의 중량을 측정하여, 시간 = 0 hr에서의 중량으로 취하였다. 캡핑된 바이알의 중량을 30, 60, 120 및 240 분에 다시 측정하였고, 테스팅 동안 온도가 2℃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21℃ 내지 23℃) 유지되고, 상대 습도가 2%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38-40% RH) 유지되도록 하였다. 주어진 시간 범위에 대한 증발률은 초기 시간에서의 중량으로부터 종료 시간에서의 중량을 차감한 것과 동일하였다. 3개 렌즈의 평균 증발률을 콘택트 렌즈의 증발률로 취하였다. 따라서, 렌즈/바이알 세트는 하기 표에 나타낸 시점에서 하기 중량을 가졌다:
Figure 112018106371786-pct00002
이어서,
0 시간부터 2 시간까지의 증발률 = 30 mg/2 hr = 15 mg/hr
2 시간부터 4 시간까지의 증발률 = (40 mg - 30 mg)/2 hr = 5 mg/hr
0 시간부터 4 시간까지의 증발률 = 40 mg/4 hr = 10 mg/hr.
실시예 3: 접촉각 측정
콘택트 렌즈 표면의 접촉각을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하고자 하는 콘택트 렌즈를 PBS 중에 적어도 12 시간 동안 담그었다. 고무 팁형 핀셋을 이용하여, 렌즈를 PBS로부터 꺼내고 흔들어서 과잉수를 제거하였다. 렌즈 커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렌즈를 4 mm 직경의 절편으로 절단하였다. 테스트하고자 하는 콘택트 렌즈 절편의 표면을 현미경 렌즈용 와이퍼 상에 아래로 향하게 놓고, 와이퍼에 흡수되는 액체가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고무 팁형 핀셋을 이용하여 와이퍼를 가로질러 렌즈 절편을 부드럽게 드래깅함으로써 닦아 내어 건조시켰다. 렌즈 절편을 현미경 슬라이드 상에 놓고, 닦아낸 표면이 위로 향하게 하면서 편평하게 놓이도록 하였다. 즉시 측정을 수행하여, 렌즈 절편이 건조되기 시작하지 않도록 하였다 (렌즈 절편의 변형에 의해 입증됨). DSA-100, 드롭 형상 분석 프로그램을 켜고, "세실 드롭 (VCA eq)" 방법을 하기 설정으로 선택하였다: 카메라 틸트 = +2; 줌 = 9; 곧은 바늘을 구비한 100 μl 시린지; 분배 용액 = 정제수; 분배 부피 = 0.75 μl; 분배 속도 = 7.5 μl/분; 및 분배 모드 = 부피. 렌즈 절편의 긴쪽이 카메라에 수직이 되도록 현미경 슬라이드를 샘플 스테이지 상에 놓았다. 시린지를 이동시켜 뷰 스크린에 맞추고, 중앙 윈도우에서 최대치가 달성될 때까지 영상을 조정하였다. 물을 렌즈 상에 분배하였다. 물을 분배한지 10 내지 15 초 후에, 액적의 영상을 포착하였다. 계산 방법은 하기 접촉각에 따라 선택하였다: <30˚ = 원적합법, 30˚ - 130˚ = 탄젠트법 - 1; >130˚ = 탄젠트법 - 2. 5개 렌즈 절편의 평균 접촉각 측정치를 콘택트 렌즈의 특정한 표면 (즉, 뒤쪽 또는 앞쪽)에 대한 접촉각으로 취하였다.
실시예 4: 모듈러스 측정
인스트론(Instron) 모델 3342 또는 모델 3343 기계적 테스팅 시스템 (인스트론 코포레이션(Instron Corporation), 미국 매사추세츠주 노르우드) 및 블루힐 머티리얼즈(Bluehill Materials) 테스팅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ANSI Z80.20 표준에 의해 영률을 결정하였다. 테스트하고자 하는 콘택트 렌즈를 테스팅 전에 4mL 인산염 완충된 식염수 (PBS) 중에 30 분 동안 담그었다. 렌즈의 오목한 쪽이 위로 가도록 유지하면서, 깨끗하고 날카로운 블레이드를 갖는 콘택트 렌즈 절단 다이를 사용하여 렌즈의 중심 스트립을 절단하여, 절단 단부를 따라 결함이 없는 물질의 4 mm 폭을 갖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스트립을 제공하였다. 스트립의 길이는 약 14-15 mm이며, 즉, 절단하기 전의 콘택트 렌즈의 직경과 유사하다. 스트립의 두께를 교정된 게이지 (예를 들어, 레더 전자 두께 게이지, 레더 디벨럽먼트 캄파니, 미국 캘리포니아주 카스트로 밸리)를 사용하여 -8˚, -4˚, 0˚, 4˚ 및 8˚의 각에서 측정하였다. 샘플 압축에 대한 값을 보정하지 않고 5회 측정치의 평균을 취하였다. 스트립이 각 그립의 그립 표면의 적어도 75%에 걸쳐 맞춰지도록, 핀셋을 사용하여 스트립을 교정된 인스트론 장비의 그립에 로딩하였고, 그립들 사이의 간격은 5.0 mm이었다. 실온에서 (약 22℃) 적어도 70%의 상대 습도를 갖는 습도 챔버 내부에서 10.00 mm/분의 인발 속도 하에 영률을 결정하였다. 영률은 기록된 곡선의 시작하는 상향 기울기로서 정의된다.
실시예 5: 이중 표면 콘택트 렌즈의 제조
프리믹스 조성물은 하기 성분들을 조합하여 제조하였다: 1 중량% 미만의 나트륨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1 중량% 미만의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약 53 중량%의 N-비닐-2-피롤리돈, 약 11 중량%의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약 18 중량%의 2-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약 18 중량%의 N-비닐-N-메틸아세트아미드. 중합가능한 조성물은 약 51 중량%의 프리믹스 조성물을 약 1300의 분자량을 가지며 FMM (CAS # 697234-76-7)으로 지칭되는 약 9 중량%의 실록산 단량체 및 약 15000의 분자량을 가지며 M3U (CAS # 697234-74-5)로 지칭되는 약 40 중량%의 실리콘 마크로머를 조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실록산의 구조는 미국 특허 번호 7,750,079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 제공되어 있다.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수형 금형 부재의 렌즈-형성 표면 상에 친수성 코팅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콘택트 렌즈 금형에서 UV 경화시켰다. 암형 렌즈 금형 부재는 코팅되지 않았다. 수형 금형의 렌즈-형성 표면을 물 중 10% PVOH 용액으로 습윤시키고, 수형 금형 부재를 약 20 초 동안 8,800 RPM에서 회전시키고, 사용하기 전에 수형 금형을 실온에서 1-24 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수형 금형을 코팅하였다. 경화시킨 후, 렌즈를 금형으로부터 수동으로 꺼내고, 탈이온수를 갖는 고온의 (90 ℃) 조에서 30 분 동안 수화시켰다. 이어서, 콘택트 렌즈를 약 95% 에탄올 및 5% 메탄올을 함유하는 산업용 메틸화 스피릿 (IMS)에 매회 45 분 동안 3회 교환으로 담궈서 추출하였다 (즉, 대략 총 135 분). 이어서, 렌즈를 50% IMS + 50% 탈이온수에 3회 교환 및 최종적으로 탈이온수에 3회 교환으로 담그었다. 수형 및 암형 렌즈 금형 부재 둘 다를 PVOH로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중합가능한 조성물 및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대조군 렌즈를 제조하였다.
코팅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암형 금형 부재에 의해 성형된 렌즈 전방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부 렌즈를 물 중 0.5% 폴리아크릴산 (PAA; ave. MW = 250,000)의 용액 (pH=2.0)에 매회 20 분 동안 2회 교환으로 담근 다음, PBS에 매회 5 분 동안 2회 교환으로 담그었다. 이어서, 렌즈를 PBS를 함유하는 콘택트 렌즈 블리스터에 패키징하고, 밀봉하고, 오토클레이빙하였다.
PAA 처리된 및 처리되지 않은 이중 표면 렌즈, 뿐만 아니라 대조군 렌즈의 이오노플럭스 및 증발률을 상기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48-50% RH 및 21℃ 내지 23℃ 온도에서 습도 챔버를 사용하여 증발률을 테스트하였고, 2 시간부터 4 시간까지의 증발률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8106371786-pct00003
본원의 개시내용은 특정한 설명된 예를 언급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제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예시를 위해 제시되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상세한 설명의 의도는, 비록 예시적인 예가 논의되었지만, 추가의 개시내용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는 상기 예의 모든 변형, 대안 및 등가물이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순서 및/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하기 측면/실시양태/특색을 포함한다:
1.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a. 상기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한쪽을 성형하기 위한 제1 렌즈-형성 표면 및 상기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반대쪽을 성형하기 위한 제2 렌즈-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금형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은 제2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높은 극성을 갖고;
b. 콘택트 렌즈 금형에서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경화시켜,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형성하고;
c.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수화시켜,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1 렌즈-형성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1 표면 및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2 렌즈-형성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2 표면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고;
d.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패키지에 밀봉하는 것
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제2 렌즈-형성 표면이 제1 렌즈-형성 표면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조군 콘택트 렌즈보다 더 낮은 이오노플럭스 및/또는 더 낮은 증발률을 갖는 것인
방법.
2.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이 제2 렌즈 형성 표면의 접촉각보다 적어도 20˚ 더 낮은 접촉각을 갖는 것인 방법.
3.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이 극성이고, 제2 렌즈-형성 표면이 비극성인 방법.
4.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이 친수성 코팅으로 코팅된 비극성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2 렌즈-형성 표면이 임의의 극성-증진 표면 코팅 또는 처리를 하지 않은 비극성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가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인 방법.
6.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중합가능한 조성물 중 모든 중합가능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의 총량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가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N-메틸아세트아미드 (VMA), N-비닐-N-에틸아세트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 (NVP),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N-에틸포름아미드, N-비닐 이소프로필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옥시카르보닐-L-알라닌, 1,4-부탄디올 비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가 VMA, 또는 NVP, 또는 VMA 및 NVP 둘 다의 조합물인 방법.
9.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중합가능한 조성물 중 모든 중합가능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실록산 단량체의 총량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경화 단계 이후,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표면 개질 처리에 적용하여,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2 표면의 습윤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
11.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표면 개질 처리가 공기 플라즈마, 또는 UV-오존, 또는 코로나 방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2.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가 적어도 40%의 평형 함수율 (EWC)을 갖는 것인 방법.
13.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가 0.5 x 10-3 mm2/분 미만의 이오노플럭스를 갖고, 대조군 콘택트 렌즈가 적어도 1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를 갖는 것인 방법.
14.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가 대조군 렌즈보다 2 시간부터 4 시간까지의 더 낮은 증발률을 가지며, 여기서 증발률은 48-50% RH 및 21℃ 내지 23℃에서 측정되는 것인 방법.
15.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증발률이 15 mg/h 미만인 방법.
16.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제1 표면이 콘택트 렌즈의 제2 표면보다 더 낮은 세실 드롭 접촉각을 갖는 것인 방법.
17.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가 45˚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후방 표면을 갖는 것인 방법.
18.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제1 표면이 후방 표면인 방법.
19.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제1 표면이 전방 표면인 방법.
20.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포함하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서, 1.0 x 10-6 mm2/분 내지 0.5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 및 a) 45˚ 미만의 후방 표면 접촉각, 또는 b) 21℃ 내지 23℃에서 48-50% RH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측정 시 15 mg/h 미만의 증발률, 또는 3) 45˚ 미만의 후방 표면 접촉각 및 21℃ 내지 23℃에서 48-50% RH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측정 시 15 mg/h 미만의 증발률 둘 다를 갖고, 실리콘 히드로겔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광학 대역을 포함하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1.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45˚ 미만의 후방 표면 접촉각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2.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후방 표면 접촉각이 30˚ 미만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3.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24℃에서 49-50% RH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측정 시 15 mg/h 미만의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4.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증발률이 12 mg/h 미만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5.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이오노플럭스가 0.1 x 10-3 mm2/분 미만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6.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후방 표면 접촉각보다 적어도 10% 더 큰 전방 표면 접촉각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7.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가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8.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가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N-메틸아세트아미드 (VMA), N-비닐-N-에틸아세트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 (NVP),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N-에틸포름아미드, N-비닐 이소프로필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옥시카르보닐-L-알라닌, 1,4-부탄디올 비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9.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30%의 EWC를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30.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EWC가 약 40% 내지 약 60%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31.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약 0.3 MPa 내지 약 0.9 MPa의 모듈러스를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32.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80 배러의 Dk를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33. 이전의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실시양태/특색/측면에 있어서, 멸균성이며 패키지에 밀봉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본 개시내용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 개시내용과 모순되지 않는 정도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본 명세서 및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를 고려하여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개념은 하기 청구항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3)

  1.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a. 상기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한쪽을 성형하기 위한 제1 렌즈-형성 표면 및 상기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반대쪽을 성형하기 위한 제2 렌즈-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금형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은 제2 렌즈-형성 표면보다 더 높은 극성을 갖고;
    b. 콘택트 렌즈 금형에서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경화시켜,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형성하고;
    c.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수화시켜,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1 렌즈-형성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1 표면 및 콘택트 렌즈 금형의 제2 렌즈-형성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제2 표면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고;
    d.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패키지에 밀봉하는 것
    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제2 렌즈-형성 표면이 제1 렌즈-형성 표면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조군 콘택트 렌즈보다 더 낮은 이오노플럭스 및/또는 더 낮은 증발률을 갖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이 제2 렌즈 형성 표면의 접촉각보다 적어도 20˚ 더 낮은 접촉각을 갖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이 극성이고, 제2 렌즈-형성 표면이 비극성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렌즈-형성 표면이 친수성 코팅으로 코팅된 비극성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2 렌즈-형성 표면이 임의의 극성-증진 표면 코팅 또는 처리를 하지 않은 비극성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가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인 방법.
  6.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중합가능한 조성물 중 모든 중합가능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내지 60 중량%의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의 총량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가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N-메틸아세트아미드 (VMA), N-비닐-N-에틸아세트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 (NVP),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N-에틸포름아미드, N-비닐 이소프로필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옥시카르보닐-L-알라닌, 1,4-부탄디올 비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가 VMA, 또는 NVP, 또는 VMA 및 NVP 둘 다의 조합물인 방법.
  9.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가능한 조성물이 중합가능한 조성물 중 모든 중합가능한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내지 60 중량%의 실록산 단량체의 총량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화 단계 이후,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표면 개질 처리에 적용하여,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2 표면의 습윤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표면 개질 처리가 공기 플라즈마, 또는 UV-오존, 또는 코로나 방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2.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가 적어도 40%의 평형 함수율 (EWC)을 갖는 것인 방법.
  13.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가 0.5 x 10-3 mm2/분 미만의 이오노플럭스를 갖고, 대조군 콘택트 렌즈가 적어도 1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를 갖는 것인 방법.
  14.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가 대조군 렌즈보다 2 시간부터 4 시간까지의 더 낮은 증발률을 가지며, 여기서 증발률은 48-50% RH 및 21℃ 내지 23℃에서 측정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증발률이 15 mg/h 미만인 방법.
  16.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제1 표면이 콘택트 렌즈의 제2 표면보다 더 낮은 세실 드롭 접촉각을 갖는 것인 방법.
  1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가 45˚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후방 표면을 갖는 것인 방법.
  18.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제1 표면이 후방 표면인 방법.
  19.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제1 표면이 전방 표면인 방법.
  20. 적어도 1종의 실록산 단량체 및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성 렌즈 바디를 포함하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로서, 1.0 x 10-6 mm2/분 내지 0.5 x 10-3 mm2/분의 이오노플럭스, 및 a) 45˚ 미만의 후방 표면 접촉각, 또는 b) 21℃ 내지 23℃에서 48-50% RH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측정 시 15 mg/h 미만의 증발률, 또는 3) 45˚ 미만의 후방 표면 접촉각 및 21℃ 내지 23℃에서 48-50% RH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측정 시 15 mg/h 미만의 증발률 둘 다를 갖고, 실리콘 히드로겔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광학 대역을 포함하고, 후방 표면 접촉각보다 적어도 10% 더 큰 전방 표면 접촉각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1. 제20항에 있어서, 45˚ 미만의 후방 표면 접촉각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2. 제21항에 있어서, 후방 표면 접촉각이 30˚ 미만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4℃에서 49-50% RH에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측정 시 15 mg/h 미만의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4. 제23항에 있어서, 증발률이 12 mg/h 미만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5.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오노플럭스가 0.1 x 10-3 mm2/분 미만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6.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단량체가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7.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비닐-함유 단량체가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N-메틸아세트아미드 (VMA), N-비닐-N-에틸아세트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 (NVP),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N-에틸포름아미드, N-비닐 이소프로필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옥시카르보닐-L-알라닌, 1,4-부탄디올 비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닐 에테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8.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30%의 EWC를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29. 제28항에 있어서, EWC가 40% 내지 60%인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30.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3 MPa 내지 0.9 MPa의 모듈러스를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31.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80 배러의 Dk를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32.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멸균성이며 패키지에 밀봉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33. 삭제
KR1020187031226A 2016-07-14 2017-07-13 감소된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83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62283P 2016-07-14 2016-07-14
US62/362,283 2016-07-14
PCT/GB2017/052064 WO2018011586A2 (en) 2016-07-14 2017-07-13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having reduced rates of evapo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714A KR20180123714A (ko) 2018-11-19
KR101983528B1 true KR101983528B1 (ko) 2019-05-28

Family

ID=5948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226A KR101983528B1 (ko) 2016-07-14 2017-07-13 감소된 증발률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0422927B2 (ko)
EP (1) EP3430448B1 (ko)
KR (1) KR101983528B1 (ko)
CN (1) CN109073783B (ko)
CA (1) CA3022655C (ko)
GB (1) GB2566168B (ko)
HU (1) HUE047786T2 (ko)
MX (1) MX2018012506A (ko)
MY (1) MY174157A (ko)
SG (1) SG11201808995XA (ko)
WO (1) WO20180115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2927B2 (en) 2016-07-14 2019-09-2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having reduced rates of evaporation
US11029538B2 (en) 2017-10-25 2021-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Contact lenses having an ion-impermeable portion and related methods
CN113583454A (zh) * 2021-08-16 2021-11-02 河南迪怡疗护科技开发有限公司 抗菌型医用材料、抗菌型医疗器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2424A1 (en) 2001-08-02 2003-03-20 Turner David C. Method for coating articles by mold transfer
WO2013186573A1 (en) 2012-06-15 2013-12-19 Dealtforce Limited Mould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act len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3949A (en) 1976-10-28 1979-03-13 Bausch & Lomb Incorporated Process for putting a hydrophilic coating on a hydrophobic contact lens
US5158717A (en) * 1990-11-27 1992-10-27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molding shaped polymeric articles
US5760100B1 (en) 1994-09-06 2000-11-14 Ciba Vision Corp Extended wear ophthalmic lens
DE60042841D1 (de) 1999-12-16 2009-10-08 Asahikasei Aime Co Ltd Zum tragen über lange zeiträume geeignete weiche kontaktlinsen
US6551531B1 (en) * 2000-03-22 2003-04-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olds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US6926965B2 (en) 2002-09-11 2005-08-09 Novartis Ag LbL-coated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322958B2 (en) 2004-08-27 2016-04-26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CN102323629B (zh) 2004-08-27 2015-08-19 库柏维景国际控股公司 硅水凝胶隐形眼镜
KR101389301B1 (ko) 2005-02-14 2014-04-25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안과용 렌즈의 제조방법 및 안과용 장치
ATE526597T1 (de) 2005-08-09 2011-10-15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Herstellungsverfahren- und bedingungen für silicon-hydrogel-polymere kontaktlinsen
CN101473263B (zh) * 2006-06-15 2011-01-05 库柏维景国际控股公司 可湿性硅水凝胶隐形眼镜以及相关组合物和方法
US8231218B2 (en) 2006-06-15 2012-07-3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Wett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US7572841B2 (en) 2006-06-15 2009-08-1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Wett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80001317A1 (en) 2006-06-28 2008-01-03 Jason Tokarski Water soluble biomedical device mold
US8287782B2 (en) * 2006-08-08 2012-10-16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Interference fitting polar resin ophthalmic lens mold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20080290534A1 (en) 2007-05-24 2008-11-27 Changhong Yin Ophthalmic lens mold surface energy differential
WO2008144427A1 (en) 2007-05-18 2008-11-27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Thermal curing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contact lenses
US20090108479A1 (en) * 2007-10-26 2009-04-30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aking Biomedical Devices
US20090146329A1 (en) 2007-12-06 2009-06-11 Changhong Yin Lens release
CA2712094C (en) 2008-02-08 2013-05-28 Asahi Kasei Aime Co., Ltd. Hydrophilic polysiloxane macromonomer, and production and use of the same
EP2262631B1 (en) * 2008-03-12 2011-07-20 Novartis AG Method and mold for cast molding contact lenses
EP2480402B1 (en) * 2009-09-22 2017-01-25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Wettable hydrogel materials for use in ophthalmic applications and methods
KR101197842B1 (ko) * 2009-10-01 2012-11-05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및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CN103052495B (zh) 2010-07-09 2017-09-29 库柏维景国际控股公司 具有低水平紫外(uv)光透射率的眼科镜片模具、其中模制的眼科镜片和相关方法
JP5863125B2 (ja) 2010-07-30 2016-02-16 クーパーヴィ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ホウル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眼用レンズ型、その中で成型された眼用レンズ、および関連する方法
EP2598318B1 (en) 2010-07-30 2014-04-02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ilicone hydrogel ophthalmic devices molded in vinyl alcohol copolymer molds and related methods
ES2441385T3 (es) 2011-02-28 2014-02-0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Lentes de contacto de hidrogel de silicona humectables
CN103827175B (zh) 2011-02-28 2016-08-10 库柏维景国际控股公司 硅酮水凝胶隐形眼镜
MY162458A (en) * 2011-02-28 2017-06-15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CA2947829C (en) 2014-05-09 2018-08-21 Interojo Inc. Hydrogel contact lens having wet surfa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9789654B2 (en) * 2014-12-05 2017-10-17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of manufacturing wett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SG11201808359XA (en) 2016-04-20 2018-10-3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ilicone elastomer-silicone hydrogel hybrid contact lenses
US10422927B2 (en) * 2016-07-14 2019-09-2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having reduced rates of evapo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2424A1 (en) 2001-08-02 2003-03-20 Turner David C. Method for coating articles by mold transfer
WO2013186573A1 (en) 2012-06-15 2013-12-19 Dealtforce Limited Mould and method for forming a contac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2655A1 (en) 2018-01-18
EP3430448B1 (en) 2019-10-02
SG11201808995XA (en) 2018-11-29
CA3022655C (en) 2019-07-02
US11650352B2 (en) 2023-05-16
WO2018011586A3 (en) 2018-02-22
MX2018012506A (es) 2019-06-10
HUE047786T2 (hu) 2020-05-28
GB201817210D0 (en) 2018-12-05
CN109073783A (zh) 2018-12-21
WO2018011586A2 (en) 2018-01-18
CN109073783B (zh) 2021-11-16
GB2566168A (en) 2019-03-06
EP3430448A2 (en) 2019-01-23
US20180017712A1 (en) 2018-01-18
US20190361150A1 (en) 2019-11-28
US11150384B2 (en) 2021-10-19
US10422927B2 (en) 2019-09-24
MY174157A (en) 2020-03-11
US20210405259A1 (en) 2021-12-30
GB2566168B (en) 2021-03-10
KR20180123714A (ko) 201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373B1 (ko)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JP4712265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713370B1 (ko) 습윤성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US1165035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having reduced rates of evaporation
US8646907B2 (en) Materials for use in ophthalmic applications and methods
US9616626B2 (en) Ophthalmic device molds formed from vinyl alcohol copolymer, ophthalmic devices molded therein, and related methods
JP6023589B2 (ja) シリコーンヒ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シリコーンヒ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TWI429713B (zh) 可溼性矽氧水凝膠隱形眼鏡及相關組合物及方法
TWI509313B (zh) 聚矽氧水凝膠隱形眼鏡
KR101761456B1 (ko)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CN104144971A (zh) 由零稀释剂反应性混合物形成的有机硅水凝胶
JPWO2018207644A1 (ja) 医療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6527563A (ja) 水が添加されたハイドロゲルモノマー混合物
CA3046051A1 (en) Contact lenses with incorporated components
JP6540316B2 (ja) 医療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295601B (zh) 制造经涂覆隐形眼镜的方法
EP1955842A1 (en) Wett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CN114828904A (zh) 医疗设备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