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376B1 -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376B1
KR101983376B1 KR1020170001839A KR20170001839A KR101983376B1 KR 101983376 B1 KR101983376 B1 KR 101983376B1 KR 1020170001839 A KR1020170001839 A KR 1020170001839A KR 20170001839 A KR20170001839 A KR 20170001839A KR 101983376 B1 KR101983376 B1 KR 10198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guide
rotation
golf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825A (ko
Inventor
윤유식
Original Assignee
(주)레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봇 filed Critical (주)레봇
Priority to KR102017000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376B1/ko
Priority to PCT/KR2017/000318 priority patent/WO2018128210A1/ko
Publication of KR2018008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41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시 신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측부 또는 상기 제 1 지지대와 인접한 위치에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하여 형성된 제 2 지지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측방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측방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한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의 교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USER'S GOLF SWING BASED ON MULTIPLE SENSORS}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골프 스윙에 대한 종래의 훈련방법은 지도자의 지시에 따라 풀샷의 동작을 수단계의 동작으로 나누어 각각의 단계별 동작을 훈련에 의해 순차적으로 숙련화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훈련 중 교습자가 샷 동작에 대한 이해와 감각을 돕기 위해 다양한 각종도구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프 스윙에 대한 훈련방법은 교습자가 하나의 샷 동작을 다수개의 동작으로 나누어 훈련하는 관계로 전체 동작의 원리를 이해하거나 연속 동작을 적절한 자신만의 템포로 몸에 숙련시키기 어려워 골프 샷을 숙련하는데 많은 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 즉, 교습자들은 강사의 이론적인 말 등을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막상 스윙을 할 때에는 행동이 이론대로 따라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원인에 의해, 수많은 훈련을 거듭해야만 이론대로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독립적으로 골프를 배우거나, 정확하지 못한 교육을 받은 교습자들은 골프 스윙시의 습관성 문제점들을 항상 내포하면서 스윙하게 된다. 오랫동안 자신만의 안좋은 습관을 가진채로 골프를 즐겨온 사람들은 그러한 나쁜 습관을 고치기가 쉽지 않다. 강사의 교정이나 이론적인 말들을 머리속으로는 인지하더라도 행동이 이미 나쁜 습관으로 굳어버린 이상, 교정하기가 쉽지 않다.
즉, 강사들은 교습자들이 스윙하는 동작 동안에 가이드를 해줄 수 없기 때문에 교습자들의 지속적인 문제점들이 개선되기 어려운데, 사람이 사용자의 골프 스윙동안에 계속 가이드해주는 것은 사고 등의 우려가 있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스윙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골프 스윙을 하는 동안에도 스윙을 가이드해줄 수 있도록 하는 골프 교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시 신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측부 또는 상기 제 1 지지대와 인접한 위치에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하여 형성된 제 2 지지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측방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측방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한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의 교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방법은, 사용자의 골프 스윙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의 교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센서는,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시 신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 1 지지대의 측부 또는 상기 제 1 지지대와 인접한 위치에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하여 형성된 제 2 지지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측방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측방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의 부근에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가이드부의 내측에 복수의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골프 스윙시 센서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 문제점을 알려주고, 그에 대한 교정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윙을 하는 동작과정시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진단해줄 수 있다. 특히, 골프 강사의 경우, 사용자가 스윙할 때는 직접 교정해주지 못하고 훈련시 또는 이론적으로만 알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으나,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스윙을하면서 직접 교정을 받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교정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나아가, 센서를 통하여 수집한 교정정보들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정리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스윙이 종료된 후에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교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골프 교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골프 교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 1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피봇 회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피봇 회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피봇 회전 장치 상에 형성되는 홀의 위치 및 회전감지센서의 위치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가이드부 상에서 가이드센서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본 골프 교정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손목 동작이 잘못된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본 골프 교정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백스윙시 스웨이 동작이 나타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에 교정정보가 나타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센서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골프 스윙 교정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기구적으로(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골프 스윙 교정장치는 제 1 지지대(110), 어깨 위치 조절부(120), 어깨 끈 조임부(130),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즉, 머리 가이드부(150), 팔 가이드부(160), 허리 가이드부(170)), 피봇회전장치(140), 피봇회전장치 지지대(181), 제 2 지지대(182), 바닥판(184), 골프공 지지대(185)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대(110)는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 1 지지대(110)는 어깨 끈 조임부(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골프 스윙을 하기 위해 상체를 회전시키는 경우 함께 회전된다. 제 1 지지대(110)는 사용자의 등 부분부터 허벅지부분까지의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마다 키가 다를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에 맞추기 위해, 제 1 지지대(110)는 사용자의 입력이나 조작에 따라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 1 지지대(110)의 높이 조절 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어깨 위치 조절부(120)와 어깨 끈 조임부(130)는 제 1 지지대(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어깨 끈 조임부(130)는 받침부(132) 및 받침부(132)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된 어깨 끈(131)으로 구성된 세트를 포함하며, 한 쌍의 세트가 서로 이격하도록 구성된다. 받침부(132)는 어깨 또는 어깨 부근의 등 부분을 받치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어깨 끈(131)은 팔이 삽입될 수 있는 하나의 개구영역을 형성하도록 받침부(132)에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어깨 끈 조임부(130)는 모터에 의해 조임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어깨가 끈 사이로 삽입되어 골프 스윙을 준비한 것으로 인식한 경우 모터 동작에 의해 어깨 끈(131)이 조여질 수 있다.
어깨 위치 조절부(120)는 어깨 끈 조임부(130)의 후방에 설치되어 어깨 끈 조임부(130)의 세트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사람마다 다른 어깨 넓이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깨 위치 조절부(120) 역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모터를 통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봇회전장치(140)는 제 1 지지대(110)가 피봇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피봇회전장치(140)는 회전부(141)와 고정부(14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42)는 피봇회전장치 지지대(181)를 통하여 바닥판(184) 상에 고정되며, 회전부(141)는 고정부(142) 상에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된다. 피봇회전장치(140)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지지대(11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의 스윙시 상체 회전을 가이드해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는 사용자가 스윙을 하면서 발생되는 불량자세를 포착하기 위해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가이드부는 사용자의 스윙동작 중 발생되는 신체의 움직임의 최대범위에 가이드부가 배치된다. 즉, 사용자가 스윙하면서 가이드부에 접촉했다면 그 스윙 동작은 잘못된 것이다. 가이드부는 사용자들이 주로 잘못된 행동을 취하는 부위에 설치되며, 골프는 상체의 스윙이 자세에 있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머리, 팔, 허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는 사용자의 신체의 측방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머리 가이드부(150)는 머리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머리의 이마 부근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머리는 골프 스윙시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거나, 움직임의 폭이 매우 제한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머리 가이드부(150)는 제 1 지지대(110) 상에 형성되되, 피봇회전장치(140)가 회전하는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피봇회전장치(140)의 회전축을 상부로 연장하였을 때, 연장된 회전축을 함께 공유하도록 머리 가이드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상체의 회전축과 머리 가이드부(150)의 회전축이 동일하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 폭을 제한할 수 있고, 머리 가이드부(150)가 별도의 지지대에 고정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해줄 수 있다. 또는, 머리 가이드부(150)는 스윙에 따라 회전되는 제 1 지지대(110) 상에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제 2 지지대(182)를 통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제 2 지지대(182)는 제 1 지지대(110)와 인접하되 소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높이 방향으로 기립하여 별도로 형성되며, 제 1 지지대(110)보다 높은 높이로 소정 각도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대(182)는 지지대 연결부(183)를 통하여 머리 가이드부 위치조절부(151)와 연결된다. 머리 가이드부 위치조절부(151)는 머리 가이드부(15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머리 가이드부 위치조절부(151)의 라인을 조작함에 따라 조작된 상태로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머리 가이드부(150)는 도 7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일 영역이 개구된 형태의 미완성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팔 가이드부(160)는 제 1 지지대(1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팔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허리 가이드부(170)는 제 1 지지대(110)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팔 가이드부(160)와 허리 가이드부(170)는 사용자의 팔과 허리를 각각 둘러쌀 수 있도록, 각각 오른쪽 서브 가이드부와 왼쪽 서브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각 서브 가이드부는 사용자의 측방과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직선으로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되, 제 1 지지대(110)와 인접한 영역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른쪽 및 왼쪽 서브 가이드부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팔 가이드부(160)의 서브 가이드부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윙 동작의 각 단계마다 손이나 팔이 움직일 수 있는 제한영역의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그 범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서브 가이드부의 형상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서브 가이드부는 서로 대칭되지 않을 수 있으며, 1회 이상 절곡되는 형태로 규정될 수 있다. 허리 가이드부(170)의 경우 오른쪽 및 왼쪽 서브 가이드부가 다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머리 가이드부(150), 팔 가이드부(160), 허리 가이드부(170)는 각각 복수의 가이드센서가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가이드부에 접촉하였는지가 감지될 수 있다. 가이드센서의 부착위치 및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바닥판(184)은 사용자의 발이 배치되는 위치이다. 바닥판(184)은 사용자의 발이 놓여질 위치가 표시되거나 지정되거, 해당 위치에 무게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게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스윙을 하면서 각각의 발에 얼마나 힘을 주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윙 과정 중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올바른 스윙인지 여부까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바닥판(184)의 일 단에 피봇회전장치 지지대(181)가 배치될 경우, 타 단에는 골프공 지지대(185)가 설치되고, 골프공 지지대(185)의 상부에 골프공 받침부(186)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골프공을 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골프공 지지대(185)는 소정각도 지면으로부터 기울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본 발명을 몸에 장착할 때의 높이, 각도, 어깨 폭, 어깨 끈(131) 조임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 1 지지대(110)의 높이 조절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지지대(110)는 제 1 연결부(111), 제 1 지지봉(112), 제 2 지지봉(113), 제 2 연결부(114) 및 높이조절봉(115)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봉(112)은 일단이 피봇회전장치(140)의 일 영역에 형성된 지지대 고정부(118)에 고정되고, 상측으로 연장된 타단이 제 2 연결부(114)에 고정된다. 제 1 지지봉(112)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제 1연결부가 연결되며, 제 1 연결부(111)는 제 1 지지봉(112) 내에서 유동가능하도록 제 1 지지봉(112)이 제 1 연결부(111)를 관통하도록 체결된다. 제 1 연결부(111) 및 제 2 연결부(114)는 제 1 지지봉(112) 및 제 2 지지봉(113)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막대 타입의 구성이다. 제 1 지지봉(112)은 서로 이격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봉(113)은 일단이 제 1 연결부(1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어깨 위치 조절부(120)에 연결된다. 제 2 지지봉(113)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제 2 연결부(114)가 연결되며, 제 2 지지봉(113)은 제 2 연결부(114)에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114)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제 2 지지봉(113) 역시 서로 이격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봉(112)은 높이 조절이 불가한 고정된 위치에 형성되며, 제 2 지지봉(113)은 제 1 연결부(111)의 높이 방향 유동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제 2 지지봉(113)을 이동시킴에 따라 제 1 지지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봉(115)은 제 1 연결부(111)를 관통하여 일단이 제 2 연결부(114)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대 고정부(118)를 관통하여 높이 제어부(320)가 설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봉(115)은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부(111)의 높이조절봉(115)이 삽입되는 내주면 역시 맞물리는 나사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봉(115)은 제 2 연결부(114)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 고정부(118)의 하부에 배치된 회전원판(119a)과 손잡이(119b)를 통하여, 사용자가 손잡이(119b)를 회전시킬 경우, 회전원판(119a)에 의해 높이조절봉(115)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봉(115)이 회전됨에 따라 제 1 연결부(111)가 제 1 지지봉(112) 내에서 높이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제 2 지지봉(113)의 타단의 높이가 변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반드시 상술한 예에 한하지 않으며, 제 1 지지대(110)는 버튼 및 모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전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회전원판(119a) 및 손잡이(119b) 대신에 높이조절봉(115)을 축회전시키도록 배치된 모터의 의 동작에 의해 높이가 전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지지대(110)의 기울여진 각도의 조절은 피봇회전장치 지지대(18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피봇회전장치 지지대(181)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기울기가 제어될 수 있다. 피봇회전장치 지지대(181)가 하부 구조체(181b)와 하부 구조체(181b)의 일 영역을 기준으로 축 회전하는 상부 구조체(181a)로 구성될 때, 하부 구조체(181b)와 상부 구조체(181a)는 서로 대응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이때, 수동방식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피봇회전장치 지지대(181)를 기울인 다음, 그 상태에서 하부 구조체(181b)와 상부 구조체(181a)의 홀에 핀(미도시)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경우, 제 1 지지대(11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자동 방식에 따르면, 상부 구조체(181a)는 하부 구조체(181b)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되, 축회전의 각도 및 방향을 제어하는 모터(미도시)와 함께 연결되어, 사용자가 모터제어신호를 입력하면 모터 제어에 의해 제 1 지지대(110)의 각도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지지대 각도조절부(117)는 제 1 지지대(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사람마다 골프 스윙 준비자세에 있어서, 상체를 지면에 대해 숙이는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를 사용자마다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해서 지지대 각도조절부(117)를 통해 제 1 지지대(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 각도조절부(117)는 각도설정부(117a)와 링크부(117b)를 포함한다.
각도설정부(117a)는 제 1 지지봉(112)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유동가능하도록 제 1 지지대(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링크부(117b)는 각도설정부(117a)와 피봇회전장치(14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링크부(117b)가 각도설정부(117a)와 연결된 일단은 유동가능하며, 링크부(117b)가 피봇회전장치(140)와 연결된 타단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각도설정부(117a)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 1 지지대(110)는 전방으로 더 기울어지게 되며, 각도설정부(117a)가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 1 지지대(110)는 더욱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설정부(117a) 역시 버튼과 각도설정부(117a)와 인접하게 배치된 모터에 의해 전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어깨 위치 조절부(120)는 어깨 끈 조임부(130)의 한 쌍의 받침부(132)의 후방에 연결되어 한 쌍의 받침부(1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과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깨 위치 조절부(120)는 반침부(132)를 조절하는 기능과 어깨 끈 조임부(130)를 사용자의 등을 향하는 전방 또는 사용자의 등과 반대 방향인 후방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어깨 끈 조임부(130)의 각각의 받침부(132)는 어깨 위치 조절부(120)에 형성된 복수의 홈 영역에 고정되어 있으며, 복수의 홈 영역은 사용자의 어깨 방향으로 수평하게 나란히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받침부(132)를 어느 홈에 위치시키느냐에 따라 어깨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어깨 위치 조절부(120)는 후방에 배치된 조절막대, 조절막대 삽입부 및 핀을 포함하며, 조절막대의 전방에는 어깨 폭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조절막대 삽입부에 조절막대를 밀어 넣거나 뒤로 빼서 원하는 깊이에서, 조절막대와 조절막대 삽입부를 관통하는 핀을 삽입할 경우, 받침부(13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어깨 위치 조절은 조절막대에 모터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모터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전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어깨 위치 조절부(120)는 받침부(132)가 배치된 각도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깨 위치 조절부(120)는 받침부(132)의 후방에 고정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볼트가 유동할 수 있는 곡면 영역을 포함하여, 받침부(132)가 사용자의 등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깨 끈 조임부(130)는 상술한 어깨 끈(131), 받침부(132) 외에 어깨 끈(131)의 양단과 연결된 모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모터는 전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였거나, 사용자가 어깨를 끈 사이에 삽입한 것으로 인지한 경우, 끈에 의해 형성된 개구영역의 공간을 좁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모터는 끈을 조이기 위해 활용하는 전류가 임계치가 될 때까지 어깨 끈(131)을 조이며, 개구영역의 공간이 좁혀짐에 따라 전류가 더 많이 소모되게 되고, 어깨를 거의 조이게 된 경우, 임계치에 다다르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 어깨 끈(131)을 조이기 위한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골프 스윙 교정 장치를 장착완료한 후, 스윙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스윙시 스윙 방향을 가이드해주기 위하여 피봇회전장치(14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 도 4및 도 5를 통하여, 피봇회전장치(14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피봇회전장치(140)는 회전부(141), 고정부(142), 고리 지지부(143), 회전고리(143a), 회전축대(144), 홀딩부(146), 회전개구영역(R)을 포함한다.
회전축대(144)는 고정부(142) 상에 형성되는 원통형 축을 의미한다. 회전부(141)는 중앙영역에 개구영역이 형성되고, 개구영역에 회전축대(144)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부(142) 상에 피봇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141)의 일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리 지지부(143)가 형성된다. 고리 지지부(143) 상에서는 제 1 지지대(110)와 반대방향으로(즉, 수직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고리(143a)가 형성된다. 회전고리(143a)는 고정부(142)의 회전개구영역(R) 내에 삽입되어, 회전개구영역(R)이 규정하는 범위 내에서만 유동가능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회전개구영역(R)은 회전축대(144)를 기준으로 약 270° 이내의 범위로 개구영역을 갖도록 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10°일 수 있다. 만약, 회전개구영역(R)과 회전고리(143a)가 없다면, 제 1 지지대(110)는 360°만큼 회전가능하게 되고, 사용자가 백스윙을 위해 상체를 회전시키거나, 피니쉬를 위해 상체를 회전시킬 때 회전제한영역이 존재하지 않음과 동시에 골프 스윙 교정 장치의 무게에 의한 관성에 의해 과도하게 상체가 회전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회전개구영역(R)과 회전고리(143a)에 의해 사용자가 상체를 회전할 수 있는 영역이 적절한 범위에서 제한되고, 상체 회전 방향 역시 가이드될 수 있다. 홀딩부(146)는 회전부(141)가 고정된 상태에 머물도록 홀딩하는 구성이다. 홀딩부(146)는 회전부(141)를 관통하는 홀, 고정부(142)에 형성된 홈, 회전부(141)의 홀을 관통하여 고정부(142)의 홈에 삽입되는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 스윙 교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의 경우, 도 1 과 같이 피봇회전장치(140)가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제 1 지지대(110)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대(110)를 고정된 위치에 머물도록 하기 위해 홀딩부(146)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개구영역(R) 내에는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오른쪽 개구영역과 왼쪽 개구영역의 양 측에 배치되어 한 쌍의 스프링 사이에 회전고리(143a)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고리(143a)가 유동할 때 회전개구영역(R)의 끝으로 향하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끝으로 향하는 속도가 감속되거나, 회전개구영역(R)의 끝에서 중심으로 향하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는 속도가 부가될 수 있다. 감속되는 경우, 골프 스윙 교정 장치의 무게에 의한 관성의 영향을 축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속도가 부가되는 경우, 스윙의 속도를 더욱 향상시켜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사용자의 스윙을 분석하고 교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윙의 속도, 상체의 회전각도, 스윙의 스타트 시점과 피니쉬 시점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피봇회전장치(140)는 회전감지센서(145)와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141)와 고정부(142)가 중첩하는 영역에 회전센서영역(S)을 정의한다. 회전센서영역(S) 내에 복수의 홀과 회전감지센서(145)가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홀은 회전부(141)에 형성되며, 회전감지센서(145)는 고정부(142)에 배치된다. 회전감지센서(145)는 사용자의 골프 스윙에 대한 회전속도와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센서영역(S) 내에 두 개의 가상의 원이 정의될 수 있다.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원(R1) 및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원(R2)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41)는 제 1 원(R1)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h1) 및 상기 제 2 원(R2)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h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회전감지센서(145a)는 제 1 원(R1)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고정부(142) 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제 2 회전감지센서(145b)는 제 2 원(R2)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고정부(142) 상의 위치에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회전감지센서(145a, 145b)는 광센서로 구성된다. 광센서는 광을 방출한뒤, 방출된 광이 반사되어 광센서에서 수광함으로써, 전방의 물체 등을 인식한다. 회전감지센서(145)가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면 수광을 늦게 하거나 수광이 되지 않게 되며, 홀이 아닌 영역과 대응하도록 배치된다면, 곧바로 수광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회전감지센서(145)는 현재 홀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회전감지센서(145a, 145b)는 이러한 수광 정보를 제어부(320)로 전송하고, 제어부(320)는 회전각도 및 회전속도 산출과정을 수행한다.
도 6에서, 좌측 그림은 복수의 홀 중 몇 번째 홀이 회전감지센서(145)에 인식되었느냐에 따라 그 당시의 회전각도를 알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회전감지센서(145)는 고정된 위치에 있게 되고, 홀이 회전감지센서(145) 위를 지나가게 되는데, 4개의 홀이 있다고 가정할 때, 첫 번째 홀이 센서 위를 지나갈 때는 12시방향을 기준으로 25°만큼 상체가 회전하였다고 간주할 수 있고, 두 번째 홀이 센서 위를 지나갈 때는 45°만큼 상체가 회전하였다고 간주할 수 있고, 세 번째 홀이 센서 위를 지나갈 때는 75°만큼 상체가 회전하였다고 간주할 수 있고, 네 번째 홀이 센서 위를 지나갈 때는 90°만큼 상체가 회전하였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때, 시계방향(B)으로 홀이 움직이는 경우, 이는 백스윙 자세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반시계방향(F)으로 홀이 움직이는 경우, 이는 피니쉬 자세로 간주될 수 있다. 시계방향(B)의 홀 움직임은 제 2원 상에서 이루어지므로, 제 2 회전감지센서(145b)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반시계방향(F)의 홀 움직임은 제 1 원(R1) 상에서 이루어지므로, 제 1 회전감지센서(145a)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즉, 어느 회전 감지센서에 의해 인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스윙이 백스윙인지 피니쉬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윙 시작 후 소정 시간 후에 네번째 제 2 홀(h2)이 인식되었다면, "90°/ 소정시간 " 계산을 통해 회전 각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몇 개의 홀이 소정 시간 내에 제 1 또는 제 2 회전감지센서(145b)를 지나갔는지 판단함으로써 골프 스윙의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가이드부에 가이드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스윙하는 동안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잘못된 자세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추가 실시예로서, 회전센서영역(S) 내에서 고정부(142)의 상면에는 압력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피봇회전장치 지지대(181)가 제 1 지지대(11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부 구조체(181a)와 하부 구조체(181b) 간에 약간의 유격(또는 공차)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스윙을 하면서 지지대가 유격만큼 들썩거릴 수 있게 되고, 고정된 지지대의 각도에서 소정 각도만큼 전방이나 후방으로 기울여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체를 정자세보다 조금이라도 앞으로 더 숙이거나 높이는 경우 및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스웨이가 발생되는 경우를 더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것이다. 압력센서는, 회전센서영역(s) 내에서 사방으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몸을 숙임에 따라 어느 일 영역의 압력센서에 특정값 만큼의 압력량이 측정되었다면, 제어부(320)는 압력센서로부터 이를 수신하고, 압력량 및 압력센서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얼마나 과도하게 이동하였는지, 얼마나 몸을 숙였는지, 어떤 불량 자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교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가이드센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센서는 가이드부의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한 내측에 배치된다.
머리 가이드부(150)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센서(151)는 사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머리 가이드부(150)가 원형이 아니라, 반 개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제 1 가이드센서(151)는 대칭적인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팔 가이드부(160)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센서(161, 162)와 허리 가이드부(170)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3 가이드센서(171, 172)는 각 서브 가이드부의 일단과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팔 가이드부(160)의 경우, 각 서브 가이드부의 일 단에 2개의 제 2 가이드센서가 배치된 제 1 세트(161)가 구성되며, 타 단에 2 개의 제 2 가이드센서가 배치된 제 2 세트(162)가 구성된다. 이때, 각 서브 가이드부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세트(161, 162)는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허리 가이드부(170)에서는 제 3 가이드센서가 2 개의 세트(171, 172)로 서브 가이드부의 일단과 타단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각 세트는 1개의 가이드센서로 구성될 수도 잇고, 2개 이상의 세트가 각 서브 가이드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가이드센서는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20)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가이드부의 어느 영역을 접촉하였는지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감지신호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불량자세정보 중 접촉 위치와 대응하는 불량자세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불량자세정보에 대한 교정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통해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백스윙 동작시 손이나 손목이 팔 가이드부(160)의 일단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제 2 가이드센서(161, 162)는 감지신호를 제어부(320)로 전송하고, 제어부(320)는 팔 가이드부(160)의 일단에서의 접촉신호를 바탕으로, 허리를 이용해 스윙하지 않고 손으로만 스윙함에 따르는 불량자세라는 정보를 인지하고, 해당 손목을 덜 돌리거나 허리를 돌릴 것을 요청하는 교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백스윙 동작시 엉덩이가 허리 가이드부(170)의 타단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제 3 가이드센서(171, 172)는 감지신호를 제어부(320)로 전송하고, 제어부(320)는 허리 가이드부(170)의 타단에서의 접촉신호를 바탕으로, 스웨이라는 정보를 인지하고, 스윙의 중심을 바로 잡을 것을 요청하는 교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가 백스윙 동작시 팔 가이드부(160)의 타단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이는 팔꿈치가 팔 가이드부(160)에 접촉한 경우이다. 이러한 현상을 전문용어로 플라잉 엘보(flying elbow)라고 하며, 어드레스 자세에서 만들어진 팔과 몸체의 삼각형이 백스윙, 임펙트, 팔로우까지 이어져야 하나, 백스윙과 팔로우에서 손과 손 사이가 벌어지면서 삼각형이 무너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플라잉 엘보에 대한 교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팔로우 동작시 허리 가이드부(170)의 일단에 우측 엉덩이가 접촉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현상을 전문용어로 배치기라고 한다. 배치기란 팔로우상황에서 팔을 들어올리면서 몸도 함께 일으켜서 허리를 들어올려 배를 보여주는 형태를 말한다.
또한, 사용자가 백스윙 동작시 허리 가이드부(170)의 일단에 좌측 허벅지가 접촉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현상 역시 전문용어로 배치기라고 한다. 백스윙 때 몸을 들어올리면서 배를 보여주는 형태를 말한다.
또한, 사용자가 백스윙 동작시 허리 가이드부(170)의 타단에 좌측 골반이 접촉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현상을 역피봇이라고 한다. 역피봇이란 체중이동을 정상적인 체중이동과 반대로 하게 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각각의 불량자세 별로 어느 위치의 가이드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가 발생했는지에 따라 인지될 수 있으며, 제어부(320)는 각각 대응하는 교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닥판(184)에는 사용자의 스탠드 상태에서 오른쪽 발 및 왼쪽 발을 디딤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발판과, 누름부재,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판은 사용자의 오른쪽 발과 왼쪽 발의 압력을 독립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제1, 제2 발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제1 발판 및 제2 발판은 각각 누름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누름부재는 적어도 2 이상으로 분할된 제1분할면 및 제2분할면이 형성되고, 압력센서는 상기 다수의 분할면 각각의 직하방에 외주면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발판 및 제2 발판에 오른쪽 발 및 왼쪽 발이 위치하여 각 발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발판에는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다수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압력센서는 압전소자로 마련될 수 있다. 압전소자는 압전체에 외부로부터 압력과 같은 기계적인 에너지가 가해지면 압전체는 외부로부터의 외력에 따라 증감하는 전하가 생성되며, 생성된 전하를 전기적인 신호의 형태로 포착함으로써 외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압력센서는 사용자의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측정치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압력센서의 측정치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량을 산출하고, 회전감지센서(145)로부터 회전각도를 산출한다.
회전각도에 따라 골프 자세가 규정되고, 골프 자세의 각 단계마다 적정 압력량이 규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적정 압력량이라 함은 통계적 또는 경험적인 골프 샷 스윙동안의 정석적인 무게 중심이동을 가리킨다. 그리고 적정 압력량은 사용자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적정 압력량은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조절되도록 조절수단이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조절 수단은 컴퓨터와 연결된 키보드 또는 터치 패널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압력센서를 통하여 인지한 무게값과 적정 압력량을 비교하여 골프 스윙 동안 적절한 무게 중심으로 스윙을 하였는지에 대한 교정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골프 스윙 도중에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한 압력량을 매순간마다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자의 정면 또는 측면을 촬영하도록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는 제어부(320)와 유선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스윙의 스타트시점과 피니쉬시점을 인지하고, 해당 시점사이에서만 카메라가 사용자의 동작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회전감지센서(145)와 가이드센서를 통하여 수집한 교정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스윙 동작이 종료된 후 제공한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중앙영역(220)은 사용자의 카메라 촬영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가 2개 인경우, 듀얼로 화면 분할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양 측면 영역(211, 212)은 무게중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오른쪽 발과 왼쪽 발에 실린 무게중심을 게이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적정 압력량을 기준으로 실제 무게중심이 적정 압력량을 초과한 경우에 대한 정보까지도 제공해줄 수 있다. 한편, 하단에는 시간축을 나타내는 가이드바(230)가 제공된다. 가이드바(230)는 사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가이드바(230) 내의 특정 시간으로 지정할 경우, 특정 시간의 영상 및 교정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센서의 접촉여부에 관한 교정정보는 여러가지 UI(User Interface)로 디스플레이 모듈(33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윙 도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부위와 가이드부가 접촉한 경우,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 모듈(330) 상에 캐릭터나 아바타 또는 사용자의 전신 사진을 표시하고, 접촉이 발생된 가이드센서의 위치를 표시된 캐릭터나 아바타, 사용자의 전신 사진에 오버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스윙 동영상이 재생되면서, 동영상 속의 사용자의 신체의 이미지 상에서 접촉이 발생한 위치를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스윙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접촉이 발생된 순간 동영상 재생을 멈추고, 정지화면상에서 접촉이 발생된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이 흐르거나 사용자의 재생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다시 동영상 재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동영상 멈춤 및 정지화면상의 위치 표시는 접촉이 발생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골프 스윙 교정 장치는 센서시스템(3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스윙 동작의 문제점을 면밀히 검출하고 스윙 동작을 분석할 수 있다. 센서시스템(300)은 도 11과 같이, 센서부(310), 제어부(320),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310)는 상술한 회전감지센서(145)와 가이드센서들을 포함한다. 상술한 센서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센서들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고 교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골프 스윙 교정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지지대의 높이, 각도, 어깨 폭, 어깨 위치 조절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10). 이러한 조절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터에 의한 자동 조작으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와 어깨 위치 조절부(120), 지지대 각도조절부(117)에 각각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를 제어하는 동작 버튼을 사용자가 입력함으로써, 조작할 수도 있다.
설정완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경우, 어깨 끈(131)을 조이도록 어깨 끈 조임부(130)를 제어한다(S120). 설정완료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고, 지지대, 어깨폭 조절부, 지지대 각도조절부(117)의 모터 동작 신호를 모두 수신한 후 자동으로 골프 스윙 교정 장치가 인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는 작동을 시작하고 디스플레이 모듈(330)에 표시할 수 있다(S130).
회전감지센서(145)를 통해 사용자의 스윙 스타트를 감지한다(S140).
사용자의 골프 스윙이 진행되고, 스윙이 진행되는 동안, 제어부(320)는 바닥판(184)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각 발의 무게값을 수신하고, 가이드부로부터 팔, 머리, 허리 부분에 대한 센서인식값을 수신하고, 회전감지센서(145)로부터 회전속도와 회전각도에 관한 값을 수신할 수 있다(S150).
회전감지센서(145)를 통해 사용자의 스윙 피니쉬를 감지할 수 있다(S160).
이어서 제어부(320)는 무게중심 정보와 스윙 영상, 센서인식정보 및 이를 기초로 생성한 교정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S170).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가 스윙을 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불량자세를 정확하게 짚어내고 교정정보를 제공해줌에 따라 사용자의 손쉽고 편리한 자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센서부나 제어부와 같은 전자적 구성요소를 표현할 때의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부나 고정부와 같은 기구적, 장치적 구성요소를 설명할 때의 '부'는 기구, 하드웨어 또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전자적 구성요소의 경우,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제 1 지지대 120 : 어깨 위치 조절부
130 : 어깨 끈 조임부 140 : 피봇회전장치
145 : 회전감지센서 151, 161, 162, 171, 172 : 가이드 센서
150 : 머리 가이드부 160 : 팔 가이드부
170 : 허리 가이드부 181 : 피봇회전장치 지지대
182 : 제 2 지지대 184 : 바닥판
185 : 골프공 지지대

Claims (15)

  1.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시 신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 1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측부 또는 상기 제 1 지지대와 인접한 위치에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하여 형성된 제 2 지지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측방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측방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한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센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의 교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및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지지대의 피봇 회전을 가이드하는 피봇 회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 회전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대와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에 상기 제 1 지지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 고리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어 피봇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대를 제공하고, 상기 회전 고리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인 회전개구영역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복수의 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이 회전하는 경로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피봇 회전 장치는 상기 복수의 회전감지센서의 인식에 따라 골프 스윙의 상태,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가이드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머리 가이드부;
    상기 제 1 지지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팔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팔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지지대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허리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가이드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팔 가이드부 및 허리 가이드부는 각각 사용자의 팔과 허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오른쪽 서브 가이드부와 왼쪽 서브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서브 가이드부는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인, 복수의 가이드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센서는 사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팔 가이드부 및 허리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센서는 각 서브 가이드부의 일 단과 타 단에 배치되되, 마주하는 서브 가이드부 내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복수의 가이드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가이드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상기 복수의 가이드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가이드부의 어느 영역을 접촉하였는지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감지신호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불량자세정보 중 접촉 위치와 대응하는 불량자세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불량자세정보에 대한 교정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것인, 복수의 가이드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가 중첩하는 영역에 회전센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회전센서영역 내에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원 및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원이 정의될 때,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 1 원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홀 및 상기 제 2 원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원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1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제 2 원의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감지센서는 광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회전감지센서에서 방출된 광을 수광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회전감지센서 중 어느 센서의 값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골프 스윙의 스타트 또는 피니쉬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또는 복수의 제 2 홀 중 몇 개의 홀이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회전감지센서를 지나갔는지 판단함으로써 골프 스윙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 또는 복수의 제 2 홀 중 인식된 홀이 몇번째인지 판단함으로써 골프 스윙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것인,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대는,
    일단이 상기 피봇 회전 장치에 고정되고, 제 1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봇 회전 장치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타단이 제 2 연결부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봉;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에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 2 지지봉;
    상기 제 1 연결부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제 2 연결부에 고정되고, 타단에 높이 제어부가 설치되는 높이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봉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부가 상기 높이조절봉 및 상기 제 1 지지봉 내에서 유동하게 되어, 상기 제 2 지지봉의 타단의 높이가 변동되는 것인,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회전장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피봇회전장치에 고정된 제 1 지지대의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는 피봇회전장치 지지대;
    상기 제 1 지지대의 상기 제 2 지지봉의 타단에 설치되되,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된 어깨 끈으로 구성된 세트가 한 쌍으로 서로 이격하여 구성된 어깨 끈 조임부; 및
    상기 어깨 끈 조임부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어깨 끈 조임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세트 간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상기 어깨 끈 조임부의 상기 제 1 지지대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는 어깨 위치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윙의 스타트 시점부터 피니쉬 시점까지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상기 교정정보 및 시간축을 나타내는 가이드바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및 교정정보는 상기 가이드바 내의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축에 대응하는 영상 및 정보로 제공되는 것인,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15.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골프 스윙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의 교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센서는,
    사용자의 후방을 지지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골프 스윙시 신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 1 지지대의 측부 또는
    상기 제 1 지지대와 인접한 위치에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하여 형성된 제 2 지지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측방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측방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지지대의 피봇 회전을 가이드하는 피봇 회전 장치가,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대와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에 상기 제 1 지지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 고리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어 피봇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대를 제공하고, 상기 회전 고리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인 회전개구영역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복수의 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이 회전하는 경로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피봇 회전 장치가 상기 복수의 회전감지센서의 인식에 따라, 골프 스윙의 상태, 회전속도 및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것인,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방법.
KR1020170001839A 2017-01-05 2017-01-05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1983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839A KR101983376B1 (ko) 2017-01-05 2017-01-05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PCT/KR2017/000318 WO2018128210A1 (ko) 2017-01-05 2017-01-10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839A KR101983376B1 (ko) 2017-01-05 2017-01-05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825A KR20180080825A (ko) 2018-07-13
KR101983376B1 true KR101983376B1 (ko) 2019-06-28

Family

ID=6278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839A KR101983376B1 (ko) 2017-01-05 2017-01-05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3376B1 (ko)
WO (1) WO2018128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938B1 (ko) * 2020-08-07 2021-03-26 (주)케이에스전자 골프 스윙 자세 교정용 보조장치
DE102020133417A1 (de) 2020-12-14 2022-06-15 Frank Mühleisen Trainingsgerät für Golf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30Y1 (ko) * 2000-02-25 2000-08-16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1135353B1 (ko) * 2009-09-30 2012-04-17 (주) 골프존 골프 연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중이동 분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377A (ko) * 2000-02-25 2000-06-05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US7695415B2 (en) * 2005-08-09 2010-04-13 University Of Toledo Trunk rotation
KR20090100768A (ko) * 2008-03-21 2009-09-24 장종현 골프용 퍼터의 스윙방향 확인장치
KR20150054181A (ko) * 2013-11-11 2015-05-20 이승용 골프 스윙 자세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30Y1 (ko) * 2000-02-25 2000-08-16 조웅래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1135353B1 (ko) * 2009-09-30 2012-04-17 (주) 골프존 골프 연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중이동 분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8210A1 (ko) 2018-07-12
KR20180080825A (ko)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6545B1 (en) Portable system for vestibular testing and/or training of a user
US59847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an improved golf swing
EP3628378B1 (en) Multifunctional balance exercise machine
CN113076780B (zh) 健身用智能镜子
JP5972276B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装置及び方法
KR101983376B1 (ko) 복수의 센서를 기초로 한 골프 스윙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1461201B1 (ko)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478020B1 (ko) 스윙 궤도 교정 기능을 갖는 골프용 라인 표시장치
US6712722B1 (en) Basketball shot training device
US6402633B1 (en) Golf swing training and exercising device
KR20190029224A (ko) 스크린 골프 사용자의 골프 스윙 자세 교정 시스템
US7381139B2 (en) Golf club face position detection system
KR20170070541A (ko) 탁구 연습 장치
KR101556879B1 (ko) 골프 스윙 동작 촬영 저장 장치 및 방법
JPH0698208B2 (ja) ゴルフ練習機
JP7115357B2 (ja) スイング訓練方法
KR102044897B1 (ko) 퍼팅 연습 시스템 및 이에 구비되는 홀컵 이동 장치
GB2424840A (en) Stance training device
US7651405B2 (en) Device for visualizing and practicing a correct golf swing
TWI413542B (zh) 捷式游泳動作訓練裝置
JP2005328995A (ja) ゴルフ練習機
KR200381951Y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2393411B1 (ko) 스윙 교정 시스템과 두개의 골프영상 및 결과 데이터를 하나로 겹쳐서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골프 스윙 자세 비교 및 교정방법
KR101726943B1 (ko) 스윙자세 교정 장치
KR20190107829A (ko) 골프 스윙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