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24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240B1
KR101983240B1 KR1020120042054A KR20120042054A KR101983240B1 KR 101983240 B1 KR101983240 B1 KR 101983240B1 KR 1020120042054 A KR1020120042054 A KR 1020120042054A KR 20120042054 A KR20120042054 A KR 20120042054A KR 101983240 B1 KR101983240 B1 KR 101983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ell
configuration
scell
timing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080A (ko
Inventor
잉양 리
징싱 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24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04L1/1678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where the control information is for timing, e.g.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집적(carrier aggregation) 방식이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 모드에서 제1셀의 업링크(uplink: UL)/다운링크(downlink: DL) 구성(configuration) 및 제2셀의 UL/DL 구성에 의해 형성된 쌍을 기반으로 하는 참조 UL/DL 구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참조 UL/DL 구성을 근거로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신호 및 부정확인응답(non acknowledgement: NACK)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타이밍 위치에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OWLEGEMENT/NON ACKNOWLEGEMENT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송파 집적(CA: 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시간 분할 다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ing) 시스템에서 확인응답(ACK: Acknowledgement)/부정확인응답(NACK: Non Acknowledgement)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은 TDD 모드를 지원한다.
도 1은 TDD의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무선 프레임(100)의 길이는 10ms이고, 상기 각 무선 프레임(100)은 2개의 5ms 반(half) 프레임(102)들로 분할되고, 상기 2 개의 반 프레임 각각은 8개의 0.5ms 타임 슬롯들과 3개의 특수 필드들을 포함하는 1ms 서브프레임(10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3개의 특수 필드들은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 구간(GP: Guard Period) 및 업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 (UpPTS: Uplink Pilot Time Slot:)을 포함하며, 2개의 연속된 타임 슬롯들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된다.
TDD 시스템의 송신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로의 송신(즉, 다운링크 송신)과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즉, 업링크 송신)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에 기반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는 매 10ms 내에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공유하고, 각 서브프레임은 업링크나 다운링크를 위해 구성된다. 여기서 업링크를 위해 구성된 서브프레임들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라 하고, 다운링크를 위해 구성된 서브프레임들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라 한다.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D 시스템은 7종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을 지원한다. 하기 표 1에서 D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U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S는 3개의 특수 필드들을 포함하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01
LTE TDD 시스템은 복합 자동 재전송(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메커니즘을 지원하고, 기본적인 원리는 다음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UE에 대한 업링크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해 데이터를 UE에게 송신하고, UE는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ACK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만약 상기 UE는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NACK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특히, 기지국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PDSCH의 스케줄 및 제어 정보 또는 SPS 해제(release) 시그널링 등과 같은 다른 제어 신호들을 송신한다. UE는 PDCCH를 통해 송신된 제어 신호들의 디코딩 결과에 따라 PDSCH를 통해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의 복조 및 변조를 결정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PDCCH는 이 서브프레임에 PDSCH를 스케줄링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TDD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비대칭으로 인해, 다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 PDSCH 또는 PDCCH가 송신되고,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SCH 또는 PDCCH의 ACK/NACK 신호가 송신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k인 경우, k는 집합 K에 속하고,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일 때, 표 2는 서로 다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을 갖는 집합 K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업링크/다운링크 구성 번호가 0이고 인덱스 5를 갖는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라고 하면, LTE에서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가장 짧은 구간이 4ms라는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대응 타이밍 위치 간의 시간은 4ms보다 길어야 한다. 따라서 k의 값은 상기 조건을 맞추기 위해 가능한 작아야 하는데, 표 2를 참조하면 그 값이 6이 된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수학식 n-k=5에 따르면 k의 값은 4이고 n의 값은 9이며, 이는 인덱스 5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피드백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가 인덱스 9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임을 나타낸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02
UE의 송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LTE를 기반으로 하는 LTE-A가 제안되었다. LTE-A에서는 다수의 셀 반송파들(CC: Cell Carriers)을 결합하여 더 넓은 대역폭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CC의 결합을 반송파 집적(CA: Carrier Aggregation)이라 한다. 예를 들면, 20MHz의 5개의 CC를 결합하여 100MHz 대역폭이 지원될 수 있으며, 각 CC는 셀이라 한다. 기지국은 다수의 셀들에서 동작하도록 하나의 UE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셀들 중 하나를 기본 셀(Pcell: Primary cell)이라 하고 나머지 셀들을 부가 셀(Scell: Secondary cell)들이라 한다.
LTE-A의 TDD 시스템에서는 함께 결합된 다수의 셀들이 동일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이용하는 것(예를 들어 각 셀이 표 1의 구성 시리얼 번호 1의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제한되어, LTE에서 동일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이용하는 하나의 셀에 대해 구성된 ACK/NACK신호의 타이밍 위치가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완전히 다중화될 수 있다.
다수의 셀들은 완전히 동일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이용하므로 LTE-A의 TDD 시스템에는 크로스 캐리어(cross-carrier) 스케줄링 및 비 크로스 캐리어(non cross-carrier) 스케줄링이 사용된다. 비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 셀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PDCCH는 이 서브프레임의 PDSCH를 스케줄링한다. 그리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 P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PDCCH는 Scell의 동일한 타이밍 위치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PDSCH를 스케줄링한다. 따라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나 비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관계없이, 다수의 셀들이 동일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이용할 때, PDCCH와 스케줄링된 PDSCH가 동일한 타이밍 위치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있을 것이다.
사실, CA를 지원하는 다수의 셀들 간의 주파수 영역 거리들이 충분히 길기 때문에, 이러한 셀들은 서로 간섭하지 않고 반드시 서로 다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LTE-A의 후속 연구에서, 하나의 중요한 프로젝트는 CA를 지원하는 TDD 시스템에서 다수의 셀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이 서로 다른 경우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현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CA를 지원하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셀들이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을 사용하는 경우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캐리어 집적(carrier aggregation) 방식이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 모드에서 제1셀의 업링크(uplink: UL)/다운링크(downlink: DL) 구성(configuration) 및 제2셀의 UL/DL 구성에 의해 형성된 쌍을 기반으로 하는 참조 UL/DL 구성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참조 UL/DL 구성을 근거로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신호 및 부정확인응답(non acknowledgement: NACK)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타이밍 위치에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캐리어 집적(carrier aggregation)이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 모드에서 제1셀의 업링크(uplink: UL)/다운링크(downlink: DL) 구성(configuration) 및 제2셀의 UL/DL 구성에 의해 형성된 쌍을 기반으로 하는 참조 UL/DL 구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참조 UL/DL 구성을 근거로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신호 및 부정확인응답(non acknowledgement: NACK)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확인된 타이밍 위치에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CA를 지원하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셀들이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을 사용하는 경우 UE가 ACK/NACK 신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TD-LTE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가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UE의 블록 구성도.
도 4는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셀 프레임 에지들이 정렬된 경우 Pcell 서브프레임들과 Scell 서브프레임들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셀 프레임 에지들이 정렬되지 않은 경우 Pcell 서브프레임들과 Scell 서브프레임들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PDCCH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PDCCH에 따르지 않고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셀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이 서로 다른 경우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ACK/NACK신호의 타이밍 위치에 대한 몇몇 구성 방법들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내용은 이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가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한다.
200 단계: 기지국에 의해 CA 모드에서 동작되는 경우, UE는 Pcell 또는 Scell에서 정보를 수신한다.
202 단계: UE는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ACK/NACK신호를 송신해야 하는 타이밍 위치를 결정한다.
204 단계: UE는 결정된 타이밍 위치에서 Pcell의 기지국으로 ACK/NACK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E의 내부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UE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UE는 수신부(300), 제어부(302) 및 송신부(304)를 포함한다.
수신부(300)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일 예로 Pcell 또는 Scell에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는 Pcell 또는 Scel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2)는 수신부(300)와 송신부(304)를 제어하며, UE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02)는 수신부(300)에서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ACK/NACK신호를 송신해야 하는 타이밍 위치를 결정한다.
송신부(304)는 제어부(302)에 의해 결정된 타이밍 위치에서 Pcell의 기지국으로 ACK/NACK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UE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UE는 Pcell 또는 Scell의 기지국이 송신한 PDCCH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Pcell 또는 Scell의 PDCCH신호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UE는 PDSCH가 송신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에 따라 Pcell의 ACK/NACK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에 대한 ACK/NACK 신호의 타이밍 위치들을 판단할 수 있다. CA 모드에서 다수의 셀들이 서로 다른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을 갖는 경우, 비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이용되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PDCCH신호에 의해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PDSCH신호가 스케줄링되고,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이용되면, Pcell의 PDCCH신호가 송신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Scell의 PDSCH신호가 송신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타이밍 위치들에 존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Pcell에서 인덱스 1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Scell에서 인덱스 3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스케줄링한다. 도 4에서 인덱스들을 갖는 모든 서브프레임들은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는 스케줄링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UE는 Pcell에서만 기지국이 송신한 PDCCH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UE는 PDCCH신호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에 따라 Pcell의 ACK/NACK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UE가 Pcell 또는 Scell에서 기지국이 송신한 PDCCH신호를 수신하고 Pcell 또는 Scell의 PDCCH신호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ACK/NACK 신호의 타이밍 위치를 구성하는 다음과 같은2가지 실시 예들을 제안한다.
<제1실시 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ACK/NACK신호의 타이밍 관계를 구성할 때, Pcell의 견지에서, LTE와 LTE-A에서 동일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을 갖는 셀의 ACK/NACK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를 다중화하고, Scell의 견지에서, Pcell의 구성 결과를 최대로 다중화한다.
Pcell의 견지에서, P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k이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라고 가정하면, k는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값을 갖는다. 이는 LTE와 LTE-A에서 하나의 셀에서의 상황과 동일하다.
Scell의 견지에서, P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동일한 타이밍 위치들을 갖는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하고, 이러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들은 동일한 타이밍 위치들을 갖는 P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을 다중화한다. 그리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과 동일한 타이밍 위치들을 갖는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하고, 이러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들을 구성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과 동일한 타이밍 위치들을 갖는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만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CA의 다수의 셀들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이 서로 다를 때, 양호한 호환성과 용이한 구현으로 LTE와 LTE-A에서 ACK/NACK 신호의 타이밍 위치들의 기존의 구성 결과를 최대한으로 다중화하는 상황을 고려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만의 견지에서, 하기의 원칙에 따라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들을 구성한다.
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 간의 시간 간격(time duration)은 최소 간격 보다 크거나 같다.
②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은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균일하게 또는 가능한 균일하게 분산된다.
③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견지에서, 이른(earlier) 타이밍 위치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는 나중의 타이밍 위치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보다 늦지 않다.
적어도 위의 원칙 ①에 따라 Scell이 구성될 때, 나머지 다른 원리들이 조합되거나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만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위치들을 구성하는 방법은 하기의 2가지 방법들을 포함한다.
우선, TDD 시스템이 지원하는 7종류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에 따라, Pcell과 Scell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의 각각의 가능한 조합에서,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만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을 구성한다. Pcell의 프레임 에지와 Scell의 프레임 에지가 정렬되지 않은 경우, 타이밍 관계들을 결정할 때 상대적인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셀들의 프레임 에지들이 정렬되는 경우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ell에서 인덱스 0, 1 및 4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타이밍 위치에 P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은 Pcell의 구성 결과를 직접 다중화할 수 있다. 하지만, Scell의 인덱스 3 및 8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타이밍 위치에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Scell의 해당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은 Pcell의 구성 결과를 직접 다중화할 수 없고 재정의되어야 한다. 아래의 표는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만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을 제공하며,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은 이러한 표들과 LTE에서 구성되는 ACK/NACK 신호의 타이밍 관계들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원칙 ①을 고려하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만의 인덱스가 n-k라고 가정하면, k의 값은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간이 LTE에서 가장 짧다는 요건에 따라, k의 값은 4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며 가능한 작아야 한다.
유의할 것은, n-k의 결과가 n-k=-4와 같이 음의 값으로 산출되면, 무선 프레임 사이클을 고려해야 하며, 무선 프레임 사이클이 10ms이면, -4+10=6이 산출된다. 이는 이전 프레임에서 인덱스 6을 갖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해당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는 직접 산출된 인덱스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보다 1 사이클이 더 빠르다.
하기 표 3에서는 Pcell에서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Scell에서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이 3, 4, 7 및 8이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이 2, 3, 4, 7 및 8, 즉 n-k이 3, 4, 7 또는 8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n의 값은 2, 3, 4, 7 및 8일 수 있다. 원칙 ①에 따라, k의 값이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k의 값이 4일 때, S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가 Pcell의 인덱스 2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가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가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가 5일 때, S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2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03
Figure 112012032122186-pat00004
위의 원리 ①과 ③을 고려하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며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n-k인 것을 가정하면, 표 4는 그러한 상황에서의 k 값들을 도시하고 있다. 유사하게, k의 값은 만족되는 조건에 따라 가능한 작아야 한다.
표 4에서는 Pcell에서 제6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Scell에서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가 3, 4, 7 및 8이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가 2, 3, 4, 7 및 8인 경우, 즉 n-k가 3, 4, 7 또는 8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n의 값이 2, 3, 4, 7 및 8일 수 있다. 위의 원리 ①과 ③에 따르면, k의 값이 6일 때, Scell에서 인덱스 7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k의 값이 5일 때, Scell에서 인덱스 8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에서 인덱스 3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Scell에서 인덱스 3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의 값이 4일 때,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에서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05
Figure 112012032122186-pat00006
위의 원칙 ②와 ①을 고려하면,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견지에서, 우선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L/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이 최대한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Scell의 각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를 피드백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 사이의 간격은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보다 크거나 같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고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k인 경우, k의 값은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k의 값은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
표 5에서는 Pcell에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Scell에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며,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이 3, 4, 7 및 8이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이 2, 3, 4, 7 및 8이며, 즉 n-k가 3, 4, 7 또는 8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n의 값은 2, 3, 4, 7 및 8일 수 있다. 위의 원칙 ②에 따라, 우선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k의 값이 가능한 작아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은 최대한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 즉 Pcell의 인덱스 2, 3, 4, 7 및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위의 원칙 ①에 따라, k의 값이 5일 때, S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2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의 값이 4일 때, S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07
Figure 112012032122186-pat00008
상기 3가지의 구성 원칙들을 동시에 고려하면, 첫 번째 방법은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이 최대한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된다. 원칙 ②를 만족하는 조건에 따라,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견지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일련의 해당 타이밍 위치들이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일련의 타이밍 위치들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가능한 최대로 보장된다. 그리고, Scell의 각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 간의 간격이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간격보다 크거나 같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고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k인 경우, k의 값은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k의 값은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
표 6에서는 Pcell에서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Scell에서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며,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은 3, 4, 7 및 8이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은 2, 3, 4, 7 및 8이며, 즉 n-k는 3, 4, 7 또는 8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n의 값은 2, 3, 4, 7 및 8일 수 있다. 우선 상기 원칙 ②에 따라,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고려하면,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은 최대한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 즉 Pcell의 인덱스 2, 3, 4, 7 및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원칙 ①과 ③에 따라, k의 값이 8일 때, Scell에서 인덱스 4를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2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의 값이 6일 때, Scell에서 인덱스 7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의 값이 5일 때, S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결정된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09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0
상기 3가지의 구성 원칙들을 동시에 고려하면, 두 번째 방법은,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견지에서, ACK/NACK를 피드백하는 일련의 해당 타이밍 위치들이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일련의 타이밍 위치들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원칙 ③을 만족시키는 조건하에,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들이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최대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최대한 보장된다. Scell의 각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 간의 간격은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간격 보다 크거나 같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는 n이고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k인 경우, k의 값은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k의 값은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1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2
둘째로, TDD 시스템이 지원하는 7종류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의 견지에서, Pcell에 적용된 각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종류를 고려하면, Scell이 어떤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채택하였든지 간에,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공통 ACK/NACK 타이밍 위치를 구성한다. LTE/LTE-A에는 7종류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이 존재하므로, 이 방법은 이에 대응하여 Scell의 견지에서 ACK/NACK를 피드백하는 7종류의 타이밍 관계들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수의 셀들의 프레임 에지들이 정렬되는 상황이 우선 고려된다.
한 종류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서 D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U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실제로는 다수의 셀들의 프레임 에지들이 정렬된다는 전제하에, TDD가 지원하는 7개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 중에, 인덱스 2를 갖는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던지 간에,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인덱스 2를 갖는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에 있지 않을 것이다.
Pcell의 D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동일한 타이밍 위치들을 갖는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경우,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들과 동일한 타이밍 위치들을 갖는 P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동일하다. 인덱스 2를 갖는 서브프레임을 제외하고, Pcell의 U-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에 있는 Scell의 서브프레임들을 공통 서브프레임들로서 결정하고,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들을 각각 구성한다. 사실, 이 방법은 Scell이 공통 ACK/NACK 타이밍 관계들을 구성하고 상기 공통 ACK/NACK 타이밍 관계들을 다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에 적용하기 위해 제5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이용한다는 가정과 동일하다. Scell이 서로 다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을 이용할 때, Pcell의 U-1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에서, 이들의 서브프레임들 중 일부만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일 것이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상기 공통 구성들에 따라 해당 ACK/NACK 타이밍 위치들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제1구현 방법에서와 같이, 상기 구성은 원칙 ①을 만족한다는 것을 기초로 상기 원칙들의 몇몇 조합들을 선택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 3에 대응하여, 즉, 원칙 ①만이 고려될 때,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인 경우, n-k는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k의 값은 표 8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k의 값은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
Pcell에서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이 2, 3, 4, 7 및 8이며, 따라서 Pcell의 인덱스 3, 4, 7 및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에서 Scell의 서브프레임들이 공통 서브프레임들로 결정되며, ACK/NACK를 피드백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들이 구성되어야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k의 값은 4보다 크거나 같다고 가정한다. 이는 LTE에서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의 요건을 만족한다. K의 값이 5일 때, Scell에서 인덱스 7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2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의 값이 4일 때, Scell에서 인덱스 8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2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다. Scell이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위의 공통 서브프레임에 대해 구성된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에 따라, 인덱스 3을 갖는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인덱스 3을 갖는 공통 서브프레임, 즉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와 동일하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3
위의 표 4에 대응하여, 즉 원칙 ③과 원칙 ①이 고려될 때,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인 경우, n-k는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며, k의 값은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k의 값은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
Pcell에서 표 9에 도시된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은 2, 3, 4, 7 및 8이므로, Pcell의 인덱스 3, 4, 7 및 8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에 있는 Scell의 서브프레임들은 공통 서브프레임들로 결정되며,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들이 구성되어야 한다. k의 값은 4보다 크거나 같다고 가정한다. 이는 LTE에서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이 요건을 만족한다. k의 값이 6인 경우, Scell에서 인덱스 7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k의 값이 5인 경우, S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의 값이 4일 때, Scell에서 인덱스 4를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다. Scell이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공통 서브프레임에 대해 구성된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에 따라, 인덱스 3을 갖는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인덱스 3을 갖는 공통 서브프레임, 즉 Pcell에서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와 동일하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4
위의 표 5에 대응하여, 즉 원칙 ②와 원칙 ①이 고려될 때, 모든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견지에서, 우선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들이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최대한 균등하게 분포될 것을 보장한다. 그리고, 상기 공통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 사이의 구간은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보다 크거나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k의 값은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장 작아야 한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인 경우, n-k는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k의 값은 표 10 에 나타난 바와 같다.
Pcell은 표 10에 나타난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은 2, 3, 4, 7 및 8이므로, Pcell의 인덱스 3, 4, 7 및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에 있는 Scell의 서브프레임들을 공통 서브프레임들로 결정하고, ACK/NACK를 피드백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들이 구성되어야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k의 값은 4보다 크거나 같다고 가정한다. 이는 LTE에서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 요건을 만족한다. k의 값이 5인 경우, Scell에서 인덱스 7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2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의 값이 4이면, S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다. Scell은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위의 공통 서브프레임에 대해 구성된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에 따라, 인덱스 3을 갖는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인덱스 3을 갖는 공통 서브프레임, 즉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와 동일하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5
위의 표 6에 대응하여, 즉 3가지의 모든 원칙들이 고려될 때, 제1방법은 우선,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들이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될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방법은 원칙 ②를 보장하는 것에 기초하여, P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공통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 ACK/NACK를 피드백하는 일련의 해당 타이밍 위치들이 이러한 일련의 타이밍 위치들에 따라 결정되도록 가능한 최대로 보장한다. 또한, 제1방법은 공통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를 피드백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가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보다 크거나 같도록 보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k의 값은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인 경우, n-k는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k의 값은 표 11 에 나타난 바와 같다.
Pcell에서 표 11에 나타난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고,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이 2, 3, 4, 7 및 8이고, 따라서 Pcell에서 인덱스 3, 4, 7 및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에 있는 Scell의 서브프레임들을 공통 서브프레임들로서 결정되고,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들이 구성되어야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k의 값은 4보다 크거나 같다고 가정한다. 이는 LTE에서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의 요건을 만족한다. k의 값이 8일 때, Scell에서 인덱스 4를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2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의 값이 6일 때, Scell에서 인덱스 7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고, S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며, k의 값이 5일 때, S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다. Scell에서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는 경우, 위의 공통 서브프레임에 대해 구성된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에 따라, 인덱스 3을 갖는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인덱스 3을 갖는 공통 서브프레임, 즉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와 동일하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6
위의 표 7에 대응하여, 즉 모든 3가지 원칙들이 고려될 때, 제2방법은 우선 Pcell의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들과 공통 서브프레임들의 일련의 타이밍 위치들에 따라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일련의 해당 타이밍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방법은 원칙 ③을 보장하는 것에 기초하여, P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공통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이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될 것을 가능한 최대한 보장한다. 또한, 제2방법은 공통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를 피드백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 사이의 구간이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 보다 크거나 같을 것을 보장한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인 경우, n-k는 Scell의 단독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k의 값은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k의 값은 그러한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7
다수의 셀들의 프레임 에지들이 정렬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한다.
그러한 경우, Pcell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ell의 4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타이밍 위치들에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다. 따라서, Pcell이 D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U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경우, 모든 U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Pcell의 U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에 있는 Scell의 서브프레임들을 공통 서브프레임들로서 결정한다.
원칙 ①을 만족한다는 것을 기초로, 몇 가지 구성 원칙들의 조합을 선택한다.
위의 표 8에 대응하여, 즉 구성 원칙 ①만을 고려할 때, 공통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과 관련하여,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인 경우,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는 n-k이고, k의 값은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다. 원칙 ①을 만족한다는 것을 기초로, k의 값은 가능한 작아야 한다.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예로 들면, 표 13의 k의 값들은 표 8의 값들과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표 13에서 k의 값이 5일 때, 인덱스 2를 갖는 추가된 공통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므로, 인덱스 2를 갖는 공통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한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8
위의 표 9에 대응하여, 즉 구성 원칙 ③과 ①을 고려할 때,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고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k인 경우, k의 값은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원칙들을 만족한다는 것에 기초하여, k의 값은 가능한 작아야 한다.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예로 들면, 표 14에서 k의 값들은 표 9의 값들과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표 14에서 k의 값이 6일 때, 인덱스 2를 갖는 추가된 공통 서브프레임이 있으므로, 인덱스 2를 갖는 공통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한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19
위의 표 10에 대응하여, 즉 구성 원칙 ②과 ①을 고려할 때,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고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k인 경우, k의 값은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원칙들을 만족한다는 것에 기초하여, k의 값은 가능한 작아야 한다.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예로 들면, Pcell의 인덱스 3, 4, 7 및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에 있는 Scell의 서브프레임들을 공통 서브프레임들로 결정하며, ACK/NACK신호를 피드백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들이 구성되어야 한다. k의 값은 4보다 크거나 같다고 가정한다. 이는 LTE에서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 요건을 만족한다. k의 값이 8인 경우, 인덱스 4를 갖는 공통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2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한다. 그리고, k의 값이 6이면, 인덱스 7을 갖는 공통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고, 인덱스 8을 갖는 공통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며, k의 값이 5이면, 인덱스 2를 갖는 공통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고, 인덱스 3을 갖는 공통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한다. Scell에서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사용되는 경우, 위의 공통 서브프레임에 대해 구성된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에 따라, 인덱스 3을 갖는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인덱스 3을 갖는 공통 서브프레임, 즉 Pcell의 인덱스 8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와 동일하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20
위의 표 11에 대응하여, 즉 위의 모든 3가지 원칙들을 고려할 때, 제1방법은 우선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들이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될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방법은 원칙 ②를 보장하는 것에 기초하여, P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공통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 ACK/NACK를 피드백하는 일련의 해당 타이밍 위치들이 이러한 일련의 타이밍 위치들에 따라 결정되도록 가능한 최대로 보장한다. 또한, 제1방법은 공통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가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보다 크거나 같도록 보장한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고 단독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k인 경우, k의 값은 표 16 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원칙들을 만족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k의 값은 가능한 작아야 한다.
제6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예로 들면, 표 16의 k의 값들은 표 11의 값들과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표 16에서 k의 값이 5일 때, 인덱스 2를 갖는 추가된 공통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므로, 인덱스 2를 갖는 공통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한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21
위의 표 12에 대응하여, 즉 모든 3가지 원칙들이 고려될 때, 제2방법은 우선 Pcell의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들과 공통 서브프레임들의 일련의 타이밍 위치들에 따라 ACK/NACK를 피드백하는 일련의 해당 타이밍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방법은 원칙 ③을 보장하는 것에 기초하여, P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공통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들이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될 것을 가능한 최대한 보장한다. 또한, 제2방법은 공통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ACK/NACK를 피드백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 사이의 구간이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 보다 크거나 같을 것을 보장한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인 경우,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는 n-k이고, k의 값은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k의 값은 그러한 만족된 조건하에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22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Pcell의 견지에서, LTE와 LTE-A에서 동일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을 갖는 셀에서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를 다중화한다. Pcell의 구성 결과를 직접 다중화하기 보다는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들을 재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견지에서, ACK/NACK를 피드백하는 해당 타이밍 위치들을 구성하는 원칙은 상기 언급된 원칙 ① 내지 원칙 ③과 동일하다. 적어도 원칙 ①을 포함한다는 것에 기초하여, 여러 원칙들 중 어느 것도 동시에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원칙들에 기초하여,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견지에서ACK/NACK 타이밍 관계들을 구성하는 2가지 방법들이 존재한다.
우선, TDD 시스템이 지원하는 7가지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에 따라, Pcell와 Scell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의 가능한 각각의 조합에 따라, Scell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들을 구성한다. Pcell의 프레임 에지와 Scell의 프레임 에지가 정렬되지 않은 경우, 타이밍 관계들을 구성할 때 상대적인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다수의 셀들의 프레임 에지들이 정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언급한 3가지 원칙들만을 고려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고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k인 경우, k의 값은 표 18 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23
Figure 112012032122186-pat00024
Figure 112012032122186-pat00025
둘째로, 각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의 견지에서, Pcell에 적용되는 각 종류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고려하면, Scell이 어떤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채택하였든지 간에, Scell의 단독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공통 ACK/NACK 타이밍 위치를 구성한다. LTE/LTE-A에는 7종류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이 존재하므로, 이 방법은 이에 대응하여 Scell의 견지에서 7종류의 ACK/NACK 타이밍 관계들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셀들의 프레임 에지들이 정렬되는 상황을 고려하면, 인덱스 2를 갖는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구성이 사용되든지 간에,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인덱스 2를 갖는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에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인덱스 2를 갖는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Pcell의 U-1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에 있는 Scell의 서브프레임들을 공통 서브프레임들로 결정하고, 공통 ACK/NACK 타이밍 관계들을 재구성한다. 사실, 이 방법은 Scell이 공통 ACK/NACK 타이밍 관계들을 구성하고 공통 ACK/NACK 타이밍 관계들을 다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에 적용하기 위해 제5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사용한다는 가정과 동일하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라는 가정하에, 전술한 3가지 원칙들만이 고려되는 것을 예로 들며, n-k는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며, k의 값은 표 19에 나타난 바와 같다. k의 값은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 가능한 작아야 한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26
다수의 셀들의 프레임 에지들이 정렬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한다. Pcell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에는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있을 수 있으므로, Pcell이 D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U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U개의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들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Pcell의 U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에 있는 그러한 Scell의 서브프레임들을 공통 서브프레임들로 결정한다.
Pcell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n이라는 가정하에, 상기 언급한 3가지 원칙들만이 고려되는 경우를 예로 들며, n-k는 공통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k의 값은 표 20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만족된 조건하에서 k의 값은 가능한 작아야 한다.
Figure 112012032122186-pat00027
본 발명에서, CA의 다수의 셀들이 서로 다른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을 사용하고, 기지국이 P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면, 즉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이용하는 경우, UE는 ACK/NACK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아래에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P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 타이밍 관계들은 미리 UE에 저장된다. Scell의 PDSCH를 수신한 후에, UE는 이 PDSCH의 PDCCH가 위치한 P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하고, 표 2를 근거로, 상기 결정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들을 획득하고, Pcell의 대응 ACK/NACK 신호의 타이밍 위치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한다.
도 4를 예로 들면, S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송신하는 PDSCH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ell의 인덱스 1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며, Scell의 인덱스 3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1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 위치(즉,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타이밍 위치)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에서 모든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의 상황들을 다룰 수는 없다. 그리고,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송신되는 PDSCH는 Pcell의 인덱스 1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의해 송신되는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므로,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는 Pcell의 인덱스 1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와 동일해야 한다. 하지만, Pcell의 인덱스 1을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ACK/NACK를 피드백하는 타이밍 위치에는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있으며, Pcell의 인덱스 7을 갖는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간의 구간은 3ms이고, 이는 LTE에서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8에서와 같이 기지국만이 ACK/NACK 신호의 타이밍 위치들이 UE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최소 구간 요건을 만족할 수 있는 Scell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기지국은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스케줄링할 수 없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제로, Scell의 인덱스 4를 갖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PDSCH 송신을 위해서는 사용될 수 없는 것으로 제한하므로, UE의 최대율(peak rate)을 최대화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캐리어 집적(carrier aggregation) 방식이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Pcell(primary cell)의 제 1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Scell(second cell)의 제 2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타이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PDSCH와 상기 제 2 PDSCH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응답으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정보는, 참조 업링크(uplink: UL)/다운링크(downlink: DL) 구성(configuration)에 기반하여 확인되며,
    상기 참조 UL/DL 구성은,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 모드에서 상기 Pcell의 UL/DL 구성 및 상기 Scell의 UL/DL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UL/DL 구성과 상기 Scell의 UL/DL 구성이 동일한 경우, 상기 Scell의 DL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타이밍 위치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DL 서브프레임과 상기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타이밍 정보를 갖는 경우, 상기 Pcell의 DL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타이밍 위치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UE의 데이터 처리 시간을 기반으로 확인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ell이 서빙 셀이며 상기 Pcell의 UL/DL 구성과 상기 Scell의 UL/DL 구성이 상이한 경우, 상기 서빙 셀의 참조 UL/DL 구성은, 상기 Pcell의 UL/DL 구성을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ell의 UL/DL 구성과 상기 Scell의 UL/DL 구성이 동일한 경우, 상기 참조 UL/DL 구성은 상기 Pcell의 UL/DL 구성을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UL/DL 구성에 따른 UL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을 기반으로 확인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프레임 에지들과 상기 Scell의 프레임 에지들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Pcell의 UL 서브프레임들 중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UL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을 기반으로 확인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UL 서브프레임은, 상기 Scell의 각 DL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상이한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프레임 에지들과 상기 Scell의 프레임 에지들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Pcell의 UL 서브프레임들을 기반으로 확인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UL/DL 구성은, 상기 Scell이 서빙 셀이고 상기 Pcell의 UL/DL 구성과 상기 Scell의 UL/DL 구성이 상이한 경우, 상기 TDD 모드에서 상기 Pcell의 UL/DL 구성 및 상기 Scell의 UL/DL 구성에 의해 형성된 쌍을 기반으로 확인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UL/DL 구성은, 상기 TDD 모드에서 상기 Pcell의 UL/DL 구성 및 상기 Scell의 UL/DL 구성에 의해 형성된 쌍을 기반으로 다수개의 참조 UL/DL 구성들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송신 방법.
  12. 캐리어 집적(carrier aggregation)이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송수신부와,
    Pcell(primary cell)의 제 1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Scell(second cell)의 제 2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타이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PDSCH 와 상기 제 2 PDSCH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응답으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정보는, 참조 업링크(uplink: UL)/다운링크(downlink: DL) 구성(configuration)에 기반하여 확인되며,
    상기 참조 UL/DL 구성은,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 모드에서 상기 Pcell의 UL/DL 구성 및 Scell의 UL/DL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UE.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UL/DL 구성과 상기 Scell의 UL/DL 구성이 동일한 경우, 상기 Scell의 DL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타이밍 위치를 포함하는 UE.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DL 서브프레임과 상기 Scell의 DL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타이밍 위치를 갖는 경우, 상기 Pcell의 DL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타이밍 위치를 포함하는 UE.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E의 데이터 처리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타이밍 정보를 확인하는 UE.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cell이 서빙 셀이며 상기 Pcell의 UL/DL 구성과 상기 Scell의 UL/DL 구성이 상이한 경우, 상기 서빙 셀의 참조 UL/DL 구성은 상기 Pcell의 UL/DL 구성을 포함하는 UE.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cell의 UL/DL 구성과 상기 Scell의 UL/DL 구성이 동일한 경우, 상기 참조 UL/DL 구성은, 상기 Pcell의 UL/DL 구성을 포함하는 UE.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UL/DL 구성에 따른 UL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을 기반으로 확인되는 UE.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프레임 에지들과 상기 Scell의 프레임 에지들이 대응되는 경우, 상기 Pcell의 UL 서브프레임들 중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UL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UL 서브프레임들의 타이밍 위치들을 기반으로 확인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UL 서브프레임은, 상기 Scell의 각 DL 서브프레임의 타이밍 위치와 상이한 UE.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Pcell의 프레임 에지들과 상기 Scell의 프레임 에지들이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Pcell의 UL 서브프레임들을 기반으로 확인되는 UE.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cell이 서빙 셀이고 상기 Pcell의 UL/DL 구성과 상기 Scell의 UL/DL 구성이 상이한 경우, 상기 TDD 모드에서 상기 Pcell의 UL/DL 구성 및 상기 Scell의 UL/DL 구성에 의해 형성된 쌍을 기반으로 상기 참조 UL/DL 구성을 확인하는 UE.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DD 모드에서 상기 Pcell의 UL/DL 구성 및 상기 Scell의 UL/DL 구성에 의해 형성된 쌍을 기반으로 다수개의 참조 UL/DL 구성들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참조 UL/DL 구성으로 확인하는 UE.
KR1020120042054A 2011-04-22 2012-04-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54A KR101983240B1 (ko) 2011-04-22 2012-04-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111614.3 2011-04-22
CN201110111614.3A CN102752089B (zh) 2011-04-22 2011-04-22 反馈ack/nack的方法
KR1020120042054A KR101983240B1 (ko) 2011-04-22 2012-04-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080A KR20120120080A (ko) 2012-11-01
KR101983240B1 true KR101983240B1 (ko) 2019-05-28

Family

ID=4702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054A KR101983240B1 (ko) 2011-04-22 2012-04-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41043B2 (ko)
EP (1) EP2700184B1 (ko)
KR (1) KR101983240B1 (ko)
CN (1) CN102752089B (ko)
WO (1) WO20121448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1930B2 (en) * 2011-05-02 2016-03-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base station for same
US9544885B2 (en) * 2012-07-31 2017-0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CN104620523B (zh) * 2012-08-10 2018-03-27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支持突发传输的方法和设备
US20150296509A1 (en) * 2012-11-23 2015-10-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control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PT3261280T (pt) 2012-12-18 2019-07-12 Lg Electronics Inc Método e aparelho para receber ack/nack num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s
EP2942896A4 (en) 2013-01-03 2016-08-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79445B2 (en) * 2013-04-02 2015-11-03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in the presence of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change
US9794046B2 (en) * 2013-04-05 2017-10-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4166058A1 (en) * 2013-04-09 2014-10-16 Broadcom Corporation Adapting inter-band harq to support flexible tdd subframe configuration
US9692582B2 (en) * 2013-05-09 2017-06-27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reference configurations
US20150092626A1 (en) * 2013-09-27 2015-04-02 Fang-Chen Cheng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channel information
CN104579590B (zh) * 2013-10-12 2018-01-02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Tdd‑fdd系统中的应答方法、基站、终端和系统
CN105230095B (zh) * 2014-01-29 2020-0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控制信道传输方法、装置及系统
WO2016161550A1 (en) * 2015-04-07 2016-10-13 N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11884771B (zh) * 2015-09-15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装置、方法及系统
CN107370576B (zh) * 2016-05-12 2019-11-1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确定混合自动重传请求反馈时序的方法及装置
CN107733578B (zh) 2016-08-12 2020-03-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对下行数据进行反馈的方法及装置
CN109804585A (zh) * 2016-10-28 2019-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harq的消息反馈方法及装置
BR112020000007A2 (pt) 2017-07-14 2020-07-2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e aparelho de transmissão de informações de confirmação de retroalimentaçã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0208A1 (en) 2008-12-19 2010-06-23 Panasonic Corporation HARQ ACK/NACK for dynamic PDSCH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5461B2 (en) * 2008-10-20 2014-04-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trol channel signaling and acquisition for carrier aggregation
CN101741710B (zh) * 2008-11-04 2011-12-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tdd系统载波聚合的上下行配置和接收方法
CN101959319B (zh) * 2009-07-17 2013-02-13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辅载波时隙0上的信息传输方法
EP3691172B1 (en) * 2009-10-01 2023-12-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 control data transmission
US20110176461A1 (en) * 2009-12-23 2011-07-21 Telefonaka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rmining configuration of subframes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8599763B2 (en) * 2010-08-1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control in a multi-point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network
CN101964698A (zh) * 2010-09-30 2011-0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天线系统下应答信息的传输方法及用户设备
CN105450366B (zh) * 2010-10-28 2018-12-28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US8837304B2 (en) * 2011-04-08 2014-09-16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multi-group communications
US9674835B2 (en) * 2011-04-11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ception acknowledgement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2139274A1 (en) * 2011-04-11 2012-10-18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plink feedback optimization
WO2012139291A1 (en) * 2011-04-14 2012-10-18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harq functionality for cells having different time division duplex subframe configur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0208A1 (en) 2008-12-19 2010-06-23 Panasonic Corporation HARQ ACK/NACK for dynamic PDSCH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nesas Electronics Europe, R2-111983, Operation Principles of CC specific TDD Configuration, 3GPP TSG RAN WG2 #73bis, 3GPP 서버공개일(2011.04.0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69179A1 (en) 2012-10-25
US10841043B2 (en) 2020-11-17
CN102752089A (zh) 2012-10-24
WO2012144862A3 (en) 2013-01-10
EP2700184A4 (en) 2015-04-01
EP2700184B1 (en) 2023-03-01
WO2012144862A2 (en) 2012-10-26
EP2700184A2 (en) 2014-02-26
KR20120120080A (ko) 2012-11-01
CN102752089B (zh)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2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42580B1 (ko) 동기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 송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9913255B2 (en) Time domain multiplexing UL transmission on multiple serving cells for a mobile station with single transmitter
CN108111290B (zh) 一种pusch的传输方法和设备
EP28756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arq-ack feedback information by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59539B1 (ko) 플렉시블 듀플렉스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742756B1 (en)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for control timing configuration assignment in a multiple cell communications network
US879801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EP2785128A1 (en) Transmiss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JP2017055457A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のフィードバック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EP2663008B1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US20150055519A1 (en) Harq feedback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KR20130064778A (ko)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2562954A1 (en) Search space reconfiguration for enhanced-PDCCH
CN103516499A (zh) 一种ack/nack反馈比特数确定方法及装置
CN113438059B (zh) 一种增强载波聚合系统的harq-ack传输方法和设备
KR102142592B1 (ko) Harq-ack 을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