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97B1 - comb - Google Patents

com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97B1
KR101982997B1 KR1020187016033A KR20187016033A KR101982997B1 KR 101982997 B1 KR101982997 B1 KR 101982997B1 KR 1020187016033 A KR1020187016033 A KR 1020187016033A KR 20187016033 A KR20187016033 A KR 20187016033A KR 101982997 B1 KR101982997 B1 KR 101982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edge
concave portion
concave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3913A (en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파크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파크웨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파크웨이
Publication of KR2018009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9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2Single-piece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36Combs, stencils, or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hair trimming devices

Landscapes

  • Brush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과제) 빗을 파지하는 손가락의 부담을 경감시킴과 더불어, 빗을 파지하는 손가락에 대한 그립력을 높인다.
(해결 수단) 빗(1)은, 일단 빗 가장자리부(3)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폭방향의 양방의 외주연에, 만곡 형상의 제1, 2 오목부를 각각 형성하고, 복수의 빗살(6)의 폭방향의 양방의 외주연에도, 만곡 형상의 제1, 2 빗살 오목부를 형성한다. 일단 빗 가장자리부(3) 또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중 어느 하나를 주로 하여 손가락으로 파지하면, 손가락이 일단 빗 가장자리부(3) 또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제1 또는 제2 오목부에 들어감과 더불어, 그 근방의 각 빗살(6)의 제1 또는 제2 빗살 오목부에 들어간다. 각 오목부는 만곡 형상이기 때문에, 손가락과는 면접촉이 되어, 손가락에 걸리는 파지력이 분산되어, 손가락으로의 부담이 경감됨과 더불어, 각 오목부에 손가락이 들어감으로써, 그립력도 높아진다.
(Problem) In addition to alleviating the burden of fingers holding the comb, the gripping force of the finger holding the comb is increased.
The comb 1 has curved first and second concave portions formed on both outer peripheral edges of the comb edge portion 3 and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4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comb concave portions having curved shapes are also formed on both outer peripheral edges of the comb teeth 6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ngers are gripped by the fingers of the first or second concave portion 4 of the comb end portion 3 or the comb end portion 4 of the other end once the finger is gripped with one of the comb end portion 3 or the other end comb end portion 4, And enters the first or second comb concave portion of each comb tooth 6 in the vicinity thereof. Since each concave portion has a curved shape, i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ngers, and the gripping force applied to the fingers is dispersed, so that the load on the fingers is reduced, and the grip is also increased by entering the fingers into the recesses.

Figure R1020187016033
Figure R1020187016033

Description

comb

본 발명은, 빗 본체에 설치된 빗 가장자리부 또는 빗살에, 만곡한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빗을 파지하기 쉬움과 더불어, 정발 작업 등을 할 때에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렵게 한 빗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 which is easy to grasp a comb by forming a curved concave portion at a comb edge portion or comb teeth provided on a comb body and makes a pulled-up hair bundle difficult to slip off .

종래, 정발 등에 이용되는 빗은, 봉형상의 빗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빗 가장자리부를 돌출 설치시킴과 더불어(빗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측에 설치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 타방의 단부측에 설치한 타단 빗 가장자리부), 양단에 설치된 빗 가장자리부 사이에, 복수의 빗살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Conventionally, a comb used for a rectification or the like is provided with a comb-edge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a bar-shaped comb body (a comb-edge portion provided at on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body and provided at the other end side And a plurality of combs are provided between the comb edge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하기 특허 문헌 1은, 종래의 빗에 대한 예를 나타내며, 빗살의 폭방향을 정면으로 한 상태의 빗살의 형상이, 쐐기형의 끝이 가는 형상이며, 양측의 외주연(양측의 종방향의 선이 나타내는 외주연)을, 곧은 사선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고(특허 문헌 1의 도 2 참조), 또, 빗 가장자리부의 폭방향을 정면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의 빗 가장자리부의 형상도 끝이 가는 형상이며, 양측의 외주연을, 곧은 사선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특허 문헌 1의 도 17(B) 참조). 또한, 이 특허 문헌 1은, 빗 가장자리부(특허 문헌 1의 선단부(2a) 또는 기부(基部)(2b)에 상당)에 대해서,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나타낸다(특허 문헌 1의 도 1, 5, 6 등 참조). 또한, 빗의 형상적인 타입으로는 일반적으로, 파지부(테일부)를 갖는 타입(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도 7, 8, 10, 11, 13, 14, 17, 18 등에 나타낸 타입)과, 파지부를 갖지 않는 타입(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도 1, 5, 15 등에 나타낸 타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mb. The shape of the comb teeth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b is front is a wedge-like shape with a narrow tip. The outer periphery of both sides (See Fig. 2 of Patent Document 1), and the shape of the comb edg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is the front is also a shape of a narrow end And the outer peripheries of both sides are formed by straight oblique lines (see FIG. 17 (B) of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1 also discloses that a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comb ed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ip portion 2a or the base portion 2b of Patent Document 1) 1, 5, 6, etc.). As a typical shape of the comb, a type having a grip portion (a type shown in Figs. 7, 8, 10, 11, 13, 14, 17, 18 and the like of Patent Document 1) And a type not having a grip portion (for example, the type shown in Figs. 1, 5, 15 and the like of Patent Document 1).

또, 하기 특허 문헌 2에서는, 빗살에 있어서, 폭방향의 일방측(빗의 정면측)의 외주연에, 절결부(6) 또는 중앙 함몰부(7)를 형성한 것이 개시된다(특허 문헌 2의 제1~4 도면 참조). 마찬가지로 하기 특허 문헌 3에서도, 빗살에 있어서, 폭방향의 일방측(빗의 정면측) 또는 양방측(빗의 정면 및 배면측)의 외주연(외측면)에, 톱니모양의 원호형상으로 절결된 홈(3b)을 형성한 것이 개시된다(특허 문헌 3의 도 7, 8 및 단락 0016 참조). 또한, 하기 특허 문헌 4에는, 빗을 갖는 캡에 설치된 빗살에 있어서, 폭방향의 일방측의 외주연에 절결부(34)를 형성한 것이 개시된다(특허 문헌 4의 도 7, 단락 0005의 기재 참조).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a notched portion 6 or a central depressed portion 7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front side of the comb) of a comb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 1 to 4 of the drawings). Likewise, Patent Document 3 also discloses that, in the comb teeth,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uter side) of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front side of the comb) or both sides (front side and back side of the comb) (See Figs. 7, 8 and 35 of Patent Document 3). Patent Document 4 discloses that a notch 3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a comb provided on a cap having a comb (see Fig. 7 of Patent Document 4, refer to paragraph ).

또한, 하기 특허 문헌 4에는, 굴곡 경사진 빗살을 설치한 퍼머넌트용 링콤이 개시된다. 또, 하기 특허 문헌 5에는, 쥐는 손에 피트하여,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브러시대부의 측면에 손가락이 걸릴 정도의 오목부(손가락 유지부)를 형성한 머리 염색용 브러시가 개시된다.Patent Document 4 below discloses a ringcom for permanent use having a curved inclined comb. Patent Document 5 discloses a brush for hair dyeing in which a concave portion (finger ho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a brush base so that a finger is caught by a finger and a finger is caught in the hand to make it difficult to slip.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6-66504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66504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62-39604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2-39604 일본국 특허 공개 평10-27683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76830 일본국 특허 공개 평5-220011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5-220011 일본국 등록 실용신안 제3085833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No. 3085833

빗의 직업적 사용자인 미용사·이용사는, 작업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빗을 잡는 방식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빗을 잡는 방식의 예로는, 빗살에 손가락이 닿는 방법, 또는 빗 가장자리부 및, 그 빗 가장자리부의 근처의 범위에 위치하는 빗살의 양방에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이 닿는 방식 등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잡는 방식이 이루어지면, 빗살 및 빗 가장자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연은 곧은(직선적인) 형상이며, 한편, 상기 잡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빗측에 접촉하는 손가락의 개소는 만곡한 형상이라는 점에서, 빗측과 사용자의 손가락측의 접촉 상태는, 점접촉이 된다.The hairdresser / user who is a professional user of the comb uses various methods of combing variously according to the work contents. Examples of the method of catching a comb include a method in which a finger touches a comb or a method in which a finger (for example, a thumb) touches both sides of the comb and a comb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mb edge . However, when such a grasping method is performed, the edges of the comb and the comb are in the form of a straight (outline) shape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portions of the finger that the user touches the comb side in the grasping manner are curve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abdomen side and the finger side of the user becomes point contact.

직업적 사용자인 미용사·이용사는, 물, 정발료 등이 손가락에 부착된 상태로, 빗을 이용한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고, 손가락에 물, 정발료 등이 부착되어 있으면, 손가락의 표면이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있어, 이러한 상태에서, 상술한 점접촉과 같은 빗을 잡는 방식이 행해지면, 빗을 잡는데 적합한 그립력이 얻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A hairdresser or a user who is a professional user sometimes performs a work using a comb in the state that water or a cleaning agent is attached to the finger. When water or a cleaning agent is attached to the finger, the surface of the finger is likely to slip In such a state, when a method of catching a comb such as the above-mentioned point contact is performed,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grip force suitable for catching a comb.

또, 점도가 높은 로션을 이용하여, 빗으로 두발을 세팅하기도 하고(예를 들면, 미용사 국가 시험 과제로도 되어 있는 「핑거 웨이브」와 같은 세팅 방식), 이러한 점도가 높은 로션 등을 이용한 세팅을 행하는 경우, 빗을 지지하는 손가락에, 상당한 힘을 주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손가락과, 빗의 접촉 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점접촉이기 때문에, 손가락의 접촉 개소에 힘이 집중되어, 손가락의 접촉 개소의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손가락의 접촉 개소에 로션 등이 부착되어 있으면, 그 개소의 피부가 불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이와 같이 손가락의 피부가 불은 상태로, 상술한 손가락에 대한 부담이 큰 작업을 행하면, 빗을 지지하는 힘이 집중되는 손가락의 개소의 피부가 벗겨지거나 하는 등, 손가락의 피부를 손상시킬 우려도 발생한다.In addition, a lotion with a high viscosity may be used to set the hair with a comb (for example, a setting method such as a "finger wave" which is also a task of a hairdresser's national test), and a setting using such a high- When doing so, it is required to apply a considerable amount of force to the finger supporting the comb. However, since the contact state of the user's fingers and the comb is point contac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nger and the burde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nger is large. In addition, if a lotion or the like is attached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nger, the skin of the portion may be in a burned state. If a work with a large load on the finger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kin of the finger is burned, There is a fear that the skin of the finger may be damaged, for example, the skin of the portion of the finger where the force of supporting the comb is concentrated or the like may be damaged.

또한, 빗을 이용한 작업으로는, 컷 대상이 되는 두발 다발을 빗으로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빗살 및 빗 가장자리부는, 쐐기형의 끝이 가는 형상이므로, 애써,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빗살 및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측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빗을 이용한 다른 작업예로는, 두발 안에 빗을 끼워넣거나 두발 안에서 빗을 이동시키거나 하여, 두발을 소요 방향으로 나누는 작업(파팅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빗 가장자리부는, 빗살보다 두께가 크기 때문에, 두발과의 접촉에 의한 저항이 크므로, 빗 가장자리부를 두발 안에 끼워넣거나 이동시키거나 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comb, the hair bundle to be cut may be lifted up with a comb. In such a case, as described above, the edge of the wed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lled-up hair bundle is liable to slip off from the tip side of the comb and comb edge por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using a comb, there is also a case where a comb is placed in a head or a comb is moved in a head so that the head is divided into a desired direction (parting operation). In such a case, Since the portion is thicker than the comb tooth, the resistance due to the contact with the hair is large, so that it is difficult to smoothly insert or move the comb edge into the hair.

또한, 상술한 문제에 있어서, 상기 특허 문헌 2에 따른 빗살은, 절결부(6) 또는 중앙 함몰부(7)의 바닥면이 플랫한 형상이므로, 이들 절결부(6) 또는 중앙 함몰부(7)에 손가락을 넣으면, 플랫한 바닥면과 점접촉할 뿐이므로, 빗을 파지하는데 적합한 그립력도 얻어지지 않고, 또, 손가락의 접촉 개소의 부담을 저감하는 것도 할 수 없다. 또, 상기 특허 문헌 3에 따른 빗은, 빗살에 절결된 홈(3b)이 톱니모양의 원호형상이므로, 이러한 홈(3b)에 손가락을 넣으면, 톱니모양의 뾰족한 개소가 손가락에 파고들므로, 손가락의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problem, since the comb teeth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are formed in a flat shape in the cut-away portion 6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depressed portion 7, the cut-away portion 6 or the central depressed portion 7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gripping force suitable for gripping a comb or to reduce the burden of the contact point of the finger. In the comb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since the grooves 3b cut in the comb teeth have a serrated circular arc shape, when the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3b, the serrated point portions are dug into the fingers, The burden will increase.

또, 특허 문헌 4에 따른 퍼머넌트용 링콤은, 특허 문헌 4의 도 5에서 나타낸 사용예를 참조하면, 도시되는 손가락의 굵기가, 빗살의 길이 치수와 동등 이상이라는 점에서, 손가락으로 빗살 또는 빗 가장자리부를 파지하는 잡는 방식을 행하면, 빗살의 선단까지를 손가락으로, 거의 덮게 되어, 빗으로서 기능하게 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잡는 방식을 특허 문헌 4에 따른 퍼머넌트용 링콤에 이용하는 것은 상정할 수 없다. 또한, 특허 문헌 5에 따른 머리 염색용 브러시는, 빗 본체에 상당하는 브러시대부에 오목부를 형성한 것이므로, 빗살 또는 빗 가장자리부로 빗을 지지하는 잡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혀 공헌할 수 없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에 따른 빗은, 빗 가장자리부에 상당하는 선단부(2a) 또는 기부(2b)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데, 관통 구멍의 형성 개소가, 선단 개소가 아니기 때문에, 이들 관통 구멍은,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 개소에 있어서의 두발과의 접촉에 전혀 관계하지 않는다.In addition, referring to the use example shown in Fig. 5 of Patent Document 4, the permanent ring com- presso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has a fingertip or a comb edge It is impossible to use such a gripping method for a permanent ringcomb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ake the tip of the comb almost cover with the fingers and to function as a comb. The brush for hair dyeing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5 has a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brush bas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mb body, and therefore can not contribute at all to the method of holding the comb by the comb or comb edge portion. In the comb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distal end portion 2a or the base portion 2b corresponding to the comb edge portion. Since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not the tip end portion, And does not have any relation to the contact with the hair on the leading edge of the edge por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손가락에 잘 맞는 만곡한 오목부(빗살 오목부)를, 빗살 또는 빗 가장자리부에 형성함으로써, 빗을 지지하는 손가락에 적절한 그립감을 얻을 수 있음과 더불어, 손가락에 대한 부담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빗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club having a comb-like concave portion (comb-like concave por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b so that the burden on the fingers can be reduced.

또, 본 발명은, 새로 형성한 오목부(빗살 오목부)가 근원측과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를 형성함으로써, 또한 그립성도 높인 빗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b having an improved grip property by forming an edge at a newly formed concave portion (comb concave portion) leading to the root side.

또한, 본 발명은, 새로 형성한 오목부(빗살 오목부)가 선단측과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를 형성함으로써, 빗으로 두발 다발을 들어올릴 때,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렵게 한 빗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dge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a concave portion (comb tooth concave portion) newly formed is connected to the tip side, thereby providing a comb that the lifted pair of legs is hard to slip off when the pair of feet is lifted by a comb .

또한, 본 발명은,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 개소에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빗을 두발 중에 끼워넣거나, 또는 두발 안에서 빗을 이동시킬 때,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 개소에 걸리는 저항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빗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b so as to mitigate the resistance 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when the comb is inserted into the hair, or when the comb is moved in the hair, by forming the through hole 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The purpos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빗은, 빗 본체와, 상기 빗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빗 가장자리부와, 상기 양단의 빗 가장자리부 사이에서 상기 빗 본체로부터 돌출한 복수개의 빗살을 구비하는 빗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빗살 중 적어도 일부의 범위에 포함되는 인접하는 각 빗살에는, 빗살의 폭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의 외주연에 있어서의 선단측과 근원측 사이의 중간 개소에,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만곡 형상의 빗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빗살 오목부가 형성된 빗살의 중간 개소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좁은 개소의 치수는, 상기 빗살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넓은 개소에 비해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comb body, comb edge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body, and comb teeth projecting from the comb body between the comb edge portions at both ends, Wherein each of the adjacent comb teeth included in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comb teeth has a concave portion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a distal end side and a root end side in an outer peripheral edge on at leas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b, And the dimension of the narrowest portion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comb teeth in which the comb tooth depression is formed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at the widest point in the tip side of the comb tooth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부의 범위에 포함되는 인접하는 각 빗살의 중간 개소에,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전체가 만곡 형상인 빗살 오목부를 형성했으므로, 손가락으로 빗살을 지지하는 잡는 방식을 행한 경우, 인접하는 빗살의 각 빗살 오목부에 손가락이 들어가고, 또, 빗살 오목부는 전체가 만곡 형상이라는 점에서, 각 빗살 오목부에 들어간 손가락은, 점접촉이 아니라, 넓은 범위에서 빗측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넓은 범위에서 접촉하여 빗살 오목부에 손가락이 들어감으로써, 빗을 지지하는 손가락에 적당한 그립감이 얻어지게 됨과 더불어, 손가락에 걸리는 힘이 넓은 접촉 개소로 분산되어, 손가락에 대한 부담이 저감되게 된다. 또, 컷 대상이 되는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빗으로 행하는 경우에도, 들어올린 두발 다발은, 빗살 오목부에 들어가게 되어, 빗살의 선단측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 teeth concave portions, which are all curved in shape based on the concave curved lines, are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s of adjacent comb teeth included in a part of the range. Therefore, when the catching method of supporting the comb teeth with the fingers is performed, The fingers enter the recesses of the comb teeth of the comb teeth and the comb teeth recesses have a curved shape as a whole. Therefore, the fingers that have entered the recesses of the comb teeth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mb side in a wide range, not in point contact. With such a wide range of contact, the fingers enter the concave comb teeth, whereby a proper grip feeling can be obtained on the fingers supporting the comb,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fingers is dispersed to a wide contact point,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fingers. In addition, even when a work such as lifting a hair bundle to be cut is performed by a comb, the lifted pair of hair fits into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nd it is difficult to slip off from the tip side of the comb tooth.

또, 본 발명에 따른 빗은, 빗 본체와, 상기 빗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빗 가장자리부와, 상기 양단의 빗 가장자리부 사이에서 상기 빗 본체로부터 돌출한 복수개의 빗살을 구비하는 빗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빗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폭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의 외주연에 있어서의 선단측과 근원측 사이의 중간 개소에,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만곡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빗 가장자리부의 중간 개소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좁은 개소의 치수는,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넓은 개소에 비해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빗살 중에서, 적어도 상기 오목부를 형성한 빗 가장자리부 측에 설치된 범위에 포함되는 각 빗살의 각각에는, 빗살의 폭방향으로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오목부와 대응하는 개소에,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만곡 형상의 빗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빗살 오목부가 형성된 빗살의 중간 개소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좁은 개소의 치수는, 상기 빗살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넓은 개소에 비해 작게 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빗살 오목부는, 상기 빗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 body, comb-edge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body, and combs each having a plurality of combs protruding from the comb body between the comb-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mb edge portions at both ends has a curved concave shape based on a concave curved line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a distal end side and a root end side at an outer periphery of at leas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b edge, Wherein a dimension of a narrowest portion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where the recess is formed is smaller than a widest portion at a tip end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 Each of the comb teeth included in a range provided at least on the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on which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s provided with a comb- A comb tooth concave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based on a concave curved line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and the dimension of the narrowest portion at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mb tooth having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main body.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본체의 양측의 빗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한쪽에 오목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오목부를 형성한 빗 가장자리부 측에 설치된 범위에 속하는 각 빗살의 각각에는 빗살 오목부를 형성하고, 빗 가장자리부의 오목부와, 각 빗살의 빗살 오목부가 연통하도록 했으므로, 빗 가장자리부와, 그 빗 가장자리부의 가까운 범위에 위치하는 빗살에, 손가락이 접촉하도록 쥐면,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손가락이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들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는, 각각의 전체가 만곡 형상이라는 점에서, 손가락과 광범위하게 접촉하기 쉬워져, 적당한 그립력이 얻어지게 됨과 더불어, 손가락에 접촉하는 개소에 걸리는 힘이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손가락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comb edge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comb body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a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each comb tooth in a range provided on the comb edge portion side where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The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whe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concave portion of each comb toot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ngers are held in contact with the comb edge portion and a comb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mb edge portion . The recesses and the comb teeth recesses are each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y are in wide contact with the finger, so that an appropriate gripping forc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force applied to the finger- The burden on the finger can be reduced.

또, 컷 대상이 되는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빗으로 행하는 경우에도,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가게 되므로, 빗살 및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측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빗가장자리의 오목부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좁은 개소의 치수는,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넓은 개소에 비해 작게 되어 있고, 빗살의 빗살 오목부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좁은 개소의 치수는, 상기 빗살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넓은 개소에 비해 작게 되어 있으므로,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 둘 다, 상술한 작용을 발생시키는데 충분한 범위 치수 및 깊이 치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a work such as raising a hair bundle to be cut is performed by a comb, the lifted pair of hair fits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so that it is hard to fall off from the tip side of the comb and comb edge portion Loses. In addition, the dimension of the narrowest portion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mb edg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widest portion in the tip side of the comb edge, and the width of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of the comb Since the dimension of the narrow por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widest portion on the tip side of the comb, both of the recess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can secure a sufficient range dimension and depth dimension to generate the above- .

본 발명에 따른 빗은,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오목부가,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 및 타방측의 양방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cave portions of the comb edg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outer peripheral edge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가장자리부의 오목부가,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방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목부와 대응하는 개소에 형성되는 빗살의 빗살 오목부도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설치되게 되어, 빗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 중 어느 쪽에서 빗을 파지해도,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손가락이 들어가게 되어, 빗의 파지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동일한 이유에 의해, 빗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 중 어느 쪽에서, 컷 대상이 되는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행해도,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가게 되므로, 빗의 사용감이 향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cave portions of the comb edg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outer circumferenc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s of the comb teeth formed at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s are also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Even if the comb is grasped on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back side of the comb, the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nd the combing ability of the comb can be enhanced. Also, for the same reason, the raised hair bundle enters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even if an operation such as lifting a pair of hair bundles to be cut is performed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back side of the comb, The feeling of use of the comb is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빗은, 상기 양단의 빗 가장자리부의 양방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mb edge portions at both ends.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본체의 양단에 설치된 빗 가장자리부의 양방에 오목부를 형성했으므로, 빗 본체의 양단 중 어느 쪽에서 빗을 파지해도,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엄지가 들어가게 되어, 한층 빗의 파지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동일한 이유에 의해, 빗 본체의 양단 중 어느 쪽에서, 컷 대상이 되는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행해도,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가게 되므로, 빗의 사용감이 한층 향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cave port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mb edg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mb body, even if the comb is held at either end of the comb body, the thumb enters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 Also, for the same reason, even if an operation such as lifting a pair of haircuts to be cut is performed from either end of the comb body, the lifted hair bundle enters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further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빗은, 상기 빗살에 비해 전체 길이가 짧은 단빗살이, 상기 양단의 빗 가장자리부 중 한쪽과 인접하도록 상기 빗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빗살 오목부는, 상기 단빗살을 제외한 복수의 인접하는 빗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comb main body so that a comb tooth having a shorter overall length than the comb tooth is adjacent to one of the comb edge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comb tooth, And is formed on the comb teeth.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쪽의 빗 가장자리와 인접하도록 단빗살을 설치했으므로,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를 설치해도, 한쪽의 빗 가장자리로, 머리카락의 가르마를 형성하는 작업(파팅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 복수의 인접하는 빗살에 빗살 오목부를 형성했으므로, 다량의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도 대응하기 쉬워져, 빗을 이용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b teeth are provided so as to be adjacent to one comb edg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work (parting operation) of forming a hair curb with one comb edge even i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provide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plurality of adjacent comb teeth, so that it is easy to cope with the work such as lifting a large amount of hair bundle,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using the comb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빗은, 상기 빗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와 근원측이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dg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root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근원측이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를 형성했으므로, 오목부에 넣은 손가락이, 에지에 걸리게 되어, 빗을 잡는 손가락의 그립성이 한층 높아져, 빗을 잡는 손가락의 미끄럼 방지로서 에지를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root sid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comb edge portion, the finger put in the concave portion is caught by the edge, and the gripping force of the finger holding the comb further increases, It is possible to use an edge as a slip pre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빗은, 상기 빗살에 있어서의 상기 빗살 오목부와 근원측이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dg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nd the root side of the com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살에 있어서의 빗살 오목부와 근원측이 이어지는 개소에도 에지를 형성했으므로, 빗살 오목부에 넣은 손가락이, 각 빗살의 에지에 걸리게 되어, 빗을 잡는 손가락의 그립성이 한층 높아져, 빗을 잡는 손가락의 미끄럼 방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s are formed at the portions where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nd the root tooth portion in the comb are formed, the fingers inserted into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s are caught by the edges of the comb teeth, The non-slip function of the finger holding the comb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빗은, 상기 빗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와 선단측이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dg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tip end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선단측이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를 형성했으므로, 빗을 들어올림으로써, 오목부에 들어간 두발 다발이 에지에 걸리게 되어, 들어올려진 두발 다발이, 한층 빗살 및 빗 가장자리부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leading end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are connected, the hair bundle entering the concave portion is caught by the edge by raising the comb, And it becomes difficult to slip off from the comb edg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빗은, 상기 빗살에 있어서의 상기 빗살 오목부와 선단측이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dg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nd the tip end side of the comb are connect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살에 있어서의 빗살 오목부와 선단측이 이어지는 개소에도 에지를 형성했으므로, 빗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빗살 오목부에 들어간 두발 다발이 각 빗살의 에지에도 걸리게 되어, 들어올려진 두발 다발이, 한층 더 빗살 및 빗 가장자리부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nd the tip end side in the comb teeth are formed, by lifting the tooth by the comb, a bundle of hair entering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caught by the edge of each comb tooth, Becomes more difficult to slip off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comb and comb.

본 발명에 따른 빗은,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빗살 오목부는, 동일 곡률의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동일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formed in the same curved shape based on the concave curve of the same curvatur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를 동일 곡률의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동일 만곡 형상으로 했으므로,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는, 동일 형상으로 완만하게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되어,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가는 손가락의 접촉감(필링)이 향상됨과 더불어, 빗으로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원활하게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가기 쉬워져, 빗의 작업성이 향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formed in the same curved shape based on the concave curved line of the same curvatur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gently and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same shape, The touch feeling (filling) of the entering fingers is improved, and the hair bundle lifted by the comb is easily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comb.

본 발명에 따른 빗은, 상기 빗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로부터 선단측이 되는 개소에,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선단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m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mb-edge portion of the comb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penetrating in the width direction at a portion which becomes a tip side from the concave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오목부로부터 선단측이 되는 개소에,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선단 관통 구멍을 형성했으므로, 빗살보다 두께가 큰 빗 가장자리부는, 종래라면, 두발 안에 빗의 선단을 끼워넣거나, 두발 안에서 빗을 이동시키거나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빗 가장자리부는, 빗살보다 두께가 크기 때문에, 두발과의 접촉으로 인해 저항으로 되고 있었지만,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측에 선단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선단 관통 구멍의 형성이 개구되어 개소 두발과의 접촉 범위가 감소해,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을 두발에 대해 움직이게 하기 쉬워지고, 또, 빗 가장자리부의 오목부 및 빗살의 빗살 오목부에 의해서도, 두발과의 접촉 상황이 완화되므로, 두발 안으로 빗의 선단을 끼워넣거나, 두발 안에서 빗을 이동시키거나 하는 작업이, 종래의 빗보다 행하기 쉬워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ading end through-hole penetrat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at the portion which becomes the tip end side from the concave portion at the comb edge portion, the comb edge portion, which is thicker than the comb than conventionally, The comb edge portion is thicker than the comb tooth and is therefore resistant due to the contact with the hair. However, by forming the tip through hole at the tip end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The tip end of the comb edge portion is easily moved with respect to the hair, and also by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of the comb tooth, Since the contact situation is alleviated, the tip of the comb is inserted into the head, or the comb is moved in the head The work becomes easier to perform than the conventional comb.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부의 범위에 포함되는 인접하는 각 빗살의 중간 개소에,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전체가 만곡 형상의 빗살 오목부를 형성했으므로, 각 빗살 오목부에 넣은 손가락을 넓은 범위에서 빗측과 접촉할 수 있고, 빗을 지지하는 손가락에 적당한 그립감이 얻어짐과 더불어, 손가락에 걸리는 힘을 넓은 접촉 개소로 분산시켜, 손가락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as a whole based on the concave curved line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adjacent comb teeth included in a part of the range, A proper grip feeling can be obtained on the fingers supporting the comb,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fingers can be distributed to the wide contact points,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fingers.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살의 빗살 오목부에 추가해, 빗 가장자리부에도 오목부를 형성하므로, 빗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 중 어느 쪽에서 빗을 파지해도,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엄지를 넣을 수 있고, 빗의 방향성에 개의치 않고 빗의 파지성을 높임과 더불어, 빗을 지지하는 손가락의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음, 또, 빗의 방향성에 개의치 않고, 컷 대상이 되는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행해도,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가, 빗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of the comb tooth, the concave portion is also formed in the comb edge portion, so that even if the comb is held on the front surface side or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comb, the thumb can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the fingers supporting the comb and to raise the hair bundle to be cut regardless of the directionality of the comb, The raised hair bundle enters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so that the feeling of use of the comb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를 동일 곡률의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동일 만곡 형상으로 했으므로,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는, 동일 형상으로 완만하게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가는 손가락의 접촉감(필링)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빗으로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원활하게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가, 빗을 이용한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formed in the same curved shape based on the concave curved line of the same curvatur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gently and continuously formed in the same shape, The contact feeling (filling) of the fingers can be improved, and the hair bundle lifted by the comb can smoothly enter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so that the work of picking up the hair bundle using the comb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본체의 양단에 설치된 빗 가장자리부의 양방에 오목부를 형성했으므로, 빗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어느 쪽에서 빗을 파지해도,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엄지를 넣을 수 있어, 한층 빗의 파지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 동일한 이유에 의해, 빗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어느 쪽을 주로 하여, 컷 대상이 되는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행해도, 들어올린 두발 다발을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넣을 수 있어, 빗의 사용감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cave port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mb edg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mb body, the thumb can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even if the comb is hel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body. Even if an operation such as lifting a pair of haircuts to be cut is performed mainly on on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main body for the same reason, So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eeling of use of the comb.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쪽의 빗 가장자리부와 인접하도록 단빗살을 설치했으므로,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를 설치해도, 일방의 빗 가장자리부로, 머리카락의 가르마를 형성하는 작업(파팅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 전역에 걸쳐서 빗살 오목부를 형성했으므로, 대량의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도 대응하기 쉬워져, 빗을 이용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b teeth are provided so as to be adjacent to one comb edge portion, even i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work (parting operation) of forming a hair curl with one comb edge portion, Further, since the concave concave portion is formed over the entire area, it is easy to cope with work such as lifting a large number of hair bundles,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using the comb can be enhanc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근원측이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를 형성했으므로,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넣은 손가락이 에지에 걸려, 빗을 잡는 손가락의 그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에지를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root sid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comb edge portion,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caught by the edge to improve the gripability of the finger holding the comb , The edge can function as a slip pre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살에 있어서의 빗살 오목부와 근원측이 이어지는 개소에도 에지를 형성했으므로,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넣은 손가락이 각 빗살의 에지에 걸려, 빗을 잡는 손가락의 그립성을 한층 높일 수 있어, 빗을 잡는 손가락에 대한 미끄럼 방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nd the root tooth side in the comb are formed,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caught by the edge of each comb tooth to further enhance the gripability of the finger holding the comb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nti-slip function against the comb-holding fingers.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선단측이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를 형성했으므로, 빗을 들어올림으로써,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간 두발 다발이 에지에 걸려, 들어올려진 두발 다발이 빗살 및 빗 가장자리부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portion and the tip end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are connected, the hair bundle entering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caught by the edge by raising the comb, It is possible to suppress slippage from the edge of the comb and comb.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살에 있어서의 빗살 오목부와 선단측이 이어지는 개소에도 에지를 형성했으므로, 빗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오목부 및 빗살 오목부에 들어간 두발 다발이 각 빗살의 에지에도 걸려, 들어올려진 두발 다발이 빗살 및 빗 가장자리부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에 대한 억제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nd the tip end side in the comb are formed, the bundle of curls entering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caught by the edge of each comb,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deterrent against slipping down of the hair bundle from the comb and comb edge portions.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빗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오목부로부터 선단측이 되는 개소에,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선단 관통 구멍을 형성했으므로, 빗 가장자리부의 선단 개소에 있어서의 두발과의 접촉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어, 두발 안에 빗의 선단을 끼워넣거나, 두발 안에서 빗을 이동시키거나 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ading end through-hole penetrat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at the portion which becomes the tip end side from the concave portion at the comb edge portion, the contact range with the hair 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can be redu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moothly carry out the operation of putting the tip of the comb in the head or moving the comb in the hea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빗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의 상세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를 일단 외연면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빗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며, (b)는, 도 2(a)의 B-B선에 있어서의 빗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빗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의 상세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를 타단 외연면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와, 그 근처에 위치하는 빗살에, 엄지가 접촉하는 잡는 방법으로 빗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파지 상태에 있어서의 엄지의 위치를 나타내고, (a)는 엄지가 타단 빗 가장자리부의 오목부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도 5의 C-C선에 있어서 엄지가 빗살의 빗살 오목부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을 핑거 웨이브의 정발 방법에 따른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핑거 웨이브의 정발 방법에 따른 새끼손가락에 의한 지지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빗으로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작업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 도, (b)는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오목부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의 개략 측면도, (c)는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빗살 오목부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빗살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두발 안에 빗을 끼워넣었을 때의 도 2(a)의 D-D선에 있어서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와 두발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빗살의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a)는 변형예에 따른 빗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를 일단 외연면으로부터 본 측면도, (b)는 변형예에 따른 빗의 빗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빗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를 일단 외연면으로부터 본 측면도, (b)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빗의 빗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빗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를 일단 외연면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b)는,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빗의 빗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빗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를 일단 외연면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b)는,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빗의 빗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빗의 정면도이며, (2)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빗의 정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tails of one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and Fig. 2 (b) is a side view of the comb edge portion once viewed from the outer edge.
3 (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 tooth on the line AA in Fig. 2 (a), and Fig. 2 (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 tooth on the line BB in Fig.
Fig. 4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tails of the other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and Fig. 4 (b) is a side view of the other end comb-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b is gripped by a method in which a thumb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comb located at the marginal portion of the other comb and the comb.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thumb in the grip state shown in Fig. 5, (a)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where the thumb enters the concave portion of the other comb edge portion, (b)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b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mb. Fig.
Fig. 7 (a) is a front view showing a gripping state according to the comb finger wave cleans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7 (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support by the little finger according to the finger wave cleansing method to be.
FIG. 8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utline of an operation of lifting a pair of hair pieces with a comb, FIG. 8B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omb-edge portion once showing a lifted hair bundle into a concave portion, Is a schematic view of a comb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ndle of raised bows is inserted into a concave portion of a comb.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ct state of the hair on one end of the comb and the hair on the DD line of Fig. 2 (a) when a comb is inserted into the hair.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com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the range of a plurality of combs.
Fig. 11 i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 11 (a) is a side view of the comb edge of the one end of the comb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viewed from the outer edge, and Fig. 11 (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 of the comb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FIG. 12A is a side view of the comb edg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viewed from the outer edge of the one end, and FIG. 12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 of the comb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FIG. 13A is a side view of the comb edge portion of the comb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viewed from the one end outer surface, and FIG. 13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 of another modified example.
FIG. 14A is a side view of the comb edge portion of the comb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ed example viewed from the one end outer surface, and FIG. 1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 tooth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ed example.
Fig. 15A is a front view of a com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B is a front view of a comb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1)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빗(1)은 합성 수지제이며, 연장된 봉형상의 빗 본체(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일단측(2a) 및 타단측(2b))에, 빗 가장자리부(일단 빗 가장자리부(3)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을 돌출시킴과 더불어, 일단 빗 가장자리부(3)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사이에서 복수개의 빗살(6)을 빗 본체(2)로부터 돌출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 중에 나타낸 X축방향은 빗(1)(빗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이며, X축방향에 직교하는 Y축방향은 빗살(6) 및 각 빗 가장자리부(3, 4)의 돌출 방향을 따른 방향이며, X축방향 및 Y축방향에 직교하는 Z축방향은 빗(1)(빗 본체(2)), 각 빗 가장자리부(3, 4), 및 각 빗살(6)의 폭방향을 따른 방향이다(다른 도면에서도 동일). 이하, 빗(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해 나간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comb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is provided with a comb-edge portion (one end portion 2a and one end portion 2b) at both ends (one end 2a and the other end 2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comb- A plurality of comb teeth 6 are formed between the comb edge 3 and the other comb edge 4 at one end from the comb main body 2 As shown in Fig. The X axis direction shown in Fig. 1 is a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1 (comb main body 2), and the Y axi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X axis direction is a comb tooth 6 and each comb edge 3 And the Z-axi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s a direction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mb 1 (comb tooth 2), the comb-edge portions 3 and 4, (The same in other drawings). Hereinafter, the comb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도 2(a), 및 도 4(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 본체(2)는, 정면에 상당하는 제1면(2c)으로부터 반대측의 배면에 상당하는 제2면(2d)으로 Z축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관통 구멍(7)을 복수 형성하고 있고, 이들 복수의 관통 구멍(7)은 기본적으로, X축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7)은, X축방향으로 가로가 긴 타원이며, 그 타원의 주위에는, 타원 형상의 자리파기부(7a)를 형성하고 있다(도 3(b)도 참조).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7)의 장축측의 내경과 단축측의 내경의 비를 2대 1로 하고 있으며, 일례로는 장축측의 내경을 약 4mm(밀리미터), 단축측의 내경을 약 2mm로 설정하고 있다(또한, 자리파기부(7a)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장축측의 내경을 약 9mm, 단축측의 내경을 약 3mm로 설정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2 (a) and 4 (a), the comb body 2 has a second surface 2d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opposite from the first surface 2c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7 extending through the Z-axis direction are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7 are basically arranged linear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X-axis direction. The through hole 7 is an ellipse having a long transverse dir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and an elliptical spot waveguide portion 7a is formed around the ellipse (see also Fig. 3 (b)).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atio of the inner diameter on the long axis side of the through hole 7 to the inner diameter on the short axis side is two to one, and for example, the inner diameter on the long axis side is about 4 mm (millimeter) (For example, it is presumed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long-axis side is set to about 9 m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hort axis side is set to about 3 mm, for example).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 본체(2)의 가장 일단측(2a)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7)은, 그 중심이, 빗 본체(2)의 일단측(2a)에 설치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외연(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외측 가장자리의 면이 되는 일단 외연면(3d)의 근원측(3b)의 범위의 개소)으로부터 거리 L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일단측(2a)으로부터의 순서가 2번째 이후가 되는 관통 구멍(7)은, 각 관통 구멍(7)의 중심끼리의 간격이, 각각 거리 L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거리 L의 구체예로는, 빗(1)의 취급, 사양 등에 따라서, 밀리미터 단위, 또는 인치 단위 중 어느 것으로 치수로 설정해도 되고, 예를 들면, 밀리미터 단위의 치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장 표준적인 치수인 10mm 등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치 단위의 치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1인치(inch) 또는 0.5인치 등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7)은, 소정의 치수를 거리 L마다 나타내는 안표(빗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른 거리를 나타내는 안표)로서 이용할 수 있다.2 (a), the through hole 7 located at the one end 2a of the comb main body 2 has a center at one end (one end) provided at one end 2a of the comb main body 2, Is formed at a position which is a distance L from the outer edge of the comb edge 3 (the position of the range of the base side 3b of the outer edge 3d at one end which becomes the surface of the outer edge of the comb edge 3) And the through holes 7 in which the order from the one end side 2a is the second or later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centers of the through holes 7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L. [ As a concrete example of the distance L, it may be set to any one of the millimeter unit or the inch unit, depending on the handling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mb 1.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the unit of the millimeter, 10 mm, and the like. When the dimension in inches is used, it is preferably set to 1 inch (inch) or 0.5 inch or the lik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7 formed at such intervals can be used as an eye mark (an eye mark indicating a distanc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omb body 2) showing a predetermined dimension at each distance L. [

또,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 본체(2)의 타단측(2b)에 있어서도, 빗 본체(2)의 타단측(2b)에 설치된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외연(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외측 가장자리의 면이 되는 타단 외연면(4d)의 근원측(4b)의 범위의 개소)으로부터, 상술한 일단측(2a)과 동일한 간격(거리 L)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빗 본체(2)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2e)(도 1 참조)은, 빗(1)의 작업을 행하는 측을, 일단측(2a)과 타단측(2b)으로 전환할 때의 파지 개소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해서, 관통 구멍(7)을 형성하고 있지 않다(빗 본체(2)의 중앙 부분(2e)을 집도록 파지한 개소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빗의 작업을 이용하는 측을 일단측(2a) 또는 타단측(2b)으로 전환한다).As shown in Fig. 4 (a), the other end 2b of the comb main body 2 also has an outer edge of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4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2b of the comb main body 2 (Distance L) from the one end side 2a described above from the position of the end side 4b of the other end outer surface 4d which is the surface of the outer edge of the comb edge 4, A hole 7 is formed. The center portion 2e of the comb body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portion of the comb 1 which is engaged with the comb 1 when the side of the comb 1 is switched from one end 2a to the other end 2b (The center portion 2e of the comb main body 2 is gripped to be gripped) and the side of using the comb operation is set as a first Side 2a or the other-end side 2b).

도 1 등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빗(1)은, 복수개의 빗살(6)을 일단 빗 가장자리부(3)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와 평행이 되도록 빗 본체(2)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빗살(6)에 관해, 빗 본체(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빗 본체(2)의 중앙 부분(2e)의 한가운데로부터 일단측(2a)에 이르는 제1 범위(1a)(일단 빗 가장자리부(3) 측의 범위)와, 중앙 부분(2e)의 한가운데로부터 타단측(2b)에 이르는 제2 범위(1b)(타단 빗 가장자리부(4) 측의 범위)에 있어서, 각 빗살(6)을 설치하는 간격(빗살 피치)을 상이하게 하고 있고, 제1 범위(1a)에 있어서의 빗살 피치를, 제2 범위(1b)에 있어서의 빗살 피치보다 넓게 하고 있다(제1 범위(1a)에 있어서의 빗살 피치의 일례로는 약 3mm, 제2 범위(1b)에 있어서의 빗살 피치의 일례로는 약 1.5mm를 상정할 수 있다).The comb 1 is provided in the comb main body 2 such that a plurality of comb teeth 6 are once parallel to the comb edge 3 and the other comb edge 4, The comb teeth 6 are formed in a first range 1a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central portion 2e of the comb main body 2 to the one end 2a of the comb main body 2 In the second range 1b (the range on the side of the other comb end portion 4) from the center of the central portion 2e to the other end side 2b of the comb tooth 6, And the comb tooth pitch in the first range 1a is made wider than the comb tooth pitch in the second range 1b (in the first range 1a) For example, about 3 mm as an example of a comb tooth pitch in the second range 1b, and about 1.5 mm as an example of a comb tooth pitch in the second range 1b).

이와 같이 제1 범위(1a)와, 제2 범위(1b)에서 빗살 피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이한 종류의 정발 작업을 1개의 빗(1)으로 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범위(1a)측에서는 러프한 정발 작업을 행하고, 제2 범위(1b)에서는 세세한 정발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빗의 작업을 이용하는 측을 일단측(2a) 또는 타단측(2b)으로 전환하는 의의가 있다. 또한, 제1 범위(1a)에 포함되는 빗살(6)과, 제2 범위(1b)에 포함되는 빗살(6)에서는, 두께 치수(X축방향을 따른 빗살의 치수)를 상이하게 하고 있으며, 제1 범위(1a)에 포함되는 빗살(6)의 두께 치수는 약 1mm 남짓, 또한, 제2 범위(1b)에 포함되는 빗살(6)의 두께 치수는 약 0.6~0.8mm 정도로 하고 있다.By differentiating the comb tooth pitches in the first range 1a and the second range 1b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different types of correction work with one comb 1, for example, in the first range 1a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rough correction work on the side of the other end side 2b and a minute correction work in the second range 1b on the side of the other end side 2a or 2b, ). The comb teeth 6 included in the first range 1a and the comb teeth 6 included in the second range 1b have different thickness dimensions (dimensions of comb teeth along the X axis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comb 6 included in the first range 1a is about 1 mm or less and the thickness of the comb 6 included in the second range 1b is about 0.6-0.8 mm.

또, 빗(1)은, 복수개의 빗살(6) 중에서, 제1 범위(1a)에 있어서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3)에 인접하는 개소에, 다른 통상 길이의 빗살(6)에 비해, 돌출 치수(Y축방향의 전체 길이)가 짧은 단빗살(6')을 설치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일단 빗 가장자리부(3)로 머리카락의 가르마를 형성하는 작업(파팅 작업)을 행할 때에,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선단(3v)(도 2(b) 참조)의 주위에 공간이 생기도록 하여, 파팅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단빗살(6')의 두께 치수는, 약 1mm 남짓으로 하고 있다.The comb 1 is formed so as to be protruded from the comb teeth 6 of the other normal length to the portion adjacent to the comb edge 3 at the first end in the first range 1a among the plurality of comb teeth 6, The comb tooth 6 'having a small dimension (the entire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is provided. Thus, when performing a work (fitting operation) for forming a hair curl once in the comb edge portion 3, A space is formed around the edge 3v (see Fig. 2 (b)) of the edge portion 3, thereby facilitating the parting work. The thickness of the single comb 6 'is about 1 mm or less.

도 1 및 도 2(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빗 가장자리부(3)는, 끝을 뾰족하게 한 끝이 가는 형상이며, 빗 본체(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Y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빗 본체(2)의 일단측(2a)으로부터 돌출하고, 빗살(6)을 포위해 보호하고 있다. 일단 빗 가장자리부(3)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인 도 2(a)에 있어서, Y축방향에 따른 방향에서, 끝이 가는 형상의 선단(3v)을 갖는 선단측(3a)의 범위와, 빗 본체(2)와 이어지는 근원측(3b)의 범위와, 이들 선단측(3a) 및 근원측(3b) 사이가 되는 중간 개소(3c)의 범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범위의 비율은, 설계 사양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 가능한데,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Y축방향을 따른 전체 길이를 「1」로 한 경우, 선단측(3a) 및 근원측을 각각 「약 0.3」, 중간 개소(3c)를 「약 0.4」로 하여, 중간 개소(3c)를 다른 두 개의 범위보다 조금 넓게 하여, 도 2(a)에 나타낸 일단 오목부(3e)와, 도 2(b)에 나타낸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가 각각,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대해 필요한 치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and 2 (b), the comb-edge portion 3 has a pointed end with a sharp tip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mb main body 2 Protrudes from the one end side 2a of the comb main body 2 in the direction of the comb tooth 6 and protects the comb tooth 6 by surrounding it. 2 (a), which is a view taken from the front side, the comb edge 3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along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tip side 3a having a tip end 3v And the range of the base portion 3b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b main body 2 and the rang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3c which is between the tip side 3a and the base side 3b. The ratio of these ranges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design specification. When the total length along the Y-axis direc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3 is "1", the tip side 3a and the root side are referred to as " The concave portion 3e shown in Fig. 2 (a) and the concave portion 3b shown in Fig. 2 (b) are formed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3c is slightly wider than the other two range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shown in Fig.

일단 빗 가장자리부(3)는, 도 2(a)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의 도면에서, 외주가 되는 가장자리(외주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면인 일단 외연면(3d))에 있어서, 한 개의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만곡한 형상의 일단 오목부(3e)를 형성하고 있다. 이 일단 오목부(3e)에 따른 곡률(오목형 곡선의 곡률)은, 일반적인 인체의 머리부에 있어서의 가장 작은 곡률 개소보다 약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a)에 나타낸 예에서는 곡률 반경을 50mm로 하고 있다. 또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근원측(3b)에 있어서, 일단 외연면(3d)은, 거의 플랫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선단측(3a)에서는, 선단(3v)에 가까워질수록 가늘어지는, 외방으로 볼록한 곡선(곡면)으로 되어 있다.2 (a), the comb-edge portion 3 is formed in a shape of a single concave (convex)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the one-end outer peripheral surface 3d which forms the peripheral edg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A concave portion 3e having a curved shape based on a curved line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ature (curvature of the concave curve) once along the concave portion 3e is set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smallest curvature portion in the general human bod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a) Is 50 mm. The one end outer peripheral surface 3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on the root side 3b of the comb edge portion 3 and once on the tip side 3a of the comb edge portion 3, (Curved surface) that is tapered toward the tip 3v and becomes convex toward the outside.

일단 빗 가장자리부(3)는, 상술한 일단 오목부(3e)를 형성함으로써, Y축방향에 있어서, 일단 오목부(3e)의 양측(선단측(3a) 및 근원측(3b))이 되는 일단 외연면(3d)의 개소가 돌출한 형상이 된다. 그에 의해, 일단 외연면(3d)을 인체의 머리 부의 두피에 대면, 일단 오목부(3e)의 양측의 일단 외연면(3d)의 개소에서 두피에 대해 2점 접촉함으로써, 빗(1)의 안정된 자세를 확보할 수 있어, 상술한 관통 구멍(7)을 눈금으로 이용하여, 두피로부터 자라나는 두발의 개략 길이를 안정된 자세의 빗(1)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ce the concave portion 3e is formed, the comb-edge portion 3 becomes the both sides (the tip side 3a and the root side 3b) of the concave portion 3e once in the Y-axis direction The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d once protrudes. Thereby,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d is once in contact with the scalp of the human body, two points of the outer surface 3d of the one end of both sides of the recess 3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calp, So that the approximate length of the hair that grows from the scalp can be measured with the comb 1 having a stable postur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through hole 7 as a scale.

또한, 도 2(a),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빗 가장자리부(3)는, 선단측(3a)에 있어서, Z축방향(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선단 관통 구멍(8)을 형성하고 있다. 선단 관통 구멍(8)은, 빗 본체(2)의 관통 구멍(7)과 동일하게, 타원이며, 그 타원의 주위에는, 타원 형상의 자리파기부(8a)를 형성하고 있다(도 9 참조). 또한, 선단 관통 구멍(8)은, 그 장축 방향을 Y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에 의해, 끝이 가는 형상인 선단측(3a)의 외연이 외방으로 볼록한 곡선(곡면)을, 선단 관통 구멍(8)의 자리파기부(8a)의 개구 가장자리가 따르도록 레이아웃되어, 타원 형상의 선단 관통 구멍(8) 및 자리파기부(8a)를 가능한 범위에서 큰 치수의 개구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a) and Fig. 9, the comb edge portion 3 once forms the tip through hole 8 penetrating in the Z axis direction (width direction) at the tip side 3a . The tip through hole 8 is elliptical in the same manner as the through hole 7 of the comb main body 2 and an elliptical spot wave generating portion 8a is formed around the ellipse (refer to FIG. 9) . The leading end through hole 8 is arrang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Y axis direction in the major axis direction so that a curved line (curved surface) convex outwardly of the outer edge of the tip side 3a, The opening edge of the edge digging portion 8a of the leading end through hole 8 is laid out so as to secure an opening of a large size in the range of the elliptical leading through hole 8 and the edge digging portion 8a have.

도 2(b)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를, 일단 외연면(3d)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형상은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일단 빗 가장자리부(3)는, 폭방향(Z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외주연(3f)(빗 본체(2)의 정면측이 되는 제1면(2c)과 동일한 측의 가장자리), 및 타방의 외주연(3g)(빗 본체(2)의 배면측이 되는 제2면(2d)과 동일한 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중간 개소(3c)(선단측(3a) 및 근원측(3b) 사이의 개소)에, 한 개의 원호형상의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전체가 만곡 형상인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외주연(3f, 3g)은, 도 2(b)에 있어서는 「선」으로 표시되지만, 도 2(a)에 따른 정면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실제로는 「면」이며, 그래서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도 실제로는, 매끈한 「곡면」으로 되어 있다.Fig. 2 (b) shows a state where once the comb edge portion 3 is see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d, and in a state viewed from this direction, the shape of the comb edge portion 3 is symmetrical have. The comb edge portion 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3f on the same side as the first face 2c which is the front side of the comb body 2 i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Z axis direc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3c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3g (the edge on the same side as the second surface 2d which is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comb body 2)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which are curved in shape based on one arc-shaped concave curved line,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portions between the base side and the base side 3b. 2B, the outer peripheries 3f and 3g are actually " planes " as is apparent from the front view of Fig. 2 (a) Thus,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actually also have a smooth " curved surface ".

또, 일단 빗 가장자리부(3)는, 근원측(3b)의 양방의 외주연(3f, 3g)을, 거의 플랫한 면으로 하고 있고, 선단측의 양방의 외주연(3f, 3g)은, 선단부에 가까워질수록 가늘어지는, 외방을 향해 볼록해지는 만곡한 곡선(곡면)으로 하고 있다.The outer peripheral edges 3f and 3g of the comb-like side 3b are formed in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The outer peripheral edges 3f and 3g of the comb- And a curved curve (curved surface) that is tapered toward the tip and convex toward the outside.

일방의 외주연(3f)의 중간 개소(3c)에 형성된 제1 오목부(3h)는, 가장 깊은 개소를 중심으로, 그 중심으로부터 근방의 범위에서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중심을 향해 볼록해지는 매끄러운(평활한) 원호형상의 오목형 곡선(곡면)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 오목부(3h)를 중심으로 하여 외주연(3f)에 있어서의 선단측(3a) 및 근원측(3b) 쪽의 개소에는 변곡점을 설정하고, 그들 변곡점으로부터 선단측(3a) 및 근원측(3b)으로는 외방을 향해 볼록해지는 매끄러운(평활한) 곡선(곡면)으로 하고 있다. 그에 의해, 제1 오목부(3h)는, 선단측(3a)과 매끄러운 곡선(곡면)으로 이어짐과 더불어, 근원측(3b)으로도 매끄러운 곡선(곡면)으로 이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제1 오목부(3h)의 곡선(곡면)의 형성 상황은, 타방의 외주연(3g)의 제2 오목부(3i)에서도 동일하다.The first concave portion 3h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3c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3f of one of the convex portions 3b is convex toward the center of the comb edge portion 3 in the vicinity of the deepest portion, (Curved) circular concave curved surface (curved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set inflection points at the positions on the distal end side 3a and the proximal end side 3b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3f about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o set the inflection points on the distal end side 3a and And the root side 3b has a smooth (smooth) curve (curved surface) that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Thereby,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leads to the curved surface (curved surface) with the leading end side 3a and also to the root side 3b with a smooth curved surface (curved surface). The curved surfac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is formed in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of the other outer peripheral edge 3g.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를 형성하는 오목형 곡선에 따른 곡률 반경(R1)은, 사람의 손가락 중에서 가장 굵은 엄지의 평균적인 수치에 따른 곡률 치수로 하고 있으며, 도 2(b)에 나타낸 예에서는, 약 30mm 전후로 하고 있다.The radius of curvature R1 along the concave curve forming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is a curvature dimension according to an average numerical value of the largest thumb among human finger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b), the distance is about 30 mm.

또,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의 가장 깊은 개소는, 중간 개소(3c)에 있어서 가장 폭이 좁은 개소(제3 개소(3m))에 해당하고, 이 제3 개소(3m)의 폭치수(W3)는, 선단측(3a)에 있어서 가장 폭이 넓은 제1 개소(3j)의 폭치수(W1)보다 작게 되어 있고(W3<W1), 또, 제3 개소(3m)의 폭치수(W3)는, 근원측(3b)에 있어서 폭이 넓은 제2 개소(3k)의 폭치수(W2)에 대해서도 작게 되어 있다(W3<W2). 또한, 제2 개소(3k)의 폭치수(W2)는, 제1 개소(3j)의 폭치수(W1)보다 크게 하고 있다(W2>W1). 이와 같이, 제3 개소(3m)의 폭치수(W3)를 가장 작게 함으로써, 중간 개소(3c)에 형성한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가, 선단측(3a) 및 근원측(3b)에 대해 충분한 깊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deepest portions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correspond to the narrowest portion (the third portion 3m) in the intermediate portion 3c, The width dimension W3 of the portion 3m is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W1 of the widest portion 3j at the tip side 3a and W3 <W1, The width dimension W3 of the second portion 3m is also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W2 of the second portion 3k having a larger width at the root side 3b (W3 <W2). The width W2 of the second portion 3k is made larg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portion 3j (W2> W1). As described above, by minimizing the width W3 of the third portion 3m,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3c are positioned at the tip side 3a, And a sufficient depth can be secured with respect to the root side 3b.

도 3(a)는, 도 2(a)에 있어서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내고, 일단 빗 가장자리부(3)에 인접하여 설치된 단빗살(6')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빗살(6')은, X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대략 쐐기형의 끝이 가는 형상이며, 빗 본체(2) 측의 근원 부분(6b')을 폭치수(W4)로 하고 있고, 이 폭치수(W4)는, 상술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근원측(3b)의 폭치수(W2) 이하로 되어 있다. 또, 단빗살(6')의 선단 부분(6a')은, 상술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중간 개소(3c)에 대응한 범위에 위치하며, 선단 부분(6a')의 폭치수(W5)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에 있어서의 어느 개소의 폭치수보다 작게 하여, X축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선단 부분(6a') 및 근원 부분(6b')의 외형이,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에 따른 곡선(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나오지 않고,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단빗살(6')의 외형이,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에 따른 곡선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외방으로 나오는 개소를 오목하게 하여, 단빗살(6')에도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Fig. 3 (a)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a) and shows a single comb 6 'provided adjacent to the comb edge portion 3 at one time. As shown in Fig. 3 (a), the single comb 6 'has a substantially wedge-shaped tip with a symmetrical left-right symmetry when seen from the direction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the width W4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root side 3b of the one-end comb portion 3 described above. The distal end portion 6a 'of the single comb 6' is located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portion 3c of the comb end portion 3 described above and has a width dimension W5 are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any on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of the comb edge portion 3 and the tip portion 6a 'And the root portion 6b' do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curved line (curved surface) along the first recess 3h and the second recess 3i. When it is difficult to make the external shape of the single comb 6 'once enter the curved line along the first concave 3h and the second concave 3i of the comb edge 3, And concave portions may also be formed in the single comb 6 '.

도 3(b)는, 도 2(a)에 있어서의 B-B선의 단면을 나타내며, 빗살(6)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에 나타낸 빗살(6)은, 빗(1)에 있어서의 복수의 빗살(6)의 예이며, 복수개의 빗살(6)은 모두, 도 3에 나타낸 빗살(6)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단, 단빗살(6')을 제외한다). 빗살(6)도 X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Y축방향을 따라서, 끝이 가는 형상의 선단(6v)을 갖는 선단측(6a)의 범위와, 빗 본체(2)와 이어지는 근원측(6b)의 범위와, 이들 선단측(6a) 및 근원측(6b) 사이가 되는 중간 개소(6c)의 범위로 구획할 수 있다. 빗살(6)의 선단(6v)은, 상술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선단(3v)과 돌출 방향에서 동일 위치이며, 또, 빗살(6)의 선단측(6a)의 범위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선단측(3a)의 범위와 위치 및 치수가 대응되고, 빗살(6)의 중간 개소(6c)의 범위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중간 개소(6c)의 범위와 위치 및 치수가 대응되며, 빗살(6)의 근원측(6b)의 범위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근원측(3b)에 있어서의 중간 개소(3c) 쪽의 범위와 위치가 대응하고 있다(빗살(6)에 있어서의 근원측(6b)의 범위의 치수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근원측(3b)의 치수의 약 1/3로 되어 있다).Fig. 3 (b)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a), and shows the comb 6. The comb tooth 6 shown in Fig. 3 (b) is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comb teeth 6 in the comb 1, and all of the comb teeth 6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mb tooth 6 shown in Fig. 3 (Except for the single comb 6 '). The comb teeth 6 also have symmetrical ends tha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The comb teeth 6 are formed on the tip side 6a having a tip end 6v having a tip shape along the Y- A range of the base side 6b extending from the comb main body 2 and a rang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c between the tip side 6a and the root side 6b. The tip 6v of the comb 6 is at the same position in the protruding direction as the tip 3v of the comb edge 3 at one end and the range of the tip 6a of the comb 6 is once a comb The range and position and dimension of the front end side 3a of the edge portion 3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rang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c of the comb 6 is once the rang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c of the comb edge 3 And the range of the root side 6b of the comb 6 corresponds to the range and the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3c on the root side 3b of the comb edge portion 3 once (The size of the range of the root side 6b in the comb 6 is once about 1/3 of the size of the root side 3b of the comb edge 3).

그리고, 빗살(6)은, 폭방향(Z축방향)의 양방측의 외주연(6f, 6g)의 중간 개소(6c)에 있어서, 도 3(b)에 나타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상술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와 대응하는 개소에, 매끄러운 1개의 원호형상의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전체가 만곡 형상의 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의 형상은,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의 가장 깊은 개소에 있어서의 오목형 곡선에 따른 곡률 반경(R2)은,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에 따른 곡률 반경(R1)과 동일 치수로 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빗살 오목부)는,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오목부)와 동일 형상으로 동일 사이즈(동일한 크기)의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3 (b) in the intermediate portion 6c of the outer periphery 6f, 6g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 first concave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concave portion 3i of the curved concave curved line based on the smooth concave curve of one circular arc shap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of the comb- (6h) and a second comb recess (6i), respectively. The shapes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of the comb edge portion 3 Shape. The radius of curvature R2 along the concave curve at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R2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set to have the same radius as the radius of curvature R1 according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2 is the same shape as the concave portion 3i (concave portion) and has a curved shape of the same size (same size).

또, 빗살(6)에 있어서도, 중간 개소(6c)의 가장 폭이 좁은 제3 개소(6n)(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의 가장 깊은 개소)의 폭치수(W8)를, 선단측(6a)에 있어서 가장 폭이 넓은 제1 개소(6j)의 폭치수(W6)보다 작게 하고 있고(W8<W6), 또, 제3 개소(6n)의 폭치수(W8)는, 근원측(6b)의 폭이 넓은 제2 개소(6k)의 폭치수(W7)에 대해서도 작다(W8<W7). 또한, 제2 개소(6k)의 폭치수(W8)는, 제1 개소(6j)의 폭치수(W6)보다 크다(W7>W6). 이와 같이, 빗살(6)에서도, 중간 개소(6c)에 있어서의 제3 개소(6n)의 폭치수(W8)를 가장 작게 함으로써, 중간 개소(6c)에 형성한 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가 충분한 깊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width of the third portion 6n (the deepest portion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of the narrowest portion 6c of the intermediate portion 6c, The dimension W8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W6 of the widest width portion 6j at the distal end side 6a (W8 <W6) and the width dimension W3 of the third portion 6n The width W8 is also small (W8 &lt; W7) with respect to the width W7 of the second portion 6k having a large width on the root side 6b. The width W8 of the second portion 6k is larger than the width W6 of the first portion 6j (W7 &gt; W6). As described above, even in the comb teeth 6, the width W8 of the third portion 6n at the intermediate portion 6c is minimized, so that the first comb teeth 6h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6c can be reduced,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can secure a sufficient depth.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빗(1)의 정면측(빗 본체(2)의 제1면(2c) 측)에 있어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1 오목부(3h)는, 빗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단빗살(6')을 사이에 두고 근방에 위치하는 빗살(6)의 제1 빗살 오목부(6h)와 연통해, 양자는 원활하게 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빗(1)의 배면측(빗 본체(2)의 제2면(2d) 측)에 있어서도,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2 오목부(3i)는, 단빗살(6')을 사이에 두고 근방에 위치하는 빗살(6)의 제2 빗살 오목부(6i)와 연통해, 양자는 원활하게 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3h of the comb-edge portion 3 at one time on the front side of the comb 1 (on the side of the first surface 2c of the comb body 2)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of the comb tooth 6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comb teeth 6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 and both of them are connected smoothly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of the comb edge portion 3 is onc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comb 1 (on the side of the second surface 2d of the comb body 2)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of the comb tooth 6 positioned in the vicinity thereof, so that they are smoothly connected.

상술한 구성의 빗살(6)은, 도 1에 나타낸 넓은 피치의 제1 범위(1a)에 포함되는 것, 및 좁은 피치의 제2 범위(1b)에 포함되는 것과 공통이며, 그 때문에, 이들 제 1 범위(1a) 및 제2 범위(1b)에 포함되는 각 빗살(6)의 제1 빗살 오목부(6h)끼리도, 빗(1)의 정면측(빗 본체(2)의 제1면(2c) 측)에 있어서, 원활하게 이어진(연통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빗(1)의 배면측(빗 본체(2)의 제2면(2d) 측)에 있어서도, 제1 범위(1a) 및 제2 범위(1b)에 포함되는 각 빗살(6)의 제2 빗살 오목부(6i)끼리도 원활하게 이어진(연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comb teeth 6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common to those included in the first range 1a of the wide pitch shown in FIG. 1 and those included in the second range 1b of the narrow pitch,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s 6h of the comb teeth 6 included in the first range 1c and the second range 1b of the comb tooth 2 are also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mb 1 (On the side of the second surface 2d of the comb body 2) of the comb 1, the first range 1a and the second range 2b of the comb 1, The second comb teeth recesses 6i of the comb teeth 6 included in the second range 1b are smooth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4(a)는, 빗(1)의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 방향으로붜 봤을 때의 도면이며, 타단 빗 가장자리부(4)는, 상술한 도 2(a) 등에 나타낸 일단 빗 가장자리부(3)에 대해 기본적으로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즉, 타단 빗 가장자리부(4)는, 끝을 가늘게 뾰족하게 한 끝이 가는 형상이며, 빗 본체(2)의 타단측(2b)으로부터 Y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이 가는 형상의 선단(4v)을 갖는 선단측(4a)의 범위와, 빗 본체(2)와 이어지는 근원측(4b)의 범위와, 중간 개소(4c)의 범위로 나뉘고, 이 중간 개소(4c)의 타단 외연면(4d)에, 만곡 형상의 타단 오목부(4e)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타단 빗 가장자리부(4)는, 선단측(4a)에 있어서, Z축방향(폭방향)으로 관통하는 타원 형상의 선단 관통 구멍(9)을 형성하고 있고, 이 선단 관통 구멍(9)은, 타원 형상의 자리파기부(9a)를 갖는다.4 (a) is a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the comb end portion 4 of the other end of the comb 1 when viewed i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other comb edge 4 is a portion of the comb 1 shown in Figs. 2 And is bas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omb edge portion 3 shown once. That is, the other-end comb portion 4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tapered tip with an end that is narrow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along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side 2b of the comb body 2, A range of the distal end side 4a having the distal end 4v and a range of the distal end side 4b leading to the comb body 2 and a range of the intermediate point 4c, And the other end concave portion 4e is formed on the surface 4d. The other end comb end portion 4 has an elliptical leading end through hole 9 penetrating in the Z axis direction (width direction) at the leading end side 4a. The leading end through- Has an elliptical spot waveguide portion 9a.

또, 도 4(b)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4)를, 타단 외연면(4d)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도,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형상은, 상술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와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즉, 타단 빗 가장자리부(4)는, 폭방향(Z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외주연(4f)(빗 본체(2)의 정면측이 되는 제1면(2c)과 동일한 측의 가장자리), 및 타방의 외주연(4g)(빗 본체(2)의 배면측이 되는 제2면(2d)과 동일한 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중간 개소(4c)(선단측(4a) 및 근원측(4b) 사이의 개소)에, 한쪽의 오목형 곡선에 의거한 전체가 만곡 형상인 제1 오목부(4h) 및 제2 오목부(4i)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이들 제1 오목부(4h) 및 제2 오목부(4i)는, 상술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4 (b) shows a state where the other comb edge 4 is viewed from the other end outer surface 4d. Even when viewed from this direction, the shape of the comb- And is symmetrical with the comb edge portion 3 once. That is,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4 has one outer peripheral edge 4f (a first face 2c as a front face side of the comb body 2 and a second face 2b as a front face side of the comb main body 2) in the width direction (The edge on the same side) and the other outer periphery 4g (the edge on the same side as the second surface 2d which is the back side of the comb body 2) A first concave portion 4h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4i which are curved in their entirety on the basis of one concave curved line are formed respectively at positions between the first concave portions 4a and 4b The concave portion 4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4i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of the comb end portion 3 described above.

또, 타단 빗 가장자리부(4)에 있어서도, 중간 개소(4c)의 가장 폭이 좁은 제3 개소(4n)의 폭치수(W3)를, 선단측(4a)의 가장 폭이 넓은 제1 개소(4j)의 폭치수(W1)보다 작게 하고 있고(W3<W1), 또, 제3 개소(4n)의 폭치수(W3)는, 근원측(3b)에 있어서 폭이 넓은 제2 개소(4k)의 폭치수(W2)에 대해서도 작게 하고 있다(W3<W2). 또한, 제2 개소(4k)의 폭치수(W2)는, 제1 개소(4j)의 폭치수(W1)보다 크다(W2>W1).The width W3 of the third portion 4n having the smallest wid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4c can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width W3 of the third portion 4n having the narrowest width at the first widest portion The width W3 of the third portion 4n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second portion 4k having a larger width on the root side 3b, (W3 &lt; W2). The width W2 of the second portion 4k is larg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portion 4j (W2 &gt; W1).

상기와 같은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구성에 의해,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측에 있어서도, 빗(1)의 정면측(빗 본체(2)의 제1면(2c) 측)에서,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제1 오목부(4h)는, 그 근방에 위치하는 각 빗살(6)의 제1 빗살 오목부(6h)와 연통해, 양자는 원활하게 이어지고, 또, 빗(1)의 배면측(빗 본체(2)의 제2면(2d) 측)에서,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제2 오목부(4i)는, 그 근방의 빗살(6)의 제2 빗살 오목부(6i)와 연통하여, 양자는 원활하게 이어져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4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comb end portion 4 of the comb 1 to be wound on the front side (the first surface 2c side of the comb body 2) The first concave portion 4h of the other end comb portion 4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b concave portion 6h of the comb teeth 6 positioned in the vicinity thereof so that they are smooth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concave portion 4i of the comb end portion 4 of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mb 2 of the comb tooth 6 in the vicinity thereof And are in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the concave portions 6i.

따라서 빗(1) 전체에서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로부터 복수의 빗살(6)을 통해 타단 빗 가장자리부(4)에 이르는 전 범위에 있어서, 빗(1)의 정면측(빗 본체(2)의 제1면(2c) 측)에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1 오목부(3h), 복수의 빗살(6)의 제1 빗살 오목부(6h),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제1 오목부(4h)가 연통해, 원활하게 이어져 있고, 빗(1)의 배면측(빗 본체(2)의 제2면(2d) 측)에서도,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2 오목부(3i), 복수의 빗살(6)의 제2 빗살 오목부(6i),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제2 오목부(4i)가 연통하여, 원활하게 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refore, the entire comb 1 is divided into the front side of the comb 1 (the front side of the comb main body 2) and the comb-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of the comb edge portion 3,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of the plurality of comb teeth 6 and the first comb tooth portion 6h of the other comb tooth edge portion The first concave portion 4h of the comb end portion 4 is smoothly connected to the comb edge portion 3 of the comb 1 and the comb end portion 3 of the comb 1 is also smoothly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side (the second surface 2d side of the comb main body 2)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of the other comb tooth 6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4i of the other comb edge 4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moothly .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1)을, 타단 빗 가장자리부(4)와, 그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근처의 범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빗살(6)을, 엄지(F1)로 지지하는 잡는 방식을 사용자가 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mb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folded by the comb-like edge portion 4 of the first stage and a plurality of combs 6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other-end comb- F1) by the user.

도 6(a)는, 도 5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의 타단 빗 가장자리부(4)를 타단 외연면(4d)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도 4(b)와 동일한 방향에서 본 상태), 빗(1)의 정면측(빗 본체(2)의 제1면(2c) 측)과 동일한 측의 일방의 외주연(4f)의 중간 개소(4c)에 형성된 제1 오목부(4h)에, 사용자의 엄지(F1)가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오목부(4h)는, Y축방향에 있어서, 완만한 곡선으로 선단측(4a) 및 근원측(4b)과 이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엄지(F1)가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일방의 외주연(4f)에 파지를 위해 접촉했을 때, 선단측(4a) 또는 근원측(4b) 중 어느 쪽에서라도, 손으로 더듬어 엄지(F1)가 원활하게 제1 오목부(4h)로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제1 오목부(4h) 안에 들어가게 된다.6A shows a state where the other comb edge 4 in the state shown in Fig. 5 is viewed from the other end outer surface 4d (a state seen from the same direction as Fig. 4 (b)),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4h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4c of one outer peripheral edge 4f on the same side as the front side (on the side of the first surface 2c of the comb body 2) The thumb F1 of FIG. The first concave portion 4h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side 4a and the root side 4b with a gentle curve in the Y axis direction so that the thumb F1 of the user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other end comb portion 4 The finger F1 is smoothly guide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4h by fingering with the hand by either of the tip end side 4a or the root side 4b when i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edge 4f , And naturally enters the first concave portion 4h.

또, 도 6(b)는, 도 5에 나타낸 상태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빗(1)의 정면측(빗 본체(2)의 제1면(2c) 측)과 동일한 측의 일방의 외주연(6f)의 중간 개소(6c)에 형성된 제1 빗살 오목부(6h)에, 사용자의 엄지(F1)가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제1 빗살 오목부(6h)도, Y축방향에 있어서, 완만한 곡선으로 선단측(6a) 및 근원측(6b)과 이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엄지(F1)가 빗살(6)의 일방의 외주연(6f)에 파지를 위해 접촉했을 때, 선단측(6a) 또는 근원측(6b) 중 어느 쪽에서라도, 손으로 더듬어 엄지(F1)가 원활하게 제1 빗살 오목부(6h)로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제1 빗살 오목부(6h) 안에 들어가게 된다. 또한, C-C선에 따른 개소 이외의 엄지(F1)가 접촉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빗살(6)과 엄지(F1)의 관계는, 도 6(b)에 나타낸 상태와 동일하게 된다.5 shows the cross section on the CC line in the state shown in Fig. 5 and shows a cross section on the same side as the front side of the comb 1 (the first surface 2c side of the comb body 2) The thumb F1 of the us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mb recessed portion 6h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6c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6f of one side.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is connected to the tip side 6a and the root side 6b in a gentle curved line in the Y axis direction so that the thumb F1 of the user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comb tooth 6 The finger F1 is smoothly guided to the first comb recessed portion 6h by hand by either of the tip end side 6a or the root side 6b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6f is brought into contact for gripping , And naturally enters the first comb recess 6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b tooth 6 and the thumb F1 at the portion where the thumb F1 contacts the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along the line C-C becomes the same as the state shown in Fig. 6 (b).

또,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제1 오목부(4h), 및 그 타단 빗 가장자리부(4)가 이웃하는 범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빗살(6)의 각 제1 빗살 오목부(6h)는, 동일 형상으로 연통하므로, 한 개의 손가락(엄지)은 횡단적으로, 제1 오목부 및 복수의 제1 오목부(6h)에서 형성되는 공간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제1 오목부(4h) 및 제1 빗살 오목부(6h)는 만곡 형상이라는 점에서, 엄지(F1)의 만곡한 불룩한 부분은 점접촉이 아니라, 면접촉이 되어, 종래에 비해 엄지(F1)는 넓은 범위에서 빗(1)과 접촉한다. 그 때문에, 빗(1)을 지지할 때, 엄지(F1)에 걸리는 부담이 분산됨과 더불어, 빗(1)에 대한 그립력도 높아져, 제1 오목부(4h) 및 제1 빗살 오목부(6h)는 미끄럼 방지로서도 도움이 된다. 또, 빗(1)의 배면측(빗 본체(2)의 제2면(2d) 측)에 있어서, 사용자가, 빗살(6)의 중간 개소(6c)에 검지(F2)를 접촉하는 잡는 방식을 하면, 검지(F2)도, 접촉한 개소의 각 빗살(6)의 제2 빗살 오목부(6i)에 들어가, 면접촉으로 빗(1)을 지지할 수 있어, 검지(F2)에 대한 적당한 그립력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검지(F2)도 만곡 형상의 복수의 제2 빗살 오목부(6i)와 면접촉하므로, 지지에 필요한 힘이 분산되어, 검지(F2)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4h of the other comb end portion 4 and the first comb concave portion 6h of the comb teeth 6 located in the adjacent range of the other end comb end portion 4, (Thumb) transversely enter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ncave portions 6h. In this state, since the first concave 4h and the first comb concave 6h are curved, the curved bulged portion of the thumb F1 is not in point contact but in surface contact, The thumb F1 contacts the comb 1 in a wide range. Therefore, when the comb 1 is supported, the load applied to the thumb F1 is dispersed, and the gripping force against the comb 1 is also increased. As a result, the first concave portion 4h and the first comb tooth- Is also helpful as a slip prevention. A method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middle portion 6c of the comb 6 with the detection F2 on the back side of the comb 1 (on the side of the second surface 2d of the comb body 2) The detection F2 also enters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of each comb tooth 6 of the contacted portion and can support the comb 1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grip Fp can be ensured and also the force F2 is also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comb teeth 6i in the curved shape so that the force required for the support is disperse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detection F2 .

그래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1)에서는, 빗(1)을 지지하는 엄지(F1), 검지(F2)에 힘을 주기 쉽게 되어 있고, 종래의 빗에 비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1)을 이용한 작업성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도 5, 도 6(a), (b)에서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측을 파지하는 경우로 설명했는데, 일단 빗 가장자리부(3) 측을 파지할 때에도,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되며, 특히, 일단 빗 가장자리부(3)에 인접하는 단빗살(6')은, 제1 오목부(3h) 및 제1 빗살 오목부(6h)에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엄지가 제1 오목부(3h) 및 제1 빗살 오목부(6h)에 들어가는 것을 단빗살(6')이 방해하는 경우는 없다.Therefore, in the comb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easy to exert a force on the thumb F1 and the finger F2 that support the comb 1,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mb, The workability using the comb 1 is increasing. 5, 6 (a) and 6 (b), the case of gripping the side of the other comb edge portion 4 has been described. However, even when gripping the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3 once, Particularly since the single comb 6 'adjacent to the comb edge portion 3 does not protrude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first comb concave portion 6h, The comb tooth 6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도 7(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1)으로, 핑거 웨이브와 같은 세팅을 행하는 경우의 파지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검지(F2), 중지(F3), 및 약지(F4)는 빗(1)의 정면측(제1면(2c) 측)을 지지하고, 엄지(F1) 및 새끼손가락(F5)은 빗(1)의 배면측(제2면(2d) 측)을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측(제1면(2c) 측)을 지지하는 검지(F2), 중지(F3), 및 약지(F4)는, 각각의 손가락 끝이 복수의 빗살(6)의 일방의 외주연(6f)의 제1 빗살 오목부(6h)에서 형성되는 공간에 들어간다. 그것에 의해, 각 손가락(F2~F4)에는 적당한 그립이 얻어짐과 더불어, 면접촉에 의해 각 손가락(F2~F4)에 걸리는 부담도 저감되고 있다.Fig. 7 (a) shows a grasping method in the case of setting the same as the finger wave in the comb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detection F2, the stop F3 and the finger F4 support the front side of the comb 1 (on the side of the first face 2c), and the thumb F1 and the little finger F5 Thereby supporting the back side (second side 2d side) of the comb 1. More specifically, the index finger F2, the stop F3, and the ring finger F4, which support the front side (the first surface 2c side) And enters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comb recess 6h of the peripheral edge 6f. As a result, a proper grip is obtained for each of the fingers F2 to F4, and the burden imposed on each of the fingers F2 to F4 by the surface contact is also reduced.

또, 배면측(제2면(2d) 측)을 지지하는 엄지(F1) 및 새끼손가락(F5)은, 복수의 빗살(6)의 타방의 외주연(6g)의 제2 빗살 오목부(6i)로 형성되는 공간에 들어간다. 이 때, 엄지(F1)는, 그 손가락 끝(손가락 끝의 불룩한 부분)이, 제2 빗살 오목부(6i)와 광범위에서 접촉해, 적당한 그립이 얻어짐과 더불어, 엄지(F1)에 걸리는 부담도 저감되는데, 새끼손가락(F5)에 대해서는, 새끼손가락(F5)의 등쪽 부분이, 제2 빗살 오목부(6i)와 접촉하게 된다.The thumb F1 and the little finger F5 that support the back side (second surface 2d side) are formed by the second comb teeth 6i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6g of the plurality of comb teeth 6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t this time, the thumb F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in a wide range so that the fingertip (the bulged portion of the fingertip) can obtain a suitable grip and the burden imposed on the thumb F1 The back portion of the little finger F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comb recessed portion 6i with respect to the little finger F5.

도 7(b)는, 핑거 웨이브를 행하는 경우의 새끼손가락(F5)에 의한 빗(1)의 지지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새끼손가락(F5)은, 등쪽 부분을 복수의 빗살(6)의 타방의 외주연(6g) 측에 형성된 제2 빗살 오목부(6i)에 넣은 상황으로 되어 있다. 제2 빗살 오목부(6i)는, 전체가 만곡 형상이라는 점에서, 새끼손가락(F5)의 등쪽 부분과는 넓은 범위에서 면접촉한 상태가 되어, 그것에 의해 빗(1)을 지지하는 힘이, 새끼손가락(F5)의 등쪽 부분에 있어서의 한 점에 집중되는 것을 회피하고 있어, 새끼손가락(F5)의 등쪽 부분에 걸리는 부담을 저감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점도가 높은 로션을 이용하여 핑거 웨이브의 세팅을 빗(1)으로 행하는 경우, 도 7(a), (b)에 나타낸 잡는 방식으로, 각 손가락(F1~F5)에 힘을 주어도, 각 손가락(F1~F5)에 대한 부담은 종래의 빗에 비해 저감되어 있으며, 특히, 손가락의 등쪽으로 지지하게 되는 새끼손가락(F5)에 대해서는, 손가락의 등쪽이 손가락의 불룩한 쪽에 비해 피부가 약하다는 점에서, 그 부담 저감에 의한 이점은 크며, 또한, 로션 등의 부착에 의해 피부가 불어 있을 때의 부담 저감의 이점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공헌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Fig. 7 (b) shows the state of the support of the comb 1 by the little finger F5 when finger waving is performed. The little finger F5 is in a state in which the back portion is put in the second comb recessed portion 6i formed on the other outer peripheral edge 6g side of the comb teeth 6.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is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i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back portion of the little finger F5 in a wide range so that the force of supporting the comb 1 It is avoided that the finger F5 concentrates on one point on the back portion of the finger F5,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back portion of the little finger F5. Therefore, when the setting of the finger wave is performed using the comb 1 using the lotion having a high viscosity,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each finger F1 to F5 by the gripping method shown in Figs. 7 (a) and 7 (b) The burden on each of the fingers F1 to F5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mb.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little finger F5 to be supported on the back of the finger, the back of the finger is weaker than the bulged side of the finger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burden is large and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burden when the skin is blown by the attachment of lotion or the like can be very contributed to the user.

도 8(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1)을 이용하여,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이 예에서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측을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일단 빗 가장자리부(3) 쪽에서 또한 빗(1)의 배면측(빗 본체(2)의 제2면(2d) 측)에서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상황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Fig. 8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airbrush bundle is lifted by using the comb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xample, the side of the other comb portion 4 is held with a finger And the hair bundle is once lifted from the comb edge 3 side and from the back side of the comb 1 (on the second side 2d side of the comb body 2).

도 8(b)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에 있어서의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으며, 들어올린 두발 다발(h)이, 도 8(b)에서는 상면이 되는 타방의 외주연(3g)의 중간 개소(3c)에 형성된 제2 오목부(3i)에 들어간 상태가 된다. 즉, 제2 오목부(3i)는, Y축방향에 있어서, 완만한 곡선으로 선단측(3a) 및 근원측(3b)과 이어져 있으므로,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타방의 외주연(3g)(도 8(b)에 있어서의 상면)으로 들어올려진 두발 다발(h)은, 완만한 곡면에 의해 제2 오목부(3i)로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제2 오목부(3i) 안에 들어가게 된다.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hair bundle at the comb edge portion 3 is once lifted and the lifted hair bundle h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edge 3g in the second recess 3i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3c. That is, since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side 3a and the root side 3b with a gentle curve in the Y axis direc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3g of the other comb- (The upper surface in Fig. 8 (b)) is guided 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by a gentle curved surface and naturally falls in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또, 도 8(c)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근방에 위치하는 각 빗살(6) 중 1개에 의한 두발 다발(h)을 들어올리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 빗살(6)에 있어서도, 도 8(b)에서 나타낸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되는 타방의 외주연(6g)의 중간 개소(6c)에 형성된 제2 빗살 오목부(6i)에, 들어올린 두발 다발(h)이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빗(1)을 이용해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행하면,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2 오목부(3i), 및 그 근방의 각 빗살(6)의 제2 빗살 오목부(6i)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들어가므로, 종래와 같이, 빗으로 들어올려 두발 다발이 선단측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빈도가 감소해, 빗으로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Fig. 8 (c) shows a situation in which the hair bundle h is lifted by one of the comb teeth 6 located near the comb edge portion 3 at one time. The comb teeth 6 are formed so that the comb teeth 6 are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b formed on the intermediate portion 6c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6g on the other side, And the lifted hair bundle h is inserted into the hair bundle 6i. When the hair bundle is lifted by using the comb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lifted bundle of hair is temporarily held by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of the comb edge portion 3, And enters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of the comb tooth 6, so that the frequency of lifting the hair bundle from the tip side and sliding down from the tip side is reduced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efficiency of the work of raising can be improved.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 쪽에 있어서의 빗(1)의 배면측에서 들어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로 설명했는데, 빗(1)의 정면측에서 들어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제1 오목부(3h) 및 제1 빗살 오목부(6h)에 의해서 마찬가지로,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워진다. 이것은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쪽에서, 빗(1)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 중 어느 쪽에서 들어올리는 작업을 행해도 동일하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case where the work is once lifted from the back side of the comb 1 on the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3 has been described. However, even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lifting work from the front side of the comb 1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first comb concave portion 6h, it is difficult for the lifted pair of legs to slip down. This is the same regardless of wheth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to raise the comb 1 from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back side of the comb 1 from the side of the comb portion 4.

도 9는, 빗(1)을 두발 중에 끼워넣어, 일단 빗 가장자리부(3)로 두발 다발(h1)과 두발 다발(h2)로 가르기 위해(파팅 등을 위해), 일단 빗 가장자리부(3)를 이동시키는 작업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선단(3v)을 두피(T)에 댄 상태로 하여, 일단 빗 가장자리부(3)를 포함하는 빗(1)을 X축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 일단 빗 가장자리부(3)로 두발 다발(h1)과 두발 다발(h2)로 순차적으로 갈라가게 된다.9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mb 1 is inserted into the hair and the comb edge portion 3 is onc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mb edge portion 3 with the hair bundle h1 and the hair bundle h2 And the like. In this case, once the tip 3v of the comb edge 3 is placed on the scalp T, the comb 1 including the comb edge 3 is moved along the X-axis direction, The hair is divided into a hair bundle (h1) and a hair bundle (h2) sequentially by the comb edge (3).

이 때,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일방의 외주연(3f)에 있어서, 선단측(3a)에는, 자리파기부(8a)를 갖는 선단 관통 구멍(8)이 개구되어 있음과 더불어, 중간 개소(3c)에서는 제1 오목부(3h)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방의 외주연(3f)으로 갈라지는 한쪽의 두발 다발(h1)은, 자리파기부(8a), 선단 관통 구멍(8), 및 제1 오목부(3h)가 위치하는 개소에서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와 접촉하지 않고, 이들 개소 이외에서 외주연(3f)과 접촉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선단 관통 구멍(8), 자리파기부(8a) 및 제1 오목부(3h)가 존재하지 않는 빗에 비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일단 빗 가장자리부(3)는, 두발 다발(h1)과의 접촉 범위(접촉 면적)가 큰 폭으로 감소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가르는 대상의 두발 다발(h1)에 의한 접촉 저항이 감소해, 두발 안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distal end side through hole 8 having the digging portion 8a is opened at the distal end side 3a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3f on one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3,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is formed in the portion 3c and the one hair bundle h1 that is split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3f at one side is formed by the edge wave breaking portion 8a,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mb edge portion 3 at one time bu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edge 3f in addition to these portions.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mb in which the conventional tip through-hole 8, the saw-toothed portion 8a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re not present, the comb edge portion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act area (contact area) with the bundle h1 is greatly reduced, whereby contact resistance by the hair bundle h1 of the object to be cut is reduced, and it is easy to move smoothly in the hair.

상기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타방의 외주연(3g)에서도 동일하며, 선단측(3a)의 자리파기부(8a)를 갖는 선단 관통 구멍(8), 및 중간 개소(3c)에 있어서의 제2 오목부(3i)에 의해, 두발 다발(h2)과의 접촉 범위(접촉 면적)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두발 다발(h2)과의 접촉 저항도 감소하므로, 일단 빗 가장자리부(3)를 두발 안에서 이동시키기 쉽게 되어 있어, 빗(1)의 조작성, 작업성이 향상된다.The above is also the same in the other outer peripheral edge 3g of the comb edge 3 and is formed in the tip through hole 8 having the digging portion 8a of the tip side 3a, The contact area (contact area) with the hair bundle h2 decreases and the contact resistance with the hair bundle h2 also decreases by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in the comb-like portion 3i, Can be easily moved within the hair, and the opera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comb 1 can be improved.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빗(1)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를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일단 빗 가장자리부(3) 등을 두발 안에 끼워넣고 빗(1)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상정하지 않는 경우 등 일 때에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선단 관통 구멍(8) 또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선단 관통 구멍(9)의 형성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b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envisaged.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comb end portion 3 shown in Fig. 9 is inserted into the hair and the comb 1 is not assumed to be moved, the tip end through-hole 8 or the tip end through-hole 9 of the other end comb portion 4 can be omitted.

또, 도 10은, 빗(1)의 정면도이며, 일단 빗 가장자리부(3)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로 둘러싸인 복수의 빗살(6)의 범위를, 도 1에 나타낸 제1 범위(1a) 및 제2 범위(1b)와 상이한 범위로 나눈 예를 나타내며, 일단 빗 가장자리부(3) 쪽의 일단 범위(1c), 빗 본체(2)의 중앙 부분(2e)에 따른 중앙 범위(1d),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쪽의 타단 범위(1e)로 나누고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전체 범위의 빗살(6)에, 제1 빗살 오목부(6h) 또는 제2 빗살 오목부(6i)를 형성했으나, 하나의 변형예로서, 중앙 부분(2e)에 포함되는 빗살(6)에는, 제1 빗살 오목부(6h) 또는 제2 빗살 오목부(6i)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형성을 생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중앙 부분(2e)은 종래의 빗과 동일한 사용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던 것에 대응한다.10 is a front view of the comb 1 and shows a range of a plurality of comb teeth 6 surrounded by the comb edge 3 and the other comb edge 4 once in a first range 1a And the center range 1d along the center portion 2e of the comb body 2 is set to a range 1c at one end of the comb edge portion 3, And the other end range 1e on the side of the edge comb portion 4 at the other end.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or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is formed in the comb tooth 6 in the entire range in the above example. However, as a modified example, the comb tooth 6, which is included in the center portion 2e, It is conceivable to omit formation of either or both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This corresponds to the fact that the central portion 2e can secure the same feeling as a conventional comb.

한편, 빗(1)이 파지되는 측이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쪽으로 한정되는 경우, 또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 쪽은 종래와 동일한 빗의 사용감이 요구되는 경우 등에는, 일단 범위(1c)에 포함되는 빗살(6)에 대해서 제1 빗살 오목부(6h) 또는 제2 빗살 오목부(6i)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형성을 생략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일단 범위(1c) 및 중앙 범위(1d)에 포함되는 빗살(6)에 대해서 제1 빗살 오목부(6h) 또는 제2 빗살 오목부(6i)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형성을 생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case where the side where the comb 1 is gripped is limited to the side of the other comb edge 4, or when the feeling of use of the same comb is required once in the comb edge 3, The formation of either or both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with respect to the comb teeth 6 included in the first range 1c It is conceivable to omit the formation of either or both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with respect to the comb teeth 6 included in the center range 1d and the center range 1d.

마찬가지로, 빗(1)이 파지되는 측이 일단 빗 가장자리부(3) 쪽으로 한정되는 경우, 또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쪽은 종래와 동일한 빗의 사용감이 요구되는 경우 등에는, 타단 범위(1e)에 포함되는 빗살(6)에 대해서 제1 빗살 오목부(6h) 또는 제2 빗살 오목부(6i)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형성을 생략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으며, 또한 타단 범위(1e) 및 중앙 범위(1d)에 포함되는 빗살(6)에 대해서 제1 빗살 오목부(6h) 또는 제2 빗살 오목부(6i)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형성을 생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Likewise, in the case where the side where the comb 1 is grasped is once limited to the comb edge portion 3, or when the feeling of use of the same comb is required in the other comb edge portion 4,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formation of either or both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is omitted with respect to the comb teeth 6 included in the other tooth range 1e, It is conceivable to omit the formation of either or both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with respect to the comb teeth 6 included in the center range 1d.

또, 도 7(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빗 가장자리부(3)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에는 접촉하지 않고, 빗살(6)로 빗(1)의 지지를 행하는 경우 등을 주요한 목적으로 할 때에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에 제1 오목부(3h) 또는 제2 오목부(3i)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형성을 생략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타단 빗 가장자리부(4)에서도 마찬가지로, 제1 오목부(4h) 또는 제2 오목부(4i)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형성을 생략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일단 빗 가장자리부(3)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제1 오목부(3h, 4h), 제2 오목부(3i, 4i)의 생략이 가능. 일단 빗 가장자리부(3)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4)의 일단 오목부(3e) 및 타단 오목부(4e)의 생략도 가능).As shown in Figs. 7 (a) and 7 (b), when the comb 1 is supported by the comb 6 without contacting the comb-edge portion 3 and the comb- It is possible to omit formation of either or bot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in the comb edge portion 3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assume that either or both of the first concave 4h and the second concave 4i are omitted in the other comb edge 4 as well (once the comb edge 3 and / It is possible to omit the first concave portions 3h and 4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s 3i and 4i of the other end comb end portion 4. Once the comb end portions 3 and the one end comb end portion 4 of the other end comb end The portion 3e and the other end concave portion 4e can be omitted).

또한, 상술한 일단 범위(1c), 또는 일단 범위(1c) 및 중앙 범위(1d)에 포함되는 빗살(6)의 제1 빗살 오목부(6h), 제2 빗살 오목부(6i)의 생략과 관련지어, 일단 빗 가장자리부(3)에 있어서의 제1 오목부(3h) 또는 제2 오목부(3i)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형성도 생략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또한, 일단 오목부(3e)의 형성도 생략 가능하다). 추가로, 상술한 타단 범위(1e), 또는 타단 범위(1e) 및 중앙 범위(1d)에 포함되는 빗살(6)의 제1 빗살 오목부(6h) 또는 제2 빗살 오목부(6i)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형성의 생략과 관련지어, 타단 빗 가장자리부(4)에 있어서의 제1 오목부(4h) 또는 제2 오목부(4i)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형성도 생략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또한, 일단 오목부(4e)의 형성도 생략 가능하다).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of the comb tooth 6 included in the one-end range 1c or the one-end range 1c and the middle range 1d described above are omitted, It is also conceivable to omit the formation of either or bot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in the comb edge portion 3 once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The formation of the electrode 3e may be omitted). Furthermore, either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or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of the comb tooth 6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other end range 1e, or the other end range 1e and the center range 1d, It is assumed that the formation of either or both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4h or the second recessed portion 4i in the other end combed edge portion 4 is omitted in connection with the omission of forming one or both of them (The formation of the concave portion 4e once can also be omitted).

또, 상술한 예에서는, 전체 범위의 빗살(6)의 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 중 가장 깊은 개소를 중심으로 한 곡률 반경(R2)을 동일하게 했는데, 곡률 반경(R2)을 각 빗살(6)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example described above, the radius of curvature R2 centered on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of the comb tooth 6 in the entire range is made equal,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radius of curvature R2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each comb 6 is installed.

예를 들면, 일단 빗 가장자리부(3) 쪽의 개소에 위치하는 빗살(6)은, 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의 곡률 반경(R2)의 치수를, 일단 빗 가장자리부(3)의 제1 오목부(3h) 및 제2 오목부(3i)의 곡률 반경(R1)과 동일하게 하는데, 도 10에 나타낸 일단 범위(1c) 중에서 중앙 범위(1d)에 가까워짐에 따라 곡률 반경(R2)의 치수를 서서히 작게 해나가고, 중앙 범위(1d)에 들어가면 곡률 반경(R2)이 「0」, 즉, 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를 형성하지 않고, 또, 타단 범위(1e)에 들어가면, 곡률 반경(R2)을 발생시켜, 타단 빗 가장자리부(4)에 가까워짐에 따라 곡률 반경(R2)을 증가시켜나가고, 타단 빗 가장자리부(4) 쪽의 개소에서는 다시, 곡률 반경(R2)의 치수를 곡률 반경(R1)과 동일한 치수로 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b teeth 6, which are once located at the positions on the comb edge portion 3 side, have the dimensions of the radius of curvature R2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The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3h and the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3i of the comb edge 3 is equal to the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3i. The radius of curvature R2 gradually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center range 1d and the radius of curvature R2 becomes equal to zero when entering the center range 1d, that is,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The radius of curvature R2 is increased so as to increase the curvature radius R2 as it approaches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4 and the radius of curvature R2 of the other comb edge portion 4 is increased, And the dimension of the radius of curvature R2 is set to the same dimension as the radius of curvature R1 at the portion on the side of the portion 4 side.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빗살(6)의 제1 빗살 오목부(6h) 및 제2 빗살 오목부(6i)의 깊이 치수가, 빗 본체(2)의 일단측(2a)으로부터 중앙 부분(2e)을 거쳐 타단측(2b)에 이름에 따라, 깊은 상황으로부터 서서히 얕아져가고, 중앙 범위(1d)에서 일단, 빗살 오목부가 소멸되는데, 다시, 빗살 오목부가 발생해 깊이가 증가해나간다는 것과 같이,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각 빗살(6)의 빗살 오목부에 의한 공간에 단차 등이 발생하지 않고, 손가락이 넣어지는 상태가 양호해진다.By doing so, the depth dimension of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h and the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of each comb tooth 6 is changed from the one end side 2a of the comb tooth body 2 to the center portion 2e And gradually becomes shallower from the deep state according to the name on the other end side 2b and the comb tooth concave part disappears once in the central range 1d and again the concave concave part is generated again to increase the depth, A step or the like does not occur in the space due to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of each comb tooth 6, and the state in which the fingers are inserted is improved.

또한, 도 10에 나타낸 일단 범위(1c), 중앙 범위(1d), 및 타단 범위(1e)의 비율로는, 복수의 빗살(6)의 전체 범위를 「1」로 하면, 각 범위(1c~1e)를 균등하게 하여, 각각 「1/3」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각 범위(1c~1e)를 불균등하게 하여, 예를 들면, 일단 범위(1c) 및 타단 범위(1e)를 「2/5」, 중앙 범위(1d)를 「1/5」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 각 범위(1c~1e)의 비율은, 빗(1)의 사양·목적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 가능해진다.The ratio of the one-end range 1c, the central range 1d, and the other-end range 1e shown in Fig. 10 is set such that the total range of the comb teeth 6 is &quot; The range 1c and the other end range 1e can be made equal to "1/3", and the ranges 1c to 1e can be made uneven, And the ratio of the respective ranges 1c to 1e can be appropriate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and purpose of the comb 1 and the like.

도 11(a), (b)는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11(a)는, 변형예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13)를 나타내고, 폭방향(Z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외주연(13f)의 중간 개소(13c)에는 만곡 형상의 제1 오목부(13h)를 형성하는데, 타방의 외주연(13g)의 중간 개소(13c)는, 제2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 종래의 빗과 마찬가지로, 선단측(13a) 및 근원측(13b)과 플랫한 면으로 이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13)는,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에 의한 파지가 일방의 외주연(13f) 측만을 고려하면 되는 경우(검지는 통상의 파지로 되는 경우), 또는 일방의 외주연(13f) 측에서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경우 등에서, 타방의 외주연(13g)에서는 종래의 빗과 동일한 사용감이 요구될 때 등에 적합한 변형예가 된다. 또한, 도 11(a)에 따른 변형예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11 (a) and 11 (b)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Fig. 11 (a) shows the comb edge portion 13 at one end of the modified example, and shows one comb- The intermediate portion 13c of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edge 13g is formed without forming the second concave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13c of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edge 13g is formed with the curved first concave portion 13h, Likewise, the end side 13a and the root side 13b are connected to a flat surface. The comb edge portion 13 of this modified example is used in a case where only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13f of one of the user's fingers (for example, the thumb) is grasped by the user's finger Or in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is limited to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hair bundle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13f of one side or the like and the outer peripheral edge 13g on the other side is required to have the same feeling of use as the conventional comb. The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Fig. 11 (a)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other end comb.

도 11(b)는, 변형예의 빗살(16)을 나타내며, 이 변형예의 빗살(16)은 상술한 변형예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13)와 조합되는 것이며, 도 11(a)에 나타낸 일단 빗 가장자리부(13)와 마찬가지로, 폭방향(Z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외주연(16f)의 중간 개소(16c)에 제1 빗살 오목부(16h)를 형성하는데, 타방의 외주연(16g)은, 중간 개소(16c)는, 종래의 빗과 마찬가지로, 선단측(13a) 및 근원측(13b)과 플랫한 면으로 이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빗살(16)도,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에 의한 파지가 일방의 외주연(16f) 측만을 고려하면 되는 경우(검지는 통상의 파지로 되는 경우), 또는 일방의 외주연(16f) 측에서 두발 다발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경우 등에서, 타방의 외주연(16g)에서는 종래의 빗과 동일한 사용감이 요구될 때 등에 적합한 변형예가 된다.11 (b) shows a comb tooth 16 of the modified example. The comb tooth 16 of this modified example is combined with the comb tooth edge portion 13 of the modified example described above,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16h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16c of one outer peripheral edge 16f in the width direction (Z axis direction) The intermediate portion 16c is connected to a flat surface with the tip side 13a and the root side 13b, like the conventional comb. The comb teeth 16 of this modified example also can be used in the case where the gripping by the user's finger (e.g., the thumb) only takes the one outer peripheral edge 16f side into account (detection is a normal grip) The outer peripheral edge 16g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16f is limited to the cas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hair bundle from th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16f.

또한, 상술한 도 11(a), (b)에서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13)의 일방의 외주연(13f), 및 빗살(16)의 일방의 외주연(16f)에만 제1 오목부(13h), 및 제1 빗살 오목부(16h)를 각각 형성하는 경우로 설명했는데, 좌우를 반대로 하여, 일단 빗 가장자리부(13)의 타방의 외주연(13g), 및 빗살(16)의 타방의 외주연(16g)에만 제2 오목부, 및 제2 빗살 오목부를 각각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도 11(a), (b)에 따른 각 변형예는, 상술한 도 10에 의거해 설명한 각 변형예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11 (a) and 11 (b), only one outer peripheral edge 13f of the comb edge portion 13 and one outer peripheral edge 16f of the comb tooth 16 are provided with the first recess por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13g of the other comb edge portion 1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13g of the other comb tooth portion 16b of the comb tooth 16 are form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the second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comb concave portion only in the outer periphery 16g. 11 (a) and 11 (b) can be combined with each modific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described above.

도 12(a), (b)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12(a)의 변형예에 따른 일단 빗 가장자리부(23)는, 중간 개소(23c)의 양방의 외주연(23f, 23g)에 형성된 제1, 2 오목부(23h, 23i)가, 근원측(23b)과 이어지는 개소에, 모서리가 되는 뾰족한 에지(23r, 23s)를 형성했던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에지(23r, 23s)를 형성하기 위해, 제1, 2 오목부(23h, 23i)는, 근원측(23b) 쪽의 개소에는 변곡점을 설정하지 않고, 가장 깊은 개소를 중심으로, 그 근방의 범위에서 볼록해지는 곡선(곡면)을, 그대로 근원측(23b)의 플랫한 경향의 외주연(23f, 23g)과 이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에지(23r, 23s)를 형성하면, 바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오목부(23h, 23i)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의 손가락(예를 들면, 엄지)이 들어가면, 이들 에지(23r, 23s) 중 어느 한쪽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려, 한층 그립력이 높아지고, 미끄럼 방지 기능도 더욱 향상된다. 또한, 도 12(a)에 따른 변형예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12 (a) and 12 (b)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The comb-edge portion 23 at one end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12 (a)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portions 23h and 23i formed on the base portions 23g and 23g are formed with sharp edges 23r and 23s to be corners in a portion connecting to the root side 23b. In order to form the edges 23r and 23s,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portions 23h and 23i are formed such that the inflection point is not set at the portion on the side of the root side 23b, (Curved surface) which is convex in the range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edges 23f and 23g of the flat side tendency of the base side 23b. When the edges 23r and 23s are formed, if a user's finger (e.g., a thumb) enter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cesses 23h and 23i as shown in FIG. 6A, Either one of these edges 23r and 23s is caught by the user's finger,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gripping force and further improving the anti-slip function.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12 (a)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other end comb.

도 12(b)는, 변형예의 빗살(26)을 나타내며, 이 변형예의 빗살(26)도 도 12(a)에 나타낸 변형예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23)와 마찬가지로, 중간 개소(26c)의 양방의 외주연(26f, 26g)에 형성된 제1, 2 빗살 오목부(26h, 26i)가, 근원측(26b)과 이어지는 개소에, 모서리가 되는 뾰족한 에지(26r, 26s)를 형성했던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빗살(26)에 있어서도, 이들 에지(26r, 26s)가 각각, 사용자의 손가락의 그립력을 높여, 빗살에 있어서의 미끄럼 방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도 12(a)에 나타낸 변형예는, 도 12(b)에 나타낸 변형예와 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마찬가지로, 도 12(b)에 나타낸 변형예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이와 같이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에는, 부분적으로라도 그립력을 높일 수 있다.12B shows the comb teeth 26 of the modified example and the comb teeth 26 of this modified example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b teeth 23 of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The first and second comb recesses 26h and 26i formed in the outer peripheries 26f and 26g of the main cutting edge 26b are formed with sharp edge edges 26r and 26s to be corners in a portion connecting to the root side 26b . In the comb teeth 26 of this modified example, the edges 26r and 26s respectively increase the gripping force of the user's finger to further improve the anti-slip function in the comb.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12 (a) may be used alone without being combined with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12 (b), and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12 (b) When used alone, the gripping force can be partially increased.

또,상술한 도 12(a), (b)에서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23)의 양방의 외주연(23f, 23g) 및 빗살(26)의 양방의 외주연(26f, 26g)에, 에지(23r, 23s), 및 에지(26r, 26s)를 형성하도록 했는데, 어느 한쪽의 외주연에만 에지를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도 12(a), (b)에 따른 각 변형예는, 상술한 도 10 또는 도 11(a), (b)에 따른 각 변형예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12 (a) and 12 (b) described above, once the outer peripheral edges 23f and 23g of the comb edge 23 and the outer peripheral edges 26f and 26g of the comb teeth 26, The edges 23r and 23s and the edges 26r and 26s are formed. 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the edges only on one of the outer circumferences. 12A and 12B can be combined with each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G. 10 or 11 (a) and 11 (b).

도 13(a), (b)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13(a)의 변형예에 따른 일단 빗 가장자리부(33)는, 중간 개소(33c)의 양방의 외주연(33f, 33g)에 형성된 제1, 2 오목부(33h, 33i)가, 선단측(33a)과 이어지는 개소에, 모서리가 되는 뾰족한 에지(33t, 33u)를 형성했던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에지(33t, 33u)를 형성하기 위해, 제1, 2 오목부(33h, 33i)는, 선단측(33a) 쪽의 개소에는 변곡점을 설정하지 않고, 가장 깊은 개소를 중심으로, 그 근방의 범위에서 볼록해지는 곡선(곡면)을, 그대로 선단측(33a)의 외주연(33f, 33g)과 이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에지(33t, 33u)를 형성하면, 바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오목부(33h, 33i) 중 어느 한쪽에, 들어올린 두발 다발(h)이 들어가면, 이들 에지(33t, 33u)가, 들어올린 두발 다발(h)에 걸려, 들어올린 두발 다발(h)이 일단 빗 가장자리부(33)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정도를 한층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a)에 따른 변형예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13 (a) and 13 (b)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The comb edge portion 33 at one end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13 (a) is formed by the outer peripheral edges 33f and 33g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portions 33h and 33i formed on the front side 33a are formed with sharp edges 33t and 33u as corners.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portions 33h and 33i are formed so as not to have an inflection point at the point on the side of the distal end side 33a and to form the edge 33i and 33i around the deepest point, (Curved surface) which is convex in the range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edges 33f and 33g of the tip side 33a as it is. When the edges 33t and 33u are formed, as shown in Fig. 8 (b), if the lifted hair bundle h enter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33h and 33i, The hairs 33t and 33u are caught by the lifted hair bundle h so that the degree of the slippage of the lifted hair bundle h once slipped off from the comb edge portion 33 can be further reduced. 13 (a)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other end comb.

도 13(b)는, 변형예의 빗살(36)을 나타내고, 이 변형예의 빗살(36)도 도 13(a)에 나타낸 변형예의 일단 빗 가장자리부(33)와 마찬가지로, 중간 개소(36c)의 양방의 외주연(36f, 36g)에 형성된 제1, 2 빗살 오목부(36h, 36i)가, 선단측(36a)과 이어지는 개소에, 모서리가 되는 뾰족한 에지(36t, 36u)를 형성했던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빗살(36)에 있어서도, 이들 에지(36t, 36u)에 의해, 각각, 들어올린 두발 다발(h)(도 8(c) 참조)이 빗살(36)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정도를 한층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a)에 나타낸 변형예는, 도 13(b)에 나타낸 변형예와 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마찬가지로 도 13(b)에 나타낸 변형예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이와 같이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에는, 부분적으로도,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정도를 한층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13 (b) shows the comb teeth 36 of the modified example, and the comb teeth 36 of this modified example are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ne-end comb portion 33 of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13 (a) The first and second comb teeth recesses 36h and 36i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s 36f and 36g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36e are formed with sharp edges 36t and 36u which are to be corners in the portion connecting to the distal end side 36a . In the comb teeth 36 of this modified example, the degree of slippage of the lifted hair bundle h (see Fig. 8 (c)) from the comb 36 is further reduced by these edges 36t and 36u . 13 (a) may be used alone without being combined with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13 (b), and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13 (b) may also be used alone, In the case of using alone, it may partially help to further suppress the degree of slipping and falling of the lifted pair of legs.

또, 상술한 도 13(a), (b)에서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33)의 양방의 외주연(33f, 33g) 및 빗살(36)의 양방의 외주연(36f, 36g)에, 에지(33t, 33u), 및 에지(36t, 36u)를 형성하도록 했는데, 어느 한쪽의 외주연에만 에지를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도 13(a), (b)에 따른 각 변형예는, 상술한 도 10 또는 도 11(a), (b)에 따른 각 변형예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13 (a) and 13 (b) described above, once the outer peripheral edges 33f and 33g of the comb edge portion 33 and the outer peripheral edges 36f and 36g of the comb teeth 36, The edges 33t and 33u and the edges 36t and 36u are formed. 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the edges only on one of the outer circumferences. 13 (a) and 13 (b) can be combined with each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G. 10 or 11 (a) and (b).

도 14(a), (b)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14(a)의 변형예에 따른 일단 빗 가장자리부(43)는, 도 12(a)의 변형예에 따른 일단 빗 가장자리부(23)의 에지(23r, 23s)와 관련된 구성과, 도 13(a)의 변형예에 따른 일단 빗 가장자리부(33)의 에지(33t, 33u)와 관련된 구성을 조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일단 빗 가장자리부(43)는, 중간 개소(43c)의 양방의 외주연(43f, 43g)에 형성된 제1, 2 오목부(43h, 43i)가, 근원측(43b)과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43r, 43s)를 형성함과 더불어, 제1, 2 오목부(43h, 43i)가, 선단측(43a)과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43t, 43u)를 형성하고 있다. 일단 빗 가장자리부(43)는, 근원측(43b)의 에지(43r, 43s)에 의해 미끄럼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 선단측(43a)의 에지(43t, 43u)에 의해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a)에 따른 변형예는, 타단 빗 가장자리부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14 (a) and 14 (b)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The comb-edge portion 43 at one end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14 (a)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edges 23r and 23s of the comb 23 is combined with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edges 33t and 33u of the comb edge 33 at the one end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Namely, the comb edge portion 43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portions 43h and 43i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s 43f and 43g of the intermediate portion 43c are located at the portions connecting to the root side 43b The edges 43r and 43s are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portions 43h and 43i form edges 43t and 43u at the portion following the front end side 43a. The comb edge portion 43 can once exhibit the slip prevention function by the edges 43r and 43s of the root side 43b and the combs 43r and 43s of the hair side pulled by the edges 43t and 43u of the tip side 43a,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lip of the bundle. 14 (a)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other end comb.

도 14(b)는, 변형예의 빗살(46)을 나타내고, 이 변형예의 빗살(46)도 도 12(b)의 변형예에 따른 빗살(26)의 에지(26r, 26s)와 관련된 구성과, 도 13(b)의 변형예에 따른 빗살(36)의 에지(36t, 36u)와 관련된 구성을 조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빗살(46)은, 중간 개소(46c)의 양방의 외주연(46f, 46g)에 형성된 제1, 2 빗살 오목부(46h, 46i)가, 근원측(46b)과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46r, 46s)를 형성함과 더불어, 제1, 2 빗살 오목부(46h, 46i)가, 선단측(46a)과 이어지는 개소에 에지(46t, 46u)를 형성하고 있다. 빗살(46)은, 근원측(46b)의 에지(46r, 46s)에 의해 미끄럼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 선단측(46a)의 에지(46t, 46u)에 의해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a)에 나타낸 변형예도, 도 14(b)에 나타낸 변형예와 조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마찬가지로, 도 14(b)에 나타낸 변형예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된다.14B shows the comb teeth 46 of the modified example and the comb teeth 46 of the modified example also have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edges 26r and 26s of the comb teeth 26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And the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edges 36t and 36u of the comb 36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13 (b) are combined. That is, the comb teeth 46 are form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comb recessed portions 46h and 46i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s 46f and 46g of the intermediate portion 46c are connected to the edge portions 46b and 46b, 46r and 46s and the first and second comb concave portions 46h and 46i form edges 46t and 46u at the portions adjoining the leading end side 46a. The comb teeth 46 can exhibit a slip prevention function by the edges 46r and 46s of the root side 46b and the hair bundle lifted by the edges 46t and 46u of the tip side 46a is slippery Can be reduced. 14 (a) may be used alone without being combined with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14 (b), and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14 (b) may be used alone.

또, 상술한 도 14(a), (b)에서는, 일단 빗 가장자리부(43)의 양방의 외주연(43f, 43g) 및 빗살(46)의 양방의 외주연(46f, 46g)에, 에지(43r~43u), 및 에지(46r~46u)를 형성하도록 했는데, 어느 한쪽의 외주연에만 에지를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도 14(a), (b)에 따른 각 변형예도, 상술한 도 10 또는 도 11(a), (b)에 따른 각 변형예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14A and 14B described above, once the outer peripheral edges 43f and 43g of the comb edge portion 43 and the outer peripheral edges 46f and 46g of both the comb teeth 46 are formed, The edge portions 43r to 43u and the edges 46r to 46u are formed. 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the edge only on one of the outer circumferences. 14 (a) and 14 (b) can also be combined with each modification examp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G. 10 or 11 (a) and (b).

실시예 2Example 2

도 1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빗(50)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빗(50)은, 봉형의 파지부(51)를 타단 빗 가장자리부(54)로부터 돌출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파지부(51)를 갖는 타입의 빗(50)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빗 본체(52)의 일단측(52a)에 설치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53), 및 빗 본체(52)의 타단측(52b)에 설치한 타단 빗 가장자리부(54) 중 일방의 외주연의 중간 개소에 제1 오목부(53h, 54h)를 형성함과 더불어, 타방의 외주연의 중간 개소에 제2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들 일단 빗 가장자리부(53)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54)로 둘러싸인 복수의 빗살(56)에 있어서도, 양방의 외주연에 제1, 2 빗살 오목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빗(50)은, 일단 빗 가장자리부(53)의 선단측에 선단 관통 구멍(58)을 형성함과 더불어, 타단 빗 가장자리부(54)의 선단측에도 선단 관통 구멍(59)을 형성하고 있다.15 (a)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comb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r-shaped grip portion 51 is protruded from the other comb edge portion 54. In the comb 50 having the grip portion 51 End comb edge portion 53 provided on the one end side 52a of the comb body 52 and the other comb edge portion 53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52b of the comb body 52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concave portions 53h and 54h are formed at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ces of one of the outer combs 54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s are formed at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other, The first and second comb concave port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both the comb teeth 56 surrounded by the other comb tooth portion 54 and the other comb tooth portion 54, respectively. The comb 50 has the tip end through hole 58 once formed on the tip end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53 and the tip end through hole 59 on the tip end side of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54 have.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빗(50)은, 봉형의 파지부(51)를 돌출시키고 있어도,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일단 빗 가장자리부(53) 쪽을 중심으로 파지하는 방식으로 사용해도, 일단 빗 가장자리부(53)의 제1 오목부 등과, 그 일단 빗 가장자리부(53) 근방의 각 빗살(56)에 형성된 제1 빗살 오목부 등에 의해, 미끄럼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더불어,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 타단 빗 가장자리부(54) 쪽을 중심으로 파지하는 방식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타단 빗 가장자리부(54)의 제1 오목부 등과, 그 타단 빗 가장자리부(54) 근방의 각 빗살(56)에 형성된 제1 빗살 오목부 등에 의해, 이 방식도 미끄럼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더불어,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빗(50)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종 변형예의 적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mb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ven if the comb-like grip portion 51 is protruded. Therefore, the comb 50 grips the comb- Slip function can be exerted by the first concave portion or the like of the comb edge portion 53 and the first comb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comb teeth 56 near the comb edge portion 53 at one end thereof, The first concave portion 54 of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54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out and being pulled out from the other comb edge portion 54. In addition, And the first comb teeth recesses formed in the comb teeth 56 in the vicinity of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54 can provide the slip prevention function in this method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lifted pair of legs slips off To be inhibited All. Also in the comb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도 15(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변형예의 빗(60)의 개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변형예에 따른 빗(60)은, 봉형이 아니라 판상의 파지부(65)를 타단 빗 가장자리부(64)로부터 돌출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상의 파지부(65)를 돌출시킨 경우에도, 빗(60)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유지하고 있다. 즉, 빗(60)은, 빗 본체(62)의 일단측(62a)에 설치한 일단 빗 가장자리부(63), 및 빗 본체(62)의 타단측(62b)에 설치한 타단 빗 가장자리부(64)의 일방의 외주연의 중간 개소에 제1 오목부(63h, 64h)를 형성함과 더불어, 타방의 외주연의 중간 개소에 제2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들 일단 빗 가장자리부(63) 및 타단 빗 가장자리부(64)로 둘러싸인 복수의 빗살(66)에 있어서도, 양방의 외주연에 제1, 2 빗살 오목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빗(60)은, 일단 빗 가장자리부(63)의 선단측에 선단 관통 구멍(68)을 형성함과 더불어, 타단 빗 가장자리부(64)의 선단측에도 선단 관통 구멍(69)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변형예에 따른 빗(60)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종 변형예의 적용이 가능하다.15B is a front view showing an outline of a comb 60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omb 60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is formed not by a bar type but by a plate-like grip portion 65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64. [ Even when the plate-shaped grip portion 65 protrudes like this, the comb 6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comb 60 includes a comb edge portion 63 at one end provided on one end side 62a of the comb body 62 and a comb edge portion 63 provided at the other end side 62b of the comb body 62 64, the first concave portions 63h, 64h are formed at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ces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mb end portions 63, 64,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comb concave portions are formed on both outer circumferences of the comb teeth 66 surrounded by the other comb edge portion 64. [ The comb 60 has a tip through hole 68 once formed on the tip end side of the comb edge portion 63 and a tip through hole 69 on the tip end side of the other end comb edge portion 64 have. Also in the comb 60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various modification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본 발명은, 빗을 파지하는 손가락의 부담을 경감함과 더불어, 그립력을 높이고, 또한 빗으로 들어올린 두발 다발이 빗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대해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for reducing the burden on the fingers holding the comb, increasing the gripping force, and preventing the hair bundle lifted by the comb from slipping off the comb.

1, 50, 60: 빗 2: 빗 본체
3, 13, 23, 33, 43, 53, 63: 일단 빗 가장자리부
3h, 13h, 23h, 33h, 43h, 53h, 63h: 제1 오목부
3i, 23i, 33i, 43i: 제2 오목부
4, 14, 24, 34, 44, 54, 64: 타단 빗 가장자리부
4h, 54h, 63h: 제1 오목부 4i: 제2 오목부
6': 단빗살 6, 16, 26, 36, 46, 56, 66: 빗살
6h, 16h, 26h, 36h, 46h: 제1 빗살 오목부
6i, 26i, 36i, 46i: 제2 빗살 오목부
7: 관통 구멍 8, 9, 58, 59: 선단 관통 구멍
1, 50, 60: comb 2: comb body
3, 13, 23, 33, 43, 53, 63: Once the comb-
3h, 13h, 23h, 33h, 43h, 53h, 63h:
3i, 23i, 33i, and 43i:
4, 14, 24, 34, 44, 54, 64:
4h, 54h, 63h: first concave portion 4i: second concave portion
6 ': single comb 6, 16, 26, 36, 46, 56, 66: comb
6h, 16h, 26h, 36h, 46h: the first comb tooth concave portion
6i, 26i, 36i, 46i: a second comb tooth concave portion
7: through hole 8, 9, 58, 59: front end through hole

Claims (11)

빗 본체와, 상기 빗 본체로부터 돌출한 복수개의 빗살과, 상기 빗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빗살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는 빗 가장자리부를 구비하는 빗에 있어서,
상기 빗 가장자리부는,
끝을 뾰족하게 한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정면에서 본 경우에 외주가 되는 가장자리의 외연면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범위와 근원측의 범위 사이의 중간 개소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연면이, 상기 중간 개소에서 오목해지고, 상기 선단측 및 상기 근원측에서 볼록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측의 범위에만,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선단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 관통 구멍의 주위에는,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표면에서 패어 들어간 자리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
A comb having a comb body, a plurality of combs protruded from the comb body, and a comb ed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bod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mb,
The comb-
It has a sharp end with sharp ends,
By forming the concave portion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range on the distal end side and the range on the proximal end side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recess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is convex on the root side,
A through-hole penetra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b-edge portion is formed only in the range on the tip side,
And a comb-shaped portion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leading-end through-hole is formed at the surface of the comb-edg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 가장자리부는,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폭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의 외주연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 개소에, 만곡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빗살 중에서, 적어도 상기 빗 가장자리부 측에 설치된 범위에 포함되는 각 빗살의 각각에는, 빗살의 폭방향으로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오목부와 대응하는 개소에,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오목부와 동일한 형상의 빗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빗 가장자리부의 오목부 및 상기 빗살 오목부는, 상기 빗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빗.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b edge portion is formed with a curved concave portion at the intermediate portion at the outer periphery on at leas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Wherein each of the comb teeth included in a range provided at least on the side of the comb edge among the plurality of comb teeth has the same shape as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b,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is formed,
Where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mb edge portion and the comb tooth concave portion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in a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b main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7016033A 2015-12-11 2015-12-11 comb KR10198299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4839 WO2017098664A1 (en) 2015-12-11 2015-12-11 Com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913A KR20180093913A (en) 2018-08-22
KR101982997B1 true KR101982997B1 (en) 2019-05-27

Family

ID=5901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033A KR101982997B1 (en) 2015-12-11 2015-12-11 comb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368548A1 (en)
EP (1) EP3387945B1 (en)
JP (1) JP6437671B2 (en)
KR (1) KR101982997B1 (en)
CN (1) CN108471856B (en)
RU (1) RU2691188C1 (en)
WO (1) WO201709866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7393A1 (en) * 2019-01-04 2020-07-08 Koninklijke Philips N.V. Combs for hair cutting applian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7528A1 (en) * 2012-12-06 2014-06-12 株式会社パークウェイ Comb
KR200473878Y1 (en) 2014-02-24 2014-08-05 김수혁 Tool for hair beaut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1804A (en) * 1919-02-01 1921-06-14 Samuel T Crawford Comb
US1942753A (en) * 1932-11-19 1934-01-09 Griffin Oliver Bead tip hair tooth comb
US2305969A (en) * 1941-09-29 1942-12-22 Thorald O Larson Hair comb
CH389841A (en) * 1959-09-21 1965-03-31 Worlitzer Gerhard Cleaning and massage comb
BE794511A (en) * 1972-01-28 1973-05-16 World Inventions Ltd IMPROVEMENTS TO COMBING ARTICLES
JPS61137305U (en) * 1985-02-14 1986-08-26
JPS6239604A (en) 1985-08-15 1987-02-20 Nitto Chem Ind Co Ltd Production of acrylamide based polymer
JPH0310881Y2 (en) * 1985-08-27 1991-03-18
JPH084529B2 (en) 1991-03-08 1996-01-24 久光 白井 Ring comb for permanent that changes the winding direction left and right
JPH0666504A (en) 1992-08-13 1994-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Detector of linear displacement
JP2584426Y2 (en) * 1993-03-03 1998-11-05 株式会社パークウェイ Hairdressing comb
JP3421427B2 (en) * 1994-04-28 2003-06-30 花王株式会社 Hair dyeing liquid application comb
JPH10276830A (en) * 1997-04-08 1998-10-20 Ikemoto Brush Kogyo Kk Hair treating tool
JP3646179B2 (en) * 1999-10-25 2005-05-11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Cap with comb
JP3085833U (en) 2001-11-05 2002-05-24 安夫 山口 Hair dye brush
JP3881304B2 (en) * 2002-07-23 2007-02-14 東京パーツ株式会社 Hair dyeing tools
EP2298116B1 (en) * 2008-06-24 2018-08-08 Park Way Co., Ltd. Comb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7528A1 (en) * 2012-12-06 2014-06-12 株式会社パークウェイ Comb
KR200473878Y1 (en) 2014-02-24 2014-08-05 김수혁 Tool for hair beau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913A (en) 2018-08-22
CN108471856A (en) 2018-08-31
CN108471856B (en) 2020-04-17
JP6437671B2 (en) 2018-12-12
JPWO2017098664A1 (en) 2018-03-01
US20180368548A1 (en) 2018-12-27
EP3387945A4 (en) 2019-07-17
EP3387945B1 (en) 2020-10-21
RU2691188C1 (en) 2019-06-11
WO2017098664A1 (en) 2017-06-15
EP3387945A1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7338B2 (en) comb
EP2615939B1 (en) A comb
US11297921B2 (en) Hair gathering accessory with heat shield
EP2298116B1 (en) Comb
US20120111358A1 (en) Floss pick
KR101982997B1 (en) comb
JP5690976B2 (en) comb
JP5232811B2 (en) comb
US10238410B2 (en) Medical instrument
US10532455B1 (en) Ergonomic handle adapted for use with a hand-operated personal use device
KR200463437Y1 (en) Comb
KR200487321Y1 (en) Comb for upstyling
JP3774728B1 (en) brush
JP3114881U (en) comb
KR101177446B1 (en) Hairbrush having metal-lead
KR200312891Y1 (en) Comb for hair cut
JP3085833U (en) Hair dye brush
KR102253232B1 (en) Nails and toen cuticle removal scissors
KR101407242B1 (en) Dental retractor
KR20240001461A (en) Remover of the dead skin of scalp
KR200323545Y1 (en) A brush for a permanent
TWM522613U (en) Hair dyeing tool
JP2004159963A (en) Comb for 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