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26B1 -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 - Google Patents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26B1
KR101982926B1 KR1020170105039A KR20170105039A KR101982926B1 KR 101982926 B1 KR101982926 B1 KR 101982926B1 KR 1020170105039 A KR1020170105039 A KR 1020170105039A KR 20170105039 A KR20170105039 A KR 20170105039A KR 101982926 B1 KR101982926 B1 KR 101982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pcb
temperatur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736A (ko
Inventor
고재정
오승호
Original Assignee
고재정
오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정, 오승호 filed Critical 고재정
Priority to KR102017010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9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8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for particular medical treatments or effects
    • A61F2007/0284Treatment of stings or b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이나 부스럼이 발생된 환부에 진동과 열을 제공하여 여드름 발생균(박테리아)이나 부스럼의 발생균(포도알균)을 자멸시키는 한편, 모기와 같은 해충 물림시 독성물질인 포름산을 해독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분비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하여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2차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과 열을 이용한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PORTABLE APPARATUS FOR TREATING DISEASED SPOT BY ACNE, FURUNCLE AND HARMFUL INSECTS USING VIBRATION AND HEAT}
본 발명은 여드름이나 부스럼(종기), 혹은 모기와 같은 해충에 물린 부위를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여드름이나 부스럼이 발생된 환부에 진동과 열을 제공하여 여드름 발생균(박테리아)이나 부스럼 발생균(포도알균)을 박멸하는 한편, 모기와 같은 해충 물림시 독성물질인 포름산을 해독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분비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하여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2차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과 열을 이용한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이나 부스럼(종기)과 같은 피지선 질환은 호르몬 변화가 원인이 되어 대부분의 10대 청소년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20~30대의 성인들에게도 생길 수 있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으로서, 프로피오니 박테리아(Propionibacterium acnes)와 같은 발생균이 주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지선 질환은 호르몬 변화에 의해 피지의 분비가 왕성해지면 분비된 피지로 인해 모공이 막이고, 이로 인해 모공 내에서 프로피오니 박테리아와 같은 피질선 질환 유발 세균이 생장 및 증식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이러한 피지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약물과 초음파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주로 제시되었으나, 약물을 이용한 치료방법은 부작용이 우려되었고, 초음파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전문적인 의료기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치료비 부담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열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피지선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WO 2004/107956 A2("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와 W0 2006/063202 A2("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skin conditions")에서 제안되었다. 이외에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3417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92630호 등에서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을 치료하는 휴대용 치료기들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방법들은 피부에 대략 48℃~55℃의 온도를 수십초 동안 인가하거나 약 70℃~400℃의 온도를 수초 동안 인가하여 피지선 질환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 박테리아의 생장과 증식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피부 질환을 치료하였으나, 피부의 표피층에 열을 가하는 것만으로는 피지선 질환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다만, W0 2006/063202 A2의 경우 피부 깊숙이 열을 인가하기 위해 고온의 열을 순간적으로 펄스식으로 인가하는 방법을 제공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짧은 시간에 고온을 인가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따끔거리는 고통과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WO 2004/107956 A2,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 W0 2006/063202 A2,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skin conditions" KR 20-0453417 Y1(등록일: 2011. 04. 22.), "급속 가열이 가능한 피지선 질환 치료장치의 발열부 구조" KR 10-2011-0092630 A(공개일: 2011. 08. 18.), "모바일기기에서 작동되는 피지선 질환 치료기" KR 10-2011-0020549 A(공개일: 2011. 03. 03.), "반투명 바이오 세라믹 팁을 갖는 피지선 질환 치료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이 가능하고, 치료시 고통과 불쾌감을 최소화하면서 여드름 발생균이나 부스럼 발생균을 효과적으로 박멸하여 여드름과 부스럼을 치료하는 한편, 해충에 물린 환부의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2차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치료기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체결되고, 중앙부에 개구공이 형성된 하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내장되고, 여드름이나 부스럼과 같은 피지선 질환이 발생된 환부 또는 모기와 같은 해충에 물린 환부에 열을 인가하는 발열부와,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내장되고,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와,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외부 이동통신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발열부와 상기 진동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포트와, 상기 상부커버에 형성된 개구공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부와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누름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PCB를 포함하는 메탈 PCB와, 상기 제1 PCB의 상부에 실장된 제1 발열체와, 상기 제2 PCB의 상부에 실장된 제2 발열체와, 금속 재질의 판 형상으로 상기 제1 PCB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제1 발열체의 제1 온도로 가열되는 발열판과, 금속 재질의 링 형상으로 상기 제2 PCB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제2 발열체에 의해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가열되는 발열링과, 상기 누름 버튼과 연동하여 상기 전원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와, 상기 메탈 PCB 상에 실장되고,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원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진동부, 상기 제1 및 제2 발열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동작되면, 상기 진동부와 상기 제2 발열체를 동작시켜 상기 환부와 상기 환부의 주변에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환부와 상기 환부 주변의 피부를 이완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발열체를 통해 제2 온도로 상기 발열링을 가열하여 상기 환부 주변을 링 형태로 1차 온열하고,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제1 발열체를 통해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제1 온도로 상기 발열판을 가열하여 상기 환부와 주변을 2차 온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열체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진동부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링은 상기 하부커버의 개구공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둘레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치료기는 휴대가 편리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드름이나 부스럼(종기)과 같은 피지선 질환과 해충 물림으로 인해 딱딱해진 환부 주변을 진동을 통해 이완시키면서 열을 인가함으로써 고온의 열을 피부에 인가하지 않더라도 피부 깊숙이 열을 투입시켜 피부 깊숙한 곳에서 생장하고 있는 여드름 발생균이나 부스럼 발생균을 효과적으로 박멸하는 한편, 모기와 같은 해충 물림시 독성물질인 포름산을 해독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분비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하여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2차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드름이나 부스럼(종기)과 같은 피지선 질환과 해충에 물린 환부에 밀착되는 발열판을 가열하기 전에 진동부의 진동을 통해 환부와 환부 주변을 이완시키는 동시에 발열링을 통해 발열판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1차 온열시켜 발열판을 통한 2차 온열시 고온의 열이 피부 깊숙이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환부 치료시 발생되는 고통과 불쾌감을 최소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하면서, 여드름 발생균이나 부스럼의 발생균을 효과적으로 박멸시키고, 모기와 같은 해충 물림시 독성물질인 포름산을 해독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분비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하여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2차 세균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를 설명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료기가 구성별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기를 설명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치료기가 구성별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기(10)는 휴대가 편리하도록 단순한 구조로 제작되는 한편, 이동통신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접속포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제작되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드름이나 부스럼(종기)과 같은 피지선 질환이 발생된 환부는 정상적인 피부에 비해 딱딱하게 굳어지기 때문에 피부에 인가되는 열이 피부 깊숙이 투입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피부 깊숙한 곳에서 생장하고 있는 여드름 발생균이나 부스럼 발생균을 효과적으로 박멸하는데 한계가 있다. 물론, 피부에 인가하는 열을 상승시켜 고온의 열을 인가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뜨거움으로 인한 고통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열을 이용한 휴대용 치료기(10)는 여드름이나 부스럼(종기)과 같은 피지선 질환이 발생된 환부와, 모기와 같은 해충에 물린 환부에 열과 함께 진동을 함께 제공한다. 즉, 피지선 질환과 해충 물림으로 인해 딱딱해진 환부 주변을 진동을 통해 이완시키면서 열을 인가함으로써 고온의 열을 피부에 인가하지 않더라도 피부 깊숙이 열을 투입시켜 피부 깊숙한 곳에서 생장하고 있는 여드름 발생균이나 부스럼 발생균을 효과적으로 박멸하는 한편, 모기와 같은 해충 물림시 독성물질인 포름산을 해독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분비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하여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2차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열을 이용한 휴대용 치료기(10)는 전원포트(15) 및/또는 충전포트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20)(또는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혹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기(10)는 상부커버(11), 하부커버(12), 발열부(13), 진동부(14), 전원포트(15) 및 누름 버튼(16)을 포함한다.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는 상하로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상호 조립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발열부(13)와 진동부(14)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발열부(13)는 도 2와 같이,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내부에 내장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여드름이나 부스럼과 같은 피지선 질환이 발생된 환부(1)와, 모기와 같은 해충에 물린 환부(2)에 설정된 온도, 예를 들면 40℃~55℃의 온열을 제공한다.
이러한 발열부(13)는 도 2와 같이, 메탈 PCB(131), 제1 및 제2 발열체(132, 133), 발열판(134), 발열링(135) 및 스위치(136)를 포함한다. 또한, LED(137)를 더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탈 PCB(131)는 인쇄회로기판으로서, 그 상부에는 발열부(13)와 진동부(1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제어부)이 실장되고, 그 하부에는 발열판(134)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둘레에는 발열링(135)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발열판(134)과 발열링(135)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메탈 PCB(131)는 도 2와 같이, 서로 상하로 적층되되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PCB(131a, 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CB(131a)의 상부에는 제1 발열체(132)가 실장되고, 제2 PCB(131b)의 상부에는 제2 발열체(133)가 각각 독립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PCB(131a, 131b)는 각각 메탈 PC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PCB(131a, 131b)는 전기적으로는 서로 배선을 통해 연결되지만, 이들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는 비전도성 재질의 절연체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체는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2 PCB(131b)는 발열판(134)이 자신을 관통하여 제1 PCB(131a)의 하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PCB(131a)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중앙부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발열판(134)은 제2 PCB(131b)의 개구된 중앙부를 통해 제1 PCB(131a)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발열체(132)는 제1 PCB(131a)의 상부에 실장되는 것이 아니라, 제1 PCB(131a)에 형성된 개구공을 관통하여 제2 PCB(131b)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실장된다.
제1 PCB(131a)의 하부에는 제2 PCB(131b)를 관통하여 발열판(134)이 밀착 고정된다. 이때, 발열판(134)은 금속 재질의 판 형상으로 제1 발열체(132)에 의해 가열된다.
그리고, 제2 PCB(131b)의 하부에는 발열링(135)이 밀착 고정된다. 이때, 발열링(135)은 금속 재질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발열체(133)에 의해 가열된다.
제1 발열체(132)는 도 2와 같이, 제1 PCB(131a)의 상부에 실장되어 스위치(136)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발열판(134)을 제1 온도, 예를 들면 50℃~55℃의 온도로 발열시킨다.
제2 발열체(133)는 제1 발열체(132)와 함께 스위치(136) 동작에 의해 동작하되, 제1 발열체(132)가 동작하기 전에 스위치(136)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발열링(135)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예를 들면 40℃에서 45℃로 발열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발열체(132, 133)는 스위치(136)의 동작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각각 설정된 온도로 독립적으로 발열하는 발열 저항체일 수 있다. 이외에도, 탄소 섬유 발열체 또는 면상 발열체와 같이 다양한 발열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발열판(134)은 제1 PCB(131a)의 상부에 실장된 제1 발열체(132)에 의해 50℃~55℃로 가열된다.
발열링(135)은 하부커버(12)의 개구공(12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둘레에 고정돌기(135a)가 형성된 금속링으로 이루어져 제2 발열체(133)에 의해 40℃에서 45℃로 가열된다. 이에 따라 제2 PCB(131b)는 발열링(135)에 의해 하부커버(12)의 개구공(12a)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부커버(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136)는 상부커버(11)의 개구공(11a)으로 삽입되는 누름 버튼(16)에 의해 동작하여 전원포트(15)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 또는 내장용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메탈 PCB(131)를 통해 제1 및 제2 발열체(132, 133)로 공급한다.
상부커버(11)는 도 2와 같이, 하부커버(12)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커버(12)의 내부에 메탈 PCB(131)가 수용된 상태에서 하부커버(12)의 상부를 덮는다. 그리고 상부커버(11)의 중앙부에는 누름 버튼(16)이 관통되는 개구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커버(11)는 메탈 PCB(131)의 상부에 실장된 복수 개의 LED(137)에서 발광된 빛이 외부로 투영되도록 투명창(도시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창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평상시에는 상부커버(11)를 통해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LED(137)가 동작하여 빛이 발산된 경우에는 외부에서 발산된 빛을 인식할 수 있도록 반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LED(137)는 복수 개가 메탈 PCB(131)의 상부에 실장된다. 일례로 총 4개가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LED(137)는 스위치(136) 동작시 동작하여 빛을 발산하되, 발열판(134)의 온도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ED(137)는 발열판(134)의 온도가 1℃ 상승할 때마다 하나씩 동작한다. 즉 발열판(134)이 50℃인 경우, 첫 번째 LED가 동작하고, 발열판(134)이 51℃로 상승하면, 첫 번째와 두 번째 LED가 모두 동작하고, 발열판(134)이 52℃로 상승하면, 첫 번째에서 세 번째 LED가 모두 동작하고, 발열판(134)이 53℃로 상승하면, 첫 번째에서 네 번째 LED가 모두 동작한다.
하부커버(12)는 메탈 PCB(131)의 하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수용된 메탈 PCB(131)에 부착된 발열판(134)이 하부로 노출되도록 중앙부에 개구공(12a)이 형성된다.
진동부(14)는 도 2와 같이, 메탈 PCB(1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스위치(136)에 의해 메탈 PCB(1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즉, 진동부(14)는 내부에 소형 진동모터가 내장되어 스위치(136)에 의해 진동하여 휴대용 치료기(10)를 진동시킨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3은 휴대용 치료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휴대용 치료기를 피지선 질환이 발생된 환부에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휴대용 치료기를 해충에 물린 환부에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기(10)는 전원포트(15), 예를 들면 5핀형, USB형 포트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일례로 3G/4G/5G, LTE/LTA-A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20)에는 진동 및 열을 이용한 휴대용 치료기(10)의 동작을 제어 및 설정하기 위한 앱(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20)에 설치된 앱을 실행하여 진동 및 열을 이용한 휴대용 치료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휴대용 치료기(10)를 전원포트(15)를 통해 스마트폰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여드름이나 부스럼(종기)과 같은 피지선 질환이 발생된 환부(1)에 치료기(10)의 발열판(134)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누름 버튼(16)을 이용하여 스위치(136)를 동작시켜 환부(1)와, 환부(1)의 주변에 진동과 열을 동시에 가하여 치료한다.
또한, 휴대용 치료기(10)를 전원포트(15)를 통해 스마트폰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모기와 같은 해충에 물린 환부(2)에 도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휴대용 치료기(10)의 발열판(134)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누름 버튼(16)을 이용하여 스위치(136)를 동작시켜 환부(2)와, 환부(2)의 주변에 진동과 열을 동시에 가하여 치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여드름이나 부스럼(종기)과 같은 피지선 질환이 발생된 환부(1) 또는 모기와 같은 해충에 물린 환부(2)에 발열판(134)이 밀착되도록 휴대용 치료기(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누름 버튼(16)을 통해 스위치(136)를 동작시키면, 제어부(138)는 진동부(14)와 제2 발열체(133)를 동작시켜 진동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열링(135)을 발열시켜 발열판(134)이 밀착되지 않은 환부 주변을 원형 링 형태로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예를 들면 40℃에서 45℃의 온도로 1차 온열한다.
이런 상태에서, 제어부(138)는 타이머(139)에 의해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제2 발열체(133)가 발열된 후 5초~10초가 도과하면, 제1 발열체(132)를 동작시켜 발열판(134)을 제2 온도보다 높은 제1 온도, 예를 들면, 50℃에서 55℃의 온도로 발열시킨다. 이를 통해 환부(1, 2)를 제2 온도보다 높은 제1 온도로 2차 온열하여 진정 및 치료한다. 이때, 진동부(14) 및/또는 제2 발열체(133)는 각각 동작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제1 발열체(134)의 동작 시작과 동시에 동작이 정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기(10)는 환부(1, 2)에 밀착되는 발열판(134)을 발열하기 전에, 먼저 환부(1, 2) 주변을 진동부(14)를 통해 환부(1, 2)와 환부 주변을 이완시키는 동시에 발열링(135)을 통해 발열판(134)의 발열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1차 온열시킴으로써 갑자기 환부(1, 2)가 뜨거워짐으로 인한 고통과 불쾌감을 제공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발열판(134)에 의한 2차 온열시 피부 이완으로 인해 열이 피부 깊숙이 침투되어 여드름 발생균(박테리아)이나 부스럼의 발생균(포도알균)을 효과적으로 박멸시키고, 또한 모기와 같은 해충 물림시 독성물질인 포름산을 해독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의 분비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하여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2차 세균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 2 : 환부 10 : 치료기
11 : 상부커버 12 : 하부커버
13 : 발열부 14 : 진동부
15 : 전원포트 16 : 누름 버튼
20 : 이동통신단말기 131 : 메탈 PCB
132 : 제1 발열체 133 : 제2 발열체
134 : 발열판 135 : 발열링
136 : 스위치 137 : LED
138 : 제어부 139 : 타이머

Claims (5)

  1. 투명창을 포함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체결되고, 중앙부에 개구공이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내장되고, 여드름이나 부스럼과 같은 피지선 질환이 발생된 환부 또는 모기와 같은 해충에 물린 환부에 열을 인가하는 발열부;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에 내장되고,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외부 이동통신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발열부와 상기 진동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포트; 및
    상기 상부커버에 형성된 개구공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부와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누름버튼; 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PCB를 포함하는 메탈 PCB와, 상기 제1 PCB의 상부에 실장된 제1 발열체와, 상기 제2 PCB의 상부에 실장된 제2 발열체와, 금속 재질의 판 형상으로 상기 제1 PCB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제1 발열체의 제1 온도로 가열되는 발열판과, 금속 재질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커버의 개구공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둘레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PCB의 하부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제2 발열체에 의해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가열되는 발열링과, 상기 누름버튼과 연동하여 상기 전원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와, 상기 메탈 PCB 상에 복수 개가 실장되고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빛을 발산하되 상기 발열판의 온도 상승에 따라 하나씩 추가적으로 동작하는 LED와, 상기 메탈 PCB 상에 실장되고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원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진동부, 상기 제1 및 제2 발열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동작되면, 상기 진동부와 상기 제2 발열체를 동작시켜 상기 환부와 상기 환부의 주변에 진동을 제공하여 상기 환부와 상기 환부 주변의 피부를 이완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발열체를 통해 제2 온도로 상기 발열링을 가열하여 상기 환부 주변을 링 형태로 1차 온열하고,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제1 발열체를 통해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제1 온도로 상기 발열판을 가열하여 상기 환부와 주변을 2차 온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열체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진동부를 동작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기.
  5. 삭제
KR1020170105039A 2017-08-18 2017-08-18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 KR101982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039A KR101982926B1 (ko) 2017-08-18 2017-08-18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039A KR101982926B1 (ko) 2017-08-18 2017-08-18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736A KR20190019736A (ko) 2019-02-27
KR101982926B1 true KR101982926B1 (ko) 2019-05-27

Family

ID=6556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039A KR101982926B1 (ko) 2017-08-18 2017-08-18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544B1 (ko) * 2020-06-07 2022-03-18 주식회사 더엘스타 모기 퇴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904B1 (ko) 2016-08-24 2017-04-05 고재정 휴대용 해충 물림 진정기구
KR200483954Y1 (ko) * 2017-02-09 2017-07-12 고재정 휴대용 해충 퇴치 및 물림 진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10A (ja) * 1994-07-11 1996-01-30 Tdk Corp 温灸器
KR20110020549A (ko) 2009-08-24 2011-03-03 최선오 반투명 바이오 세라믹 팁을 갖는 피지선 질환 치료기
KR20110092630A (ko) 2010-02-10 2011-08-18 박세환 모바일기기에서 작동 되는 피지선 질환 치료기
KR200453417Y1 (ko) 2010-06-04 2011-05-03 박세환 급속 가열이 가능한 피지선 질환 치료장치의 발열부 구조
KR20160019633A (ko) * 2014-08-12 2016-02-22 박종호 벌레 물린 가려움증 완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904B1 (ko) 2016-08-24 2017-04-05 고재정 휴대용 해충 물림 진정기구
KR200483954Y1 (ko) * 2017-02-09 2017-07-12 고재정 휴대용 해충 퇴치 및 물림 진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736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US20150012066A1 (en) Noninvasive delivery and control of stimulation signals
CN111787979B (zh) 皮肤美容装置
WO2009011529A2 (en) Creation curer of laser low frequency cupping glass iontophoresis magnet needle
US20070282400A1 (en) Combination medical therapy device that integrates: electrical stimulation, light therapy, heat, pressure, and vibration
US20140157174A1 (en) Flexible, wearable therapeutic laser array
US20160129273A1 (en) Pulsed electromagnetic therapy device with combined energy delivery
KR101861308B1 (ko) 두피 자극기
EP1377343A1 (de) Handgerät zur schmerzreduktion
US9126034B1 (en) Flexible, wearable therapeutic laser array
KR20160026234A (ko) 다기능 경피 흡수 미용기기 및 피부 미용방법
US20200253822A1 (en) Module and device for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WO2013142785A1 (en) Noninvasive delivery and control of stimulation signals
KR101722904B1 (ko) 휴대용 해충 물림 진정기구
KR101982926B1 (ko) 진동과 열을 이용하여 여드름, 부스럼 및 해충 물림 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휴대용 치료기
JP7390028B2 (ja) 電磁波を送信するための装置
KR100649935B1 (ko) 고주파 전기 발모기
EP1889637B1 (en) Apparatus for auricular therapy
KR100412569B1 (ko)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WO20201980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JP2023085523A (ja) 波動重畳型微細電流生体印加装置
CN108272628A (zh) 一种小动物穴位刺激电极及穴位刺激装置
KR101135140B1 (ko) 빛을 이용한 휴대용 여드름 치료기
KR102225675B1 (ko) 레이저 치료와 온열 시술이 가능한 신체 착용형 다파장 레이저 통증 치료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