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569B1 -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569B1
KR100412569B1 KR10-2001-0005453A KR20010005453A KR100412569B1 KR 100412569 B1 KR100412569 B1 KR 100412569B1 KR 20010005453 A KR20010005453 A KR 20010005453A KR 100412569 B1 KR100412569 B1 KR 10041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temperature
treatment devic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342A (ko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화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화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화이브
Priority to KR10-2001-000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569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342A/ko
Priority to PCT/KR2002/000160 priority patent/WO200206241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부위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턱관절증을 치료하는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익숙하고 인체의 심부의 조직까지 침투가 가능한 원적외선을 이용해서 치료함으로써 치료의 안정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편리하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통형 또는 그 외의 다각기둥 형태를 가지며, 신체에 고정되어 양쪽 턱관절 부위에 접촉해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좌우측 방사부와, 좌우측 방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원부와 방사부를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PORTABLE FAR-INFRARED TEMPOROMANDIBULAR DISEAS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이용해서 턱관절증을 치료하는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턱관절 부위에 원적외선을 쬐어 턱관절 주위의 혈관 및 신경, 임파관을 가온해 혈액의 임파액의 순환을 촉진하고 그 물질의 신진대사를 활성화하여 치료하는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턱관절은 아래턱뼈와 머리뼈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관절이다. 아래턱뼈와 머리뼈 사이에는 관절원판이 존재하며, 이 관절원판은 뼈와 뼈가 직접 만나 움직일 때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 이 관절원판이 정상 위치를 벗어낫거나 마모되었을 때 턱관절증이 발생한다.
턱관절증은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인 요인과 더불어 충치, 풍치 등으로 인한 치아 맞물림 이상, 목과 허리를 한쪽으로 구부리는 자세, 이갈이와 치아를 꽉무는 습관 등이 원인이 된다.
현재 청년층을 중심으로 턱관절증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식생활에서 연한 음식을 먹음으로써 아래턱뼈의 발육의 부진을 원인으로 한다. 또한 치과 진료소의 난립과 의사의 치료에 대한 의식 부족, 의사의 경험 부족, 그리고 효과적인 치료 장비의 미흡 등을 원인으로 한다.
상기의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턱관절증을 치료하는 치료기들이 많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침 및 저주파 전기 자극 치료기, 초음파 치료기 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침술의 효능은 잘 알려져 있으며, 침술은 인체에 있는 경혈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혈행을 좋게 하고, 근육 속에 어혈과 같은 노폐물을 분해시키는 작용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한방 의술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침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혈도에 침을 꽂아 주는 것이 보통이나, 침은 시술 중 잡균이 많이 침투하여 오히려 시술 부위에 상처를 입힐 수 있다. 이 문제점를 보완하고자 전자침이 개발되었다.
전자침은 시술 대상 부위에 저주파나 맥류 전압을 통해 주파수를 발진되게 함으로서, 시술 대상 부위에 경혈점을 자극함에 따라 치료를 행하는 것으로 침술과 같은 효능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침은 경혈점을 알고 있어야만 시술을 행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저주파 전기 자극 치료기는 피부 표면에 전극을 장착하여 저주파 전류를 인체에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치료를 행한다. 이 저주파 전기 자극 치료기는 손상된조직에 부착되는 치료 전극과 이에 대응하는 비전계 전극과의 사이에 발진기로부터 나오는 저전압 저주파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인가된 저전압 저주파 전류는 근육을 자극하여 진통을 완화하고 혈행을 개선한다.
초음파가 손상된 조직의 치료 조치로 사용된다는 것은 20-30년 동안 여러 기술 문헌을 통해 광범위하게 보도된 바 있다. 초음파 치료기는 손상된 조직에 적절한 강도의 초음파를 전달하여 치료하는 기기이다. 초음파는 주파수에 따라 전달 깊이에 차이가 생기는데, 저주파 대에서는 전달 깊이가 짧아지고, 고주파 대에서는 전달 깊이가 길어진다.
상기에서 언급한 저주파 전기 자극 치료기나 초음파 치료기는 인체에 전기적 자극을 주어 치료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턱관절증이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인 요인이 원인이 됨을 고려할 때,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치료하는 방법은 환자에게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치료기의 경우 주파수 대에 따라 인체에 침투하는 깊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손상된 부위에 따라 주파수 대를 달리 해야 한다. 즉, 저주파 대를 이용할 때는 침투의 깊이가 짧아지고, 고주파 대를 이용할 때는 침투의 깊이가 길어진다.
그러나 고주파를 이용해서 치료를 하면, 심부의 조직까지 침투가 가능하나 감쇄 현상 또한 커지게 되어 깊이 들어갈수록 작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과열에 의한 상처를 남길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상술한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의 문제점으로 인해 저주파를 이용한 치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주파를 이용한 치료는 침투 깊이가 짧아 턱관절증과 같은 심부의 조직을 치료하는데는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료의 안전성을 도모하며, 원적외선을 심부의 조직까지 전달하여 치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턱관절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턱관절증을 보다 편리하게 치료할 수 있게 소정의 해드폰 형태로 구성된 원적외선 턱관절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턱관절증을 보다 편리하게 치료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형태의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a는 도 1a에 도시한 원적외선 방사부의 확대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원적외선 방사부의 단면도.
도 3은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의 내부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의 내부 구성도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헤어 밴드 200...원적외선 방사부
210, 501...원적외선 패드 220, 502...히터
230, 503...단열재 240, 504...온도 제어부
241...온도 측정부 242...전원 제어부
243, 520...온도 조절 스위치 250...FM/AM 라디오 수신부
251...안테나 252...이어폰
300...휴대용 전원 공급부 310...충전·보호회로
320...충전지 500...원통형 하우징
510...손잡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턱관절증을 치료하는 치료기에 있어서, 헤어 밴드 부재와, 상기 헤어 밴드 부재의 좌·우측 단말에 설치되며, a)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패드, b)상기 원적외선 패드의 일측면을 가열하는 히터 및 c)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와,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및상기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 및 상기 온도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휴대용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가 제공된다.
상기 원적외선 패드는, 상기 히터와 접촉하지 않는 타측면에 원적외선 방출 도료가 도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이며, 상기 원적외선 패드의 턱관절 부위와 접촉하는 상기 타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스위치와,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온도 조절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히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FM/AM 라디오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원 공급부는 충전지 및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키고 과충전,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및 보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턱관절증을 치료하는 치료기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의 상부에 설치되며, a)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패드, b)상기 원적외선 패드의 일측면을 가열하는 히터 및 c)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차단하는 단열부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부와, 상기 하우징 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 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 및 온도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는 헤어 밴드(100), 온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200) 및 휴대용 전원 공급기(300)를 포함하고 있다.
헤어 밴드(100)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원형 형상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헤어 밴드(100)의 양측 단말에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헤어밴드(100)는 상기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가 사용자의 턱관절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200)는 상기 헤어 밴드의 좌·우측 단말에 설치되며, 턱관절증을 치료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장방형, 원추형 또는 다각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200)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패드(210), 상기 원적외선 패드(210)의 일측면을 가열하는 히터(220) 및 상기 히터(220)에 의해 발생된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20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히터(220)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240)가 설치된다.
휴대용 전원 공급기(300)는 원적외선 방사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200) 및 상기 온도 제어부(240)에 인가한다. 상기 휴대용 전원 공급기(300)는 어댑터(400)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지 및 과충전·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휴대용 전원 공급기(300)는 원적외선 방사부(2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와 상기 휴대용 전원 공급기(3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는 FM/AM 라디오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신용 안테나 및 이어폰이 도시되어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200)가 턱과 귀 사이의 얼굴 부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부(200)의 상세도이며, 도 2b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의 원통면에 온도 조절 스위치(24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온도 조절 스위치(243)는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 중 어느 한쪽에만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 모두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조절 스위치(243)가 한쪽에만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의 설정 온도가 동시에 조절되고, 상기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에 각각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의 온도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는 치료면적, 즉,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의 타측면-즉, 치료시 턱관절 부위에 직접 닿는 부분-은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입체적인 얼굴을 고려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의 사용시 착용감을 좋게 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패드(210), 상기 원적외선 패드의 일측면을 가열하는 히터(220), 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230), 온도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원적외선 패드(210)는 치료시 턱관절 부위에 직접 닿는 부분이며, 상기 원적외선 패드(210)에는 원적외선 방출 도료가 칠해진 소정의 섬유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패드(210)는 턱관절의 넓은 부분을 치료할 수 있는 소정의 모양으로 한다. 이에 도 2a에서는 원형의 패드 모양을 제시한다. 상기 원적외선 패드(210)에 열을 가하면 상기 도포된 원적외선 방출 도료에서 7 ~ 12 ·m 파장의 원적외선이 방출된다.
히터(220)는 상기 원적외선 패드(210)와 상기 단열재(230)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원적외선 패드(210)의 일측면을 균일하게 가열한다. 상기 히터(220)는 열선 및 자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서미스터(thermistor) 등과 같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220)는 안전을 고려하여 직류 전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230)는 상기 히터(220)와 상기 온도 제어부(24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히터(220)에 의해 발생된 열이 온도 제어부(24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온도 제어부(240)를 보호한다. 상기 단열재(230)로서, 석면, 유리솜, 석영솜,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분말, 마그네시아 분말, 규산칼슘, 펄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제어부(240)는 상기 히터(220)의 과열 등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고, 상기 히터(220)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히터(2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상기 온도 제어부(24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200)는 원적외선 패드, 히터 및 단열재로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의 내부 구성 및 작동 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는 기능적으로 좌·우측 히터(220), 온도 제어부(240) 및 휴대용 전원 공급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된 상기 온도 제어부(240)가 상기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에 각각 설치된 상기 히터(220)의 온도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온도 제어부(240)는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온도 제어부(240)는 온도 측정부(241), 전원 제어부(242) 및 온도 조절 스위치(243)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측정부(241)는 상기 히터(220)에 포함된 서미스터에 의해 상기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에 설치된 상기 히터(220)의 온도를 각각 측정한다. 상기 서미스터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동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온도 측정부(241)는 상기 서미스터에 의한 측정 전압(Vdet)을 상기 전원 제어부(242)에 제공한다. 또는, 상기 온도 측정부(241)는 설정 온도에 상응하는 기준 전압(Vref)과 상기 서미스터에 의한 측정 전압(Vdet)을 비교한 결과를 상기 전원제어부(24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242)는 상기 히터(220)가 설정 온도를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2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상기 온도 측정부(241)의 측정 결과 또는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히터(220)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전원 제어부(242)는 상기 히터(2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증가시키며, 반대의 경우에는 인가되는 전원을 감소시킨다. 상기 설정 온도는 치료에 적합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온도 조절 스위치(243)는 사용자가 설정 온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용 전원 공급부(300)는 충전지(310) 및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키고, 상기 충전지의 과충전,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및 보호회로(32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전원 공급부(300)는 어댑터(400)로부터 공급받은 직류 전원을 안정화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원 공급부(300)는 충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좌·우 원적외선 방사부(200) 및 온도 제어부(24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충전지(310)로는 Ni-Cd 충전지, Ni-MH 충전지, 리튬 이온 폴리마 충전지 또는 납축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열거한 충전지 중 Ni-MH 충전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 및 보호회로(320)는 충전 및 방전시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로부터 상기 충전지(310)를 보호하고,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을 안정화한다.
FM/AM 라디오 수신부(250)는 안테나(251)와 이어폰(252)을 구비하고 있으며,기존의 라디오의 구조와 같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FM/AM 라디오 수신부(250)는 부가적으로 장착하는 것으로써, 치료중 환자가 무료하지 않고 장시간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의 내부 구성도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는 원적외선 패드(501), 히터(502), 단열재(503), 온도 제어부(504) 및 전원 공급부(505)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500),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부착된 손잡이(510) 및 상기 온도 제어부(504)의 설정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스위치(5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실시예는 원적외선 방사부, 온도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가 일체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턱관절증 치료시에 인체에 익숙하고 또한 심부의 조직까지 전달이 가능한 원적외선을 턱관절 부위에 방사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를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치료시 손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편리한 치료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치료기에 FM라디오를 장착하여 치료시 주위 시선이나 방해를 피할 수 있게 하고 장시간의 치료의경우에 환자가 무료함을 느끼지 않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한다.

Claims (11)

  1.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턱관절증을 치료하는 치료기에 있어서,
    헤어 밴드 부재;
    상기 헤어 밴드 부재의 좌·우측 단말에 설치되며,
    a)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패드,
    b)상기 원적외선 패드의 일측면을 가열하는 히터 및
    c)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좌·우측 원적외선 방사부 및 상기 온도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휴대용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패드는,
    상기 히터와 접촉하지 않는 타측면에 원적외선 방출 도료가 도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인 휴대용 원적외선 턱괄절증 치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스위치;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및
    상기 온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상기 온도 조절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히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5. 제1항에 있어서,
    FM/AM 라디오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원 공급부는
    충전지; 및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키고, 상기 충전지의 과충전·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보호회로
    를 포함하는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1-0005453A 2001-02-05 2001-02-05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KR10041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453A KR100412569B1 (ko) 2001-02-05 2001-02-05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PCT/KR2002/000160 WO2002062419A1 (en) 2001-02-05 2002-02-04 Portable far-infrared temporomandibular disease trea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453A KR100412569B1 (ko) 2001-02-05 2001-02-05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313U Division KR200254573Y1 (ko) 2001-06-11 2001-06-11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342A KR20010035342A (ko) 2001-05-07
KR100412569B1 true KR100412569B1 (ko) 2003-12-31

Family

ID=1970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453A KR100412569B1 (ko) 2001-02-05 2001-02-05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12569B1 (ko)
WO (1) WO2002062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8930A1 (en) 2005-02-17 2007-10-25 Biolux Research Ltd. Light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US20060200212A1 (en) * 2005-02-17 2006-09-07 Brawn Peter R Light therapy device for treatment of bone disorders and biostimulation of bone and soft tissue
KR100952944B1 (ko) * 2008-04-16 2010-04-16 (주)클래시스 개인용 피부미용 관리장치
WO2010034158A1 (zh) * 2008-09-26 2010-04-01 Lin Kevin 便携式远红外线热灸理疗装置
EP2648651B1 (en) 2010-12-08 2016-11-23 Biolux Research Limited Apparatuses useful for regulating bone remodeling or tooth movement using light therapy and a functional appliance
CN201880012U (zh) * 2010-12-14 2011-06-29 金进精密泵业制品(深圳)有限公司 激光与红外光子针灸仪
WO2014129690A1 (ko) * 2013-02-25 2014-08-28 주식회사 이루다 턱관절 통증 완화장치
JP6484235B2 (ja) 2013-10-22 2019-03-13 バイオルックス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口腔内光治療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11065437A (zh) * 2017-05-25 2020-04-24 宇宙美学有限责任公司 口腔内和口腔外光疗系统和方法
CN111544780A (zh) * 2020-05-15 2020-08-18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颞下颌关节治疗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0054A (en) * 1977-12-14 1980-02-26 Brennan H George Therapeutic bandage with removable hot or cold packs
JPS63109157U (ko) * 1987-01-05 1988-07-13
CN1067587A (zh) * 1992-06-25 1993-01-06 田野 电子治疗耳机
US5837004A (en) * 1997-03-18 1998-11-17 Lavore; Joseph S. Device for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US6093202A (en) * 1999-09-15 2000-07-25 Dyken; Kathryn E. Therapeutic cold and heat pa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62419A1 (en) 2002-08-15
KR20010035342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1679B2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with hot or cold thermal application
US5674261A (en) S-shaped electrotherapy massage stick
KR0122587B1 (ko) 구토 제어 장치
US6567696B2 (en) Physiotherapeutic device
EP1180056B1 (en) Apparatus for ultrasonic treatment of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CN113330659A (zh) 可佩戴装置的电池充电期间的电气隔离
GB2435217A (en) Transcutaneous pain suppression device with multiple electrodes
KR100412569B1 (ko)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KR200409904Y1 (ko) 고주파 전기전극치료기
US202301106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JP2003284757A (ja) ヒーター付赤色光線治療器
KR100649935B1 (ko) 고주파 전기 발모기
ES2446244T3 (es) Aparato para terapia auricular
KR101643850B1 (ko) 휴대용 턱관절 초음파 물리 치료기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254573Y1 (ko)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KR200486903Y1 (ko) 전자쑥뜸유닛을 구비한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CN106730358B (zh) 一种便携式电磁场效应治疗贴
KR20120029969A (ko) 휴대용 저주파 마사지기
KR200489895Y1 (ko) 재활치료용 레이저 침치료기
KR200307181Y1 (ko) 지압벨트
KR20040023866A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0247782Y1 (ko) 뜸질용 벨트
KR200279850Y1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0317885Y1 (ko) 저주파 및 온열 발생 기능을 갖는 치료용 탄소층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