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002B1 - 결제 장치, 해당 결제 장치의 구획을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결제 장치, 해당 결제 장치의 구획을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002B1
KR101982002B1 KR1020180142338A KR20180142338A KR101982002B1 KR 101982002 B1 KR101982002 B1 KR 101982002B1 KR 1020180142338 A KR1020180142338 A KR 1020180142338A KR 20180142338 A KR20180142338 A KR 20180142338A KR 101982002 B1 KR101982002 B1 KR 10198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ttlement
card
paym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익
Original Assignee
에스트래픽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래픽 (주) filed Critical 에스트래픽 (주)
Priority to KR1020180142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특정 구획을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원거리에서 결제의 준비와 개시가 진행됨에 있어, 결제가 수행되는 구획을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구획을 진입하는 경우에만 결제의 준비와 개시가 진행되도록 하는 특정 구획 진입 판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결제 장치, 해당 결제 장치의 구획을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Payment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Payment Apparatus`s Compartment}
본 실시예는 결제 장치 및 결제를 진행함에 있어, 결제 장치가 배치된 구획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제1세대 카드는 소정의 모양의 물리적 매체를 이용해 예금 계좌 내 잔액 범위에서 사용하거나, 먼저 사용 후 사용한 금액이 추후에 청구되는 형태였다. 각각의 카드는 카드ID가 존재하고, 그 카드ID를 기준으로 충전, 결제하고, 정산하는 구조였다. 충전 또는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카드와 결제단말간의 정보교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정보교환은 카드와 단말의 고유키를 포함한 서명화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고유키가 노출이 되면 절대 안되고, 키가 노출이 되면, 제3자가 카드의 금액을 돈을 지불 안하고 충전을 할 수도 있고, 카드안에 금액을 조작할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물리적인 카드의 경우에는 카드의 고유키를 카드 발급 시, 카드ID와 함께 카드에 내장을 시킨다.
이러한 물리적인 제1 세대 카드는 물리적 매체로 별도로 존재하므로, 보관이나 관리에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소지한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분실시 제3자의 카드 사용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스마트폰의 사용이 보편화된 시점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폰에서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는 앱 카드 애플리케이션이 출시되고 있다. 앱 카드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실물 신용 카드를 휴대하지 않고도 온오프 라인 가맹점에서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물리적인 제1 세대 카드의 문제점을 일부 보완할 수 있다.
이에 나아가, 스마트폰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결제장치와 결제 정보를 원거리에서 송수신함으로써, 결제를 진행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출입구나 놀이공원 출입구 등 많은 이용객들이 출입하는 곳에서 이러한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용객들이 오랜 기다림 없이 빠른 출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원거리에서 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때문에, 실제 출입을 하기 위한 이용객인지 출입없이 해당 부근을 통과하기 위한 사람인지 구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기술이 지하철 출입구에 적용된 경우를 가정할 때, 지하철을 타려는 탑승객 외에도 단지 지하철 출입구 부근 지하도를 지나가는 사람 등 지하철 출입구를 지나지 않는 다양한 유형의 사람이 존재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원거리에서 단말과 통신하여 결제를 일괄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탑승객 외에 출입구를 지나지 않는 유형의 사람에게도 무분별하게 결제를 진행하는 문제를 갖는다.
본 실시예는, 결제 단말이 결제를 시작할 수 있도록 물리적 검증에 관한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결제 중계장치와의 통신으로 결제의 준비와 개시를 원거리에서 진행할 수 있는 특정 구획 진입 판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원거리에서 결제의 준비와 개시가 진행됨에 있어, 결제가 수행되는 구획을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구획을 진입하는 경우에만 결제의 준비와 개시가 진행되도록 하는 특정 구획 진입 판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각 구획마다 배치되어, 결제를 위해 자신이 위치한 구획으로 진입하는 단말을 검증하고, 검증된 단말과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단말과 상기 단말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제 단말의 전방에 형성되어 각 결제단말이 위치한 구획을 구분하며, 비콘신호를 차폐하는 차폐막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결제단말이 위치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비콘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차폐막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결제단말이 위치한 구획 내에서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구획에 각각 배치된 결제 중계장치 중 기 설정된 구획에 배치된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와 결제의 준비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기 설정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와 무선통신 세션을 연결하여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로 결제를 위한 카드 ID를 전송하며, 상기 기 설정된 구획 및 상기 기 설정된 구획의 인접 구획에 배치된 각 비콘들으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의 무선통신 세션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기 설정된 구획에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와 상기 기 설정된 구획의 인접 구획에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기 설정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기 설정된 구획으로 진입할 때에만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로 상기 결제를 위한 카드 ID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제를 위한 카드 ID, 각 구획에 배치된 결제장치의 ID 및 각 구획에 배치된 비콘들의 ID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무선통신 세션은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결제를 위한 카드 ID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전송되지 않을 경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구획은 각 구획 내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조사되는 비콘신호가 다른 구획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각 구획 내 배치된 비콘들은 상기 차폐막의 일 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의 ID가 상기 메모리부 내 저장된 ID와 일치할 경우에만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와 무선통신 세션을 연결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구획에 각각 배치된 결제 중계장치 중 기 설정된 구획에 배치된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와 결제의 준비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기 설정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와 무선통신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 연결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구획 및 상기 기 설정된 구획의 인접 구획에 배치된 각 비콘들으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구획에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와 상기 기 설정된 구획의 인접 구획에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기 설정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구획으로 진입할 때에만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로 결제를 위한 카드 ID를 전송하는 전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진입 판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무선통신 세션은 상기 결제를 위한 카드 ID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전송되지 않을 경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구획은 각 구획 내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조사되는 비콘신호가 다른 구획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각 구획 내 배치된 비콘들은 상기 차폐막의 일 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구획에 각각 배치된 결제 중계장치 중 기 설정된 구획에 배치된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와 결제의 준비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기 설정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와 무선통신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 연결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구획 및 상기 기 설정된 구획의 인접 구획에 배치된 각 비콘들으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구획에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와 상기 기 설정된 구획의 인접 구획에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기 설정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구획으로 진입할 때에만 상기 기 설정된 결제 중계장치로 결제를 위한 카드 ID를 전송하는 전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진입 판단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결제 중계장치가 결제 단말이 결제를 시작할 수 있도록 물리적 검증에 관한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을 결제 단말 근처로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결제가 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결제가 수행되는 구획을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구획을 진입하는 경우에만 결제의 준비와 개시가 진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구획 진입판단 후 물리적 인증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특정 구획 진입판단 후 물리적 인증이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시스템(100)은 단말(110), 결제 중계장치(120), RF 안테나(125), 결제단말(130) 및 비콘(140)을 포함한다.
단말(110)은 특정 결제단말(130) 및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진입하는 경우, 기 발급받은 카드로 결제 중계장치(120)와의 통신으로 결제 준비와 개시를 시작하는 기기이다.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120)와 무선통신을 위한 세션을 연결한다. 단말(110)은 세션의 연결을 위해 존재하는 장치를 스캐닝하며, 스캐닝된 장치 중 결제 중계장치(120)의 특정 식별자를 인지하여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을 연결한다. 단말(110)은 스캐닝된 장치 중 결제 중계장치를 구분하여 인지하여 세션을 연결하고, 결제 중계장치의 MAC ID 등 각 결제 중계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결제 중계장치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어떠한 결제 중계장치와 세션 연결이 되었는지 인지한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단말(110)의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없어도 단말(110)과 결제 중계장치(120) 간에 세션이 연결될 수 있는 종류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무선통신이 블루투스로 구현되는 경우, 단말(110)과 결제 중계장치(120)는 세션이 연결됨으로서 페어링(Paring)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무선통신이 블루투스로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전술한 성질을 갖는 무선통신이면 어떠한 것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단말(110)은 자신이 각 결제단말 및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110)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획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 구획에는 결제의 준비, 개시 및 처리를 위해 결제 중계장치 및 결제 단말이 존재한다. 이때,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을 연결한 후, 바로 결제의 준비와 개시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결제단말 및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특정 구획으로 진입하여 결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일 수도 있으나, 단지, 구획 근처를 지나가고자 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이때, 구획 근처를 지나가고자 하는 단말인 경우에도 결제 준비와 개시가 시작되면 안되기 때문에,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와 세션인 연결된 후, 자신이 각 결제단말 및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 단말(110)은 복수의 비콘(140)들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비콘신호를 비교하여 특정 구획으로의 진입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가 존재하는 구획으로 진입하는 경우, 단말(110)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단말(110)은 결제 중계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인증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결제 중계장치(120)가 단말(110)이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120)로 기 발급받은 카드의 ID를 전송한다.
단말(110)은 카드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신호를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수신하며, 카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신호를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 단말(110)은 결제 단말(130)이 확인하고자 하는 카드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신호를 결제 단말(130)이 아닌 결제 중계장치(120)를 거쳐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120)와 별도의 입력 없이 세션이 연결되어 통신되기 때문에, 단말(110)이 활성화될 필요가 없다. 또한, 단말(110)은 결제 단말(130)이 확인하고자 하는 신호를 결제 단말(130)이 아닌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무선통신으로 수신하기 때문에, 단말(110)의 사용자가 단말(110)을 결제 단말(130)의 근처로 가져가지 않더라도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단말(110)은 결제를 위한 신호나 서명을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필요한 신호나 서명을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달한다. 이때, 단말(110)은 내부에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스스로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고, 내부에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아, 외부 기기로 결제를 위한 신호나 서명을 전송하거나 수신하여 외부 기기에서 결제가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제 과정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10)이 활성화될 필요가 없고, 단말(110)이 결제 단말(130)의 근처로 다가갈 필요도 없다.
결제 중계장치(120)는 카드의 물리적 인증이 수행되도록 카드를 에뮬레이션(Emulation)하여 결제가 개시될 수 있도록 하며, 결제 단말(130)과 단말(110)의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한다.
단말(110)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획은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하나만이 존재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획에는 결제 단말이 배치되며, 결제 단말과 단말의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하기 위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다. 이때, 단말이 어떠한 구획으로 접근하고 있는지 알 수 있도록, 각 구획마다 상이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다. 즉, 결제 중계장치는 단말(110)이 스캐닝 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식별자를 갖는데, 각 구획마다 배치된 결제 중계장치는 서로 상이한 식별자를 갖는다.
단말(110)과 결제 중계장치(120)로 무선통신을 위한 세션이 연결된다. 결제 중계장치(120)는 단말(110)과의 세션 연결을 위해,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를 무지향적 또는 지향적으로 전송한다.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의 특정 식별자를 인지하여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을 연결하며, 식별자를 분석하여 어떠한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 연결이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110)과의 세션연결이 완료된 후, 결제 중계장치(120)는 카드 ID를 단말(110)로부터 수신하여, 카드를 인증한다. 결제 중계장치(120)는 연결된 세션을 이용해 단말(110)이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의 ID를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며, 해당 카드가 결제 중계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인지 확인한다.
이때, 결제 중계장치(120)는 단말(110)과의 세션연결이 완료된 후, 단말(110)로부터 카드 ID가 기 설정된 시간 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무선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결제 중계장치와 단말의 세션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는 경우라면, 단말은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카드 ID를 송부할 것이다. 그러나 단말이 단지 해당 구획 근처를 지나가거나, 해당 구획으로 진입하는 도중 진입을 중지한 경우라면, 결제 중계장치는 이러한 단말과 지속적으로 세션 연결을 유지할 필요없이 다른 단말과 세션을 다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제 중계장치(120)는 단말(110)과의 세션연결이 완료된 후, 단말(110)로부터 카드 ID가 기 설정된 시간 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110)로부터 카드 ID가 기 설정된 시간 내 수신되는 경우, 결제 중계장치(120)는 단말(110)과의 세션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결제 준비 및 처리를 위한 신호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반면, 단말(110)로부터 카드 ID가 기 설정된 시간 내 수신되지 않는 경우, 결제 중계장치(120)는 단말이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연결된 세션을 해제한다.
카드가 해당 서비스 가입된 카드인 경우,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125)를 제어하여 결제 단말(130)과 물리적 검증을 수행한다. 결제 단말(130)과 카드 간에 결제가 개시되기 위해서는, 결제 단말(130)의 주위로 카드가 근접하여 물리적 검증을 거쳐야 하며, 이후 소프트웨어적 검증을 거쳐야 비로소 결제가 개시된다.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125)를 제어하여 결제 단말(130)과 물리적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카드 또는 앱 카드를 포함한 단말(110)의 근접을 대체한다.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125)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RF 안테나(125)가 수신한 신호 또는 데이터를 확인하며, RF 안테나(125)가 전송할 신호 또는 데이터를 RF 안테나(125)로 제공한다. 즉, RF 안테나(125)가 결제 단말(130)로부터 카드의 물리적 검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125)가 카드의 물리적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결제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당 신호를 RF 안테나(125)로 제공한다. 결제 중계장치(120)는 결제 단말(130)의 근처에 결제 단말(130)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검증을 거친 카드가 존재하는 것처럼 결제 단말(130)을 인식시킨다. 결제 중계장치(120)는 실제 단말(110)이 (결제 등에)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검증을 단말 대신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110)이 (결제 등에)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에 대한 정보와 무관하게 물리적 검증을 위해 결제 중계장치(120) 내 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110)이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의 물리적 검증을 대체한다. 즉, 카드가 해당 서비스 가입된 카드인 경우, 결제 중계장치(120)는 실제 단말이 사용하는 카드 정보와는 관계없이 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의 물리적 검증을 수행한다. 이로서, 결제 단말(130)은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검증을 완료한다.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를 이용하여 결제 단말(130)과 통신하며 연결된 세션에 의해 단말(110)과 무선통신하여, 카드의 유효성 검증 및 결제를 위해 송수신되어야 할 신호 또는 데이터를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하나의 장치로 전달한다.
RF 안테나(125)는 결제 중계장치(1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제공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결제 단말(130)로 전송하거나, 결제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신호 또는 데이터를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달한다. RF 안테나(125)는 결제 단말(130)과 NFC 통신 등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RF 안테나(125)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결제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한다. 결제 중계장치(1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RF 안테나(125)가 결제 단말(130)과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결제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단말(130)은 접근하는 카드를 검증하고, 검증된 카드와 결제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전술한 대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이 존재하는 경우, 결제 단말은 결제 중계장치와 마찬가지로 각 구획마다 배치된다.
결제 단말(130)은 기 설정된 간격마다 카드의 물리적 및 소프트웨어적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지향적으로 또는 무지향적으로 전송한다. 결제 단말(130)은 RF 안테나(125)와의 통신을 이용하여, 결제 중계장치(120) 또는 단말(110)과의 카드의 물리적 및 소프트웨어적 검증을 수행한다.
검증이 완료된 경우, 결제 단말(130)은 RF 안테나(125)와의 통신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결제를 하고자 하는 단말(110)과 통신함으로써 결제를 수행한다. 결제 단말(130)은 단말(110)과 전자서명을 주고 받음으로써,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를 요청한다.
비콘(140)은 기 설정된 영역으로 비콘신호를 전송한다.
비콘(140)은 각 구획마다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이 배치된다. 각 구획마다 배치되는 비콘들은 각각 비콘신호를 전송한다. 비콘(140)이 배치되는 장소와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단말(110)이 진입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결제 단말(130)의 전방(+y축 방향)에 차폐막(210)이 형성된다. 차폐막(210)이 결제 단말(130)의 전방에 형성됨으로써, 결제 중계장치와 결제 단말이 배치된 각 구획을 명확히 구분한다.
또한, 차폐막(210)은 전자파, 특히, 비콘신호를 차폐하는 재질로 구현되어, 특정 구획에 배치된 비콘이 전송하는 비콘신호는 해당 구획의 일정 부분에서만 전송되도록 하고 해당 구획의 옆 구획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이처럼, 차폐막(210)이 각 구획을 구분하고 구획 간 전파될 수 있는 비콘신호를 차단하는 상황에서 결제 중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단말(110)은 접근하며 결제 중계장치(120)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결제 중계장치들의 존재를 확인한다. 도 2에는 하나의 구획에서 하나의 결제 중계장치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통상적으로 복수 개의 구획이 존재하여, 각 구획마다 서로 다른 결제 중계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단말(110)은 각 결제 중계장치가 전송하는 신호(식별자를 포함함)를 수신하여 각 결제 중계장치들의 존재를 확인한다.
이 중에서, 단말(110)은 자신과 최단거리 상에 존재하는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가 최단거리 거리로 존재할 경우, 거리 대비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값을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직선 거리가 100m일 경우, 신호의 세기(RSSI)는 45dB이고, 50m일 경우, 신호의 세기는 90dB일 수 있다. 이처럼, 단말(110)은 거리 대비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값을 저장해둔다. 이에 따라, 단말(110)로 결제 중계장치(120)가 전송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최초로 수신되는 신호를 전송한 결제 중계장치와 세션 연결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각 결제 중계장치가 전송하는 모든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단지 가장 강한 세기의 신호를 전송한 결제 중계장치와 세션 연결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된 신호 세기값과 가장 유사한 신호 세기로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최단거리에 위치한 결제 중계장치가 가장 신호가 셀 가능성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하기에, 단말(110)은 저장된, 거리에 따른 신호의 세기값과 가장 유사한 신호 세기로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110)은 각 차폐막(210)의 각 면에 배치된 비콘들(140a 내지 140d)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차폐막(210)이 상호간 마주보는 각 면에 각 구획에 배치될 비콘들이 배치된다. 차폐막(210)의 전술한 면에 비콘들이 배치되기 때문에, 적어도 2개의 비콘들(일 예로, 140a, 140b)이 특정 구획마다 배치될 수 있다.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 연결 후, 결제 중계장치(120)로 접근하며,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에 함께 배치된 비콘(140a, 140b)들과 인접 구획에 위치하는 비콘(140c, 140d)으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110)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지속적으로 접근할 경우,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에 함께 배치된 비콘(140a, 140b)들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의 세기는 세야하고, 인접 구획에 배치된 비콘(140c, 140d)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의 세기는 차폐막(210)이 존재하기 때문에 약해야 한다. 반면, 단말(110)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의 옆 구획(예를 들어, 비콘(140c)가 존재하는 구획)으로 진입하는 경우, 단말(110)이 진입하는 방향으로의 차폐막(210)에 직접 부착되어 있지 않은 비콘(140b)와 해당 구획에 배치된 비콘(140c)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의 세기는 세지만, 비콘(140a, 140d)의 세기는 차폐막(21))에 의해 약해진다.
이때,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의 각 식별자와 함께 각 결제 중계장치의 구획 내 배치된 비콘들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말(110)은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의 식별자를 파악하고, 해당 결제 중계장치의 구획 내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다른 비콘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보다 강한지를 판단한다. 해당 결제 중계장치의 구획 내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모두가 다른 비콘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보다 강한 경우, 단말(110)은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계속 진입하여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 단말(110)은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계속 진입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각 차폐막(210)의 일면에 배치되는 비콘들(140a 내지 d)은 비콘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로 위상 배열 안테나가 이용될 수 있다. 위상 배열 안테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주 빔(신호)을 조사하는 안테나로서, 비콘들(140a 내지 d)은 위상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여 비콘 신호를 조사한다. 비콘들(140a 내지 d)은 비콘 신호를 조사함에 있어, z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지향적으로 비콘 신호를 조사하고, +y축 방향으로는 비콘 신호의 조사를 최소화한다. 비콘들(140a 내지 d)이 +y축 방향으로도 비콘 신호를 강하게 조사할 경우, 실질적으로 단말(110)이 차폐막(210)에 일정 수준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도 마치 특정 구획으로 진입하여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처럼, 단말(110)이 실질적으로 특정 구획으로 근접하게 진입하여 통과하고 있을 경우에 비로소 전술한 (비콘신호를 이용한) 진입 판단이 일어날 수 있도록, 비콘들(140a 내지 d)은 위상 배열 안테나를 포함하여 z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지향적으로 비콘신호를 조사한다. 이때, 비콘들(140a 내지 d)은 차폐막(210)에 온전히 붙어서 배치될 수도 있지만, 차폐막(210)에 일정 각도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비콘들(140a 내지 d)은 일 부분만이 차폐막(210)과 접촉하며, 다른 부분은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비콘신호의 z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의 지향성이 보다 강해질 수 있다.
단말(110) 자신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여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말(110)은 비로소 기 발급받은 카드 ID를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 반대로, 단말(110) 자신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말(110)은 기 발급받은 카드 ID를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하지 않는다.
카드 ID를 수신한 경우, 결제 중계장치(120)가 결제 단말(130)과 직접 물리적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결제 중계장치(120)의 중계에 의해 단말(110)과 결제 단말(130)간 카드의 유효성 검증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카드의 물리적 인증 및 유효성 검증이 수행됨으로써, 결제의 준비가 완료된다.
결제의 준비가 완료된 후, 결제 중계장치(120)의 중계에 의해 단말(110)과 결제 단말(130)간 결제가 진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은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메모리부(33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일정 범위 내 존재하는 기기를 스캐닝하며, 무선통신을 위한 세션 연결을 위해 각 기기의 식별자를 포함한 신호 수신한다. 이후, 통신부(310)는 결제 중계장치(120)와 무선통신을 위한 세션을 연결한다.
통신부(310)는 각 비콘들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310)는 카드 ID를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
통신부(310)는 카드의 유효성 검증 신호를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수신하며, 카드의 유효성 인증 신호를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
통신부(310)는 결제 개시신호를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수신하고, 전자서명을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 통신부(310)는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수신하고,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전자서명을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
제어부(320)는 스캐닝된 각 기기의 식별자 중 결제 중계장치(120)의 특정 식별자를 인지한다. 결제 중계장치(120)는 다른 기기와 구별 가능한 특정 식별자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320)는 스캐닝된 각 기기의 식별자 중 결제 중계장치의 신호를 인지한다.
복수의 결제 중계장치의 신호가 통신부(310)로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20)는 수신되는 신호들의 세기를 파악한 후, 메모리부(330) 내 저장된 거리 대비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값과 비교한다. 메모리부(330) 내 저장된 신호의 세기값은 각 거리마다 특정 결제 중계장치로부터 직선으로 최단거리에 단말이 위치하였을 때, 수신되는 신호의 값이다. 제어부(320)는 각 결제 중계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메모리부(330) 내 저장된 신호의 세기값과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세기의 신호를 전송한 결제 중계장치(120)를 파악하여, 해당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 연결을 수행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세션 연결이 완료된 후, 제어부(320)는 각 비콘으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 내 비콘의 식별자와 비콘 신호의 세기를 파악한다. 제어부(320)는 메모리부(330) 내 저장된 각 결제 중계장치의 식별자와 각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에 함께 배치된 비콘들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와 함께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와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에 인접한 구획에 배치된 비콘들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구분하고 각 비콘 신호의 세기를 비교한다. 단말(110) 자신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으로 지속적으로 진입하여 통과하고 있는 경우라면, 차폐막(210)에 의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에 함께 배치된 비콘들의 신호 세기가 상대적으로 세고, 인접한 구획에 배치된 비콘들의 신호 세기는 상대적으로 약하다. 반면, 단말(110) 자신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지 않는 경우라면, 차폐막(210)에 의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에 함께 배치된 비콘 중 일부와 인접한 구획에 배치된 비콘 중 일부의 신호 세기만이 세고, 차폐막(210)에 의해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에 함께 배치된 비콘 중 나머지 비콘의 세기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320)는 각 비콘으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 내 비콘의 식별자와 비콘 신호의 세기를 파악하여,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으로 지속적으로 진입하여 통과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으로 지속적으로 진입하여 통과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카드 ID를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카드 유효성 검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카드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카드의 유효성 검증신호는 단말이 유효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지,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인지 등을 확인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 검증신호이다. 제어부(320)는 카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카드 ID 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포함한 카드 유효성 인증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20)는 카드 유효성 인증 신호를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결제 개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전자서명을 생성하여, 해당 전자서명을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전자서명을 복호화하여 결제 금액을 확인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제어부(320)는 메모리부(330) 내 저장된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제 금액에 대해 결제를 수행한다. 제어부(320)는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전자서명을 생성하여 해당 전자서명을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320)는 결제 중계장치(120) 또는 카드 관리서버(14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부터 수신한 결제 개시신호 또는 전자서명을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전달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이 경우는 결제가 단말이 아닌 외부 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로서, 결제 개시신호나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결제가 수행되도록 한다. 외부 장치에서 결제가 완료된 경우, 제어부(320)는 전자서명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결제 중계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결제 단말이 최종적으로 결제 완료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부(330)는 각 결제 중계장치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단말(110)이 세션 연결을 위해 활성화 되지 않더라도 결제 중계장치(120)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330)는 각 결제 중계장치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메모리부(330)는 각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에 함께 배치된 각 비콘들의 식별자도 함께 저장한다. 구획에 따라, 메모리부(330)는 결제 중계장치의 식별자와 비콘들의 식별자를 대응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거리에 따른 결제 중계장치의 신호의 세기값을 저장한다. 제어부(320)가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결제 중계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330)는 각 거리마다 특정 결제 중계장치로부터 직선으로 최단거리에 단말이 위치하였을 때, 수신되는 신호의 값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직선 거리로 100m에 단말이 위치할 경우, 신호의 세기는 45dB이고, 50m에 위치할 경우, 신호의 세기는 90dB일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기 발급받은 카드의 ID를 저장한다. 단말(110, 114, 118)이 자신이 발급받은 카드가 결제 중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임을 결제 중계장치(120) 또는 결제 단말(130)에 증명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330)는 기 발급받은 카드의 ID를 저장한다.
메모리부(330)는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330)는 전자서명을 암·복호화키 및 카드 내 잔액정보 등을 저장하여 제어부(320)에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부(330)는 나아가 수행된 결제 내역을 저장하여, 추후 단말(110, 114, 118)이 이용하는 카드의 카드사에서 결제 내역을 확인하고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장치(120)는 통신부(410), 제어부(420), 메모리부(430) 및 에뮬레이션부(44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단말(110)이 결제 중계장치(120) 자신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자신의 식별자가 포함된 신호를 무지향적 또는 지향적으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연결되는 경우, 통신부(410)는 카드 ID를 단말(110)로부터 수신한다. 또는, 통신부(41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연결된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카드의 유효성 검증 신호를 단말(110)로 전송하며, 카드의 유효성 인증 신호를 단말(110)로부터 수신한다.
통신부(410)는 결제 개시신호를 단말(110)로 전송하며, 전자서명을 단말(110)로부터 수신한다.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단말(110)로 전송하며,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전자서명을 단말(110)로부터 수신한다.
단말(110)과 세션이 연결된 후, 제어부(420)는 단말(110)로부터 카드 ID가 기 설정된 시간 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110)은 세션을 연결한 후, 해당 구획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라면 카드 ID를 통신부(410)로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110)로부터 카드 ID가 기 설정된 시간 내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단말(110)이 다른 장소로 벗어나거나,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까지, 단말(110)과의 세션 연결이 유지될 필요는 없기에, 제어부(420)는 단말(110)로부터 카드 ID가 기 설정된 시간 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연결된 세션을 해제한다.
카드 ID를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420)는 해당 카드가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420)는 메모리부(430) 내 저장된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의 ID 정보와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카드 ID를 비교하여, 해당 카드가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420)는 단말(110)이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가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인 경우에만 에뮬레이션부(4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20)는 결제 단말(130) 또는 카드 관리서버(14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부터 수신한 결제 개시신호 또는 전자서명을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전달하도록 통신부(410)를 제어한다.
제어부(420)는 결제가 모두 완료된 경우, 결제를 모두 완료한 단말과 세션 연결을 해제하도록 통신부(410)를 제어한다. 이미 결제를 모두 완료하였으며, 해당 세션을 결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어부(420)는 결제를 모두 완료한 단말과 세션 연결을 해제하도록 통신부(410)를 제어한다.
메모리부(430)는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의 ID 정보들을 저장한다. 제어부(420)가 수신한 카드 ID가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430)는 서비스에 가입된 카드의 ID 정보들을 저장한다.
메모리부(430)는 카드의 물리적 인증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430)는 카드의 물리적 인증에 필요한 정보로서, 카드의 적격성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 및 결제 단말(140)이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에 부합하는 포맷을 사용하고 있음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카드의 적격성 인증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 포맷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는 NFC의 국제 표준인 ISO/IEC 14443에 부합하는 정보일 수 있다. 메모리부(430)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결제 단말(130)과 물리적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된 정보들로서, 단말(110)이 결제를 위해 기 발급받아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의 정보와는 무관하다. 즉, 메모리부(430)에는 단말(110)이 실제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의 정보는 저장되어 있거나 저장하지 않으며, 단말(110)이 물리적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임의의 (카드) 정보가 저장된다.
에뮬레이션부(440)는 RF 안테나(125)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RF 안테나(125)로 카드의 물리적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에뮬레이션부(44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RF 안테나(125)로 카드의 물리적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RF 안테나(125)가 결제 단말(130)로부터 카드의 적격성을 검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에뮬레이션부(440)는 RF 안테나(125)로 메모리부(430) 내 저장된 카드의 적격성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에뮬레이션부(440)가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결제 단말(130)은 실제 단말(110)이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마치 자신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으로 적격인 카드가 근처에 존재하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RF 안테나(125)가 결제 단말(130)로부터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의 검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에뮬레이션부(440)는 RF 안테나(125)로 메모리부(430) 내 저장된 결제 단말(140)이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에 부합하는 포맷을 사용하고 있음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에뮬레이션부(440)가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결제 단말(130)은 자신과 동일한 데이터 포맷을 갖는 카드가 근처에 존재하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다. 에뮬레이션부(440)는 결제 단말(130)과 카드의 물리적 인증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카드 또는 앱카드를 포함한 단말의 사용자가 카드 또는 단말을 결제 단말(130)로 물리적 인증을 위해 접근시켜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130)은 통신부(510), 제어부(520) 및 메모리부(530)을 포함한다.
통신부(510)는 결제 단말(130)에 접근하는 카드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 설정된 간격마다 카드를 물리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510)는 기 설정된 간격 마다 카드의 적격성 검증신호를 전송한다. 카드의 적격성 인증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통신부(510)는 데이터 포맷 검증신호를 전송한다. 통신부(510)는 데이터 포맷 인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카드의 물리적 검증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물리적 검증이 완료된 경우, 통신부(510)는 카드의 유효성 검증신호를 전송하고, 카드의 유효성 인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카드의 소프트웨어적 검증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카드의 모든 검증이 완료된 경우, 통신부(510)는 결제 개시신호를 RF 안테나(125)로 전송한다. 통신부(510)는 전자서명을 RF 안테나(125)로부터 수신한다. 통신부(510)는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RF 안테나(125)로 전송하며,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전자서명을 RF 안테나(125)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520)는 기 설정된 간격 마다 카드의 적격성 검증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510)를 제어한다. 카드의 적격성 인증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520)는 적격의 카드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520)는 메모리부(530) 내 저장된 카드의 적격성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의 적격성을 확인한다.
카드가 적격성을 갖는 경우, 제어부(520)는 데이터 포맷 검증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510)를 제어한다. 데이터 포맷 인증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520)는 카드가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제어부(520)는 메모리부(530) 내 저장된 데이터 포맷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가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을 확인한다. 이로서, 제어부(520)는 카드의 물리적 검증을 완료한다.
물리적 검증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520)는 카드의 유효성 검증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510)를 제어한다. 카드가 물리적으로 적합하더라도, 결제 중계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카드이거나 애플리케이션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어부(520)는 카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카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 검증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510)를 제어한다. 카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 인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520)는 메모리부(530) 내 저장된 카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카드 ID)를 이용하여 카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이로서, 제어부(520)는 카드의 소프트웨어 검증까지 마치며 모든 카드의 검증을 완료한다.
제어부(520)는 결제를 개시하기 위해, 결제 개시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510)를 제어한다. 단말(110, 114, 118)이 결제 단말(130) 자신과의 결제가 개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제어부(520)는 결제 개시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510)를 제어한다.
통신부(510)가 전자서명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520)는 전자서명을 검증하고,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한다. 제어부(520)는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510)를 제어한다.
통신부(510)가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전자서명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520)는 결제 내역을 생성하여 메모리부(53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결제 내역을 이용하여, 추후 결제 단말(140)이 외부 장치로 결제 내역에 따른 비용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메모리부(530)는 카드의 적격성 확인을 위한 데이터, 데이터 포맷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카드의 소프트웨어(카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530)는 전자서명을 복호화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전자 서명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구획 진입판단 후 물리적 인증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120)를 인식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을 연결한다(S610).
단말(110)은 비콘들(140a 내지 d)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다(S620).
단말(110)은 비콘 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세션이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로 진입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630). 전술한 대로, 각 비콘들은 구획을 구분하며 비콘신호를 차폐하는 차폐막(210)의 특정 면들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이 위치한 구획에 따라 단말이 수신하는 비콘신호의 세기가 달라진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단말(110)은 수신한 비콘 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세션이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계속 진입하여 통과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세션이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120)가 배치된 구획으로 계속 진입하여 통과하고 있는 경우, 단말(110)은 카드 ID를 전송한다(S640).
결제 중계장치(120)는 단말의 카드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카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50). 단말의 카드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카드인 경우, 결제 중계장치(120)는 에뮬레이션부를 활성화한다.
결제 단말(130)은 카드 적격성 검증신호를 전송한다(S660).
결제 중계장치(120)는 카드 적격성 인증신호를 결제 단말(130)로 전송한다(S670).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125)를 이용하여 카드 적격성 검증신호를 수신하고 확인한다. 활성화된 에뮬레이션부는 카드의 적격성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RF 안테나(125)로 제공함으로써,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125)가 카드 적격성 인증신호를 결제 단말(130)로 전송하도록 한다.
결제 단말(130)은 데이터 포맷 검증신호를 전송한다(S680).
결제 중계장치(120)는 데이터 포맷 인증신호를 결제 단말(130)로 전송한다(S690). 마찬가지로,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125)를 이용하여 데이터 포맷 검증신호를 수신하고 확인한다. 활성화된 에뮬레이션부는 데이터 포맷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RF 안테나(125)로 제공함으로써, 결제 중계장치(120)는 RF 안테나(125)가 데이터 포맷 인증신호를 결제 단말(130)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특정 구획 진입판단 후 물리적 인증이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110)은 결제 중계장치(120)를 인식하여 무선통신을 위한 세션을 연결한다(S710).
단말(110)은 비콘들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다(S720).
단말(110)은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에 근접한 비콘들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다른 비콘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보다 센지 여부를 판단한다(S730).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에 근접한 비콘들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다른 비콘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보다 센 경우, 단말(110)은 카드 ID를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S740).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에 근접한 비콘들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다른 비콘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보다 세지 않은 경우, 단말(110)은 별도의 신호 전송없이 대기한다(S7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결제 단말(130)은 RF 안테나(120) 및 결제 중계장치(120)를 거쳐 단말(110)로 카드 유효성 검증신호를 전송한다(S810).
단말(110)은 중계장치(120) 및 RF 안테나(120)를 거쳐 결제 단말(130)로 카드 유효성 인증신호를 전송한다(S820).
결제 단말(130)은 RF 안테나(120) 및 결제 중계장치(120)를 거쳐 단말(110)로 결제 개시신호를 전송한다(S830).
단말(110)은 중계장치(120) 및 RF 안테나(120)를 거쳐 결제 단말(130)로 전자서명을 전송한다(S840).
결제 단말(130)은 RF 안테나(120) 및 중계장치(120)을 거쳐 단말(110)로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전송한다(S850).
단말(110)은 결제를 진행한다(S860).
단말(110)은 중계장치(120) 및 RF 안테나(120)를 거쳐 결제 단말(130)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전자서명을 전송한다(S870).
이에 따라, 단말(110)은 결제를 수행하고자 함에 있어, 별도로 결제 단말(130)과 물리적 인증을 거칠 필요없이 결제가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말을 결제 단말 근처로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결제가 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지 않더라도 결제 단말과 카드 관리서버 간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110)은 카드 유효성 검증 신호를 결제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다(S910).
단말(110)은 카드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S920).
단말(110)은 결제 개시신호를 결제 중계장치(120)로부터 수신한다(S930).
단말(110)은 전자서명을 생성하여 결제 중계장치(120)로 전송한다(S940).
단말(110)은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결제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다(S950).
단말(110)은 전자서명을 복호화하여 결제 금액을 확인하고, 결제를 진행한다(S960).
단말(110)은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전자서명을 생성하여 결제 중계장치로 전송한다(S970).
도 6 내지 9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각의 도면에 기재된 과정의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 내지 9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 내지 9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결제 중계 시스템
110: 단말
120: 결제 중계장치
125: RF 안테나
130: 결제 단말
140: 비콘
210: 차폐막
310, 410, 510: 통신부
320, 420, 520: 제어부
330, 430, 530: 메모리부
440: 에뮬레이션부

Claims (1)

  1. 복수의 구획에 각각 배치되어, 검증된 단말과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단말;
    복수의 구획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단말과 무선통신을 위한 세션 연결 후 상기 단말로부터 카드 ID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 ID의 수신 후 상기 단말이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에 대한 정보와 무관하게 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단말과 물리적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과 상기 결제단말 간 결제를 위한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결제 중계장치
    상기 단말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결제 단말의 전방에 형성되어, 각 결제단말 및 결제 중계장치가 위치한 구획을 각각 구분하며 비콘신호를 차폐하는 차폐막;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결제단말이 위치한 구획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비콘신호를 전송하며, 각 차폐막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결제단말이 위치한 구획 내에서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각 차폐막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각 비콘들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으로 지속적으로 진입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세션 연결된 결제 중계장치가 배치된 구획으로 지속적으로 진입할 때에만 상기 카드 ID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장치.
KR1020180142338A 2018-11-19 2018-11-19 결제 장치, 해당 결제 장치의 구획을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8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38A KR101982002B1 (ko) 2018-11-19 2018-11-19 결제 장치, 해당 결제 장치의 구획을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338A KR101982002B1 (ko) 2018-11-19 2018-11-19 결제 장치, 해당 결제 장치의 구획을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002B1 true KR101982002B1 (ko) 2019-05-24

Family

ID=6668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338A KR101982002B1 (ko) 2018-11-19 2018-11-19 결제 장치, 해당 결제 장치의 구획을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31A (ko) * 2019-06-03 2020-12-11 (주)에이텍티앤 다중 사물인터넷 장치를 이용한 지하철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97320B1 (ko) * 2021-09-17 2023-02-07 주식회사 티머니 카드 태그 없이 교통요금을 징수하는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20240018981A (ko) 2022-08-03 2024-02-14 에스트래픽 주식회사 태그리스 방식의 지하철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18982A (ko) 2022-08-03 2024-02-14 에스트래픽 주식회사 초광대역 측위와 게이트 센서를 이용한 지하철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013A (ko) * 2013-07-04 2015-01-14 김동영 Rfid 및 nfc 기술을 활용한 하이패스형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KR20170059646A (ko) * 2015-11-23 2017-05-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2단계 위치 측위를 이용한 체크인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013A (ko) * 2013-07-04 2015-01-14 김동영 Rfid 및 nfc 기술을 활용한 하이패스형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KR20170059646A (ko) * 2015-11-23 2017-05-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2단계 위치 측위를 이용한 체크인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31A (ko) * 2019-06-03 2020-12-11 (주)에이텍티앤 다중 사물인터넷 장치를 이용한 지하철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287173B1 (ko) * 2019-06-03 2021-08-09 (주)에이텍티앤 다중 사물인터넷 장치를 이용한 지하철 결제 방법
KR102497320B1 (ko) * 2021-09-17 2023-02-07 주식회사 티머니 카드 태그 없이 교통요금을 징수하는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20240018981A (ko) 2022-08-03 2024-02-14 에스트래픽 주식회사 태그리스 방식의 지하철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18982A (ko) 2022-08-03 2024-02-14 에스트래픽 주식회사 초광대역 측위와 게이트 센서를 이용한 지하철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002B1 (ko) 결제 장치, 해당 결제 장치의 구획을 진입하는지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40100B1 (ko) 일회용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 기반 모바일 자동 결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155280B1 (ko) 결제 단말과의 호환성을 향상시킨 결제 방법 및 시스템
JP7253465B2 (ja) 管理システム
KR101976029B1 (ko) 결제 중계 시스템에서 보안성 향상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14573A (ko)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50060631A (ko) 해외결제 인증방법, 해외결제 인증 시스템 및 카드사 시스템
KR102030999B1 (ko) 단말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결제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5394A (ko) 결제 단말과의 호환성을 향상시킨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7293A (ko)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102000474B1 (ko) 결제 단말에 대한 카드 인증장치 및 방법
KR20180017303A (ko)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101719450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0123A (ko) 일회용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 기반 모바일 자동 결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80017311A (ko)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6588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284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61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58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60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6589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68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283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278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266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