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667B1 -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667B1
KR101981667B1 KR1020140075438A KR20140075438A KR101981667B1 KR 101981667 B1 KR101981667 B1 KR 101981667B1 KR 1020140075438 A KR1020140075438 A KR 1020140075438A KR 20140075438 A KR20140075438 A KR 20140075438A KR 101981667 B1 KR101981667 B1 KR 10198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nit
mode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929A (ko
Inventor
노민구
김두영
김민섭
김수환
도용구
박천우
안준석
윤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6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굴곡지게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따라 곡면 경로로 상하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이동 감지부의 이동 감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모드가 콘텐츠를 출력하는 시청 모드 또는 콘텐츠 출력이 제한되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APPARATUS}
이동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 일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력 공급 또는 콘텐츠 수신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에 걸린 상태로 설치되는 벽걸이 형과, 스탠드에 의해 지지되어 임의의 위치에 놓이게 되는 스탠드 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굴곡지게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따라 곡면 경로로 상하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 감지부의 이동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모드가 콘텐츠를 출력하는 시청 모드 또는 콘텐츠 출력이 제한되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 모드에서는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고, 대기 모드에서는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시청 모드보다 낮은 휘도로 영상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시청 모드에서 백라이트가 온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 백라이트가 오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 모드에서도 음악 콘텐츠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출력부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시청 모드보다 낮은 음량으로 음악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시청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콘텐츠 수신부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이동이 중지되면 대기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전환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동 감지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운동량 변화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각 운동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감지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가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감지부는 바닥면과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근접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감지부는 지지프레임에 마련되어 접촉 여부를 검출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접촉 센서에서 검출된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굴곡지게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따라 곡면 경로로 상하 이동할 수 디스플레이 유닛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와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청 모드에서 이동이 감지되면 콘텐츠의 출력이 제한되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대기 모드에서 정기가 감지되면 시청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대기 모드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시청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저장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시청 모드보다 낮은 휘도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영상 콘텐츠의 표시는 중지하고, 음성 콘텐츠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는 각운동량의 변화, 가속도의 변화, 바닥과의 거리, 및 사용자와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는 각운동량의 변화, 가속도의 변화, 바닥과의 거리, 및 사용자와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이 감지되면 콘텐츠의 출력을 제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중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레그가 접힌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수신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에서 제공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미디어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콘텐츠는 TV방송, 영화, 음악, 사진 등의 미디어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콘텐츠는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영상 콘텐츠 및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음악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하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중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와, 지지프레임(2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20)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서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그(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지지프레임(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프레임(20)을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도 점진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이동에 대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지지프레임(20)과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2)의 후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20)의 내측에 배치되는 돌출부(12a)가 마련 될 수 있으며, 돌출부(12a)의 양 측에는 지지프레임(20)의 가이드레일(23a)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돌출부(12a)의 내부에는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a)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해 필요한 배터리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2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 바(21) 및 하부 바(22)와,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상부 바(21) 및 하부 바(22)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부 바(23L, 23R)를 포함한다.
상부 바(21)는 사용자가 잡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부 바(22)는 바닥면에 지지되어 레그(30)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가 바닥면에 서 있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바(21) 또는 하부 바(2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근접 센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한 쌍의 측부 바(23L, 23R)는 그 상단 및 하단이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상하 이동이 곡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측부 바(23L, 23R)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의 돌출부(12a)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3a)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23a)은 서로 대향되는 두 측부 바(23L, 23R)의 내면에 서로 대향되게 마련되며, 측부 바(23L, 23R)를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0)에는 돌출부(12a)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며 가이드레일(23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지지프레임(20)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일정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락킹장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이 힘을 가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레일(23a)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사용자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0)은 상부로 이동할수록 디스플레이 유닛(1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이 거치된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가 커진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a)의 롤러와 결합한 모터를 더 구비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닛(10)을 상하로 이동시키며 디스플레이 유닛(10)의 높이 및 각도를 본인이 보기 편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시야를 추적하여, 사용자가 보기 편한 최적의 자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레그가 접힌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레그(30)는 지지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프레임(20)의 후면에는 레그(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레그(30)를 수용하는 수용홈(20a)이 마련된다.
레그(30)는 그 상단이 지지프레임(20)의 두 측부 바(23L, 23R)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연장부(31L, 31R)와, 두 연장부(31L, 31R)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32)를 포함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수용홈(20a)은 레그(30)와 대응하도록 지지프레임(20)의 두 측부 바(23L, 23R)의 하부 및 하부 바(22)에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양 측부 바(23L, 23R)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측부 바(23L, 23R)에 마련된 수용홈(20a)과 수용홈(20a)에 수용되는 레그(30)의 두 연장부(31L, 31R) 또한 측부 바(23L, 23R)와 대응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벽에 붙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30)가 수용홈(20a)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면에 올려 놓은 상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30)가 수용홈(20a)으로부터 이탈하고, 지지프레임(20)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20)이 레그(30)를 통해 바닥면에 서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디스플레이 패널(11)이 마련된 디스플레이 유닛(10)도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이동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되고, 이동이 정지하는 경우 다시 대기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이 감지되는 상태로, 대기 모드에서는 콘텐츠의 출력이 제한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시청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지한 상태로, 시청 모드에서는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대기 모드로 전환되며,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된 것으로 감지되면 시청모드로 전환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모드 전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210), 콘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220), 디스플레이 유닛(1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30), 디스플레이 유닛(1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60),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 음악 콘텐츠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250),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음향 출력부(250)를 구동하는 구동회로(270),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검출하는 이동 감지부(280), 디스플레이 유닛(1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아,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9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오프 명령, 콘텐츠 제어 명령(예를 들어, 채널/음성 변경), 화면 조정 명령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10)는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10)는 리모콘, 버튼, 다이얼, 키보드, 캐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지 센서,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마이크와 같은 음석 입력 수단, 카메라와 같은 제스처 입력 수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입력부(210)는 일정한 위치를 지정하고 지정된 위치에서 소정의 선택 명령을 지시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나 마우스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향후 개발되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도 있다.
콘텐츠 수신부(220)는 콘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수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된 콘텐츠 신호는 직접 제어부(29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수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된 콘텐츠 신호는 저장부(230)에 저장되고, 저장부(230)를 통하여 제어부(29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때, 콘텐츠 수신부(220)는 획득한 콘텐츠 신호를 변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콘텐츠 신호가 아날로그 형태인 경우 디지털 형태로 콘텐츠 신호를 변환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콘텐츠 수신부(220)는 A/D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수신부(2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콘텐츠 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 수신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수신부(220)는 콘텐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수신부(22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VI 포트(Digital Video Interface port), D-sub 포트(D-subminiature port), UTP 케이블 포트(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port), USB (USB jack, 136) 및 오디오 포트(Audio out port, 137)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수신부(22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출 장치(예를 들어, TV 중계기, T)에서 송출된 콘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송출 장치(T)는 영상 콘텐츠, 이와 싱크된 음성 콘텐츠 및 방송 콘텐츠와 관련된 각종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변조하여 소정의 콘텐츠 신호를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수신부(220)는 수신부(221), 복조기(222), 역다중화기(223)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221)는 방송 송출 장치(T)이 송출한 콘텐츠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기(222)로 전달한다. 이때, 수신부(221)에 의하여 수신되는 콘텐츠 신호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복조기(222)는 수신된 콘텐츠 신호에서 다중화된 콘텐츠 신호를 획득하여 역다중화기(223)에 전달하고, 역다중화기(223)는 다중화된 콘텐츠 신호로부터 영상 콘텐츠 신호, 음성 콘텐츠 신호,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290) 또는 저장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수신부(22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지에 위치한 콘텐츠 저장 장치(S)로부터 콘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 장치(S)는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서버뿐만 아니라,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장치, 스마트폰(Smart phone),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수신부(220)는 유선 통신부(225), 무선 통신부(226), 근거리 통신부(227)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유선 통신부(225)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된 콘텐츠 저장 장치(S)로부터 콘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유선 통신부(225)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6)는 다양한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서 콘텐츠 저장 장치(S)로부터 콘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6)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콘텐츠 저장 장치(S)로부터 콘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227)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콘텐츠 저장 장치(S)로부터 콘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227)는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프로토콜을 통하여 콘텐츠 저장 장치(S)로부터 곤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수신부(220)는 디스플레이 유닛(10)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입출력 포트는 지지프레임(20)에 마련되고, 유선 통신부(225), 무선 통신부(226), 근거리 통신부(227)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의 돌출부(12a)에 마련될 수 있으며, 콘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21)에 지지프레임(20)에 마련되고, 복조기(222), 역다중화기(223)는 디스플레이 유닛(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콘텐츠 수신부(220)의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 콘텐츠 수신부(22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방법으로도 콘텐츠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에서 수신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저장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저장부(230)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과정에서 생성되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제어부(29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수신부(220)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부(230)에 저장된 콘텐츠는 순차적으로 저장되고, 출력된 콘텐츠는 삭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구동회로(270)에서 전송되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영상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시청 모드에서는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고, 대기 모드에서는 영상 콘텐츠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콘텐츠의 출력의 제한 방법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대기 모드에서 단순히 콘텐츠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영상 콘텐츠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출력의 제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에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지 않거나, 표시하더라도 시청 모드보다 낮은 휘도로 표시하거나, 백라이트가 꺼진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은 다양항 영상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UHD(Ultra High Definition) 또는 FHD(Full High Definition)등과 같은 고해상도의 콘텐츠, 3D 영상 콘텐츠도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0)는 구동회로(270)에서 전송되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소리 콘텐츠를 출력한다. 이때, 음향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 유닛(10)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지지프레임(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대기 모드에서 소리 콘텐츠의 출력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출력의 제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에서 소리 콘텐츠를 출력하지 않거나, 출력하더라도 시청 모드보다 낮은 크기로 출력할 수 있다.
구동회로(270)는 제어부(29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음향 출력부(250)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구동회로(270)는 제어부(29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콘텐츠가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각 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270)는 제어부(290)의 제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콘텐츠와 대응되는 소리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250)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구동회로(270)가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음향 출력부(250)를 구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270)와 음향 출력부(2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270)가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전원부(260)는 전기 에너지를 화학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261) 및 배터리(26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263)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61)는 저장된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배터리(261)는 1차 전지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61)는 니켈카드늄(Ni-Cd) 전지, 니켈수소(Ni-Mh)전지, 리튬이온(Li-ion)전지, 리튬폴리(Li-Po)전지, 또는 리튬인산철(Li-Fe)전지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충전회로(263)는 배터리(261)를 충전한다. 충전회로(263)는 외부전원을 배터리(261)의 충전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261)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회로는 상용전원을 소정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261)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충전회로(263)는 배터리(261)의 충전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를 가질 수 있으며, 배터리(261)를 충전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때, 전원부(260)는 디스플레이 유닛(10)에 마련되거나, 지지프레임(2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61)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의 돌출부(12a)에 마련되고, 충전회로(263)는 지지프레임(2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동 감지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손쉽게 이동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위치도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동 감지부(280)는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하는지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감지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과 관련된 움직임 정보를 제어부(29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하여 이동 감지부(280)는 자이로 센서(281), 가속도 센서(283), 근접 센서(285), 및 접촉 센서(287)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이로 센서(281)는 각운동량 보존법칙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각운동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로,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센서(28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이 발생함에 따른 각운동량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운동량에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자이로 센서(281)는 디스플레이의 유닛에 마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프레임(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가속도 센서(283)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283)는 가속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기계적인 충격이나 진동을 검출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가속도 센서(283)는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측정하는 압전형 가속도계,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검출하는 정전용량형 가속도계, MEMS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MEMS 가속도계, 또는 가열된 기체의 질량을 이용하는 열식 가속도계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근접 센서(285)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정의 물체 사이의 거리를 검출한다. 이때, 근접 센서(285)는 광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물체와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28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정의 물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치되는 바닥면)와의 거리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거리 변화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접촉 센서(287)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접촉 상태 변화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접촉 센서(287)는 지지프레임(20)의 하단바(22)과 바닥면이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지지프레임(20)과 바닥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접촉 센서(287)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단바(21)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위해 상단바(21)를 파지하는 것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영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패널(11)에서 출력되고, 소리 콘텐츠가 음향 출력부(250)에서 출력되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ation),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웨이블렛 변환(Wavelet Transformation) 등을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영상 콘텐츠를 리사이즈(resize)하거나 클리핑(clipping)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다양한 필터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거나, 영상 데이터의 평활화(Equalization), 영상 데이터의 첨예화(sharpening)를 통해 영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영상의 밝기 및 명암 값을 조정하여, 영상이 좀더 선명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훼손되거나 오류에 의해 발생된 영상 데이터의 왜곡을 원래의 영상 데이터와 가장 가까운 형태로 복원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영상 처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290)는 필요에 따라 다른 영상 처리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90)는 이동 감지부(280)의 이동 감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40)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이동 감지부(280)에 의하여 이동이 감지되면 시청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이동이 정지하면 대기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이동 감지부(280)에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을 판단하고, 이동 중으로 판단되면 시청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자이로 센서(281)에서 검출된 각운동량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이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가속도 센서(283)에서 검출된 가속도의 변화가 임계치 이상이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근접 센서(285)에서 검출된 물체와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이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하부 바(22)에 마련된 접촉 센서(287)에서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부 바(21)에 마련된 접촉 센서(287)에서 접촉이 감지되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감지부(280)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290)는 서로 다른 센서에서 입력된 복수 개의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각 운동량 및 가속의 변화 모두 임계치 이상인 경우만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각 운동량이 임계치 이상이라도 접촉 센서(287)에 의하여 접촉이 감지되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90)는 시청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대기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290)는 콘텐츠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와 소리 콘텐츠로 구성된 경우 영상 콘텐츠 및 소리 콘텐츠의 출력을 모두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90)는 영상 콘텐츠의 출력만 제한하고, 음성 출력부를 통한 소리 콘텐츠의 출력은 계속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전력 소비가 높은 영상 콘텐츠만 제한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도 전력 소비 효율을 높을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에서도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90)는 음향 출력부(250)에서 출력되는 소리 콘텐츠의 음량이 시청 모드보다 작아지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하여, 대기 모드에서 전력 소비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휘도가 낮아지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광원이 OLED인 경우, 각 화소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이 LCD 또는 LED와 같은 백라이트를 가지는 경우 백라이트에 공급되는 전류가 감소하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휘도가 낮아지도록 조절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제어부(290)는 콘텐츠 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다만, 콘텐츠가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90)는 저장부(230)에 수신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다시 시청 모드로 전환되면 저장부(230)에 저장된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시청 모드로 다시 전환되면 저장된 콘텐츠를 출력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전환되면 즉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저장 장치(S)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에 따라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대기 모드에서도 콘텐츠를 수신 및 저장하고 시청 모드로 전환되면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모드 및 시청 모드 변환에 따른 콘텐츠 출력의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송출 장치(T)로부터 TV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중 대기 모드로 변환되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TV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제어부(290)는 대기 모드에서 방송 송출 장치(T)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콘텐츠가 사용자가 제공되는 때에 수신되는 TV 방송 콘텐츠는 다시 저장되어 소정 시간 지연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모드 동안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이동 감지부(280)에서 입력되는 전기전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290)는 대기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290)는 콘텐츠를 다시 출력되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시청 모드로 전환되면 콘텐츠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수신된 콘텐츠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으면 제어부(29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수신부(220)로 계속하여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저장부(230)에 콘텐츠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휘도가 다시 높아지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50)에서 출력되는 음량이 다시 높아지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대기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전환되면 콘텐츠의 출력을 재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이 없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한하면 다시 시청 모드로 복귀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90)는 시청 모드로 구동회로(27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음향 출력부(250)를 통하여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구동회로(270)를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 중인지 판단한다. 이동 여부는 이동 감지부(28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자이로 센서(281)에서 검출된 각운동량의 변화 신호, 가속도 센서(283)에서 검출된 가속도의 변화 신호, 근접 센서(285)에서 검출된 물체와의 거리 신호, 또는 접촉 센서(287)에서 검출된 접촉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90)는 시청 모드에 따라 콘텐츠를 출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90)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콘텐츠의 출력을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콘텐츠 및 음성 콘텐츠의 출력이 모두 제한되거나, 비교적 전력 소비가 큰 영상 콘텐츠의 출력만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각 화소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기나, 백라이트를 오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휘도가 낮아 질 수 있다.
제어부(290)는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한하였는지 판단한다. 제한 여부는 이동 감지부(28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자이로 센서(281)에서 검출된 각운동량, 가속도 선세에서 검출된 가속도 변화, 또는 근접 센서(285)에서 검출된 물체와의 거리가 기준 범위 이내로 수렴하거나 접촉 센서(287)에서 다시 접촉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한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90)는 제어부(290)는 대기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전환하여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콘텐츠는 콘텐츠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콘텐츠 또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콘텐츠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90)는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대기 모드를 전환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므로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장시간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콘텐츠 처리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트리밍 방식으로 콘텐츠를 전송 받는 경우, 대기 모드에서 시청 모드 전환시 버퍼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퍼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기 모드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방송 콘텐츠와 같이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대기 모드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되면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콘텐츠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콘텐츠는 저장부(230)에 저장된다. 이때, 수신한 콘텐츠는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지하면 시청 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시청 모드로 저장되면 저장부(230)에 저장된 콘텐츠가 출력된다. 이때, 저장부(23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가 출력되는 때 수신한 방송 콘텐츠는 다시 저장부(230)되어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굴곡지게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따라 곡면 경로로 상하 이동가능한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감지부의 이동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모드가 콘텐츠를 출력하는 시청 모드 또는 콘텐츠 출력이 제한되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시청 모드보다 낮은 휘도로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시청 모드에서 백라이트가 온되고, 상기 대기 모드에서 백라이트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도 음악 콘텐츠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시청 모드보다 낮은 음량으로 음악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콘텐츠 수신부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이 중지되면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시청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운동량 변화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운동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바닥면과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마련되어 접촉 여부를 검출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센서에서 검출된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굴곡지게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따라 곡면 경로로 상하 이동할 수 디스플레이 유닛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청 모드에서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의 출력이 제한되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시청 모드보다 낮은 휘도로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지가 감지되면 상기 시청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청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영상 콘텐츠의 표시는 중지하고, 음성 콘텐츠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는 각운동량의 변화, 가속도의 변화, 바닥과의 거리, 및 사용자와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는 각운동량의 변화, 가속도의 변화, 바닥과의 거리, 및 사용자와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075438A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198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438A KR101981667B1 (ko)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438A KR101981667B1 (ko)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29A KR20150145929A (ko) 2015-12-31
KR101981667B1 true KR101981667B1 (ko) 2019-05-24

Family

ID=5512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438A KR101981667B1 (ko)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307B1 (ko) * 2018-01-16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28B1 (ko) * 2004-12-10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1462A (ko) * 2005-12-30 2007-07-04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32688B1 (ko) * 2010-11-29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ui 모드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29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469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마트 충전장치
TWI395198B (zh) 針對一裝置的預期移動所進行的補償
US1011537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3498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US10554002B2 (en) Electric conduction apparatus
KR1022453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85183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MXPA06008160A (es) Sistemas de presentacion interactiva.
KR202101427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1141330A (ja) 携帯情報表示端末
US11646608B2 (en) Wireless charg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8111729A (zh) 一种摄像模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6471432A (zh) 音频坞接
KR102305951B1 (ko) 영상표시 장치
KR1019816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2518295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12255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93071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59166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54857B1 (ko) 영상 표시 장치
KR2011008391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35299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54975A1 (en) Smart 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system
KR101626422B1 (ko) 센서 값에 따라 표시부를 조정하는 전자장치
JP2014032664A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