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436B1 -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436B1
KR101981436B1 KR1020180156102A KR20180156102A KR101981436B1 KR 101981436 B1 KR101981436 B1 KR 101981436B1 KR 1020180156102 A KR1020180156102 A KR 1020180156102A KR 20180156102 A KR20180156102 A KR 20180156102A KR 101981436 B1 KR101981436 B1 KR 10198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s
fluid
air cap
pai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찬섭
우종범
Original Assignee
우찬섭
우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찬섭, 우종범 filed Critical 우찬섭
Priority to KR102018015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4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cooperating with specially formed features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cooperating with holes or ribs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으로서, 원단합지부에서 원단에 시트와 에어캡이 연속하여 적층접합되도록 하는 단계; 원단가압경화부에서 상기 원단합지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원단의 에어캡을 연속하여 압착하는 단계; 및 접이부에서 상기 압착되는 에어캡이 노출토록 원단을 접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합지부는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되되고,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적어도 한 쌍이 상호 연동되도록 결속시키기 위한 결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모듈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가 구비되는 것인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을 단순화시켜 연속공정에 의한 봉투제작이 가능하고, 특히 포장용 에어캡 제조 과정의 생산 효율성과 작업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wrapper}
본 발명은 포장용 에어캡 제조 과정의 생산 효율성과 작업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내용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어캡이 구비되는 포장용 봉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캡이 구비되는 포장용 봉투를 제조하는 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저마다의 방식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을 구현하는 현장의 설비들은 공통적으로 제조 과정의 발생되는 여러 가지 부정적 요인들(예: 소음, 진동 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며, 이는 곧 작업현장의 작업자들에게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도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특히, 포장용 에어캡의 제조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점에서 전술한 사항들은 더욱 부각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2913호
본 발명은 에어캡 포장용 에어캡 제조에 따른 생산 효율성과 작업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으로서, 원단합지부에서 원단에 시트와 에어캡이 연속하여 적층접합되도록 하는 단계; 원단가압경화부에서 상기 원단합지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원단의 에어캡을 연속하여 압착하는 단계; 및 접이부에서 상기 압착되는 에어캡이 노출토록 원단을 접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합지부는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되되고,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적어도 한 쌍이 상호 연동되도록 결속시키기 위한 결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모듈은, 소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가 구비되는 것인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을 단순화시켜 연속공정에 의한 봉투제작이 가능하고, 특히 포장용 에어캡 제조 과정의 생산 효율성과 작업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가압로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가압로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가압로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가압로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계열의 에어캡(a)이 롤상으로 권취되어 연속 공급되면서 상기 에어캡(a)과 분리되는 위치에 수지재질의 시트(b) 역시 롤상으로 권취되어 연속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캡(a)과 시트(b)는 에어캡과 시트가 적층접합되는 원단(100)을 연속 형성하기 위하여 에어캡(a)과 시트(b)의 공급방향을 향하여 히팅부(211)와 쿨링부(213)가 배치되는 플레이트(210)가 설치되어 에어캡과 시트가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연속하여 공급토록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시트(b)가 그 상측에 에어캡(a)이 위치되어 가열되는 플레이트(210)에 의해 에어캡(a)이 눌러 붙어 이송불량이나 접합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플레이트(210)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합지로울러(250)가 설치되어 에어캡(a)에 압력을 발생시켜 가열되는 시트(b)와 에어캡(a)을 합지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원단(100)을 제작토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플레이트(210)는 히팅부(211)를 통하여 상면에 접촉되는 원단을 가열하여 서로 합지토록 하고, 쿨링부(213)을 통하여 냉각 경화함으로써 원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원단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연속적으로 에어캡(a)을 제거하는 가압로울러(310)가 구비되어 에어캡(a)과 시트(b)를 서로 접합하면서 에어캡(a)의 일부를 가압 압착하여 밀봉부(109) 를 일체로 형성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가압로울러(310)는, 제1가압로울러(311) 또는 제2가압로울러(313)로 이루어져 히팅부 또는 쿨링부의 상측에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가열 또는 냉각되는 원단의 상면을 각각 가압토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로울러(310)는, 제1가압로울러(311)가 히팅부에 복수개 제2가압로울러(313)가 쿨링부에 복수개 각각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가압로울러(310)는 원단(10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되어 이동시 원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밀봉부(109)의 폭을 조절토록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압로울러(311)는 내측에 히터가 제2가압로울러(313)가 쿨러가 각각 구비되어 플레이트를 통하여 하면이 가열 또는 냉각되는 원단의 상면을 가열 또는 냉각하여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일측에 밀봉부(109)가 형성되는 원단을 연속공급하면서 접은 후 일정한 간격으로 접합하고, 일정간격으로 접합이 완료된 원단을 절단하여 봉투(e)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는, 원단합지부(200)와 원단가압경화부(300) 및 접이부(400)와 봉투용접및절단부(500)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원단합지부(200)는, 시트(b)와 에어캡(a)이 연속하여 적층접합토록 원단(100)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플레이트(210)와 상기 플레이트(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히팅부(211)와 쿨링부(213)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단합지부(200)는, 플레이트(210)의 상부에서 원단을 가압토록 플레이트(210)의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합지로울러(25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합지로울러(250)는 본체(110)에 설치되는 브라켓(113)에 가이드홀(113a)을 통하여 이동가능토록 되어 합지로울러의 누르는 압력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10)는, 호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일측에서 투입되는 원단 및 타측에서 배출되는 원단(100)을 각각 지지토록 하나 이상의 합지로울러(25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10)가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합지로울러(250)로서 가압할 때 원단이 플레이트에서 들뜸게 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원단가압경화부(300)는, 상기 원단합지부의 플레이트(210) 상측에 구비되면서 합지되는 상태로 연속공급되는 원단(100)의 에어캡(a)을 연속하여 압착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로울러(3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로울러(310)는, 히팅부 상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제1가압로울러(311) 또는 쿨링부 상면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제2가압로울러(31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압로울러(310)는, 본체(110)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17)로서 가압로울러를 지지하는 로울러몸 체(317)가 연결되어 조절볼트의 회전시 원단(10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가압로울러(311)는 내측에 히터가 제2가압로울러(313)가 쿨러가 각각 구비되어 원단의 상면을 각각 가열하면서 가압하거나 냉각하면서 가압토록 한다.
상기 접이부(400)는, 에어캡(a)의 밀봉부(109)가 노출되는 상태로 접히도록 경사 또는 다른방향을 갖도록 복수의 아이들로울러(41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연속공급되는 원단을 접으면서 밀봉부가 노출토록 한다. 상기 봉투접합및절단부(500)는, 접이부(400)를 통하여 연속공급되는 원단(100)이 복수의 지지블럭(530)과 접합 블럭(510)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합블럭이 상향 또는 하향하여 원단의 일정폭으로 접합한 후 절단날(550)을 통하여 절단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블럭(510)은, 연속공급되는 원단(100)에 복수의 접합라인을 동시에 형성토록 복수의 접합블럭이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하여 동시에 승하강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접합블럭(510)을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접합블럭을 승하강하도록 캠에 연결되는 지지로드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구성으로 접합블럭(510)이 지지블럭(530)을 중심으로 승,하강하여 접합 및 이송이 가능토록 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은, 접합블럭과 지지블럭이 상대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접합블럭과 지지블럭중 어느 하나가 움직여 원단을 일정폭으로 접합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접합블럭(510) 역시 히터가 구비되어 가압시 접혀지는 원단이 접합되는 접합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단가압경화부(300)의 일측으로 원단(100)에 접합테잎(610)을 부착토록 일면에 이형지(611)가 부착되는 양면테잎(613)이 릴상으로 권취되어 원단에 접합토록 설치되는 접합재부착부(60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원단(100)의 연속공급시 그 일측에서 양면테잎(613)을 연속하여 부착하면 접합테잎(610)이 부착된 원단의 공급이 가능토록 되어 이형지의 제거시 밀봉부(109)등을 봉투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6 및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면,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는 원단합지부(200)와 원단가압경화부(300) 및 접이부(400)와 봉투용접및절단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합지부(200)는, 시트(b)와 에어캡(a)이 연속하여 적층접합토록 원단(100)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플레이트(210)와 상기 플레이트(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히팅부(211)와 쿨링부(213)가 구비되며, 상기 원단합지부는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되되고,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적어도 한 쌍이 상호 연동되도록 결속시키기 위한 결합모듈(70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모듈(700)은, 소정의 본체부(710)와, 상기 본체부(710)의 상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711)와, 상기 본체부(710)의 하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7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파지부(711)는, 제1 파지부 몸체(713)와,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상호 대항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들 중 소정의 제1 지지다리(LP1)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을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제1 지지다리(LP1)를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유동체(714) 및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상호 대항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들 중 소정의 제2 지지다리(LP2)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을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제2 지지다리(LP2)를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유동체(715)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파지부(712)는, 소정의 제2 파지부 몸체(716)와,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상호 대항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제1 지지다리(LP1)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을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제1 지지다리(LP1)를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제3 유동체(717)와,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상호 대항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제2 지지다리(LP2)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을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제2 지지다리(LP2)를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제4 유동체(718)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파지부(711)는, 상기 제1 유동체(714)와 상기 제2 유동체(715)가 각기 상기 제1 지지다리(LP1) 및 상기 제2 지지다리(LP2)를 가압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710)로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둘레방향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1 지지다리(LP1) 및 상기 제2 지지다리(LP2)를 일정한 회전힘으로 조이도록 한다. 상기 제2 파지부(712)는, 상기 제3 유동체(717)과 상기 제4 유동체(718)가 각기 상기 제1 지지다리(LP1) 및 상기 제2 지지다리(LP2)를 가압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710)로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둘레방향 회전을 통하여 상기 제1 지지다리(LP1) 및 상기 제2 지지다리(LP2)를 일정한 회전힘으로 조이도록 한다.
상기 제1 파지부(711) 및 상기 제2 파지부(712)는 상호간에 동일하거나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유동체(714)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엘라스토머 또는 메모리폼 소재의 완충영역(PL)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유동체(715)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엘라스토머 또는 메모리폼 소재의 완충영역(PL)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부는 설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체(714) 및 상기 제2 유동체(715)는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부의 두께 내에서 일정 범위로 상승과 하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부는 설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체(717) 및 상기 제4 유동체(718)는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부의 두께 내에서 일정 범위로 상승과 하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7c 내지 도 7d는 도7a에 따른 구성들 중 지지다리들의 구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한다.

도 8a는 도 6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중복되는 내용보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모듈(700)은, 상기 제1 유동체(714)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왕복 유동되는 제1 가압플레이트(719)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체(714)들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를 외측에서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측으로 밀어 가압 고정시키고, 상기 제2 유동체(715)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왕복 유동되는 제2 가압플레이트(720)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유동체(715)들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2 지지다리(LP2)를 외측에서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측으로 밀어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모듈(700)은, 상기 제3 유동체(717)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왕복 유동되는 제3 가압플레이트(721)가 구비되어, 상기 제3 유동체(717)들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를 외측에서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측으로 밀어 가압 고정시키고, 상기 제4 유동체(718)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왕복 유동되는 제4 가압플레이트(722)가 구비되어, 상기 제4 유동체(718)들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상기 제2 지지다리(LP2)를 외측에서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측으로 밀어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모듈(700)의 상기 본체부(710)에는 상기 제1 유동체(714)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와 마주하는 제1 돌출물(T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물(T1)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다리(LP1)가 가압되어 상기 본체부(710)측으로 이동되면, 후방 이동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의 가압힘을 일정하게 완충시키면서 점진적으로 후진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거나, 후방 이동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전진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결합모듈(700)의 상기 본체부(710)에는 상기 제2 유동체(715)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지지다리(LP2)와 마주하는 제2 돌출물(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돌출물(미도시)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다리(LP2)가 가압되어 상기 본체부(710)측으로 이동되면, 후방 이동되는 상기 제2 지지다리(LP2)의 가압힘을 일정하게 완충시키면서 점진적으로 후진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거나, 후방 이동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전진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결합모듈(700)의 상기 본체부(710)에는 상기 제3 유동체(717)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와 마주하는 제3 돌출물(T3)이 구비되며, 상기 제3 돌출물(T3)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다리(LP1)가 가압되어 상기 본체부(710)측으로 이동되면, 후방 이동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의 가압힘을 일정하게 완충시키면서 점진적으로 후진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거나, 후방 이동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전진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결합모듈(700)의 상기 본체부(710)에는 상기 제4 유동체(718)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지지다리(LP2)와 마주하는 제4 돌출물(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제4 돌출물(미도시)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다리(LP2)가 가압되어 상기 본체부(710)측으로 이동되면, 후방 이동되는 상기 제2 지지다리(LP2)의 가압힘을 일정하게 완충시키면서 점진적으로 후진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거나, 후방 이동되는 상기 제1 지지다리(LP1)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전진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719)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의 제1 대향부에는 제1 센싱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719) 및 상기 제1 지지다리(LP1)와의 인접 또는 이격 정도에 대한 제1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소정의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돌출물(T1)과 상기 제1 유동체(714)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720)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의 제2 대향부에는 제2 센싱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720) 및 상기 제2 지지다리(LP2)와의 인접 또는 이격 정도에 대한 제2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소정의 제어수단은 상기 제2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돌출물(미도시)과 상기 제2 유동체(715)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3 가압플레이트(721)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의 제3 대향부에는 제3 센싱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플레이트(721) 및 상기 제1 지지다리(LP1)와의 인접 또는 이격 정도에 대한 제3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소정의 제어수단은 상기 제3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 돌출물(T3)과 상기 제3 유동체(717)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4 가압플레이트(722)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의 제4 대향부에는 제4 센싱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플레이트(722) 및 상기 제2 지지다리(LP2)와의 인접 또는 이격 정도에 대한 제4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소정의 제어수단은 상기 제4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4 돌출물(미도시)과 상기 제4 유동체(718)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719)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의 제1 대향부에는 제1 센싱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플레이트(719) 및 상기 제1 지지다리(LP1)와의 인접 또는 이격 정도에 대한 제1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소정의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돌출물(T1)과 상기 제1 유동체(714)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720)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의 제2 대향부에는 제2 센싱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플레이트(720) 및 상기 제2 지지다리(LP2)와의 인접 또는 이격 정도에 대한 제2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소정의 제어수단은 상기 제2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돌출물(미도시)과 상기 제2 유동체(715)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3 가압플레이트(721)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의 제3 대향부에는 제3 센싱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플레이트(721) 및 상기 제1 지지다리(LP1)와의 인접 또는 이격 정도에 대한 제3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소정의 제어수단은 상기 제3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 돌출물(T3)과 상기 제3 유동체(717)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4 가압플레이트(722)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의 제4 대향부에는 제4 센싱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플레이트(722) 및 상기 제2 지지다리(LP2)와의 인접 또는 이격 정도에 대한 제4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소정의 제어수단은 상기 제4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4 돌출물(미도시)과 상기 제4 유동체(718)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도 8b는 도 6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 상호간은 지지다리의 형상 차이를 도시한 것이고 나머지 구성부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중복되는 내용보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유동체(714)는 상기 지지다리들 중 별도로 구비되는(제1 지지다리(LP1), 제2 지지다리(LP2) 주변이라면 어느 곳이든 상관 없음.) 한 쌍의 제3 지지다리가 외삽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HL)가 형성된 중공형 구조이며, 상기 제2 유동체(715)는 상기 지지다리들 중 한 쌍의 제4 지지다리가 외삽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HL)가 형성된 중공형 구조이며, 상기 제3 유동체(717)은 상기 제1 유동체(714)와 함께 한 쌍의 상기 제3 지지다리가 외삽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HL)가 형성된 중공형 구조이며, 상기 제4 유동체(718)는 상기 제2 유동체(715)와 함께 한 쌍의 상기 제4 지지다리가 외삽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HL)가 형성된 중공형 구조이다. 상기 제1 유동체(714) 내지 상기 제4 유동체(718)의 상기 각 중공부(HL) 내주면에는 가상의 중심축을 향하여 진퇴 유동 가능한 가압편(PC)이 구비되어, 각기 삽입되는 상기 제3 지지다리(LP3) 및 상기 제4 지지다리(LP4)를 가압 고정시키는 것이다. 물론, 당업자라면 상기 제1 지지다리(LP1) 및 상기 제2 지지다리(LP2)를 삽입되도록 하여 각각 고정시도록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다리들(예: 제1 지지다리(LP1) 내지 제4 지지다리(LP4), 별도의 추가 지지다리 등)에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에는 제1 유동체, 제2 유동체(715), 제3 유동체(717), 제4 유동체(718)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동체(714)는 제1 상단 유동체(714a)와 하단의 제1 하단 유동체(714b)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단 유동체(714a)와 상기 제1 하단 유동체(714b)는 상호간에 대향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단 유동체(714a)에는 제1-1 구동부재(714c)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하단 유동체(714b)에는 제1-2 구동부재(714d)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구동부재(714c)와 상기 제1-2 구동부재(714d)는 소정의 제1 피스톤부재(714)를 매개로 유압식, 공압식 기타 방식 등으로 진퇴동작을 구현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유동체(715)는 제2 상단 유동체(715a), 제2 하단 유동체(715b)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단 유동체(715a)와 상기 제2 하단 유동체(715b)는 상호간에 대향항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상단 유동체(715a)에는 제2-1 구동부재(715c)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하단 유동체(715b)에는 제2-2 구동부재(715d)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구동부재(715c)와 상기 제2-2 구동부재(715d)는 소정의 제제2 피스톤부재(715e)를매개로 유압식, 공압식 기타 방식 등으로 진퇴동작을 구현한다.
마가지로, 상기 제3 유동체(717)는 제3 상단 유동체(717a), 제3 하단 유동체(717b)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상단 유동체(717a)와 상기 제3 하단 유동체(717b)는 상호간에 대향항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 상단 유동체(717a)에는 제3-1 구동부재(717c)가 구비되며, 상기 제3 하단 유동체(717b)에는 제3-2 구동부재(717d)가 구비되며, 상기 제3-1 구동부재(717c)와 상기 제3-2 구동부재(717d)는 소정의 제3 피스톤부재(717e)를 매개로 유압식, 공압식 기타 방식 등으로 진퇴동작을 구현한다.
마찬지로, 상기 제4 유동체(718)는 제4 상단 유동체(718a), 제4 하단 유동체(718b)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상단 유동체(718a)와 상기 제4 하단 유동체(718b)는 상호간에 대향항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4 상단 유동체(718a)에는 제4-1 구동부재(718c)가 구비되며, 상기 제4 하단 유동체(718b)에는 제4-2 구동부재(718d)가 구비되며, 상기 제4-1 구동부재(718c)와 상기 제4-2 구동부재(718d)는 소정의 제4 피스톤부재(718e)를 매개로 유압식, 공압식 기타 방식 등으로 진퇴동작을 구현한다. 한편,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발명은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은 원단합지부(200)에서 원단(100)에 시트(b)와 에어캡(a)이 연속하여 적층접합되도록 하는 단계; 원단가압경화부(300)에서 상기 원단합지부(200)에서 이송되는 상기 원단(100)의 에어캡(a)을 연속하여 압착하는 단계; 및 접이부(400)에서 상기 압착되는 에어캡(a)이 노출토록 원단(100)을 접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단합지부(200)는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되되고,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적어도 한 쌍이 상호 연동되도록 결속시키기 위한 결합모듈(700)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모듈(700)은, 소정의 본체부(710)와, 상기 본체부(710)의 상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711)와, 상기 본체부(710)의 하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712)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예들이 개별적으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 간에 기술적 특징들이 선택적으로 함께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명세서를 참고할 때 자명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210 : 플레이트
211 : 히팅부
213 : 쿨링부
250: 합지로울러

Claims (10)

  1.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으로서,
    원단합지부(200)에서 원단(100)에 시트(b)와 에어캡(a)이 연속하여 적층접합되도록 하는 단계;
    원단가압경화부(300)에서 상기 원단합지부(200)에서 이송되는 상기 원단(100)의 에어캡(a)을 연속하여 압착하는 단계; 및
    접이부(400)에서 상기 압착되는 에어캡(a)이 노출토록 원단(100)을 접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합지부(200)는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되되고,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적어도 한 쌍이 상호 연동되도록 결속시키기 위한 결합모듈(700)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모듈(700)은,
    본체부(710)와, 상기 본체부(710)의 상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711)와, 상기 본체부(710)의 하방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다리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712)가 구비되는 것인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711)는,
    제1 파지부 몸체(713)와,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상호 대항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제1 지지다리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을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제1 지지다리를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유동체(714) 및
    상기 제1 파지부 몸체(713)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상호 대항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제2 지지다리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을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제2 지지다리를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유동체(715)가 구비되는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부(712)는,
    제2 파지부 몸체(716)와,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상호 대항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제1 지지다리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을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제1 지지다리를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제3 유동체(717)와,
    상기 제2 파지부 몸체(716)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상호 대항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들 중 제2 지지다리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을 향하여 유동되어 상기 제2 지지다리를 가압하기 위한 한 쌍의 제4 유동체(718)가 구비되는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유동체(714)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메모리폼 소재의 완충영역(PL)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유동체(715)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메모리폼 소재의 완충영역(PL)이 구비되는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체(714)는 상기 지지다리들 중 한 쌍의 제3 지지다리가 외삽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HL)가 형성된 중공형 구조이며,
    상기 제2 유동체(715)는 상기 지지다리들 중 한 쌍의 제4 지지다리가 외삽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HL)가 형성된 중공형 구조이며,
    상기 제3 유동체(717)은 상기 제1 유동체(714)와 함께 한 쌍의 상기 제3 지지다리가 외삽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HL)가 형성된 중공형 구조이며,
    상기 제4 유동체(718)는 상기 제2 유동체(715)와 함께 한 쌍의 상기 제4 지지다리가 외삽되도록 하기 위한 중공부(HL)가 형성된 중공형 구조인 것인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KR1020180156102A 2018-12-06 2018-12-06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KR10198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02A KR101981436B1 (ko) 2018-12-06 2018-12-06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02A KR101981436B1 (ko) 2018-12-06 2018-12-06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436B1 true KR101981436B1 (ko) 2019-05-22

Family

ID=6667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102A KR101981436B1 (ko) 2018-12-06 2018-12-06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503B1 (ko) * 2020-12-30 2022-06-13 장우희 열 압착 기법을 활용한 비닐 가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487A (ja) * 1998-06-05 1999-12-24 Toshiba Corp 圧縮機接続配管の防振装置
KR101082913B1 (ko) 2011-01-11 2011-11-11 (주) 삼우화학 포장봉투 제작장치
KR101133773B1 (ko) * 2011-07-11 2012-04-09 이보연 의자의 좌판 지지대
KR101466256B1 (ko) * 2014-06-09 2014-11-28 이영숙 포장봉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18418B1 (ko) * 2017-10-31 2018-11-14 장성균 케이블타이용 스트립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487A (ja) * 1998-06-05 1999-12-24 Toshiba Corp 圧縮機接続配管の防振装置
KR101082913B1 (ko) 2011-01-11 2011-11-11 (주) 삼우화학 포장봉투 제작장치
KR101133773B1 (ko) * 2011-07-11 2012-04-09 이보연 의자의 좌판 지지대
KR101466256B1 (ko) * 2014-06-09 2014-11-28 이영숙 포장봉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18418B1 (ko) * 2017-10-31 2018-11-14 장성균 케이블타이용 스트립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503B1 (ko) * 2020-12-30 2022-06-13 장우희 열 압착 기법을 활용한 비닐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10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bration sealing
US42538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ushioned shipping bags
US4145236A (en) Carton sealing method and apparatus
FI72922B (fi) Apparat foer foersegling av kartongskikt.
RU2726545C1 (ru) Опора для поперечного запечатывания трубы из упаков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варочные зажимные губки с опорой
US6167681B1 (en) Sealing apparatus
RU2008147042A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упаковок с приводными лентами и компонентов таких упаковок и упаковка
CN105600029A (zh) 制袋机
KR101466256B1 (ko) 포장봉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81436B1 (ko) 포장용 에어캡 제조방법
KR101981435B1 (ko) 포장용 에어캡 제조장치
CA1140035A (en) Ultrasonic packaging machine
KR890700077A (ko) 다층박판의 중복되는 단부의 접합용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된 관형라이너
CN113543963A (zh) 用于生产纸袋的管状袋机
WO2010136756A1 (en) A method
KR20200118865A (ko)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92902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a folio ream of paper
TWM513845U (zh) 夾鏈封合壓合機構
ATE295262T1 (de) Kaschiermaschine
JP6695675B2 (ja) センターシール装置
JP2007307880A (ja) プラスチックフイルムの製袋方法
CN211073967U (zh) 一种拼板机
CN201109213Y (zh) 手提袋制袋机手提环补强机构
EP12260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corrugated material
WO2021074764A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bonding labels to sack workpie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