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311B1 - 축산용 브러시 장치 - Google Patents

축산용 브러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311B1
KR101981311B1 KR1020180154263A KR20180154263A KR101981311B1 KR 101981311 B1 KR101981311 B1 KR 101981311B1 KR 1020180154263 A KR1020180154263 A KR 1020180154263A KR 20180154263 A KR20180154263 A KR 20180154263A KR 101981311 B1 KR101981311 B1 KR 10198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le
brush
fixed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완
Original Assignee
문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완 filed Critical 문제완
Priority to KR102018015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4Rubbing-pos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A46B13/005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made up of a series of longitudinal strips or seg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8Other accessories, e.g. scrapers, rubber buffers for preventing damage to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46B7/1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as a rotating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용 브러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축(젖소 또는 한우)이 사육되는 축사의 기둥에 저속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산용 브러시 장치를 수직으로 매달아 설치하여 가축이 장치의 브러시에 밀착시켜 부분적인 가려운 부위를 자동으로 긁어 해결하거나, 브러시에 밀착된 상태에서 브러시를 좌우 및 전후로 회동하면서 원하는 넓은 부위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려움증에 의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가축의 키 높이에 적절한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호환성 및 편의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축산용 브러시 장치{Brush device for animal husbandry}
본 발명은 축산용 브러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축(젖소 또는 한우)이 사육되는 축사의 기둥에 저속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부분적인 가려운 부위를 긁어 해결하거나, 좌우 및 전후로 이동하면서 원하는 넓은 부위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용 브러시는 축사의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소나 양 등의 가축이 가려운 곳을 사람이 긁개를 사용하여 긁어주지 않고 자동 또는 자발적으로 비비면서 수동으로 긁어줄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로서, 이는 가축의 피부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하여 보온력의 강화는 물론 가려움증과 불안, 불쾌감 등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피부 질환 예방과 혈액순환 향상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축사용 브러시의 선행기술에는 등록특허 10-1271361호(발명의 명칭 : 동물용 브러시 장치), 등록특허 10-1033183호(발명의 명칭 : 가축용 파워브러시) 및 등록실용 20-385228호(고안의 명칭 : 축사에 적합한 가축용 스크래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동물용 브러시 장치는, 장치를 고정 구성 요소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유닛을 구비하고, 이 장착 유닛에는 피벗 요소가 연결되어 있으며, 프레임은 피벗 요소를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도록 피벗 요소에 연결되어 있고, 중공 내부 공간을 포함하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브러시유닛은 중공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종동축을 포함하게 되고, 동물용 브러시 장치는 브러시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를 갖춘 구동 모터와, 구동 샤프트의 회전을 종동축으로 전달하도록 구동 모터의 구동 샤프트와 종동축 사이에 배치된 트랜스미션요소를 포함하고, 이 트랜스미션 요소와 구동 모터는 프레임의 중공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한 동물용 브러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구동샤프트를 통하여 트랜스미션으로 전달되어, 종동축의 회전으로 브러시 유닛이 수평으로 회전하여 동물의 가려운 부위를 긁어주게 되는 구조로서, 수평으로 회전하는 브러시 유닛으로는 동물의 부분적인 범위에서 사용할 수 밖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선행기술의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회전브러시와, 회전브러시의 양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게 상기 프레임을 고정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회전브러시와 가축의 접촉 시 상기 가축에게 약제를 투여하는 약제투여부를 포함하되, 회전브러시는, 중공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솔을 구비하며, 상기 약제투여부는, 상기 솔의 내측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약제수용부와,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약제투여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수직 기둥에 설치하여도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회전브러시를 기울이기 위해 별도의 지지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가축용 파워브러시는, 회전브러시가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수직 기둥에 설치하여도 가축의 피부와 보다 넓은 면적이 자연스럽게 접촉될 수 있어 긁기 및/또는 약제 투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제 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기어의 조합으로 감속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경사지게 또는 직선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브러시가 가축의 피부와 보다 넓은 면적이 자연스럽게 접촉될 수 있는 구조이나, 이는 수직으로 매달려 회전하는 회전브러시로는 구조상 가축 피부와의 접촉이 한정된 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의 축사에 적합한 가축용 스크래치는, 상기 축사의 기둥들 중 그 어느 하나의 적당한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봉형상의 승강안내부재와, 승강안내부재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축들이 접촉력에 의해 떠밀려 오르고 내리며, 둔각상에 설치되는 한쌍의 출력축을 가지는 액추에이터와, 한쌍의 출력축에 연이어 설치되는 브러시들; 및 액추에이터와 승강안내부재 사이의 적당한 위치에 가축들이 브러시들에 접촉.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액추에이터 구동을 위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서, 가축들이 브러시에 접촉과 동시에 브러시를 구동시켜 기계적이고 자동적으로 가축들을 긁어 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액추에이터의 출력축에 둔각으로 브러시를 각각 설치하여 둔각의 범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할수 밖에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젖소 또는 한우)이 사육되는 축사의 기둥에 수직으로 매달려 저속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가축의 부분적인 가려운 부위를 자동으로 긁어 해결하거나, 좌우 및 전후로 회동하면서 원하는 넓은 부위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가축용 브러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축의 키 높이에 알맞게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기둥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양단에 간격을 유지하고 마주보게 조립공이 형성된 수직찬넬과, 수직찬넬 전면에 높이조절수단으로써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수직보강편과, 수직보강편의 전면에 연통되게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고정대로 이루어진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의 단부에 좌우 및 전후로 회동 가능하고, 매달려 장착되고, 내부에 회전수단이 장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하방으로 회전수단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측면에 브러시가 장착되는 브러시회전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축(젖소 또는 한우)이 사육되는 축사의 기둥에 저속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산용 브러시 장치를 수직으로 매달아 설치하여 가축이 장치의 브러시에 밀착시켜 부분적인 가려운 부위를 자동으로 긁어 해결하거나, 브러시에 밀착된 상태에서 브러시를 좌우 및 전후로 회동하면서 원하는 넓은 부위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려움증에 의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가축의 키 높이에 적절한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호환성 및 편의성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회동부재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회전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높이조절수단의 동작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회동부재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회전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는 기둥(1)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거치부재(10)와; 거치부재(10)의 단부에 좌우 및 전후로 회동 가능하고 매달려 장착되고, 내부에 회전수단(80)이 장착되는 회동부재(40)와; 회동부재(40)의 하방으로 회전수단(80)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측면에 브러시(101)가 장착되는 브러시회전축(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재(10)는 기둥(1)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양단에 간격을 유지하고 마주보게 다수의 조립공(12a)이 형성된 수직찬넬(12)과; 수직찬넬(12) 전면에 높이조절수단(20)으로써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수직보강편(14)과; 수직보강편(14)의 전면에 연통되게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고정대(16)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은 조립공(12a)과 일치되게 수직찬넬(12)의 전면 양측에 형성된 다수의 내측통공(22)과; 내측통공(22)에 일치되게 수직보강편(14)에 형성된 다수의 외측통공(24)과; 외측통공(24) 및 내측통공(22)을 통하여 체결 고정되어 수직찬넬(12)에 수직보강편(14)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볼트(25) 및 너트(26)와; 수직찬넬(12)의 내측통공(22) 상부 영역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수직통공(28)과; 수직보강편(14) 내측의 외측통공(24)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수직통공(28)에 걸리게 되는 위치고정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고정구(30)는 수직보강편(14) 내측의 외측통공(24) 상부에 고정 설치된 수평부(32)와; 수평부(32)의 단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34)로 이루어지고, 수직통공(28)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
이때, 위치고정구(30)의 수평부(32)와 수직부(34)가 수직통공(28)의 하단에 걸리게 되면, 외측통공(24)과 내측통공(22)이 상호 일치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40)는 거치부재(10)의 수평고정대(16)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로서 체결 고정되는 상부고정편(41)(42)과; 상부고정편(41)(42) 하부에 측면간격(43a)이 유지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하향 경사면(43b)이 형성된 하부고정편(43)(44)과; 하부고정편(43)(44)의 측면간격(43a) 내부에 수평체결부재(60)로써 장착되고, 회전베어링(45)이 내설된 상부베어링케이스(46)로 이루어진 상부회전체(47)와; 상부베어링케이스(46) 외주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상부수직바(48)와, 상부수직바(48)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 연결블록(49)으로 이루어진 상부연결체(50)와; 상부연결체(50)의 연결블록(49) 하단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하부수직바(51)와, 하부수직부(5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베어링(52)이 설치된 하부베어링케이스(53)와, 하부베어링케이스(53) 양단에 수평체결부재(60)로써 장착되고, 전,후면에 상향경사면(54a)(54b)이 형성된 수직마감편(54)(55)으로 이루어진 하부회전체(56)와; 하부회전체(56)의 수직마감편(54)(55)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브라켓(57)과; 수직브라켓(57)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내부에 회전수단(80)이 장착되는 하우징(5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고정편(43)(44) 양측면의 하향 경사면(43b)은 하부고정편(43)(44)의 하단으로부터 80°가 유지되고, 수직마감편(54)(55)의 상향경사면(54a)(54b)은 수직마감편(54)(55)의 상단으로부터 전면이 75°, 후면이 70°가 유지되어, 브러시(101)의 좌우 및 전후로의 회동각도가 설정된다.
상기 수평체결부재(60)는 하부고정편(43)(44) 및 수직마감편(54)(55)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 조립통공(61)과; 상,하부베어링케이스(46)(53)의 중심 영역에 관통 형성되고, 스냅링(62)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회전베어링(45)(53)이 내설되는 중심공(63)과; 상,하부베어링케이스(46)(53)의 중심공(63)과 회전베어링(45)(53)의 내주면을 통하여 양측에서 결합되고, 조립통공(61)과 대응되게 끼움통공(64)이 형성된 한쌍의 부싱(65)(66)과; 조립통공(61)과 부싱(65)(66)의 끼움통공(64)을 통하여 체결되는 장-볼트(67) 및 너트(68)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수단(80)은 하우징(58)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81)에 결합되고, 내부에 회전베어링(82)이 축설된 하단베어링케이스(83)와; 하단베어링케이스(83) 상부에 연통되게 안착되고, 상부에 (84)가 장착되는 감속기베이스(85)와; 감속기(84)의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구동모터(86)와; 감속기(84)와 감속기베이스(85) 및 회전베어링(8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감속기(84)에 의해 감속 회전하는 감속회전축(87)과; 하우징(58)의 관통공(81) 하부 외측에 밀착되고, 하단베어링케이스(83) 하부 외주면에 삽입되는 내부커버(88)와; 감속기베이스(85), 하단베어링케이스(83), 하우징(58)의 바닥면, 내부커버(88)를 통하여 수직으로 체결 고정되어 감속기(84)를 하우징(58)의 바닥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체결볼트(89) 및 너트(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시회전축(100)은 하부 외측에는 브러시(101)가 장착되고, 상단에는 감속회전축(87)의 하단에 축설되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58)의 하부에는 가축이 브러시(101) 사용시 가축의 신체 일부가 끼게 되는 차단하기 위한 외부케이스(110)가 장착된다.
한편, 회동부재(40)를 구성하는 수직브라켓(57)과 하우징(58)의 외측에는 안전케이스(12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의 회전수단(80)을 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조립 및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의 기둥(1)의 전면에 수직찬넬(12)을 고정 설치하고, 수직찬넬(12) 전면에 높이조절수단(20)으로써 높이 조절 가능하게 수직보강편(14)을 조립하되, 수직보강편(14)의 전면에는 수평고정대(16)가 연통되게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고, 수평고정대(16)의 단부에는 회동부재(40)를 구성하는 하부고정편(43)(44), 상부회전체(47), 상부연결체(50), 하부회전체(56), 수직브라켓(57), 하우징(58)이 매달려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회동부재(40)의 하우징(58)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회전수단(80)을 조립하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58)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81)에 회전베어링(82)이 축설된 하단베어링케이스(83)를 결합하고, 하단베어링케이스(83) 상부에 감속기베이스(85)를 안착시킨 다음, 감속기베이스(85) 상부에 감속기(84)를 장착하고, 감속기(84)의 일면에 구동모터(86)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감속기베이스(85), 하단베어링케이스(83), 하우징(58)의 바닥면및 내부커버(88)를 통하여 수직으로 체결볼트(89) 및 너트(90)를 체결 고정하여 감속기(84)를 하우징(58)의 바닥면에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속기(84)와 감속기베이스(85) 및 회전베어링(8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감속회전축(87)의 하단에, 브러시(101)가 장착된 브러시회전축(100)을 회전 가능하게 축설하게 되면,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축산용 브러시 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와 같이 구동모터(86)를 동작시키면, 구동모터(86)의 회전력이 감속기(84)에 의해 감속되어 감속기(84)와 감속기베이스(85) 및 회전베어링(82)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감속회전축(87)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감속회전축(87)의 하단에 축설된 브러시회전축(100)과 브러시(101)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육 중인 가축이 머리 또는 몸통 등 가려운 부위를 저속으로 회전하는 브러시(101)에 밀착시키면, 저속으로 회전하는 브러시(101)에 의해 원하는 부위를 시원하게 긁어주게 되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7에서와 같이, 브러시(101)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축이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회동부재(40)의 상부회전체(47)를 구성하는 하부고정편(43)(44)의 측면간격(43a) 내부에 수평체결부재(60)로써 장착된 상부베어링케이스(46) 내부의 회전베어링(45)에 의해 회전하는 부싱(65)(66)의 끼움통공(64)이 장-볼트(67)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부베어링케이스(46) 외주면에 고정된 상부연결체(5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회전체(56), 수직브라켓(57), 하우징(58), 회전수단(80)이 동시에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부고정편(43)(44)의 하단으로부터 80°로 형성된 하부고정편(43)(44) 양측면의 하향 경사면(43b)에, 상부연결체(50)의 연결블록(49) 상부가 밀착되는 각도, 즉 80°로 브러시(101)가 좌우로 회동하여 넓은 범위로 브러시(10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3 및 도 4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브러시(101)에 밀착된 상태의 가축이 전후로 이동하게 되면, 회동부재(40)의 하부회전체(56)를 구성하는 수직마감편(54)(55)의 내부에 수평체결부재(60)로써 장착된 수직마감편(54)(55)의 조립통공(61)과, 상부연결체(50)의 연결블록(49)에 고정되는 상부수직바(51)에 고정 설치된 하부베어링케이스(53) 내부의 회전베어링(52)에 의해 회전하는 부싱(65)(66)의 끼움통공(64)이 장-볼트(67)를 중심으로 전후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수직마감편(54)(55) 하단에 고정된 수직브라켓(57), 하우징(58) 및 회전수단(80)이 동시에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수직마감편(54)(55)의 상단으로부터 75°로 형성된 수직마감편(54)(55) 전면의 상향경사면(54a)과 상단으로부터 70°로 형성된 후면의 상향경사면(54a)이, 상부연결체(50)의 연결블록(49) 하부에 밀착되는 각도, 즉 75°와 70°로 브러시(101)가 좌우로 회동하여 좌우로 넓은 범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3 및 도 4참조)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기둥(1)에 설치되는 수직찬넬(12)에 수직보강편(14)의 높이를 조절하여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전체적인 높이 조절상태를 설명하면, 수직찬넬(12)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통공(28) 중 하나의 수직통공(28)을 통하여, 거치부재(10)를 구성하는 수직보강편(14) 내측의 위치고정구(30)를 삽입시킨 다음, 이를 하방으로 내리면 위치고정구(30)의 수평부(32)와 수직부(34)가 수직통공(28)의 하단에 걸리는 동시에, 다수의 외측통공(24)과 내측통공(22)이 상호 일치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외측통공(24)과 내측통공(22)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체결볼트(25)를 결합하고, 수직찬넬(12) 양측의 조립공(12a)을 통하여 너트(26)를 체결하면, 축산용 브러시 장치의 전체적인 높이 조절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브러시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기둥 10 : 거치부재
12 : 수직찬넬 12a : 조립공
14 : 수직보강편 16 : 수평고정대
20 : 높이조절수단 22,24 : 내,외측통공
25 : 체결볼트 26,68 : 너트
28 : 수직통공 30 : 위치고정구
32 : 수평부 34 : 수직부
40 : 회동부재 41,42 : 상부고정편
43,44 : 하부고정편 43a : 측면간격
43b : 하향 경사면 45,52 : 회전베어링
46,53 : 상,하부베어링케이스 47,56 : 상,하부회전체
48 : 상부수직바 49 : 연결블록
50 : 상부연결체 51 : 하부수직바
54,55 : 수직마감편 54a,54b : 상향 경사면
57 : 수직브라켓 58 : 하우징
60 : 수평체결부재 61 : 조립통공
62 : 스냅링 63 : 중심공
64 : 끼움통공 65,66 : 부싱
67 : 장-볼트 80 : 회전수단
100 : 브러시회전축 101 : 브러시

Claims (6)

  1. 기둥(1)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양단에 간격을 유지하고 마주보게 조립공(12a)이 형성된 수직찬넬(12)과, 수직찬넬(12) 전면에 높이조절수단(20)으로써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수직보강편(14)과, 수직보강편(14)의 전면에 연통되게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고정대(16)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0);
    상기 거치부재(10)의 수평고정대(16)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로서 체결 고정되는 상부고정편(41)(42)과; 상부고정편(41)(42) 하부에 측면간격(43a)이 유지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하향 경사면(43b)이 형성된 하부고정편(43)(44)과; 하부고정편(43)(44)의 측면간격(43a) 내부에 수평체결부재(60)로써 장착되고, 회전베어링(45)이 내설된 상부베어링케이스(46)로 이루어진 상부회전체(47)와; 상부베어링케이스(46) 외주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상부수직바(48)와, 상부수직바(48)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 연결블록(49)으로 이루어진 상부연결체(50)와; 상부연결체(50)의 연결블록(49) 하단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하부수직바(51)와, 하부수직부(5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베어링(52)이 설치된 하부베어링케이스(53)와, 하부베어링케이스(53) 양단에 수평체결부재(60)로써 장착되고, 전후면에 상향경사면(54a)(54b)이 형성된 수직마감편(54)(55)으로 이루어진 하부회전체(56)와; 하부회전체(56)의 수직마감편(54)(55)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브라켓(57)과; 수직브라켓(57)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내부에 회전수단(80)이 장착되는 하우징(58)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40); 및
    상기 회동부재(40)의 하방으로 회전수단(80)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측면에 브러시(101)가 장착되는 브러시회전축(10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브러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20)은
    상기 조립공(12a)과 일치되게 수직찬넬(12) 전면 양측에 형성된 내측통공(22)과;
    상기 내측통공(22)에 일치되게 수직보강편(14)에 형성된 외측통공(24)과;
    상기 외측통공(24) 및 내측통공(22)을 통하여 체결 고정되어 수직찬넬(12)에 수직보강편(14)을 체결 고정하는 체결볼트(25) 및 너트(26)와;
    상기 수직찬넬(12)의 내측통공(22) 상부 영역에 관통 형성된 수직통공(28)과;
    상기 수직보강편(14) 내측의 외측통공(24)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수직통공(28)에 걸리게 되는 위치고정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브러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편(43)(44) 양측면의 하향 경사면(43b)은 하부고정편(43)(44)의 하단으로부터 80°가 유지되고, 수직마감편(54)(55)의 상향경사면(54a)(54b)은 수직마감편(54)(55)의 상단으로부터 전면이 75°가 유지되고, 후면이 70°가 유지되어, 브러시(101)의 좌우 및 전후로의 회동각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브러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체결부재(60)는
    상기 하부고정편(43)(44) 및 수직마감편(54)(55)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 조립통공(61)과;
    상기 상,하부베어링케이스(46)(53)의 중심 영역에 관통 형성되고, 스냅링(62)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회전베어링(45)(53)이 내설되는 중심공(63)과;
    상기 상,하부베어링케이스(46)(53)의 중심공(63)과 회전베어링(45)(53)의 내주면을 통하여 양측에서 결합되고, 조립통공(61)과 대응되게 끼움통공(64)이 형성된 한쌍의 부싱(65)(66)과;
    상기 조립통공(61)과 부싱(65)(66)의 끼움통공(64)을 통하여 체결되는 장-볼트(67) 및 너트(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브러시 장치.
KR1020180154263A 2018-12-04 2018-12-04 축산용 브러시 장치 KR10198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263A KR101981311B1 (ko) 2018-12-04 2018-12-04 축산용 브러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263A KR101981311B1 (ko) 2018-12-04 2018-12-04 축산용 브러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311B1 true KR101981311B1 (ko) 2019-05-22

Family

ID=6667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263A KR101981311B1 (ko) 2018-12-04 2018-12-04 축산용 브러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3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7215A (zh) * 2019-09-17 2019-12-10 汪倩 一种畜牧牛用蹭痒装置
CN112189583A (zh) * 2020-10-12 2021-01-08 湖南喜耕田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牛养殖用毛发清洁装置
CN112450111A (zh) * 2020-03-04 2021-03-09 丰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牛体按摩方法和牛体按摩装置
WO2021174678A1 (zh) * 2020-03-04 2021-09-10 丰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牛体按摩方法和牛体按摩装置
CN114128641A (zh) * 2022-01-11 2022-03-04 青岛问峰实业有限公司 悬臂式无动力摆动型动物体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056A (ko) * 2010-07-09 2014-02-05 드라발 홀딩 에이비 동물용 브러싱 어레인지먼트
JP2015163065A (ja) * 2014-01-28 2015-09-1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生物資源研究所 子牛の疑似グルーミング装置及び飼育管理方法
KR20170000134U (ko) * 2015-07-01 2017-01-11 드라발 홀딩 에이비 동물용 솔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056A (ko) * 2010-07-09 2014-02-05 드라발 홀딩 에이비 동물용 브러싱 어레인지먼트
JP2015163065A (ja) * 2014-01-28 2015-09-1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生物資源研究所 子牛の疑似グルーミング装置及び飼育管理方法
KR20170000134U (ko) * 2015-07-01 2017-01-11 드라발 홀딩 에이비 동물용 솔질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7215A (zh) * 2019-09-17 2019-12-10 汪倩 一种畜牧牛用蹭痒装置
CN110547215B (zh) * 2019-09-17 2021-08-27 北京国科诚泰农牧设备有限公司 一种畜牧牛用蹭痒装置
CN112450111A (zh) * 2020-03-04 2021-03-09 丰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牛体按摩方法和牛体按摩装置
WO2021174678A1 (zh) * 2020-03-04 2021-09-10 丰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牛体按摩方法和牛体按摩装置
CN112189583A (zh) * 2020-10-12 2021-01-08 湖南喜耕田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牛养殖用毛发清洁装置
CN114128641A (zh) * 2022-01-11 2022-03-04 青岛问峰实业有限公司 悬臂式无动力摆动型动物体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311B1 (ko) 축산용 브러시 장치
KR101662340B1 (ko) 처리 장치
RU2753879C2 (ru)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дои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доения дойных животных, перегородка дои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и до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SU1837753A3 (en) Animal feeding device
US4333627A (en) Arrangement for moving an object
CN211407181U (zh) 一种用于农业养殖业的喷雾装置
JP2001522610A (ja) 動物関連作業を行うための装置
US7685968B2 (en) Livestock feed scraper
WO2021174678A1 (zh) 牛体按摩方法和牛体按摩装置
CN210750044U (zh) 麻醉科专用肢体固定支架
CN209529798U (zh) 一种普外科创伤护理仪
EP3895527A1 (en) Cow body massage method and cow body massage device
CN112450111A (zh) 牛体按摩方法和牛体按摩装置
CN218043053U (zh) 一种杀猪生产线的驱赶装置
CN220070506U (zh) 红外线理疗灯支架罩
JP2560172Y2 (ja) 傾斜可変シンク型小動物診療台
CN218869000U (zh) 一种可防疫可调整长度的电动公猪车
KR20080000310U (ko) 이동 가능한 멀티형 카우브러쉬
SE533063C2 (sv) Behandlingsanordning
CN214908601U (zh) 一种兽医用家畜注射固定装置
CN215188709U (zh) 一种畜牧兽医用病畜隔离笼
CN211356039U (zh) 一种畜牧兽医用保定架
CN211433478U (zh) 一种兽医用动物腿部固定装置
CN214342776U (zh) 一种畜牧兽医打针用的牛腿活动固定板
CN216756835U (zh) 一种养牛场用喷雾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