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108B1 -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108B1
KR101981108B1 KR1020160045418A KR20160045418A KR101981108B1 KR 101981108 B1 KR101981108 B1 KR 101981108B1 KR 1020160045418 A KR1020160045418 A KR 1020160045418A KR 20160045418 A KR20160045418 A KR 20160045418A KR 101981108 B1 KR101981108 B1 KR 10198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enetrating portion
weight body
width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272A (ko
Inventor
백팔성
임순완
이춘수
Original Assignee
(주)동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3001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811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테크 filed Critical (주)동화테크
Priority to KR102016004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10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8Wheel-ballasting weights; Thei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18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adhesive bonding, e.g. glu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30Bala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접착식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휠밸런스 웨이트는 장방형 띠 구조를 갖는 웨이트본체(10)와, 상기 웨이트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 관통되고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장공 구조를 갖는 복수의 메인관통부(20)와,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 양단부와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연결부(30)와, 상기 각각의 연결부의 폭 면적을 좁히기 위해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마련된 추가관통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연결부의 폭 면적을 좁히기 위해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추가관통부 및 보조관통부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의 폭 면적이 최대한 좁아지게 되면서 이 연결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유연성 및 굴곡성이 향상되어 그 결과 메인관통부로의 미세조정웨이트의 장착 용이는 물론 각종 크기의 타이어 휠에 대한 접촉면 증대 및 이에 따른 접착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연결부의 단면 형상이 더블유자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관통부의 단축 방향으로의 폭 넓이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되면서 메인관통부로의 미세조정웨이트의 장착 용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의 유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Wheel balance weight for car and mak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트본체의 장공 구조를 갖는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연결부의 폭 면적 을 좁히기 위해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추가관통부 및 보조관통부를 부가하고, 상기 연결부를 상하 반복프레스 가압하여 메인관통부의 단축 방향으로의 폭 넓이를 확장시키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는 자동차의 휠에 대한 밸런스가 불규칙한 경우 그 밸런스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조향 안정성과 타이어 편마모를 예방하는 등 주행성을 향상 하기 위한 부품을 말한다.
보통, 자동차용 타이어는 소정의 형틀을 이용하여 가황 공정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타이어의 성형과정에서 타이어의 무게 배분이 불규칙하게 되면서 타이어 중량 불균형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타이어 중량의 불균형은 휠 회전시 차체 진동의 주요 원인이 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타이어 편마모를 발생 시키고 그 진동이 과도하거나 장기적으로 발생할 경우 차체에 지속적으로 피로가 가해지면서 각 부속품들에 대한 유격 발생, 수명 단축 및 조향 안정성의 결여를 유발하여 그 결과 안전사고 위험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타이어 무게 배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타이어의 편중이 상쇄되는 대칭점에 적정 중량을 가지는 휠밸런스 웨이트를 장착하여 타이어의 무게 배분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휠밸런스 웨이트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웨이트본체와 장공 구조를 갖는 복수의 메인관통부와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본체는 장방형 띠 구조를 갖는 유연한 철판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완성된 웨이트본체를 자동차의 휠에 장착시키기 위해서 차후에 상기 웨이트본체의 일측면에 도포되는 접착부 및 이 접착부를 덮어씌워 접착부를 보호하고 있다가 휠에 웨이트본체 접착시 분리 제거하기 위한 이형지 등을 추가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관통부는 상기 웨이트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 관통되고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장공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 양단부와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웨이트본체의 폭 방향에 해당됨)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웨이트본체가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는 휠 크기의 종류가 차종 크기에 따라 각기 상이 하기 때문에 각종의 휠 크기에 따라 상응하는 내면 곡률크기를 갖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자동차용 접착식 휠 바란스웨이트를 각각의 휠 크기에 맞추어 생산을 하여도 혼입시 휠의 크기에 맞추어 선별 적용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휠 바란스웨이트의 유연성이 더더욱 필요하여 연결부의 폭 면적을 좁히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연결부의 유연성 및 굴곡성이 저하되어 그 결과 타이어 휠에 대한 접촉면 감소 및 이에 따른 접착력 저하 등으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웨이트본체의 장공 구조를 갖는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연결부의 폭 면적을 좁히기 위해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추가관통부 및 보조관통부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의 폭 면적이 최대한 좁아지게 되면서 이 연결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유연성 및 굴곡성이 향상되어 그 결과 메인관통부로의 미세조정웨이트의 장착 용이는 물론 타이어 휠에 대한 접촉면 증대 및 이에 따른 접착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를 상하 반복 프레스 가공하여 그 단면 형상이 더블유자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관통부의 단축 방향으로의 폭 넓이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되면서 메인관통부로의 미세조정웨이트의 조립장착 용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의 유연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는 장방형 띠 구조를 갖는 웨이트본체; 상기 웨이트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 관통되고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장공 구조를 갖는 복수의 메인관통부; 및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 양단부와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휠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의 폭 면적을 좁히기 위해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추가관통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추가관통부는 상기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메인관통부의 이형(異形) 형상이 연장되어 상기 메인관통부와 유사한 이형(異形, 타원형, 타원각형 등) 형상을 유지하면서 연장 관통되는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추가관통부는 상기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장축 방향으로 상기 웨이트본체를 각각 절취하여 상기 메인관통부의 장공 구조가 장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추가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면적을 보다 더 좁히기 위한 보조관통부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통부는 상기 추가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상기 추가관통부의 단축방향 폭 보다 좁은 소폭 띠형 형상으로 관통된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단면 구조가 상하 반복 가압에 의해 형성된 더블유자(W)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휠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은 준비된 판재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상하 관통된 복수의 메인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해 추가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폭 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해서 이격 배치되는 추가관통부들의 사이를 절단하여 소정의 폭 넓이를 갖는 동시에 이 폭 양단부와 상기 추가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웨이트본체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 양단 연결부를 상하 반복 프레스 가압하여 상기 메인관통부의 단축 방향 넓이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유연성 향상을 위해 상기 추가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을 향해 각각 관통 연장되는 보조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 반복 프레스 가공을 통해 그 단면 구조가 더블유자(W)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은 웨이트본체의 장공 구조를 갖는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연결부의 폭 면적을 좁히기 위해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추가관통부 및 보조관통부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의 폭 면적이 최대한 좁아지게 되면서 이 연결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유연성 및 굴곡성이 향상되어 그 결과 메인관통부로의 미세조정웨이트의 장착 용이는 물론 각종 크기의 타이어 휠에 대한 접촉면 증대 및 이에 따른 접착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연결부를 상하 반복 프레스 가공하여 그 단면 형상이 더블유자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관통부의 단축 방향으로의 폭 넓이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되면서 메인관통부로의 미세조정웨이트의 조립장착 용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의 유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휠밸런스 웨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휠밸런스 웨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휠밸런스 웨이트의 메인관통부에 미세조정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휠밸런스 웨이트 제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휠밸런스 웨이트는 웨이트본체(10)와, 장공 구조를 갖는 복수의 메인관통부(20)와, 상기 웨이트본체(10)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연결부(30) 및 메인관통부(20)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마련된 추가관통부(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본체(10)는 장방형 띠 구조를 갖는 유연하고 얇은 철판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완성된 웨이트본체(10)를 자동차의 휠에 장착시키기 위해서 차후에 상기 웨이트본체(10)의 일측면에 도포되는 접착부(미도시) 및 이 접착부를 덮어씌워 접착부를 보호하고 있다가 휠에 웨이트본체(10) 접착시 분리 제거하기 위한 이형지(미도시) 등을 추가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관통부(20)는 상기 웨이트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 관통되고 상기 웨이트본체(10)의 폭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장공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웨이트본체(10)의 폭 방향 양단부와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20)의 장축 방향(웨이트본체의 폭 방향에 해당됨)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웨이트본체(10)가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추가관통부(40)는 상기 각각의 연결부(30)의 폭 면적을 좁히기 위해, 미세조정웨이트의 조립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20)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각각 관통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관통부(40)는 상기 메인관통부(20)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메인관통부(20)의 이형(異形) 형상이 연장되어 상기 메인관통부(20)에 비해 폭 방향 길이가 좀 긴 이형(異形) 형상을 유지하면서 연장 관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형 형상으로는 타원형, 타원각형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도면에는 상기 이형형상이 타원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관통부(40)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부(30)의 면적을 보다 더 좁히기 위한 보조관통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관통부(50)는 상기 추가관통부(40)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연결부(30)를 향해 상기 추가관통부(40)의 단축방향(웨이트본체의 길이 방향에 해당됨)의 폭 보다 좁은 소폭 띠형 형상으로 관통된 관통공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는 단면 구조가 상하 반복 가압(업셋 가공)에 의해 형성된 대략 영문자 더블유자(W)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업셋(up-set) 가공시 상기 연결부(30)는 금속의 성질(연성)상 상하로 반복 가압하게 되면 상기 상하 반복 가압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으로 늘어나는 현상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관통부(20)의 단축방향(웨이트본체의 길이 방향에 해당됨)의 폭 넓이도 커지게 됨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관통공(2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웨이트본체(10)의 전체 중량 크기를 미세 조정하기 위한 미세조정웨이트(6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관통공(20)을 형성하는 궁극적인 이유가 바로 상기 웨이트본체(10) 상에 상기 미세조정웨이트(60)를 장착하기 위한 것인바, 상기 미세조정웨이트(60)는 상기 메인관통공(20)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스크랩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에 의해 생성된 미세조정웨이트(60)는 상기 메인관통공(20)에 곧바로 장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하기와 같은 브로칭(Broaching) 및 업셋(Up-set)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미세조정웨이트(60)는 상기 메인관통공(20) 내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이형(異形)형상으로 되어 상기 메인관통공(20) 내에 헐거운 끼움식으로 투입되는 분리형 구조로서, 상기 미세조정웨이트(60)는 상기 모든 메인관통공(20)에 대응해서 투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를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미세조정웨이트(60)는 상기 메인관통공(20)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와 부착 하기 위하여 별도의 지그(미도시)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양측 부분의 상단부가 눌리면서 접착테이프가 상기 미세조정웨이트(60)의 편측을 덮어씌우는 형상이 되어 상기 미세조정웨이트(6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자동차용 접착식휠밸런스 웨이트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준비된 판재(5)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상하 관통된 복수의 메인관통부(20)를 형성한다.[피어싱(Piercing) 공정]
이때, 상기 미세조정웨이트(60)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메인관통부(20)의 장축 방향 양단부를 확장시켜 미세조정웨이트(60)의 조립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추가관통부(40)를 형성한다.[브로칭(Broaching) 공정]
그리고, 상기 연결부(30)의 유연성 향상을 위해 상기 추가관통부(40)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웨이트본체(10)의 폭 방향을 향해 각각 관통 연장되는 보조관통부(50)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폭 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해서 이격 배치되는 추가관통부(40)들의 사이를 절단하여 소정의 폭 넓이를 갖는 동시에 이 폭 양단부와 상기 추가관통부(40)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사이에 소정의 연결부(30)가 형성되도록 하여 웨이트본체(10)를 분리시킨다.[세퍼레이팅(Separating) 공정]
계속해서, 상기 분리된 웨이트본체(10)의 폭 방향 양단 연결부(30)를 상하 프레스 가압하여 상기 메인관통부(20)의 단축 방향 넓이를 확장시킨다.[업셋(Up-set) 공정]
한편, 상기 연결부(30)는 상하 반복 프레스 가공을 통해 그 단면 구조를 대략 영문자 더블유자(W) 형상이 되게 하여 이에 따른 연결부(30)의 유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사용되는 웨이트의 중량은 5그램 부터 100그램이상까지 사양을 갖고 있으므로, 연결부와 연결부를 끊어서 필요 그램중량으로 컷팅(cutting)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웨이트본체(10)의 일측면에 접착부 및 이형지를 부착하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미세조정웨이트(60)를 상기 메인관통부(20)에 장착하여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밸런스 웨이트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접착식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은 웨이트본체의 장공 구조를 갖는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연결부의 폭 간격을 좁히기 위해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추가관통부 및 보조관통부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의 폭 면적이 최대한 작아지게 되면서 이 연결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유연성 및 굴곡성이 향상되어 그 결과 메인관통부로의 미세조정웨이트의 장착 용이는 물론 각종 크기의 타이어 휠에 대한 접촉면 증대 및 이에 따른 접착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연결부를 상하 반복 프레스 가공하여 그 단면 형상이 더블유자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관통부의 단축 방향으로의 폭 넓이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되면서 메인관통부로의 미세조정웨이트의 장착 용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의 유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5 : 판재 10 : 웨이트본체
20 : 메인관통부 30 : 연결부
40 : 추가관통부 50 : 보조관통부
60 : 미세조정웨이트

Claims (5)

  1. 장방형 띠 구조를 갖는 웨이트본체;
    상기 웨이트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 관통되고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 장공 구조를 갖는 복수의 메인관통부; 및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 양단부와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추가관통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추가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면적을 보다 더 좁히기 위한 보조관통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관통부는 상기 추가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상기 추가관통부의 단축방향 폭 보다 좁은 소폭 띠형 형상으로 관통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관통부는 상기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장축 방향으로 상기 웨이트본체를 각각 절취하여 상기 메인관통부의 장공 구조가 장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단면 구조가 상하 반복 프레스가압에 의해 형성된 더블유자(W)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4. 준비된 판재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상하 관통된 복수의 메인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를 확장시키기 위해 추가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폭 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해서 이격 배치되는 추가관통부들의 사이를 절단하여 소정의 폭 넓이를 갖는 동시에 이 폭 양단부와 상기 추가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 사이에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웨이트본체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 양단 연결부를 상하 반복프레스 가압하여 상기 메인관통부의 단축 방향 넓이를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결부의 유연성 향상을 위해 상기 추가관통부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웨이트본체의 폭 방향을 향해 각각 관통 연장되는 보조관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 반복 프레스 가공을 통해 그 단면 구조가 더블유자(W)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접착식휠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
KR1020160045418A 2016-04-14 2016-04-14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81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18A KR101981108B1 (ko) 2016-04-14 2016-04-14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18A KR101981108B1 (ko) 2016-04-14 2016-04-14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272A KR20170118272A (ko) 2017-10-25
KR101981108B1 true KR101981108B1 (ko) 2019-05-24

Family

ID=6030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418A KR101981108B1 (ko) 2016-04-14 2016-04-14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645A (ko) 2017-12-07 2019-06-17 주식회사 선일다이파스 휠 밸런스 웨이트 제작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892B1 (ko) 2005-07-27 2006-09-27 (주)동화테크 자동차 타이어용 휠 밸런스 웨이트
WO2006122193A2 (en) 2005-05-11 2006-11-16 Conceptual Plastic Creations, Llc Balance weight
US20090243370A1 (en) 2008-03-31 2009-10-01 Hennessy Industries, Inc. Wheel weigh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555B1 (ko) * 2006-08-17 201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착식 밸런스 웨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2193A2 (en) 2005-05-11 2006-11-16 Conceptual Plastic Creations, Llc Balance weight
KR100628892B1 (ko) 2005-07-27 2006-09-27 (주)동화테크 자동차 타이어용 휠 밸런스 웨이트
US20090243370A1 (en) 2008-03-31 2009-10-01 Hennessy Industries, Inc. Wheel w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272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326B1 (ko)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628892B1 (ko) 자동차 타이어용 휠 밸런스 웨이트
EP3659820B1 (en) Airless tire construction having variable stiffness
CN106457940B (zh) 车辆用臂构件的制造方法及车辆用臂构件
JP6339544B2 (ja) ブッシュ付スタビライザバー
US5934652A (en) Air spring bumper and method of mounting
CN109318670B (zh) 拉杆以及用于制造拉杆的方法
EP3902689B1 (en) Flexible metallic web elements for non-pneumatic tire
KR101981108B1 (ko)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10991B1 (ko) 단조압출 복합공법을 이용한 로워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이 적용된 로워암
KR20140124990A (ko) 자동차용 접착식 휠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39677A1 (en) Automobile Impact Beam with Integrated Bracket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14404B1 (ko) 차량 타이어용 휠 밸런스 웨이트
JP4589775B2 (ja) サスペンション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4314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CN108790768B (zh) 安装有分体式悬置支架的汽车
CN109844362B (zh) 一体型的粘结式平衡配重及其制造方法
CN217259414U (zh) 一体式免充气轮胎
KR200207927Y1 (ko) 구조강도가 강화된 자전거용 알루미늄 합금 림
CN108274968B (zh) 制造容纳车辆轴承的车轮连杆的方法
KR200293202Y1 (ko) 중량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KR100264987B1 (ko) 자동차 타이어 트레드부 보강벨트
JPH10100608A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とリムの組立体
KR100489780B1 (ko) 중량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JP2012196701A (ja) 車両用ホイ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車両用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10 Patent application of lawful right holder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4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29

Effective date: 201903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