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079B1 - Battery separator - Google Patents

Battery sepa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079B1
KR101981079B1 KR1020187026852A KR20187026852A KR101981079B1 KR 101981079 B1 KR101981079 B1 KR 101981079B1 KR 1020187026852 A KR1020187026852 A KR 1020187026852A KR 20187026852 A KR20187026852 A KR 20187026852A KR 101981079 B1 KR101981079 B1 KR 10198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a particles
separator
vol
battery
microporous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9781A (en
Inventor
유카코 신베
아츠시 카지타
나오키 미즈노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7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0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01M2/1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01M2/1653
    • H01M2/168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3Polyamide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핀 제거성이 우수하고, 또한 세퍼레이터의 두께의 박막화가 진행해도 안전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알루미나 입자가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극대를 나타내는 2개의 모드 지름을 갖고,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법(FT-IR)에 의한 3475cm-1 부근에 흡수 피크를 갖고 상기 피크가 300℃ 이상에서 소실하는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분산성과 분산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슬러리를 얻고, 단락 내성, 내전압성과 핀 제거성이 우수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을 수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or for a battery which is excellent in the removability of the fin and is saf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reduced. The alumina particles have two mode diameters representing the maximum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and have absorption peaks near 3475 cm -1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disappear at the above peak at 300 ° C or higher By including the particles, it is possible to obtain a slurry having an excellent dispersibility and dispersion stability, and to obtain a separator for a battery which is excellent in short-circuit resistance, withstand voltage and pin removability.

Figure R1020187026852
Figure R1020187026852

Description

전지용 세퍼레이터Battery separator

본 발명은 전지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separator.

열가소성 수지제의 미다공막은 물질의 분리막, 선택 투과막 및 격리막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리튬 이온 2차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폴리머 전지에 사용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나, 전기 2중층 콘덴서용 세퍼레이터, 역침투 여과막, 한외 여과막, 정밀 여과막 등의 각종 필터, 투습 방수 의료, 의료용 재료 등등이다.BACKGROUND ART [0002] Microporous membrane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are widely used as separation membranes for materials, selective permeable membranes, and separator membranes. For example, various filters such a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a nickel-cadmium battery, a battery separator used for a polymer battery, a separator for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 reverse osmosis filtration membrane, an ultrafiltration membrane, Breathable waterproof medicine, medical materials and so on.

특히,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는 전해액 함침에 의해 이온 투과성을 갖고,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고, 전지 내부의 이상 승온 시에 120∼150℃ 정도의 온도에 있어서 전류를 차단해서 과도한 승온을 억제하는 구멍 폐쇄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구멍 폐쇄 후도 전지 내부의 승온이 계속되는 경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수축·파막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한정된 현상이 아니고,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미다공막의 경우에 있어서도, 수지의 융점 이상에서는 피할 수 없다.Particularly, as a separator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separator having ion permeability by impregnation with an electrolyte and excellent in electrical insulation, and having a capacity for blocking an excessive temperature rise by interrupting the current at a temperature of about 120 to 150 deg.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closing function is preferably used. However,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continues to increase after closing of the hole for any reason,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may generate a shrinkage / peeling film. This phenomenon is not a phenomenon confined to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even in the case of the microporous membrane using other thermoplastic resin, it can not be avoided at a temperature above the melting point of the resin.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전지 특성, 전지 생산성 및 전지 안전성에 깊이 관여하고 있고, 내열성, 전극 접착성, 투과성, 내용융 파막 특성 등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기재로 하고, 상기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다공질층을 형성한 전지용 세퍼레이터가 알려져 있다. 다공질층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라고 하는 세퍼레이터에 내열성을 부여하는 수지나 불소 수지라고 하는 세퍼레이터에 전극과의 접착성을 부여하는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서는 비교적 간이한 공정으로 다공질층을 적층할 수 있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내열성 향상의 관점에서, 다공질층에 무기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The separator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deeply involved in battery characteristics, battery productivity, and battery safety, and is required to have heat resistance, electrode adhesiveness, permeability, and content of rust-preventive film. Heretofore, for example, a separator for a battery has been known in which a porous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with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s a base. As the resin used for the porous layer, a resin that imparts heat resistance to a separator such as a polyamideimide resin, a polyimide resin, and a polyamide resin, or a resin that imparts adhesiveness to an electrode to a separator called a fluororesin is preferably used. In recent years, a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resin capable of laminating a porous layer with a relatively simple process has also been used.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it has been studied to include inorganic particles in the porous layer.

세퍼레이터는 정극과 부극 사이에 적층되고, 권회된 권회 전극체를 구비하는 전지에 적용된다. 권회 전극체를 제조할 때에 핀과 세퍼레이터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세퍼레이터에는 양호한 핀 제거성이 요구된다. 핀 제거성이 나쁜 경우, 핀과 접촉하고 있는 세퍼레이터가 핀 제거 시에 핀에 끌리게 되어, 전극 권회체의 내주부가 대나무 형상 또는 텔레스코프 형상으로 돌출하는 형붕괴가 발생하고, 전극 권회체의 정부극 사이의 절연 구조가 손실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세퍼레이터의 핀 제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세퍼레이터의 정마찰 계수 또는 동마찰 계수를 특정한 값 이하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The separator is laminat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is applied to a battery having a wound wound electrode body. Since the fins and the separator come in direct contact when producing the wound electrode body, good separability of the separator is required. When the pin removability is poor, the separator in contact with the pin is attracted to the fin at the time of removing the pin,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electrode winding protrudes in a bamboo shape or a telescope shap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insulation structure between the electrodes is lost. In order to improve the removability of the separator, it has been proposed to set the static friction coefficient or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eparator to a specific value or less.

특허문헌 1에는 정극, 부극,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3층 세퍼레이터와, 이들 전극과 세퍼레이터 사이에 배치된 폴리불화 비닐리덴과 알루미나 분말로 이루어지는 접착성 수지층을 구비한 전극체가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escribes an electrode bod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 three-layer separator made of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nd an adhesive resin layer made of polyvinylidene fluoride and alumina powd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separator have.

특허문헌 2의 시험예 2에서는 제트밀을 사용해서 건식 분쇄(풍압 0.2MPa, 5분간)하고, 기류식 분체 분급 장치를 사용해서 4㎛ 이하로 분급한 탄산 마그네슘 분말, 아크릴계 바인더 수용액 및 증점제의 혼합물을 고속 교반 분산기로 예비 혼련(15000rpm, 5분간)하고, 이어서, 본 혼련(20000rpm, 15분간)하여 다공질층 형성용 슬러리를 조제하고,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상에 이것을 도포해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고 있다.In Test Example 2 of Patent Document 2, dry milling (wind pressure: 0.2 MPa, 5 minutes) was carried out using a jet mill, and a mixture of magnesium carbonate powder, acrylic binder aqueous solution and thickener (15,000 rpm, 5 minutes) with a high-speed agitating disperser, followed by kneading (20,000 rpm, 15 minutes) to prepare a slurry for forming a porous layer and applying this slurry on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to obtain a battery separator.

특허문헌 3의 실시예 1에서는 습식 분쇄 슬러리 1(알루미나-물 현탁액을 다이노밀을 사용해서 습식 분쇄한 현탁액),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용매를 혼합하고, 콜린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한 고압 분산 조건(20MPa×1패스, 60MPa×3패스)으로 처리한 슬러리를 도포하고, 폴리올레핀 기재 다공질 필름 상에 다공질층을 적층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고 있다.In Example 1 of Patent Document 3, the wet grinding slurry 1 (suspension in which the alumina-water suspension was wet pulverized using Dyno mill),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the solvent were mixed and subjected to a high-pressure dispersion condition using a coline homogenizer (20 MPa x 1 pass, 60 MPa x 3 passes) was applied to obtain a battery separator in which a porous layer was laminated on a polyolefin based porous film.

특허문헌 4의 실시예 3에서는 자기 가교형 아크릴 수지의 에멀전과 물을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 분산액에 보에마이트(boehmite) 분말을 4회로 나누어서 첨가하고, 디스퍼에 의해 교반(2800rpm, 5시간)하여 얻어진 슬러리를 도포하고, 폴리에틸렌제 미다공막 상에 다공질층을 적층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고 있다.In Example 3 of Patent Document 4, the emulsion of the self-crosslinking acrylic resin and water were stirred at room temperature until uniformly dispersed, boehmite powder was added in four divided portions to this dispersion, Followed by stirring (2800 rpm, 5 hours) to obtain a separator for a battery in which a porous layer was laminated on a polyethylene-made microporous membrane.

특허문헌 5에는 핀과 세퍼레이터의 슬립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세퍼레이터 표면층의 정마찰 계수를 낮게 하는 것이 개시되고, 특허문헌 6에는 세퍼레이터 표면층의 동마찰 계수를 낮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5 discloses lowering the stat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urface layer of the separator in order to improve the slipperiness of the fin and the separator, and Patent Document 6 discloses lowering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of the surface layer of the separator.

한편, 다공질층에 무기 입자를 함유시키면, 다공질층의 표면에 조대 돌기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고, 세퍼레이터를 권회물 등으로 하면 조대 돌기에 접하는 세퍼레이터에 압흔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금후,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막두께의 박막화가 예측되고,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압흔의 영향이 현재화하여 세퍼레이터의 파막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inorganic p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porous layer, coarse protrusions may b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layer. If the separator is made of a winding material or the like, indentations may occur in the separator contacting the coarse protrusions. In the battery separator, it is predicted that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becomes thinner, and as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becomes thinner, the influence of the indentation becomes more present and may lead to the breakage of the separator.

일본특허재공표 1999-036981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999-036981 일본특허재공표 2011-15833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1-158335 일본특허공개 2014-04058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040580 일본특허공개 2008-12399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23996 일본특허공개 2011-12627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126275 일본특허공개 2014-01285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012857

본 발명은 단락 내성, 내전압성이 우수하고, 또한 핀 제거성이 우수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separator for a battery which is excellent in short-circuit resistance and withstanding voltage resistance and which is excellent in removing ability of a pin.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슬러리 중의 무기 입자의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을 제어하는 것이 전지용 세퍼레이터에 있어서는 지극히 중요한 것에 착목했다. 무기 입자를 갖는 다공질층을 기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경우, 무기 입자와 바인더와 용매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조정하고, 이것을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해서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때 사용하는 무기 입자는 그 사이즈가 작으면 슬러리 중에서 응집하기 쉽고, 사이즈가 크면 침강하기 쉽다고 하는 분산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충분히 입자를 분산할 수 있었다고 하여도, 슬러리 중의 무기 입자의 분산 안정성이 낮으면 슬러리를 조제하고나서 도포할 때까지의 사이에 입자가 재응집할 우려가 있다. 슬러리 중에 무기 입자의 응집물이 존재하면 다공질층에 응집물이 혼입하게 되고, 다공질층의 표면에 조대 돌기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세퍼레이터를 권회물로 하면 조대 돌기에 접하는 세퍼레이터에 압흔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As a result of int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noted that controlling the dispersibility and dispersion stability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slurry is extremely important for a battery separator. When a porous layer having inorganic particles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a method is generally used in which a slurry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a binder and a solvent is prepared, applied to a substrate, and dried to form a porous layer. If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used is small, aggregation tends to occur in the slurry. If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arge, the inorganic particles tend to precipitate. In addition, even if the particles can be sufficiently dispersed, if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slurry is low, there is a fear that the particles are re-aggregated until the slurry is prepared and then coated. When aggregates of inorganic particles are present in the slurry, aggregates are mixed into the porous layer, and coarse protrusion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layer. If the thus obtained separator is made of a cinder, indentations may be generated in the separator in contact with the coarse protrusion.

본 발명자들은 무기 입자와 그 분산 기술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극대를 나타내는 2개의 모드 지름을 갖고, 적어도 일부의 알루미나 입자가 특정한 표면 특성을 가짐으로써 분산성과 분산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슬러리를 얻을 수 있고, 단락 내성, 내전압성과 핀 제거성이 우수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As a result of intensive research on inorganic particles and their dispersion techniqu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two mode diameters showing the maximum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alumina particles have specific surface properties, It is possible to obtain a very excellent slurry and to obtain a separator for a battery excellent in short-circuit resistance, withstanding voltage and pin removing propert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In other words,

(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적어도 편면에 다공질층을 갖는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상기 다공질층은 알루미나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나 입자와 상기 바인더의 합계를 100체적%로 했을 때, 상기 알루미나 입자의 체적 비율이 50체적% 이상이고, 상기 알루미나 입자는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법(FT-IR)에 의한 3475cm-1 부근에 흡수 피크를 갖고 상기 피크가 300℃ 이상에서 소실하는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나 입자는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하기 식 1, 2를 만족하는 적어도 2개의 극대를 갖고,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1.0㎛ 이상의 입자 지름을 갖는 알루미나 입자 A와 1.0㎛ 미만의 입자 지름을 갖는 알루미나 입자 B로 구분했을 때에 각각의 총체적의 비가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1) A separator for a battery comprising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a porous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wherein the porous layer comprises alumina particles and a binder, and the total amount of the alumina particles and the binder is 100 vol% Wherein the volume ratio of the alumina particles is 50 vol% or more, the alumina particles have an absorption peak at about 3475 cm < -1 >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Wherein the alumina particles have at least two maximum peaks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and 2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and the alumina particles A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0 mu m or more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and 1.0 mu m By mass of alumina particles B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 RTI ID = 0.0 > Cell separator.

1.0(㎛)≤A(r1)≤3.0(㎛) … 식 11.0 (占 퐉)? A (r1)? 3.0 (占 퐉) ... Equation 1

0.3(㎛)≤B(r1)<1.0(㎛) … 식 20.3 (占 퐉)? B (r1) <1.0 (占 퐉) Equation 2

0.5≤A(vol)/B(vol)≤2.0 … 식 30.5? A (vol) / B (vol)? 2.0 ... Equation 3

여기서, A(r1), B(r1)는 알루미나 입자의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극대를 나타내는 모드 지름, A(vol)/B(vol)는 알루미나 입자 A와 알루미나 입자 B의 총 체적비이다.Here, A (r1) and B (r1) are mode diameters showing the maximum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of alumina particles, and A (vol) / B (vol) are total volume ratios of alumina particle A and alumina particle B, respectively.

(2)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법(FT-IR)에 의한 3475cm-1 부근에 흡수 피크를 갖고 상기 피크가 300℃ 이상에서 소실하는 입자가 상기 알루미나 입자 A인 것이 바람직하다.(2)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or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bsorption peak at about 3475 cm -1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the particle disappearing at a peak of 300 ° C or higher is the alumina particle A.

(3)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실온으로부터 1000℃까지 상승시켰을 때의 가열 발생 가스 질량 분석(TPD-MS)으로 측정하는 알루미나 입자의 발생 수분량이 2000질량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3)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produce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mount of generated alumina particles of not more than 2000 ppm by mass as measured by heating gas mass analysis (TPD-MS) when the temperature is raised from room temperature to 1000 캜.

(4)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0.7≤A(vol)/B(vol)≤1.5인 것이 바람직하다.(4) The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0.7? A (vol) / B (vol)? 1.5.

(5)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0.8≤A(vol)/B(vol)≤1.3인 것이 바람직하다.(5) The separator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0.8? A (vol) / B (vol)? 1.3.

(6)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상기 바인더가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 In the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inder contains a fluororesin.

(7)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상기 불소 수지가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In the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ororesin includes a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8)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가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8) In the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less than 10 mu m.

(9)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가 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9) In the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7 탆 or less.

본 발명에 의하면,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극대를 나타내는 2개의 모드 지름을 갖고 특정한 표면 특성을 갖는 알루미나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성과 분산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슬러리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슬러리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질층은 조대 돌기를 고도로 억제할 수 있고, 세퍼레이터의 박막화가 진행해도 안전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의 막두께가 10㎛ 미만인 경우에 보다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핀 제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지 조립 공정에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slurry having excellent dispersibility and dispersion stability by using alumina particles having two mode diameters showing the maximum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and having specific surface characteristics, The porous layer can highly suppress the coarse protrusion and can provide a battery separator which is safe even when the separator is made thinner.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exerts a greater effect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less than 10 mu m. Further, since the separator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removability of the fin,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in the cell assembling process, and further,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실시예 1의 알루미나 입자 1의 확산 반사법에 의한 적외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 2의 알루미나 입자 1의 확산 반사법에 의한 적외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알루미나의 TPD-MS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단락 내성 시험에 사용하는 샘플의 적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단락 내성 시험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infrared spectroscopic spectrum of alumina particle 1 of Example 1 by a diffuse reflection method.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frared spectroscopic spectrum of the alumina particle 1 of Comparative Example 2 by the diffuse reflection method.
3 is a view showing a TPD-MS spectrum of alumina.
Fig. 4 is a view showing a laminate of samples used in the short-circuit immunity test.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measuring a short-circuit immunity test.

[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1]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일물 또는 2종 이상의 다른 폴리올레핀 수지의 혼합물,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이어도 되고,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상기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전기절연성, 이온 투과성 등의 기본 특성에 더해, 전지 이상 승온 시에 전류를 차단하여 과도한 승온을 억제하는 구멍 폐쇄 효과를 구비한다.The polyolefin resin constituting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preferably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Further, it may be a single substanc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polyolefin resins, for example, a mixture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or a copolymer of other olefins.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formed by the resin has a hole closing effect that cuts off the current at the time of battery abnormality increase and suppresses an excessive increase in temperature, in addition to basic characteristics such as electrical insulation and ion permeability.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은 목적에 따른 제조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미다공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발포법, 상분리법, 용해 재결정법, 연신 개공법, 분말 소결법 등이 있고, 이들 중에서는 미세 구멍의 균일화, 비용의 점에서 상분리법이 바람직하다.The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can be fre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Example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microporous membrane include a foaming method, a phase separation method, a dissolution recrystallization method, a stretching method, a powder sintering method, and the like. Among these methods, a phase separation method is preferable in terms of uniformity of fine holes and cost.

상분리법에 의한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성형용 용제를 가열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용융 혼합물을 다이로부터 압출, 냉각함으로써 겔형상 성형물을 형성하고, 얻어진 겔형상 성형물에 대하여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을 실시하고, 상기 성형용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미다공막을 얻는 방법 등이 열거된다.As a production method by the phase separation method, for example, there can be used a production method in which, for example, polyethylene and a molding solvent are heated and melted and kneaded, the obtained molten mixture is extruded from a die and cooled to form a gel molding, And a method in which a microporous membrane is obtained by removing the molding solvent, and the like.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단층막이어도 되고, 폴리올레핀 수지의 종류, 분자량 또는 평균 세공 지름이 다른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층구성이어도 된다. 층구성이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다른 폴리올레핀의 적층체이어도 되고, 어느 하나의 층 또는 모든 층에 이들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블렌드하여 사용해도 좋다.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may be a single layer film or a layer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of different types of polyolefin resin, molecular weight or average pore diameter. The layer constitution may be a laminate of other polyolefins such as polypropylene / polyethylene / polypropylene, polyethylene / polypropylene / polyethylene or the like, and these polyolefin resins may be blended in any one layer or all layers.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층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a층 및 b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의 각각을 성형용 용제와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용융 혼합물을 각각의 압출기로부터 1개의 다이에 공급하여 각 성분을 구성하는 겔 시트를 일체화시켜 공압출하는 방법, 각 층을 구성하는 겔 시트를 포개어 열융착하는 방 중 어느 것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공압출법쪽이 높은 층간 접착 강도를 얻기 쉽고, 층간에 연통 구멍을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높은 투과성을 유지하기 쉽고, 생산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As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film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for example, each of polyethylene constituting the a layer and the b layer is melted and kneaded with a molding solvent, and the resulting molten mixture is supplied to one die from each extruder, A method of pneumatic delivery by integrating a gel sheet constituting the respective layers, and a method of superposing a gel sheet constituting each layer to heat fusion. The co-extrusion method is more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obtain a high interlaminar bond strength, easily forms a communication hole between the layers, easily maintains high permeability, and is excellent in productivity.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의 상한은 2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더욱 바람직하게는 7㎛이다. 하한은 3㎛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이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이면 실용적인 막강도와 구멍 폐쇄 기능을 보유시킬 수 있어 전지 케이스의 단위 용적당의 면적이 제약되지 않고, 금후, 진행될 것인 전지의 고용량화에 적합하다.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25 占 퐉, more preferably 9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7 占 퐉.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3 占 퐉, more preferably 5 占 퐉.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preferable range, it is possible to have a practical film strength and a hole closing function, so that the area per unit volume of the battery case is not restricted, and is suitable for high capacity of the battery to be advanced in the future.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투기 저항도의 상한은 500sec/100ml Air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sec/100ml Air이며, 하한은 50sec/100ml Air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sec/100ml Air,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sec/100ml Air이다.The upper limit of the air permeability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preferably 500 sec / 100 ml Air, more preferably 400 sec / 100 ml Air, and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50 sec / 100 ml Air, more preferably 70 sec / 100 ml Air, Is 100 sec / 100 ml Air.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공률(空孔率)에 대해서는 상한은 7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55%이다. 하한은 3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투기 저항도 및 공공률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이면,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한 경우, 전지의 충방전 특성, 특히 이온 투과성(충방전 작동 전압) 및 전지의 수명(전해액의 유지량과 밀접하게 관계된다)에 있어서, 전지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와 절연성이 얻어짐으로써 이것을 사용한 전지는 충방전 시에 단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아진다.With respect to the porosity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70%, more preferably 60%, still more preferably 55%.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30%, more preferably 35%, still more preferably 40%. When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used as a separator for a battery,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osity and the porosity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re in the above-described preferable range, and the charging / discharging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particularly the ion permeability (charge / discharge operation voltage) The function of the battery can be sufficiently exhibited. In addition, since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s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and insulation property, the use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reduces the possibility of a short circuit occurring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충방전 반응의 이상 시에 구멍을 폐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연화점)은 70∼1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30℃이다.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이면, 정상 사용 시에 구멍 폐쇄 기능이 발현 함으로써 전지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상 반응 시에 구멍 폐쇄 기능이 발현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t is necessary that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s a function of closing the hole at the time of abnormality of the charge-discharge reaction. Therefore, the melting point (softening point) of the constituent resin is preferably 70 to 150 占 폚, more preferably 80 to 140 占 폚, and still more preferably 100 to 130 占 폚. 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resin to be constituted is in the above-mentioned preferable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coming unusable due to the manifestation of the hole closing function at the time of normal use, and to secure safety by manifesting the hole closing function at the time of abnormal reaction.

[2] 다공질층[2] Porous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공질층은 알루미나 입자와 바인더와 용매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도포하고, 이것을 응고액에 침지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알루미나 입자는 핀 제거성, 내전압성 및 단락 내성의 향상을 담당하는 것이다.The porous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pplying a slurry containing alumina particles, a binder and a solvent to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mmersing the slurry in a coagulating solution, and drying the slurry. The alumina particles are responsible for improving the pin removability, withstand voltage and short-circuit resistanc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나 입자는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법(FT-IR)에 의한 3475cm-1 부근에 흡수 피크를 갖고 상기 피크가 300℃ 이상에서 소실하는 입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3475cm-1 부근이란 3475±5cm-1의 범위를 말한다.The alumina p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articles having an absorption peak at about 3475 cm -1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disappearing at a peak above 300 ° C. Furth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he vicinity of 3475cm -1 to a range of 3475 ± 5cm -1.

본 발명에서는 FT-IR에 의한 3475cm-1 부근에 흡수 피크를 갖는 알루미나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계면활성제 등의 분산제를 첨가하는 일 없이 균일한 알루미나 입자의 분산이 가능해진다. 계면활성제 등의 분산제를 사용하면 전극 활물질에 부착되어 전지 성능을 열화시킬 경우가 있다. 이러한 흡수 피크를 갖는 알루미나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성이 향상하는 기구는 확실하지 않지만, 발명자 등은 이하와 같이 생각하고 있다. 일반적인 알루미나 입자는 3400cm-1 부근의 브로드한 흡수 피크를 갖는다. 이 흡수 피크는 알루미나 입자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 및 수산기에 수소 결합하고 있는 흡착수의 존재를 시사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나 입자는 3475cm-1 부근의 비교적 샤프한 피크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이 흡수 피크는 알루미나 입자 표면의 특정한 사이트에 흡착한 결정수의 존재를 시사한다. 이것에 의해, 물 또는 물에 가용인 용매에 대하여 분산성이 향상하는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lumina particles having an absorption peak at about 3475 cm -1 by FT-IR, uniform alumina particles can be dispersed without adding a dispersant such as a surfactant. If a dispersant such as a surfactant is used, it may be adhered to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deteriorate battery performance. The mechanism by which the dispersibility is improved by using the alumina particles having such an absorption peak is not certain, bu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 the following. Typical alumina particles have a broad absorption band in the vicinity of 3400cm -1. This absorption peak suggests the presence of adsorbed water which is hydrogen bonded to the hydroxyl groups and hydroxyl groups present on the alumina particle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alumina p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ose having relatively sharp peaks near 3475 cm -1 . This absorption peak suggests the presence of crystal water adsorbed on a specific site on the alumina particle surface. It is thus presumed that the dispersibility is improved with respect to a solvent soluble in water or water.

비수 2차 전지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용 세퍼레이터에 사용하는 무기 입자의 함수율은 매우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왔다. 비수 전해질 2차 전지 내에 수분이 존재하면, 수분의 산화 분해나 수분과 전해질의 반응에 의한 가스 발생이 현저해지고, 전지의 팽창이나 전해질의 소비에 의해 사이클 특성이 악화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특정한 알루미나 입자의 3475cm-1 부근의 흡수 피크는 300℃ 이상에서 소실한다. 즉, 특정한 알루미나 입자 표면의 특정 사이트에 흡착한 결정수는 약 200℃까지 승온시켜도 탈리하는 경우는 없고, 비수 2차 전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추측된다.From the viewpoint of the durability of the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it has been desired that the water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used in the separator for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is very small. When moisture is present in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generation of gas by oxidative decomposition of water and reaction of moisture and electrolyte becomes significant, and cycle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due to expansion of the battery and consumption of electrolyte. The absorption peak near 3475 cm -1 of the specific alumina p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isappears at 300 ° C. or higher. That is, it is speculated that the number of crystals adsorbed to a specific site on the surface of a specific alumina particle does not deteriorate even by raising the temperature to about 200 ° C, and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나 입자에 있어서의 3475cm-1 부근의 흡수 피크를 갖는 특정한 알루미나 입자의 함유의 정도로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나 입자 전체에서 FT-IR에 의한 측정을 행했을 때에 상기와 같은 피크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가 바람직하다.As the degree of incorporation of the specific alumina particle having an absorption peak near 3475 cm -1 in the alumina partic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asurement is carried out by FT-IR on the whole alumina p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알루미나 입자는 가열 발생 가스 질량 분석(TPD-MS)에 의해 측정하는 실온부터 1000℃까지 가열했을 때에 발생하는 수분량이 2000질량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0질량ppm 이하이다. 알루미나 입자 전체로부터 발생하는 수분량이 2000질량ppm을 초과하면 수분의 영향에 의해 전지 특성의 악화가 염려된다. 알루미나 입자의 수분량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알루미나 입자를 전지 세퍼레이터에 사용한 경우, 전지 특성에 대한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The alumina particles preferably have a water content of 2000 ppm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900 ppm by mass or less, which is generated when heated from room temperature to 1000 占 폚, which is measured by heating gas mass analysis (TPD-MS). If the amount of water generated from the whole alumina particles exceeds 2000 ppm by mass, the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characteristics may be caused by the influence of moisture.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alumina particles is within the above preferable range,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characteristics can be suppressed when the alumina particles are used for the battery separator.

그런데, 핀 제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공질층 중에 비교적 입경이 큰 입자를 첨가하고, 세퍼레이터와 핀 사이의 마찰 계수를 작게 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그러나, 입경 1㎛ 이상의 비교적 큰 입자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큰 입자가 응집해서 보다 큰 조대 돌기를 다공질층의 표면에 형성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조대 돌기에 접하는 세퍼레이터에 압흔이나 파막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 표면에 있어서의 알루미나 입자의 간극이 커지고, 전지 내에 혼입된 이물에 의해 발생하는 단락으로의 내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입경 1㎛ 이하의 비교적 작은 입자를 합하여 사용해서 세퍼레이터 표면을 알루미나로 피복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pin removability, it is effective to add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to the porous layer and reduc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pin. However, in the case where only relatively larg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1 占 퐉 or more are used, large particles aggregate to form larger coarse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layer. As described above, . In addition, since the gap of the alumina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becomes large and the resistance to short-circuiting caused by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battery may decrease, relatively small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탆 or less are used in combination to form the separator surface It is necessary to coat with alumina.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나 입자는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극대를 갖고,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1.0㎛ 이상의 입자 지름을 갖는 알루미나 입자 A와, 1.0㎛ 미만의 입자 지름을 갖는 알루미나 입자 B로 구별할 수 있다.The alumina p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alumina particles A having at least two maximum peaks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and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0 mu m or more in the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and alumina particles B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1.0 mu m .

알루미나 입자 A는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극대를 나타내는 모드 지름(이하, 「1차 모드 지름」이라고도 한다) A(r1)의 상한값은 3㎛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이며, 하한값은 1㎛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이다. 1차 모드 지름 A(r1)이 1.0㎛ 미만에서는 충분한 핀 제거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3㎛를 초과하면 내전압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는 것 이외에, 다공질층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진다.The upper limit value of the mode diameter A (r1), which represents the maximum value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quot; primary mode diameter &quot;) A is preferably 3 m, more preferably 2 m, Is preferably 1 占 퐉, and more preferably 1.2 占 퐉. If the primary mode diameter A (r1) is less than 1.0 占 퐉, sufficient pin removability may not be obtained. If the primary mode diameter A (r1) is more than 3 占 퐉, the withstand voltage may be lowered.

알루미나 입자 B는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극대를 나타내는 모드 지름 B(r1)의 하한값은 0.3㎛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이다. 1차 모드 지름 B(r1)이 0.3㎛ 미만에서는 응집물에 의한 돌기가 생성되기 쉬워지고, 1.0㎛를 초과하면 단락 내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한값은 1㎛를 초과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0.8㎛이다.The lower limit value of the mode diameter B (r1) representing the maximum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of the alumina particles B is preferably 0.3 mu m, more preferably 0.4 mu m. If the primary mode diameter B (r1) is less than 0.3 탆, protrusions due to agglomerates are likely to be formed. If the primary mode diameter B (r1) is more than 1.0 탆, short-circuit resistance may decrease. The upper limit value does not exceed 1 탆, and is preferably 0.8 탆.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법(FT-IR)에 의한 3475cm-1 부근에 흡수 피크를 갖고, 상기 피크가 300℃ 이상에서 소실하는 입자는 알루미나 입자 A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입자 A 및 B의 양쪽이다.Particles having an absorption peak at about 3475 cm -1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disappearing at a peak above 300 ° C. are preferably alumina particles A, more preferably alumina particles A and B .

알루미나 입자 A 및 B의 모스 경도는 9가 바람직하다. 분산 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나 입자가 깍이기 어렵기 때문에 미분이 발생하기 어렵고, 상기 미분에 의한 조대 응집물이 생기기 어렵다. 모스 경도가 높은 알루미나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슬러리를 얻을 수 있고, 다공질층으로 했을 때에 조대 돌기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The Mohs hardness of the alumina particles A and B is preferably 9. The alumina particles are hardly cut in the dispersion step, so that fine particles are hardly generated and coarse aggregates due to the fine particles are hardly produced. By using the alumina particles having high Mohs hardn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 slurry excellent in dispersibility and dispersion stability, and the formation of coarse projections can be suppressed when the porous layer is used.

다공질층에 있어서의 알루미나 입자 A 및 B의 함유량의 합계는 알루미나 입자 A, 알루미나 입자 B 및 바인더를 100체적%로 하여 50체적% 이상, 90체적%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0체적% 이상, 80체적% 이하이다. 알루미나 입자 A와 B의 합계의 체적 비율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다공질층의 강도를 유지하고, 도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The total content of the alumina particles A and B in the porous layer is not less than 50% by volume and not more than 90% by volume, preferably not less than 60% by volume and not more than 80% by volume based on 100% by volume of the alumina particle A, the alumina particle B and the binder. Volume% or less. When the total volume ratio of the alumina particles A and B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preferable range, the strength of the porous layer can be maintained and deterioration of the coating property can be suppressed.

알루미나 입자 A와 B의 체적비(A(vol)/B(vol))는 0.5∼2.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8∼1.3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양호한 단락 내성과 핀 제거성이 얻어진다. 또한, 각각의 입자의 체적 V(cm3)는 입자의 진비중 d(g/cm3), 중량 w(g)로 할 때 이하의 식 4에 의해 구해진다.The volume ratio (A (vol) / B (vol)) of the alumina particles A and B is preferably 0.5 to 2.0, more preferably 0.7 to 1.5, and still more preferably 0.8 to 1.3. Within the above range, good short-circuit resistance and pin removability can be obtained. In addition, each particle volume V (cm 3) is obtained by the equation (4) below when the specific gravity d (g / cm 3), the weight w (g) of the true particles.

V=w/d … 식 4V = w / d ... Equation 4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나 입자는 예를 들면, 소성 조건, 분쇄 조건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특성을 가지면, 출시되어 있는 알루미나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The alumina particl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btained, for example, by appropriately adjusting calcination conditions and crushing conditions. If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a particles may be used.

(바인더)(bookbinder)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인더는 알루미나 입자끼리를 결합시키는 역할이나, 기재와 다공질층을 결합시키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이 열거된다. 내열성 및 전해액 침투성의 관점에서는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 밀착성의 관점에서는 불소 수지가 바람직하다.The bind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lays a role of binding alumina particles to each other,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resin that bonds the substrate and the porous layer. For example, fluorine resin, polyamideimide resin, acrylic resin,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 cellulose and the like are listed. From the viewpoints of heat resistance and electrolyte permeability, polyamideimide resin or aromatic polyamide resi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electrode adhesion, fluororesin is preferable.

이하, 불소 수지를 예로 상술한다. 불소 수지로서는 불화 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불화 비닐리덴-불화 올레핀 공중합체, 불화 비닐 단독 중합체 및 불화 비닐-불화 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수지에 말레산 등을 그래프트 중합해도 된다. 이들의 중합체는 전극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비수전해액과도 친화성도 높고, 비수전해액에 대한 화학적, 물리적인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고온 하에서의 사용에도 전해액과의 친화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fluororesi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s the fluororesin,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idene fluoride homopolymer, vinylidene fluoride-fluoroolefin copolymer, vinyl fluoride homopolymer and vinyl fluoride-fluoroolefin copolymer. Further, maleic acid or the like may be graft-polymerized to the fluororesin. These polymers are excellent in adhesion with electrodes, have high affinity with nonaqueous electrolytes, and have high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y against nonaqueous electrolytes. Therefore, they can sufficiently maintain affinity with electrolytes even at high temperatures.

(슬러리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slurry)

본 발명에 사용하는 슬러리는 이하의 제조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슬러리는 알루미나 입자 A에 상당하는 알루미나 입자 1과 알루미나 입자 B에 상당하는 알루미나 입자 2와 바인더와 용매를 혼합, 분산함으로써 얻어지지만, 보다 균일하게 분산된 슬러리를 얻기 위해서, (1) 바인더를 용매에 용해해서 바인더 용액을 얻는 공정과, (2) 바인더 용액에 알루미나 입자 1과 알루미나 입자 2를 첨가하고, 예비 분산한 후에, 더욱 분산하여 슬러리를 얻는 공정을 순차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해도 된다.The slurr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production method. The slurr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mixing and dispersing alumina particles 1 corresponding to alumina particles A, alumina particles 2 corresponding to alumina particles B, a binder and a solvent, but in order to obtain a more uniformly dispersed slurry, (2) adding alumina particles 1 and alumina particles 2 to the binder solution, preliminary dispersion, and further dispersing the dispersion to obtain a slurry; and You can.

(1) 바인더를 용매에 용해해서 바인더 용액을 얻는 공정(1) a step of dissolving the binder in a solvent to obtain a binder solution

용매로서는 바인더를 용해할 수 있고, 또한 물과 혼화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인더의 용해성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NMP), 아세톤 등이 열거된다.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issolve the binder and can be mixed with water, and can be free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olubility of the binder. For example, N-methyl-2-pyrrolidone (NMP), acetone and the like are listed.

(2) 바인더 용액에 알루미나 입자 1과 알루미나 입자 2를 첨가하고, 예비 분산한 후에, 더욱 분산하여 슬러리를 얻는 공정(2) adding alumina particles 1 and alumina particles 2 to the binder solution, preliminarily dispersing them, and further dispersing them to obtain a slurry

다음에,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바인더 용액을 교반하면서 알루미나 입자 1과 알루미나 입자 2를 순차 첨가하고, 예비 분산을 1회 행한다. 여기서, 바인더 용액으로의 알루미나 입자 1과 알루미나 입자 2는 서서히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서히 첨가한다란, 예를 들면, 바인더 용액 10L 당의 첨가 속도를 10∼50g/min으로 하는 것이고, 이렇게 함으로써 미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비 분산에서는 일정한 시간(예를 들면, 약 1시간), 메커니컬 스터러 등으로 교반하고, 응집한 알루미나 입자를 감소시킨다. 예비 분산을 행하지 않으면 슬러리에 포함되는 알루미나 입자의 응집체가 침강하고, 슬러리의 일부가 페이스트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충분한 분산이 곤란하게 되고, 다공질층에 조대 돌기를 생성시키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수송용 펌프가 막힐 우려도 있다.Next, the alumina particles 1 and the alumina particles 2 are sequentially added while stirring the binder solution obtained in the above step, and preliminary dispersion is performed once. Here, the alumina particles 1 and the alumina particles 2 as the binder solution are preferably added gradually. The slow addition means that, for example, the addition rate per 10 L of the binder solution is 10 to 50 g / min, whereby generation of fine powder can be suppressed. Further, in the preliminary dispersion, the particles are agitated with a mechanical stirrer or the lik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about 1 hour) to reduce aggregated alumina particles. If the preliminary dispersion is not carried out, aggregates of the alumina particles contained in the slurry precipitate, and a part of the slurry may be in a paste form. In this case, sufficient dispersion becomes difficult, and coarse projections are easily formed on the porous layer, and the transport pump may be clogged.

예비 분산한 후, 비즈밀 등을 사용해서 더욱 분산한다. 비즈밀 등과 같이 슬러리에 높은 전단력을 가하는 분산법에 의해 더욱 알루미나 입자를 분산시켜 응집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분산은 통상, 충분한 분산을 행하고자 하면 높은 전단력을 가하고, 횟수(이하, 패스 횟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4∼5회 행할 필요가 있지만, 슬러리의 일부가 과분산이 되어 재응집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알루미나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패스 횟수 1∼3회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전단력을 가해도 재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After preliminary dispersion, further dispersion is carried out using a bead mill or the like. The alumina particles can be further dispersed by a dispersion method in which a high shear force is applied to the slurry, such as a bead mill, thereby reducing aggregates. The dispersion is usually carried out four to five times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number of passes) by applying a high shearing force to achieve sufficient dispersion, but a part of the slurry may become hyperbranched and may re-aggregate .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above alumina particles, not only the number of passes can be shortened by one to three, but also the re-aggregation can be suppressed even if a high shear force is applied.

다공질층의 막두께는 편면당 0.5∼3㎛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이다. 편면당 막두께가 0.5㎛ 이상이면, 전극과의 접착성이나 내열성 등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편면당 막두께가 3㎛ 이하이면 권취 부피를 억제할 수 있어 금후, 진행될 것인 전지의 고용량화에 적합하다.The thickness of the porous layer is preferably 0.5 to 3 占 퐉, more preferably 1 to 2.5 占 퐉, and even more preferably 1 to 2 占 퐉 per one side. If the film thickness per one surface is 0.5 mu m or more, functions such as adhesion with electrodes and heat resistance can be ensured. When the film thickness per one surface is 3 m or less, the winding volume can be suppressed, which is suitable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battery to be advanced in the future.

다공질층의 공공률은 30∼9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70%이다. 다공질층의 공공률을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세퍼레이터의 전기 저항의 상승을 방지하고, 대전류를 흘릴 수 있고, 또한 막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porosity of the porous layer is preferably 30 to 90%, more preferably 40 to 70%. By setting the porosity of the porous layer within the above-described preferable range,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separator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a large current can be passed, and the film strength can be maintained.

[3] 전지용 세퍼레이터[3] separator for batteries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공정 (1)∼(3)을 순차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or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1) to (3) in order.

(1) 바인더를 용매에 용해해서 바인더 용액을 얻는 공정과,(1) a step of dissolving the binder in a solvent to obtain a binder solution,

(2) 바인더 용액에 알루미나 입자 1과 2를 첨가하고, 예비 분산한 후에 더욱 분산하여 슬러리를 얻는 공정과,(2) adding alumina particles 1 and 2 to the binder solution, preliminarily dispersing and then further dispersing to obtain a slurry,

(3) 슬러리를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도포해서 응고액에 침지하고, 세정, 건조하는 공정.(3) A step of applying a slurry to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mmersing it in a coagulating solution, washing and drying.

얻어진 슬러리를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도포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딥·코팅법, 리버스롤·코팅법, 그라비어·코팅법, 키스·코팅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마이어 바(Mayer Bar) 코팅법, 파이프 닥터법, 블레이드 코팅법 및 다이 코팅법 등이 열거되고, 이들의 방법을 단독 또는 조합시킬 수 있다.The slurry may be applied to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by a known method. Examples of the method include a dip coating method, a reverse roll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kiss coating method, a roll brush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n air knife coating method, a Mayer Bar coating method, a pipe doctor method, a blade coating method and a die coating method, and these method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이하, 불소 수지를 예로 상술한다. 슬러리를 도포한 미다공막을 응고액에 침지시켜서 불소 수지를 응고시킴으로써, 불소 수지와 알루미나 입자 사이에 공극을 형성한다. 응고액은 불소 수지에 대한 양용매를 1∼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양용매로서는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가 열거된다. 응고액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분리 조제를 첨가해도 좋다.Hereinafter, the fluororesi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microporous membrane coated with the slurry is immersed in the coagulating solution to coagulate the fluororesin, thereby forming a gap between the fluororesin and the alumina particles. The coagulating solution may b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to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5 to 15% by weight, of a good solvent for the fluororesin. Examples of the good solvent include N-methyl-2-pyrrolidone, N, N-dimethylformamide and N, N-dimethylacetamide. A phase-separation auxiliary may be added to the coagulating solution as necessary.

응고액 내의 침지 시간은 불소 수지의 응고의 관점에서 2초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제한되지 않지만 10초이면 충분하다. 그 후, 순수에 침지시킴으로써 용매를 제거하는 세정 공정과, 100℃ 이하의 열풍에 의한 건조 공정을 거쳐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을 수 있다.The immersion time in the coagulating liquid is preferably 2 seconds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olidification of the fluororesin, and the upper limit is not limited, but 10 seconds is sufficient. Thereafter, the separator for a battery can be obtained through a washing step of removing the solvent by dipping in pure water and a drying step of hot air at 100 ° C or less.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투기 저항도는 가장 중요한 특성의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 50∼600sec/100ml Air,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500sec/100ml Air,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400sec/100ml Air이다. 소망의 투기 저항도로 하기 위해서는 다공질층의 공공률을 조정하고, 바인더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의 침입 정도를 조정 함으로써 얻어진다.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투기 저항도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이면 실사용에 바람직한 범위의 충방전 특성, 수명 특성이 얻어진다.The specular resistance of the battery separato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and is preferably 50 to 600 sec / 100 ml Air, more preferably 100 to 500 sec / 100 ml Air, further preferably 100 to 400 sec / 100 ml Air. In order to achieve desired durability, the porosity of the porous layer is adjusted and the degree of penetration of the binder into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adjusted. When the specular resistance of the battery separator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preferable range, charge /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life characteristics in a range preferable for practical use can be obtained.

다공질층을 적층해서 얻어진 전지용 세퍼레이터 전체의 막두께의 상한은 3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이다. 하한은 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이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기계 강도와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용기 내에 충전할 수 있는 전극 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The upper limit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separator for a battery obtained by laminating the porous layers is preferably 30 占 퐉, more preferably 25 占 퐉.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5 占 퐉, more preferably 7 占 퐉. When it is at least the lower limit of the above-mentioned preferable range,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and insulating property can be ensured. By setting the upper limit value to the above-mentioned preferable range, it is possible to secure an electrode area which can be filled in the container, so that the capacit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하등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중의 측정값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EXAMPLES Hereinafter, examples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measurement value in the examples is a valu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1.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 분석(FT-IR)1.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알루미나 입자를 세라믹스제 용기에 넣고, 히터가 설치된 가열 확산 반사 장치 챔버 내에 설치하고, 쳄버 내에 불활성 가스(N2)를 유속 50ml/min으로 유통시킨 상태에서 실온으로부터 700℃까지 약 20℃/min으로 승온하고, 1분 간격으로 확산 반사법에 의해 적외 스펙트럼을 취득했다. 측정에는 시판의 FT-IR 장치(Varian사 제작 FTS-7000) 및 가열 확산 반사 장치(PIKE Technologies사 제품)를 사용해서 다음 조건으로 측정했다. 또한, 이 측정 방법의 대상이 되는 알루미나 입자는 원료로서 사용하는 알루미나 입자이어도 되고, 다공질층으로부터 용제를 사용해서 바인더를 제거한 알루미나 입자이어도 된다.The alumina particles were placed in a container made of ceramics and placed in a heating and diffusing reflector chamber provided with a heater. The inert gas (N 2 ) was circulated in the chamber at a flow rate of 50 ml / min. The temperature was raised, and an infrared spectrum was obtained by a diffuse reflection method at intervals of one minute.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FT-IR apparatus (FTS-7000 manufactured by Varian) and a heat diffuse reflection apparatus (manufactured by PIKE Technologies). The alumina particles to be subjected to this measurement method may be alumina particles used as a raw material or alumina particles obtained by removing a binder by using a solvent from a porous layer.

검출기: Deuterium Tri-Glycine Sulfate(DTGS)Detector: Deuterium Tri-Glycine Sulfate (DTGS)

레퍼런스: 금(Au)Reference: Gold (Au)

파장 범위: 400∼4000cm-1 Wavelength range: 400 to 4000 cm -1

분해능: 4cm-1 Resolution: 4 cm -1

적산 횟수: 16회Accumulated count: 16

얻어진 확산 반사 스펙트럼은 쿠벨카-뭉크(Kubelka-Munk) 변환을 행했다.The obtained diffuse reflection spectrum was subjected to Kubelka-Munk transformation.

2. 가열 가스 발생 질량 분석(TPD-MS)2. Mass production of heating gas (TPD-MS)

알루미나 입자 약 100mg을 용기에 넣고, 헬륨 가스를 50ml/min 유통시킨 상태에서, 20℃/min의 승온 속도로 실온으로부터 1000℃까지 승온하고, 발생한 수분량을 질량 분석계로 정량하고, 알루미나 입자 단위 중량당의 수분 발생량을 산출했다. 측정에는 가열 장치를 구비한 GS-MS 장치(Shimadzu Corporation 제작 QP2010Ultra)를 사용했다.About 100 mg of alumina particles were placed in a vessel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from room temperature to 1000 占 폚 at a heating rate of 20 占 폚 / min while flowing helium gas at a flow rate of 50 ml / min. The amount of generated water was quantified by a mass spectrometer, And the amount of water generated was calculated. A GS-MS apparatus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QP2010Ultra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3. 분산성3. Dispersibility

분산성은 알루미나 입자의 1차 모드 지름에 대한 슬러리 작성 직후의 슬러리 중의 알루미나 입자의 모드 지름과 알루미나 입자의 1차 모드 지름의 차의 비율(이하, 식(5)으로 구해지는 값)을 지표로 한다.The dispersibility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in the slurry immediately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slurry to the primary mod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and the difference in the primary mod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value obtained by the equation (5)) .

{(슬러리 중의 알루미나 입자의 모드 지름-알루미나 입자의 1차 모드 지름)÷알루미나 입자의 1차 모드 지름}×100 … 식 5{(Mode diameter of alumina particles in slurry - primary mode diameter of alumina particles) / primary mode diameter of alumina particles} x 100 ... Equation 5

알루미나 입자의 1차 모드 지름은 수 중에서 0.05wt%가 되도록 알루미나 입자를 가한 후, 초음파로 충분히 해쇄시킨 시료를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 지름 분포 측정 장치 LA-960V2(HORIBA, Ltd. 제품)를 사용하고, 하기의 조건으로 입도 분포를 측정하고, 얻어진 빈도 분포도로부터 극대값을 검출하고, 1.0㎛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극대값을 A(r1), 0.3 이상 1.0㎛ 미만의 범위 내에 있는 극대값을 B(r1)로 했다.Alumina particles were added so that the primary mod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was 0.05 wt% in water, and the sample was thoroughly ultrasonicated and then subjected to laser diffraction / scatte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 apparatus LA-960V2 (manufactured by HORIBA, Ltd.) A maximum value within a range of 1.0 μm or more and 3.0 or less is defined as A (r1), a maximum value within a range of 0.3 or more and 1.0 μm or less is defined as B ( r1).

슬러리 작성 직후의 슬러리 중의 알루미나 입자의 모드 지름은 알루미나 입자 농도가 0.05wt%가 되도록, 바인더를 용해 가능한 용매로 슬러리를 희석하고, 초음파로 해쇄시키지 않는 것 이외는 1차 모드 지름과 동일하게 측정해서 A(r2), B(r2)를 구했다.The mod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in the slurry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of the slurry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imary mode diameter except that the slurry was diluted with a solvent in which the binder was soluble so that the alumina particle concentration was 0.05 wt% A (r2) and B (r2) were obtained.

데이터 취입 횟수 5000회Number of data injections 5000

초음파 분산의 강도 7Intensity of ultrasonic dispersion 7

초음파 분산 시간 1분간Ultrasonic Dispersion Time 1 min

순환 속도 5Circulation Speed 5

교반 속도 3Stirring speed 3

식 5의 값이 30% 이내이면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어 알루미나 입자의 응집이 적고, 얻어지는 세퍼레이터의 조대 돌기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고, 분산성이 양호하다.When the value of the formula (5) is 30% or less, it is possible to uniformly disperse the alumina particles so that aggregation of the alumina particles is less and the generation of coarse projections of the obtained separator can be suppressed and the dispersibility is good.

4. 분산 안정성4. Dispersion stability

분산 안정성은 슬러리 제작 직후의 알루미나 입자의 모드 지름 A(r2) 및 B (r2)로부터 1주간 후의 슬러리 중의 알루미나 입자의 모드 지름의 변화율(이하, 식 6으로 구해지는 값)을 지표로 한다. 1주간 후의 슬러리 중의 알루미나 입자의 모드 지름은 제작으로부터 1주간 후의 슬러리를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절반의 용량이 되도록 투입하고, 손으로 상하로 10회 진동시키고 1시간 정치 후의 시료를 사용하여 상기 3. 분산성과 같이 모드 지름을 구했다.The dispersion stability is determined by the rate of change of the mod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in the slurry after one week from the mode diameters A (r2) and B (r2) of the alumina particles immediately after the slurry prepa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value obtained by the equation (6)). The mod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in the slurry after one week was measured by putting the slurry after one week from the production in a container made of polypropylene so as to have a half capacity and vibrating the sample up and down ten times by hand, . The mode diameter was obtained as a function of dispersion.

{(슬러리 제작으로부터 1주간 후의 슬러리 중의 알루미나 입자의 모드 지름-슬러리 제작 직후의 슬러리 중의 알루미나 입자의 모드 지름)÷슬러리 제작 직후의 슬러리 중의 알루미나 입자의 모드 지름}×100 … 식 6{Mode diameter of alumina particles in slurry after 1 week from slurry production - mode diameter of alumina particles in slurry immediately after slurry preparation) / mode diameter of alumina particles in slurry immediately after slurry production} x 100 ... Equation 6

알루미나 입자 1 및 2의 분산 안정성은 식 6의 값이 10% 이하이면 슬러리 중의 알루미나 입자가 안정하게 존재하고, 얻어지는 세퍼레이터의 조대 돌기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하다.When the value of the formula 6 is 10% or less, the alumina particles 1 and 2 can be stably present in the slurry, and the generation of coarse projections of the resulting separator can be suppressed.

5. 핀 제거성5. Pin Removability

직경 4.0mm의 원주 형상 핀을 사용한 방법에 의해 핀 제거성을 평가했다. 우선, 폭 40mm의 세퍼레이터 A∼D를, 200g의 인장 하중(세퍼레이터 폭당 5g/mm)을 가하여 직경 4.0mm의 원주 형상 핀의 주위에 5회 권취했다. 이 권회된 세퍼레이터 A∼D로부터 원주상 핀을 제거하고, 핀 제거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The pin removability was evaluated by a method using a cylindrical pin having a diameter of 4.0 mm. First, Separators A to D having a width of 40 mm were wound five times around a circumferential pin having a diameter of 4.0 mm by applying a tensile load of 200 g (5 g / mm 2 per separator width). The circumferential fins were removed from the wound separators A to D, and the pin removability was evaluated as follows.

양호: 대나무 형상의 돌출량이 1mm 미만Good: The amount of bamboo protrusion is less than 1mm

불량: 대나무 형상의 돌출량이 1mm 이상Bad: The amount of bamboo protrusion is more than 1mm

6. 내전압 시험법6. Withstand voltage test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권회체로부터 권취 코어로부터 약 10m 부분을 권출하여 시료에 제공했다. 내전압 시험기 TOS5051A(KIKUSUI ELECTRONICS CORPORATION 제품)를 사용하고, 다음 순서로 세퍼레이터의 내전압 시험을 행했다. 알루미늄 박을 깐 시료대에 세퍼레이터(50mm×50mm 사이즈)를 두고, 이어서 세퍼레이터 상에 φ15mm의 알루미늄 박을, 또한 φ15mm의 알루미늄 박 상에 φ13mm의 전도성 고무를 포개어 두었다. 다음에, 전도성 고무 상에 금속제 추(φ50mm×높이 32mm, 중량 약 500g)를 두고, 케이블로 금속제 추와 시료대 상의 알루미늄 박을 각각 내전압 시험기에 매달았다. 내전압 시험기로 시료대와 금속제 추 사이의 전압을 2kV까지 승압(승압 속도: 0.1kV/sec)하고, 막두께 20㎛로 환산해서 2kV 이하로 전기적 단락이 발생한 경우에 내전압 불량,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전압 양호로 했다.About 10 m from the wound core of the battery separator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taken out and supplied to the sample. A withstand voltage tester TOS5051A (manufactured by KIKUSUI ELECTRONICS CORPORATION) was used, and the withstand voltage test of the separator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A separator (50 mm x 50 mm in size) was placed on the aluminum foil sample bed, and then an aluminum foil of? 15 mm and an aluminum foil of? 15 mm were placed on the separator. Next, a metal weight (φ50 mm × height 32 mm, weight about 500 g) was placed on the conductive rubber, and the metal weight and the aluminum foil on the sample table were each hung with an electric strength tester. When a voltage between the sample stand and the metal weight is increased to 2 kV (boosting rate: 0.1 kV / sec) by an electric strength tester and an electrical short circuit occurs at a rate of 2 kV or less in terms of a film thickness of 20 탆, The withstand voltage is set to be good.

7. 단락 내성 시험7. Short immunity test

단락 내성의 평가는 탁상형 정밀 만능 시험기 오토그래프 AGS-X(Shimadzu Corporation 제품)을 사용해서 실시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제 절연체(1)(두께 0.2mm), 리튬 이온 전지용 부극(2)(총두께: 약 140㎛, 기재: 동박(두께 약 9㎛), 활물질: 인조 흑연(입경 약 30㎛), 양면 도포), 세퍼레이터(3), 알루미늄 박(4)(두께 약 0.1mm)을 적층한 샘플 적층체를 만능 시험기의 압축 지그(하측)(6)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했다. 다음에, 상기 샘플 적층체의 알루미늄 박, 부극을 콘덴서와 클래드 저항기로 이루어지는 회로에 케이블로 매달았다. 콘덴서는 약 1.5V로 충전하고, 샘플 적층체 중의 세퍼레이터, 알루미늄 박 사이에 직경 약 500㎛의 금속 공(5)(재질: 크롬(SUJ-2))을 두었다. 만능 시험기에 압축 지그를 부착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압축 지그 사이에 금속 공(5)을 포함하는 샘플 적층체를 두고, 속도 0.3mm/min.으로 압축하고, 하중이 100N에 달한 시점에서 시험 종료로 했다. 이 때, 압축 하중 변화에 있어서 변곡점이 나타난 부분을 세퍼레이터의 파막점으로 하고, 또한 금속 공을 통해서 상기 회로가 형성되어 전류가 검지된 순간을 쇼트 발생점으로 했다. 압축에 의해 세퍼레이터가 파막하여 압축 응력에 변곡점을 발생했을 때의 압축 변위 A(t) 및 회로에 전류가 흐른 순간의 압축 변위 B(t)를 측정하고, 다음 식 7로 구하는 수치가 1.1 이상인 경우, 전지 내에 혼입한 이물에 의해 세퍼레이터가 파막해도, 이물 표면에 도포층 조성물이 부착함으로써 절연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단락 내성은 양호로 했다. 한편, 식 7로 구해지는 수치가 1.0보다 크고 1.1 미만인 경우, 세퍼레이터의 파막과 단락은 동시에는 일어나지 않지만, 전지 부재의 권회에 가해지는 장력이나 충방전 시의 전극의 팽창에 따르는 전지 내압 상승에 있어서도 단락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떤 일정 이상의 내성이 필요가 되기 때문에 단락 내성은 약간 불량으로 했다. 식 7로 구해지는 수치가 1.0인 경우는 세퍼레이터의 파막과 동시에 단락이 발생하고 있고, 도포층에 의한 단락 내성의 향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단락 내성은 불량으로 했다.Evaluation of short-circuit resistance was carried out using a bench-top precisi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utograph AGS-X (Shimadzu Corporation). (Total thickness: about 140 占 퐉, base material: copper foil (thickness: about 9 占 퐉), active material: polytetrafluoro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Lower side) 6 of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double-sided ta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double-sided tape &quot;) of a sample stacked body obtained by laminating an artificial graphite . Next, the aluminum foil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sample laminate were connected to a circuit comprising a capacitor and a clad resistor by a cable. The capacitor was charged to about 1.5 V, and a metal hole 5 (material: chrome (SUJ-2)) having a diameter of about 500 mu m was placed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aluminum foil in the sample stack. A compression jig was attached to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As shown in Fig. 5, a sample laminate including the metal balls 5 was sandwiched between the two compression jigs at a speed of 0.3 mm / min. When the load reached 100 N To end the test. At this time, the point where the inflection point appeared in the compression load change was regarded as the wave film point of the separator, and the moment when the circuit was formed through the metal ball and the current was detected was regarded as a short occurrence point. The compressive displacement A (t) at the time when the separator is broken due to compression and the inflection point at the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and the compressive displacement B (t) at the moment w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ircuit are measured. When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7 is 1.1 or more , Meaning that even if the separator is broken due to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battery, the coating layer composition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thereby maintaining the insul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by the equation (7) is larger than 1.0 and less than 1.1, the breakage of the separator and the short circuit do not occur at the same time, but even in the case of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due to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nding of the battery member, In order not to cause a short circuit, the resistance to short-circuit is somewhat poor because a certain level of tolerance is required. When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by the equation (7) is 1.0, short-circuiting occurs simultaneously with the breakage of the separator, and improvement in short-circuit resistance by the application layer is not seen.

B(t)÷A(t) … 식 7B (t)? A (t) ... Equation 7

실시예 1∼11Examples 1 to 11

(슬러리의 조정)(Adjustment of slurry)

불소 수지로서 불화 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VdF-HFP 공중합체(중량 평균 분자량 100만))를 N-메틸-2-피롤리돈에 대하여 약 5wt%의 중량 비율로 배합하고, VdF-HFP 공중합체를 완전히 용해시킨 불소 수지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알루미나 입자 1과 알루미나 입자 2의 합계 체적과 VdF-HFP 공중합체의 체적이 50:50이 되도록, 메커니컬 스터러로 350rpm의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불소 수지 용액에 알루미나 입자 1과 2를 첨가했다. 각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나 입자의 특징 및 체적비는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알루미나 입자 1 및 2의 1차 모드 지름은 각 알루미나 입자를 수 중에서 0.05wt%가 되도록 조정한 각 시료를 사용해서 상기의 3. 분산성과 동일한 측정 조건으로 입도 분포를 측정하고, 빈도 분포도로부터 얻어지는 극대값으로 했다.A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VdF-HFP copolymer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000,000)) as a fluororesin was blended at a weight ratio of about 5 wt% based on N-methyl-2-pyrrolidone, VdF -HFP copolymer was completely dissolved to obtain a fluororesin solution. Then, alumina particles 1 and 2 were added to the fluororesin solution under stirring at 350 rpm with a mechanical stirrer so that the total volume of the alumina particles 1 and the alumina particles 2 and the volume of the VdF-HFP copolymer became 50:50. The characteristics and the volume ratio of the alumina particles us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1. The primary mode diameters of the alumina particles 1 and 2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under the same measurement conditions as in the above 3. dispersion using each of the alumina particles adjusted to be 0.05 wt% The maximum value was obtained.

알루미나 입자의 첨가 속도는 불소 수지 용액 10L당 30g/min로 했다. 알루미나 입자를 첨가한 후, 계속해서 메커니컬 스터러로 1시간 교반하고, 예비 분산을 행했다. 다음에, 다이노밀(SHINMARU ENTERPRISES CORPORATION 제작, 다이노밀멀티라보(1.46L 용기, 충전율 80%, φ0.5mm 알루미나 비즈))을 사용하고, 유량 11kg/hr, 주속 10m/s의 조건에서 표 1에 나타낸 패스 횟수로 분산하여 슬러리를 조합했다. 이 때 슬러리의 온도는 20∼45℃의 범위가 되도록 온도 조절했다. 또한, 슬러리는 도포 시까지 극력 외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밀폐 보관했다.The addition rate of the alumina particles was 30 g / min per 10 L of the fluororesin solution. Alumina particles were added, and then the mixture was stirred with a mechanical stirrer for 1 hour to carry out preliminary dispersion. Next, using a dyno mill (manufactured by SHINMARU ENTERPRISES CORPORATION, Dyno Mill Multilabo (1.46L vessel, filling rate 80%, 0.5 mm alumina beads)) was us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under the conditions of a flow rate of 11 kg / hr and a peripheral speed of 10 m / And the slurry was dispersed by the number of pass shown.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slurry was adjusted to be in the range of 20 to 45 캜. In addition, the slurry was kept in a sealed state so as not to contact with the outside atmosphere until the application.

(다공질층의 적층)(Lamination of the porous layer)

딥코팅법에 의해 폴리에틸렌 미다공막(두께 7㎛, 투기 저항도 100sec/100ml Air)의 양면에 슬러리를 도포하고, 물(응고액)에 침지시켜, 순수로 세정한 후, 70℃의 열풍 건조 로를 통과시켜 건조해서 최종 두께 11㎛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었다.The slurry was applied to both surfaces of a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thickness 7 占 퐉, air resistance 100 sec / 100 ml Air) by dip coating method, immersed in water (coagulation liquid), washed with pure water, And dried to obtain a battery separator having a final thickness of 11 mu m.

실시예 12Example 12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두께 12㎛, 투기 저항도 120sec/100ml Air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었다.A separator for a battery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had a thickness of 12 탆 and a durability of 120 sec / 100 ml Air.

실시예 13Example 13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두께 9㎛, 투기 저항도 180sec/100ml Air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었다.A separator for a battery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had a thickness of 9 탆 and a durability of 180 sec / 100 ml Air.

실시예 14Example 14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두께 7㎛, 투기 저항도 180sec/100ml Air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었다.A separator for a battery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had a thickness of 7 탆 and a durability of 180 sec / 100 ml Air.

실시예 15Example 15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두께 5㎛, 투기 저항도 110sec/100ml Air의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었다.A separator for a battery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had a thickness of 5 占 퐉 and a durability of 110 sec / 100 ml Air.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알루미나 입자로서 알루미나 입자 1을 사용하지 않고, 알루미나 입자 2만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었다.A battery separato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lumina particles 1 were not used as alumina particles but only alumina particles 2 were used.

비교예 2∼7Comparative Examples 2 to 7

알루미나 입자 1과 알루미나 입자 2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하고, 분산 조건을 표 1에 나타내는 패스 횟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얻었다.A separator for a battery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lumina particles 1 and alumina particles 2 were used in the ratios shown in Table 1 and the dispersion conditions were set to the number of passes shown in Table 1. [

표 1은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알루미나 입자 1 및 2의 특성을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alumina particles 1 and 2 us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Figure 112018092193591-pct00001
Figure 112018092193591-pct00001

표 2는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의 패스 횟수, 알루미나 입자의 분산성과 분산 안정성 및 얻어진 세퍼레이터의 특성을 나타낸다.Table 2 shows the number of passes in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alumina partic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tained separator.

Figure 112018092193591-pct00002
Figure 112018092193591-pct00002

1 : 수지제 절연체
2 : 리튬 이온 전지용 부극
3 : 세퍼레이터
4 : 알루미늄 박
5 : 금속 공
6 : 압축 지그(하측)
6': 압축 지그(상측)
7 : 금속 공을 포함하는 샘플 적층체
1: Resin insulator
2: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y
3: Separator
4: Aluminum foil
5: Metal ball
6: Compression jig (lower side)
6 ': Compression jig (upper side)
7: Sample laminate including metal balls

Claims (9)

폴리올레핀 미다공막과,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적어도 편면에 다공질층을 갖는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상기 다공질층은 알루미나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나 입자와 상기 바인더의 합계를 100체적%로 했을 때, 상기 알루미나 입자의 체적 비율이 50체적% 이상이고, 상기 알루미나 입자는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법(FT-IR)에 의한 3475cm-1 부근에 흡수 피크를 갖고 상기 피크가 300℃ 이상에서 소실하는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나 입자는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하기 식 1, 2를 만족하는 적어도 2개의 극대를 갖고, 1차 입자 지름에 있어서 1.0㎛ 이상의 입자 지름을 갖는 알루미나 입자 A와 1.0㎛ 미만의 입자 지름을 갖는 알루미나 입자 B로 구별했을 때에 각각의 총체적의 비가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
1.0(㎛)≤A(r1)≤3.0(㎛) … 식 1
0.3(㎛)≤B(r1)<1.0(㎛) … 식 2
0.5≤A(vol)/B(vol)≤2.0 … 식 3
[여기서, A(r1), B(r1)은 알루미나 입자의 1차 입자 지름 분포에 있어서 극대를 나타내는 모드 지름, A(vol)/B(vol)는 다공질층 중에 있어서의 알루미나 입자 A와 알루미나 입자 B의 총체적비이다]
A separator for a battery comprising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a porous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wherein the porous layer comprises alumina particles and a binder, and when the total amount of the alumina particles and the binder is 100 vol% Wherein the volume ratio of alumina particles is 50 vol% or more, the alumina particles include particles having an absorption peak at about 3475 cm < -1 &gt;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 The alumina particles having at least two maximum peaks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and 2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and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mu m or more in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and a particle diameter And the alumina particles B having the total amount of the alumina particles The facilitator.
1.0 (占 퐉)? A (r1)? 3.0 (占 퐉) ... Equation 1
0.3 (占 퐉)? B (r1) <1.0 (占 퐉) Equation 2
0.5? A (vol) / B (vol)? 2.0 ... Equation 3
A (vol) / B (vol) is a mode diameter indicating a maximum in a primary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of alumina particles, and A (vol) / B (vol) B is the total ratio]
제 1 항에 있어서,
푸리에 변환형 적외 분광법(FT-IR)에 의한 3475cm-1 부근에 흡수 피크를 갖고, 상기 피크가 300℃ 이상에서 소실하는 입자가 상기 알루미나 입자 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alumina particle (A) has an absorption peak at about 3475 cm -1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a particle disappearing at a peak above 300 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입자는 실온으로부터 1000℃까지 상승시켰을 때의 가열 발생 가스 질량 분석(TPD-MS)으로 측정하는 발생 수분량이 2000질량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lumina particles have a water content of not more than 2000 ppm by mass as measured by heating gas mass analysis (TPD-M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lumina particles is raised from room temperature to 1000 占 폚.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0.7≤A(vol)/B(vol)≤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Vol) / B (vol) &lt; / =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0.8≤A(vol)/B(vol)≤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Vol) / B (vol) &lt; / =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inder comprises a fluororesi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가 불화 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luororesin comprises a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가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less than 10 占 퐉.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두께가 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7 占 퐉 or less.
KR1020187026852A 2016-07-25 2017-07-20 Battery separator KR1019810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5605 2016-07-25
JP2016145605 2016-07-25
PCT/JP2017/026280 WO2018021143A1 (en) 2016-07-25 2017-07-20 Separator for battery-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781A KR20180129781A (en) 2018-12-05
KR101981079B1 true KR101981079B1 (en) 2019-05-22

Family

ID=6101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852A KR101981079B1 (en) 2016-07-25 2017-07-20 Battery separa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39569B2 (en)
KR (1) KR101981079B1 (en)
CN (1) CN109075296B (en)
TW (1) TWI716616B (en)
WO (1) WO201802114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9194B2 (en) * 2018-12-18 2023-06-09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rous layer, laminate,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20138074A1 (en) * 2018-12-26 2020-07-02 住友化学株式会社 Alumina, alumina slurry, alumina film, laminate separat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403310B2 (en) * 2019-12-26 2023-12-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dhesive sheets for batteries and lithium ion batteries
KR20230065145A (en) 2021-11-04 2023-05-11 김오갑 Wel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7365B2 (en) 1997-07-22 2005-04-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Waste heat power generator
JP2007290943A (en) * 2006-03-29 2007-11-08 Nissan Motor Co Ltd Method of producing modified alumina particle dispersion sol, method of producing modified alumina particle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ol, and modified alumina particle dispersion sol, modified alumina particle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ach prepared by the method
KR101223081B1 (en) * 2006-09-07 2013-01-17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Battery separa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5158678B2 (en) 2006-10-16 2013-03-0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20100221965A1 (en) * 2008-01-29 2010-09-02 Hitachi Maxell, Ltd. Slurry for forming insulating layer,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JP2010123383A (en) * 2008-11-19 2010-06-03 Teijin Ltd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5502707B2 (en) 2009-11-20 2014-05-28 三菱樹脂株式会社 Multilayer porous film,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JP2011158335A (en) 2010-01-29 2011-08-18 Fujitsu Frontech Ltd Stepping motor connection detecting circuit
JP5829042B2 (en) * 2011-04-13 2015-12-0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Copolymer composition for multilayer porous membrane
JP2015018600A (en) * 2011-11-10 2015-01-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Separator with heat-resistant insulating layer
WO2013073011A1 (en) * 2011-11-15 2013-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Non-aqueous electrolyte type secondary battery
WO2013077162A1 (en) * 2011-11-25 2013-05-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Separator for electrical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using same
CN102522516A (en) * 2011-12-22 2012-06-27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Asymmetric composite diaphragm for lithium ion secondary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2833438A4 (en) * 2012-03-29 2015-10-21 Toray Battery Separator Film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736095B1 (en) * 2012-04-13 2016-03-23 Toray Battery Separator Film Co., Ltd.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242618B2 (en) 2012-07-27 2017-12-06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rous film
JP6067016B2 (en) * 2012-07-27 2017-01-25 住友化学株式会社 Alumina slurry,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coating liquid
EP3046163B1 (en) * 2013-09-10 2020-07-22 Toray Industries, Inc. Separator for secondary cell, and secondary cell
JP2014012857A (en) 2013-09-26 2014-01-23 Asahi Kasei E-Materials Corp Microporous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15105009A1 (en) * 2014-01-07 2015-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Laminated porous film,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JP2015156342A (en) * 2014-02-21 2015-08-27 三菱製紙株式会社 battery separator
JP6394346B2 (en) * 2014-12-10 2018-09-2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lumina slur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5296B (en) 2021-03-12
KR20180129781A (en) 2018-12-05
TW201810773A (en) 2018-03-16
CN109075296A (en) 2018-12-21
JP6939569B2 (en) 2021-09-22
JPWO2018021143A1 (en) 2019-05-16
TWI716616B (en) 2021-01-21
WO2018021143A1 (en)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9661B2 (en) Porous membrane and multilayer porous membrane
JP4789274B2 (en) Multilayer porous membrane
KR101981079B1 (en) Battery separator
JP5511214B2 (en) Multilayer porous membrane
US10256450B2 (en) Laminated porous membrane,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and separator for battery
WO2010134585A1 (en) Multi-layered porous film
JP5196969B2 (en) Multilayer porous membrane
JP2008186721A (en) Porous membrane having high thermal resistance and high permeabili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0278018A (en) Adsorbent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porous membran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2014208780A (en) Method for preparing coating liquid, multilayer porous film,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6444122B2 (en) Power storage device separator, separator slur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6277225B2 (en) Storage device separator
JP6426422B2 (en) Separator for storage device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JPH04126352A (en) Separator for battery, manufacture thereof and battery
JP2011023162A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2011081995A (en) Separator for oven resistant property storage device
JP5443114B2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JP2013144442A (en) Porous film including both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transmit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