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636B1 -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636B1
KR101980636B1 KR1020190021941A KR20190021941A KR101980636B1 KR 101980636 B1 KR101980636 B1 KR 101980636B1 KR 1020190021941 A KR1020190021941 A KR 1020190021941A KR 20190021941 A KR20190021941 A KR 20190021941A KR 101980636 B1 KR101980636 B1 KR 101980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sensor unit
water
level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용
김용철
하규철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2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01V9/02Determining existence or flow of underground 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표로부터 일정 깊이에 고정되는 제1센서유닛과, 지하수 관정 내 유체의 밀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밀도감응부표에 장착된 제2센서유닛을 이용하여, 해수의 침투 여부와 침투량, 담수의 유입량, 오염원의 유입 여부 등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WATER LEVEL AND QUALITY OF GROUNDWATER}
본 발명은 지하수 수질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하수보다 밀도가 큰 유체가 지하수 내로 유입되는지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는 식수, 농엽용수, 공업용수 등으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지하수의 온도가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한 범위로 유지되는 점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지열낸난방에 이용하는 등 그 활용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하수의 중요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즉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가뭄이 지속되면 지표수는 즉시 영향을 받아 수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반면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하여 훨씬 느리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에 따른 물부족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하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지하수의 수질도 체계적 관리대상 중 하나이다. 외부 오염원의 유입에 따라 지하수의 오염 및 확산과 같은 이벤트가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또한 지표수나 해수와의 상호 작용을 통한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 변화가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강수에 따라 지하수의 수위가 증감하며, 해안가의 경우 해수면의 변동에 따라 지하수로 해수의 유출입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지하수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서는 지표수의 유출입, 해수의 유출입에 따라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계절, 기후, 기상 조건 등과 연동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자료는 지하수의 단기적, 장기적 거동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을 통해 외부 오염 등의 이벤트 관리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지표수 및 해수와 지하수의 상호작용에 따른 지하수의 수위 및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 및 측정 신뢰도가 향상된 모니터링 시스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지하수의 체계적 관리의 일환으로 관측정을 통해 지하수의 수질 및 수위 거동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동화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수 관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표로부터 일정한 깊이에 고정배치되어 지하수관정의 수위를 측정가능한 제1센서유닛; 지하수 관정의 깊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설정된 지하수의 밀도 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는 밀도감응부표; 상기 와이어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밀도감응부표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대; 및 상기 밀도감응부표에 설치되어 상기 밀도감응부표가 위치한 수심을 측정가능한 제2센서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센서유닛 및 제2센서유닛은 각각 수압센서를 구비하고, 전기전도도 센서 및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와이어에는 무게추가 부착되며, 상기 제1세서유닛은 상기 무게추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밀도감응부표의 밀도는 담수보다는 높으며 해수보다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와이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지하수보다 낮은 밀도로 이루어져 상기 지하수 관정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와, 상기 지하수 내에 잠기도록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하수의 물성 또는 화학적 성분을 파악할 수 있는 제3센서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부유체 또는 제3센서유닛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지하수 관정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제1센서유닛 및 제2센서유닛으로부터 측정자료를 송신받아 지하수위 수위 및 수질 거동을 판단하는 콘트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에서는 상기 제1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수위와 상기 제2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수심이 함께 증가하는 경우 지하수 관정 내로 담수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며, 상기 제1센서유닛에 의하여 측정된 수위는 증가하되 상기 제2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수심은 일정 범위로 유지되는 경우 지하수보다 밀도가 높은 해수가 지하수 관정 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지하수와 해수의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지하수 관정 내 해수의 침투 여부 및 침투량, 담수의 유입 여부 및 유입량, 오염물의 유입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식수, 농업용수 등으로 활용되는 지하수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모니터링은 기상청 데이터와 연동하여 기온, 강수량 등과 연동하여 파악함으로써, 지하수의 주기적 거동이나, 이상 기후 이벤트에 따른 영향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는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지하수 시스템 또는 지하수 정책을 입압하는데 있어 소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는 지하수 관정 내로 해수가 침투한 경우이며, 도 3은 담수가 침투한 경우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은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을 지속적으로 관측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관측 대상은 해안 지역에서 해수가 지하수로 침투하는지 여부와 그 침투량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해수 이외에도 강수에 따른 지표수의 침투 및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에 의한 지하수의 수위 변동도 모니터링한다. 더 나아가, 지표로부터 오염원이 지하수로 유입됨에 따른 수질의 변동에 대해서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100, 이하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함)은 지하수 관정에 설치된다.
지하수 관정의 구조는 매우 다양한데, 본 예와 같이 지하수 관정(1)에 내부 케이싱(2)이 설치되고, 자갈(3)이나 그라우팅재가 관정 내벽과 내부 케이싱(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관정 하부에는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4)이 형성되어 있는 연질의 스트레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은 상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관정 하부까지 길게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특정한 지하수 관정 설치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어떠한 형태의 지하수 관정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제 지하수의 활용을 위한 지하수 관정은 물론, 지하수 관측정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지하수 관정의 구조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와이어(10), 무게추(20), 제1센서유닛(30), 밀도감응부표(40), 걸림대(50) 및 제2센서유닛(60)을 구비한다.
와이어(10)는 지하수 관정(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와이어(10)는 윈치(미도시) 등에 감겨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상에 설치된 거치대(11)의 롤러(12)를 통해 관정(1)으로 삽입된다.
무게추(20)는 와이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와이어가 지하수로 채워져 있는 관정 내부로 쉽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센서유닛(30)은 관정(1) 내부에 설치되되 지표로부터 일정 깊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무게추(20)에 제1센서유닛(30)이 장착되는데, 와이어(10)의 다른 지점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와이어(10)는 한 번 설치되면 지하수를 관측하는 동안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와이어(10)에 고정시켜 놓으면 제1센서유닛(30)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반면 지하수의 수위는 상하로 이동하므로, 제1센서유닛(30)의 수심은 지하수 수위 변동에 따라 변하게 된다.
제1센서유닛(30)은 기본적으로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인데, 본 예에서는 수압센서를 이용한다. 수압센서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위가 변동하면, 수압센서 상부의 수량이 달라지면서 작용하는 수압도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지하수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으므로, 측정된 수압을 통해 수위의 변동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수위의 측정은 음파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한데, 본 발명에서도 다른 방식의 수위 측정을 배제하지는 않지만, 가장 안정적으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압센서를 사용한다.
또한 제1센서유닛(30)은 전기전도도(EC) 센서 및 온도센서를 구비하며, 이외에도 지하수의 물성이나 화학적 성상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해수는 이온 농도가 지하수에 비하여 매우 높으므로 전기전도 측정을 통해 지하수 관정 내로 해수의 침투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온도센서의 경우 수위의 측정과도 관계된다. 지하수의 온도가 증가하면 밀도는 낮아지므로 수압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값도 함께 낮아지게 된다. 온도에 따른 지하수의 밀도를 보정함으로써 지하수 수압 또는 수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밀도감응부표(40)는 지하수 관정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와이어(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도감응부표(4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와이어(10)에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와이어(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밀도감응부표(40)의 밀도는 지하수의 밀도 보다 높게 형성되어 관정이 지하수 등 담수로만 채워져 있는 경우 와이어(10)를 따라 계속 하방으로 가라앉게 된다. 본 예에서는 밀도감응부표(40)가 하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걸림대(50)를 설치한다. 걸림대(50)는 와이어(10)의 특정 지점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밀도감응부표(40)가 걸림대(50)에 걸리면 더 이상 하방으로 내려갈 수 없게 된다.
밀도감응부표(40)의 밀도는 지하수 보다는 높지만, 해수보다는 낮게 형성된다. 이에 지하수 관정(1)에 해수가 침투하여 해수는 하층에 담수는 상층에 층분리되면 담수(지하수)와 해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예컨대, 해수가 걸림대(50) 보다 높은 위치까지 침투하게 되면 밀도감응부표(40)는 걸림대(50)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여 해수와 담수의 경계층에 위치된다.
제2센서유닛(60)은 밀도감응부표(4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밀도감응부표(40)와 함께 이동된다. 제2센서유닛(60)은 밀도감응부표(40)가 위치한 지점의 수심, 즉 수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측정한다. 제1센서유닛(30)과 마찬가지로 제2센서유닛(60)은 수압센서를 구비하여, 제2센서유닛 상부의 물의 무게, 즉 수압을 측정하여 수심을 파악한다. 밀도감응부표(40)는 해수와 담수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므로 제2센서유닛에 의하여 측정되는 수압은 지하수 관정 내 담수의 수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제2센서유닛(60)은 제1센서유닛과 마찬가지로 전기전도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더 구비하여, 지하수 관정 내 유체의 온도 및 전기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관정 내 유체의 물성이나 화학적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들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러(미도시)를 구비하며, 콘트롤러는 제1센서유닛(30) 및 제2센서유닛(60)과 유뮤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제1센서우닛(30) 및 제2센서유닛(60)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들로부터 측정된 수위, 수심을 포함하여 센서유닛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송신받는다. 콘트롤러는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하수 관정의 수위 변화, 해수의 침투 여부 및 침투량, 관정 내 유체의 물성 등을 파악하여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 거동을 모니터링한다. 또는 콘트롤러에서는 측정 데이터를 저장한 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 관제실에 송신하며, 중앙 관제실에서 지하수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는 지하수 관정 내로 해수가 침투한 경우이며, 도 3은 담수가 침투한 경우이다.
먼저 지하수 관정 내로 해수가 침투한 경우를 상정한 도 2를 참고한다. 최초의 (A) 상태에서는 지하수 관정(1)은 담수로만 채워져 있다. 제2센서유닛(60)이 부착된 밀도감응부표(40)는 걸림대(50)까지 하강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수가 침투하면, 무거운 해수는 관정의 하부에 위치하고 담수는 상방으로 수직이동되어 (B)의 상태로 된다. 즉 지하수 관정(1) 내 전체 수위가 'd'만큼 상승되며, 밀도감응부표(40) 역시 'd'만큼 상승하게 된다. 물론 해수가 걸림대(50) 보다 낮은 위치까지만 침투한 경우라면 밀도감응부표(40)는 제자리에 위치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걸림대(50)는 지하수 관정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해수가 침투하게 되면 밀도감응부표(40)는 해수 침투시 상승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지하수 관정 내 수위가 H1에서 H2로 상승하였고, 밀도감응부표 역시 상승한 경우에는 해수의 침투에 의한 수위 상승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센서유닛 및 제2센서유닛에 구비된 전기전도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관정 내 유체의 전기전도도 데이터를 통해 해수 침투 여부를 더욱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강수량이 많거나 인공함양 등의 이유로 담수가 지하수 관정 내로 침투한 경우의 예이다. 담수가 침투하게 되면 최초 (A) 상태에서 (B) 상태로 변화하면서 전체적으로 수위는 H1에서 H2로 상승하게 되지만, 밀도감응부표(40)는 원래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전체적인 수위는 상승하였지만 밀도감응부표(40)는 제자리에 있는 경우는 담수 침투에 의한 수위 상승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담수가 유입된 경우에는 담수 내 이물질이 높은 농도로 존재하지 않는한 전기전도도 센서에서 측정된 값은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므로, 담수 침투에 의한 수위 상승이라는 점을 신뢰할 수 있을 것이다.
담수가 침투한 경우 데이터 차원에서는 제1센서유닛과 제2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수압이 모두 증가하는 형태가 된다. 반면, 도 2와 같이 해수가 침투하는 경우에는 제1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수압은 증가하지만, 제2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수압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수위가 하강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 지하수 내 수위 및 수질의 거동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센서유닛 및 제2센서유닛의 온도센서를 통해 지하수 관정 내 유체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관정 내 유체(지하수, 해수)의 밀도를 보정함으로써 수압을 통한 수위 및 수심을 계산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센서유닛 및 제2센서유닛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각종 센서에 의하여 유류, NAPL, 중금속 등의 특정 오염물의 유입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지하수 관측정이 특정 오염물이 배출되는 오염원에 근접하게 배치된 경우, 이 특정 오염물을 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여 지하수의 오염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지하수와 해수의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지하수 관정 내 해수의 침투 여부 및 침투량, 담수의 유입 여부 및 유입량, 오염물의 유입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은 기상청 데이터와 연동하여 기온, 강수량 등과 연동하여 파악함으로써, 지하수의 주기적 거동이나, 이상 기후 이벤트에 따른 영향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는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지하수 시스템 또는 지하수 정책을 입압하는데 있어 소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모든 구성요소를 그대로 채용하되, 부유체(70) 및 제3센서유닛(80)을 더 구비한다.
부유체(70)는 지하수의 밀도보다 낮은 밀도로 형성되어 지하수 수면에 부유하며, 수위의 변동에 따라 함께 승강하게 된다. 부유체(70)는 예컨대 주름관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라인(71)에 매달려서 지지될 수도 있으며, 연결라인(71) 없이 앞에서의 밀도감응부표(40)처럼 와이어(10)에 끼워져 설치될 수도 있다. 와이어(10)에 끼워져 설치되는 경우에는 밀도감응부표(40)와 마찬가지로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유체(70)의 하부에는 제3센서유닛(80)이 부착되어 수면 아래에 침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제3센서유닛(80)은 오염물 유입을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류 등과 같이 가벼워서 지하수 관정 상부로 이동하는 오염물을 탐지하기 위한 것이다. 유류 등 오염물에 노출된 환경에서 식수로 활용되는 지하수의 수질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유체는 언제나 수면에 위치하므로 제3센서유닛에서는 수압을 측정할 필요는 없으며, 특정한 목적에 따라 지하수의 물성이나 화학적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200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10 …와이어, 20 …무게추
30 …제1센서유닛, 40 …밀도감응부표
50 …걸림대, 60 …제2센서유닛
70 …부유체, 80 …제3센서유닛

Claims (10)

  1. 지하수 관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표로부터 일정한 깊이에 고정배치되어 지하수관정의 수위를 측정가능한 제1센서유닛;
    지하수 관정의 깊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설정된 지하수의 밀도 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는 밀도감응부표;
    상기 와이어의 일정 높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밀도감응부표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대; 및
    상기 밀도감응부표에 설치되어 상기 밀도감응부표가 위치한 수심을 측정가능한 제2센서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유닛은 전기전도도 센서 및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유닛은 전기전도도 센서 및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유닛 및 제2센서유닛은 각각 수압센서를 구비하여 수위 및 수심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는 무게추가 부착되며, 상기 제1센서유닛은 상기 무게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감응부표의 밀도는 담수보다는 높으며 해수보다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지하수보다 낮은 밀도로 이루어져 상기 지하수 관정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와,
    상기 지하수 내에 잠기도록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하수의 물성 또는 화학적 성분을 파악할 수 있는 제3센서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 또는 제3센서유닛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지하수 관정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유닛 및 제2센서유닛으로부터 측정자료를 송신받아 지하수위 수위 및 수질 거동을 판단하는 콘트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콘트롤러에서는
    상기 제1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수위와 상기 제2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수심이 함께 증가하는 경우 지하수 관정 내로 담수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며,
    상기 제1센서유닛에 의하여 측정된 수위는 증가하되 상기 제2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수심은 일정 범위로 유지되는 경우 지하수보다 밀도가 높은 해수가 지하수 관정 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021941A 2019-02-25 2019-02-25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8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41A KR101980636B1 (ko) 2019-02-25 2019-02-25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41A KR101980636B1 (ko) 2019-02-25 2019-02-25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636B1 true KR101980636B1 (ko) 2019-08-28

Family

ID=6777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41A KR101980636B1 (ko) 2019-02-25 2019-02-25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6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2176A (zh) * 2019-09-12 2019-11-12 水利部牧区水利科学研究所 一种井灌区地下水开采量与地下水位联合控制装置
KR102140752B1 (ko) * 2019-11-08 2020-08-04 (주)동아엔지니어링 지하수 오염방지 측정 장치
CN112697223A (zh) * 2020-12-17 2021-04-23 水利部信息中心 一种水文情报水位监测装置
CN116124521A (zh) * 2023-04-18 2023-05-16 山东益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水水质采样监测装置
CN116592973A (zh) * 2023-07-17 2023-08-15 陕西瀚泰水利水电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水文地质勘探用具有防护功能的地下水位监测装置
KR20230140277A (ko) * 2022-03-29 2023-10-06 한장희 지하수의 오염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지하수 오염 탐지 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53A (ko) * 2001-01-03 2002-07-12 문동신 지하수 수위·수질 자동관측기
KR20100030340A (ko) * 2008-09-10 2010-03-18 정현주 지하수 내의 담수와 염수의 경계면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55599B1 (ko) * 2009-08-25 2010-05-03 (주)명성지오시스템 지하수위 자동계측 장치
KR20170116335A (ko) * 2016-04-11 2017-10-19 이장희 무인 자율 운항이 가능한 이동식 수질정화장치
KR20180115245A (ko) * 2018-10-11 2018-10-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제1 및 제2 유체의 경계면을 모사하기 위한 수리모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53A (ko) * 2001-01-03 2002-07-12 문동신 지하수 수위·수질 자동관측기
KR20100030340A (ko) * 2008-09-10 2010-03-18 정현주 지하수 내의 담수와 염수의 경계면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955599B1 (ko) * 2009-08-25 2010-05-03 (주)명성지오시스템 지하수위 자동계측 장치
KR20170116335A (ko) * 2016-04-11 2017-10-19 이장희 무인 자율 운항이 가능한 이동식 수질정화장치
KR20180115245A (ko) * 2018-10-11 2018-10-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제1 및 제2 유체의 경계면을 모사하기 위한 수리모형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2176A (zh) * 2019-09-12 2019-11-12 水利部牧区水利科学研究所 一种井灌区地下水开采量与地下水位联合控制装置
KR102140752B1 (ko) * 2019-11-08 2020-08-04 (주)동아엔지니어링 지하수 오염방지 측정 장치
CN112697223A (zh) * 2020-12-17 2021-04-23 水利部信息中心 一种水文情报水位监测装置
CN112697223B (zh) * 2020-12-17 2024-04-16 水利部信息中心 一种水文情报水位监测装置
KR20230140277A (ko) * 2022-03-29 2023-10-06 한장희 지하수의 오염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지하수 오염 탐지 키트
KR102612836B1 (ko) * 2022-03-29 2023-12-11 한장희 지하수의 오염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지하수 오염 탐지 키트
CN116124521A (zh) * 2023-04-18 2023-05-16 山东益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水水质采样监测装置
CN116124521B (zh) * 2023-04-18 2023-09-08 山东益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水水质采样监测装置
CN116592973A (zh) * 2023-07-17 2023-08-15 陕西瀚泰水利水电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水文地质勘探用具有防护功能的地下水位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636B1 (ko)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Bouwer The Bouwer and Rice Slug Test—An Update a
Gasmo et al. Instrumentation of an unsaturated residual soil slope
EP2851883B1 (en) System for monitoring coastal underground water
US8746060B2 (en) Method of correcting for contaminant distortion of electrical wastewater level sensors
US20130289878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astal underground water
JP4915676B2 (ja) 自動降灰・降雨量計
US20220251818A1 (en)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Systems
CN103017860A (zh) 农田水旱灾害预警方法及系统
JP2007315845A5 (ko)
CN108350700A (zh) 用于控制建筑物竖直位置的系统和方法
Gannon et al. Lateral water flux in the unsaturated zone: A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spatial soil heterogeneity in a headwater catchment
JP2021148757A (ja) 地下水位観測装置、地下水位観測装置の設置方法及び地下水位の観測方法
KR101751037B1 (ko) 만수위 재조정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Anderson Jr et al. The role of overwash in the evolution of mixing zone morphology within barrier islands
KR100744630B1 (ko) 하수관거내 염소 이온농도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제어방법및 그 시스템과, 이를 위한 염소 이온측정기
CN203271727U (zh) 基于光纤传感技术的煤矿井下水文监测系统
KR20080081452A (ko) 이중압력자료를 이용한 담-염수 경계면 변화 산정방법
TW201443316A (zh) 用於監測橋樑基礎河床沖刷深度及回淤深度之監測裝置
KR101555029B1 (ko) 방사형집수정 수평집수관의 순환식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11851855B2 (en) Drainage system and drain
JP5718186B2 (ja) 地盤変位の予測方法および予測装置
CN209043413U (zh) 一种窨井液位测量装置
JP2012225014A (ja) 地盤変位の予測方法および予測装置
CN109238396A (zh) 一种窨井液位测量装置及测量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