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518B1 -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과금 정보 정확도의 개선 - Google Patents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과금 정보 정확도의 개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518B1
KR101980518B1 KR1020157019273A KR20157019273A KR101980518B1 KR 101980518 B1 KR101980518 B1 KR 101980518B1 KR 1020157019273 A KR1020157019273 A KR 1020157019273A KR 20157019273 A KR20157019273 A KR 20157019273A KR 101980518 B1 KR101980518 B1 KR 10198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ation transceiver
user equipment
target user
pack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755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노이바허
Original Assignee
티-모바일 인터내셔널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모바일 인터내셔널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모바일 인터내셔널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9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actual use of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04L12/1435Metric aspects volume-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29Service quality level-based billing, e.g. dependent on measured service level customer is charged more or 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29Packet loss
    • H04L43/0835One way packet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04L41/5067Customer-centric QoS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제 1 기지국 송수신기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고, 데이터 트래픽은 타겟 이용자 장비와 원격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관련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camp on)하는 경우에,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 절차의 경우에,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 송신되고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X2 인터페이스, -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코어 네트워크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된다.

Description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과금 정보 정확도의 개선{IMPROVING CHARGING INFORMATION ACCURACY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본 발명은 원격통신 네트워크 특히, 공용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금 정보 정확도는 이용자 장비 특정 단위로 즉, 이하에 타겟 이용자 장비로 또한 불리는 이용자 장비에 대해 개별적으로 증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에 관한 것이다.
--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tation)에 대한 핸드오버(handover) 또는 셀 변경의 경우에,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는, 바람직하게 원격통신 네트워크와 타겟 이용자 장비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특정하는 과금 정보에 관한 정보를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로 송신하도록 인에이블링(enabling)되는 기지국 송수신기.
--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의 경우에,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는, 바람직하게 원격통신 네트워크와 타겟 이용자 장비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특정하는 과금 정보에 관한 정보를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인에이블링(enabling)되는 기지국 송수신기.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화된 정보의 교환은 이미 극적으로 성장했고 아마도 미래에 성장할 것이다. 일부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들에서, 교환된 패킷 데이터의 양을 추적하거나 모니터링(monitoring)하고/하거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및/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대역폭 이용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정들이 이용자에 과금하거나 청구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 가능한 한 정확하게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가적으로, 원격통신에서의 조절 환경 및 소비자 업무 기관들은 최종 소비자들의 데이터 이용의 과금의 정확도에 대한 증가된 요구조건들을 도입하고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환경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들에서 각각, 데이터 패킷들은, 라우터들, 게이트웨이들, 등에서의 과부하 상황들 때문에 및/또는 이들 네트워크 요소들을 상호접속시키는 전송 채널들/매체들에 대한 정체들 때문에 다양한 네트워크 요소들에서 폐기될 수 있다. 정확한 과금 정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할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의 2개의 지점들 사이에 교환된 패킷 데이터의 검증을 제공하는 패킷 교환 프로토콜들 및 연관 시스템들이 존재한다. - 예를 들면, 표준 TCP/IP 프로토콜-기반 시스템들은 통신 시스템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의 정확한 모니터링 및 상기 교환된 데이터에 대한 과금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신뢰가능한 프로토콜들은 예를 들면, 이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또는 다른 패킷 지향 프로토콜들과 비교해서 상당한 오버헤드를 부과한다. 이러한 신뢰가능하지 않은 프로토콜들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서 3GPP 표준들(즉,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의 표준들)에 따라 이용되고,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들이 데이터 전송들을 위한 네트워크의 이용에 대해 이용자에 정확하게 과금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고정 네트워크들에서, 패킷들의 폐기는 네트워크 장비의 적절한 크기설정(dimensioning) 및 전송 라인 크기설정에 의해 회피될 수 있거나 계속 무시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들의 콘텍스트(context)에서, 패킷들의 폐기는, 에어 인터페이스의 신뢰가능하지 않고 변화하는 본질 때문에 에어 인터페이스들의 종단 지점들에서 가장 발생하기 쉽다. 일시적인 정체 상황들이 에어 인터페이스의 신뢰가능하지 않고 변화하는 본질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패킷 폐기는 심지어 적절한 크기설정 및 구성에 의해 회피될 수 없다.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들에서, 과금은 게이트웨이들과 같은 계층적으로 더 높은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고객의 이용자 장비에 도달하는 데이터 양과 비교하여, 게이트웨이와 같은 계층적으로 더 높은 네트워크 노드들에서의 실제 카운팅(counting)된 양은, 데이터 패킷들을 일시적으로 폐기하는 중간 네트워크 장비로 인해 더 적을 수 있다.
3G 네트워크들(제 3 세대 네트워크들, 특히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MTS) 네트워크들)에 대해,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을 보고하기 위한 해결책은 3GPP TS 25.413에서 설명된다. 해결책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는 라디오 네트워크에서의 중앙 요소, 및 또한 에어 인터페이스 라디오 프로토콜들의 종단 지점이다.
-- 따라서, 심지어 이용자의 이동성의 경우에 즉, 이용자가 하나의 기지국(노드B)으로부터 또 다른 기지국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데이터흐름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를 통과해야 한다.
-- 따라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는 특정 베어러들과 연관되고 특정 이용자 장비에 할당된, 전달되지 않고/폐기된 패킷들의 수를 수집/카운팅하는데 가장 적합한 장소이다.
-- 코어 네트워크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의 수에 관한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 인터페이스가 LTE 시스템(롱 텀 에볼루션)과 같은 기지국 송수신기들에서 직접적으로 종료되는 분산 기지국 송수신기들을 갖는 라디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에 대해, 개선된 과금 정보 정확도를 제공하기 위한 어떠한 이러한 해결책들도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해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으로 단순하고, 효과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응하는 기지국 송수신기 뿐만 아니라,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해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성취되고,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제 1 기지국 송수신기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고, 데이터 트래픽은 타겟 이용자 장비와 원격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관련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camp on)하는 경우에,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 절차의 경우에,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 송신되고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X2 인터페이스,
--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코어 네트워크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된다.
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팅하고 통합하는 것 즉, 타겟 이용자 장비에 전달되도록 의도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트래픽의 양을 -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들에 의한 것보다 어느 경우든지 더 정확하게 - 가능한 한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이롭게 가능하다.
--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게이트웨이들과 같은 계층적으로 더 높은 네트워크 노드들에서의 수신된 데이터 양과,
--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사이의 차는 실제 전달된 데이터 양에 관한 것이고, 따라서 과금가능한 데이터 양이다.
이것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운영자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최종 고객들을 향한 데이터 이용의 과금의 정확도에 관한 증가된 조절 요구조건들에 따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패킷 데이터 양에 관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패킷 데이터 양에 관한 것이다.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의 타겟 이용자 장비의 핸드오버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둘 모두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의 지식 또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을 포함하거나 통합하는 경우에)의 지식은 네트워크가 타겟 이용자 장비에 의해 실제로 이용된 데이터 양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관련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의 뿐만 아니라,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에 관련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의 일부 집성 예를 들면,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및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의 합을 포함한다. 또 다른 핸드오버의 경우에,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로 시작하는 또 다른 핸드오버의 경우에,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이 핸드오버에 대해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술에 따라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주로 설명된다. 그러나, 해결책은 에어 인터페이스 라디오 프로토콜들에 대한 중앙 종단 지점 없이 임의의 다른 라디오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해 즉, 라디오 프로토콜들이 기지국 송수신기(들)에서 직접적으로 종료되는 라디오 네트워크들에 대해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LTE 기술에 따른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와 같은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들은 본 분야의 다양한 장소들(즉, 다양한 기지국 송수신기들에서)에서 발생하는 반면에, 이용자 장비는 상이한 기지국 송수신기들 사이에서 로밍하고 있고/있거나 그 주위를 움직이고 있다. 이것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상이한 위치들에 또는 복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요소들에, 특정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해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들을 언급하는 정보의 부분들이 위치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관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상이한 위치들로부터 이들 데이터 및 바람직하게 모든 이들 데이터를 수집하고 집성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타겟 이용자 장비가 라디오 링크(에어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는 기지국 송수신기에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이 검출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데이터 패킷들을 카운팅함으로써(및 상이한 크기의 데이터 패킷들의 경우에,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의 각각의 집성된 크기를 또한 검출함으로써), 또는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의 데이터 양을 검출하고 결정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의 결정은 예를 들면,
--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이용자 장비에 포워딩(forwarding)될 데이터(타겟 이용자 장비가 캠프 온되고 있는 특정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즉 기지국 송수신기는 백홀 인터페이스(S1 i/f) 상의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해 도달된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을 카운팅한다, 및
-- 타겟 이용자 장비를 향한 에어 인터페이스 상의 송신에 성공한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비교에 의해,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의 데이터 양(또는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의 수 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능한 변화하는 크기)은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즉, 예를 들면, 백홀 상에 도달된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과 에어 인터페이스 상의 송신에 성공한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 사이의 차는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대응하고, 이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증진하기 위해 이후 단계에서 보고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 송신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은 이전에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즉,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을 UE 이력 정보 즉, 타겟 이용자 정보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에 부가하는 것이다. 지원되면, UE 이력 정보는 LTE에서 이용된 핸드 오버 유형에 상관없이, 투명한 방식으로 소스-e노드B(또는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타겟-e노드B(또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까지의 정보의 포워딩을 허용한다.
타겟 이용자 장비가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로 이동하지 않는 즉, 타겟 이용자 장비가 단일 기지국 송수신기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다소 특이한) 경우에,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이 결정될 수 있고 - 패킷 데이터 세션의 완료 후에 - 원격통신 네트워크 내의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보고될 수 있다.
그러나, 타겟 이용자 장비가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로 이동하는 즉, 타겟 이용자 장비가 단일 기지국 송수신기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 그것은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를 소스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목적지 기지국 송수신기로 송신하기 위한 방식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콘텍스트에서, 소스 기지국 송수신기는 용어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 지정되고, 목적지 기지국 송수신기는 용어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 지정된다. 다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둘 모두에 대해 각각,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은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즉,
--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이용자 장비에 포워딩될 제 1 또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및
-- 제 1 또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를 향한 에어 인터페이스 상의 송신에 성공한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즉, 타겟 이용자 장비의 소스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즉, 타겟 이용자 장비의 목적지 기지국 송수신기)로 송신되고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또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양)가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위해(또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도록,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검출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을 나타내고,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검출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을 나타낸다. 그에 의해, 심지어 복수의 기지국 송수신기들 및 복수의 기지국 송수신기 변경들, 타겟 이용자 장비의 핸드오버들 및/또는 타겟 이용자 장비의 셀 변경들의 경우에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에 관한 집성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이롭게 가능하다.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의 이 집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이용자에 대해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의 신뢰가능한 결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과금 정보 정확도를 증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및/또는
--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코어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요청된 메시지의 부분으로서 송신된다.
그에 의해,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 용이하게 및 효과적으로 송신됨이 이롭게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제 1 및/또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은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것이다.
그에 의해, 이러한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또는 일반적으로 고객 또는 최종 이용자(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련된 가입자)를 향해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전형적으로 과금 대상이 되는 데이터 양의 집성을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이롭게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타겟 이용자 장비까지의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의 양을 카운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타겟 이용자 장비까지의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의 양을 카운팅하고,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바람직하게,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타겟 이용자 장비까지의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의 집성된 데이터 양,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타겟 이용자 장비까지의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에 대응하거나 이를 포함한다.
그에 의해,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을 용이하게 및 효과적으로 집성하는 것이 이롭게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 및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와 타겟 이용자 장비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특정하다.
그에 의해, 예를 들면, 원격통신 네트워크 내의 과금이, 타겟 이용자 장비의 제 1 데이터 접속에 관한 데이터 패킷들이 송신되는지의 여부, 또는 타겟 이용자 장비의 제 2 데이터 접속에 관한 데이터 패킷들이 송신되는지의 여부에 의존하는 경우에, 타겟 이용자 장비의 상이한 데이터 접속들 사이를 용이하게 구별하는 것이 이롭게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원격통신 네트워크와 타겟 이용자 장비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이,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동안 해제되는 경우에,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바람직하게, 이용자 장비 콘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의 부분으로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해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고,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기지국 송수신기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기지국 송수신기는 데이터 트래픽을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타겟 이용자 장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트래픽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와 타겟 이용자 장비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관련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기지국 송수신기는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 절차의 경우에,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 송신되도록 구성되고,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 기지국 송수신기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X2 인터페이스,
-- 기지국 송수신기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코어 네트워크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해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고,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제 1 기지국 송수신기 및 기지국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는 데이터 트래픽을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타겟 이용자 장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트래픽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와 타겟 이용자 장비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관련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기지국 송수신기는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기지국 송수신기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 절차의 경우에,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기지국 송수신기로 송신되고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도록 구성되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 기지국 송수신기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X2 인터페이스,
-- 기지국 송수신기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코어 네트워크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라 - 또한 기지국 송수신기에 대해 - 기지국 송수신기가, 원격통신 네트워크와 타겟 이용자 장비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이 타겟 이용자 장비가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동안 해제되는 경우에, 제 2의(즉, 집성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바람직하게, 이용자 장비 콘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의 부분으로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로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 또한, 기지국 송수신기에 대해 -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이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것임이 또한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고,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제 1 기지국 송수신기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는 데이터 트래픽을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 트래픽은 타겟 이용자 장비와 원격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관련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로서, 타겟 이용자 장비에 특정하고 타겟 이용자 장비로 전송되지만 제 2 기지국 송수신기에 의해 타겟 이용자 장비로의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에 관련되는,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포함하고,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 절차의 경우에,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 송신되고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도록 구성되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X2 인터페이스,
-- 제 1 기지국 송수신기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코어 네트워크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된다.
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원격통신 네트워크로, 개선된 과금 정보 정확도가 얻어질 수 있음이 이롭게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 또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타겟 이용자 장비까지의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타겟 이용자 장비까지의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팅하고,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바람직하게, 제 1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타겟 이용자 장비까지의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의 집성된 데이터 양,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로부터 타겟 이용자 장비까지의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에 대응하거나 이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 또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 원격통신 네트워크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와 타겟 이용자 장비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이 타겟 이용자 장비가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는 동안 해제되는 경우에, 제 2의(즉, 집성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바람직하게, 이용자 장비 콘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의 부분으로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로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컴퓨터 상에서 또는 기지국 송수신기 상에서 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 또는 기지국 송수신기 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하여금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여전히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기계 유형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또는 기지국 송수신기 상에서 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 또는 기지국 송수신기 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하여금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성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예로서, 본 발명의 원리들을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들과 결부하여 취해진,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단지 예를 위해 주어진다. 아래에 인용된 참조 도면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언급한다.
도 1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코어 네트워크, 및 타겟 이용자 장비를 갖는 모바일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타겟 이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절차 또는 셀 변경의 경우에, 제 1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들과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통신 다이어그램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및 특정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지만 단지 청구항들에 의해 제한된다.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이고 비-제한적이다. 도면들에서, 요소들 중 일부의 크기는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과장될 수 있고 축척에 맞춰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단수 명사를 언급할 때 부정관사 또는 정관사 예를 들면, "a", "an", "the"가 이용되는 경우, 이것은 구체적으로 다르게 언급되지 않으면 그 명사의 복수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의 용어들 제 1, 제 2, 제 3 등은 유사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이용되고 반드시 순차적이거나 연대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용된 용어들이 적절한 환경들 하에서 상호교환가능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거나 도시된 것과 다른 시퀀스들로 동작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10) 특히, 공용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10)와 같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원격통신 네트워크(10)는 액세스 네트워크(16) 및 코어 네트워크(15)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15)는 단지 클라우드 표현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원격통신 네트워크(10)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네트워크 셀들을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셀룰러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이고,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셀들 중 2개는 도 1에서 실선 및 참조 부호들(11' 및 12')로 표현된다.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서, 전형적으로 복수의 이용자 장비들은 네트워크 셀들(11', 12') 내에서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고 있고 즉, 이용자 장비들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에 대해 접속되거나 캠프 온하고 있고,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는 라디오 셀(11')에 서빙하거나,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상에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라디오 셀(12')에 서빙한다. 제 1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들(11, 12)은 전형적으로 기지국 송수신기들 예를 들면, LTE의 경우에 e노드B이다.
본 발명의 콘텍스트에서, 그것은 이하에,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또한 불리는 이용자 장비가 특히, - 하지만 필수적이지 않다 - 핸드오버 절차에 의해 또는 또 다른 셀 변경 메커니즘에 의해 셀을 변경시키는 경우(즉,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통해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것으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통해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것으로 변경과 같은 제 1 라디오 셀(11')로부터 제 2 라디오 셀(12')로 주어진 예에서의 변경들) 특히 흥미롭다. 이동하는 타겟 이용자 장비(20)의 이 경우는 특히,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고정이고(예로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에 대해 또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에 대해) 즉, 데이터 접속이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통해(또는 이용하여)(또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통해) 타겟 이용자 장비(20)와 통신 네트워크(10) 사이에 확립되고,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을 수집하기 위해, 데이터 접속이 종료될 때까지 기지국 송수신기들(11, 12)에 대해 머무르는 경우, 각각의 기지국 송수신기(11, 12)가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을 단지 추적 또는 결정할 필요가 있고 - 패킷 데이터 세션의 완료 후에 - 원격통신 네트워크(10) 내의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15)에 그것을 보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특히 흥미롭다.
이동하는 타겟 이용자 장비(20)의 경우는, 도 1에서 화살표로 표현되고 타겟 이용자 장비(20)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제 1 시점에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통해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고 있고(즉, 제 1 라디오 셀(11')에 위치되고), 제 2 시점(제 1 시점과 비교하여 후속적인)에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통해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고(즉, 제 2 라디오 셀(12')에 위치되는) 있음을 기호화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및 코어 네트워크(15) 사이의,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통신 다이어그램들은 도 1에 도시된 상황 즉,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먼저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통해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접속되고 후속적으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이동하는 즉,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의 제 1 라디오 셀(11')로부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의 제 2 라디오 셀(12')로 이동하는 상황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도 2 참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의 확립된 데이터 접속(또는 확립된 패킷 데이터 세션) 동안, 및 핸드오버 절차 또는 셀 변경 절차가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에,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 제 1 메시지(201)로 - 코어 네트워크(15)로 송신된다. 또한,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 제 2 메시지(202)로 - 코어 네트워크(15)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송신된다. 제 4 메시지(204)로,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다음 중 한가지 경우에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부터 코어 네트워크(15)로 송신된다.
-- 데이터 접속 또는 패킷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거나,
-- 후속 핸드오버 절차 또는 셀 변경 절차(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대한)가 그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의 라디오 셀로의 타겟 이용자 장비(20)의 이동으로 인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각각의 시점까지 타겟 이용자 장비(20)의 집성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에 대응한다. 원격통신 네트워크(10)와 타겟 이용자 장비(20) 사이의 데이터 접속 또는 패킷 데이터 세션의 종료의 제 1 경우에,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개선된) 과금 목적들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15)에 보고된다. 그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에 관하여,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 또는 셀 변경 절차의 제 2 경우에, 본 발명의 전문용어의 의미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확인하고(take the roll of) 그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확인한다. 이것은 또한 (제 4 메시지(204)로) 코어 네트워크(15)를 향한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의 송신이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의 송신에 대응함(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와 그 다른 (후속)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관계에서)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도 3 참조), 또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의 확립된 데이터 접속(또는 확립된 패킷 데이터 세션) 동안, 및 핸드오버 절차 또는 셀 변경 절차가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에,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 제 3 메시지(203)로 -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송신된다. 제 4 메시지(204)로,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 데이터 접속 또는 패킷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부터 코어 네트워크(15)로, 또는
-- 후속 핸드오버 절차 또는 셀 변경 절차(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대한)가 그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의 라디오 셀로의 타겟 이용자 장비(20)의 이동으로 인해 개시되는 경우에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부터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도시되지 않음)로 송신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각각의 시점까지 타겟 이용자 장비(20)의 집성된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에 대응한다. 원격통신 네트워크(10)와 타겟 이용자 장비(20) 사이의 데이터 접속 또는 패킷 데이터 세션의 종료의 제 1 경우에,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개선된) 과금 목적들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15)에 보고된다. 그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에 관하여,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 또는 셀 변경 절차의 제 2 경우에, 본 발명의 전문용어의 의미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확인하고 그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확인한다. 이것은 또한 (제 4 메시지(204)로)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의 송신이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의 송신에 대응하고(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와 그 다른 (후속) 기지국 송수신기 사이의 관계에서),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를 향해 (제 3 메시지(203)와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단계에서,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을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보고하도록 허용됨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이 가능성의 이용자 장비 당 활성화에 의해 실현되고, 즉 보고 기능의 활성화는,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의 코어 네트워크(15)를 향한 보고가 인에이블링되거나 그렇지 않도록 각각의 (타겟) 이용자 장비에 대해 스위칭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보고 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함을(또는 그렇지 않아야 함을) 즉, 특정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대해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들의 카운팅(및 집성)이 활성화되어야 함을(또는 그렇지 않아야 함을) 액세스 네트워크(16)에 지시하도록, LTE에서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15)의 엔티티로부터의 초기 메시지에 의해 행해진다. 이것은 예를 들면, LTE 네트워크에서 S1 인터페이스 상의 초기 콘텍스트 셋업 요청 정보 요소의 부가적인 정보 요소(IE)를 통해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에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들의 카운팅을 일반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일 대안적인 방법은 운용 및 보수(O&M) 수단에 의한 구성 즉, 전형적으로, 더 큰 그룹의 (타겟) 이용자 장비들을 위한 구성일 것이다.
일단, 기지국 송수신기(11, 12)가 나중에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포워딩될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 송수신기(11, 12)는 백홀 인터페이스(S1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대한 도달된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을 카운팅하고, 그것을 타겟 이용자 장비(20)를 향한 에어 인터페이스 상의 송신에 성공한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과 비교한다. 백홀 상에 도달한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과 에어 인터페이스 상의 송신에 성공한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 사이의 차는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대응하고, 이는 이후 단계에서 보고되어야 한다.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에 대해,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결정할 때, 이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이 집성되고,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에 대해,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를 결정할 때, 이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이 집성된다.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하는 경우에(즉,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또는 제 1 라디오 셀(11')로부터 제 2 라디오 셀(12')로), 타겟 이용자 장비(20)는 소스 기지국 송수신기(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타겟 기지국 송수신기(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향해 핸드 오버될 것이다. 최신의 정보를 구축(또는 집성)하기 위해 및 각각의 주어진 시점에서 특정 타겟 이용자 장비(20)의 집성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해 정정하기 위해, 소스 기지국 송수신기(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의 최근에 생성된(집성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는 타겟 셀에서 즉,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에 대해 이용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것은 타겟 기지국 송수신기(즉,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에 대한 핸드 오버 시그널링에 더하여, 소스 기지국 송수신기에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즉,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의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피기백(piggy back)할 가능성을 이용함으로써 제공된다.
LTE에서와 같이, 2개의 상이한 LTE 내 핸드 오버 메커니즘들이 지원되고, 모든 핸드 오버 경우들 또는 셀 변경 상황들에서 이전에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의 포워딩(즉,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의 포워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2개의 상이한 경우들이 구별될 필요가 있다.
소위 X2 핸드 오버의 경우에, 이전에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즉,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소스 e노드B(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X2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e노드B(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제 3 메시지(203))에 부가될 필요가 있다.
소위 S1 핸드 오버(또는 셀 변경)의 경우에, 이전에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즉,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소스 e노드B(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의 S1 인터페이스 상의 MME(코어 네트워크(15))를 향한 핸드오버 요청된 메시지(제 1 메시지(201))에 및 MME(코어 네트워크(15))로부터의 타겟 e노드B(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향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제 2 메시지(202))에 포함되는 소스 대 타겟 투명 컨테이너에 부가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송신하기 위한 일 대안적인 해결책은 이전에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즉,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UE 이력 정보에 부가하는 것이다. 지원되면, UE 이력 정보는 LTE에서 이용된 핸드 오버 유형에 상관없이, 투명한 방식으로 소스-e노드B(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타겟-e노드B(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의 정보의 포워딩을 허용한다.
일단,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타겟 기지국 송수신기(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핸드오버되었으면,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소스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수신된 이전에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즉,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이용하여, 집성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을 추가로 계산할 것이고(즉,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를 계산(또는 집성)할 것이고) 즉, 타겟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가 다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포워딩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타겟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이제 임의의 새롭게 관측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의 값들을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통해 송신된) 이전 기지국 송수신기(들)로부터의 이전에 수신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 값들에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결과로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지국 송수신기 및 원격통신 네트워크(10)를 통해, 주어진 순간에서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연관된 기지국 송수신기는 (데이터) 접속을 종료시킬 때까지 (데이터) 접속이 셋업된 시간 동안 현재 집성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 정보를 보유한다. UE가 또 다른 기지국 송수신기로 핸드오버될 때, 전체 처리는 다시 시작될 것이다.
UE가 송신을 중단하거나 접속을 해제하는 경우에, (제 1 또는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1, 12)로부터 코어 네트워크(15)까지의 마지막 메시지들 중 하나는 또 다른 처리를 위해 총 집성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을 코어 네트워크(15)로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LTE의 경우에, 예를 들면, UE 콘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는 총 집성된 송신에 실패한 다운 링크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을 각각의 e노드B(또는 기지국 송수신기(11, 12))로부터 MME 즉, 코어 네트워크(15)로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10: 원격통신 네트워크 11: 제 1 기지국 송수신기
12: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11', 12': 네트워크 셀들
15: 코어 네트워크 16: 액세스 네트워크
20: 타겟 이용자 장비
21: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
22: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

Claims (15)

  1.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대해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는 코어 네트워크(15),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15)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관련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camp on)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트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부터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트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관한,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 절차의 경우에,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송신되고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며,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사이의 X2 인터페이스,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 상기 코어 네트워크(15)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15)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되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및/또는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코어 네트워크(15)로의 핸드오버 요청된 메시지의 부분으로서 송신되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송되지만 상기 제 1 및/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1, 12)에 의해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은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것인,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 및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와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 사이에 확립된 상기 데이터 접속에 특정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와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 사이에 확립된 상기 데이터 접속이,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동안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는, 이용자 장비 콘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의 부분으로서,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의 코어 네트워크(15)로 송신되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6.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대해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는 코어 네트워크(15),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는 데이터 트래픽을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와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관련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트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부터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는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관한,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 절차의 경우에,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가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송신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사이의 X2 인터페이스,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 상기 코어 네트워크(15)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15)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되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
  7.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대해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는 코어 네트워크(15),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 및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는 데이터 트래픽을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와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관련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트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부터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관한,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 절차의 경우에,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가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송신되고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사이의 X2 인터페이스,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 상기 코어 네트워크(15)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15)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되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와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이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동안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이용자 장비 콘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의 부분으로서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의 코어 네트워크(15)로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송되지만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에 의해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은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것인,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 1 기지국 송수신기.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송되지만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에 의해 송신에 실패할 데이터 패킷들은 이용자 평면 데이터 양에 관한 것인,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제 2 기지국 송수신기.
  11.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대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는 코어 네트워크(15),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는 데이터 트래픽을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15)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와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접속에 관련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는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트하고,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는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는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부터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로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 양을 카운트하고,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는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관한,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 절차의 경우에,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가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로 송신되고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2)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21)는: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사이의 X2 인터페이스,
    - 상기 제 1 기지국 송수신기(11)와 상기 코어 네트워크(15)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15)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
    -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에 관한 이용자 장비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송신되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는,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와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 사이에 확립된 상기 데이터 접속이 상기 타겟 이용자 장비(20)가 상기 제 2 기지국 송수신기(12)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 캠프 온하는 동안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제 2의 전달되지 않은 패킷 데이터 양 정보가 이용자 장비 콘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의 부분으로서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의 코어 네트워크(15)로 송신되도록 구성되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
  13.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또는 제 1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들(11, 12) 상에서 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들(11, 12) 또는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하여금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4. 원격통신 네트워크(10)에서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또는 제 1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들(11, 12) 상에서 또는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기지국 송수신기들(11, 12) 또는 상기 원격통신 네트워크(10)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로 하여금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과금 정보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5. 삭제
KR1020157019273A 2012-12-17 2013-12-10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과금 정보 정확도의 개선 KR101980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8370 2012-12-17
EP12008370.4 2012-12-17
PCT/EP2013/076108 WO2014095493A1 (en) 2012-12-17 2013-12-10 Improving charging information accuracy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755A KR20150096755A (ko) 2015-08-25
KR101980518B1 true KR101980518B1 (ko) 2019-08-28

Family

ID=4747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273A KR101980518B1 (ko) 2012-12-17 2013-12-10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과금 정보 정확도의 개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81002B2 (ko)
EP (1) EP2932655B1 (ko)
JP (1) JP2016501494A (ko)
KR (1) KR101980518B1 (ko)
PL (1) PL2932655T3 (ko)
WO (1) WO2014095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9912B (zh) * 2020-08-04 2024-02-23 中国移动通信集团重庆有限公司 一种流量信息上报方法、基站及系统
WO2022052031A1 (zh) * 2020-09-11 2022-03-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丢包指示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04896D0 (en) * 2002-03-01 2002-04-17 Nokia Corp Data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139258B1 (en) * 2007-03-22 2015-05-06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8345632B2 (en) * 2007-04-26 2013-0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cessing mobile station history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472800A (en) * 2009-08-18 2011-02-23 Nec Corp System for ensuring the core network is aware of the aggregated number of unsuccessfully transmitted downlink data packets for a mobile device
US20120002637A1 (en) * 2010-06-18 2012-01-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ome node-b mobilit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wei, "Data Volume Report function in SAE/LTE", 3GPP TSG RAN WG3 Meeting #56, R3-071091, (2007.05.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932655T3 (pl) 2020-11-16
US20150373203A1 (en) 2015-12-24
WO2014095493A1 (en) 2014-06-26
EP2932655B1 (en) 2020-05-20
EP2932655A1 (en) 2015-10-21
US9681002B2 (en) 2017-06-13
JP2016501494A (ja) 2016-01-18
KR20150096755A (ko)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591B1 (ko) 비어있는 gre 패킷들을 사용하는 3g lte 인트라-eutran 핸드오버 제어
US10536824B2 (en) Band usage information generating and reporting method, charging method, eNodeB, and MME
US11659545B2 (en) Tethering policy for cellular networks
CN108353258B (zh) 使用聚合无线电接入的无线通信网络中用于计费区分的方法和设备
EP2636263B1 (en) Transmitter assisted quality of service measurement
EP3955698B1 (en) An enhanced up function requested pfcp association release
US9820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harging over multiple network nodes
US20210385723A1 (en) Polic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60309373A1 (en) Charging interface for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of call sessions
KR101960653B1 (ko)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과금 정보 정확도의 개선
KR101980518B1 (ko)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과금 정보 정확도의 개선
CN106031212A (zh) 用于适配无线电协作方案的方法、节点、计算机程序以及计算机程序产品
JP5736617B2 (ja) 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KR20170069807A (ko) 유무선 트래픽 사용량 산정 장치 및 방법
US202400483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