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212B1 - Method for producing film of uniform thickness using heterogeneous particle and film produc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film of uniform thickness using heterogeneous particle and film produced by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0212B1 KR101980212B1 KR1020170150513A KR20170150513A KR101980212B1 KR 101980212 B1 KR101980212 B1 KR 101980212B1 KR 1020170150513 A KR1020170150513 A KR 1020170150513A KR 20170150513 A KR20170150513 A KR 20170150513A KR 101980212 B1 KR101980212 B1 KR 1019802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cles
- substrate
- composite
- adhesive
- fil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particulate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8—Thiocarb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xanthates ; i.e. compounds containing -X-C(=X)- groups, X being oxygen or sulfur, at least one X being sulfu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04—Polysilox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4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 C08K2003/38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bo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불균일한 크기의 다종 입자를 이용한 균일한 두께의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복합 입자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여러 종류의 다양한 크기를 갖는 입자를 이용하여 고밀도의 균일한 다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article film having uniform thickness using a heterogeneous particle having a uniform size and a composite particle film produced thereby. More specifically, To a coating method for forming a multi-layered film.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 background art relat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and they are not necessarily meant to be known arts.
안료란 형태와 크기를 가지면서 분산된 상태로 사용되는 물질로서, 도료, 인쇄 잉크, 플라스틱, 화장품 등 모든 분야에서 이용되는 착색제이다. 안료는 일반적으로 용매 상에서 크기, 형상을 조절하여 합성될 수 있으며 이후 탈염, 탈용매, 건조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입자 간 응집으로 인해 본래 입자보다 큰 사이즈의 2차, 3차 입자를 형성하게 되는데, 비교적 응집력이 적은 어글로머레이트(Agglomerate)나 더 강한 응집력을 갖는 어그리게이트 (Aggregate) 등에 의해 불균일한 사이즈로 나타난다.Pigment is a substance used in a dispersed state having a shape and a size, and is a coloring agent used in all fields such as paints, printing inks, plastics, and cosmetics. The pigment can be synthesized by controll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pigment in the solvent, and then the pigment is desalted, desolvated and dried. In this process, secondary and tertiary particles of a size larger than the original particles are formed due to intergranular agglomeration. Agglomerates having relatively low cohesive force or Aggregate having a strong cohesive force are used to form non-uniform It appears in one size.
안료의 코팅은 주로 용매 상 분산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코팅할 안료가 응집되어 있을 경우 입자의 개별적인 분산이 어렵기 때문에 기재 상에 불균일한 두께의 코팅막을 형성하게 된다.The coating of the pigment is mainly carried out by solvent phase dispersion. When the pigment to be coated is aggregated, it is difficult to individually disperse the particles, thereby forming a coating film having an uneven thickness on the substrate.
특히 도료분야에서 응집으로 인해 불균일한 사이즈를 갖게 된 안료 입자를 코팅할 때, 작은 입자가 기재에 먼저 토착되고 이후 상대적으로 큰 입자가 토착되기 때문에 도료의 토착 효율이 감소하거나, 도막이 건조됨에 따라 안료의 불균일한 분포로 인해 색 분리가 일어나는 등 코팅막의 두께, 색상 균일도가 낮아지는 원인이 된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안료 입자의 응집이 색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불균일한 입자 분산액은 화장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 입자는 랜덤한 비율로 응집되므로 제조 배치 간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안료를 도료, 잉크, 화장품 등의 제품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안료 입자를 적절히 용매 상에 분산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후 분산된 용액이 기재에 도포될 수 있어야 한다. 응집된 입자는 다시 분산되기 어려우므로 분산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도입 및 발전되어 왔다.Particularly, when coating the pigment particles having a non-uniform size due to agglomeration in the field of paints, since the small particles are first deposited on the substrate and then relatively large particles are deposited, the internal efficiency of the coating is decreased, The thickness and color uniformity of the coating film may be lowered. In the field of cosmetics, the dispersion of pigment particles affects the quality of cosmetics, since the aggregation of pigment particles can affect the color. In addition, since the particles are agglomerated at a random rati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lor between the manufacturing batches can be chang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isperse the pigment particles appropriately in the solvent in order to use the pigment in products such as paints, inks, and cosmetics, and then the dispersed solu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substrate. Since the agglomerated particles are difficult to be dispersed again, various techniques for dispersion have been introduced and developed.
과거 도료는 대부분 유기용매에 소수성 안료를 분산시켜 제조하였다. 그러나 독성문제로 인해 수성도료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물을 용매로 사용하게 되었고 이는 소수성 안료의 젖음성, 분산성에 불이익을 주게 되었다. 이에 따라 분산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계면활성제, 고분자 등으로 표면개질을 하거나 피막 형성, 플라즈마, 분쇄 등의 방식을 이용하게 되었다.Most past paints were prepared by dispersing hydrophobic pigments in organic solvents. However, due to the toxicity problem, the necessity of water - based paints has arisen and water has been used as a solvent, which has been detrimental to the wettability and dispersibility of the hydrophobic pigments.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surface modification with a surfactant, a polymer, or the like, or a method such as film formation, plasma, or grinding has been used.
또한, 화장품은 PMMA, TiO2, Iron Oxide 등의 다양한 입자가 사용되는데, 각각의 입자가 갖는 독특한 표면 특성에 의해 수상 혹은 유상에서 균일하게 분산되기 까다롭다. 그러므로 표면개질, 분산제(wetting agent), 안정제(stabilizer) 등의 첨가제와 sonicator, osterizer, homogenizer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균일한 분산용액을 제조하도록 하였다.In cosmetics, various particles such as PMMA, TiO 2 , and Iron Oxide are used. Due to the unique surfac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icle,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disperse in water or oil phase. Therefore, a uniform dispersion solution was prepared by using additives such as surface modification, wetting agent, stabilizer and sonicator, osterizer and homogenizer.
즉, 안료를 제품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용매 분산 시 안료의 표면 특성과 용매, 첨가제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제품을 설계해야 한다. 안료는 용매 상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사용해야 제품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제품의 재현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at is, in order to utilize the pigment as a product, the product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pigment and the solvent and the additive during solvent dispersion. The pigment must be uniformly dispersed on a solv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dispersed state stably to improve the reproducibility of the product.
이에 본 발명은 첨가제, 설비 등의 사용을 제한하여 초기비용 감소와 코팅막 형성의 편의를 도모하며, 제품의 퀄리티와 재현성을 향상하고자 새로운 방식의 코팅법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ovel coating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reproducibility of a product by limiting the use of additives, facilities, etc., thereby reducing the initial cost and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a coating fil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균일한 두께의 복합 입자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ating method capable of forming a composite particle film of uniform thickness without using a dispersion solvent.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착성 고분자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기재 입자를 이용하여 상기 밀착성 고분자 기판 상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철 구조가 형성된 밀착성 고분자 기판 상에 불균일한 크기를 갖는 다종의 입자가 혼합된 복합 입자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입자를 고부착성 기판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preparing an adhesive polymer substrate; Form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on the adhesive polymer substrate using the base particles; Coating a composite particle on which an adhesive polymer substrate having the concavo-convex structure is formed, on which a plurality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sizes are mixed; And transferring the composite particles to a high-adhesion substrate.
또한 상기 복합 입자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입자, 산화철(Iron oxide) 입자 및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SiO2)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site particles include titanium dioxide (TiO 2 ) particles, poly (methylmethacrylate), PMMA particles, iron oxide particles, and silicon dioxide (SiO 2 ) particles. .
또한 상기 복합 입자는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20 내지 30중량%로 포함하고 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및 산화철 입자를 각각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규소 입자를 60 내지 7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osite particles may include 20 to 30% by weight of the titanium dioxide particles, 1 to 5% by weight of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and iron oxide particles, and 60 to 70% by weight of the silicon dioxide particles.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고부착성 기판은 계면활성제로서 PluronicTM F127(BASF社)을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기판인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In addition, the high-adhesion substrate is a surface active agent Pluronic TM F127 polydimethylsiloxane (polydimethylsiloxane, PDMS) substrate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film comprising a particle (BASF社).
또한 상기 고부착성 기판은 상기 계면활성제를 0.005 내지 0.3wt%로 포함하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ighly adhesive substrate is characterized by being a substrate containing 0.005 to 0.3 wt% of the surfactant.
또한 상기 고부착성 기판에 전사된 복합 입자 상에 접착 물질을 도포 및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further forming an adhesive layer by applying and drying an adhesive material onto the composite particles transferred to the high-adhesion substrate.
또한 상기 접착 물질은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dhesive material includes polyacrylate crosspolymer-8.
또한 상기 접착 물질은 증류수에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를 희석한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dhesive material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olution in which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i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또한 상기 접착 물질은 증류수에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을 3% 이하로 희석한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dhesive material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olution in which distilled water is diluted to 3% or less of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접착 물질로서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BN)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further including boron nitride (BN) as the adhesive material.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을 코팅한 이후에 보론나이트라이드를 이용하여 재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coating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and then recoating using boron nitride.
본 발명은 건조된 복합 입자를 용매 상에 분산하지 않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용매와 기타 다른 입자 및 첨가제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복합 입자의 조성에 있어서 입자 뭉침이 심한 이산화티타늄(TiO2) 입자의 함량을 25% 이상으로 높여도 균일한 두께의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다. Since the dried composite particles can be uniformly applied without being dispersed in a solvent,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lvent and other particles and additives, and titanium dioxide (TiO 2 ) particles to 25% or more, a coating film having a uniform thickness can be 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성 고분자 기판에 기재 입자를 밀착시켜 요철 구조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 구조가 형성된 밀착성 고분자 기판에 복합 입자를 도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부착성 기판을 이용하여 복합 입자를 전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부착성 기판에 복합 입자가 전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입자가 코팅된 PDMS 기판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내었으며, 도 5b는 오븐 보관 후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입자 사이에 복합 입자가 충진된 PDMS 기판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입자가 전이된 고부착성 기판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부착성 기판에 전사된 복합 입자 필름의 taping 후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접착물질의 종류에 따른 복합 입자 전이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 전이된 필름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의 피부 상 전이된 필름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 입자 필름의 색차계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 입자 필름의 균일도 확인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FIG. 1 shows a base polymer particle adhered to an adhesive polymer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oncavo-convex structure.
FIG. 2 shows composite particles coated on an adhesive polymer substrate hav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transfer of composite particles using a highly adhesive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the transfer of composite particles onto a highly adherent subst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show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of a PDMS substrate coated with silica 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show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after oven storage.
6 i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of a PDMS substrate filled with composite particles between silica 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of a highly adhesive substrate onto which composite particles have been transfer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mage after taping of a composite particle film transferred onto a high-adhesion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composite particle transition images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adhesive material.
FIG. 10 shows a skin-transferred film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skin-transferred film image of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lorimetric measurement data of a composite particle film pro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hows an image showing uniformity of a composite particle film produ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solely by the appended claims. shall.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word "comprise", "comprises", "comprising" means including a stated article, step or group of articles, and steps, , Step, or group of objects, or a group of steps.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contrary,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re is no clear counterpoint. Any feature that is specifically or advantageously indicated as being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or feature that is indicated as being preferred or advantageou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은 불균일한 크기를 갖는 여러 종류의 입자가 혼합된 복합 입자를 용매 상에 분산하지 않고 균일한 두께로 코팅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건조된 복합 입자를 이용한다.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은 밀착성 고분자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10), 기재 입자를 이용하여 상기 밀착성 고분자 기판 상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요철 구조가 형성된 밀착성 고분자 기판 상에 불균일한 크기를 갖는 여러 종류의 입자가 혼합된 복합 입자를 코팅하는 단계(S30) 및 상기 복합 입자를 고부착성 기판에 전사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복합 입자가 균일한 두께로 코팅된 복합 입자 필름을 제조한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articl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ating a composite particle in which various kinds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sizes are mixed in a uniform thickness without being dispersed in a solvent, .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article film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n adhesive polymer substrate (S10), form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on the adhesive polymer substrate by using base particles (S20), forming a concave-convex structure on the adhesive polymer substrate (S30) of coating a composite particle in which various kinds of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e mixed and a step (S40) of transferring the composite particle to a high-adhesion substrate, .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끈한 표면(smooth surface)을 갖는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을 준비한다.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의 표면은 특정한 패턴이나 굴곡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위에서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기재 입자(2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수준의 표면 거칠기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은 당기는 힘 등에 의해 늘어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First, as shown in Fig. 1, an
밀착성 고분자 물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등의 실리콘 기반 고분자 물질이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등을 포함하는 랩, 밀착 또는 밀봉을 목적으로 하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표면 형상의 변형이 용이한 광택을 지닌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밀착성 고분자로는 경도 조절이 용이하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용이한 PDMS가 사용될 수 있다.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은 베이스 기재에 밀착성 고분자를 코팅하여 제조되거나, 시트 또는 필름 형태의 밀착성 고분자가 부착되어 제조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adhesive polymer include a polymer based on a silicone-based polymer such as polydimethylsiloxane (PDMS), a polymer including polyethylene (PE), polyvinylchloride (PVC) A protective film containing a substance, a film having a gloss with which the surface shape can be easily deformed, and the like can be used. In particular, as the adhesive polymer, PDMS which can be easily controlled in hardness and is easy to manufacture in various forms can be used. The
여기에서, 밀착성 고분자 물질은 일반적으로 고체 상태의 실리콘을 포함하거나, 가소제 첨가 또는 표면 처리를 통해 부착 특성이 부여된 유기 고분자 물질을 지칭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밀착성 고분자 물질은 일반적으로 선형 분자구조에 의하여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며 낮은 표면 장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밀착성 고분자 물질의 우수한 부착성은 미세 영역에서의 표면 변형이 용이한 부드러운(유연성) 표면 재질과 낮은 표면 장력 등에 기인한다. 밀착성 고분자 물질의 낮은 표면 장력은 부착하고자 하는 입자에 넓게 활착하려는 특성을 가져오며(용액의 젖음 현상과 유사), 유연성을 지닌 표면은 부착하고자 하는 입자(20)와 빈틈 없는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보적인 결합력 없이 가역적으로 고체 표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부착성 폴리머의 특성을 지니게 된다.Herein, the adhesive polymer material generally refers to an organic polymer material containing silicon in a solid state, or adhering property through addition of a plasticizer or surface treatment. Here, the adhesive polymer material is gener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ily deformed by a linear molecular structure and has a low surface tension. The excellent adhesion of such an adhesive polymeric substance is attributed to a soft surface material which is easily deformed in a fine region and a low surface tension. The low surface tension of the adherent macromolecule has the property of spreading widely on the particle to be adhered (similar to the wetting phenomenon of the solution), and the flexible surface makes a tight contact with the
상기 밀착성 고분자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10)는 상기 밀착성 고분자 기판에 UV 조사 처리하여 준비함으로써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의 표면에너지 향상시켜 기재 입자(20)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밀착성 고분자 기판에 UV 조사 처리하여 준비하는 경우 결합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것과 같이 기재 입자를 밀착시키기 위한 압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불규칙적인 배열이 형성되는 조건으로 기재 입자를 밀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8 mW/cm2 이상이며 최소 10 mW/cm2의 광출력값을 갖는 UV를 2 내지 10분 조사하는 것이 좋다.The step (S10) of preparing the adhesive polymer substrate can improve the surface energy of the
계속해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을 준비한 후, 복수의 기재 입자(20)를 정렬하여 밀착성 고분자 기판(10) 위에 요철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bsequently, after the
먼저, 밀착성 고분자 기판(10) 위에 건조된 복수의 기재 입자(20)를 도포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용액 상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는 밀착성 고분자 표면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기 어려워서 코팅이 잘 이루어 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하는 입자의 질량보다 적은 미량의 용액이나 휘발성 용매를 이용한 경우에만 코팅 작업 중 입자가 건조되어 코팅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기재 입자(20) 도포 후 증류수 워싱, 질소 블로잉 등으로 입자의 함침을 유도할 수 있다. First, a plurality of dried
본 실시예에서 기재 입자(20)는 요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재 입자(20)는 고분자, 무기물, 금속, 자성체, 반도체, 생체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성질을 갖는 입자들을 혼합된 것이 기재 입자(20)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물 입자인 것이 좋다. In this embodiment, the
기재 입자(20)로 이용될 수 있는 무기물로는, 실리콘 산화물(일례로, SiO2), 인산은(일례로, Ag3PO4), 티타늄 산화물(일례로, TiO2), 철 산화물 (일례로, Fe2O3), 아연 산화물, 세륨 산화물, 주석 산화물, 탈륨 산화물, 바륨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이트륨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구리산화물, 니켈 산화물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Examples of the inorganic substance that can be used as the
기재 입자(20)는 대칭 형상, 비대칭 형상, 무정형, 다공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기재 입자(20)는 구형, 타원형, 반구형, 큐브형,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팔면체, 기둥형, 뿔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이 중에서 기재 입자(20)의 형태로는 구형 또는 타원형이 다른 형태에 비해 바람직하다.The
이러한 기재 입자(20)는 평균 입경이 30μm 내지 100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30μm 미만일 경우에는,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감싸지는 형태가 될 수 있어 기재 입자(20)를 단층 수준으로 밀착시키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기재 입자(20)의 평균 입경이 30μm 미만인 경우에는 후술할 복합 입자의 크기와 유사거나 함침율에 의해 더 작을 수 있기 때문에 복합 입자를 코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기재 입자(20)의 평균 입경이 100μ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부착이 약하게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40 내지 80μm의 기재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함침율을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전사되는 다층 코팅막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기재 입자(20)의 입경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전사되는 복합 입자 필름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입자(20)의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에의 함침율을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전사되는복합 입자 필름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 particle film to be finally transferre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article size of the
계속해서, 복수의 기재 입자(20) 위에서 압력을 가하여 요철 구조를 형성한다. 기재 입자(20)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으로는 라텍스, 스폰지, 손, 고무판, 플라스틱 판,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는 재료 등을 이용하여 문지르는(rubbing)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기재 입자(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Subsequently, pressure is applied on the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서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의 표면 위에 기재 입자들(20)을 올린 후에 압력을 가하면 압력이 가해진 부분의 기재 입자들(20)이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의 변형을 통해 부착된다. 이에 의하여 해당 부분에 기재 입자들(20)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오목부(12)에 기재 입자(20)가 감싸인 상태에서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에 기재 입자들(20)을 육방밀집구조(hexagonal close packing)로 단층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UV 처리된 밀착성 고분자 기판에 기재 입자를 도포한 후 흔들어서 불규칙한 배열로 정렬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오목부(12)는 입자와 기판 간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가역적이다. 즉, 소멸될 수도 있으며,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문지르는 과정에서 입자가 이동하게 되면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오목부(12)가 사라지거나, 기재 입자(20)의 이동에 따라 오목부(12)도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역적 작용에 의해 기재 입자(20)가 고르게 정렬될 수 있다(여기서의 "가역적"은 코팅 시 밀착성 고분자 기판 표면의 유연성 및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발생되는 특성이므로, 밀착성 고분자 기판의 복원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지거나 소멸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넓은 의미이다).The
밀착성 고분자 기판(10) 위에 기재 입자(20)를 낮은 밀도로 도포한 후 밀착시키면 기재 입자(20)들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면서 고르게 밀착이 되도록 함으로써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밀착성 고분자 기판(10) 위에 기재 입자(20)를 높은 밀도로 도포하여 밀착시킨 후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을 늘려 그 넓이를 확장시킴으로써 기재 입자 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의 넓이를 확장시키는 방법으로는 복수의 클램프로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의 가장자리를 클램핑한 후, 균일한 힘으로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을 사방으로 잡아당기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S20)는 상기 기재 입자(20)를 밀착성 고분자 기판에 간격을 두고 밀착시킨 이후, UV 조사 후 오븐에서 보관하여 상기 기재 입자(20)와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기재 입자(20)의 함침률은 높아지며 노출된 밀착성 고분자 기판(10)의 접착력은 낮아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28 mW/cm2 이상이며 최소 10 mW/cm2의 광출력값을 갖는 UV를 10 내지 60분 조사한 후 40 ℃ 내지 150 ℃의 오븐에서 2 내지 8 시간 동안 보관하는 것이 좋다.The step S20 of forming the concavo-convex structure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요철 구조가 형성된 밀착성 고분자 기판에 불균일한 크기를 갖는 다종의 입자가 혼합된 복합 입자(30)를 도포한 후 압력을 가하여 복합 입자(30)를 상기 기재 입자(20)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충진시킨다. 이 때, 상기 복합 입자(30)들의 크기는 상기 기재 입자(20)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간격 상에 다층으로 충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입자(20)에 의해 형성된 요철 높이 정도의 두께로 충진된다. 압력을 가하는 방법은 상기 언급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복합 입자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입자, 산화철(Iron oxide) 입자 및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SiO2) 입자를 포함한다.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자외선 차단 및 피부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는 사용감 향상을 위하여 포함될 수 있으며, 산화철 입자는 색상 및 채도 조절을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The composite particles include titanium dioxide (TiO 2 ) particles,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articles, iron oxide particles, and silicon dioxide (SiO 2 ) particles . Titanium dioxide particles may be included to cover UV protection and skin imperfections, and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may be included to enhance feel, and iron oxide particles may be included for color and saturation control.
이때,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입자 뭉침이 심한 입자이기 때문에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함량을 낮추기 위하여 이산화규소 입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매 상의 분산성이나 화장품 제형의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산화규소 입자를 고중합메칠폴리실록산(Highly Polymerized Methyl Polysiloxane, Methicone) 등의 케이킹방지제로 처리하여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용매 상에 분산시키지 않고 건조된 복합 입자를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되지 않은 이산화규소 입자를 사용하여도 좋다.At this time, the titanium dioxide particles include silicon dioxide particles in order to lower the content of the titanium dioxide particles, since the particles are intense particles. In general, silicon dioxide particles are treated with an anti-caking agent such as Highly Polymerized Methyl Polysiloxane (Methicone) in order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solvent phase and the feeling of use of cosmetic formulations. However, It is possible to uniformly coat dried composite particles Therefore, untreated silicon dioxide particles may be used.
상기 복합 입자는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20 내지 30중량%로 포함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및 산화철 입자를 각각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규소 입자를 60 내지 70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방법에 의하면 입자 뭉침이 심한 TiO2의 함량을 25% 이상으로 높여도 균일한 두께의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다. Wherein the composite particles comprise 20 to 30% by weight of the titanium dioxide particles, 1 to 5% by weight of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and iron oxide particles, respectively, and 60 to 70% by weight of the silicon dioxide particles do. According to the co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coating film having a uniform thickness even if the content of TiO 2 having a high degree of particle aggregation is increased to 25% or more.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3 μm이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 내지 20μm이며, 산화철 입자는 0.5 내지 2μm이고, 이산화규소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 내지 20μm인 것을 사용한다. The titanium dioxide particles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3 占 퐉,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20 占 퐉, iron oxide particles of 0.5 to 2 占 퐉, and silicon dioxid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20 占 퐉 do.
요철 구조가 형성된 밀착성 고분자 기판에 코팅된 복합 입자(3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후 더 높은 접착력을 갖는 고부착성 기판(40)으로 전이할 수 있다.The
상기 고부착성 기판(40)은 계면활성제(surfactant)를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등의 실리콘 기반 고분자 물질로 제조된 기판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PluronicTM F127(BASF社)을 사용한다. The highly
상기 고부착성 기판(40)은 상기 계면활성제가 0.005 내지 0.3wt% 로 포함된 PDMS 기판을 사용한다.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고부착성 기판(40)은 복합 입자의 전이가 이루어진 후에 열처리 과정에서 복합 입자와 밀착성 고분자 기판(10) 간의 접착력이 상실될 수 있으므로, 복합 입자의 전이가 잘 이루어지며 이후 접착 물질을 통해 기재에 코팅될 때 고부착성 기판과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거나 0.3 wt% 초과하여 포함된 PDMS 기판의 경우 밀착성 고분자 기판에서 고부착성 기판으로의 복합 입자의 전이는 잘 이루어 지지만 PDMS 자체의 접착력에 의하여 접착 물질을 통해 피부 상에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가 0.005wt% 미만으로 포함된 PDMS 기판의 경우 복합 입자의 전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가 0.005 내지 0.2wt%로 포함된 PDMS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가 0.005 내지 0.01wt%로 포함된 PDMS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highly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고부착성 기판에 전사된 복합 입자 상에 접착 물질을 도포 및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50, 미도시)에 의해 피부 등의 개체에 복합 입자를 접착시킬 수 있다. 실제 사용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복합 입자 필름을 이형지 필름에 부착시켜 보관하고 사용 시(피부 부착 시)에 이형지 필름을 제거하여 피부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articl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tep (S50)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by applying and drying an adhesive material onto the composite particle transferred to the high-adhesion substrate. The adhesive layer 50 (not shown) can adhere the composite particles to an individual such as a skin. According to the practical use example, the composite particle film having the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may be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and stored, and the release film may be removed during use (when the skin is attached) to adhere to the skin.
상기 접착 물질은 풀루란(Pullulan),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칠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MQ 레진(MQ resin),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합 입자 전이 능력 및 고부착성 기판과의 접착력을 고려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 후에도 접착력이 존재하여 피부에 접착이 가능하다.The adhesive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ullulan, Acrylates / 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MQ resin, Polyacrylate crosspolymer-8, Etc., and it is preferable to use Polyacrylate crosspolymer-8 in view of the ability to transfer a composite particle and adhesion to a highly adhesive substrate. Also, when polyacrylate crosspolymer-8 is used, the adhesive force can be applied to the skin even after drying.
바람직하게는 증류수에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를 3% 이하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고부착성 기판과의 접착력이 낮아 복합 입자를 전사하기 용이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증류수에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를 0.6% 이하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is diluted to not more than 3% in the distilled water, so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is low. More preferably, polyacrylate crosspolymer-8 is diluted to not more than 0.6% in distilled water.
또한 상기 접착층은 접착 물질로서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BN)를 더 포함하여 제조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 코팅 필름의 경우 피부에 부착된 이후에도 접착력이 존재하여 먼지 등에 오염되기 쉬우나, 보론나이트라이드를 더 포함하여 제조된 필름을 사용한 경우 피부에 부착된 이후에 접착력이 대부분 상실된다.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film produced by further including boron nitride (BN) as an adhesive material. In the case of the adhesive coating film formed by using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even after adhering to the skin, the adhesive force is liable to be contaminated with dust or the like.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film prepared by further containing boron nitride, Adhesion is mostly lost.
상기 보론나이트라이드를 더 사용하는 경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를 이용하여 코팅한 이후에 보론나이트라이드를 이용하여 재코팅하여 접착 코팅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2차 코팅을 하는 경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리머-8와 보론나이트라이드를 혼합하여 1차 코팅을 하는 경우에 비하여 후술할 실험예에 뒷받침되는 것과 같이 접착력이 상실되어 오염 문제를 줄일 수 있고, 보론나이트라이드가 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boron nitride is further used, it may be coated with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and then coated again with boron nitride to form an adhesive coating film. In the case of secondary coating,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olyacrylate crosslinker-8 and boron nitride are mixed to perform the primary coating, the adhesion is lost and the contamination problem can be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oron nitride is not easily removed by the external stimulus.
실시예 및 실험예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실리콘제인 A 용액 및 경화제인 B 용액으로 구성되는 실가드(Sylgard) 184 제품을 이용하여 A 용액 대비 B 용액을 4wt% 포함하는 PDMS 기판(이하, '4% PDMS 기판'이라 한다)을 5*5 (단위 : cm)로 제작하였다. 상기 4% PDMS 기판에 UV 5 min 조사 후 60 μm 사이즈의 실리카 입자 0.3 g (12 mg/cm2)을 골고루 도포하였다. 이 후 4% PDMS 기판에 골고루 퍼지도록 흔들어서 4% PDMS 기판의 표면에 실리카 입자를 단층의 불규칙한 배열로 코팅하였다. 증류수 워싱으로 입자 함침을 유도한 뒤 UV 20 min 조사 후 오븐에서 4 hr 방치하여 요철 구조가 형성된 기판(이하, 'Si-PDMS 기판'이라 한다)을 제조하였다. 도 5a에 실리카 입자가 코팅된 PDMS 기판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내었으며, 도 5b에 오븐 보관 후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내었다.A PDMS subst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4% PDMS substrate') containing 4 wt% of solution B relative to the solution A was dissolved in 5 * 5% by using a Sylgard 184 product composed of a solution of silicon jane A and a solution B as a curing agent (Unit: cm). After irradiation of UV for 5 min on the 4% PDMS substrate, 0.3 g (12 mg / cm 2 ) of silica particles having a size of 60 μm was evenly applied. Thereafter, silica particles wer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4% PDMS substrate with an irregular arrangement of a single layer by shaking uniformly on a 4% PDMS substrate. After impregnation of the particles with distilled water was conducted, the substrate was irradiated with UV for 20 minutes and left in an oven for 4 hours to prepare a substrate having a concave-convex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PDMS substrate). FIG. 5A show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of a PDMS substrate coated with silica particles, and FIG. 5B show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after oven storage.
상기 실리카 입자에 의해 요철 구조가 형성된 Si-PDMS 기판 상에 1~3μm 크기의 TiO2 입자가 25wt%, 10~20μm 크기의 PMMA 입자가 4wt%, 1~2μm 크기의 FeO 입자가 4wt%, 10~20μm 크기의 SiO2 입자가 67wt% 로 혼합된 복합 입자 0.3 g을 골고루 도포하였다. 이 후 라텍스 필름으로 감싼 스폰지를 이용하여 손으로 잡고 문질러서 복합 입자를 상기 실리카 입자 사이에 끼워 넣었다. 도 6에 실리카 입자 사이에 복합 입자가 충진된 PDMS 기판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On the Si-PDMS substrate having the concavo-convex structure formed by the silica particles, 25 wt% TiO 2 particles of 1 to 3 μm size, 4 wt% of PMMA particles of 10 to 20 μm size, 4 wt% of FeO particles of 1 to 2 μm size, And 0.3 g of a composite particle in which SiO 2 particles of ~ 20 μm size were mixed in 67 wt% were evenly coated. Thereafter, the composite particles were sandwiched between the silica particles by hand using a sponge wrapped with a latex film. Fig. 6 show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of a PDMS substrate filled with composite particles between silica particles.
이 후, 고부착성 기판으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을 포함하는 PDMS 기판을 이용하여 상기 실리카 입자 사이에 복합 입자가 충진된 PDMS 기판으로부터 복합 입자를 고부착성 기판으로 전사하였다. 도 7에 복합 입자가 전이된 고부착성 기판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Thereafter, the composite particles were transferred from the PDMS substrate filled with the composite particles between the silica particles to the high-adhesion substrate using a PDMS substrate containing the components shown in Table 1 as a high-adhesion substrate. FIG. 7 shows an image of a highly adhesive substrate on which composite particles have been transferred.
상기 복합 입자가 전이된 PDMS 기판 상에 접착물질(MQ 레진)을 도포하고 질소 가스를 불어 얇게 도포한 후, 80 ℃ 오븐에서 1시간 건조시켰다. 이후 테이핑(Taping)하여 전이된 복합 입자 필름의 상태를 확인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An adhesive material (MQ resin) was applied on the PDMS substrate on which the composite particles were transferred, and a nitrogen gas was blown thereon to thinly coat the PDMS substrate, followed by drying in an oven at 80 ° C for 1 hour. Thereafter, the state of the composite particle film transferred by taping was confirmed and is shown in FIG.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5(3% PDMS)의 경우, 전이는 잘 이루어지나, PDMS 자체의 접착력이 존재하여 테이프로 떼어내기 어려웠다. 전이된 입자 필름 일부에 전이되지 않은 구멍이 생겼다. 이는 MQ 레진의 구조가 PDMS와 유사하여 MQ 레진이 내부로 침투하였기 때문으로 예상된다.As shown in Fig. 8, in the case of Example 5 (3% PDMS), the transition was well performed, but the adhesive force of PDMS itself was present and it was difficult to peel off with tape. There was an untransferred hole in a portion of the transferred particle film. It is expected that the structure of MQ resin is similar to that of PDMS, and MQ resin penetrated inside.
또한 실시예 2(F127 0.4 % PDMS)의 경우, Taping 시 PDMS-레진이 강하게 접착하여 잘 떨어지지 않았다. 떼어내는 방향으로 무늬가 또렷히 나타나며, 뻣뻣하게 벗겨지는 것을 알 수 있다.In case of Example 2 (F127 0.4% PDMS), the PDMS-resin strongly adhered at the time of taping and did not fall well. The pattern appears crisp in the direction of removal and can be seen to be stiffly peeled off.
또한 실시예 3(F127 0.2 % PDMS) 및 실시예 4(F127 0.1 % PDMS)의 경우, Taping 시 PDMS-레진의 접착력 감소로 인해 전이가 부분적으로 일어났다. 비교적 테이프를 떼어내기 쉬웠다.Also in the case of Example 3 (F127 0.2% PDMS) and Example 4 (F127 0.1% PDMS), the transition occurred partially due to the decreased adhesion of the PDMS-resin during taping. It was relatively easy to remove the tape.
또한 실시예 1(F127 0.01 % PDMS)의 경우, Taping 시 PDMS-레진의 접착력 감소로 인해 전이가 깔끔한 필름 형태로 일어났다. 테이프로 벗겨내기 매우 용이하였다. Also, in Example 1 (F127 0.01% PDMS), the transition occurred in a neat film form due to the decrease in adhesion of the PDMS-resin at tapping. It was very easy to peel off with tape.
또한 실시예 5(3% PDMS)의 경우 복합 입자를 전이하여 복합 입자 필름을 형성할 때, 3% PDMS 자체 접착력으로 인하여 피부 상에 복합 입자가 전이되기 어려운 반면, 실시예 1 내지 4(F127 PDMS)의 경우 열을 가하면 접착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오븐에서 건조함으로써 피부 상에 복합 입자가 전이되기 용이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 5 (3% PDMS), composite particles were difficult to transfer to the skin due to the 3% PDMS self-adhesive force when the composite particles were transferred to form a composite particle film, whereas Examples 1 to 4 (F127 PDMS ), It is easy to transfer the composite particles onto the skin by drying in an oven because the adhesive force disappears when heat is applied.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실시예 1의 F127 0.01 % PDMS 기판을 사용하여 복합 입자를 전사시킨 경우가 가장 피부 상에 복합 입자를 전이하기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mposite particles are most preferably transferred to the skin when the composite particles are transferred using the F127 0.01% PDMS substrate of Example 1.
또한 피부 상 부착을 위한 접착물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Pullulan, Acrylates/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MQ resin, Polyacrylate crosspolymer-8 의 복합 입자 전이 능력을 확인하였다. 도 9에 접착물질의 종류에 따른 복합 입자 전이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Acrylates / 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MQ resin, and Polyacrylate crosspolymer-8 were also tested for their ability to transfer composite particles. FIG. 9 shows a composite particle transition image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adhesive material.
도 9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Pullulan, Acrylates/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MQ resin의 경우 건조 후 접착력을 상실하였으며, 필름 형태로 건조되며 유연하지 않아 쉽게 부서졌다. Polyacrylate crosspolymer-8의 경우 건조 후 접착력이 존재하여 피부로 전이될 수 있었으며, 피부 밀착이 우수하며 두께가 얇았다. 그러나 피부 전이 후에 접착력이 남아 있어 오염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As shown in FIG. 9, in the case of Pullulan, Acrylates / 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and MQ resin, the adhesive was lost after drying, and it was dried in a film form and easily broken because it was not flexible. In the case of Polyacrylate Crosspolymer-8, it was able to transfer to the skin due to the adhesive force after drying, and it had good skin adhesion and thin thickness.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force remained after the skin metastasis and thus it was easily contaminated.
따라서, Polyacrylate crosspolymer-8 용액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건으로 희석하여 복합 입자가 전이된 필름에 도포하고, 80℃ 오븐에 건조한 후 접착력을 확인하였다. 도 10에 실시예 6 및 실시예 12 내지 15의 피부 상 전이된 필름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2 및 도 10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일정 농도(0.6%) 이하에서는 polycrylate crosspolymer의 잔존 접착력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Thus,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solution was dilut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below, and the composite particles were applied to the transferred film, dried at 80 ° C in an oven, and then adhered. FIG. 10 shows images of the skin-phase transferred films of Example 6 and Examples 12-15.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2 and FIG. 10,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dual adhesive strength of the polycrylate crosspolymer was similar at or below a certain concentration (0.6%).
Crosspolymer 조성 (%)
/ (용액의부피)Polyacrylate
Crosspolymer Composition (%)
/ (Volume of solution)
(0.3 ml)0.6
(0.3 mL)
(1 ml)2
(1 mL)
(1.5 ml)3
(1.5 mL)
(2 ml)4
(2 mL)
(3.5 ml)7
(3.5 mL)
(150 ul)0.3
(150 μl)
(75 ul)0.15
(75 [mu] l)
(30 ul)0.06
(30 [mu] l)
(10 ul)0.02
(10 [mu] l)
0.6% 농도의 polycrylate crosspolymer 경우에도 피부 상 전이 후 접착력이 존재하여 먼지 등에 오염되기 쉬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olycrylate crosspolymer 코팅 후 Boron nitride(BN)를 코팅한 경우(A)와, polycrylate crosspolymer와 Boron nitride를 혼합하여 코팅한 경우(B)를 비교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A), polycrylate crosspolymer, and boron nitride (BN) were coated after polycrylate crosspolymer coat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polycrylate crosspolymer at the concentration of 0.6% Fig. 11 shows a comparison of (B) in the case of mixing and coating.
polycrylate crosspolymer 코팅 후 Boron nitride(BN)를 코팅한 경우(A) 접착력이 상실되며 BN이 자극에 의해 제거되지 않았으며, polycrylate crosspolymer와 Boron nitride를 혼합하여 코팅한 경우(B) 접착력이 존재하며 polycrylate crosspolymer만 사용하여 코팅한 경우의 필름보다 두터운 형상을 보였다. In the case of coating with boron nitride (BN) after coating polycrylate crosspolymer (A), adhesion was lost and BN was not removed by stimulation, and when polycrylate crosspolymer and boron nitride were mixed and coated (B) The film was thicker than the film of the case of using only the coating.
상기 결과에 따라, 판상구조를 갖는 BN (Boron Nitride)의 경우 구형의 입자와 비교 시 polyacrylate crosspolymer의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polycrylate crosspolymer 코팅 후 Boron nitride(BN)를 코팅한 경우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BN (Boron Nitride)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can effectively reduce the adhesion of polyacrylate crosspolymer in comparison with spherical particles. In case of boron nitride (BN) coating after polycrylate crosspolymer coating It can be seen that it exhibits the optimum effect.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된 복합 입자 필름의 재현성 및 균일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코니카 미놀타 색채 색차계 CR-400 장비를 사용하여 색차계 데이터를 측정하여 도 12에 나타내었고, 복합 입자 필름의 촬영 이미지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6에 따라 각각 5개 샘플을 제조하였으며, K/S St.(Max)은 Sample 1(Data No. 1)의 색농도를 100으로 보았을 때의 상대적 수치를 의미하고, 기준값(sample 1)에 대한 나머지 4개의 샘플의 색농도를 측정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reproducibility and uniformity of the composite particle film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 1 and Example 6 of the present invention, a Konica Minolta color CR-400 machine was used The colorimetric data was measured and shown in FIG. 12, and the shot image of the composite particle film is shown in FIG. Five samples were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and Example 6, respectively. K / S St. (Max) means a relative value when the color density of Sample 1 (Data No. 1) was taken as 100, (sample 1) were measured for the remaining four samples.
K/S St.(max) 값이 110 이하인 경우 유사한 색차값을 가져 균일한 두께로 코팅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도 1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 입자 필름은 K/S St. 값이 198.67부터 119.01까지 나타나 불균일하게 코팅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 입자 필름은 K/S St. 값이 110 이하로서 색차가 거의 없어 제품의 재현성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the composite particle film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 6 has a K / S St (max) value of 110 or less, . Value of from 198.67 to 119.01 appeared unevenly coated, whereas the composite particle film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a K / S < RTI ID = 0.0 > The value is less than 110, so that there is little color difference,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product is maintained.
또한 육안에 의해서도 도 1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복합 입자 필름(a)은 균일하게 코팅된 반면,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된 복합 입자 필름(b)은 불균일하게 코팅된 것을 알 수 있다. 13, the composite particle film (a) prepared in Example 1 was uniformly coated, whereas the composite particle film (b) prepared in Example 6 was non-uniformly coated, .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10: 밀착성 고분자 기판
20: 기재 입자
30: 복합 입자
40: 고부착성 기판
50: 접착층10: Adhesive polymer substrate
20: Base particles
30: Composite particle
40: high adhesion substrate
50: Adhesive layer
Claims (20)
기재 입자를 이용하여 상기 밀착성 고분자 기판 상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철 구조가 형성된 밀착성 고분자 기판 상에 불균일한 크기를 갖는 다종의 입자가 혼합된 복합 입자를 압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불균일한 크기를 갖는 다종의 입자가 혼합된 복합 입자를 고부착성 기판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Preparing an adhesive polymer substrate;
Form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on the adhesive polymer substrate using the base particles;
Coating a composite particle on which a plurality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sizes are mixed on an adhesive polymer substrate having the concavo-convex structure formed by a method of applying pressure; And
And transferring the composite particles mixed with the plurality of particles having the non-uniform size to a high-adhesion substrate.
상기 복합 입자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입자, 산화철(Iron oxide) 입자 및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SiO2)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particles include titanium dioxide (TiO 2 ) particles, poly (methylmethacrylate), PMMA particles, iron oxide particles, and silicon dioxide (SiO 2 ) particl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article film.
상기 복합 입자는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20 내지 30중량%로 포함하고 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및 산화철 입자를 각각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규소 입자를 60 내지 70중량%로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mposite particles comprise 20 to 30% by weight of the titanium dioxide particles, 1 to 5% by weight of each of polymethyl methacrylate particles and iron oxide particles, 60 to 70% by weight of the silicon dioxide particles ≪ / RTI >
상기 고부착성 기판은 계면활성제로서 PluronicTM F127(BASF社)을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기판인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gh adhesion substrate is a surface active agent Pluronic TM F127 polydimethylsiloxane (polydimethylsiloxane, PDMS) substrate The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film comprising a particle (BASF社).
상기 고부착성 기판은 상기 계면활성제를 0.005 내지 0.3wt%로 포함하는 기판인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ighly adhesive substrate is a substrate containing 0.005 to 0.3 wt% of the surfactant.
상기 고부착성 기판에 전사된 복합 입자 상에 접착 물질을 도포 및 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pplying the adhesive material onto the composite particle transferred to the high-adhesion substrate and drying the composite particle to form an adhesive layer.
상기 접착 물질은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를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dhesive material comprises polyacrylate crosspolymer-8.
상기 접착 물질은 증류수에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를 희석한 용액을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dhesive material comprises a solution diluted with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in distilled water.
상기 접착 물질은 증류수에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을 3% 이하로 희석한 용액을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dhesive material comprises a solution obtained by diluting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to 3% or less with distilled water.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접착 물질로서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BN)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further including boron nitride (BN) as the adhesive material.
상기 접착층은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을 코팅한 이후에 보론나이트라이드를 이용하여 재코팅하여 형성되는 복합 입자 필름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coating the polyacrylate crosspolymer-8 followed by recoating using boron nitride.
상기 고부착성 기판 상에 구비되는 복합 입자층;을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으로서,
상기 복합 입자층은 불균일한 크기를 갖는 다종의 입자가 혼합된 복합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입자 필름의 코니카 미놀타 색채 색차계 CR-400 장비를 사용하여측정한 색차값(K/S St.) 값이 110 이하인 복합 입자 필름.
A high adhesion substrate; And
And a composite particle layer provided on the high-adhesion substrate,
Wherein the composite particle layer includes composite particles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sizes are mixed,
Wherein the composite particle film has a color difference value (K / S St.) value of 110 or less as measured using a Konica Minolta colorimeter CR-400 equipment.
상기 복합 입자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입자, 산화철(Iron oxide) 입자 및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SiO2) 입자를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mposite particles include titanium dioxide (TiO 2 ) particles, poly (methylmethacrylate), PMMA particles, iron oxide particles, and silicon dioxide (SiO 2 ) particles. Composite particle film.
상기 복합 입자는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20 내지 30중량%로 포함하고 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및 산화철 입자를 각각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규소 입자를 60 내지 70중량%로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mposite particles comprise 20 to 30% by weight of the titanium dioxide particles, 1 to 5% by weight of each of polymethyl methacrylate particles and iron oxide particles, 60 to 70% by weight of the silicon dioxide particles Containing composite particle film.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3 μm이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 내지 20μm이며, 산화철 입자는 0.5 내지 2μm이고, 이산화규소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 내지 20μm인 복합 입자 필름.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itanium dioxide particles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3 占 퐉, the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20 占 퐉, the iron oxide particles have a diameter of 0.5 to 2 占 퐉, and the silicon dioxide particles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20 占 퐉. film.
상기 고부착성 기판은 계면활성제로서 PluronicTM F127(BASF社)을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기판인 복합 입자 필름.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igh adhesion substrate is a surface active agent Pluronic TM F127 (BASF社) polydimethylsiloxane (polydimethylsiloxane, PDMS) substrate a composite film comprising a particle.
상기 고부착성 기판은 상기 계면활성제를 0.005 내지 0.3wt%로 포함하는 기판인 복합 입자 필름.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highly adhesive substrate is a substrate containing 0.005 to 0.3 wt% of the surfactant.
상기 복합 입자층 상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복합 입자 필름으로서,
상기 접착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8(Polyacrylate crosspolymer-8)를 포함하여 형성된 층인 복합 입자 필름.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composite particle layer,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a layer formed by including a polyacrylate crosspolymer-8.
상기 접착층은 보론상기 복합 입자 필름의 코니카 미놀타 색채 색차계 CR-400 장비를 사용하여측정한 색차값(K/S St.) 값이 110 이하인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BN)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층인 복합 입자 필름.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adhesive layer is a layer formed by further including boron nitride (BN) having a color difference value (K / S St.) value of 110 or less as measured using a Konica Minolta color system CR-400 equipment of the boron composite particle film Composite particle fil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0513A KR101980212B1 (en) | 2017-11-13 | 2017-11-13 | Method for producing film of uniform thickness using heterogeneous particle and film produced by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0513A KR101980212B1 (en) | 2017-11-13 | 2017-11-13 | Method for producing film of uniform thickness using heterogeneous particle and film produced by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0212B1 true KR101980212B1 (en) | 2019-05-20 |
Family
ID=6667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0513A KR101980212B1 (en) | 2017-11-13 | 2017-11-13 | Method for producing film of uniform thickness using heterogeneous particle and film produced by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0212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8980A (en) * | 2004-11-11 | 2006-06-01 | Sony Corp | Particulate structure, forming method of particulate structure and screen |
JP2012523311A (en) * | 2009-04-09 | 2012-10-04 | インダストリー−ユニバーシティ コオペ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ソギャン ユニバーシティ | Method for arranging fine particles on a substrate by physical pressure |
KR101224378B1 (en) | 2012-01-12 | 2013-01-21 | 이스트힐(주) | Composite Pigment for cosmetic composi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KR101428432B1 (en) | 2008-07-28 | 2014-08-07 |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Method of producing high-molecular dispersant and aqueous pigment dispersion |
KR20150123363A (en) * | 2014-04-24 | 2015-11-04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oating method using particle alignment and particle coated substrate manufactured by the same |
KR20150137178A (en) * | 2014-05-28 | 2015-12-09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oating method using particle alignment |
-
2017
- 2017-11-13 KR KR1020170150513A patent/KR10198021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8980A (en) * | 2004-11-11 | 2006-06-01 | Sony Corp | Particulate structure, forming method of particulate structure and screen |
KR101428432B1 (en) | 2008-07-28 | 2014-08-07 |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Method of producing high-molecular dispersant and aqueous pigment dispersion |
JP2012523311A (en) * | 2009-04-09 | 2012-10-04 | インダストリー−ユニバーシティ コオペ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ソギャン ユニバーシティ | Method for arranging fine particles on a substrate by physical pressure |
KR101224378B1 (en) | 2012-01-12 | 2013-01-21 | 이스트힐(주) | Composite Pigment for cosmetic composi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KR20150123363A (en) * | 2014-04-24 | 2015-11-04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oating method using particle alignment and particle coated substrate manufactured by the same |
KR20150137178A (en) * | 2014-05-28 | 2015-12-09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oating method using particle align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31087B2 (en)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olded product | |
JP6868103B2 (en) |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09120726A (en) | Transparent adhesive for refractive index regulating optical member, transparent adhesive layer for optics,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t adhesive for refractive index regulating optical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t adhesive layer for optics | |
KR102389946B1 (en) | Coating method using particle alignment | |
TW200418909A (en) | Surface protective film | |
TW200844117A (en) | Process for forming films and films formed by the process | |
TW201520666A (en) | Display panel with pre-patterned images | |
TW572986B (en) | A spray method that can form uniform monolayer film | |
TW201141715A (en) | Matting activator for a water pressure transfer film, water pressure transfer method and water pressure transfer article | |
JPH06503587A (en) | patterned silicone release agent coating | |
JPH05245922A (en) | Method for preparation of polyester film with good release and slip properties | |
JP2016216635A (en) | Composition for forming hard coat film, cured film and antistatic article | |
US20170233589A1 (en) | Film-forming silica so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pplication of the same | |
KR101980212B1 (en) | Method for producing film of uniform thickness using heterogeneous particle and film produced by the same | |
CN111100489B (en) | From type hard coating, from type membrane and photovoltaic module | |
WO2003074609A1 (en) | Dispersion compositions containing functional substances, process for forming images therewith and image forming equipment | |
WO2015174305A1 (en) | Resin beads,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beads and product containing resin beads | |
KR20100036813A (en) | Release film | |
KR102002004B1 (en) | Cosmetic composition for eyebrow or eyelash | |
JP2004082370A (en) | Release film | |
JP2005504621A (en) | Binding of particulate material to polyolefin surface | |
KR102264386B1 (en) | Coating method using particle alignment and particle coated substrate manufactured by the same | |
JP2007509191A (en) | Barrier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inorganic flake material and device comprising this barrier coating composition | |
KR102353553B1 (en) | Coating method using particle alignment and particle coated substrate manufactured by the same | |
JP2021146651A (en) | Lamin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