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670B1 - 방초 매트를 포함한 경계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초 매트를 포함한 경계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670B1
KR101979670B1 KR1020180136727A KR20180136727A KR101979670B1 KR 101979670 B1 KR101979670 B1 KR 101979670B1 KR 1020180136727 A KR1020180136727 A KR 1020180136727A KR 20180136727 A KR20180136727 A KR 20180136727A KR 101979670 B1 KR101979670 B1 KR 10197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optical cable
sensing
sensing area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빛고을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빛고을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빛고을그린
Priority to KR102018013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81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optical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초 매트 및 이를 포함한 경계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초 매트는 천연 섬유를 판상으로 압착하여 형성된 섬유부와, 섬유부의 공극을 메우도록 천연 고무로 형성된 고무부를 포함하여, 외곽 철책과 내곽 철책 사이의 도로를 덮는다. 감지 센서는 방초 매트의 상부 영역 중 외곽 철책에 가까운 센싱 영역에 설치되며, 센싱 영역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침입자의 침입 여부 및 침입 위치를 감지한다. 직조 매트는 센싱 영역에서 감지 센서를 덮으며, 천연섬유로 만든 종선과 횡선을 직조하여 형성된다. 광신호 분석기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제공받아 침입 상황을 분석한다.

Description

방초 매트를 포함한 경계 감시시스템{Boundary surveillance system comprising mat for preventing growing weeds}
본 발명은 군부대 경계지역 등에서 잡초 발생을 방지하고 침입자 발생시 신속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잡초는 군대 주둔지와 관할구역 경계를 위해 세운 철책 주변과 보급로·순찰로, 탄약고와 훈련장 주변 등을 가리지 않고 자라난다. 잡초를 적기에 제거하지 않으면, 철책 앞 시야를 가리거나 갈라진 도로 틈을 파고들어 경계임무 또는 통행에 지장을 준다. 가을과 겨울에는 탄약고 주변의 잡초가 말라 화재를 일으키기도 한다. 각 부대에서는 잡초 제거를 위해 제초 전담 병사를 따로 운영하거나 평일 일과시간 전후 또는 쉬어야 할 주말에도 병사들을 차출해야 하는 고충이 있다.
한편, 군부대 외곽에서 침입자 발생시 신속한 위치 추적과 평시 경계근무·순찰실시 상태를 점검하고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종래 예에 따르면,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감시시스템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CCTV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의 경우는 CCTV의 특성상 사각지대가 생겨 평시 경계근무·순찰실시 상태를 확인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고, 다수의 영상화면 표시로 인해 근무자가 피로감을 느끼고 상황인식을 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외부환경으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 등과 같이 운용상의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잡초 생장을 방지하여 제초 작업에 따른 고충을 해소할 수 있는 방초 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초 작업에 따른 고충을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침입자 발생시 신속한 위치 추적과 평시 경계근무·순찰실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경계 감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초 매트는 천연 섬유를 판상으로 압착하여 형성된 섬유부와, 섬유부의 공극을 메우도록 천연 고무로 형성된 고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 감시시스템은 전술한 방초 매트와, 감지 센서와, 직조 매트, 및 광신호 분석기를 포함한다. 방초 매트는 외곽 철책과 내곽 철책 사이의 도로를 덮는다. 감지 센서는 방초 매트의 상부 영역 중 외곽 철책에 가까운 센싱 영역에 설치되며, 센싱 영역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침입자의 침입 여부 및 침입 위치를 감지한다. 직조 매트는 센싱 영역에서 감지 센서를 덮으며, 천연섬유로 만든 종선과 횡선을 직조하여 형성된다. 광신호 분석기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제공받아 침입 상황을 분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초 매트는 군대 주둔지와 관할구역 경계를 위해 세운 철책 주변과 보급로·순찰로, 탄약고와 훈련장 주변 등을 덮도록 설치되어 잡초의 생장을 억제해서 방지함으로써, 잡초 제거 작업에 따른 고충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초 매트는 토사가 유실되어 노면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 감시시스템은 외곽 철책과 내곽 철책 사이의 도로에서 잡초 생장을 방지하여 제초 작업에 따른 고충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환경으로 인한 오작동 없이, 부대 외곽에서 침입자 발생시 신속한 위치 추적과 평시 경계근무·순찰실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 감시시스템은 영상감시를 이용한 경보관리시스템의 고장 또는 침입 탐지 실패시에도 경보관리시스템을 보완하여 신속하고 완벽하게 침입 상황 조치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초 매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 감시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직조 매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초 매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초 매트(110)는 섬유부(111)와 고무부(112)를 포함한다.
섬유부(111)는 천연 섬유를 판상으로 압착하여 형성된다. 섬유부(111)는 일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천연 섬유는 황마(黃麻), 볏집, 야자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섬유부(111)는 수분을 잘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오랫동안 보유하는 수분 함유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섬유부(111)는 강우시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토사가 유실되어 노면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무부(112)는 섬유부(111)의 공극을 메우도록 천연 고무로 형성된다. 천연 섬유를 압착하여 섬유부(111)를 만들 때, 천연 고무를 천연 섬유 사이에 두고 천연 섬유와 함께 압착함에 따라 섬유부(111)의 공극을 메우도록 고무부(112)를 만들 수 있다. 천연 고무는 라텍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무부(112)는 섬유부(111)의 공극을 메움에 따라 잡초가 생장하면서 들고 올라오지 못하게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방초 매트(110)는 천연 섬유와 천연 고무로 형성되므로, 친환경적일 뿐 아니라, 표면이 자연적인 소재와 색상을 갖추어 주변경관과 잘 어울릴 수 있다. 방초 매트(110)는 태양광에 의한 변색이 덜됨과 동시에 약품에 강하도록 자외선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초 매트(110)는 군대 주둔지와 관할구역 경계를 위해 세운 철책 주변과 보급로·순찰로, 탄약고와 훈련장 주변 등을 덮도록 설치되어 잡초의 생장을 억제해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초 매트(110)는 잡초가 철책 앞 시야를 가리거나 갈라진 도로 틈을 파고들어 경계임무 또는 통행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을과 겨울에는 탄약고 주변의 잡초가 말라 화재를 일으키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며, 잡초 제거 작업에 따른 고충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방초 배트(110)는 노면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 감시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직조 매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 감시시스템(100)은 방초 매트(110)와, 감지 센서(120)와, 직조 매트(130), 및 광신호 분석기(140)를 포함한다.
방초 매트(110)는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외곽 철책(11)과 내곽 철책(12) 사이의 도로를 덮는다. 방초 매트(110)는 외곽 철책(11)에 가깝게 위치되어 방초 기능과 침입자의 침입 감지 기능을 겸하는 영역과, 내곽 철책(12)에 가깝게 위치되어 방초 기능만을 담당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방초 매트(110)의 센싱 영역은 침입자가 외곽 철책(11)을 넘어 도로로 진입할 때 침입자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된다. 방초 매트(110)는 센싱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센싱 영역보다 좁게 설정될 수 있다.
감지 센서(120)는 방초 매트(110)의 상부 영역 중 외곽 철책(11)에 가까운 센싱 영역에 설치된다. 감지 센서(120)는 센싱 영역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침입자의 침입 여부 및 침입 위치를 감지한다. 감지 센서(120)는 침입자가 외곽 철책(11)을 넘어 도로로 진입할 때 외곽 철책(11)과 가까운 방초 매트(110)의 센싱 영역을 밟는 것을 감지함과 동시에 밟은 위치를 감지한다.
예컨대, 감지 센서(120)는 광케이블(121)과, 광케이블 지지대(122)와, 광원(123), 및 광검출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케이블(121)은 방초 매트(110)의 센싱 영역 상에 배치된다. 광케이블(121)은 침입자가 방초 매트(110)의 센싱 영역으로 진입할 때 침입 여부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패턴으로 연장된다. 광케이블(121)은 방초 매트(110)의 센싱 영역에 대략 지그재그 형태 등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광케이블 지지대(122)는 광케이블(121)을 지지한 상태로 방초 매트(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광케이블 지지대(122)는 격자(grid)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케이블 지지대(122)는 천연고무 재질의 지오그리드(geogri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광케이블 지지대(122)은 친환경적일 수 있다.
광케이블 지지대(122)는 격자 살과 격자 공간에 의해 광케이블(121)이 침입자의 발에 밟혀 굽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광케이블 지지대(122)의 격자 살 간격은 광케이블(121)의 굽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는 범주에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광케이블 지지대(122)는 광케이블(121)을 지지한 상태로 고정 와이어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광케이블 지지대(12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케이블 지지대(122)들은 그 사이에 광케이블(121)을 배치할 수 있다. 광케이블 지지대(122)들은 격자 살들끼리 매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123)은 광케이블(121)로 광을 송출한다. 광원(123)은 레이저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123)은 광케이블(121)의 일단에 광학적으로 접점되어 펄스광을 광케이블(121)로 송출할 수 있다. 광원(123)은 광신호 분석기(140)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광검출기(124)는 광원(123)으로부터 광케이블(121)로 송출되어 반송되는 광을 검출해서 광케이블(121)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한다. 여기서, 광검출기(124)는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을 이용하여 반송되는 펄스광을 검출할 수 있다.
광검출기(124)는 광케이블(121)의 굽힘에 의해 발생된 광 손실을 수반하여 반송되는 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을 분석하여 광케이블(121)의 굽힘 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방초 매트(110)의 센싱 영역 좌표상에서 광케이블(121)의 굽힘 위치를 구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 상황 및 침입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광케이블(121)의 위치 좌표는 방초 매트(110)의 센싱 영역 좌표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되며, 광검출기(124)는 광케이블(121)의 굽힘 위치를 방초 매트(110)의 센싱 영역 좌표상에서 구할 수 있다. 광검출기(124)는 광신호 분석기(140)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으며, 광검출기(124)가 수신 광을 분석해서 침입자의 침입 상황 및 침입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은 광신호 분석기(140)에서 처리될 수도 있다.
부직포(116)는 방초 매트(110)와 광케이블 지지대(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초 매트(116)가 잡초가 자라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경우, 부직포(116)는 잡초가 방초 매트(110) 위로 생장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부직포(116)는 광케이블 지지대(122)를 안착시켜 방초 매트(110)를 보호할 수 있다. 부직포(116)는 직조 매트가 방초 매트(110)에 고정될 때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직조 매트(130)는 방초 매트(110)의 센싱 영역에서 감지 센서(120), 즉 광케이블(121) 및 광케이블 지지대(122)를 덮는다. 직조 매트(130)는 천연섬유로 만든 종선과 횡선을 직조하여 형성된다. 직조 매트(130)도 방초 매트(110)와 마찬가지로, 직조 매트(130)는 황마, 볏집, 야자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직조 매트(130)는 우수한 흡습력을 갖게 된다. 또한, 직조 매트(130)는 신축성이 양호하여 쾌적한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직조 매트(130)는 양측 가장자리를 방초 매트(110)에 실로 박음 처리하거나 혹은 천연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직조 매트(130)는 외면에 천연 방부제가 도포되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광신호 분석기(140)는 감지 센서(12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제공받아 분석한다. 광신호 분석기(14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감지 센서(12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이 침투한 것인지, 혹은 사람이 침투한 것인지 정확히 분석해서 구별해내며, 사람이 침투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할 수 있다.
광신호 분석기(140)는 감지 센서(12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침입 상황을 경보하고 침입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광신호 분석기(140)는 침입 상황시 경보벨(141)을 구동시켜 청각으로 경보하고, 화면(142)을 통해 침입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광신호 분석기(140)에는 시각으로 경보하기 위한 경보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광신호 분석기(140)는 군의 지휘계통부대로 침입 상황을 통지하도록 체계 연동될 수 있다.
또한, 경계 감시시스템(100)은 외곽 철책(11)과 내곽 철책(12) 사이의 도로를 카메라(21)들로 촬영해서 영상감시 통제기(22)로 감시하는 경보관리시스템(20)과 자동 연동되어 침입 상황을 모니터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경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계 감시시스템(100)은 외부환경으로 인한 오작동 없이, 부대 외곽에서 침입자 발생시 신속한 위치 추적과 평시 경계근무·순찰실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경계 감시시스템(100)은 영상감시를 이용한 경보관리시스템(20)의 고장 또는 침입 탐지 실패시에도 경보관리시스템(20)을 보완하여 신속하고 완벽하게 침입 상황 조치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따른 경계 감시시스템(100)은 외곽 철책(11)과 내곽 철책(12) 사이의 도로에 잡초 생장을 방지하여 제초 작업에 따른 고충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외곽 철책
12..내곽 철책
20.. 경보관리시스템
21..카메라
22..영상감시 통제기
100..경계 감시시스템
110..방초 매트
111..섬유부
112..고무부
116..부직포
120..감지 센서
121..광케이블
122..광케이블 지지대
123..광원
124..광검출기
130..직조 매트
140..광신호 분석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외곽 철책과 내곽 철책 사이의 도로를 덮는 방초 매트;
    상기 방초 매트의 상부 영역 중 상기 외곽 철책에 가까운 센싱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센싱 영역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침입자의 침입 여부 및 침입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센싱 영역에서 상기 감지 센서를 덮으며, 천연섬유로 만든 종선과 횡선을 직조하여 형성된 직조 매트;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제공받아 침입 상황을 분석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동물이 침투한 것인지 혹은 사람이 침투한 것인지 분석해서 구별해내며, 사람이 침투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벨을 구동시켜 청각으로 경보하고, 화면을 통해 침입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광신호 분석기;를 포함하며,
    상기 방초 매트는 천연 섬유를 판상으로 압착하여 형성된 섬유부와 상기 섬유부의 공극을 메우도록 천연 고무로 형성된 고무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섬유부에 의해 수분을 잘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오랫동안 보유하는 수분 함유력을 가지며, 상기 고무부에 의해 잡초가 생장하면서 들고 올라오지 못하게 차단하며;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센싱 영역 상에 배치된 광케이블과,
    상기 광케이블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방초 매트의 상면에 배치되는 광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광케이블로 광을 송출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케이블로 송출되어 반송되는 광을 검출해서 상기 광케이블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케이블 지지대는 격자 형태로 천연고무 재질의 지오그리드(geogrid)로 이루어져 격자 살과 격자 공간에 의해 상기 광케이블이 침입자의 발에 밟혀 굽힘 변형을 유도하며;
    상기 방초 매트와 광케이블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는 잡초가 상기 방초 매트 위로 생장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광케이블 지지대를 안착시켜 상기 방초 매트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 감시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6727A 2018-11-08 2018-11-08 방초 매트를 포함한 경계 감시시스템 KR10197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727A KR101979670B1 (ko) 2018-11-08 2018-11-08 방초 매트를 포함한 경계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727A KR101979670B1 (ko) 2018-11-08 2018-11-08 방초 매트를 포함한 경계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670B1 true KR101979670B1 (ko) 2019-05-17

Family

ID=6667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727A KR101979670B1 (ko) 2018-11-08 2018-11-08 방초 매트를 포함한 경계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448B1 (ko) * 2021-07-23 2022-04-04 주식회사 승진텍라인 친환경 방초 보행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0187A (ja) * 1998-07-24 2000-02-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侵入検出装置
KR20070109769A (ko) * 2006-05-09 2007-11-15 김용섭 코이어 섬유를 이용한 수목 보호판
KR20140078777A (ko) * 2012-12-05 2014-06-26 주식회사 이에스에코 노면 포장재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0187A (ja) * 1998-07-24 2000-02-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侵入検出装置
KR20070109769A (ko) * 2006-05-09 2007-11-15 김용섭 코이어 섬유를 이용한 수목 보호판
KR20140078777A (ko) * 2012-12-05 2014-06-26 주식회사 이에스에코 노면 포장재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448B1 (ko) * 2021-07-23 2022-04-04 주식회사 승진텍라인 친환경 방초 보행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129B1 (ko) 산불 감시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EP3112900B1 (en) Safety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 risk condition in a region to be monitored placed close to an operating machine, such as a drilling machine or the like
KR101979670B1 (ko) 방초 매트를 포함한 경계 감시시스템
CN107862821A (zh) 一种周界安防系统
CN107067609A (zh) 变电站光纤周界安防监测系统
CN107424369A (zh) 一种低误报率的光缆振动传感报警装置
CN106297122B (zh) 安全防护墙及探测器
CN206819491U (zh) 变电站光纤周界安防监测系统
CN112288977A (zh) 一种精确定位型水下安防拦阻网预警方法及系统
KR101708017B1 (ko) 스마트 침입인식 및 대응 시스템
CN103112479A (zh) 面向铁路防灾的并行异物侵限监测系统
CN113205654A (zh) 一种基于ai信息技术的机场围界安防监控报警系统及方法
CN110533867A (zh) 火灾监测报警系统
CN109427161A (zh) 一种三维立体交叉防护的新型光缆安防系统
CN107255987A (zh) 一种挖掘机工作状态远程监控方法
CN112291508A (zh) 一种智能水下安防拦阻网系统及入侵预警方法
US20210110684A1 (en) Civil engineering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a construction site
KR102619081B1 (ko) 영상 기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CN216871340U (zh) 一种光纤振动地下防挖掘入侵围栏监测系统
CN206991492U (zh) 一种低误报率的光缆振动传感报警装置
CN102722948B (zh) 入侵检测系统和检测方法
CN207443035U (zh) 语音监听系统
KR20200032813A (ko) 방초기능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시 시스템
CN108154635B (zh) 多维信号检测防入侵系统
JP4228798B2 (ja) 踏み石の歩行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