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763B1 -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763B1
KR101978763B1 KR1020170170024A KR20170170024A KR101978763B1 KR 101978763 B1 KR101978763 B1 KR 101978763B1 KR 1020170170024 A KR1020170170024 A KR 1020170170024A KR 20170170024 A KR20170170024 A KR 20170170024A KR 101978763 B1 KR101978763 B1 KR 10197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main body
groundwater
floating r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웅
전우현
이진용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4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4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01V9/02Determining existence or flow of underground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스마트폰(10)의 충전단자(11)와 연결되어 지하수(20)의 위치를 확인하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A)는 측정장치(A)의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면 스마트폰(10)에 알람 및 플래쉬가 작동하도록, 스마트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에 감겨지는 케이블(200); 케이블(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감지부(300);를 포함하고, 감지부(300)는 감지부본체(310); 감지부본체(310)의 외면에 결합되어, 감지부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플로팅 링(320);을 포함하되, 플로팅 링(320)은 지하수(20)에 접촉되기 전에는 플로팅 링(320)의 자중에 의해 감지부본체(310)의 하측 영역에 위치하고, 지하수(20)에 접촉된 이후에는 플로팅 링(320)의 부력에 의해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영역으로 이동되어 지하수(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은 휴대성이 용이한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A)로서, 도 1과 같이 휴대폰에 연결하여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10)은 감지부(300)가 지하수(20)를 감지하면 알람 울리거나 플래쉬가 깜빡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된다.

Description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GROUND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작스럽게 지반이 침하가 발생하는 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지반 침하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원인 중 하나가 지중에 존재하는 지하수의 손실로 지중에 공동(지하수가 빠져나간 공간)이 발생하고, 공동이 무너지면서 지반이 침하하는 것이다.
지하수를 관측하는 것은 농업용으로 이용하거나 위와 같은 지하수위의 변동을 확인하기 위함으로서, 관측용 관정을 설치하고,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기존의 지하수위 측정장비는 휴대성이 용이하지 않아 측정자가 많은 관정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지하수를 직접 접촉하여 탐지하는 센서부가 주변 습도에 노출되어 반응하거나 센서부에 뭍은 물기에 반응하는 오류가 빈번히 발생한다.
즉, 기존의 지하수위 측정장비는 지하수위를 측정하는 감지부와 감지상태를 알려주는 본체부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감지부를 관정 안에 낙하시키고 회수하는 공정이 어렵고, 센서부의 오류로 지하수위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휴대성이 용이하면서도, 감지부가 지하수를 만나면 부력으로 감지부가 지하수위를 알려주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스마트폰(10)의 충전단자(11)와 연결되어 지하수(20)의 위치를 확인하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A)는 상기 측정장치(A)의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면 스마트폰(10)에 알람 및 플래쉬가 작동하도록, 스마트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감겨지는 케이블(200); 상기 케이블(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감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300)는 감지부본체(310);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플로팅 링(320);을 포함하되, 상기 플로팅 링(320)은 지하수(20)에 접촉되기 전에는 상기 플로팅 링(3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하측 영역에 위치하고, 지하수(20)에 접촉된 이후에는 상기 플로팅 링(320)의 부력에 의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영역으로 이동되어 지하수(20)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영역에는 상호 분리되어 있는 한 쌍의 자력센서(311)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링(320)의 내부에는 링 구조의 자석(321)이 상기 플로팅 링(320)의 링 구조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어 상기 플로팅 링(320)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자력센서(311)의 외주면에 상기 자석(321)이 위치되어 상기 자력센서(311)가 상기 자석(321)의 자력을 감지하여 스마트폰(10)에 알람이 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로팅 링(320)은 상광하협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플로팅 링(320)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200)과 상기 감지부(300)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200)에는 상기 본체부(100)에서 풀어진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케이블(200)이 감기는 타래부(120); 상기 타래부(120)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 일측단부(131) 및 타측단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단부(132)에는 상기 타래부(120)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케이블(200)을 감을 수 있는 손잡이부(14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채부(100)의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타래부(120)는 주름관 구조로 형성되어 측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의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일측단부(131)의 타측 단부와 타측단부(132)의 일측단부에는 일측자석부(131a) 및 타측자석부(132a)가 형성되고, 상기 주름관 구조인 타래부(120)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에서 상기 일측자석부(131a) 및 타측자석부(132a)의 자력에 의해 밀착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A)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은 스마트폰(10)에 상기 지하수 측정장치(A)를 연결하는 측정장치 연결단계; 상기 본체부(100)에서 상기 케이블(200)을 풀어 상기 감지부(300)를 지하수(20)로 내려보내는 감지부구동단계; 상기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하고, 상기 플로팅 링(320)이 부력에 의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스마트 폰(10)에 알람이 울리는 지하수 인지단계; 상기 케이블(200)을 확인하여 지면으로 부터 지하수면 까지의 깊이를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는 휴대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원발명의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는 플로팅 링의 부력으로 자력센서가 지하수를 감지하는 구조로서, 직접 지하수를 감지하는 센서보다 정확하게 지하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팅 링이 감지부본체를 따라 구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팅 링이 감지부본체의 하측에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팅 링이 감지부본체의 상측에 위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된 플로팅 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금이 표시된 케이블을 타나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 타측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길이가 최소로 줄어든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로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스마트폰(10)의 충전단자(11)와 연결되어 지하수(20)의 위치를 확인하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A)는 측정장치(A)의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면 스마트폰(10)에 알람 및 플래쉬가 작동하도록, 스마트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에 감겨지는 케이블(200); 케이블(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감지부(300);를 포함하고, 감지부(300)는 감지부본체(310); 감지부본체(310)의 외면에 결합되어, 감지부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플로팅 링(320);을 포함하되, 플로팅 링(320)은 지하수(20)에 접촉되기 전에는 플로팅 링(320)의 자중에 의해 감지부본체(310)의 하측 영역에 위치하고, 지하수(20)에 접촉된 이후에는 플로팅 링(320)의 부력에 의해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영역으로 이동되어 지하수(20)를 감지한다.
본 발명은 휴대성이 용이한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A)로서, 도 1과 같이 휴대폰에 연결하여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휴대폰과 측정장치(A)는 벨크로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탈착이 용이하다.
이때 스마트폰(10)은 감지부(300)가 지하수(20)를 감지하면 알람 울리거나 플래쉬가 깜빡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된다.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A)의 감지부(300)는 도 3와 같이 지하수(20)를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시에는 플로팅 링(320)이 자중에 의해 감지부본체(310)의 하측 영역에 위치하고, 지하수(20)에 접촉된 이후에는 도 4와 같이 플로팅 링(320)의 부력에 의해 플로팅 링(320)이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지하수(20)를 감지한다.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영역에는 상호 분리되어 있는 한 쌍의 자력센서(311)가 내부에 설치되고, 플로팅 링(320)의 내부에는 링 구조의 자석(321)이 플로팅 링(320)의 링 구조를 따라 설치되며,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어 플로팅 링(320)이 감지부본체(310)의 상부로 이동되면 자력센서(311)의 외주면에 자석(321)이 위치되어 자력센서(311)가 자석(321)의 자력을 감지하여 스마트폰(10)에 알람이 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3, 4와 같이 본 발명의 감지부본체(310)의 내측에는 한 쌍의 자력센서(311)가 설치되어 있는데, 자력센서(311)는 자력에 노출되면 상호 접촉되지 않은 한 쌍의 자력센서(311)가 접촉하게 되고, 자력에 노출되지 않으면 떨어지게 된다.
즉, 본원발명의 자력센서(311)는 기존의 지하수(20)를 직접 접촉하여 감지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력센서의 노출 상태에 따라 지하수(20)를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수분 및 물방울을 지하수(20)로 잘못 감지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팅 링(320)은 상광하협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같이 플로팅 링(320)이 상광하협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감지부본체(310)의 상부와 하부에는 플로팅 링(320)이 감지부본체(3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같이, 감지부본체(310)의 상부와 하부에는 플로팅 링(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12)가 설치되어 플로팅 링(320)의 이동영역을 제한한다.
케이블(200)과 감지부(300)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200)과 감지부(300)는 볼트너트 구조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케이블(200)에는 본체부(100)에서 풀어진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00)는 케이블(200)이 감기는 타래부(120); 타래부(120)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 일측단부(131) 및 타측단부(132);를 포함하고, 타측단부(132)에는 타래부(120)를 회전구동하여 케이블(200)을 감을 수 있는 손잡이부(14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도 8과 같이 손잡이부(140)가 형성되어 손잡이부(140)를 회전하는 구동으로 타래부(120)를 회전시켜 풀려있는 케이블(200)을 감을 수 있다.
본체부(100)의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타래부(120)는 주름관 구조로 형성되어 측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00)의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측단부(131)의 타측 단부와 타측단부(132)의 일측단부에는 일측자석부(131a) 및 타측자석부(132a)가 형성되고, 주름관 구조인 타래부(120)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에서 일측자석부(131a) 및 타측자석부(132a)의 자력에 의해 밀착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도 7, 10과 같이 타래부(120)의 길이가 조절되고, 일측자석부(131a)와 타측자석부(132a)가 상호 접촉되는 구조로 길이가 줄어들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A)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은 스마트폰(10)에 지하수 측정장치(A)를 연결하는 측정장치 연결단계; 본체부(100)에서 케이블(200)을 풀어 감지부(300)를 지하수(20)로 내려보내는 감지부구동단계;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하고, 플로팅 링(320)이 부력에 의해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스마트 폰(10)에 알람이 울리는 지하수 인지단계; 케이블(200)을 확인하여 지면으로 부터 지하수면 까지의 깊이를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한다.
10 : 스마트 폰 11 : 충전단자
20 : 지하수 100 : 본체부
120 : 타래부 131 : 일측단부
131a : 일측자석부 132a : 타측자석부
132 : 타측단부 140 : 손잡이부
200 : 케이블 300 : 감지부
310 : 감지부본체 311 : 자력센서
312 : 이탈방지부 320 : 플로팅 링
321 : 자석

Claims (10)

  1. 스마트폰(10)의 충전단자(11)와 연결되어 지하수(20)의 위치를 확인하는 측정장치(A)로서,
    상기 측정장치(A)의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면 스마트폰(10)에 알람 및 플래쉬가 작동하도록, 스마트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감겨지는 케이블(200);
    상기 케이블(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감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300)는
    감지부본체(310);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플로팅 링(320);을 포함하되,
    상기 플로팅 링(320)은
    지하수(20)에 접촉되기 전에는 상기 플로팅 링(3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하측 영역에 위치하고,
    지하수(20)에 접촉된 이후에는 상기 플로팅 링(320)의 부력에 의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영역으로 이동되어 지하수(20)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영역에는
    상호 분리되어 있는 한 쌍의 자력센서(311)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로팅 링(320)의 내부에는 링 구조의 자석(321)이 상기 플로팅 링(320)의 링 구조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어 상기 플로팅 링(320)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자력센서(311)의 외주면에 상기 자석(321)이 위치되어 상기 자력센서(311)가 상기 자석(321)의 자력을 감지하여 스마트폰(10)에 알람 및 플래시가 작동하고.
    상기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되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로팅 링(320)은 상광하협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플로팅 링(320)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200)과 상기 감지부(300)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200)에는 상기 본체부(100)에서 풀어진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케이블(200)이 감기는 타래부(120);
    상기 타래부(120)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 일측단부(131) 및 타측단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단부(132)에는 상기 타래부(120)를 회전구동하여 상기 케이블(200)을 감을 수 있는 손잡이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타래부(120)는 주름관 구조로 형성되어 측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일측단부(131)의 타측 단부와 타측단부(132)의 일측단부에는 일측자석부(131a) 및 타측자석부(132a)가 형성되고,
    상기 주름관 구조인 타래부(120)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에서 상기 일측자석부(131a) 및 타측자석부(132a)의 자력에 의해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의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A)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으로서,
    스마트폰(10)에 상기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A)를 연결하는 측정장치 연결단계;
    상기 본체부(100)에서 상기 케이블(200)을 풀어 상기 감지부(300)를 지하수(20)로 내려보내는 감지부구동단계;
    상기 감지부(300)가 지하수(20)에 접촉하고, 상기 플로팅 링(320)이 부력에 의해 상기 감지부본체(31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스마트 폰(10)에 알람이 울리는 지하수 인지단계;
    상기 케이블(200)을 확인하여 지면으로 부터 지하수면 까지의 깊이를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
KR1020170170024A 2017-12-12 2017-12-12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 KR10197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24A KR101978763B1 (ko) 2017-12-12 2017-12-12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24A KR101978763B1 (ko) 2017-12-12 2017-12-12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763B1 true KR101978763B1 (ko) 2019-05-15

Family

ID=6657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024A KR101978763B1 (ko) 2017-12-12 2017-12-12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9475A (zh) * 2020-12-26 2021-04-30 钟星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消防水箱水位监测报警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121B1 (ko) * 1997-07-08 1999-11-15 최웅 수위 측정 장치
KR200283739Y1 (ko) * 2001-08-28 2002-07-27 김기호 석유류저장탱크 물 감지경보장치
KR200384487Y1 (ko) * 2005-03-04 2005-05-16 이용근 전선 권취구
KR101602578B1 (ko) * 2014-10-28 2016-03-10 노갑덕 태양 전지 장착용 부표 구조체
KR101715574B1 (ko) * 2016-10-12 2017-03-13 주식회사 희성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의 생활용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121B1 (ko) * 1997-07-08 1999-11-15 최웅 수위 측정 장치
KR200283739Y1 (ko) * 2001-08-28 2002-07-27 김기호 석유류저장탱크 물 감지경보장치
KR200384487Y1 (ko) * 2005-03-04 2005-05-16 이용근 전선 권취구
KR101602578B1 (ko) * 2014-10-28 2016-03-10 노갑덕 태양 전지 장착용 부표 구조체
KR101715574B1 (ko) * 2016-10-12 2017-03-13 주식회사 희성 캠핑트레일러 또는 캠핑카의 생활용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9475A (zh) * 2020-12-26 2021-04-30 钟星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消防水箱水位监测报警装置
CN112729475B (zh) * 2020-12-26 2024-03-15 钟星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消防水箱水位监测报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8119B2 (en) Shock detector
US11209115B2 (en) Pipe inspection and/or mapping camera heads, systems, and methods
JP2020501288A (ja) エネルギー検出警告装置
CN103926318B (zh) 墙面或地面空鼓检测仪
KR101978763B1 (ko)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수위 측정방법
KR101895206B1 (ko) 전주 진단장비
CN211602080U (zh) 一种便携式孔内地下水的采集装置
CN111007538B (zh) 一种全球导航卫星系统应急监测设备
CN201724707U (zh) 一种河道、湖泊的水位检测装置
CN206019796U (zh) 一种液位监测及断电装置
CN102735315A (zh) 一种水位检测报警装置
CN209962368U (zh) 施工现场危险区域智能监控报警设备
CN205352498U (zh) 一种简易水位测量仪
JP2500369B2 (ja) 携帯用埋設物探知装置及び探知物表示装置
AU2020410098A1 (en) Voltag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206720629U (zh) 过载保护型机动绞磨机
CN202166637U (zh) 一种带伸缩杆的气体探测装置
CN214409244U (zh) 一种用于电力的电路断路检测仪器
CN105444835A (zh) 一种便携电子水位计
CN217585692U (zh) 一种适应水深变化的排水管道一体化检测装置
KR102163834B1 (ko) 해저 케이블의 매설심도 검측장치
CN218156278U (zh) 一种基于nb-iot通信的井盖监测系统
KR101359964B1 (ko) 시추공 내 탐침봉의 걸림 방지 장치 및 방법
CN216523689U (zh) 一种工程监理用裂缝观测仪
CN210268990U (zh) 一种用于埋地钢质管道压力报警的智能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