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77B1 -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 Google Patents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77B1
KR101978677B1 KR1020170095284A KR20170095284A KR101978677B1 KR 101978677 B1 KR101978677 B1 KR 101978677B1 KR 1020170095284 A KR1020170095284 A KR 1020170095284A KR 20170095284 A KR20170095284 A KR 20170095284A KR 101978677 B1 KR101978677 B1 KR 101978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heumatoid arthritis
urine
ccl
measuring
anti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419A (ko
Inventor
김완욱
박윤정
유승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1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specific carrier or receptor proteins as ligand binding reagents where possible specific carrier or receptor proteins are classified with their target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63Cytokines, i.e. immune system proteins modifying a biological response such as cell growth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e.g. TNF, CNF, GM-CSF, lymphotoxin, MIF or their receptors
    • G01N33/6869Interleu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2Assays involving cytokines
    • G01N2333/521Chemok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2Assays involving cytokines
    • G01N2333/54Interleukins [IL]
    • G01N2333/5412IL-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2Assays involving cytokines
    • G01N2333/54Interleukins [IL]
    • G01N2333/5421IL-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0Musculoskeletal or connective tissue disorders
    • G01N2800/101Diffuse connective tissue disease, e.g. Sjögren, Wegener's granulomatosis
    • G01N2800/102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i.e. inflammation of peripheral 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평가 및/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예후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및 이들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Biomarkers for diagnosing rheumatoid arthritis}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이다.
류마티스 관절염(RA: Rheumatoid Arthritis)은 관절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활막이라는 조직의 염증 때문에 일어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대략 1%가 환자군으로 추정되고 있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은 일차적으로 임상 증상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미 관절의 파괴가 상당히 진행된 후 진단이 내려지게 되는 한계가 있으며, 류마티스 관절염의 혈청학적 표지자로서 류마티스 유사인자(Rheumatoid factor, RF)가 국제적 진단 기준인 미국류마티스학회(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ACR)의 진단기준에 포함되어 있기는 하나, RF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20%에서 병의 진행과정 내내 음성을 보여 민감도에 문제가 있으며, 다른 류마티스성 질환이나 만성 염증, 악성종양, 심지어 일부 건강한 노인에게도 나타나 특이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방법으로는 관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기능 손실을 방지하며 통증을 줄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진통소염제를 다양한 항류마티스제제와 병합 투여하는 약물치료 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생물학적 치료제가 개발되어 항류마티스 약제와 함께 병용 치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질병의 중증도가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요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치료 방법은 상당히 뛰어난 효과에도 불구하고 관절 변형이 지속될 수 있고 약제 부작용으로 적절한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으며, 신약 개발 비용에 따른 약가 상승으로 많은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병, 예후 및 중증도를 적절히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방법들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혈액으로부터 검출된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마커들은 상당수 보고된 바 있으나, 본 발명는 소변 시료에서 검출할 수 있는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마커라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혈액에서 검출될 수 있는 단백질은 5만 여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수많은 단백질 중 대부분은 신장에서 필터링되어 소변 내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혈액 내에서 검출되는 단백질이라고 해서 모두 소변에서 검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혈액 시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습적 검사로 시료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고통을 유발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도 평가 검사의 경우에는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 후 수년, 수십년간 길게는 평생 동안 정기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검사를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변 시료만으로도 활성도를 평가할 수 방법을 제공하는 본원발명은 기존 검사 방법에 비해 환자의 고통과 불편함을 없앤 것으로 매우 획기적이다.
국내특허등록 제0937144호(2010. 1. 8)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시료 내에 존재하는 인터루킨-6(IL-6), CCL-2(Chemokine (C-C motif) ligand 2) 및 인터루킨-8(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용 키트 및 단백질 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소변 시료로부터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시료 내에 존재하는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평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평가용 키트 또는 단백질 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시료로부터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시료 내에 존재하는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예후 예측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소변 시료 내에 존재하는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소변 시료로부터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소변 시료 내에 존재하는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평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평가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평가용 단백질 칩에 관한 것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소변 시료로부터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소변 시료 내에 존재하는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예후 예측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로, 본 발명은 (i) 소변 내 IL-6 및 혈청 내 CRP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 (ii) 소변 내 CCL-2 및 소변 내 IL-8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 또는 (iii) 소변 내 IL-6 및 소변 내 IL-8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예후 예측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이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진단함으로써 조기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를 이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를 측정하고, 중증도 예후 예측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맞춘 적합한 치료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정상인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의 소변 내 사이토카인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측정된 임상 변수들과 소변 내 사이토카인 수준의 관련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DAS28 점수가 3.2점 미만인 낮은 질병활성(Low Disease Activity, 경증), 3.2점 이상 5.1 점 미만인 중간 질병활성(Moderate Disease Activity, 중증도), 그리고 5.1점 이상인 높은 질병활성(High Disease Activity, 중증)으로 정의된 류마티스 관절염 질병 활성도에서 소변 내 IL-6, CCL-2 및 IL-8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높은 질병 활성도를 검정하기 위한 ROC curve를 나타낸 것이다[a: 소변 IL-6과 혈청 CRP와의 질환활성도 예측 비교, b: 소변 CCL2와 혈청 CRP와의 질환활성도 예측 비교, c: 소변 IL-8과 혈청 CRP와의 질환활성도 예측 비교].
도 5는 방사선학적 진행의 예측 확률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중증도를 검정하기 위한 ROC curve를 나타낸 것이다[a: IL-6, ESR, 그리고 CRP와의 3년 뒤 골 파괴 예측 비교, b: CCL2, ESR, 그리고 CRP와의 3년 뒤 골 파괴 예측 비교, c: IL-8, ESR, 그리고 CRP와의 3년 뒤 골 파괴 예측 비교].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진단"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진단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거나, 나아가 질환의 진행 여부 또는 심화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진단용 마커, 진단하기 위한 마커 또는 진단 마커(diagnosis marker)"란 류마티스 관절염을 류마티스 관절염이 아닌 상태와 구분(예를 들어, 정상과 구분하거나, 또는 골관절염 등 다른 관절염과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물질로, 류마티스 관절염이 아닌 개체의 시료에 비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가진 개체의 시료에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핵산(예: mRNA 등), 지질, 당지질, 당단백질 또는 당(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등) 등과 같은 유기 생체 분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본 발명의 진단 마커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시료에서 특이적으로 증가된 발현을 나타내는 IL-6, CCL-2 및 IL-8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 마커로서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 활성도"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전반적인 염증 정도,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행 정도를 의미하며, 치료에 대한 반응 또는 관해 여부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도의 평가"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전반적인 염증 정도,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말하고, 나아가 이를 토대로 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치료가 환자에게 효과를 나타내는지 판단하는 것, 최적의 치료 요법(약물 요법 또는 수술 등)을 선택하는 것, 그리고 치료에 대한 반응성 및 완화 여부를 예측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임상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DAS(Disease Activity Score) 또는 이것의 변형된 형태인 DAS28(Disease Activity Score 28)은 점수 계산 방식의 지수 평가 방법으로, 염증 표지자 검사나 방사선 소견 같은 일부 객관적 요소와 함께 환자 및 의사가 평가하는 주관적인 요소들을 함께 평가한다.
DAS28은 환자의 28개 관절 중 압통을 느끼는 관절 수, 부종을 보이는 관절 수, 적혈구 침강속도, 환자의 전신적 평가로 구성된 종합 지수로서, 28개의 관절에는 양쪽 어깨 관절, 팔꿈치 및 손목 관절, 중수지 관절, 근수지 관절, 무릎 관절 등을 포함한다.
DAS28로 조사된 류마티스 관절염 질병 활성도는 0점에서 최대 9.4점까지 계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DAS28 점수가 2.6 미만이면 질병 활성이 거의 없는 상태(Remission, 관해), 2.6점 이상 3.2점 미만이면 낮은 질병활성(Low Disease Activity, 경증), 3.2점 이상 5.1 점 미만이면 중간 질병활성(Moderate Disease Activity, 중증도), 그리고 5.1점 이상이면 높은 질병활성(High Disease Activity, 중증)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DAS28에 의한 종래의 질병 활성도 평가 방법은 침습적이어서, 환자에게 고통을 유발하고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DAS28과 같은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도 평가에 의하지 않고도 비침습적으로 환자의 현재 질병활성도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환자에 최적의 치료 요법을 선택하고 해당 치료에 적절한 치료 반응이 보이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질병 활성도 표지자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 활성도 표지자로서 마커로서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백질들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류마티스 관절염 비활성군보다 활성군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며, 현재 임상에서 질병 활성도 평가에 사용되는 DAS28과 같은 종래의 질병 활성도 평가 수단들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DAS28 평가 시 중요한 염증활성 표지자로 사용되는 CRP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마커로서 IL-6, CCL-2 및/또는 IL-8은 비침습적인 바이오마커로서, 그 자체로 환자의 염증활성 반응을 평가하고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혈청 CRP, 혈청 ESR과 같은 염증활성 표지자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임상 양상과 상이한 결과를 보일 때 치료반응을 판단하기 위한 보조적인 표지자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혈청 CRP 평가와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보다 나은 활성의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예후 예측"이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전반적인 염증 정도, 골 파괴 정도,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였을 때 높은 질병활성으로 인해 골 파괴가 진행될 가능성 또는 관절 변형이 초래될 가능성과 관련된다. 종래 임상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 중증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DAS(Disease Activity Score) 또는 이것의 변형된 형태인 DAS28(Disease Activity Score 28) 은 점수 계산 방식의 지수 평가 방법으로, 염증 표지자 검사나 방사선 소견 같은 일부 객관적 요소와 함께 환자 및 의사가 평가하는 주관적인 요소들을 함께 평가한다. DAS28은 환자의 28개 관절 중 압통을 느끼는 관절 수, 부종을 보이는 관절 수, 적혈구 침강속도, 환자의 전신적 평가로 구성된 종합 지수로서, 28개의 관절에는 양쪽 어깨 관절, 팔꿈치 및 손목 관절, 중수지 관절, 근수지 관절, 무릎 관절 등을 포함한다.
DAS28로 조사된 류마티스 관절염 질병 활성도는 0점에서 최대 9.4점까지 계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DAS28 점수가 2.6 미만이면 질병 활성이 거의 없는 상태(Remission, 관해), 2.6점 이상 3.2점 미만이면 낮은 질병활성(Low Disease Activity, 경증), 3.2점 이상 5.1 점 미만이면 중간 질병활성(Moderate Disease Activity, 중증도), 그리고 5.1점 이상이면 높은 질병활성(High Disease Activity, 중증)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환자의 향후 질병 중증도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어, 추가 필요한 치료 방법의 사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 후의 질병의 지연, 완화 및/또는 완치를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중증도 예후 예측 마커로서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IL-6, CCL-2 및/또는 IL-8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환자의 소변 시료 내 상기 마커, 보다 바람직하게는 IL-6 및 CCL-2, CCL-2 및 IL-8, 또는 IL-6 및 IL-8의 농도가 증가할 경우 류마티스 관절염의 골 파괴 위험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는 기존의 잘 알려져 있는 골 파괴 예측 위험 요인인 C-반응성 단백질(CRP; C-reactive protein)와 유사한 정도의 검정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IL-6"란, 인터루킨-6(interleukin 6)의 약어이다. 인터루킨-6은 B 세포의 항체생산세포로의 최종 분화를 유도하는 B세포자극인자2(BSF-2)로 분리한 분자량이 210,000인 당단백질이다. 또한, T림프구, B림프구, 대식세포, 섬유아세포 등 여러 세포에서 생산되는 시토카인으로, 인터페론β2(IFN-β2)와 동일 분자이다. 면역응답, 조혈계와 신경계 세포의 증식 및 분화, 급성 반응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L-6의 아미노산 서열은 공지된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서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IL-6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NCBI Genbank 등록번호 AAD13886.1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서열번호 1에 기재하였다.
[서열번호 1]
1 mnsfstsafg pvafslglll vlpaafpapv ppgedskdva aphrqpltss eridkqiryi
61 ldgisalrke tcnksnmces skealaennl nlpkmaekdg cfqsgfneet clvkiitgll
121 efevyleylq nrfesseeqa ravqmstkvl iqflqkkakn ldaittpdpt tnaslltklq
181 aqnqwlqdmt thlilrsfke flqsslralr qm
본 발명에서, "CCL-2"는 케모카인 (C-C 모티프) 리간드 2의 약어로,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이라고도 불린다. CC 케모카인 군에 속하며, 주로 단핵세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에서 분비되고, 단핵세포, 기억관련 T세포, 수지상 세포들을 감염된 부위나 염증이 일어난 부위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분자량은 13kDa으로 알려져 있으며, metalloproteinase MMP12에 의해 절단될 경우 활성화된다. CCL-2의 아미노산 서열은 공지된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서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CCL-2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NCBI Genbank 등록번호 AAB2065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CCL-2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에 기재하였다.
[서열번호 2]
1 mkvsaallcl lliaatfipq glaqpdaina pvtccynftn rkisvqrlas yrritsskcp
61 keavifktiv akeicadpkq kwvqdsmdhl dkqtqtpkt
본 발명에서, "IL-8"이란, 인터루킨-8(interleukin 8)의 약어이다. 인터루킨-8은 CXC 리간드8이라고도 불리며 케모카인의 일종이다. 주로 대식세포와 상피세포, 기도평활근세포, 내피세포 등에서 분비된다. IL-8의 주된 역할은 감염된 곳으로 중성구를 유입시키는 화학주성이며, 혈관 신생, TLR(toll-like receptor)을 통한 선천 면역에도 관여한다 IL-8의 아미노산 서열은 공지된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서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IL-8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NCBI Genbank 등록번호 AAH13615.1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서열번호 3에 기재하였다.
[서열번호 3]
1 mtsklavall aaflisaalc egavlprsak elrcqcikty skpfhpkfik elrviesgph
61 canteiivkl sdgrelcldp kenwvqrvve kflkraens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RA 환자와 정상인의 소변 시료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단백질을 선별하였고, IL-6, CCL-2 및/또는 IL-8의 단백질 양이 정상인 보다 RA 환자에서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이 단백질들은 프로테옴 프로파일의 변화가 일정하기 때문에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을 위한 소변 단백질 바이오마커라고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높은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을 갖는 RA 환자((DAS28≥5.1) 들에서 기존의 잘 알려진 혈청 지표와 비교해 보기 위해 ROC 분석을 진행한 결과, 혈청 CRP의 AUC(area under curve)는 0.669 (95% confidence interval; CI [0.614-0.765])였고, 소변 내 IL-6의 AUC는 0.657 [0.572-0.742], CCL-2의 AUC는 0.642 [0.551-0.734], IL-8의 AUC는 0.546 [0.457-0.636]으로 CRP와 비교하여 열등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도 4).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3년 뒤 골 파괴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검정력을 혈청 ESR 및 혈청 CRP와 비교해 보기 위해 ROC 분석을 진행한 결과, 혈청 ESR의 AUC는 0.741 [0.647-0.835]이었고, CRP의 AUC는 0.740 [0.657-0.824]이었다. 소변 내 IL-6의 AUC는 0.696 [0.590-0.801]로서 혈청 ESR 및 혈청 CRP와 비교하여 대등한 수준임을 보여주었다(도 6).
이상의 결과는 소변 내 마커 측정만으로도 침습적인 혈액 채취 없이도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 활성도 및 질환 중증도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나아가, (i) 소변 내 IL-6 및 혈청 내 CRP의 조합, (ii) 소변 내 IL-6 및 소변 내 CCL-2의 조합, (iii) 소변 내 CCL-2 및 소변 내 IL-8의 조합, 또는 (iv) 소변 내 IL-6 및 소변 내 IL-8의 조합 등 각 단백질의 상호 조합에 의한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상기 마커 단백질들은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활성도 평가 또는 중증도 예후 예측을 위한 비침습적인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고, 이들 단백질의 상호 조합은 보다 나은 진단의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바람직한 일 예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IL-6, CCL-2 및/또는 IL-8에 특이적인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체"란 항원성 부위에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항체는 상기 마커 단백질인 IL-6, CCL-2 및/또는 IL-8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단클론항체, 다클론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단클론항체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하이브리도마 방법(Kohler 및 Milstein(1976)European journal og Immunology 6:511-519), 또는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Clarkson et al, Nature, 352:624-628, 1991; Marks et al, J. Mol. Biol.,222:58, 1-597, 1991)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클론항체는 상기한 단백질 항원을 동물에 주사하고 동물로부터 채혈하여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을 수득하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다클론항체는 염소, 토끼, 양, 원숭이, 말, 돼지, 소, 개 등의 임의의 동물 종 숙주로부터 제조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에는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인간항체 등의 특수항체도 포함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이란 적어도 항원 결합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Fab, F(ab'), F(ab') 2 및 Fv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를 이용하여 시료 내 IL-6, CCL-2 및/또는 IL-8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시료에 상기 항체를 처리하여 항원-항체 복합체의 생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원-항체 복합체"란 IL-6, CCL-2 및/또는 IL-8 단백질과 이에 특이적인 항체의 결합물을 의미하고,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량은 검출 라벨(detection label)의 시그널의 크기를 통해서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또는 단백질 칩(protein chip)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키트는 환자 시료 내 IL-6, CCL-2 및/또는 IL-8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뿐만 아니라, 발현 수준 분석에 적합한 한 종류 이상의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트는 항체의 면역학적 검출을 위하여 기질, 적당한 완충용액, 검출 라벨로 표지된 2차 항체, 및 발색 기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 활성도 평가 또는 중증도 예후 예측용 키트는 ELISA 키트, 샌드위치 ELISA 등 다양한 ELISA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ELISA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일 수 있다.
ELISA 키트는 상기 단백질들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한다. 항체는 IL-6, CCL-2 및/또는 IL-8 단백질에 대한 특이성 및 친화성이 높고 다른 단백질에 교차 반응성이 거의 없는 항체로, 단클론항체, 다클론항체 또는 재조합 항체일 수 있다. 또한, ELISA 키트는 대조군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ELISA 키트는 결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 예를 들면, 표지된 2차 항체, 발색단(chromopores), 효소 및 그의 기질 또는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다른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키트는 웨스턴 블랏, 면역침전분석법, 보체 고정 분석법, 유세포분석, 또는 단백질 칩 등을 구현하기 위한 키트일 수 있으며, 각 분석 방법에 적합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분석 방법들을 통하여,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량을 비교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을 진단할 수 있으며, 이에 맞추어 환자를 적절히 치료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의 키트는 단백질 칩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단백질 칩은 IL-6, CCL-2 및/또는 IL-8 단백질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항체가 정해진 위치에 배열되어 고밀도로 고정화되어있는 것이다. 단백질 칩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은, 검체 시료에서 단백질을 분리하고, 분리한 단백질을 단백질 칩과 혼성화시켜서 항원-항체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이를 판독하여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진단하거나, 활성도를 평가하거나 중증도를 예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량은 검출 라벨(detection label)의 시그널의 크기를 통해서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하다.
상기 검출 라벨은 효소, 형광물, 리간드, 발광물, 미소입자(microparticle), 레독스 분자 및 방사선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검체 시료"란 마커 단백질인 IL-6, CCL-2 및/또는 IL-8의 발현 수준이 차이나는 조직, 세포, 전혈, 혈장, 혈청, 혈액, 타액, 객담, 림프액, 뇌척수액, 세포간액 또는 소변과 같은 시료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 상기 검체 시료는 소변시료일 수 있다.
검체 시료에서 단백질을 분리하는 과정은 공지의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단백질 수준은 앞서 언급한 다양한 항원-항체 복합체 측정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은 IL-6, CCL-2 및/또는 IL-8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로, 상기 항체는 IL-6, CCL-2 및/또는 IL-8에 특이적인 단클론항체 또는 다클론항체일 수 있으나, 나아가 항원결합활성을 보유하는 항체의 기능적 단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항체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류마티스 관절염을 진단하거나, 활성도를 평가하거나, 중증도를 예후 예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소변 내 사이토카인 농도 비교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205명과 건강 대조군 62명의 채취한 소변에서, 대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CCL-2, IL-8 농도를 측정해 보았다. 이들 사이토카인은 염증성 질환에서 혈청 내 농도가 올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의 소변에서도 증가되어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세 가지 사이토카인을 혈청 creatinine으로 보정한 뒤에 두 군 간의 농도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보았다.
도 1에서 보듯이, IL-6 (RA vs control: 0.06 [0.03-0.133] vs 0.03 [0.01-0.07], P<0.001), CCL-2 (RA vs control: 1.47 [0.58-2.51] vs 1.01 [0.54-1.77], P=0.033), IL-8 (RA vs control: 0.09 [0.03-0.19] vs 0.06 [0.01-0.14], P=0.026), 모두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실시예 2: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군의 소변 내 사이토카인 농도와 염증성 지표들 및 질환 활성도와의 관련성 조사
다음으로, 측정된 이 세가지 사이토카인, IL-6, IL-8, CCL-2의 소변 내 농도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205명의 염증성 지표들과 관련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첫째로 대표적인 혈청 내 염증 반영 지표인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P(C-reactive protein), 알부민(Alb), 헤모글로빈(Hb), WBC(white blood cell)과,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도 지표인 DAS28(disease activity 28), 그리고 류마티스 관절염 중증도 지표인 골 파괴 점수(Sharp van der Heijde score; SvdH)와 상호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또 동시에 각각의 소변 내 사이토카인이 혈청 IL-6, IL-8, CCL-2와도 상관관계를 보이는 지 함께 조사하였다. 도 2에서 보듯이, 소변 내 IL-6은 혈청 CRP, DAS28, SvdH score, Alb, WBC, 혈청 IL-6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소변 내 IL-8은 혈청 ESR, CRP, DAS28, Alb, Hb과, 소변 내 CCL-2는 혈청 ESR, CRP, DAS28, Alb, Hb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소변 내 IL-6, IL-8, CCL-2 세 사이토카인이 혈청 내 염증 정도를 유의하게 반영해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질환 활성도와의 관련성을 조금 더 살펴보기 위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을 질환 활성도에 따라 low (DAS28<3.2), moderate (3.2≤DAS28<5.1), high (DAS28≥5.1)로 나누어 각각의 군에서 혈청 creatinine으로 보정한 소변 내 사이토카인 농도들을 비교하였다. IL-6 농도는 low, moderate, high disease activity 군에서 각각 0.10±0.04, 0.11±0.02, 0.37±0.12 (mean±SEM)이었고, low versus high disease activity 군에서는 P=0.029, moderate versus high disease activity 군에서는 P=0.013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도 3의 A). CCL-2 농도는 low, moderate, high disease activity 군에서 각각 1.78±0.39, 1.71±0.25, 5.69±2.19 (mean±SEM)이었고, moderate versus high disease activity 군에서만 P=0.04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도 3의 B). IL-8 농도는 low, moderate, high disease activity 군에서 각각 0.24±0.16, 0.37±0.12, 1.06±0.65 (mean±SEM)이었고, low versus high disease activity 군에서만 P=0.04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도 3의 C).
심한 질환 활성도를 보이는 환자군(DAS28≥5.1)들을 진단해 낼 수 있는 검정력을 기존의 잘 알려진 혈청 지표와 비교해 보기 위해 ROC 분석을 하였다. 현재 혈청 염증성 지표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ESR과 CRP이다. 본 실험에서는 CRP와만 비교를 하였는데, 이는 본 환자군 대상으로 질환 활성도 평가 시 사용된 지표 DAS28은 ESR을 사용하여 계산되었기 때문에 ESR은 제외시켰다. 혈청 CRP의 AUC(area under curve)는 0.669 (95% confidence interval; CI [0.614-0.765]) 이었고, 소변 내 IL-6의 AUC는 0.657 [0.572-0.742], CCL-2의 AUC는 0.642 [0.551-0.734], IL-8의 AUC는 0.546 [0.457-0.636]으로 CRP와 비교하여 열등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도 4).
실시예 3: 소변 내 사이토카인 농도의 류마티스 관절염 중증도(골 파괴 정도) 예측 분석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평가를 위해 환자들의 소변 내 농도에 따른 3년 뒤 골 파괴 정도 점수를 분석하였다. 골 파괴 정도는 Sharp van der Heijde (SvdH) 방법을 이용하여 양손과 양발 X-ray에서 계산하였다. 기존의 알려져 있는 중증도 지표들을 포함하여 소변 내 사이토카인들의 농도에 따른 골 파괴 발생 predicted probability plot을 각각 산출하였다. 소변 내 IL-6 농도, 혈청 ESR 및 혈청 CRP 농도가 증가할수록, ACPA(anti-cyclic citrullinated peptide antibody) positivity를 보일 때 골 파괴 발생 predicted probability가 증가하였다 (도 5).
어떠한 위험 인자들이 3년 뒤 골 파괴 정도를 독립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소변 내 사이토카인들과, 다변량 분석결과 유의한 변수 및 기존의 골 파괴 위험인자를 알려진 변수들-나이, 질병 이환 기간, CRP-, 그리고 소변 내 사이토카인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glomerular filtration rate를 보정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다변량 분석 결과, 소변 내 IL-6의 1-quarter 증가 시 골파괴 위험이 3.97배, ESR 1mm/hr 증가 시 골 파괴 위험은 1.03배, ACPA 양성 소견을 보일 때 골 파괴 위험이 5.87배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
또한, 3년 뒤 골 파괴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검정력을 ESR 및 CRP와 비교해 보기 위해 ROC 분석을 하였다. 혈청 ESR의 AUC는 0.741 [0.647-0.835]이었고, 혈청 CRP의 AUC는 0.740 [0.657-0.824]이었다. 소변 내 IL-6의 AUC는 0.696 [0.590-0.801]로서 ESR 및 CRP와 비교하여 대등한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도 6).
이상의 결과는 소변 내 마커 측정만으로도 침습적인 혈액 채취 없이도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및 질환 중증도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방사선 진행을 예측하는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Variables Odds ratio Estimate P-value
Urianry IL-6, per 1 quarter increase 3.97 1.379 0.016
ESR, per 1 unit increase 1.03 0.031 0.001
ACPA, positivity 5.87 1.77 0.042
로지스틱 회귀는 방사선 진행의 존재에 대해 조정된 기본 모델 교차비(Odds ratio)를 획득하는데 사용하고, 이 모델은 연령, 질병 기간, C-반응성 단백질 및 사구체 여과율에 대해 조정된다.
Figure 112017072465174-pat00001
상기 표 2는 뇨 IL-6과 혈청 CRP level에 따라 각각 3군으로 나눴을 때 both low 군은 IL-6와 CRP level이 동시에 모두 낮은 1군을 의미하고, both high 는 동시에 모두 높은 3군을 의미하며, high CRP 군은 CRP만 높은 3군, high IL-6군은 IL-6만 높은 3군을 의미한다. 나머지 군은 both mid 군에 속한다. Both high 군은 both low 인 군에 비해 골 파괴 위험이 4.6배 증가했으며, 항CCP 항체 양성 군에서는 5.0배, ESR이 상승되어 있는 군에서는 6.7배 위험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하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마커들을 3군으로 나눈 후, 하나의 마커만을 이용해 골 파괴 위험을 측정했을 때, IL-6의 경우 2.9배, CRP의 경우 2.8배 보다 더 증가된 위험도를 보이고 있어 IL-6과 CRP 조합이 유용한 마커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Figure 112017072465174-pat00002
또한, 소변 내 단백질들의 조합이 3년 뒤 골 파괴 정도를 각각의 경우 보다 조합했을 때 더 잘 예측할 수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combination modeling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환자들을 각각의 소변 내 단백질 농도 중간 값(median value)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었고, 각 두 개의 단백질로 조합한 3가지 경우(IL6+CCL2, IL6+IL8, IL8+CCL2)를 조사하였다.
예를 들어 IL-6과 IL-8의 경우, 두 단백질이 모두 낮은 군, 모두 높은 군, IL-6만 높은 군, IL-8만 높은 군, 위의 4가지 경우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 군으로 5군으로 나눠서, 두 가지 단백질 모두 낮은 군을 참고치로 했을 때, 모두 높은 군의 골파괴 위험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IL-6과 IL-8의 경우, 두 단백질의 농도가 모두 낮은 군에 비해 둘 다 높은 군이 골 파괴 위험이 3.1배 증가하였고, IL-6과 CCL2의 경우는 두 가지 단백질 농도가 낮은 군에 비해 모두 높을 때 6.2배, IL-8과 CCL2의 경우 모두 낮은 군에 비해 모두 높은 군이 6.1 배 골 파괴 위험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음 (표 4).
Figure 112017072465174-pat00003
<110>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Biomarkers for diagnosing rheumatoid arthritis <130> P17U11C0736 <150> KR 10-2016-0097185 <151> 2016-07-29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12 <212> PRT <213> human IL-6 <400> 1 Met Asn Ser Phe Ser Thr Ser Ala Phe Gly Pro Val Ala Phe Ser Leu 1 5 10 15 Gly Leu Leu Leu Val Leu Pro Ala Ala Phe Pro Ala Pro Val Pro Pro 20 25 30 Gly Glu Asp Ser Lys Asp Val Ala Ala Pro His Arg Gln Pro Leu Thr 35 40 45 Ser Ser Glu Arg Ile Asp Lys Gln Ile Arg Tyr Ile Leu Asp Gly Ile 50 55 60 Ser Ala Leu Arg Lys Glu Thr Cys Asn Lys Ser Asn Met Cys Glu Ser 65 70 75 80 Ser Lys Glu Ala Leu Ala Glu Asn Asn Leu Asn Leu Pro Lys Met Ala 85 90 95 Glu Lys Asp Gly Cys Phe Gln Ser Gly Phe Asn Glu Glu Thr Cys Leu 100 105 110 Val Lys Ile Ile Thr Gly Leu Leu Glu Phe Glu Val Tyr Leu Glu Tyr 115 120 125 Leu Gln Asn Arg Phe Glu Ser Ser Glu Glu Gln Ala Arg Ala Val Gln 130 135 140 Met Ser Thr Lys Val Leu Ile Gln Phe Leu Gln Lys Lys Ala Lys Asn 145 150 155 160 Leu Asp Ala Ile Thr Thr Pro Asp Pro Thr Thr Asn Ala Ser Leu Leu 165 170 175 Thr Lys Leu Gln Ala Gln Asn Gln Trp Leu Gln Asp Met Thr Thr His 180 185 190 Leu Ile Leu Arg Ser Phe Lys Glu Phe Leu Gln Ser Ser Leu Arg Ala 195 200 205 Leu Arg Gln Met 210 <210> 2 <211> 99 <212> PRT <213> human CCL-2 <400> 2 Met Lys Val Ser Ala Ala Leu Leu Cys Leu Leu Leu Ile Ala Ala Thr 1 5 10 15 Phe Ile Pro Gln Gly Leu Ala Gln Pro Asp Ala Ile Asn Ala Pro Val 20 25 30 Thr Cys Cys Tyr Asn Phe Thr Asn Arg Lys Ile Ser Val Gln Arg Leu 35 40 45 Ala Ser Tyr Arg Arg Ile Thr Ser Ser Lys Cys Pro Lys Glu Ala Val 50 55 60 Ile Phe Lys Thr Ile Val Ala Lys Glu Ile Cys Ala Asp Pro Lys Gln 65 70 75 80 Lys Trp Val Gln Asp Ser Met Asp His Leu Asp Lys Gln Thr Gln Thr 85 90 95 Pro Lys Thr <210> 3 <211> 99 <212> PRT <213> human IL-8 <400> 3 Met Thr Ser Lys Leu Ala Val Ala Leu Leu Ala Ala Phe Leu Ile Ser 1 5 10 15 Ala Ala Leu Cys Glu Gly Ala Val Leu Pro Arg Ser Ala Lys Glu Leu 20 25 30 Arg Cys Gln Cys Ile Lys Thr Tyr Ser Lys Pro Phe His Pro Lys Phe 35 40 45 Ile Lys Glu Leu Arg Val Ile Glu Ser Gly Pro His Cys Ala Asn Thr 50 55 60 Glu Ile Ile Val Lys Leu Ser Asp Gly Arg Glu Leu Cys Leu Asp Pro 65 70 75 80 Lys Glu Asn Trp Val Gln Arg Val Val Glu Lys Phe Leu Lys Arg Ala 85 90 95 Glu Asn Ser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소변 시료 내 존재하는 인터루킨-6(IL-6), CCL-2(Chemokine (C-C motif) ligand 2) 및 인터루킨-8(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평가용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는 인터루킨-6(IL-6), CCL-2(Chemokine (C-C motif) ligand 2) 및 인터루킨-8(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특이적인 항체인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단클론항체 또는 다클론항체인 조성물.
  15. 제 12 항에 있어서,
    소변 내 존재하는 IL-6 및 혈청 내 존재하는 CRP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평가용 키트.
  17.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활성도 평가용 단백질 칩.
  18. 소변 시료로부터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농도 측정은 IL-6, CCL-2 및 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단클론항체 또는 다클론항체인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농도 측정은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assay),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 분석(Fluore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또는 단백질 칩(protein chip)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소변 내 존재하는 IL-6 및 혈청 내 존재하는 CRP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인 방법.
  23. 소변 시료 내 존재하는 인터루킨-6(IL-6), CCL-2(Chemokine (C-C motif) ligand 2) 및 인터루킨-8(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예후 예측용 조성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인터루킨-6(IL-6), CCL-2(Chemokine (C-C motif) ligand 2) 및 인터루킨-8(IL-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특이적인 항체인 조성물.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단클론항체 또는 다클론항체인 조성물.
  26. 제 23 항에 있어서,
    (i) 소변 내 IL-6 및 혈청 내 CRP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 (ii) 소변 내 CCL-2 및 소변 내 IL-8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 또는 (iii) 소변 내 IL-6 및 소변 내 IL-8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27. 제 23 항에 있어서,
    소변 내 IL-6 및 혈청 내 CRP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28. 제 2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 예후 예측용 키트.
KR1020170095284A 2016-07-29 2017-07-27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KR101978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85 2016-07-29
KR20160097185 2016-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419A KR20180014419A (ko) 2018-02-08
KR101978677B1 true KR101978677B1 (ko) 2019-08-29

Family

ID=6101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284A KR101978677B1 (ko) 2016-07-29 2017-07-27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8677B1 (ko)
WO (1) WO2018021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499B1 (ko) * 2019-06-17 2021-12-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사체 분석을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중증도 예측 또는 구분용 바이오마커
KR102481470B1 (ko) * 2019-11-07 2022-12-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류마티스 관절염의 질병활성도 평가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이용
WO2022031006A1 (ko) * 2020-08-05 2022-02-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관절염 진단용 조성물 및 골관절염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8183A1 (en) * 2004-07-23 2006-01-26 Novartis Ag Biomarkers for rheumatoid arthritis (ra)
US20070072237A1 (en) * 2004-02-27 2007-03-29 Norbert Wild Method of assessing rheumatoid arthritis by measuring rheumatoid factor and interleukin-6
US20090142792A1 (en) 2007-06-21 2009-06-04 Robinson William H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autoimmune disea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44B1 (ko) 2007-10-11 2010-01-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na-메틸전이효소-3b를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예후진단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중증도 예측및 판단 방법
WO2011047358A1 (en) * 2009-10-15 2011-04-21 Crescendo Bioscience Biomarker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inflammatory disease activity
WO2011129382A1 (en) * 2010-04-16 2011-10-20 Abbott Japan Co. Ltd. Methods and reagents for diagnosing rheumatoid arthritis
EP2635966A4 (en) * 2010-11-06 2014-06-04 Crescendo Bioscience BIOMARKERS FOR PREDICTING EVOLUTIVE JOINT DAM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2237A1 (en) * 2004-02-27 2007-03-29 Norbert Wild Method of assessing rheumatoid arthritis by measuring rheumatoid factor and interleukin-6
WO2006008183A1 (en) * 2004-07-23 2006-01-26 Novartis Ag Biomarkers for rheumatoid arthritis (ra)
US20090142792A1 (en) 2007-06-21 2009-06-04 Robinson William H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autoimmune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624A1 (ko) 2018-02-01
KR20180014419A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su et al. IL-17 patterns in synovium, serum and synovial fluid from treatment-naive, early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Hurnakova et al. Serum calprotectin (S100A8/9): an independent predictor of ultrasound synoviti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Reyes-Thomas et al. Urinary biomarkers in lupus nephritis
Meyer et al. Serum level of adiponectin is a surrogate independent biomarker of radiographic disease progression in early rheumatoid arthritis: results from the ESPOIR cohort
Hansson et al. S-calprotectin (S100A8/S100A9): a potential marker of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psoriatic arthritis
US8058013B2 (en) Assessing risk of disease progression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EP1721162B1 (en) Method of assessing rheumatoid arthritis by measuring anti-ccp and serum amyloid a
Ezzat et al. Elevated production of galectin‐3 is correlated with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disease activity, severity, and progression
EP1700129B1 (en) Method of assessing rheumatoid arthritis by measuring anti-ccp and interleukin 6
KR101978677B1 (ko)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용 바이오마커
JP2012516431A (ja) 糖尿病性ネフロパシーに関連する尿および血清のバイオマーカー
Nam et al. The role of biomarkers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US20170350884A1 (en) Rheumatoid arthritis related biomarker
JP6687391B2 (ja) リウマチ性関節炎(ra)の存在を決定するためのサンプルの測定方法
KR102596937B1 (ko) 류마티스 관절염의 판누스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이용
EP3861347B1 (en) Biomarkers for a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lenvatinib and everolimus
Hussein et al. Role of cartilage oligomeric matrix protein (COMP) as a prognostic biomarker in follow-up of early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Correlation to musculoskeletal ultrasonographic findings
KR101686877B1 (ko) GDF15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IgA 신병증 진단 또는 예후 분석용 키트
JP2011107116A (ja) 脳梗塞の検査方法
JP2010071833A (ja) 関節リウマチ疾患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用キット
Tan et al. The utility of serum anti-tumour necrosis factor levels and biomarkers in predicting endoscopic activity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hmed et al. Fractalkine (CX3CL1) as a Diagnostic Marker for Childhood Onset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El Kosaier et al. The Egyptian Rheumatologist
WO2023148165A1 (en) Method for diagnosing collagen degradatation associated disease
El Kosaier et al. Serum amyloid a level and musculoskeletal ultrasound in assessment of disease activity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