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501B1 - 조적벽체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조적벽체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501B1
KR101978501B1 KR1020180136865A KR20180136865A KR101978501B1 KR 101978501 B1 KR101978501 B1 KR 101978501B1 KR 1020180136865 A KR1020180136865 A KR 1020180136865A KR 20180136865 A KR20180136865 A KR 20180136865A KR 101978501 B1 KR101978501 B1 KR 101978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ress
pin
wal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재
Original Assignee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3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2Replacing or add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입구멍(PH)들에 각각 압입되어 내력벽체(1)와 조적벽체(5)를 연결하는 보강핀(10)들 및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보강핀(10)들을 연결하여 보강핀(10)들의 분리를 방지함과 아울러 보강핀(10)들 사이의 벽돌(6)들을 결속하는 텐션 라인(30)을 포함하는, 조적벽체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적벽체 보강장치 {REINFORCEMENT DEVICE FOR MASONRY WALL}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벽돌로 구성된 조적벽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을 구성하는 내력벽체(bearing wall)의 외부에 마감 등을 목적으로 벽돌쌓기를 하여 조적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조적벽체는 내력벽체와 함께 이중벽을 구성한다. 내력벽체와 조적벽체 사이에는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다. 조적벽체는 치장벽돌(face brick)(외장벽돌이라 칭하기도 한다.)로 구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470호(2002.10.09.)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8510호(2006.09.26.)에는, 나선형(screw type)의 구조를 가진 보강핀(reinforcement pin)들을 이용하여 이중벽의 내력벽체와 조적벽체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조적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수직하중 등)을 내력벽체에 전달하여 분담시키는 조적벽체 보강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종래기술은, 조적벽체를 관통하여 내력벽체의 일정 깊이에 이르는 압입구멍들을 보강핀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천공하고, 천공된 압입구멍 각각에 보강핀을 압입한 후, 보강핀이 압입된 압입구멍들에 충전재를 채우는 방식으로 내력벽체에 조적벽체를 연결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내력벽체와 조적벽체가 보강핀들에 의하여 서로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내력벽체가 조적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담하기 때문에, 조적벽체의 배부름 현상, 조적벽체로부터 벽돌이 탈락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 사용 시나 지진 발생 시 보강핀의 압입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하면서 압입된 보강핀이 자칫 분리될 수 있고, 이로써 조적벽체에 대한 보강핀들의 보강력이 약화될 수 있다. 때문에, 보강핀의 분리를 염두에 두고 보강핀을 설계 시 개수보다 많이 적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이에 대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470호(2002.10.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8510호(2006.09.26.)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입된 보강핀들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적은 개수의 보강핀으로 큰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적벽체(5)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의 벽돌(6)을 각각 관통하여 내력벽체(1)의 일정 깊이에 이르도록 천공한 압입구멍(PH)들에 각각 압입된 보강핀(10)들과; 상기 조적벽체(5)의 외부에서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상기 보강핀(10)들을 연결하는 텐션 라인(tension line, 30)을 포함하는, 조적벽체 보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적벽체(5)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소를 각각 관통하여 내력벽체(1)의 일정 깊이에 이르도록 천공한 제1 압입구멍(PH 참조)들에 각각 압입된 제1 보강핀(10 참조)들과; 상기 조적벽체(5)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압입구멍들의 위치와 다른 복수의 개소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내력벽체(1)의 일정 깊이에 이르도록 천공한 제2 압입구멍(PH 참조)들에 각각 압입된 제2 보강핀(10 참조)들과; 상기 조적벽체(5)의 외부에서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상기 제1 보강핀들을 연결하는 제1 텐션 라인(30 참조) 및 상기 제2 보강핀들을 연결하는 제2 텐션 라인(30 참조)과;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상기 제1 텐션 라인과 상기 제2 텐션 라인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보강라인(40)을 포함하는, 조적벽체 보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압입구멍, 상기 제1 압입구멍 및 상기 제2 압입구멍을 압입구멍이라 통칭하고, 상기 보강핀, 상기 제1 보강핀 및 상기 제2 보강핀을 보강핀이라 통칭하며, 상기 텐션 라인, 상기 제1 텐션 라인 및 상기 제2 텐션 라인을 텐션 라인이라 통칭한다.
상기 보강핀(10) 각각은, 상기 압입구멍(PH)에 압입된 핀 바디(pin body, 10B)와; 상기 핀 바디(10B)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압입구멍(PH)의 입구(PH1)를 통하여 상기 조적벽체(5)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텐션 라인(30)이 연결된 핀 헤드(pin head, 10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헤드(10H)는 외주에 수나사(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장치는 너트부재(nut member, 2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20)들은 내주에 상기 수나사(11)와 대응하는 암나사(21)가 각각 형성되어 각기 상기 핀 헤드(10H)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20) 각각에는 상기 보강핀(10)을 상기 압입구멍(PH)에 압입하는 때 상기 압입구멍(PH)의 입구(PH1)의 주위에 걸려서 상기 보강핀(10)의 진입을 제한하는 멈춤 부분(22) 및 상기 압입구멍(PH)에 압입된 상기 보강핀(10)을 회전시키는 때 상기 너트부재(20)가 상기 보강핀(10)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상기 압입구멍(PH)의 입구(PH1)의 주위와의 간섭작용으로 방지하는 간섭 부분(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텐션 라인(30)은 압입된 상기 보강핀(10)이 진입되도록 상기 보강핀(10)을 회전시키면 긴장될 수 있다.
상기 핀 헤드(10H)에는 상기 텐션 라인(30)이 연결되는 연결 부분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분은 연결고리(12R) 또는 연결구멍(12H)일 수 있다.
상기 간섭 부분(23)은 상기 압입구멍(PH)의 입구(PH1)의 주위에 박힐 수 있는 스파이크(spike)로 구성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입구멍(PH)들에 각각 압입된 보강핀(10)들에 의하여 내력벽체(1)와 조적벽체(5)가 연결되고,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보강핀(10)들을 연결한 텐션 라인(30)에 의하여 보강핀(10)들의 분리가 방지됨과 아울러 보강핀(10)들 사이의 벽돌(6)들이 결속되어 한 덩어리로 결집되기 때문에, 조적벽체(5)를 구조적으로 강력하게 보강하여 조적벽체(5)의 배부름 현상, 조적벽체(5)로부터 벽돌(6)이 탈락하는 현상 등을 적은 개수의 보강핀(10)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핀(10)들 사이의 벽돌(6)들이 텐션 라인(30)에 의하여 결속되는 구성에 의하면, 내력벽체(1)에서 조적벽체(5)의 보강할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 등이 존재하여 보강핀(10)을 부분적으로 적용하지 못하더라도(즉, 내력벽체가 부재하여 여기에 보강핀을 적용하지 못하더라도) 보강핀(10) 미적용 부분의 벽돌(6)들이 한 덩어리로 결집된 것에 따라 조적벽체(5)를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텐션 라인(30)의 한쪽 부분과 다른 쪽 부분 및/또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텐션 라인(30)이 텐션 보강라인(40)에 의하여 연결되고, 텐션 보강라인(40)의 연결이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텐션 라인(30)의 긴장 상태를 장기간 동안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적은 개수의 보강핀(10)으로 큰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강핀(10)을 진입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부재(20)의 회전이 간섭 부분(23)인 스파이크에 의하여 방지된 상태에서 보강핀(10)이 회전됨에 따라 보강핀(10)이 진입되기 때문에, 텐션 라인(30)의 긴장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도 있고, 텐션 라인(30)을 용이하게 재긴장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장치를 구성하는 보강핀의 일례 및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장치를 구성하는 보강핀의 작동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장치는 조적벽체에서 전체 영역 또는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일부 영역에 적용되어 조적벽체를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장치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은 내력벽체이고, 도면부호 3은 단열재이며, 도면부호 5는 조적벽체이다. 내벽인 내력벽체(1)와 외벽인 조적벽체(5)는 이중벽을 구성하고, 단열재(3)는 내력벽체(1)와 조적벽체(5) 사이에 배치된다.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단열재(3)가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조적벽체(5)는 벽돌쌓기로 형성된다. 조적벽체(5)를 구성하는 벽돌(6)들은 일례로 치장벽돌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장치는 복수의 보강핀(10), 복수의 너트부재(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라인(tension line, 3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보강라인(40)을 포함한다.
도면부호 PH는 압입구멍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구멍(PH)들은 조적벽체(5)의 보강할 영역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소를 각각 관통하고 단열재(3)를 경유하여 내력벽체(1)의 일정 깊이에 이르도록 천공된다. 보강핀(10)들은 천공된 압입구멍(PH)들에 각각 강제적으로 압입되어 내력벽체(1)와 조적벽체(5)를 연결한다. 텐션 라인(30)은 압입된 보강핀(10)들을 연결한다.
압입구멍(PH)들은 드릴(drill) 등을 이용하여 천공할 수 있다. 압입구멍(PH)들은 선택된 서로 다른 벽돌(6)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압입구멍(PH)들은 벽돌(6)이 아닌 벽돌(6)들 사이의 줄눈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압입구멍(PH)들은 보강핀(10)들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압입구멍(PH)들의 직경은 보강핀(10)들에 비하여 1.5㎜ 내지 2.5㎜가 작을 수 있다.
도 4에는 보강핀(1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보강핀(1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강핀(10)들은 강도가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핀(10)들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핀(10) 각각은, 압입구멍(PH)에 압입되어 내력벽체(1)와 조적벽체(5)를 연결하는 핀 바디(10B) 및 핀 바디(10B)의 선단과 후단 중 후단에 구비된 핀 헤드(10H)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핀 바디(10B)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7343호(2004.04.14.)에 개시된 보강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나선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핀 바디(10B)는, 방사상으로 구비된 날개들을 가지되, 날개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핀 헤드(10H)는 핀 바디(10B)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핀 바디(10B)가 압입구멍(PH)에 압입된 때 압입구멍(PH)의 입구(PH1)를 통하여 조적벽체(5)의 외부로 노출된다. 핀 헤드(10H)에는 텐션 라인(30)이 연결된다. 핀 헤드(10H)는 핀 바디(10B)와 일체형일 수 있다.
보강핀(10)들의 핀 헤드(10H)는 각각 외주에 수나사(11)가 형성된다. 너트부재(20)들은 내주에 핀 헤드(10H)의 수나사(11)와 대응하는 암나사(도 6의 도면부호 21 참조)가 각각 형성되어 각기 핀 헤드(10H)에 나사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구멍(PH)들에는 입구(PH1)로부터 외부로 확장된 형상으로 연장되어 보강핀(10)들이 압입구멍(PH)에 각각 압입된 때 너트부재(20)들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홈(CG)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강핀(10)들의 핀 헤드(10H)에는 텐션 라인(30)이 연결되는 연결 부분(12R 및 12H 참조)이 각각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헤드(10H)의 연결 부분은 핀 헤드(10H)의 후단에 마련된 연결고리(12R)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헤드(10H)의 연결 부분은 핀 헤드(10H)의 외주에 마련된 연결구멍(12H)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구멍(12H)은 핀 헤드(10H)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수나사(11)는 핀 헤드(10H)의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핀 헤드(10H)에 연결고리(12R)와 연결구멍(12H)이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보강핀(10)들 중 일부로는 연결고리(12R)가 마련된 타입을 적용하고 나머지로는 연결구멍(12H)이 마련된 타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너트부재(20) 각각에는 보강핀(10)을 상기 압입구멍(PH)에 압입하는 때 압입구멍(PH)의 입구(PH1)의 주위에 걸려서 보강핀(10)의 진입을 제한하는 멈춤 부분(22)이 마련된다. 또한, 너트부재(20) 각각에는 압입구멍(PH)에 압입된 보강핀(10)을 회전시키는 때 너트부재(20)가 보강핀(10)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압입구멍(PH)의 입구(PH1)의 주위와의 간섭작용으로 방지하는 간섭 부분(23)이 구비된다.
너트부재(20)들은 멈춤 부분(22)이 압입구멍(PH)의 입구(PH1)의 주위와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멈춤 부분(22)은 입구(PH1)의 주위와 대향하는 면을 가진 스토퍼(stopper)일 수 있다.
너트부재(20)들은 간섭 부분(23)이 멈춤 부분(22)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 부분(23)은 압입구멍(PH)의 입구(PH1)의 주위에 박힐 수 있께 뾰족한 선단을 가진 스파이크일 수 있다. 간섭 부분(23)을 멈춤 부분(22)의 표면에 마련하면, 간섭 부분(23)이 멈춤 부분(22)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텐션 라인(30)은 조적벽체(5)의 외부에서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보강핀(10)들을 연결한다. 텐션 라인(30)은 압입된 보강핀(10)들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하나만 구비되어 보강핀(10) 모두를 연결할 수도 있고 복수로 구비되어 보강핀(10) 모두를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텐션 라인(30)으로는 와이어(wire)가 적용될 수 있다.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보강핀(10)들을 연결한 텐션 라인(30)에 의하면, 보강핀(10)들 사이의 벽돌(6)들이 결속되어 한 덩어리로 결집되기 때문에, 보강핀(10)들 사이의 벽돌(6)이 탈락하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핀(10)들을 연결한 텐션 라인(30)이 긴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강핀(10)들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현상을 보다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즉, 보강핀(10) 모두가 동시에 분리되는 상황이나 텐션 라인(30)이 절단되어 보강핀(10)들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가 발생하여야만 보강핀(10)들이 분리되므로 보강핀(10)들이 압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텐션 보강라인(40)은 조적벽체(5)의 외부에서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텐션 라인(30)의 한쪽 부분과 다른 쪽 부분을 서로 연결하거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텐션 라인(30)을 서로 연결하여 텐션 라인(30)의 긴장 상태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게 텐션 라인(30)에 긴장력을 도입한다. 텐션 보강라인(40)으로는 와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의 (a)는 장기 사용 또는 지진 발생 등으로 인하여 보강핀(10)의 압입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하면서 텐션 라인(30)의 긴장도가 완화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보강핀(10)을 더 진입시켜 텐션 라인(30)이 재긴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라인(30)은 보강핀(10)의 압입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하면서 긴장도가 완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텐션 라인(30)에 의하여 연결된 보강핀(10)들 사이의 벽돌(6)들에 대한 결속력도 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압입 상태가 느슨해진 보강핀(10)을 진입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너트부재(20)의 회전이 간섭 부분(23)인 스파이크에 의하여 방지된 상태에서 해당의 보강핀(10)이 회전됨에 따라 해당의 보강핀(10)이 진입되면서 텐션 라인(30)이 긴장된다. 물론, 보강핀(10)들 중 어떠한 것을 회전시켜서 진입시키더라도 텐션 라인(30)에 긴장력이 도입된다. 이 때, 텐션 라인(30)의 한쪽 부분과 다른 쪽 부분 및/또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텐션 라인(30)이 텐션 보강라인(4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구성에 의하면, 텐션 라인(30)에 보강핀(10)의 진입 깊이 대비 큰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고, 텐션 라인(30)들 중 어느 하나에만 긴장력을 도입하더라도 다른 텐션 라인에 긴장력이 함께 도입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도 5 등의 도면부호 13 및 14는 보강핀(10)을 압입구멍(PH)에 압입하는 때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게 하는 공구 결합부로, 보강핀(10)이 연결고리(12R)를 가진 경우에는 핀 헤드(10H)의 외주에서 수나사(11)의 후방에 육각형 등 다각형부(14)를 형성하여 공구 결합부를 구성할 수 있고, 보강핀(10)이 연결구멍(12H)을 가진 경우에는 핀 헤드(10H)의 후단에 일자형이나 십자형 등의 홈부(13)를 형성하여 공구 결합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의 도면부호 35는 압착클립으로, 텐션 라인(30)에서 연결고리(12R) 또는 연결구멍(12H)을 통과하여 고리형으로 접힌 단부는 압착클립(35)으로 결속될 수 있다. 텐션 보강라인(40)도 텐션 라인(30)에 이러한 압착클립으로 결속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PH : 압입구멍
1 : 내력벽체
3 : 단열재
5 : 조적벽체
10 : 보강핀
11 : 수나사
12 : 연결 부분(연결고리, 연결구멍)
10B : 핀 바디
10H : 핀 헤드
20 : 너트부재
21 : 암나사
22 : 멈춤 부분(스토퍼)
23 : 간섭 부분(스파이크)
30 : 텐션 라인
40 : 텐션 보강라인

Claims (6)

  1. 조적벽체(5)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소를 각각 관통하여 내력벽체(1)의 일정 깊이에 이르도록 천공한 압입구멍(PH)들에 각각 압입된 보강핀(10)들과; 너트부재(20)들과; 상기 조적벽체(5)의 외부에서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상기 보강핀(10)들을 연결하는 텐션 라인(30)을 포함하되,
    상기 보강핀(10) 각각은, 상기 압입구멍(PH)에 압입된 핀 바디(10B)와; 상기 핀 바디(10B)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압입구멍(PH)의 입구(PH1)를 통하여 상기 조적벽체(5)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텐션 라인(30)이 연결된 핀 헤드(10H)를 포함하고,
    상기 핀 헤드(10H)는 외주에 수나사(11)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재(20)들은 내주에 상기 수나사(11)와 대응하는 암나사(21)가 각각 형성되어 각기 상기 핀 헤드(10H)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너트부재(20) 각각에는 상기 압입구멍(PH)에 압입된 상기 보강핀(10)을 회전시키는 때 상기 너트부재(20)가 상기 보강핀(10)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상기 압입구멍(PH)의 입구(PH1)의 주위와의 간섭작용으로 방지하는 간섭 부분(23)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텐션 라인(30)은 압입된 상기 보강핀(10)이 진입되도록 상기 보강핀(10)을 회전시키면 긴장되는,
    조적벽체 보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 헤드(10H)에는 상기 텐션 라인(30)이 연결되는 연결 부분인 연결고리(12R) 또는 연결구멍(12H)이 마련된,
    조적벽체 보강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간섭 부분(23)은 상기 압입구멍(PH)의 입구(PH1)의 주위에 박힐 수 있는 스파이크로 구성된,
    조적벽체 보강장치.
  6. 삭제
KR1020180136865A 2018-11-08 2018-11-08 조적벽체 보강장치 KR10197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865A KR101978501B1 (ko) 2018-11-08 2018-11-08 조적벽체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865A KR101978501B1 (ko) 2018-11-08 2018-11-08 조적벽체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501B1 true KR101978501B1 (ko) 2019-05-15

Family

ID=6657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865A KR101978501B1 (ko) 2018-11-08 2018-11-08 조적벽체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947B1 (ko) * 2020-04-01 2020-10-22 남용희 보강와이어를 이용한 건물 외부벽체의 보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470Y1 (ko) 2002-07-04 2002-10-09 김양중 나사형 보강핀에 의한 벽체 보강구조
KR100628510B1 (ko) 2004-06-22 2006-09-26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654781B1 (ko) * 2006-02-20 2006-12-08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1417711B1 (ko) * 2014-01-29 2014-07-09 (주)혜암 조적벽체 보강용 쐐기앵커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470Y1 (ko) 2002-07-04 2002-10-09 김양중 나사형 보강핀에 의한 벽체 보강구조
KR100628510B1 (ko) 2004-06-22 2006-09-26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654781B1 (ko) * 2006-02-20 2006-12-08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1417711B1 (ko) * 2014-01-29 2014-07-09 (주)혜암 조적벽체 보강용 쐐기앵커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947B1 (ko) * 2020-04-01 2020-10-22 남용희 보강와이어를 이용한 건물 외부벽체의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9138B1 (de) Spreizdübel
AU2013206677B2 (en) A self-drilling wall anchor device
JP4813300B2 (ja) 硬い基礎構造用の固定素子
DE1400931A1 (de) Befestigungsduebel
EP2959106B1 (de) Ankerkopf und ankermutter für einen zuganker
DE60300630T2 (de) Tief einführbarer und entfernbarer Anker
KR101584044B1 (ko) 마이크로파일 커플러
KR101978501B1 (ko) 조적벽체 보강장치
CN108223529A (zh) 中空墙锚固件
WO2018001916A1 (de) Spreizanker
KR20040063505A (ko) 철근 연결구
CA2453374C (en) Striking plug
US9534495B2 (en) Rock anchoring system and method
US10384085B1 (en) Concrete anchor poi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DE19749571B4 (de) Anker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dynamisch querbelasteten Gegenständen
EP3770448A1 (de) Verbindungssystem für die mechanische verbindung zweier werkstoffe
DE202011004431U1 (de) Isolierdübel
KR101368055B1 (ko) 그라운드 앵커
KR200394408Y1 (ko) 앵커볼트
EP3663506B1 (en) A drilling string, threaded coupling, and rod adaptor for rotary drilling
KR200454729Y1 (ko) 어스 앵커의 강연선 고정구
AU2004200570A1 (en) Rock Bolt Assembly
AT501637B1 (de) Spreizdübel
DE3702692C2 (de) Kraftbegrenzer für zu Häusern führenden Versorgungsleitungen, insbesondere Gasleitungen
EP3037682A1 (de) Befestigungselement zur befestigung von anbauteilen an gedämmten gebäudewän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