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32B1 -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 - Google Patents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32B1
KR101978432B1 KR1020180014480A KR20180014480A KR101978432B1 KR 101978432 B1 KR101978432 B1 KR 101978432B1 KR 1020180014480 A KR1020180014480 A KR 1020180014480A KR 20180014480 A KR20180014480 A KR 20180014480A KR 101978432 B1 KR101978432 B1 KR 10197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us
concentrate
juice
electric field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준
한복경
남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014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23L2/082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by membrane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6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irradiation with frequencies of more than 10 MHz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에 관한 것으로 (A) 감귤류를 착즙한 후 착즙액을 원심박막농축기에 투입하여 35 내지 55 ℃에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농축된 감귤농축액을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 투입한 후 펄스 폭 1 내지 40 us, 주파수 50 내지 400 Hz 및 전기장 세기 1 내지 80 kV/cm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감귤류 고유의 색상, 향 등의 관능적 특성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Manufacturing method of citrus concentrate using centrifugal thin film evaporator and pulsed electric field, and citrus concentrate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감귤류 고유의 색상, 향 등의 관능적 특성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을 병용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국민소득 증가에 따라 웰빙(well-being) 문화가 이루어지면서 과거 음료시장에서 주류를 이루던 사이다, 콜라 등과 같은 탄산음료의 소비는 점차 감소되고 있는 반면에, 건강 지향적인 신선식품으로 과실 주스, 과실 농축액, 과실 농축 주스 등과 같은 과실음료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상기 과실음료 제품은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보존 기간의 향상을 위하여 살균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는데,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과실음료 제품은 고온에서 변화를 일으키거나 분해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대부분 71~75 ℃의 온도하에서 살균처리 하는 열처리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처리 방법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원료 과일의 신선한 맛이 일부 소실됨과 동시에 열에 의한 영양성분의 파괴, 변색, 향기 성분의 손실 등의 품질저하를 동반한다. 또한, 상기 열처리 방법을 통한 살균처리 후에도 내산성 및 내열성의 미생물의 포자는 형성되고 발아하며 성장하게 되어 쉰 맛 및 악취를 동반하는 과실음료의 부패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고품질의 신선 식품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식품의 품질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가열 또는 최소 가열 살균처리법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고전압 펄스 전기장, 진동 자기장, 이온화 조사, 광펄스, 고수정압, 초고압, 핵방사, 자외선 노출, 초음파, 마이크로 웨이브, 양이온 다중 고분자 같은 화학물질 및 세포벽 분해효소를 이용하는 등의 비가열 살균처리 방법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설치비용, 안전성, 처리 대상, 살균효과, 품질 변화 등의 측면에서 아직도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고수정압 또는 초고압 처리의 경우 매우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용기를 제조해야하므로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용화의 어려움이 있으며, 상기 내산성 및 내열성의 미생물의 포자에 대해 여전히 만족할 만한 살균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미생물이 증식하지 않으며 과실, 특히 감귤류 고유의 색상, 향 등의 관능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영양소가 거의 파괴되지 않도록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05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70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감귤류 고유의 색상, 향 등의 관능적 특성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을 병용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은 (A) 감귤류를 착즙한 후 착즙액을 원심박막농축기에 투입하여 35 내지 55 ℃에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농축된 감귤농축액을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 투입한 후 1 내지 50 kV/cm의 전기장 세기, 50 내지 200 Hz의 주파수 및 100 내지 300 kJ/kg의 에너지로 1 내지 50회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펄스수는 100 내지 5000이다.
상기 (A)단계에서 착즙액을 원심박막농축기로 농축시키기 전에, 상기 착즙한 감귤류 착즙액을 여과 및 원심분리 순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원심박막농축기를 이용시 원심회전체의 회전 속도는 100 내지 3000 rpm이며, 착즙액의 막 두께는 0.1 mm이하이고, 착즙액 체류시간은 1초 이하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시 온도는 20 내지 70 ℃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는 전극이 1 내지 80 mm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귤류는 밀감, 한라봉(부지화), 천혜양, 청견, 금귤, 오렌지, 자몽, 레몬, 라임, 탱자 및 유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귤류농축액은 상기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은 미생물이 증식하지 않으며 감귤류 고유의 색상, 향, 맛 등의 관능적 특성이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감귤류농축액은 영양소(비타민 C)가 거의 파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능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귤류 농축액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감귤류 고유의 색상, 향 등의 관능적 특성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을 병용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귤류 고유의 색상, 향, 영양소 등이 열에 의하여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을 함께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 1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감귤류농축액을 제조하는 공정은 (A) 감귤류를 착즙한 후 착즙액을 원심박막농축기에 투입하여 35 내지 55 ℃에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농축된 감귤농축액을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 투입한 후 1 내지 50 kV/cm의 전기장 세기, 50 내지 200 Hz의 주파수 및 100 내지 300 kJ/kg의 에너지로 1 내지 50회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즙액을 원심박막농축기로 농축시키기 전에, 상기 착즙한 감귤류 착즙액을 (A`)여과하는 단계 및 (A``)상기 여과액을 원심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감귤류를 착즙한 후 착즙액을 원심박막농축기에 투입하여 35 내지 55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전열면의 온도)에서 농축액을 제조한다.
상기 원심박막농축기는 주입된 물질이 원심회전체의 회전 속도에 의해 얇은 막을 내부에서 형성하여 1초 이내 전열면(Heating Surface)을 지나도록 고안된 증류장치이다. 즉, 최종 물질(농축액)을 얻기 위해서 짧은 시간 안에 주입된 물질에 증류에 필요한 열이 골고루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원심박막농축기를 이용시 원심회전체의 회전 속도는 100 내지 3000 rpm,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500 rpm이며; 착즙액의 막 두께는 0.1 mm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 mm이고; 착즙액 체류시간은 1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초이다.
상기 (A)단계에서 원심박막농축기로 농축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 70 내지 80 ℃에서 수행되는 농축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색상, 향, 맛 등의 관능성이 저하되고 영양소가 다량 파괴될 수 있다.
상기 농축액 제조시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농축액의 맛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색상, 향, 맛 등의 관능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속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착즙액의 막 두께가 0.1 mm 초과로 두꺼워져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착즙액의 막 두께는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만 색상 및 맛이 변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즙액의 막 두께 및 체류시간이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감귤류 고유의 색상, 향, 맛 등의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감귤류로는 밀감, 한라봉(부지화), 천혜양, 청견, 금귤, 오렌지, 자몽, 레몬, 라임, 탱자 및 유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A)단계에서 감귤류를 착즙한 착즙액을 여과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여과액을 원심분리한다.
상기 여과는 최종 생산된 농축액의 목넘김을 부드럽게 하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으로서, 10 내지 100 mesh의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한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는 이후의 원심박막농축기로 농축된 농축액의 감귤류 고유한 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과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외한 침전물(고형물)만을 수득한다. 만약, 상기 원심분리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원빔박막농축기로 농축액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감귤류 고유의 색상 및 향이 향상되지 못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농축된 감귤농축액을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 투입한 후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PEF)은 1 내지 87 kV/cm의 고전압을 마이크로초(microsecond) 단위로 시료를 처리하여 생성된 세포막 전위차가 1 V를 넘어서는 순간 세포막을 선택적으로 붕괴시키는 비가열처리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전압 펄스 전기장의 조건은 1 내지 50 kV/c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kV/cm의 전기장 세기; 50 내지 200 Hz,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Hz의 주파수; 100 내지 300 kJ/kg,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 kJ/kg의 에너지;로 1 내지 50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회 수행된다. 이때 펄스수는 1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이며, 온도는 20 내지 7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이다.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시 전기장 세기 및/또는 에너지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감귤류 본연의 영양소가 다량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시 주파수, 펄스수 및/또는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감귤류 본연의 영양소가 그대로 보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저장기간이 증대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으로 살균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 90 ℃에서 수행되는 고온 가열 살균(HTST, high temperature long time)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색상, 향, 맛 등의 관능성이 저하되고 영양소가 다량 파괴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농축된 감귤농축액이 투입되는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를 위한 4 내지 5 kW급 펄스 발생기와 전극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극은 1 내지 80 mm,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mm의 간격으로 2 내지 15개로 구비된다.
전극의 간격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유지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감귤류가 변질되어 성분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원심박막공정 +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밀감을 세척하여 선별한 후 분쇄하고 착즙한 착즙액을 여과 및 원심분리한 후 이를 원심박막농축기에 투입(전열면 온도: 40 ℃, 원심회전체의 회전 속도: 1000 rpm, 착즙액의 막 두께: 0.08 mm, 착즙액 체류시간 0.9초)하여 농축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5 kW급 펄스 발생기와 80 mm로 간격으로 전극이 배치된 회분식 처리 용기(300 ml)에 1000 mL를 투입한 후 15 kV/cm의 전기장 세기, 150 Hz의 주파수, 2500의 펄스수, 180 kJ/kg의 에너지로 10회 동안 50 ℃의 온도로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을 처리하여 밀감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원심박막공정 + 고온 가열 살균(HTLT)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원심박막농축기로 농축한 농축액을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으로 처리하는 대신 상기 농축액을 90 ℃에서 30초 동안 관형 열교환기(tubular heat exchanger)를 이용하여 살균함으로써 밀감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일반농축 +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밀감을 세척하여 선별한 후 분쇄하고 착즙한 착즙액을 여과 및 원심분리한 후 이를 80 ℃의 농축기(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강제순환형 2스테이지 농축)로 농축하여 농축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5 kW급 펄스 발생기와 80 mm로 간격으로 전극이 배치된 회분식 처리 용기(300 ml)에 1000 mL를 투입한 후 15 kV/cm의 전기장 세기, 150 Hz의 주파수, 2500의 펄스수, 180 kJ/kg의 에너지로 10회 동안 50 ℃의 온도로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을 처리하여 밀감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일반농축 + 고온 가열 살균(HTLT)
밀감을 세척하여 선별한 후 분쇄하고 착즙한 착즙액을 여과 및 원심분리한 후 이를 80 ℃의 농축기(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강제순환형 2스테이지 농축)로 농축하여 농축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90 ℃에서 30초 동안 관형 열교환기(tubular heat exchanger)를 이용하여 살균함으로써 밀감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를 생략하여 밀감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대조군 1로는 감귤을 착즙한 착즙액을 이용하였다.
시험예 1. 미생물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살균된 밀감 농축액을 4 ℃ 저장고에서 5일 동안 저장한 후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일반균수의 측정은 3M사의 건조배지(petrifilm, USA)를 사용하였으며, 일반 균수 측정용 배지는 petrifilm aerobic count 배지로 37 ℃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대장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밀감 농축액 5 mL을 취한 뒤 45 ㎖의 멸균된 0.85% 생리식염수를 혼합하여 stomacher(Bagmixer 400, Interscience, Co., Saint Nom, France)를 이용하여 3분간 균질화시킨 후 각각의 시료액을 1 ㎖씩 취하여 9 ㎖의 희석액에 단계 희석하였다. 배지는 3M 주식회사(Minnesota,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건조필름배지는 대장균 및 대장균군수(PEC, 3M)를 사용하였다.
상기 일반균수, 대장균수, 대장균군수 및 진균수는 처리구 1 g 당 colony forming unit(CFU)로 나타내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대조군 1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일반균수
(CFU/g)
7.9X104 ND ND ND ND 2.7X102
대장균군수
(CFU/g)
3.0X103 ND ND ND ND 2.1X102
ND: not detected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밀감 농축액은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대조군 1 및 원심박막공정만 수행한 비교예 4는 미생물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당도 및 pH 측정
당도는 휴대용 디지털 당도계(PAL-1, ATAGO,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pH는 pH meter(FiveEasyTM Plus, Mettler Toledo, Schwerzenbach,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대조군 1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당도(brix) 11.2±0.03 11.0±0.04 10.9±0.03 11.1±0.06 11.3±0.07 11.1±0.05
pH 3.75±0.01 3.70±0.03 3.77±0.02 3.74±0.01 3.75±0.02 3.74±0.02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밀감 농축액은 대조군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밀감 농축액과 당도 및 pH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비타민 C 및 항산화 활성 측정
2-1. 비타민 C: 비타민 C는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Agilient 1100 series, Agilent Technologies, C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밀감 농축액은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Science Industrial, Incheon, Korea)를 사용하여 4 ℃에서 30분간 10,000Xg로 원심분리한 후에 상층액을 0.45 μm filter(Whatman 6750-2504 syringe filter, Piscataway, NJ, USA)로 여과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5 mM tetrabutylammonium phosphate:acetonitrile(75:25 v/v) 이동상을 일정 속도(0.6 mL/min)로 흘리고, 20 μL 분석 시료를 주입하여 254 nm의 파장에서 UV-Vis detector(G1315B, Agilent Technologies)로 분석하였다. 컬럼은 Symmetry(C18 5 μm, 4.6mmX250 mm I.D, Waters Co., MA, USA)을 사용하였고, column oven은 G1316A, Agilent Technologies을 이용하여 25±2 ℃의 온도로 유지하였다. 비타민 C는 ascorbic acid(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만든 표준 곡선에 대입하여 정량하였다.
2-2. 항산화능: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Sigma, Streinhein, Germany)을 사용하여 free radical 소거능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농도의 농축액을 메탄올에 녹여 시료 100 μL와 400 μM DPPH 100 μL를 96-well plate에 주입하여 혼합한 뒤 30분간 암소에서 반응시킨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2와 비교하여 라디칼의 소거 효과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구분 대조군 1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타민 C(mg/ml) 3.66±0.18 3.65±0.11 2.84±0.09 2.75±0.15 1.75±0.20 3.61±0.18
항산화능(%) 97.0±3.5 96.4±1.5 90.1±0.9 89.7±3.0 78.4±2.1 92.4±1.7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밀감 농축액은 대조군 1과 비타민 C의 함량과 항산화능이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밀감 농축액은 높은 온도에서 처리되어 비타민 C가 다량 파괴되었으며, 항산화능도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는 비타민 C의 함량은 실시예 1 및 대조군 1과 유사하였으나, 항산화능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관능 검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밀감 농축액을 전문패널 20명에게 시식하게 한 후 5점 척도법(정도가 클수록 5점에 가까움)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시 sigle brix로 보정한 후 관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색, 향,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 1=매우 나쁘다, 5점=매우 좋다
구분 대조군 1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갈변화)
3.7 4.1 3.9 3.5 3.4 3.2

(보전)
4.1 4.0 3.7 3.3 3.1 2.9

(보전)
4.2 3.9 3.7 3.5 3.3 2.5
종합적인 기호도 4.1 4.2 3.8 3.5 3.1 2.4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밀감 농축액은 대조군 1과 유사한 향,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보였으나 색에서는 조금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4의 밀감 농축액은 실시예 1에 비하여 색, 향,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 모두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A) 감귤류를 착즙한 후 착즙액을 원심박막농축기에 투입하여 35 내지 55 ℃에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농축된 감귤농축액을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 투입한 후 1 내지 50 kV/cm의 전기장 세기, 50 내지 200 Hz의 주파수, 100 내지 300 kJ/kg의 에너지 및 100 내지 5000의 펄스수로 1 내지 50회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단계에서 원심박막농축기를 이용시 원심회전체의 회전 속도는 100 내지 3000 rpm이며, 착즙액의 막 두께는 0.1 mm이하이고, 착즙액 체류시간은 1초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착즙액을 원심박막농축기로 농축시키기 전에, 상기 착즙한 감귤류 착즙액을 여과 및 원심분리 순으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시 온도는 20 내지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는 전극이 1 내지 80 mm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류는 밀감, 한라봉, 천혜양, 청견, 금귤, 오렌지, 자몽, 레몬, 라임, 탱자 및 유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방법.
  8.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
KR1020180014480A 2018-02-06 2018-02-06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 KR101978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80A KR101978432B1 (ko) 2018-02-06 2018-02-06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80A KR101978432B1 (ko) 2018-02-06 2018-02-06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432B1 true KR101978432B1 (ko) 2019-05-14

Family

ID=6658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480A KR101978432B1 (ko) 2018-02-06 2018-02-06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902A3 (ko) * 2019-09-27 2021-05-20 씨제이제일제당 (주) 풍미가 강화된 원물 농축액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054A (ko) 2007-10-11 2009-04-15 정성택 감귤 농축액을 이용한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0544A (ko) 2015-05-04 2016-11-14 횡성인삼영농조합법인 더덕농축액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054A (ko) 2007-10-11 2009-04-15 정성택 감귤 농축액을 이용한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0544A (ko) 2015-05-04 2016-11-14 횡성인삼영농조합법인 더덕농축액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한국식품과학회지), 2017. 8., 제49권, 제4호, 제408면 내지 제414면* *
머니투데이 기사, [상생협력]술 깨수깡? 제주 식품원료 생산기업, 비케이바이오(online 2017.12.15.)* *
원심박막증류장치 원리(online 2017. 8. 28.)* *
이데일리 기사, CJ제일제당, ‘한뿌리’ 건강즙 출시.. 1조 시장 도전장(online 2016. 4. 2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902A3 (ko) * 2019-09-27 2021-05-20 씨제이제일제당 (주) 풍미가 강화된 원물 농축액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513964A (zh) * 2019-09-27 2022-05-17 Cj第一制糖株式会社 风味增强的原料浓缩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tnik et al. Comparing the effects of thermal and non-thermal technologies on pomegranate juice quality: A review
Bhattacharjee et al. Novel thermal and non-thermal processing of watermelon juice
Aadil et al. Combined effects of pulsed electric field and ultrasound on bioactive compounds and microbial quality of grapefruit juice
Preetha et al. Effect of pulsed light treatment on inactivation kinetics of Escherichia coli (MTCC 433) in fruit juices
Bevilacqua et al. Nonthermal technologies for fruit and vegetable juices and beverages: Overview and advances
Pala et al. Microbi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UV-C processed orange juice and its microbial stability during refrigerated storage
Mukhtar et al. Potential impact of ultrasound, pulsed electric field, high-pressure processing and microfludization against thermal treatments preservation regarding sugarcane juice (Saccharum officinarum)
CN1290423C (zh) 一种采用高压脉冲电场杀菌技术的无糖茶饮料生产方法
CN101273790B (zh) 一种石榴原汁的制备方法
Hakguder Taze et al. The impact of UV-C irradiation on spoilage microorganisms and colour of orange juice
CA2814345C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asteurization of sap and product thereof
Shahbaz et al. Advances in nonthermal processing technologies for enhanced microbiological safety and quality of fresh fruit and juice products
Aadil et al. Quality evaluation of grapefruit juice by thermal and high pressure processing treatment.
Lu et al.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in apple juice using an ultraviolet silica-fiber optical device
Gabriel et al. Application of ultraviolet-C radiation to inactivate acid-and-desiccation stressed Salmonella enterica in young and mature coconut liquid endosperm mix beverage
Song et al. Effect of combined treatments of ultrasound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process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crobial quality and shelf‐life of cold brew tea
Vani et al. Development of a UV coupled indigenous hydrophilized polyamide membrane system for enhanced shelf life of mature coconut water
KR101978432B1 (ko) 박막농축기술과 pef 기술의 병용을 통한 감귤류농축액의 제조공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귤류농축액
KR101278172B1 (ko) 고농도 γ-아미노낙산 함유 식품 및 음료의 제조 방법 및고농도 γ-아미노낙산 함유 식품 및 음료
CN104172378A (zh) 一种黄瓜清汁及其制备方法
Preetha et al.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in tender coconut (Cocos nucifera L.) water by pulsed light treatment
CN112790304A (zh) 高色值稳定性浓缩苹果清汁的加工方法
JP4495647B2 (ja) 果汁の殺菌方法
Groenewald et al. The use of ultraviolet radiation as a nonthermal treatment for the inactivation of Alicyclobacillus acidoterrestris spores in water, wash water from a fruit processing plant and grape juice concentrate
Saranya et al. Preservation of tender coconut water using pulse d electric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