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11B1 - 차량용 라디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라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11B1
KR101978411B1 KR1020140020092A KR20140020092A KR101978411B1 KR 101978411 B1 KR101978411 B1 KR 101978411B1 KR 1020140020092 A KR1020140020092 A KR 1020140020092A KR 20140020092 A KR20140020092 A KR 20140020092A KR 101978411 B1 KR101978411 B1 KR 10197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einforcing part
radiator
hea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784A (ko
Inventor
심호창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튜브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일정 깊이 삽입 고정되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튜브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튜브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도 튜브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삽입공정으로 조립이 가능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라디에이터{Radia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튜브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일정 깊이 삽입 고정되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튜브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튜브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도 튜브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삽입공정으로 조립이 가능한 차량용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엔진의 가동 시 발생하는 열이 실린더 헤드, 피스톤, 밸브 등에 전도되며, 이로 인하여 이 부품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면 열팽창이나 열화에 따라 부품의 강도가 떨어지고, 엔진 수명이 단축되며, 연소상태도 나빠져 노킹이나 조기점화가 발생하여 엔진의 출력도 저하된다.
또한, 엔진의 냉각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실린더 내주면의 유막이 끊어지는 등 윤활기능도 저하됨과 아울러 엔진오일이 변질됨으로써 실린더의 이상마모를 일으키게 될 뿐만 아니라 피스톤이 실린더 내벽면에 융착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엔진의 냉각을 위하여 자동차에는 통상 수랭식 냉각장치가 설치된다.
수랭식 냉각장치는 워터펌프에 의하여 냉각수가 실린더 블록 및 실린더 헤드를 순환하면서 그 온도를 낮추는 것이며, 냉각수의 방열을 위하여 라디에이터, 냉각팬 및 수온조절기 등이 구비된다.
즉, 상기 라디에이터(10)는 엔진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를 냉각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와 탱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헤더탱크(11)와, 상기 헤더탱크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고 내부에 냉매 유동경로가 형성된 다수의 튜브(12)와, 상기 튜브들 사이에 구비되는 방열핀(13)과,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와 양단부가 결합되는 써포트(14)로 이루어진다.
관련 특허로, 국내공개특허 제2006-0067639호(공개일 2006.06.20, 명칭 : 차량용 라디에이터)에는 차량용 라디에이터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상기 라디에이터는 엔진을 통과한 고온의 냉각수가 상기 입구파이프를 통해 유입되어 방열핀 및 튜브로 이루어진 코어 부분을 통과한 다음, 출구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유로를 갖는다.
이때,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는 내부에 유동되는 고온 및 저온 냉각수에 의해 신장, 수축을 반복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온도 부하 및 압력 부하를 받게 되면서 내구성이 저하되며,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부품들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에서는 열팽창 정도의 차이로 인해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특히, 튜브의 박육화를 위해 적용되는 폴디드 타입의 튜브(folded tube)는 더욱 내구성이 취약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 일부 라디에이터에는 도 2와 같이 튜브의 단부에 빗 형태의 프레스 제품인 튜브보강부(15)를 강제 끼움 방식을 통해 별도로 삽입하여 브레이징 시키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내구성을 강화시켰으나, 별도 삽입 공정으로 인한 제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튜브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 방해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된다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6-0067639호(공개일 2006.06.20, 명칭 : 차량용 라디에이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일정 깊이 삽입 고정되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튜브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튜브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도 튜브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삽입공정으로 조립이 가능한 차량용 라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는 헤더(131)와 탱크(132)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와,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410)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20)와,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헤더(131)에 형성된 튜브삽입홀(133)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200)와,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핀(300)과, 상기 핀(300)의 최외측에 결합되는 써포트(5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라디에이터(1)는 상기 튜브(20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일정 깊이 삽입 고정되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튜브보강부(6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량용 라디에이터(1)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상기 튜브(200) 모두의 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상기 튜브(200)에 브레이징 결합되도록 상기 튜브(200)와 동일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와이어의 두께가 상기 튜브(200)의 내측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튜브(200)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일정 깊이에서 상기 튜브(200)의 높이방향으로 양단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6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1)는 상기 헤더(131)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실링부재안착부(134)가 형성되되, 상기 실링부재안착부(134)의 튜브(200) 측에 위치한 단부에서부터 상기 튜브삽입홀(133)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 튜브삽입홀 높이(Htube)와, 상기 튜브보강부(600)가 상기 튜브(200) 내에 삽입된 삽입깊이(Dwire)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기 삽입깊이(Dwire)가 상기 튜브삽입홀 높이(Htube)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라디에이터는 튜브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일정 깊이 삽입 고정되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튜브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튜브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도 튜브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삽입공정으로 조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 빗(comb) 형태의 튜브보강부가 튜브 내 열교환매체 흐름을 방해하고, 강제끼움 방식의 복잡한 삽입공정이 추가되었던 것과 달리, 튜브 내측 폭과 동일한 두께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냉각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튜브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약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강제 끼움을 위해 큰 압력을 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튜브에 삽입 고정할 수 있어 조립 공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튜브의 헤더결합부까지 튜브보강부가 삽입되어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출구파이프에 인접한 마지막 튜브의 일부 영역이 받게 되는 온도 편차로 인한 응력에 의해, 튜브의 헤더결합부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라디에이터에서 튜브보강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라디에이터에서 튜브 및 튜브보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디에이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디에이터에서 튜브보강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튜브보강부를 나타낸 다양한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하부 일정영역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라디에이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크게 제1헤더탱크(110), 제2헤더탱크(120), 튜브(200), 핀(300) 및 써포트(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라디에이터(1)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는 헤더(131)와 탱크(132)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라디에이터(1)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형성되며,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410)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2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튜브(20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헤더(131)에 형성된 튜브삽입홀(133)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로를 형성하며,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다.
상기 핀(300)은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튜브(200)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며, 일정한 상기 튜브(200) 사이 공간에 최대한 큰 전열면적이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상ㆍ하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써포트(500)는 상기 핀(300)의 최외측에 결합되도록 상ㆍ하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라디에이터(1)는 튜브(200) 및 핀(300)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부 내부에 유동되는 고온 및 저온 냉각수에 의해 튜브(200)의 신장, 수축이 반복되면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온도 부하 및 압력 부하를 받게 되면서 튜브(200)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부품들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에서 열팽창 정도의 차이로 인해 파단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튜브(20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일정 깊이 삽입 고정되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튜브보강부(6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와이어의 두께가 상기 튜브(200)의 내측 폭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튜브(200)의 내구성을 보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튜브(200) 삽입 후 브레이징을 통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튜브(200)와 동일재질인 알루미늄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와이어는 특성상 원하는 형태로 쉽게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기존에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되었던 빗(comb)형태의 튜브보강부(600)와 달리 와이어로 제조됨으로써, 튜브(200)의 높이방향으로 약간의 탄성을 가질 수 있어 상기 튜브(200)에 삽입 시에는 안쪽으로 힘을 가해 폭을 줄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다음, 삽입 완료 후 힘을 풀어 다시 원복시킴으로써 팽팽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200) 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상기 튜브(200)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일자 형태의 알루미늄 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되되, 양단이 서로 이어지지 않은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튜브(200) 내에 유동되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와이어로 이루어짐으로써, 체적이 크지 않기 때문에 튜브(200) 내 유동통로를 최소한의 면적만 차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튜브(200)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튜브(200)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되되 양단을 잇는 중간 영역이 지그재그로 다수 회 절곡되거나,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거나, 양단이 갈고리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등, 양단이 개방된 형태이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또,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상기 튜브(200)에 삽입 시, 일정 깊이만큼만 삽입되도록 삽입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일정 깊이에서 상기 튜브(200)의 높이방향으로 양단이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61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와이어로 제조되어 프레스 제품에 비해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데, 상기 튜브(200) 삽입 시 안쪽으로 오므리며 일정깊이까지 삽입되다가, 상기 걸림턱(610)이 형성된 영역에서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610)이 스토퍼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내측으로 움푹 파여 형성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610)과 마찬가지로 스토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용 라디에이터(1)는 튜브(200) 및 핀(300)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부 내부에 유동되는 고온 및 저온 냉각수로 인해 신장,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는 출구파이프(420) 근처, 즉 높이방향으로 마지막 줄에 위치한 상기 튜브(200)에서 크랙이 발생되기도 하는데, 구체적으로 크랙 발생 지점은 마지막 줄 튜브(200)의 튜브삽입홀(133)에 인접한 영역인 헤더결합부(210), 즉 상기 튜브삽입홀(133)에 삽입되지 않은 단부 영역에서 쉽게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라디에이터(1)는 상기 튜브보강부(600)가 상기 튜브(200) 내측에 삽입되는 깊이가 적어도 상기 헤더결합부(210)에 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131)에는 상기 탱크(132)와 결합 시, 실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실링부재가 삽입 및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실링부재안착부(134)가 형성되는데, 상기 실링부재안착부(134)의 튜브(200) 측에 위치한 단부에서부터 상기 튜브삽입홀(133)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 튜브삽입홀 높이(Htube)와, 상기 튜브보강부(600)가 상기 튜브(200) 내에 삽입된 삽입깊이(Dwire)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기 삽입깊이(Dwire)가 상기 튜브삽입홀 높이(Htube)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5와 같이 걸림턱(610)이 형성된 튜브보강부(600)가 사용된다면, 상기 튜브보강부(600)의 단부에서부터 상기 걸림턱(610)까지의 거리는 상기 튜브삽입홀 높이(Htube)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다시 한 번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차량용 라디에이터(1)는 튜브(20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일정 깊이 삽입 고정되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튜브보강부(6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튜브(200)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도 튜브(200)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삽입공정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기존 빗(comb) 형태의 튜브보강부(600)가 튜브(200) 내 열교환매체 흐름을 방해하고, 강제끼움 방식의 복잡한 삽입공정이 추가되었던 것과 달리, 튜브(200) 내측 폭과 동일한 두께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냉각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튜브(200)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약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강제 끼움을 위해 큰 압력을 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튜브(200)에 삽입 고정할 수 있어 조립 공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튜브(200)의 헤더결합부(210)까지 튜브보강부(600)가 삽입되어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출구파이프(420)에 인접한 마지막 튜브(200)의 일부 영역이 받게 되는 온도 편차로 인한 응력에 의해, 튜브(200)의 헤더결합부(21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차량용 라디에이터
110 : 제1헤더탱크 120 : 제2헤더탱크
131 : 헤더 132 : 탱크
133 : 튜브삽입홀 134 : 실링부재안착부
Htube : 튜브삽입홀 높이
200 : 튜브 210 : 헤더결합부
300 : 핀
410 : 입구파이프 420 : 출구파이프
500 : 써포트
600 : 튜브보강부 610 : 걸림턱
Dwire : 삽입깊이(Dwire)

Claims (6)

  1. 헤더(131)와 탱크(132)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와,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410) 및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20)와,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헤더(131)에 형성된 튜브삽입홀(133)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200)와,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핀(300)과, 상기 핀(300)의 최외측에 결합되는 써포트(5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라디에이터(1)는
    상기 튜브(20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일정 깊이 삽입 고정되되,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튜브보강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와이어가 일정 형태로 절곡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량용 라디에이터(1)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상기 튜브(200) 모두의 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상기 튜브(200)에 브레이징 결합되도록 상기 튜브(200)와 동일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와이어의 두께가 상기 튜브(200)의 내측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1)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튜브(200) 내 열교환매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보강부(600)는
    일정 깊이에서 상기 튜브(200)의 높이방향으로 양단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61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1)는
    상기 헤더(131)의 가장자리에 실링부재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실링부재안착부(134)가 형성되되,
    상기 실링부재안착부(134)의 튜브(200) 측에 위치한 단부에서부터 상기 튜브삽입홀(133)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 튜브삽입홀 높이(Htube)와, 상기 튜브보강부(600)가 상기 튜브(200) 내에 삽입된 삽입깊이(Dwire)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기 삽입깊이(Dwire)가 상기 튜브삽입홀 높이(Htube)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020140020092A 2014-02-21 2014-02-21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0197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092A KR101978411B1 (ko) 2014-02-21 2014-02-21 차량용 라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092A KR101978411B1 (ko) 2014-02-21 2014-02-21 차량용 라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784A KR20150098784A (ko) 2015-08-31
KR101978411B1 true KR101978411B1 (ko) 2019-05-14

Family

ID=5406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092A KR101978411B1 (ko) 2014-02-21 2014-02-21 차량용 라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127A (ja) * 2004-02-04 2005-08-18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のコア部構造
JP2007163124A (ja) 2005-12-09 2007-06-28 Denso Corp 熱交換器
KR101104273B1 (ko) 2004-12-29 2012-01-13 한라공조주식회사 고압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639A (ko) 2004-12-15 2006-06-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01462962B1 (ko) * 2008-08-20 2014-11-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라디에이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127A (ja) * 2004-02-04 2005-08-18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のコア部構造
KR101104273B1 (ko) 2004-12-29 2012-01-13 한라공조주식회사 고압용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JP2007163124A (ja) 2005-12-09 2007-06-28 Denso Corp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784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3617B2 (ja) 熱交換器、特に給気冷却器
CN105423802A (zh) 热交换器管插入物
US20040206489A1 (en) Core structure of heat exchanger
KR20180023184A (ko) 일체형 라디에이터 및 이의 조립 방법
JP2005221127A (ja) 熱交換器のコア部構造
KR101971483B1 (ko) 열교환기
KR101978411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US20160370127A1 (en) Heat exchanger
KR101977863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KR102538967B1 (ko) 열교환기 및 이의 브라켓 결합 방법
KR101130571B1 (ko) 알루미늄 라디에이터의 헤더 탱크 결합구조
KR20060089396A (ko) 알루미늄 라디에이터
KR101528229B1 (ko) 튜브 지지대가 구비된 열교환기
US20210131735A1 (en) Heat exchanger
KR101932194B1 (ko) 열교환기
KR101869372B1 (ko) 열교환기
KR101081961B1 (ko) 알루미늄 라디에이터
KR101396412B1 (ko) 오일쿨러 내장형 라디에이터 탱크
KR20130079778A (ko) 열교환기
KR101773664B1 (ko) 열교환기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방법
JP2006234318A (ja) 熱交換器
KR200346165Y1 (ko) 라디에이터의 헤더와 사이드 서포트와의 미접합 결합구조
KR20100100347A (ko) 통합형 열교환기
KR100839175B1 (ko) 라디에이터의 사이드 서포트 결합구조
KR101773663B1 (ko) 열교환기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