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225B1 -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225B1
KR101978225B1 KR1020180112825A KR20180112825A KR101978225B1 KR 101978225 B1 KR101978225 B1 KR 101978225B1 KR 1020180112825 A KR1020180112825 A KR 1020180112825A KR 20180112825 A KR20180112825 A KR 20180112825A KR 101978225 B1 KR101978225 B1 KR 101978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etection line
inner tube
tube
zigz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근성
Original Assignee
케이유피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피피(주) filed Critical 케이유피피(주)
Priority to KR102018011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유체 이송관의 규격과 관로를 지상에서 탐지할 수 있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공 형태의 내관과, 내관의 외주면 일측에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관로 탐지선과, 관로 탐지선을 감싸도록 내관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PIPE OF FLUID TRANSPORTATION WITH A DETECTING L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체 이송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유체 이송관의 규격과 관로를 지상에서 탐지할 수 있는 유체 이송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가스, 전기 등의 이송을 위해서는 지중에 다양한 재질의 관을 매설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며, 부식이 없고 수명이 반영구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관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상·하수도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관은 재료의 물리적 특성상 전기가 통하지 않으므로, 매설 후 누수 및 위치 등을 쉽게 파악할 수가 없어 굴착공사 등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관의 외주면에 탐지를 위한 탐지선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탐지선에 관한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6-27460호는 외부에 고전도성의 금속테이프를 부착한 합성수지관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0800호는 가스 배관을 따라 검출용 와이어가 배설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1784호는 관로탐사를 위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선이 합성수지관의 외측에 구비되는 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들에 의하면, 탐지선의 경로를 식별함으로써 관로의 탐지는 가능하나, 매설된 관들의 직경 등 규격은 식별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관로와 인접한 지점에서 굴착공사를 시행할 필요가 있을 때, 매설된 관의 직경 등 규격을 알 수가 없어 이를 파악하는데 비용 및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매설관의 규격을 파악하지 못하고 공사를 진행하다가 매설관을 파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탐지선이 합성수지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데, 필요에 따라 합성수지관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면 탐지선 역시 합성수지관의 길이로 절단되며, 이때 탐지선은 여분의 길이가 없어서 다른 합성수지관의 탐지선과 연결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KR20-1996-027460 U (1996. 08. 17 공개) KR20-0310800 Y1 (2003. 04. 03 등록) KR10-1201784 B1 (2012. 11. 0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로 탐지가 가능한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로 탐지선의 탐지를 통해 그 직경을 파악할 수 있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의 중간 절단시에도 관로 탐지선의 연결 접속이 용이한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굴착시 외관의 색상을 통해 관종의 구분이 가능한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 형태의 내관; 상기 내관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관로 탐지선; 및 상기 관로 탐지선을 감싸도록 상기 내관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관을 포함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로 탐지선은 상기 외관의 직경에 따라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폭을 달리하며, 관로탐지기에 의해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폭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외관의 직경을 지상에서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로 탐지선은 상기 외관의 직경에 따라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일측에 형성되는 꼭지점들 사이의 간격을 달리하며, 관로탐지기에 의해 상기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외관의 직경을 지상에서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로 탐지선은 상기 내관의 폭 방향 양단을 지그재그 형태로 왕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관로탐지기에 의해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폭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외관의 직경을 지상에서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로 탐지선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내관의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기준 탐지선을 더 포함하며, 관로탐지기에 의해 상기 기준 탐지선과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 사이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외관의 직경을 지상에서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로 탐지선은 상기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 구간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그재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내관은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아라미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며 상기 관로 탐지선을 감아서 압박 고정하는 부직포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며 상기 관로 탐지선을 감아서 압박 고정하는 금속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관의 색상에 따라 관종의 구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관은 난연제가 배합된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로 탐지선이 상기 내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 이격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상기 관로 탐지선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중공 형태의 내관을 압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부직포 테이프를 감아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부직포 테이프가 상기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관로 탐지선을 상기 내관과 함께 감아서 압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c) 상기 보호층을 감싸도록 외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지중에 형성된 관로를 지상에서 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관로를 형성하는 유체 이송관의 사이즈를 파악함으로써, 굴착 공사시 매설관의 파손 및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필요에 따른 유체 이송관의 중간 절단시에도 쉽게 관로 탐지선을 연결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관종에 따라 외관의 색상이 구분되므로, 굴착작업시 유체 이송관의 종류를 쉽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관로 탐지선의 개략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탐지선의 배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탐지선이 형성된 내관의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유체 이송관의 중간부 절단시 관로 탐지선의 재접속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이하, '유체 이송관')(100)은, 중공 형태의 내관(200)과, 내관(200)의 외주면 일측에 내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관로 탐지선(300)과, 관로 탐지선(300)이 형성된 내관(200)을 감싸도록 내관(200)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관(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내관(200)은 가스나 물 또는 오일(oil) 등의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중공 형태의 관 부재로서,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소재를 압출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직경과 두께 및 길이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내관(200)의 외주면을 아라미드 테이프(미도시)를 사용하여 나선 형태로 감아서 감쌀 수 있다. 이때, 아라미드 테이프는 내관(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관(200)을 보호하는 한편, 내부 압력에 대한 내관(200)의 강성을 향상키는 역할을 한다.
내관(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로 탐지선(300)이 지그재그 형태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내관(200)의 외주면을 아라미드 테이프로 감은 경우에는 아라미드 테이프의 외측에 내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로 탐지선(300)이 지그재그 형태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관로 탐지선(300)은 금속 재질의 선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기 인가에 의해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금속 물질이 포함된 인쇄액이 도포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하나의 관로 탐지선(300)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 개의 관로 탐지선(300)이 서로 평행하게 또는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2개 내지 3개의 관로 탐지선(300)이 내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관(20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 이격하여 복수 개의 관로 탐지선(300)을 형성함으로써 탐지성능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한 쌍의 관로 탐지선(300)이 내관(200)의 둘레를 따라 180°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거나, 네 개의 관로 탐지선(300)이 내관(200)의 둘레를 따라 90°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그재그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은, 관로 탐지선(300)을 사이에 두고 내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는 부직포 테이프(22, 도 7 참조)에 의해, 내관(200)의 외주면 일측에 압박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부직포 테이프(22) 대신에 SUS 또는 알루미늄 등 전도성 금속 재질의 테이프(미도시)를 사용하여 관로 탐지선(300)을 압박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관로 탐지선(300)을 감싸는 금속 테이프로 인해 전류의 흐름에 의한 자기장 발생 영역이 확대됨으로써 탐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때 금속 테이프는 서로 겹치지 않게 소정 간격 이격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접착, 부착 또는 결합 등의 방법으로 내관(200)의 외주면 일측에 지그재그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일 예로서 내관(200)의 몸체 내부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에 관로 탐지선(300)을 삽입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관로 탐지선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관(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탐지선(300)이 유체 이송관(100)의 길이 방향(도면상 좌우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관로 탐지선(300)은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의 폭(a)을 달리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관로탐지기(미도시)에 의해 탐지되는 관로 탐지선(300)의 폭(a)으로부터, 매설된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을 추정할 수 있다.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에 대응되는 관로 탐지선의 폭(a)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에 대하여 1/3의 너비로 관로 탐지선의 폭(a)을 설정한 경우, 관로 탐지선(300)의 폭(a)이 200mm로 탐지되면 그 관로 탐지선(300)이 형성된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은 600mm로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관로 탐지선(300)은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의 일측에 형성되는 꼭지점들 사이의 간격(b)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관로 탐지기에 의해 탐지되는 간격(b)으로부터, 매설된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에 대응하여, 지그재그 형태인 관로 탐지선(300)의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꼭지점들 사이의 간격(b)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에 대하여 1/5의 크기로 간격(b)을 설정한 경우, 관로 탐지선(300)의 폭 방향 일측에서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꼭지점 사이 간격(b)이 200mm로 탐지되면 그 관로 탐지선(300)이 형성된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은 1000mm로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지그재그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에서 폭(a)과 꼭지점 사이 간격(b) 중 어느 하나를 유체 이송관(100)의 직경과 대응하여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두께나 길이 등 유체 이송관(100)의 다른 규격 정보와 대응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관로 탐지선(300)은, 종래의 직선 형태의 관로 탐지선보다 더 넓은 영역에 형성되므로, 초기 탐지가 더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탐지선의 배치 구성도로서, 내관의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탐지선(300)이 내관(200)의 폭 방향 양단을 지그재그 형태로 왕복할 수 있다. 이때, 관로 탐지선(300)은 내관(200)의 외주면 상단부에 걸쳐 형성되며, 관로탐지기에 의해 탐지되는 관로 탐지선(300)의 지그재그 형태의 폭(c)은 내관(200)의 외경과 대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로탐지기에 의해 내관(200)의 외경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유체 이송관(100)의 매설시, 관로 탐지선(300)의 폭 방향 양단이 내관(200)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정확히 매설되지 않으면, 지그재그 형태인 관로 탐지선(300)의 폭(c)을 관로탐지기로 정확히 탐지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00)이 회전하여 내관(200)의 중심축선(L)과 관로 탐지선(300)의 중심선이 어긋나는 경우, 관로 탐지선(300)의 일측 꼭지점이 내관(20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관(200)의 상측에서 관로탐지기에 의해 관로 탐지선(300)의 지그재그 형태의 폭(c)이 정확히 탐지되지 않거나, 측정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탐지선(300)의 중심선을 따라 직선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선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과, 지그재그 형태 관로 탐지선(300)의 일측 꼭지점 사이의 간격(d)을 관로탐지기로 측정하여 내관(200)의 외경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직선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이 지그재그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므로, 직선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으로부터 지그재그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의 일측 꼭지점 사이 간격(d)은 내관(200)의 외경의 1/2이 되며, 여기에 외관(400)의 두께를 고려하여 유체 이송관의 직경을 추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탐지선(300)이 형성된 내관(2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탐지선(300)이 직선 구간(310)과 지그재그 구간(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구간에서 관로 탐지선(300)을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직선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내관(200)의 전체 구간에 걸쳐 관로 탐지선(300)을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할 때보다 관로 탐지선(300)의 전체 길이가 단축되고, 따라서 관로 탐지선(300) 형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6(a)와 도 6(b)는 유체 이송관의 중간부 절단시 관로 탐지선의 재접속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로 탐지선(300)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관로 탐지선(300)의 끝단을 잡아 늘여서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탐지선(300)을 갖는 유체 이송관(100)의 중간부를 절단하게 되면, 유체 이송관(100)의 절단부에서 관로 탐지선(300) 역시 절단된다. 종래 직선 형태의 관로 탐지선은 이 경우 관로 탐지선의 끝단이 유체 이송관의 끝단에 맞춰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된 유체 이송관을 다른 유체 이송관과 연결할 때, 절단부의 관로 탐지선에 여분의 길이가 없어서 다른 유체 이송관의 관로 탐지선과 연결 접속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 탐지선(300)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의 관로 탐지선(300)을 필요한 만큼 잡아당겨 늘임으로써, 다른 유체 이송관(100)의 관로 탐지선(300)에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유체 이송관(100)의 절단 및 연결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관로 탐지선(300)이 형성된 내관(200)을 감싸도록 내관(200)의 외측에 외관(400)이 형성된다.
외관(400)은 내관(200)과 동일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이나, 난연제가 함유된 난연성 LLDEP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관(400)의 색상을 관종에 따라 달리함으로써, 관로 탐지 후 굴착 진행시 유체 이송관(100)의 관종을 쉽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유체 이송관(100)이 수도관인 경우 외관(400)의 색상을 파랑색으로 하고, 가스관인 경우에는 노랑색으로 하며, 하수관인 경우에는 갈색으로 할 수 있으며, 화학 배관인 경우에도 외관(400)의 색상 구분에 따라 화학 배관을 통해 흐르는 화학약품의 종류나 화학성분을 쉽게 구분하여 식별하게끔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관(100)은 내관(200)과 외관(400), 그리고 내관(200)과 외관(400) 사이에 개재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과 부직포 재질의 보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이러한 유체 이송관(100)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내관 압출 성형 단계(S10):
내관 성형기(11)에서 폴리에틸렌 수지(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여 중공 형태의 내관(200)을 진공 압출 성형한다. 내관 성형기(11)에서 압출 성형된 내관(200)은 내관 사이징기(12)를 거치면서 일정 직경을 형성하며, 내관 견인기(14)에 의해 일정 속도로 견인되면서 내관 냉각기(13)를 거쳐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내관(200)의 외주면에 아라미드 테이프를 나선 형태로 감아서 내관(200)의 내수압성을 강화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관로 탐지선 및 보호층 형성 단계(S20):
테이프 권취기(21)에 의해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재질 등의 부직포 테이프(22)가 내관(2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보호층을 형성한다. 이때, 테이프 권취기(2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데, 예컨대 2개의 테이프 권취기(21)에 의해 2개의 부직포 테이프(22)가 서로 교차하도록 내관(200)의 외주면에 감길 수 있다.
한편, 보호층의 형성과 함께, 내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의 관로 탐지선(300)이 내관(2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데, 이때 관로 탐지선(300)은 부직포 테이프(22)에 의해 압박, 고정된다.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기(23)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관로 탐지선(300)이 부직포 테이프(22)의 권취시 내관(200)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안내된 후, 내관(200)과 함께 부직포 테이프(22)로 감싸여서 내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박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부직포 테이프(22) 대신에 SUS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 테이프가 내관(200)의 외주면에 권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외관 형성 단계(S30):
관로 탐지선(300)과 함께 부직포 테이프(22)가 감긴 내관(200)은 외관 성형기(31)로 이송되며, 외관 성형기(31)에서 부직포 테이프(22)의 외측을 감싸도록 폴리에틸렌 수지, 예컨대, 선형 저밀도 폴레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수지 재질의 외관(400)이 압출 성형된다. 외관 성형기(31)에서 압출 성형된 외관(400)은 외관 사이징기(32)를 거치면서 일정 직경을 형성하며, 외관 견인기(34)에 의해 일정 속도로 견인되면서 외관 냉각기(33)를 거쳐 냉각된다.
다른 예로서, 난연성 LLDPE 재질로 외관(40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외관(400)은 폴리에틸렌 70wt%와 난연 성분 30wt%를 포함하는 난연성 LLDP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난연 성분은 인계 난연제와 수산화마그네슘을 2:2.5 ~ 2:3의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난연 성분이 30wt% 미만이면 화염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30wt%를 초과하면 외관(400)의 기계적 물성을 약화시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인계 난연제에 대한 수산화마그네슘의 비율이 상기 비율 미만이면 원하는 난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비율을 초과하면 입자의 응집이 발생하거나 외관(400)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LLDPE 재질의 외관(400)은 UL-94(미국 난연성 평가 기준) V0 등급 수준으로서, 난연 기능이 강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 이송관(100)의 관종에 따라 외관(400)의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관로 탐지 후 굴착 작업시 지표면으로 노출된 외관(400)의 색상으로부터 관종을 신속히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유체 이송관
200 : 내관
300,300' : 관로 탐지선
400 : 외관

Claims (10)

  1. 중공 형태의 내관;
    상기 내관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관로 탐지선; 및
    상기 관로 탐지선을 감싸도록 상기 내관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관을 포함하며,
    상기 관로 탐지선은 상기 외관의 직경에 따라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폭을 달리하고, 관로탐지기에 의해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폭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외관의 직경을 지상에서 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2. 중공 형태의 내관;
    상기 내관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관로 탐지선; 및
    상기 관로 탐지선을 감싸도록 상기 내관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관을 포함하며,
    상기 관로 탐지선은 상기 외관의 직경에 따라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들 사이 간격을 달리하고, 관로탐지기에 의해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들 사이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외관의 직경을 지상에서 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로 탐지선은 상기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 구간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지그재그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는 아라미드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며 상기 관로 탐지선을 감아서 압박 고정하는 부직포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권취되며 상기 관로 탐지선을 감아서 압박 고정하는 금속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관의 색상에 따라 관종의 구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관은 난연제가 배합된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로 탐지선이 상기 내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 이격하여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복수 개의 상기 관로 탐지선이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KR1020180112825A 2018-09-20 2018-09-20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825A KR101978225B1 (ko) 2018-09-20 2018-09-20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825A KR101978225B1 (ko) 2018-09-20 2018-09-20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659 Division 2018-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225B1 true KR101978225B1 (ko) 2019-05-14

Family

ID=6658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825A KR101978225B1 (ko) 2018-09-20 2018-09-20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350B1 (ko) * 2019-09-02 2020-04-02 이경노 내·외관 일체형 보호관의 성형장치 및 그 보호관
KR102301432B1 (ko) * 2021-02-09 2021-09-14 케이유피피(주) 파이프 조립체, 파이프 조립체 탐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460U (ko) 1995-01-20 1996-08-17
EP1094263A1 (fr) * 1999-10-19 2001-04-25 Etablissements Courant Sa Raidisseur pour grillage avertisseur étroit avec fil de détection
KR200310800Y1 (ko) 2003-01-29 2003-04-16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가스배관의 매설위치 검출용 와이어 고정구
US7308911B2 (en) * 2004-08-26 2007-12-18 Kuriyama Of American, Inc. Electronically detectable high-pressure hose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hose
KR101201784B1 (ko) 2012-07-03 2012-11-15 주식회사 고리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460U (ko) 1995-01-20 1996-08-17
EP1094263A1 (fr) * 1999-10-19 2001-04-25 Etablissements Courant Sa Raidisseur pour grillage avertisseur étroit avec fil de détection
KR200310800Y1 (ko) 2003-01-29 2003-04-16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가스배관의 매설위치 검출용 와이어 고정구
US7308911B2 (en) * 2004-08-26 2007-12-18 Kuriyama Of American, Inc. Electronically detectable high-pressure hose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hose
KR101201784B1 (ko) 2012-07-03 2012-11-15 주식회사 고리 관로탐사선을 구비한 합성수지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350B1 (ko) * 2019-09-02 2020-04-02 이경노 내·외관 일체형 보호관의 성형장치 및 그 보호관
WO2021045360A1 (ko) * 2019-09-02 2021-03-11 이경노 내ㆍ외관 일체형 보호관의 성형장치 및 그 보호관
KR102301432B1 (ko) * 2021-02-09 2021-09-14 케이유피피(주) 파이프 조립체, 파이프 조립체 탐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8911B2 (en) Electronically detectable high-pressure hose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hose
KR101978225B1 (ko) 관로 탐지선을 갖는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
AU2012356795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 flexible line extending through a fluid exploitation facility, and associated flexible line, kit and production process
CA2804367C (en) Electrical wiring for drill pipe, casing, and tubing
US3367370A (en) Plastic pipe construction
CN1325831C (zh) 可调音导管及其准备可调音导管的方法
BR112016013398B1 (pt) Encaixe de extremidade de conexão de um cano flexível, dispositivo para monitorar a integridade de um cano flexível e método para monitorar a integridade de um cano flexível
CN103775740B (zh) 用于柔性管体的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933063B1 (ko) 누수감지관
BR102020021235A2 (pt) Cabo de duto encapsulado com etiquetas de identificação e método de fabricação do mesmo
US7004510B2 (en) Tubing containment system
JP4660828B2 (ja) 摩耗検知機能を有する輸送用ホース
CA2830928A1 (en) Toneable conduit optimized for conduit shrinkage and elongation
KR101411281B1 (ko) 탐지용 파이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84232B1 (ko) 강성이 보강된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84231B1 (ko) 유체 이송관 및 그 제조방법
ES2877479T3 (es) Línea de tubo flexible para el transporte de medios abrasivos así como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CN210034654U (zh) 应用于非开挖技术的拖拉管
EP1322887B1 (en) Protective sheath
RU223822U1 (ru) Труба кабельной линии
EP4068541A1 (en) Cable conduit for cable line
KR101408920B1 (ko) 금속선과 전도성 물질을 이용한 관로 탐사용 폴리에틸렌관과 그 제조방법
EP4300065A1 (en) Liquid-leakage detection device
KR101397584B1 (ko) 탐지선이 구비된 관
ZA200507307B (en) Tubing contain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